KR102171983B1 -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 Google Patents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983B1
KR102171983B1 KR1020190018285A KR20190018285A KR102171983B1 KR 102171983 B1 KR102171983 B1 KR 102171983B1 KR 1020190018285 A KR1020190018285 A KR 1020190018285A KR 20190018285 A KR20190018285 A KR 20190018285A KR 102171983 B1 KR102171983 B1 KR 102171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bracket assembly
arch
orthodontic bracket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0262A (en
Inventor
김현모
Original Assignee
김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모 filed Critical 김현모
Priority to KR102019001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983B1/en
Publication of KR20200100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2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9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5Lingual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14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 A61C7/148Brackets; Fixing brackets to teeth with occlusal or gingival archwire slot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타단측에 형성되는 아치부 및 상기 일단측에 형성되는 평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면에 고정되고, 상기 아치부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상기 아치부의 내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횡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includes a base member including a first surface attached to a tooth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one end of the base member It is fixed to the second surface,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clip member that is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The clip member may include an arch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side and a flat portion formed at one end 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t portion is fixed to the second surface, and the arch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arch portion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member in a transverse direction. In addition to this, various embodiments identified through the specification are possible.

Description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ORTHODONTIC BRACKET ASSEMBLY}Orthodontic bracket assembly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의 설측에 부착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relate to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ttached to the lingual side of a tooth.

치아의 불균일한 배열 또는 치아의 부정교합은 치아의 및 하관 턱뼈의 발육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 불균일한 치열 및 부정교합은 심미적인 측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저작할 때 불편함을 일으키고, 나아가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충치 등 각종 치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Non-uniform arrangement of teeth or malocclusion of teeth can cause dysplasia of the teeth and lower jawbone. Uneven dentition and malocclusion not only adversely affect aesthetic aspects, but also cause discomfort when masticating food, and may cause various dental diseases such as tooth decay due to food jamming between teeth.

이러한 불균일한 치열 및 부정교합은 주로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나, 후천적으로 치아에 중장기간 동안 일정한 힘을 가하여 치아를 이동시키는 치아 교정술이 널리 시술되고 있다. Such non-uniform dentition and malocclusion occurs mainly due to genetic factors, but orthodontic surgery in which the teeth are moved by applying a certain force to the teeth for a medium to long period of time has been widely performed.

일반적으로 치열 교정술은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의 설측(舌側)(즉, 치아의 안쪽) 표면에 부착시키는 설측 교정 방법과, 치아의 순측(脣側)(즉, 치아의 바깥쪽)에 부착시키는 순측 교정 방법으로 구분된다. 최근에는 미관상의 이유로 설측 교정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In general, orthodontics is a lingual orthodontic method in which an orthodontic bracket is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ie, the inner side of the tooth), and the labial side of the tooth (ie, the outer side of the tooth). It is divided into a labial correction method that makes it. Recently, the lingual correction method is preferred for aesthetic reasons.

예를 들어, Bernhard Forester GmbH는 단순한 구조를 가진 설측 치열교정 2D® lingual 브라켓을 제공한다. 위 2D® lingual 브라켓은 단순한 구조 및 얇은 형상으로 인하여 피시술자의 착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있다.For example, Bernhard Forester GmbH offers a lingual orthodontic 2D ® lingual bracket with a simple structure. The 2D ® lingual bracket above is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the patient to wear due to its simple structure and thin shape.

(특허공개공보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8020호(2007.11.08), 치열 교정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치열 교정 시스템(Patent Publication 000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08020 (2007.11.08), orthodontic bracket and orthodontic system using the same

그러나, 2D® lingual 브라켓은 극도로 단순한 구조는 별론으로, 치열교정용 와이어를 클립 내측에 결착시키기 위한 시술 과정에서 치과의사의 고도의 숙련도를 요한다. 상기 교정 시술에서 치과의사는 날카로운 시술도구를 클립과 베이스 사이에 삽입하고 클립과 베이스 사이를 벌리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충분히 숙련되지 않은 치과의사의 경우 상기 날카로운 시술도구를 이용하여 피시술자(즉, 환자)의 치은을 강하게 찌를 수 있고, 해당 피시술자로부터 강한 항의를 종종 받게 된다. However, the 2D ® lingual bracket, apart from its extremely simple structure, requires a high degree of skill from the dentist in the procedure to bind the orthodontic wire to the inside of the clip. In the orthodontic procedure, the dentist inserts a sharp tool between the clip and the base and opens the clip and the base.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dentist who is not sufficiently skilled, it is possible to strongly poke the gingival of a person to be treated (ie, a patient) using the sharp treatment tool, and a strong protest is often received from the person to be treated.

또한, 위 2D® lingual 브라켓의 베이스는 기본적으로 사각형 형상을 이루므로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가까이 부착되는 경우, 부착되는 치아와 탈락할 확률이 높아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위 2D® lingual 브라켓의 베이스는 그 사각 형상으로 인해 치아와 인접 치아 사이에서 부풀어오른 치은(치간유두)과 접촉 및 간섭하게 되어 해당 치아로부터 쉽게 탈락해버린다. In addition, since the base of the 2D ® lingual bracket above is basically a square shape, if it is attached close to the gingiva among the lingual surfaces of the tooth, the probability of falling off with the attached tooth increases. In more detail, the base of the above 2D ® lingual bracket comes into contact with and interferes with the gingival (interdental nipple) that has swollen between the tooth and the adjacent tooth due to its square shape, and is easily removed from the tooth.

이에 따라, 상기 2D® lingual 브라켓은 종종 치아의 상단부에 부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순측으로 향하여 볼록한 호(弧) 형상을 가지는 데, 2D® lingual 브라켓이 치아의 상단부에 부착되면, 결착된 와이어가 치아의 양측단과 닿게 되어 피시술자의 불편함을 가중시킨다(이른바, marginal ridge 간섭). 나아가, 치아는 치은에 깊게 뿌리내리고 있는 바, 2D® lingual 브라켓이 치아의 상단부에 부착되면, 치열교정용 와이어에 의한 물리적 저항 중심이 상기 2D® lingual 브라켓의 부착 위치와 어긋나게 되어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곤란해진다. Accordingly, the 2D ® lingual bracket is often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tooth. In general, teeth have a convex arc shape toward the labia. When the 2D ® lingual bracket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tooth, the bonded wire contacts both sides of the tooth, increasing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so-called marginal). ridge interference). Furthermore, since the teeth are deeply rooted in the gingiva, when the 2D ® lingual bracket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tooth, the center of physical resistance by the orthodontic wire is shifted from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2D ® lingual bracket, so that efficient movement of the tooth It becomes difficult.

