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657A -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657A
KR20200019657A KR1020200018439A KR20200018439A KR20200019657A KR 20200019657 A KR20200019657 A KR 20200019657A KR 1020200018439 A KR1020200018439 A KR 1020200018439A KR 20200018439 A KR20200018439 A KR 20200018439A KR 20200019657 A KR20200019657 A KR 20200019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stions
basic
color
underline
ac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8022B1 (en
Inventor
노경섭
Original Assignee
노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3399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90105201A/en
Application filed by 노경섭 filed Critical 노경섭
Priority to KR102020001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022B1/en
Publication of KR20200019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6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0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 for analyzing questions in previous examinations and a providing system thereof. The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 can analyze the questions in the previous examinations, and the system provides the questions in the previous examin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 for analyzing questions in previous examinations in which the questions in the previous examinations during a predetermined analysis period are analyzed so as to indicate whether the questions are set in the previous examinations based on the questions in the previous examinations, the questions in the previous examinations can be indicated by using a font, a thickness, a color, an underline, and a set frequency of the question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set frequency of the questions set during the predetermined analysis period for each question in the previous examinations.

Description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 및 제공 시스템{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Examination materials and analysis system for the previous problem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 및 제공 시스템으로서, 기출문제를 분석할 수 있는 수험 교재와 기출문제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 및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am problem analysis textbook and providing system, a test textbook and a system for providing an exam problem that can analyze the exam problem and the system for providing an exam problem analysis exam textbook.

종래의 온/오프라인 교육 서비스 방법에서는 학습자가 선택한 분야에 대한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문제를 서비스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학습분야에 대해 학습 후 모의고사를 실시할 경우, 모의고사 오답문제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답을 제시하거나 오답에 대한 문제 풀이과정, 관련학습내용, 관련문제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선행 모의고사후 오답에 대한 학습은 학습자의 관심정도에 의존하는 서비스 방법이 주로 이루어졌다.In the conventional online / offline education service method, when a learner conducts a mock test after learning a learning field using a method of presenting a learning content in a field selected by the learner and serving a problem according to the learner, the mock test incorrect answer problem The simple method of presenting the correct answer,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incorrect answer, the related learning contents, and the related problem was presented mainly in the service method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terest of the learner.

그런데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에서 실시하는 자격증시험에서는 기출문제은행에서 상당수의 문제가 나와 이에 대한 철저한 학습이 필요하다. 기출문제에 대한 자신의 오답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합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오답율에 따른 기출문제 반복풀이기가 필수적인데, 종래의 이러한 온/오프라인 교육 서비스 방법으로는 이점에서는 적합하지 않았다.However, in the certification exam conducted by the Korea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a number of questions arise from the previous question banks, which requires thorough learning. In order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passing through the thorough analysis of their incorrect answers to past questions,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previous questions according to the wrong answer rate, which is not suitable for this conventional on / offline education service method.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345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2345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기출문제를 모두 분석하되, 최근 일정 기간동안의 기출문제를 집중적으로 철저하게 파악가능하게 설계된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 및 그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all existing questions, but by providing a test questions analysis test materials designed to intensively grasp the previous questions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Provides the textbook for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and the system for providing the tes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설정된 분석 기간동안의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문제를 기준으로 기출제여부를 표시한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에 있어서, 기출문제별로 상기 분석 기간동안에 출제된 출제 횟수에 따라서 결정되는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st problem analysis test book that analyzes the past questions during the set analysis period and whether or not to present the basis for the question, the typefac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asked during the analysis period for each question You can mark past questions as,, weight, color, underline, or number of questions.

상기 출제 횟수에 따라서 결정되는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출제횟수 표식을 하나 이상 조합한 형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수 있다.Displaying the past problem as a font, thickness, color, underline, and the number of question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questions, the pre-set default font, accent font, basic thickness, accent weight, basic color, accent color, basic underline, emphasis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underscores and one or more question marks can indicate past questions.

1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기본 서체, 기본 굵기, 기본 색상, 및 기본 밑줄로 표시하며, 2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기본 색상, 및 강조 밑줄로 표시하며, 3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강조 서체, 강조 굵기, 및 기본 색상으로 표시하며, 4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기본 색상,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하며, 5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하며, 6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기본 밑줄,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하며, 7회 이상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One-time-question questions are displayed in basic font, basic thickness, basic color, and basic underline without displaying the number of questions. Two-question questions are highlighted in basic font, basic thickness, and basic color. Highlighted underlined, three-question questions, highlighted in the typeface, emphasis bold, and basic color without the number of questions displayed, four-question questions, emphasis font, emphasis, base color, and questions Marked with the number of basic marks, the five-question questions are highlighted with the highlighted typeface, highlighted weight, highlighted color, and number of questions with the basic markers. Underline, and the number of questions, the basic questions, seven or more questions that are asked, can be displayed with the emphasis typeface, emphasis thickness, highlight color, underline, and the number of questions basic marker.