본 발명의 발명자는 치과 전문의로서, 직접 시술함에 있어서 겪은 불편함을 해결하고, 앞서 제기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기에 이른 것이다.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dentist, has come to conce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experienced in the direct procedure and solve the technical problems raised abov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박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시술자의 시술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re intended to provide a bracket that can be manufactured in a thin shape, improves the convenience of a surgeon, and maximizes the effect of the procedure.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타단측에 형성되는 아치(arch)부 및 상기 일단측에 형성되는 평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면에 고정되고, 상기 아치부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상기 아치부의 내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횡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document includes a base member including a first surface attached to a tooth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one end of the base member It is fixed to the second surface, and the other end may include a clip member that is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The clip member may include an arch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side and a flat portion formed at one end 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t portion is fixed to the second surface, and the arch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arch portion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member in a transverse direc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 상에 마련되되,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surfa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면의 표면에서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넓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cross-section of the protrusion may widen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에는 결찰 체인이 결속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ligation chain may be bound to the protrus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se member may include a body portion and at least one wing portion drawn out from the body portion. At least one hole through the base member may be formed in the at least one wing par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t least one hole may be narrowed from the second surface to the first surfa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향하여 형성됨에 따라 테이퍼링되는 형상(tapered shape)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t least one hole may have a tapered shape as it is formed from the second surface toward the first surfa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부는 곡면 아치 또는 사각 아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rch portion may include a curved arch or a rectangular arch.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부의 내부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orthodontic archwire)가 상기 횡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orthodontic archwire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arch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부 중 상기 제2 면과 접촉되는 종단에는, 상기 클립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lit penetrating the clip member in a thickness direction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arch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의 둘레 중 일변은 개방되고, 상기 슬릿의 둘레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클립 부재와의 접촉에 의하여 닫힐(close)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lit is open,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slit may be closed by contact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clip memb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정된 기구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지정된 기구가 상기 삽입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클립 부재가 분리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designated device is inserted into the slit, and the designated device rotates in the inserted direction by a rotation axis, the base member and the clip member may be separated by a torsional momen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은 상기 클립 부재의 횡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li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a long side of the rectangular shape may be parallel to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lip memb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홀(hole)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one hole may be formed in the base member through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고,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아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 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과 함께 지정된 형상의 결속 홈을 이룰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binding member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disposed inside the arch of the clip member. The protrusion of the binding member may form a binding groove of a designated shape together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signated shape may include a circle, a square, or a polyg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는 상기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결속 부재와 결속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rch wire for orthodontics may be secured to the binding member by being seated in the binding groove.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외력에 의하여 타단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굽어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2 면과 적어도 일부 고정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 중 상기 제2 면과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으로 연통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측 종단 모서리는 상기 클립의 상기 타단의 모서리에 대응할 수 있다.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ase including a first surface attached to a tooth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The other end may include a clip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by an external force. The clip may include a first portion bent in a convex arch shape and a second portion that is at least partially fixed to the second surface. A space formed of the first portion facing the second surface may communicate in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ase, and one end edge of the first portion may correspond to an edge of the other end of the clip.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는, 요부(凹部, recession)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recess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end edge of one side of the first par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 상에 마련되되,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is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surface.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박형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하면, 슬릿의 존재로 인하여 피시술자에 대해 불측의 상해를 가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고유의 형상으로 인해 치간 유두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로부터 탈락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될 수 있어, 이른바 marginal ridge 간섭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의 물리적 저항 중심점에 인접하게 부착되므로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아치 내부의 결속 부재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와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결속을 더욱 강화시킴과 아울러,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입체적인 조정 및 조율을 가능케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a thi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fear of inflicting unforeseen injury to a person to be treated due to the presence of a slit. In addition,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interdental nipple can be reduced due to the inherent shape of the base member, so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may not be detached or separated from the tooth. In addition, since the first side of the base member can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gingiva, so-called marginal ridge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as well as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djacent to the center of physical resistance of the tooth. As it is attached, the teeth can be moved efficiently. The binding member inside the arch has the advantage of reinforcing the binding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nd the orthodontic arch wire, and enabling three-dimensional adjustment and coordination of the orthodontic arch wire. In addition to this, various effects that are directly or indirectly identified through this document can be provid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와 클립 부재가 서로 분리된 상태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a는 또 다른 실시 예에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13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shows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shows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member and the clip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shows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6 shows a base member of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7 shows a binding member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shows a binding member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1 shows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A and 1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3A shows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in another embodiment.
13B illustrates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4 is a bottom view of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1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hape of a ho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대해 한정되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or alternative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elements.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have", "may have", "include", or "may contain" are the presence of corresponding features (eg, elements such as numbers, functions, actions, or parts).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f additional features.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In this document, expressions such as "A or B", "at least one of A or/and B", or "one or more of A or/and B" may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items listed together. .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or “at least one of A or B” includes (1) at least one A, (2) at least one B, Or (3) it may refer to all cases including both at least one A and at least one B.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used in this document can modify various elements regardless of their order and/or importance, and It is used to distinguish it from the component, but does not limit the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renamed to a first component.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The expression "configured to" used in this document is, for example, "suitable for", "having the capacity to" depending on the situation.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 "designed to", "adapted to", "made to", or "capable of". The term "configured to (or set) to" does not necessarily mean only "specifically designed to".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Terms used in this document are only used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may not be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other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is document. Among the terms used in this document, terms defined in a general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or similar meaning as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document, they may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is not interpreted. In some cases, even terms defined in this document cannot be interpreted to exclude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600)는, 접착제(예: 레진(resin))을 개재하여 치아(11, 12)의 설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에는 치아(11, 12)의 설측 표면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600)는 치아(11, 12)의 순측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600)는 치아(11, 12)의 설측 표면 중 치은(30)(즉, 잇몸)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bracket assemblies 100 and 600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s of the teeth 11 and 12 through an adhesive (eg, resin). 1 is shown as being attached to the lingual surface of the teeth 11 and 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600) may be attached to the labial surface of the teeth (11, 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600) is attached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gingiva 30 (ie, gum)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eeth (11, 12) It may be desirabl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치아(11, 12)에 부착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600)들은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를 통해 결속될 수 있다.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600)는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합금, 형상 기억 합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는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정된 인장력 이상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단선되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는 교정 와이어, 치아교정용 와이어, 또는 단순히 와이어로도 참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100 and 600 attached to each of the teeth 11 and 12 may be bound through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100 and 600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titanium alloy, shape memory alloy, or the like.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may have a circular, elliptical, quadrangular, or polygonal cross section,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break even when a force of more than a specified tensile force is applied.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may be referred to as an orthodontic wire, an orthodontic wire, or simply a wire.

각 치아(11, 12)에 부착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600)들에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를 결속한 후, 치아교정용 아치 와이어(20)의 양단에 지정된 인장력을 가하거나, 적절한 외력을 가함으로써 시술자가 의도한 치열이 구성될 수 있다. After binding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to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100, 600) attached to each tooth (11, 12), a specified tensile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Alternatively, the dentist's intended dentition may be constructed by applying an appropriate external for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아에 따라서 상이한 형상의 브라켓 조립체가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열교정을 위하여 앞니(11)에 부착된 브라켓 조립체(100)와 어금니(12)에 부착된 브라켓 조립체(600)는 서로 다른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치아(11, 12)에 부착될 수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600)의 구성 및 관련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600)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또는 단순히 브라켓으로도 참조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bracket assemblies having different shapes may be attached depending on the tooth. For example, the bracket assembly 100 attached to the front teeth 11 and the bracket assembly 600 attached to the molar teeth 12 for orthodontics may have different shapes and configurations.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related embodiments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100 and 600 that can be attached to the teeth 11 and 12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100 and 600 may be referred to as an orthodontic bracket or simply a bracket.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2 shows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베이스 부재(110) 및 클립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bracket assembly 100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base member 110 and a clip member 120.

베이스 부재(또는 단순히 "베이스")(110)는 판상형 부재로서, 치아(예: 도 1의 11)에 부착되는 제1 면(순측 방향; 뒷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설측 방향; 앞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110)는, 해당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있어서, 해당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도 2에서 +x축, -x축 방향) 폭은 +y축 상의 치아 끝에서부터 -y축 상에 위치하는 치은 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베이스 부재(110)는 오각형 또는 야구의 홈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ase member (or simply "base") 110 is a plate-shaped member, a first surface (labial direction; back) attached to a tooth (eg, 11 in FIG. 1)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Lingual direction; front side)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se member 1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base member 110 in the lateral direction becomes narrower as the width of the base member 110 goes from the tip of the tooth to the gingiva. That is, in the base member 110, the width of the base member 1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axis, -x-axis direction in FIG. 2) is a gingival located on the -y axis from the end of the tooth on the +y axis. It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direction. Accordingly, for example, the base member 11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pentagonal or a baseball home plate.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므로,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더라도 치간유두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본 발명 고유의 베이스 부재(110)의 형상으로 말미암아, 치아로부터 쉽게 탈락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가 치아의 저항 중심점에 인접하게 부착되므로,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Since the lateral width of the base member 110 is formed to narrow as it goes from the tooth end to the gingiva, even if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gingiva, it does not contact the interdental nipple May no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may not be easily detached or separated from the teeth due to the shape of the base member 110 inher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when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i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gingiva, since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is attached adjacent to the resistance center point of the tooth, efficient movement of the tooth is possible. It becomes.

한편, 베이스 부재(110)에는, 치아와 부착되는 면인 제1 면과 그 반대 면인 제2 면을 관통하는 제1 홀(hole)(1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120) 중 상기 제1 홀(1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클립 부재(125)를 관통하는 제2 홀(1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된 제1 홀(125)와 클립 부재(120)에 형성된 제2 홀(125)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1 홀(125)와 제2 홀(125)의 크기는 서로 상이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제1 홀(125) 및 제2 홀(125), 각각 또는 이들이 포개어져 정렬된 홀은 도 15와 같이 테이퍼링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Meanwhile, the base member 110 may have at least one first hole 125 penetrating through a first surface that is a surface attached to a tooth and a second surface that is opposite to the tooth. 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hole 125 penetrating the clip member 12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hole 125 is formed among the clip member 120. In FIG. 2, the first hole 125 formed in the base member 110 and the second hole 125 formed in the clip member 120 ar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ize, but the first hole 125 and the second hole The size of (125)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hole 125 and the second hole 125, respectively, or a hole arranged by overlapping them may have a tapered shape as shown in FIG. 15.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과 치아는 접착제(예: 레진)를 이용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는 접착제를 통해 치아에 부착되므로, 당해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제1 홀 및 제2 홀(125)을 통해 클립 부재(120)의 표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 및 제2 홀(125)을 통해 유출된 접착제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 제1 홀 및 제2 홀(125)의 내벽, 및 상기 클립 부재(120)의 표면에서 접착하므로, 치아와 치아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접착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and the teeth may be attached to each other using an adhesive (eg, resin). Since the base member 110 is attached to the teeth through the adhesive, a part of the adhesive may flow out to the surface of the clip member 120 through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125 by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attachment. . The adhesive leaked through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125 is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the inner wall of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125, and the surface of the clip member 120 Since it is bonded in, the adhesion between the teeth and the bracket assembly 100 for orthodontics can be further improved.