상기 강조 서체는 고딕체이며, 상기 강조 굵기는 기본 굵기보다 더 굵은 형태이며, 상기 강조 색상은 파랑 색상이며, 상기 기본 밑줄은 단일 밑줄이며, 상기 강조 밑줄은 이중 밑줄이며, 상기 출제횟수 기본 표식은 붉은 아래 첨자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mphasis font is Gothic, the emphasis thickness is thicker than the basic weight, the emphasis color is blue, the basic underlining is a single underline, the emphasis underlining is a double underlining, and the number of times the basic marker is red It can be characterized as a subscrip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기출문제를 공부하는 학습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학습자로부터 기출문제를 표시할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을 선택받으며, 기출문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기출문제별로 출제 횟수에 따라서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학습자 단말기;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저장한 DB를 구비하며,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제공하는 기출문제 제공 서버; 상기 학습자 단말기와 기출문제 제공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used by a learner studying the past problem, the typeface, thickness, color, underline, the number of questions to display the past problem from the learner is selected, and received from the past problem providing server A learner terminal that displays the questions as a typeface, thickness, color, underline, and number of questions of the ques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for each question; A question-keeping-providing server having a DB storing a question-related question and the number of questions, and providing a question and a number of questions asked by the learner terminal; It may include a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providing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previous question providing server.

상기 학습자 단말기가 출제 횟수에 따라서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및 출제횟수 표식을 하나 이상 조합한 형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the learner terminal, font, thickness, color, underlining, the display of the past questions as the number of questions, the pre-set default font, emphasis font, basic thickness, emphasis thickness, basic color, highlight color, basic underline, One or more combinations of emphasis underline, and one or more question marks may be used to indicat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분석 기간을 학습자로부터 설정받아, 설정된 분석 기간동안에 출제된 기출문제를 기출문제 제공 서버에 요청하여, 요청한 분석 기간동안의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상기 기출문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learner terminal receives the analysis period from the learner, requests a previous question provided during the set analysis period from the learner providing server, and receives the question and the number of questions during the requested analysis period from the question-providing server. Can be.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출제횟수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출제횟수 표식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의 저장체에 할당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기출문제별로 분석 기간동안에 출제된 출제 횟수에 따라서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출제횟수 표식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의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추출한 정보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제1표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learner terminal, based on the number of questions, the basic typeface, emphasis font, basic thickness, emphasis thickness, basic color, emphasis color, basic underlining, emphasis underlining, the number of questions about the question mark on the storage of the terminal It is assigned and stored, and information about basic font, highlighted font, basic thickness, highlighted weight, basic color, highlighted color, basic underline, underline underline, and question mark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questions asked during the analysis period for each question The display apparatus may operate in a first display mode that displays a past problem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 storage body of the apparatus.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출제횟수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을 학습자로부터 설정받으며, 학습자로부터 설정된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제2표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learner terminal receives the set of the typeface, the weight of the emphasis, the color of the emphasis, and the underline of emphasis to display the questions before the ques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and displays the questions of the problem as the set of emphasis, emphasis, thickness, highlight underline set by the learner Can operate in the second display mode.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 설정에 의하여 상기 제1표시 모드, 및 제2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수 있다.The learner terminal may display the question as one of the first display mode and the second display mode according to the learner setting.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기존의 학습자 문제 풀이 결과에 대한 히스토리 이력을 분석하여 학습자 취약 과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학습자 취약 과목에 대해서만 상기 제2표시모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수 있다.The learner terminal analyzes the history history of the existing learner problem solving result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learner vulnerable subject, and may display the past problem as the second display mode only for the learner vulnerable subje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 및 그 제공 시스템은 기존의 기출문제를 모두 분석하되, 최근 일정 기간동안의 기출문제를 집중적으로 철저하게 파악가능하게 설계된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exam textbook and its providing system analyzes all existing questions, but provides a previous problem analysis exam textbook designed to be intensively grasp the previous problems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By this, lear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출문제 표시기준을 도시한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출문제분석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출문제 제공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출문제 설정 화면을 도시한 그림.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st problem analysis test question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 criterion for labeling a past probl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question analysis analysis of the previous ques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a question-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learn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st problem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related technologies and the like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출문제 표시기준을 도시한 그림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 problem analysis textboo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설정된 분석 기간동안의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문제를 기준으로 기출제여부를 표시하는 본 발명의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밖에 포스터 문제 교재, 스케치북 문제 교재, 켈린더식 문제 교재, 소형 교재 등의 다양한 형태의 교재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test book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nalyzes the previous problem during the set analysis period and displays whether the student is based on the problem,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ooklet as shown in FIG.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book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f textbooks, such as sketchbook problem books, calendar problem books, and small textbooks.

특히 본 발명의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는, 기출문제별로 분석 기간동안에 출제된 출제 횟수에 따라서 결정되는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한다In particular,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test material (1)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the past problem as typeface, thickness, color, underline, the number of questions to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questions asked during the analysis period for each question

즉, 출제 횟수에 따라서 결정되는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것은,That is, to display the past questions as typeface, thickness, color, underline, the number of questions,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미리 설정된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출제횟수 표식을 하나 이상 조합한 형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One or more combinations of a preset basic font, an accent font, a basic weight, an accent weight, a basic color, an accent color, a basic underline, an accent underline, and a number of question marks can be implemented to display past questions.

따라서 1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기본 서체, 기본 굵기, 기본 색상, 및 기본 밑줄로 표시한다.Therefore,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once are displayed in basic font, basic thickness, basic color, and basic underline without displaying the number of questions.

*2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기본 색상, 및 강조 밑줄로 표시한다.* Written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twice are indicated by the highlighted typeface, basic weight, basic color, and underlined emphasis.

3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강조 서체, 강조 굵기, 및 기본 색상으로 표시한다.Th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three times are expressed in the typeface, emphasis, and basic colors without the number of questions.

4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기본 색상,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한다.Th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four times are indicated by emphasis typeface, emphasis weight, basic color, and number of questions.

5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한다.The fiv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are marked with the emphasis typeface, weight, color, and number of questions.

6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기본 밑줄,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한다.The six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are marked with the highlighted typeface, highlighted weight, highlighted color, basic underline, and basic number of questions.

7회 이상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한다.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more than seven times are indicated by the emphasis typeface, weight, weight, underline, and number of questions.

여기서 강조 서체는 고딕체이며, 강조 굵기는 기본 굵기보다 더 굵은 형태이며, 강조 색상은 파랑 색상이며, 기본 밑줄은 단일 밑줄이며, 강조 밑줄은 이중 밑줄이며, 출제횟수 기본 표식은 붉은 아래 첨자일 수 있다. 또한 기본 서체는, 바탕체, 굴림체, 명조체 등이 될 수 있다.Here, the accent font is Gothic, the accent weight is thicker than the default weight, the accent color is blue, the default underline is a single underline, the accent underline is a double underline, and the number of times the default marker is a red subscript. . In addition, the basic font may be a base, a roll, a Myeongjo, and the like.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회 출제가 된 내용은 밑줄로 표시되며, 2회 출제되거나 중요도가 있는 내용은 고딕체와 2중 밑줄로 표시되며, 3회 출제 혹은 반드시 외워야 하는 사항은 고딕, 굵게 표시되며, 4회 출제된 내용은 고딕체, 굵게, 출제횟수(붉은 아래첨자)로 표시되며, 5회 출제된 내용은 고딕, 굵게, 파랑색, 출제횟수(붉은 아래첨자), 6회 출제된 내용은 고딕, 굵게, 파랑색, 밑줄, 출제횟수(붉은 아래첨자), 7회 이상 출제된 내용은 고딕, 굵게, 파랑색, 이중밑줄, 출제횟수(붉은 아래첨자)로 표시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2, the content of the first question is indicated by underlining, the content of the second question or the content of importance is represented by the Gothic font and the double underline, and the third question or the matter that must be memorized is Gothic, bold The 4th question is displayed in Gothic style, bold and the number of questions (red subscript). The 5th question is Gothic, bold, blue, number of questions (red subscript) and 6 times Is a Gothic, bold, blue, underline, number of questions (red subscript), seven or more times can be displayed in Gothic, bold, blue, double underline, number of questions (red subscrip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는 기존의 기출문제를 모두 분석하되, 일정기간(예를 들면, 최근 10년간)의 기출문제를 집중적으로 철저히 파악한 후 기술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existing problem analysis test book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analyze all the existing problems, but can be described after intensively grasp the problems of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example, the last 10 years).

또한, 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는 학습자가 해당 부분을 왜 학습해야 하고, 어떻게 학습해야 할 것인지를 학습에 들어가기 전에 소개하는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test book (1) may be provided with an area that introduces the learner why to learn the part and how to learn before entering the learning.

또한, 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에서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는 100%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문제를 기준으로 작성하되, 상호 연결을 위해 알아야 할 정보와 이론 및 필수 사항을 통하여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ll the content provided in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Examination Textbook (1) should be written based on the problem by analyzing 100% of the previous questions, but the contents can be organized through the information, theories, and essentials that must be known for interconnection. have.

또한, 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는 대표되는 중심 문제를 내용의 우측면을 별도로 할당하여 학습 후 중요점을 기준으로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test book (1) can be assigned to the right side of the content to represent the central problem to represent the important point after learning based on.