클립 부재(혹은 단순히 "클립")(120)는, 예컨대, 베이스(110)와 유사한 크기로 설계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1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12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고, 클립 부재(120)의 타단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즉, 클립 부재(120)는 베이스 부재(110)의 -y축 상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예컨대, 용접되어) 고정 결합될 수 있고, +y축 상의 상단부에서 외력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과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The clip member (or simply "clip") 120 is designed to have a size similar to that of the base 110, for example,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110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end of the clip member 12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clip member 120 is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by an external force. Can come in contact with or separate. That is, the clip member 12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110 (eg, by welding) at the lower end on the -y axis of the base member 110, and the base member by external force at the upper end on the +y axis Can be opened or closed with the second side of (110).

한편, 클립 부재(1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 부재 또는 치열교정용 와이어(20)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opening)(123)이 형성될 수 있다. 결속 부재에 대하여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lip member 120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123 through which the binding member or the orthodontic wir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posed. The binding member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120)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어있는 아치(1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면의 상방향이라 함은, 상기 제2 면의 법선 방향(+z 방향)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면의 법선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각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아치(arch)(120a)라 함은 그 사전적 어의를 불문하고, 그 단면의 일부가 곡선으로 된 곡면 아치,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된 사각 아치, 또는 그 단면이 다각형으로 된 다각 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lip member 120 may have an arch 120a that is convexly bent upward on the second surface. In this case,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is not limited to the normal direction (+z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both the normal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nd the direction of an angle forming an acute angle. do. In addition, the term arch 120a refers to a curved arch in which a part of its cross section is curved, a rectangular arch in which its cross section is a square, or a polygonal arch whose cross section is a polygon, regardless of its dictionary meaning.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치(120a)의 내부는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x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치(120a)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베이스 부재(110)의 횡 방향(+x축 방향 및 -x축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아치(120a)의 내부(즉, 아치(120a)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과 대향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상기 횡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치(120a) 내부의 직경은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의 직경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ide of the arch 1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member 1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x-axis direction). In other words, a space in which the arch 120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face each other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x-axis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110.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interior of the arch 120a (that is, a space formed by the arch 120a facing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the arch wire 20 for orthodontics pass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 ca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inside of the arch 120a is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120a) 중 상기 타단측(+y방향)의 일부분에는, 클립 부재(1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1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121)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또는 어느 하나의 꼭지점이 라운드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121)의 장변은 베이스 부재(110) 또는 클립 부재(120)의 횡 방향(+x축 방향 및 -x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lit 121 penetrating the clip member 1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other end side (+y direction) of the arch 120a. For example, the slit 121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any one vertex is rounded as illustrated in FIG. 1. In this case, the long side of the slit 121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x-axis direction and -x-axis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110 or the clip member 120.

일례에 따르면, 상기 슬릿(121)은, 클립 부재(120)의 아치(120a) 중 상기 타단의 종단부(즉, 클립 부재(120)의 +y축 방향 종단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121)의 둘레 중 일변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치(1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는 클립 부재(120)의 타단측 모서리(클립 부재(120)의 +y축 방향 종단 모서리)에 대응 또는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변이 개방된 상기 슬릿(121)은, 상기 아치(1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 형성된 요부(凹部, recession) 또는 홈(groove)으로 이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lit 121 is formed at the end of the other end of the arch 120a of the clip member 120 (that is, the end edge in the +y axis direction of the clip member 120), and the slit ( 121) of the perimeter may be open. That is, one end edge of the arch 120a may correspond to or correspond to the other end edge of the clip member 120 (the end edge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clip member 120). Accordingly, the slit 121 with one side open may be understood as a recess or a groove formed at a portion of one end edge of the arch 120a.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는 닫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릿(121)의 개방된 일변은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클립 부재(120)와의 접촉에 의하여 닫혀 있을 수 있다. 시술자는 시술 시에 상기 슬릿(121)에 지정된 기구(50)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기구(50)가 슬릿(121)에 삽입되고, 상기 지정된 기구(50)가 상기 삽입된 방향(-y축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는 일단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즉, 열릴 수 있다). In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se member 110 and the clip member 120 may be closed, and accordingly, the open side of the slit 121 is the base member 110 ) May be closed by contact with the clip member 120. The operator may insert the specified instrument 50 into the slit 121 during the procedure. When the designated device 50 is inserted into the slit 121 and the designated device 50 rotates in the inserted direction (-y-axis direction) by a rotation axis, the base member 110 is caused by a torsion moment (torque). And the clip member 12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one end (ie, can be open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와 클립 부재가 일단에서 서로 분리된 상태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3 shows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in a state in which a base member and a clip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one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설명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정된 기구(50)가 슬릿(121)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된 방향(-y축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비틀림모멘트에 의해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described in Figure 2 is shown. 3, after the designated mechanism 50 shown in FIG. 2 is inserted into the slit 121, the inserted direction (-y-axis direction) is rotated with a rotation axis, and the base member 110 and the base member 110 It shows the clip member 120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of the previously 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10)와 클립 부재(120)가 일단에서 서로 분리되면, 클립 부재(120)의 아치(120a)의 내부, 즉, 아치(120a)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개방될 수 있다. 시술자는 상기 개방된 공간에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를 위치시키고, 외력을 가하여 (예컨대, 치과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개방된 공간을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 부재(120)의 아치의 내부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횡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고,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단단히 결속될 수 있다. 3, when the base member 110 and the clip member 12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t one end, the inside of the arch 120a of the clip member 120, that is, the arch 120a and the base member 110 A space in which the second side of the device faces may be opened. The operator may position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in the open space and close the open spac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eg, using a dental plier). Accordingly, the arch wire 20 for orthodontics pass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side the arch of the clip member 120, and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is firmly bound with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I can.

한편, 베이스 부재(110)에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홀(127)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과 치아는 접착제를 통하여 서로 부착되므로, 당해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홀(127)을 통해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홀(127)을 통해 유출된 접착제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1 면, 상기 홀(127)의 내벽, 및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에서 접착하므로, 치아와 치아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 간의 접착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base member 110, a hole 127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may be additionally formed. Since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and the teeth are attached to each other through the adhesive, a part of the adhesive may flow out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through the hole 127 by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attachment. have. Since the adhesive leaked through the hole 127 adheres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the inner wall of the hole 127,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The adhesion between the bracket assembly 100 may be further improved.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a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y축 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y축 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클립 부재(120)가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열려 있는지 여부만 상이할 뿐이다.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4A,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shown in FIG. 3 is shown, and referring to FIG. 4B, the y-axis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shown in FIG. 2 A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4A and 4B only differ in whether the clip member 120 is open from the base member 110. With respect to FIGS. 4A and 4B, descriptions of the previously described configura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클립 부재(120)는 아치부(120a) 및 상기 아치부(120a)로부터 연장된 평탄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ip member 120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an arch portion 120a and a flat portion 120b extending from the arch portion 120a.

클립 부재(120)의 아치부(120a)의 일측 종단(Y측) 모서리는 클립 부재(120)의 타단(Y측) 모서리에 해당할 수 있다. 외력에 의하여 상기 아치부(120a)의 일측(Y측) 종단 모서리는 베이스 부재(110)와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 부재(120)의 아치부(120a)의 내부, 즉, 아치부(1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One end (Y side) edge of the arch portion 120a of the clip member 120 may correspond to the other end (Y side) edge of the clip member 120. The end edge of one side (Y side) of the arch portion 120a may contact or be separated from the base member 110 by an external force. Accordingly, the interior of the arch portion 120a of the clip member 120, that is, a spac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 portion 120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face each other may be opened or closed.

아치부(120a)의 단면은 반원 내지는 호(弧)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아치부(120a)의 단면은 사각형의 일부, 또는 다각형의 일부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아치부(120a)의 내부 공간, 즉, 상기 아치부(1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이 마주봄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arch portion 120a may have a semicircle or arc shap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cross section of the arch portion 120a may have a shape of a part of a rectangle or a part of a polygon.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arch portion 120a, that is, a spac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 portion 120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facing each other, an arch wire 20 for orthodontics is disposed Can be.