또한, 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는 실제 실용에서 사용되는 내용을 내부의 별도 꼭지를 만들어 쉬어가는 페이지 겸 간단히 읽어보며 사회조사분석사 시험을 합격한 이후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설명하는 소개영역을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Examination Questionnaire for Examination (1) reads the contents used in actual practical use by making a separate internal tap and reads it briefly, and introduces an introduction area that explains how it is used after passing the social research analyst test. You can add

또한, 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는 각 섹션(section)을 마치면 해당 장의 이해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수 출제된 기출문제를 마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completing each section, the existing test analysis textbook (1) can prepare a number of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in order to determine the understanding of the chapter.

또한, 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는 모든 챕터(chapter)를 마치면, 예상 적중문제와 함께 기출문제를 포함하여 독자가 스스로 본인의 이해를 테스트할 수 있는 "기출 및 예상 적중문제"를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completing all the chapters, the Examination Questionnaire for Examination (1) presents the "Presentation and Anticipated Hit Problem", which enables readers to test their own understanding, including the probable hit problem and the past problem. can do.

또한, 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의 집필 마무리와 함께 해당 업체의 서버 또는 웹페이지를 통하여 인터넷 동영상 강의도 시스템화하여 학습자의 모바일 또는 기타 학습기기로 유/무료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ith the completion of the writing of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test book (1) can be provided to the learner's mobile or other learning devices through the system of the Internet video lecture system through the server or web page of the company.

또한, 해당 시스템은 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에 기록되지 않은 기출문제를 추출하여 별도로 인터넷 방송을 통하여 기출문제 풀이를 유/무료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can extract the past questions that are not recorded in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test book (1) to provide a free and past problem solving through the Internet broadcast.

다만, 이때 인터넷 동영상을 제작하는 경우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에만 표현된 고유한 해설을 통해 미구독자의 경우 이해가 바로 되지 않도록 표현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producing an Internet video, the non-subscriber may express it so that it is not understood by the unique commentary expressed only in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test book (1).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 및 그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기존의 기출문제를 모두 분석하되, 최근 일정 기간동안의 기출문제를 집중적으로 철저하게 파악가능하게 설계된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1)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test book (1) and the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analyzing all existing problems, the previous one designed to be able to intensively grasp the previous problem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y providing the problem analysis test book 1, the learn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출문제분석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출문제 제공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출문제 설정 화면을 도시한 그림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question problem analysi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for providing a question probl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earn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출문제분석 제공 시스템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100),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 및 학습자 단말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0, a previous problem providing server 300, and a learner terminal 200 as shown in FIG. 3.

유무선 통신망(100)은, 학습자 단말기(200), 및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0 provides a wired communicatio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rner terminal 200 and the problem solving server 300. Whe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implement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base transceiver station (BTS),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and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is provided.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In addition, when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0 is implemented a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implemented as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and data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n Internet protocol such as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 / IP).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는,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저장한 DB를 구비하며, 상기 학습자 단말기(200)로부터 요청된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를 위하여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question-prevention server 300 is provided with a DB storing a question and the number of questions, the server provides the question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asked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providing server 3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web server in hardware, and is implemented through various types of languages such as C, C ++, Java, Visual Basic, Visual C, etc. in software. Contains program modules that perform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by using a web server program that is variously provided according to operating systems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Macintosh, etc. in general server hardware. have.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310), 기출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320), 및 기출문제정보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st problem providing server 300 may include a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 a past problem information database 320, and a past problem information providing unit 330 as shown in FIG. 4.

서버 통신부(310)는, 학습자 단말기(200)와 각각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3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 supports the hardware and software protocols for communicating with the learner terminal 200, respectively. The server communication unit 310 may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Internet protocol such as, for example,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TCP / IP).

기출문제 정보 데이터베이스(320)는, 기출문제, 출제년도, 출제횟수 등의 기출문제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The past question information database 320 is a database that stores past question information such as a question of the past question, the year of the question, and the number of questions. Such a database includes a hard disk drive, a solid state drive, a flash memory, a compact flash card, a secure digital card, and a smart card. ), A module capable of inputting / 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an MMC card (Multi-Media Card), a memory stick, or the like, may be provided inside the device or may be provided in a separate device.

기출문제정보 제공부(330)는, 학습자 단말기(200)로부터 요청된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 단말기(200)로부터 A 시험 관련하여 최근 10년간 기출문제 요청을 받은 경우, A 시험 관련하여 최근 10년동안 출제된 기출문제와 출제횟수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 단말기(200)에 제공한다.The past problem information providing unit 330 provides the past question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asked from the learner terminal 200. For example, when the learner terminal 200 receives a previous question for the past 10 years in connection with the A test, the learner terminal 200 provides the learner terminal 200 with information about the past question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asked in the last 10 years in relation to the A test. do.

학습자 단말기(200)는, 기출문제를 공부하는 학습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The learner terminal 200 is a terminal used by a learner studying a past problem, and in the drawings, a smartphone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not only a smartphone, but also a desktop PC and a tablet PC For example, a slate PC,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and the like may correspond. Of course, th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type, and of course, may include all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xternal devices.