클립 부재(120)의 평탄부(120b)는 상기 아치부(120a)로부터 연장되어, 클립 부재(120)의 일단(Y'측)에서 베이스 부재(1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클립 부재(120)의 평탄부(120b)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에 용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접착제가 유출될 수 있는 홀(125)(베이스 부재(110)에 형성된 제1 홀 및 클립 부재(120)에 형성된 제2 홀)은 클립 부재(120)의 평탄부(120b)와 베이스 부재(11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홀(127)은 베이스 부재(110)의 타단측(Y측) 인근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lat portion 120b of the clip member 120 extends from the arch portion 120a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member 110 at one end (Y' side) of the clip member 120. For example, some or all of the flat portion 120b of the clip member 120 may be weld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hole 125 (the first hole formed in the base member 110 and the second hole formed in the clip member 120) through which the adhesive may leak out is the flat portion 120b of the clip member 120 ) And the base member 110 may be formed. Another hole 127 may be formed near the other end (Y side) of the base member 110.

도 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5 shows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는, 베이스 부재(210) 및 클립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bracket assembly 200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include a base member 210 and a clip member 220.

베이스 부재(210)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순측 방향; 뒷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설측 방향; 앞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210)는, 해당 베이스 부재(210)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21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a labial direction; a rear surface) attached to a tooth and a second surface (lingual direction; a front surface) that is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se member 2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base member 210 in the lateral direction becomes narrower as the width of the base member 210 is directed from the end of the tooth to the gingiva.

베이스 부재(21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를 관통하는 제1 홀 (2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220) 중 상기 제1 홀(2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클립 부재(220)를 관통하는 제2 홀(2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first hole 225 penetrating the base member 210 may be formed in the base member 210. 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hole 225 penetrating the clip member 22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f the clip member 220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hole 225 is formed.

클립 부재(220)는 베이스(210)와 유사한 크기로 설계되어, 상기 베이스(2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2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22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고, 클립 부재(220)의 타단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클립 부재(2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 부재 또는 치열교정용 사각 와이어(orthodontic rectangular archwire)(20r)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22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lip member 220 is designed to have a size similar to that of the base 210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210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end of the clip member 22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clip member 220 is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by an external force. Can come in contact with or separate. The clip member 220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223 through which the binding member or orthodontic rectangular archwire 20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pos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220)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어있는 사각 아치(220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사각 아치(220a)는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사각 아치(220a)의 내부, 즉, 사각 아치(2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은, 베이스 부재(210)의 횡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가 상기 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lip member 220 may be formed with a rectangular arch 220a that is convexly curved upward of the second surface. The square arch 220a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square cross section. The interior of the square arch 220a, that is, a space formed by oppo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quare arch 220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may communic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210. In the space, square arch wires 20r for orthodontic may be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200 shown in Figure 5,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square arch wire (20r) for orthodontic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사각 아치(220a)의 상방향 표면에는, 클립 부재(2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슬릿(221)은 클립 부재(220)의 사각 아치(220a)의 상방향 종단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릿(221)의 둘레 중 일변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변이 개방된 상기 슬릿(221)은, 상기 사각 아치(2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 형성된 요부(凹部) 또는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lit 221 penetrating the clip member 2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quare arch 220a.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lit 221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edge of the rectangular arch 220a of the clip member 220, and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lit 221 may be open. Accordingly, the slit 221 with one side open may be understood as a concave portion or a groove formed in a portion of one end edge of the square arch 220a.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를 나타낸다. 6 shows a base member of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는, 사다리꼴,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이들의 꼭지점이 라운드된(rounded)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의 횡 방향 폭은,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도 6 상에서 위에서 아래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부재(310, 410, 510)가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되더라도 치간유두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치아로부터 탈락할 우려가 적다. Referring to FIG. 6, base members 310, 410, and 510 of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re illustrated. The base members 310, 410, and 5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rapezoid, a triangle, a pentagon, a hexagon, or a shape in which vertices thereof are rounded.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base members 310, 410, and 510 in the lateral direction may be designed to be narrowed from the tip of the tooth toward the gingiva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FIG. 6 ). Accordingly, even if the base members 310, 410, and 510 are attached to a portion adjacent to the gingiva among the lingual surfaces of the teeth, they are hardly affected by the interdental papilla, and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falling out from the teeth.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310)는 라운드된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310)는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즉, 도 6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를 향함에 따라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치아와 부착되는 제1 면(310r)(베이스 부재(310)의 뒷면)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되도록 지정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310r)의 반대 면인 제2 면(310f)(베이스 부재(310)의 앞면)에는 그 하단에 클립 부재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rounded triangular shape. The base member 310 may be formed to narrow as it goes from the tooth tip to the gingiva, that is, the width of the base member 310 is narrowed as it go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FIG. 6. A designat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310r (the back side of the base member 310) attached to the tooth so as to maximize the adhesive force by the adhesive. A clip member may be fixed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surface 310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which is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310r.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410)는 라운드된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410)는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즉, 도 6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를 향함에 따라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치아와 부착되는 제1 면(410r)(베이스 부재(410)의 뒷면)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되도록 지정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410r)의 반대 면인 제2 면(410f)(베이스 부재(410)의 앞면)에는 그 하단에 클립 부재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 rounded trapezoidal shape. The base member 410 may be formed to narrow as it goes from the tooth tip to the gingiva, that is, the width of the base member 410 may be narrowed as it fac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FIG. 6. A designated pattern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410r (the back side of the base member 410) attached to the tooth so as to maximize adhesion by the adhesive. A clip member may be fixed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surface 410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410), which is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410r.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510)는 라운드된 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510)는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즉, 도 6에 있어서 위에서 아래를 향함에 따라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는 야구의 홈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치아와 부착되는 제1 면(510r)(베이스 부재(510)의 뒷면)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되도록 메쉬형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510r)의 반대 면인 제2 면(510f)(베이스 부재(510)의 앞면)에는 그 하단에 클립 부재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5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have a rounded pentagonal shape. The base member 510 may be formed to narrow as it goes from the tooth tip to the gingiva, that is, the width of the base member 510 may be narrowed as it fac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FIG. 6. Accordingly, the base member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at of a baseball home plate. A mesh-shaped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510r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member 510) attached to the tooth so as to maximize adhesion by the adhesive. A clip member may be fixedly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second surface 510f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510), which is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510r.

도 6에서는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횡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설계되는 한, 베이스 부재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베이스 부재 뒷면의 패턴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 극대화될 수 있는 한 다양한 패턴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 베이스 부재들(310, 410, 510)을 보고, 이에 대응하는 클립 부재의 형상 및 크기를 쉽게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In FIG. 6, the base members 310, 410, and 510 have been described as the center, but the shape of the base member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 width in the lateral direction is designed to narrow as it goes from the tip of the tooth to the gingiva. In addition, various patterns may be applied to the pattern on the back side of the base member as long as the adhesive force by the adhesive can be maximize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derive the shape and size of the clip memb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base members 310, 410, 510.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7 shows a binding member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110) 및 결속 부재(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관련하여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base member 110 and the binding member 130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shown.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previously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7 may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속 부재(130)는 돌출부(130a) 및 고정부(130b)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 부재(130)의 고정부(130b)는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앞면)의 중앙부 내지는 상단부 표면에 (예컨대, 용접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130a)는 클립 부재(예: 도 2의 120; 도 7에는 미도시)의 아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inding member 130 may include a protruding portion 130a and a fixing portion 130b. The fixing portion 130b of the binding member 130 may be fixed (eg, through welding) to the central portion or the upper portion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Accordingly, the protrusion 130a may be disposed inside the arch of the clip member (eg, 120 in FIG. 2; not shown in FIG. 7 ).

결속 부재(130)의 돌출부(130a)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앞면)과 함께 지정된 형상의 결속 홈을 이룰 수 있다.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는 상기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결속 부재(130)와 결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는 상기 결속 홈에 끼워질 경우, 결속 부재(130)의 돌출부(130a)에 의한 탄성력으로 인하여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30a)의 곡률은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otrusion 130a of the binding member 130 may form a binding groove of a designated shape together with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may be coupled to the binding member 130 by being seated in the binding groo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when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is fitted into the binding groove, it may be more firmly fixe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sion 130a of the binding member 130. Accordingly, the curvature of the protrusion 130a is preferably the same as or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orthodontic circular arch wire 20.

도 7에 따르면, 결속 부재(130)의 돌출부(130a)와 베이스 부재(110)의 제2 면(앞면)이 이루는 결속 홈은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결속 홈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직선과 곡선을 포함하는 도형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7, the binding groove formed by the protrusion 130a of the binding member 130 and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110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circular arch wire 20 for orthodontic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inding groove may include a circle, a square, a polygon, or a figure including a straight line and a curve.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110) 및 결속 부재(130)는 도 7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110) 및 결속 부재(13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8,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The base member 110 and the binding member 130 illustrated in FIG. 8 may correspond to the base member 110 and the binding member 130 illustrated in FIG. 7,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FIG. 8, descriptions of the previously described configura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는 먼저, 결속 부재(130)와 베이스 부재(110)가 이루는 결속 홈에 안착되어 (또는 끼워져) 일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외력을 가하여 (예컨대, 치과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의 내부 배치를 위해 열려있던 클립 부재(120)를 닫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는 클립 부재(120)의 닫힘에 따른 압박을 받아 이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100)는 결속 부재(130)의 존재로 말미암아,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와 더욱 안정적이고 더욱 강력하게 고정 결속될 수 있다. The circular arch wire 20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irst be seated (or inserted) in a binding groove formed by the binding member 130 and the base member 110 and firstly fixed. Thereafter, the operator may apply an external force (eg, using a dental plier) to close the clip member 120 that was open for the internal arrangement of the orthodontic circular arch wire 20. Through this, the orthodontic circular arch wire 20 may be secondaryly fixed by being pressed according to the closing of the clip member 120. Accordingly,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100 shown in FIG. 8 may be more stable and more strongly fixedly coupled with the orthodontic circular arch wire 20 due to the presence of the binding member 130.

도 9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결속 부재를 나타낸다. 9 shows a binding member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베이스 부재(210) 및 결속 부재(2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와 관련하여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base member 210 and the binding member 230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shown.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previously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9 may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속 부재(230)는 직각 돌출부(230a) 및 고정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 결속 부재(230)의 고정부(230b)는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앞면)의 중앙부 내지는 상단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각 돌출부(230a)는 클립 부재(예: 도 5의 220; 도 9에는 미도시)의 아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inding member 230 may include a right angle protrusion 230a and a fixing portion 230b. The fixing part 230b of the binding member 230 may be fixed to the central or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front) of the base member 210. Accordingly, the right-angled protrusion 230a may be disposed inside the arch of the clip member (for example, 220 in FIG. 5; not shown in FIG. 9).

결속 부재(230)의 직각 돌출부(230a)는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앞면)과 함께 사각 결속 홈을 이룰 수 있다.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는 상기 사각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결속 부재(230)와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속 홈의 내측 폭은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의 단면의 일변 길이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따르면, 결속 부재(230)의 직각 돌출부(230a)와 베이스 부재(210)의 제2 면(앞면)이 이루는 사각 결속 홈은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The right angle protrusion 230a of the binding member 230 may form a rectangular binding groove together with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The orthodontic square arch wire 20r may be coupled to the binding member 230 by being seated in the square binding groove.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width of the binding groove has a value equal to or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one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orthodontic square arch wire 20r. According to FIG. 9, the rectangular binding groove formed by the right-angled protrusion 230a of the binding member 230 and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210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rectangular arch wire 20r for orthodontics. .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210) 및 결속 부재(230)는 도 9에 도시된 베이스 부재(210) 및 결속 부재(23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10,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cket assembly 200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shown. The base member 210 and the binding member 230 illustrated in FIG. 10 may correspond to the base member 210 and the binding member 230 illustrated in FIG. 9,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FIG. 10, descriptions of the previously described configura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는 먼저, 결속 부재(230)와 베이스 부재(210)가 이루는 사각 결속 홈에 안착되어 (또는 끼워져) 일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외력을 가하여 (예: 치과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의 내부 배치를 위해 열려있던 클립 부재(220)를 닫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r)는 클립 부재(220)의 닫힘에 따른 압박을 받아 이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square arch wire 20r for orthodon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irst be seated (or fitted) in a rectangular binding groove formed by the binding member 230 and the base member 210 and firstly fixed. Thereafter, the operator may apply an external force (eg, using a dental plier) to close the clip member 220 that was open for the internal arrangement of the orthodontic square arch wire 20r. Through this, the orthodontic square arch wire 20r may be secondaryly fixed by being pressed according to the closing of the clip member 220.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200)는 결속 부재(230)의 존재로 말미암아,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와 더욱 안정적이고 더욱 강력하게 고정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시술자의 의도에 따라서는 치열교정용 사각 아치와이어(20)를 뒤트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속 부재(230)는 직각 돌출부(230a)의 고유의 형상 및 클립 부재(220)의 고유한 형상으로 말미암아 상기 뒤트는 동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200 shown in FIG. 10 may be more stable and more powerfully fixed and bound with the orthodontic square arch wire 20 due to the presence of the binding member 230.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practitioner, the operation of twisting the orthodontic square arch wire 20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binding member 230 may sufficiently support the twisting operation due to the unique shape of the right-angled protrusion 230a and the unique shape of the clip member 220.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11 shows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는, 베이스 부재(310) 및 클립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bracket assembly 300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base member 310 and a clip member 320.

베이스 부재(310)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순측 방향(-z축 방향); 뒷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설측 방향(+z축 방향); 앞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310)는, 해당 베이스 부재(310)의 횡 방향(x축 방향) 폭이 치아 끝에서부터 치은으로 향함에 따라 (-y축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310 has a first surface (labial direction (-z-axis direction); rear surface) attached to a tooth and a second surface (lingual direction (+z-axis direction); front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Can inclu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se member 31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base member 3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axis direction) becomes narrower (as directed toward the -y-axis) from the end of the tooth to the gingiva. I can.

베이스 부재(31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310)를 관통하는 제1 홀 (3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320) 중 상기 제1 홀(3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클립 부재(320)를 관통하는 제2 홀(3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first hole 325 penetrating the base member 310 may be formed in the base member 310. In addition, at least one second hole 325 penetrating the clip member 32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f the clip member 320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hole 325 is formed.

클립 부재(320)는 베이스(310)와 유사한 형상 및 크기로 설계되어, 상기 베이스(310)의 하단부에서 상기 베이스(3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320)의 일단은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에 고정될 수 있고, 클립 부재(320)의 타단(+y축 방향 종단)은 외력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 클립 부재(3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속 부재 또는 치열교정용 와이어(20)가 노출될 수 있는 오프닝(323)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lip member 320 is designed to have a shape and size similar to that of the base 310 and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base 310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e end of the clip member 320 may be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and the other end (end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clip member 320 is the base member by an external force. It may contact or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side of 310. An opening 323 through which the binding member or orthodontic wir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posed may be formed in the clip member 3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클립 부재(320)에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굽어있는 아치(32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은, 베이스 부재(310)의 횡 방향(x축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상기 횡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lip member 320 may have an arch 320a that is convexly curved upward from the second surface. The interior of the arch 320a, that is,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 320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facing each other, communicat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310. I can. In the space, orthodontic arch wires 20 may be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치(320a)의 상방향(+y축 방향) 표면에는, 클립 부재(3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슬릿(321)은 클립 부재(320)의 아치(320a)의 상방향(+y축 방향) 종단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슬릿(321)의 둘레 중 일변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변이 개방된 상기 슬릿(321)은, 상기 아치(3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 형성된 요부(凹部) 또는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lit 321 penetrating the clip member 3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y-axis direction) surface of the arch 320a.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lit 321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y-axis direction) end edge of the arch 320a of the clip member 320, and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lit 321 may be opened. have. Accordingly, the slit 321 with one side open may be understood as a concave portion or a groove formed at a portion of one end edge of the arch 320a.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클립 부재(320)의 일단의 가장자리(-y축 방향 종단)는,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의 상방향(예: +z축 방향)으로 굽어져서 돌출될 수 있다(320n). 상기 돌출된 부분은 오버행(overhang)(320n)으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버행(320n)은 클립 부재(320)의 일단의 종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의 상방향(예: +z축 방향)으로 굽어져서 돌출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edge of one end (end in the -y axis direction) of the clip member 320 is bent upward (eg, in the +z axis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It may be protruded (320n).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n overhang 320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verhang 320n extends from the end of one end of the clip member 320 and protrudes by being bent upward (for example, in the +z-axis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Can be.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찰 체인(70)은 각 치아에 부착된 브라켓 조립체(예: 300)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결찰 체인(70)은 복수의 링(ring)이 사슬과 같이 연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결찰 체인(70)은 예컨대,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와 같이 탄성을 가진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 예에 따라서는 파워 체인(power chain)으로 참조될 수 있다. The ligation chain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fixed by connecting a bracket assembly (eg, 300) attached to each tooth to each other. The ligation chain 70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rings are connected like a chain. The ligation chain 7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elastom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ower chain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결찰 체인(70) 중 하나의 '링'은 하나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링의 일부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함께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링의 또 다른 일부는 앞서 설명한 오버행(320n)이 형성하는 홈에 끼워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one'ring' of the ligation chain 70 may correspond to on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300. A part of the ring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facing the inside of the arch 320a,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 320a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310 together with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In addition, another part of the ring may be fitted into a groove formed by the overhang 320n described above.