참고로, 스마트폰(smart phone) 등으로 구현되는 학습자 단말기(200)는,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본 발명의 기출문제 분석 앱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learner terminal 200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smart phone), etc., hundreds of various applications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and added or deleted as desir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create the desired application.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an interface suitable for oneself through various applications. Therefore, you can download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app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Google market, Apple store, etc. can be installed on the smartphone.

학습자 단말기(200)는, 학습자로부터 기출문제를 표시할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을 선택받으며,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로부터 분석 기간동안의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수신하여, 기출문제별로 분석 기간동안에 출제된 출제 횟수에 따라서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한다. The learner terminal 200 receives a font, thickness, color, underlining, and a number of question marks indicating the questions from the learner. The learner terminal 200 receives the question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during the analysis period from the questions provided by the questions server 300. For each question, the question is displayed as typeface, thickness, color, underline, and number of questions.

이를 위하여 학습자 단말기(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210), 단말기 저장부(220), 단말기 표시부(230), 단말기 입력부(240), 및 기출문제 분석 앱이 설치된 단말기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earner terminal 200, as shown in Figure 5, the terminal control unit 210, the terminal storage unit 220, the terminal display unit 230, the terminal input unit 240, and the terminal control unit is installed on the existing problem analysis app 250 may be included.

단말기 통신부(21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3G, 4G 등의 이동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The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10 is a module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mmunicating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en performing a mobile communication such as 3G or 4G, an RF transmitter (not shown) which upconverts and amplifies a frequency of a wirelessly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not shown) for low noise amplifying the received wireless signal and down converting the frequency.

단말기 저장부(220)는, 본 발명의 기출문제 분석 앱, 화면 그래픽 인터페이스(GUI) 정보 등이 저장된 저장체이다. 또한 단말기 저장부(220)는, 출제횟수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출제횟수 표식에 대한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 저장부(220)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The terminal storage unit 220 is a storage unit in which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app of the present invention, screen graphic interface (GUI)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stored. In addition, the terminal storage unit 220 allocates information on a basic font, a highlighted font, a basic thickness, a highlighted thickness, a basic color, a highlighted color, a basic underline, a highlighted underline, and a question mark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questions. May be stored. The terminal storage unit 220 is a module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flash memory, a compact flash card, a secure digital card, or the like. It may be provided in the apparatus.

단말기 표시부(230)는, 기출문제 분석 앱의 구동 화면이 표시되는 모듈이다. 나아가 학습할 기출문제의 출제년도 기간(분석 기간)을 설정받을 수 있는 설정 필드가 구비된 기출문제분석 설정화면(도 6)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기출문제분석 설정화면(도 6)에는, 출제횟수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을 학습자로부터 설정받을 수 있는 설정 필드가 구비된다.The terminal display unit 230 is a module that displays a driving screen of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app. Furthermore, the question screen for setting the question problem analysis (FIG. 6) having a setting field for receiving the questionnaire year (analysis period) of the question for the question to be learned may be displayed.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setting screen (FIG. 6) is provided with a setting field that allows the learner to set an emphasis typeface, emphasis thickness, emphasis color, and emphasis underlining to display the questions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questions.

이를 위해 기출문제분석 설정화면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출문제의 출제년도 기간(분석 기간)을 설정받을 수 있는 분석 기간 설정 필드(10)와, 출제횟수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을 학습자로부터 설정받을 수 있는 표시 방식 설정 필드(20)를 구비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6, the question screen for setting the question of analysis is to display the question of the ques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period setting field 10 which can be set the question period (analysis period). The display system may include a display mode setting field 20 in which an accent font, an accent thickness, an accent color, and an accent underline may be set by the learner.

단말기 입력부(240)는, 단말기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된 기출문제분석 설정화면을 통하여 학습자로부터 설정받는 모듈이다. 이러한 단말기 입력부(240)와 단말기 표시부(230)는 터치스크린패널의 단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제공하여 단말기의 전면에 마련되어 작업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창으로서, 학습자와의 소통을 위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The terminal input unit 240 is a module that is set up from the learner through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setting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terminal display unit 230. The terminal input unit 240 and the terminal display unit 23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type of touch screen panel. The touch screen panel is a display window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terminal to display a work screen by providing a touch screen screen that can simultaneously perform input and display, and provid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communication with learners. Display.

단말기 제어부(250)는, 학습자 단말기(200)의 각 기능 모듈을 제어하는 MCU(Main Control Unit)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기출문제 분석 앱이 설치된 모듈이다. 이러한 기출문제 분석 앱은, 학습자로부터 기출문제를 표시할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을 표시 방식 설정 필드(20)를 통해 선택받으며,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로부터 분석 기간동안의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수신하여, 기출문제별로 분석 기간동안에 출제된 출제 횟수에 따라서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한다.The terminal controller 250 is implemented as a MCU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each function module of the learner terminal 200, and is a module in which the problem analysis ap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is question problem analysis app, the typeface, thickness, color, underline, the number of questions to be displayed from the learner is selected through the display mode setting field 20, the question during the analysis period from the past problem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past questions and number of questions, and displays the questions as typeface, thickness, color, underline, and number of questions.