도 12a 및 도 12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12A and 1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서 설명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의 y축 방향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 및 도 12b와 관련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 설명된 구성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2A and 12B are cross-sectional views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300 described in FIG. 11. With reference to FIGS. 12A and 12B, descriptions of the previously described configuration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2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찰 체인(70)의 일부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함께,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 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찰 체인(70)의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Y'측 종단부에 있는 오버행(320n)에 의해 결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2a, a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gether with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the interior of the arch 320a (that is, the inner surface and the base member of the arch 320a) It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facing the second side of 310). Another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may be ligated by an overhang 320n at the Y'-side end portion of the clip member 320.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10)의 오버행(320n)은 베이스 부재(310)의 크기 범위로부터 벗어나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오버행(320n)은 클립 부재(320)의 Y'측 종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찰 체인(70)의 상기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혹은, 돌출부)과 치아(미도시)가 이루는 홈에 결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A, the overhang 320n of the base member 310 may protrude out of the size range of the base member 310. That is, the overhang 320n may extend and protrude from the Y'-side end portion of the clip member 320. In this case, the another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may be understood as being ligated into a groove formed by the overhang 320n (or protrusion) of the clip member 320 and a tooth (not shown).

도 12b는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b는 도 11에서 설명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의 y축 방향 단면도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1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12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ross-sectional view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300 described in FIG. 11.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찰 체인(70)의 일부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와 함께, 아치(320a)의 내부 (즉, 아치(320a)의 내측 표면과 베이스 부재(310)의 제2 면이 대향하여 이루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찰 체인(70)의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Y'측 종단부에 있는 오버행(320n)에 의해 결찰될 수 있다.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gether with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the inside of the arch 320a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arch 320a and the second of the base member 310) It may be disposed in a space formed by facing faces. Another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may be ligated by an overhang 320n at the Y'-side end portion of the clip member 320.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310)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Y'측을 향하여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찰 체인(70)의 상기 또 다른 일부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과 베이스 부재(310)의 평탄 부분이 이루는 홈에 결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B, the base member 310 may be formed flat toward the Y'sid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verhang 320n of the clip member 320. In this case, the another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may be ligated into a groove formed by the overhang 320n of the clip member 320 and the flat portion of the base member 310.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에 결찰 체인(70)이 결찰됨에 따라, 복수의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들은 결찰 체인(70)에 의한 탄성 복원력을 받게 된다. 각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들이 고정 부착된 치아들은 상기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시술자가 의도한 소정의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할 수 있다. As the ligating chain 70 is ligated to the overhang 320n of the clip member 320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a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receive elastic restoring force by the ligating chain 70. do. The teeth to which each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is fixedly attached may gradually mov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tended by the operato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가령, 클립 부재(320)에 결찰 체인(70)을 위한 오버행(320n)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결찰 체인(70)은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들을 효과적으로 결속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오버행(320n)이 없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300)들에 결속 체인(70)을 적용하면, 결속 체인(70)의 링 하단이 자재(自在)로 움직이게 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한 치아 이동 효과가 현저히 낮아짐은 물론, 피시술자의 혀를 자극하는 등 피시술자의 착용감을 떨어뜨릴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overhang 320n for the ligation chain 70 is not present in the clip member 320, the ligation chain 70 may not effectively bind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300. In addition, when the binding chain 70 is appli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ies 300 without the overhang (320n), the bottom of the ring of the binding chain 70 moves freely, thereby moving teeth by elastic restoring force. Not only the effect is remarkably lowered, but also the wearer's feeling of wearing by stimulating the tongue of the person being treated can be reduced.

아울러,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면, Y'측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310)는 클립 부재(320)의 오버행(320n)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즉, Y'측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310)와 클립 부재(320)는 서로 용접되어 고정된 채로, 도 12a에 도시된 오버행(320n)과 유사하게 동시에 굽어져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찰 체인(70)의 상기 또 다른 일부는, 베이스 부재(310)의 돌출부와 치아(미도시)가 이루는 홈에 결찰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S. 12A and 12B,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base member 3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verhang 320n of the clip member 320 on the Y'side. . That is, on the Y'side, the base member 310 and the clip member 320 may be simultaneously bent and protrude similar to the overhang 320n shown in FIG. 12A while being welded and fix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another part of the ligation chain 70 may be ligated into a groove formed by a protrusion of the base member 310 and a tooth (not shown).

도 13a는 일 실시 예에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13A shows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in an embodiment.

도 13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600)는 베이스 부재(610), 클립 부재(620), 및 돌기(6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A,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600 may include a base member 610, a clip member 620, and a protrusion 650.

베이스 부재(또는 단순히 "베이스")(610)는 판상형 부재로서, 치아(예: 도 1의 어금니(12))에 부착되는 제1 면(순측 방향; 뒷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설측 방향; 앞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610)는 본체부(610m) 및 상기 본체부(610m)로부터 인출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610w1, 610w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610)는 예컨대 부착되는 치아(예: 도 1의 어금니(12))의 횡 이동을 위한 저항 중심에 가깝게 부착될 수 있다. The base member (or simply "base") 610 is a plate-shaped member, which is a first surface (labial direction; rear surface) attached to a tooth (eg, the molar 12 in FIG. 1) and a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t may include a second side (lingual direction; front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se member 610 may include a body portion 610m and at least one wing portion 610w1 and 610w2 drawn out from the body portion 610m. The base member 610 may be attached close to a center of resistance for lateral movement of the tooth to be attached (eg, the molar 12 of FIG. 1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610)의 본체부(610m)는 어금니에 부착되기에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610m)는 도시된 사각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치간 유두에 의한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ody portion 610m of the base member 610 may have a shape suitable for attaching to the molars. The body portion 610m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quare,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hown in FIG. 6, for example, in order to reduce interference caused by an interdental nippl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610)의 날개부(610w1, 610w2)에는 베이스 부재(610)를 관통하는 홀(625, 626)이 형성될 수 있다. 홀(625, 626)의 단면적은 제2 면(설측 방향; 앞면)에서 제1 면(순측 방향; 뒷면)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질 수 있다. 즉, 상기 홀(625, 626)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향하여 형성됨에 따라 테이퍼링되는 형상(tapered shape)을 가질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holes 625 and 626 passing through the base member 610 may be formed in the wing portions 610w1 and 610w2 of the base member 610.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es 625 and 626 may be narrowed from the second surface (lingual direction; front surface) to the first surface (labial direction; rear surface). That is, the holes 625 and 626 may have a tapered shape as they are formed from the second surface to the first surface.

베이스 부재(610) 제1 면과 치아는 소성(塑性)을 가진 접착제(예: 레진)로 부착되므로, 당해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상기 홀(625, 626)을 통해 베이스 부재(610), 특히 베이스 부재의 날개부(610w1, 610w2)의 표면(제2 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홀(625, 626)을 통해 유출된 접착제는 베이스 부재(610)의 제1 면, 상기 홀(625, 626)의 내벽, 및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에서 접착하고, 또한, 본 발명 특유의 홀의 테이퍼링된 형상으로 말미암아 치아와 치아교정용 브라켓 조립체(600)의 고정 접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Since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and the teeth are attached with a plastic adhesive (for example, resin), a part of the adhesive may pass through the holes 625 and 626 by the pressure caused by the attachment. 610, in particular, may flow out to the surface (second surface) of the wing portions 610w1 and 610w2 of the base member. The adhesive leaked through the holes 625 and 626 adheres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the inner walls of the holes 625 and 626,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Due to the tapered shape of the hole peculiar to the invention, the fixing adhesion between the tooth and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600 may be further improved.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610)에는, 접착력 향상을 위하여, 베이스 부재(610)의 제1 면 및 제2 면을 관통하는 추가적인 홀(예: 도 3의 125)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홀에도 본 발명 특유의 테이퍼링된 형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t least one additional hole (eg, 125 in FIG. 3) penetrating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base member 610 may be formed in the base member 610 to improve adhesion. have. The tapered shape peculiar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pplied to the hole.

클립 부재(620)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클립 부재(620)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600)의 종방향에 있어서, 타단측(+y축 방향)에 형성되는 아치부(620a), 즉,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굽어있는 제1 부분(620a); 및 일단측(-y축 방향)에 형성되는 평탄부(620f), 즉,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앞면)과 적어도 일부 고정되는 제2 부분(620f);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lip member 620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have a “H” shape as shown in FIG. 13A. The clip member 620 is an arch portion 620a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y-axis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600, that is, a first portion 620a bent in a convex arch shape. ); And a flat portion 620f formed on one end side (-y-axis direction), that is, a second portion 620f that is at least partially fixed to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클립 부재(620)는 일단이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평탄부(620f) 측), 외력에 의하여 타단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될 수 있다(아치부(620a) 측).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치부(620a)의 +y축 방향 종단 모서리는 클립 부재(620)의 타단의 모서리에 해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 부재(620)의 종단면은 이른바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clip member 620 has one end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the flat part 620f side), and the other end of the clip member 620 may contact or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by an external force (arch part ( 620a)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terminal edge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arch portion 620a may correspond to an edge of the other end of the clip member 620. Accordingly,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lip member 620 may have a so-called hook shape.

아치부(620a)는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앞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아치부(620a)의 내부는 베이스 부재(610)의 횡 방향(x축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아치부(620a) 중 상기 제2 면과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즉, 아치의 내부)은 베이스 부재(610)의 횡 방향으로 연통할 수 있으며, 상기 아치부(620a)의 내부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가 상기 횡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아치부(620a)는 곡면 아치 또는 사각 아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rch portion 620a is formed to be convex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and the inside of the arch portion 620a communicat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610 Can be. That is, the space (that is, the interior of the arch) of the arch portion 620a facing the second surface may communic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610, and the inside of the arch portion 620a is orthodontic Dragon arch wire can pas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rch portion 620a may include a curved arch or a rectangular arch.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치부(620a) 중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앞면)과 접촉되는 종단 모서리에는, 클립 부재(62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6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621)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또는 어느 하나의 꼭지점이 라운드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621)의 장변(직사각형 둘레 중 길이가 더 긴 변)은 베이스 부재(610) 또는 클립 부재(620)의 횡 방향(x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lit 621 penetrating the clip member 6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may be formed at a terminal edge of the arch portion 620a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have. For example, the slit 621,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r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any one vertex is rounded as shown in FIG. 13A. In this case, the long side (the longer side of the rectangular circumference) of the slit 621 may b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610 or the clip member 6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릿(621)은, 클립 부재(620)의 아치부(620a) 중 클립 부재(620)의 +y축 방향 종단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슬릿(621)의 둘레 중 일변이 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치부(6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는 클립 부재(620)의 클립 부재(620)의 +y축 방향 종단 모서리에 대응 또는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변이 개방된 상기 슬릿(621)은, 상기 아치부(620a)의 일측 종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 형성된 요부 또는 홈으로 이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lit 621 is formed at a longitudinal edge of the clip member 620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arch portion 620a of the clip member 620, and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lit 621 Can be opened. That is, one end edge of the arch portion 620a may correspond to or correspond to the end edge in the +y-axis direction of the clip member 620 of the clip member 620. Accordingly, the slit 621 with one side open may be understood as a concave portion or a groove formed at a portion of one end edge of the arch portion 620a.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600)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610)와 클립 부재(620)는 닫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릿(621)의 개방된 일변은 상기 베이스 부재(610)와 상기 클립 부재(620)와의 접촉에 의하여 닫혀 있을 수 있다. 시술자는 시술 시에 상기 슬릿(621)에 지정된 기구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기구가 슬릿(621)에 삽입되고, 상기 지정된 기구가 상기 삽입된 방향(-y축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에 의해 베이스 부재(610)와 클립 부재(620)는 일단에서 서로 분리될 수 있다(즉, 열릴 수 있다).In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se member 610 and the clip member 620 may be closed, and accordingly, the open side of the slit 621 is the base member 610 ) May be closed by contact with the clip member 620. The operator may insert a designated instrument into the slit 621 during the procedure. When the designated device is inserted into the slit 621 and the designated device rotates in the inserted direction (-y-axis direction) as a rotation axis, the base member 610 and the clip member 620 are at one end due to a torsional moment. They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ie, they can be opened).

돌기(650)는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앞면) 상에 마련되되,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기(650)는 베이스 부재(610)의 일부로서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가 부착 고정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650 is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and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second surface. The protrusion 650 may be included as a part of the base member 610 or may be formed by attaching and fixing a separate member.

도 13b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를 나타낸다. 13B illustrates a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3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6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a와 관련하여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착된 구성에 대하여는 일부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3B, there is shown a bracket assembly 600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ome descriptions may be omitted for configurations to whic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with reference to FIG. 13A.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결속 부재(630)는 도 7에 도시된 결속 부재(130)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결속 부재(630)는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앞면)의 중앙부 내지는 상단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결속 부재(630)는 상기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앞면)과 함께 지정된 형상의 결속 홈을 이룰 수 있다.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는 상기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결속 부재(630)와 결속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20)가 상기 결속 홈에 끼워질 경우, 결속 부재(630)에 의한 탄성력으로 인하여 더욱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inding member 630 may perform a role similar to the binding member 130 shown in FIG. 7. The binding member 630 may be fixed to the central or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front) of the base member 610. The binding member 630 may form a binding groove of a designated shape together with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may be coupled to the binding member 630 by being seated in the binding groov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when the orthodontic arch wire 20 is fitted into the binding groove, it may be more firmly fixed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binding member 630.

도 13b에 따르면, 결속 부재(630)와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앞면)이 이루는 결속 홈이 치열교정용 원형 아치와이어(20)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결속 홈의 단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또는 직선과 곡선을 포함하는 도형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13B, the binding groove formed by the binding member 630 and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circular arch wire 20 for orthodontic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inding groove may include a circle, a square, a polygon, or a figure including a straight line and a curve.

베이스 부재(610)에 형성된 돌기(650)는 결찰 체인(70)이 결속되기 위한 구성으로, 브라켓 조립체(600)가 예컨대, 도 11의 브라켓 조립체(300)와 결찰 체인(70)을 통해 상호 결속될 때, 전체 치아의 종단에서 결찰 체인(70) 전반을 지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650 formed on the base member 610 is a configuration for binding the ligation chain 70, and the bracket assembly 600 is mutually bound through, for example, the bracket assembly 300 and ligation chain 70 of FIG. 11 When it is, it may be implemented to support the entire ligation chain 70 at the end of the entire tooth.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13a 및 도 13b와 관련하여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착된 구성에 대하여는 일부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4 is a bottom view of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Some descriptions may be omitted for configurations to whic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with reference to FIGS. 13A and 13B.

도 14를 참조하면, 결찰 체인이 돌기(650)에 걸려서 상호 결속될 때, 결찰 체인이 상기 돌기(650)로부터 쉽게 탈락하지 않도록 상기 돌기(65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650)는 그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앞면)의 표면에서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기(6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못(釘)의 머리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when the ligating chain is caught by the protrusion 650 and bound to each other, the protrusion 650 may have various shapes so that the ligating chain does not easily come off from the protrusion 650. For example, the protrusion 650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its cross-section is widened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front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Accordingly, the protrusion 650 may have a shape such as a head of a nail as shown in FIG. 14.

베이스 부재(61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610)를 관통하는 홀(625, 626)이 형성될 수 있다. 홀(625, 626)은 제2 면(도 14에서 상면)에서 제1 면(도 14에서 저면)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질 수 있다. 도 14에는 상기 홀(625, 626)이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향하여 형성됨에 따라 선형적으로(linearly) 테이퍼링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홀(625, 626)은 비선형적으로, 예컨대, 곡선으로 테이퍼링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Holes 625 and 626 penetrating the base member 610 may be formed in the base member 610. The holes 625 and 626 may be narrowed from the second surface (top surface in FIG. 14) to the first surface (bottom surface in FIG. 14). In FIG. 14, the holes 625 and 626 are shown to have a shape tapering linearly as they are formed from the second surface to the first surfac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holes 625 and 626 may have a shape that is tapered non-linearly, for example, in a curve.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5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hape of a ho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베이스 부재(610) 제1 면(도 15의 저면)과 치아는 소성을 가진 접착제(예: 레진)(80)로 부착되므로, 당해 부착에 따른 압력에 의해 상기 접착제(80)의 일부가 상기 홀(625, 626)을 통해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도 15의 상면)으로 유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5, since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the bottom surface of FIG. 15) and the teeth are attached with a plastic adhesive (eg, resin) 80, the adhesive 80 ) May flow out to the second surface (the upper surface of FIG. 15) of the base member 610 through the holes 625 and 626.