여기서 출제 횟수에 따라서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출제횟수 표식을 하나 이상 조합한 형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fonts, thickness, color, underline, and the number of questions to display past questions, pre-set default font, emphasis font, default weight, emphasis weight, default color, highlight color, default underline, emphasis underline,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question counts can be used to indicate past questions.

따라서 1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기본 서체, 기본 굵기, 기본 색상, 및 기본 밑줄로 표시한다. 2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기본 색상, 및 강조 밑줄로 표시한다. 3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강조 서체, 강조 굵기, 및 기본 색상으로 표시한다. 4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기본 색상,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한다. 5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한다. 6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기본 밑줄,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한다. 7회 이상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강조 서체는 고딕체이며, 강조 굵기는 기본 굵기보다 더 굵은 형태이며, 강조 색상은 파랑 색상이며, 기본 밑줄은 단일 밑줄이며, 강조 밑줄은 이중 밑줄이며, 출제횟수 기본 표식은 붉은 아래 첨자일 수 있다. 또한 기본 서체는, 바탕체, 굴림체, 명조체 등이 될 수 있다. Therefore,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once are displayed in basic font, basic thickness, basic color, and basic underline without displaying the number of questions.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twice are marked with the highlighted typeface, basic weight, basic color, and underlined emphasis without displaying the number of questions.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three times are expressed in the typeface, emphasis, and basic colors without the number of questions.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four times are indicated by emphasis typeface, emphasis weight, basic color, and number of questions. The fiv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are marked with the emphasis typeface, weight, color, and number of questions. The six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are marked with the highlighted typeface, highlighted weight, highlighted color, basic underline, and basic number of questions.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more than seven times are indicated by the emphasis typeface, weight, weight, underline, and number of questions. Here, the accent font is Gothic, the accent weight is thicker than the default weight, the accent color is blue, the default underline is a single underline, the accent underline is a double underline, and the number of times the default marker is a red subscript. . In addition, the basic font may be a base, a roll, a Myeongjo, and the like.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회 출제가 된 내용은 밑줄로 표시되며, 2회 출제되거나 중요도가 있는 내용은 고딕체와 2중 밑줄로 표시되며, 3회 출제 혹은 반드시 외워야 하는 사항은 고딕, 굵게 표시되며, 4회 출제된 내용은 고딕체, 굵게, 출제횟수(붉은 아래첨자)로 표시되며, 5회 출제된 내용은 고딕, 굵게, 파랑색, 출제횟수(붉은 아래첨자), 6회 출제된 내용은 고딕, 굵게, 파랑색, 밑줄, 출제횟수(붉은 아래첨자), 7회 이상 출제된 내용은 고딕, 굵게, 파랑색, 이중밑줄, 출제횟수(붉은 아래첨자)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content that has been asked once is indicated by underlining, and the content that has been asked twice or by importance is represented by the Gothic font and double underscores, and the question that must be memorized three times or must be memorized. Gothic, bold, 4 times the content is displayed in Gothic, bold, number of questions (red subscript), 5 times content is Gothic, bold, blue, number of times (red subscript), 6 times Contents on the screen may be displayed in Gothic, Bold, Blue, Underline, Number of questions (red subscript), and Contents over seven times may appear in Gothic, Bold, Blue, Double underscore and Number of questions (red subscript). .

한편, 학습자 단말기(200)의 단말기 제어부(250)는, 분석 기간을 학습자로부터 설정받아, 설정된 분석 기간동안에 출제된 기출문제를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에 요청하여, 요청한 분석 기간동안의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erminal control unit 250 of the learner terminal 200, the analysis period is set from the learner, and asked the past problem providing server 300 asked questions asked during the set analysis period, the past problem during the requested analysis period Receives the number of questions and questions from the previous question provision server 300.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분석 기간 설정 필드(10)를 통해 학습자로부터 5년으로 설정되는 경우, 최근 5년 동안에 출제된 기출문제를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에 요청하여, 요청한 최근 5년 동안의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 For example, if it is set to 5 years from the learner through the analysis period setting field 10 shown in FIG. 6, the previous 5 years to ask the past question providing server 300 to ask the past questions, the recent 5 Receives the past questions and the number of questions for a year from the past problem providing server 300.

마찬가지로, 분석 기간 설정 필드(10)를 통해 학습자로부터 10년으로 설정되는 경우, 최근 10년 동안에 출제된 기출문제를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에 요청하여, 요청한 최근 10년 동안의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기출문제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 Similarly, when the 10-year period is set from the learner through the analysis period setting field 10, the past question provided in the last 10 years is requested to the past problem providing server 300, the past 10-year past questions and questions asked The number of times is received from the question-providing server 300.

한편, 학습자 단말기(200)는, 출제 횟수에 따라서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함에 있어서, 표시 방식을 제1표시 모드와 제2표시 모드의 두 가지 표시 모드로 표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arner terminal 200, in the display of the past questions as typeface, thickness, color, underline, the number of questions, depending on the number of questions, the display method to the two display modes of the first display mode and the second display mode I can display it.

첫째로, 출제 횟수에 따라서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제1표시 모드는, 단말기 저장부(220)에 미리 등록되어 저장된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방식이다.First, the first display mode for displaying the past problem as a font, thickness, color, underline, and the number of questions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questions, the font, thickness, color, underline, questions stored in advance in the terminal storage unit 220 It is a way of displaying past questions as a count marker.

즉, 학습자 단말기(200)는, 출제횟수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출제횟수 표식에 대한 정보를 할당하여 단말기 저장부(220)에 저장하고 있으며, 따라서 기출문제별로 분석 기간동안에 출제된 출제 횟수에 따라서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출제횟수 표식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추출한 정보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하게 된다.That is, the learner terminal 200 allocates information about a basic font, an emphasis font, a basic thickness, an emphasis weight, a basic color, an emphasis color, a basic underline, an emphasis underline, and a question mark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questions. The terminal is stored in the terminal storage unit 220, and thus, depending on the number of questions asked during the analysis period for each question, basic font, emphasis font, basic thickness, emphasis thickness, basic color, highlight color, basic underline, emphasis underline, questions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is extracted from the terminal storage to display the past problem according to the extracted information.

둘째로, 출제 횟수에 따라서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제2표시 모드는, 출제횟수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을 학습자로부터 설정받으며, 학습자로부터 설정된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방식이다.Second, the second display mode for displaying the past problem as font, thickness, color, underlining, and the number of ques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is an emphasis typeface, emphasis weight, emphasis color, emphasis underline to display the past problem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Is set by the learner, and is a method of displaying past questions as an accent font, accent weight, accent color, and underlining.

예를 들어, 최근 10년 동안 기출문제의 출제 횟수가 3회인 경우, '홍길동' 학습자는, 제1서체, 제1굵기, 제1색상, 제1밑줄, 출제횟수 제1표식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김미영' 학습자는, 제2서체, 제2굵기, 제2색상, 제2밑줄, 출제횟수 제2표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동일한 출제 횟수 3회의 기출문제라 하더라도 '홍길동' 학습자 단말기(200)에는 설정된 제1서체, 제1굵기, 제1색상, 제1밑줄, 출제횟수 제1표식으로서 기출문제가 표시되며, '김미영' 학습자 단말기(200)에는 설정된 제2서체, 제2굵기, 제2색상, 제2밑줄, 출제횟수 제2표식으로서 기출문제가 표시되게 된다. 따라서 각 학습자는, 자신이 가장 쉽고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학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number of questions asked in the past 10 years is three times, the learner Hong Gil-dong, the first typeface, the first thickness, the first color, the first underline, the number of questions can be set as the first marker, The learner 'Kim Mi-young' can set the second typeface, the second thickness, the second color, the second underline, and the second number of questions. In this case, even though the question of three times the same question is asked, the 'Hong Gil-dong' learner terminal 200 displays the question of the question as a set first typeface, first thickness, first color, first underline, the number of times the first question, The 'Kim Mi-young' learner terminal 200 displays the past problem as the set of the second font, the second thickness, the second color, the second underline, and the second number of questions. Therefore, each learner can display the past questions in a way that is the easiest and most understandable, and can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한편,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기(200)는, 학습자 설정에 의하여 제1표시 모드, 및 제2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학습자의 선택에 의하여 제1표시 모드와 제2표시 모드 중 어느 모드로서 표시할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arner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learner can be implemented to display the past problem as one of the first display mode and the second display mode.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mode to display as the first display mode or the second display mode by the learner's selection.

나아가 본 발명의 학습자 단말기(200)는, 기존의 학습자 문제 풀이 결과에 대한 히스토리 이력을 분석하여 학습자 취약 과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학습자 취약 과목에 대해서만 제2표시 모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learner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history history of the existing learner problem solving result and stores information on learner vulnerable subjects, and displays the past problem as the second display mode only for the learner vulnerable subjects. Can be implemented.

예를 들어, '홍길동'의 취약 과목의 기출 문제가 아닌 일반적인 기출 문제인 경우에는 제1표시 모드로 표시하며, '홍길동'의 취약 과목의 기출 문제인 경우에는 제2표시 모드로 표시하여 효율적인 공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For example, if the problem is not a previous problem of Hong Gil-dong's vulnerable subjects, it is indicated in the first display mode, and if it is a problem of vulnerable subjects in 'Hong Gil-dong', it is indicated in the second display mode. To lose.