상기 홀(625, 626)을 통해 유출된 접착제(80)는 베이스 부재(610)의 제1 면, 상기 홀(625, 626)의 내벽, 및 베이스 부재(610)의 제2 면에서 접착함과 동시에, 상기 홀(625, 626)을 통하여 여분이 스며나올 수 있다. 이때 시술자는 소정의 기구로 상기 여분의 접착제(80)를 펴바르거나(spread) 또는 일부 제거함으로써 베이스 부재의 표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 특유의 홀(625, 626)의 테이퍼링된 형상으로 말미암아 치아와 치아교정용 브라켓 조립체(600)의 고정 접착력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유출된 잔여 접착제(80)의 후처리가 더욱 깔끔해지는 이점이 있다.The adhesive 80 leaked through the holes 625 and 626 adheres to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the inner walls of the holes 625 and 626,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610. At the same time, excess may seep through the holes 625 and 626. 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smoothly finish the surface of the base member by spreading or partially removing the excess adhesive 80 with a predetermined device. Eventually, due to the tapered shape of the holes 625 and 626 unique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adhesion between the teeth and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600 is further improved, as well as the post-treatment of the spilled residual adhesive 80 becomes more clean.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릿의 존재로 인하여 피시술자에 대해 불측의 상해를 가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고유의 형상으로 인해 치간 유두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어,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로부터 탈락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의 제1 면이 치아의 설측 표면 중 치은에 인접한 부위에 부착될 수 있어, 이른바 marginal ridge 간섭이 방지될 수 있음은 물론,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가 치아의 물리적 저항 중심점에 인접하게 부착되므로 치아의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아치 내부의 결속 부재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와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결속을 더욱 강력하게 해 줌과 아울러,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의 입체적인 조정 및 조율을 가능케하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베이스 부재 및/또는 클립 부재의 절곡 돌출부(예: 오버행(320n))는 결찰 체인의 이용을 가능케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risk of inflicting unforeseen injury to a person to be treated due to the presence of a slit. In addition,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interdental nipple can be reduced due to the inherent shape of the base member, so that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may not be detached or separated from the tooth. In addition, since the first surface of the base member can be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lingual surface of the tooth adjacent to the gingiva, so-called marginal ridge interference can be prevented, as well as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djacent to the center of physical resistance of the tooth As it is attached, the teeth can be moved efficiently. In addition, the binding member inside the arch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more powerful binding between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nd the orthodontic arch wire, and enabling three-dimensional adjustment and coordination of the orthodontic arch wire. In addition, the bent protrusions of the base member and/or clip member (eg, overhang 320n) allow the use of a ligation chain.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have been presented for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disclosed and technical content,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is document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various other embodiment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2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타단측에 형성되는 아치(arch)부 및 상기 일단측에 형성되는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탄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면에 고정되며
상기 아치부는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상기 아치부의 내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횡 방향으로 연통되고,
상기 아치부 중 상기 제2면과 접촉되는 종단에는, 상기 클립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릿의 둘레 중 일변이 개방되고, 상기 슬릿의 둘레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클립 부재와의 접촉에 의하여 닫히며(close),
지정된 기구와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지정된 기구가 상기 삽입된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클립 부재가 분리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A base member including a first surface attached to a tooth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clip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the other end contacting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and
The clip member includes an arch portion formed on the other end side and a flat portion formed on the one end 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t portion is fixed to the second surface,
The arch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the inside of the arch portion communicat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A slit penetrating the clip memb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arch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rface,
One sid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slit is opened,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slit is closed by contact between the base member and the clip member,
A bracket assembly for orthodontics that is inserted into a designated device and the slit, and when the designated device rotates in the inserted direction by a rotation axis, the base member and the clip member are separated by a torsional moment (torqu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 상에 마련되되,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oedoe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surfac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면의 표면에서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t least a por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protrusion is widened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surface to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에는 결찰 체인이 결속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protrusion is bound to the ligation chai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인출된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날개부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and at least one wing portion drawn out from the body portion,
In the at least one wing portion, at least one hole penetrating the base member is formed,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의 단면적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향함에 따라 좁아지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5,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t least one hole is narrowed from the second surface toward the first surfac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은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제1 면으로 향하여 형성됨에 따라 테이퍼링되는 형상(tapered shape)을 가지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5,
Th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wherein the at least one hole has a tapered shape as it is formed from the second surface to the first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는 곡면 아치 또는 사각 아치를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ch portion comprises a curved arch or a square arch,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치부의 내부에는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orthodontic archwire)가 상기 횡 방향으로 통과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thodontic archwire in the inside of the arch portion (orthodontic archwire) pass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직사각형 형상의 장변은 상기 클립 부재의 횡 방향과 나란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it has a rectangular shape,
The long side of the rectangular shape is parallel to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lip member,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을 관통하는 홀(hole)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ase member, at least one hole penetrat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is formed,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고,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아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과 함께 지정된 형상의 결속 홈을 이루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inding member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and disposed inside the arch of the clip member,
The protrusion of the binding member, together with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forms a binding groove of a designated shap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형상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을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5,
The specified shape comprises a circle, a square, or a polygo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청구항 15에 있어서,
치열교정용 아치와이어는 상기 결속 홈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결속 부재와 결속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5,
Orthodontic arch wire is secured to the binding member by being seated in the binding groov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치아에 부착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의 반대면인 제2 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일단이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제2 면에 고정되어 있고, 외력에 의하여 타단이 상기 제2 면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굽어있는 제1 부분과 상기 제2 면과 적어도 일부 고정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 중 상기 제2 면과 대향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은 상기 베이스의 횡 방향으로 연통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일측 종단 모서리는 상기 클립의 상기 타단의 모서리에 대응하며,
상기 제1 부분의 일측 중단 모서리 중 일부분에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클립과의 접촉에 의하여 닫히어 슬릿의 형상을 형성하고,
지정된 기구가 상기 요부에 삽입되고, 상기 지정된 기구의 회전에 의한 비틀림모멘트(torque)에 의해 상기 베이스와 상기 클립이 분리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A base including a first surface attached to a tooth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Including;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clip includes a first portion bent in a convex arch shape and a second portion that is at least partially fixed to the second surface,
The space formed of the first portion facing the second surface communicat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ase,
One end edge of the first portion corresponds to the edge of the other end of the clip,
A concave portion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middle edge of one side of the first portion,
The concave portion is closed by contact with the base and the clip to form a slit shape,
A designated device is inserted into the recess, and the base and the clip are separated by a torsional moment (torque) caused by rotation of the designated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기 제2 면 상에 마련되되, 상기 제2 면의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더 포함하는 치열교정용 브라켓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8,
Doedoe provid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ase member,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surface;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KR1020190018285A 2019-02-16 2019-02-16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21719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285A KR102171983B1 (en) 2019-02-16 2019-02-16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285A KR102171983B1 (en) 2019-02-16 2019-02-16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62A KR20200100262A (en) 2020-08-26
KR102171983B1 true KR102171983B1 (en) 2020-10-30

Family

ID=7224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285A KR102171983B1 (en) 2019-02-16 2019-02-16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98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52B1 (en) 2006-09-08 2008-02-21 김옥경 Orthodontic device
KR101409398B1 (en) 2011-01-21 2014-06-20 토시아키 히로 Orthodontic bracket
KR101565479B1 (en) 2015-04-09 2015-11-03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Bracket for othodontic treatment
US20170086948A1 (en) * 2014-03-18 2017-03-30 Christoph Von Mandach Kit for an orthodontic bracke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4872B2 (en) * 2004-09-02 2006-11-14 Norbert Abels Colored orthodontic brackets
KR100865080B1 (en) 2006-05-04 2008-10-24 주식회사 오라픽스 Bracket for Revising A Set of Teeth and System for Revising A Set of Teeth Using the Same
KR101433302B1 (en) * 2012-07-11 2014-08-2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1385527B1 (en) * 2012-07-18 2014-04-15 김종호 A orthodontic bracket
KR20140144044A (en) * 2013-06-10 2014-12-18 김기수 Clip and hook functions with orthodontic devices
KR102010452B1 (en) * 2017-07-19 2019-08-1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Orthodontic brackets having reclosable slot co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752B1 (en) 2006-09-08 2008-02-21 김옥경 Orthodontic device
KR101409398B1 (en) 2011-01-21 2014-06-20 토시아키 히로 Orthodontic bracket
US20170086948A1 (en) * 2014-03-18 2017-03-30 Christoph Von Mandach Kit for an orthodontic bracket
KR101565479B1 (en) 2015-04-09 2015-11-03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Bracket for othodontic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62A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03707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installation device for the bracket
US6354834B2 (en) Orthodontic supporting structure
JP4903502B2 (en) Improved orthodontic bracket
JP5432356B2 (en) Orthodontic bracket with rotating tooth ligation cover
US4859179A (en) Edgewise bracket with Sved shaped slot and control means
JP4669074B2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fatigue-resistant archwire retention latch
JP6257620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EP2185094B1 (en) Orthodontic attachment module for intra-oral bite correctors
US20060003281A1 (en) Shape memory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s
JP2012515067A (en)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for correcting dislocation teeth
KR20230051157A (en) Orthodontic device with non-sliding arch structure
US20230070837A1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non-sliding archform
US6364659B1 (en) Orthodontic bite opener
TWI638646B (en) Self-ligating bracket
JP4554859B2 (en) Spring loop re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71983B1 (e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US11246683B1 (en) Orthodontic band attachment device
KR102297927B1 (e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102080210B1 (en)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KR20160001380A (en) orthodontic bracket with self ligating slot
KR200492653Y1 (en) Opener for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WO2021249044A1 (en) Auxiliary correcting apparatus, shell-shaped tooth correcting device and correcting kit
KR200437950Y1 (en) Microimplant for orthodon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