또한 기존의 학습자 문제 풀이 결과에 대한 히스토리 이력을 분석하는 것은, 학습자가 각 과목의 기출문제를 풀이한 채점 결과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취약 과목을 파악해낸다. 예를 들어, '국어' 과목의 기출 문제 풀이의 채점 결과가 최근 10번 동안 평균 70점 이하인 경우, 해당 학습자의 취약 과목은 '국어'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nalyzing the history history of the existing learner problem solving results, the learner's weak subjects are identified by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grading results of the learner's previous problem solving. For example, if a student's grading score for the 'Korean' course is less than 70 points in the past 10 times, the subject's vulnerable subject may be determined as 'Korean'.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The embodiments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ented by selecting the most preferred examples to help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various possible example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or limited only by the embodiments. In addition,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
100:유무선 통신망
200:학습자 단말기
300:기출문제 제공 서버
1: Examination textbook
100: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200: learner terminal
300: Previous question server

Claims (2)

설정된 분석 기간 동안의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문제를 기준으로 기출제여부를 표시한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에 있어서,
기출문제별로 상기 분석 기간 동안에 출제된 출제 횟수에 따라서 결정되는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되,
상기 출제 횟수에 따라서 결정되는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출제횟수 표식을 조합한 형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고,
1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기본 서체, 기본 굵기, 기본 색상, 및 기본 밑줄로 표시하며,
2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기본 색상, 및 강조 밑줄로 표시하고,
3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강조 서체, 강조 굵기, 및 기본 색상으로 표시하며,
4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기본 색상,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하고,
5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하며,
6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기본 밑줄,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하고,
7회 이상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하며,
상기 강조 서체는 고딕체이고, 상기 강조 굵기는 기본 굵기보다 더 굵은 형태이며, 상기 강조 색상은 파랑 색상이고, 상기 기본 밑줄은 단일 밑줄이며, 상기 강조 밑줄은 이중 밑줄이고, 상기 출제횟수 기본 표식은 붉은 아래 첨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출문제분석 수험교재.
In the previous question analysis examination textbook that analyzes the past questions during the set analysis period and indicates whether or not you have past questions based on the problem,
For the past questions, the past questions are displayed as a font, thickness, color, underline, and number of questions, which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asked during the analysis period.
Displaying the past questions as typeface, thickness, color, underline, the number of questions to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It displays a pre-tested problem as a combination of preset basic font, accent font, basic weight, accent weight, basic color, accent color, basic underline, accent underline, and number of question marks.
One-question questions are displayed in basic font, basic weight, basic color, and basic underline without displaying the number of questions.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twice are marked with the highlighted typeface, basic weight, basic color, and underlined emphasis, without displaying the number of questions.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three times will be displayed in highlighted font, highlighted weight, and basic color without displaying the number of questions.
The 4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are marked with the highlighted typeface, highlighted weight, basic color, and basic number of questions.
The fiv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are marked with the emphasis typeface, weight, color, and number of questions.
The six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are marked with the highlighted typeface, highlighted weight, highlighted color, basic underline, and basic number of questions.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more than seven times are indicated by the typeface, accent weight, accent color, accent underline, and the basic number of questions.
The accent font is Gothic, the accent thickness is thicker than the basic thickness, the accent color is blue, the basic underline is a single underline, the emphasis underline is a double underline, and the number of times the basic marker is red Examination material for the previous problem analys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bscript.
기출문제를 공부하는 학습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학습자로부터 기출문제를 표시할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을 선택받으며, 기출문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기출문제별 출제 횟수에 따라서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학습자 단말기;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저장한 DB를 구비하며,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요청된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제공하는 기출문제 제공 서버;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와 기출문제 제공 서버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가 출제 횟수에 따라서 서체, 굵기, 색상, 밑줄, 출제횟수 표식으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및 출제횟수 표식을 조합한 형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며,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분석 기간을 학습자로부터 설정받아, 설정된 분석 기간 동안에 출제된 기출문제를 기출문제 제공 서버에 요청하여, 요청한 분석 기간 동안의 기출문제와 출제횟수를 상기 기출문제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출제횟수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출제횟수 표식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의 저장체에 할당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기출문제별로 분석 기간 동안에 출제된 출제 횟수에 따라서 기본 서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강조 굵기, 기본 색상, 강조 색상, 기본 밑줄, 강조 밑줄, 출제횟수 표식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의 저장체에서 추출하여 추출한 정보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제1표시 모드로 동작하고,
1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기본 서체, 기본 굵기, 기본 색상, 및 기본 밑줄로 표시하며,
2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강조 서체, 기본 굵기, 기본 색상, 및 강조 밑줄로 표시하고,
3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출제횟수 표시없이 강조 서체, 강조 굵기, 및 기본 색상으로 표시하며,
4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기본 색상,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하고,
5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하며,
6회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기본 밑줄,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하고,
7회 이상 출제된 기출문제는,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 및 출제횟수 기본표식으로 표시하며,
상기 강조 서체는 고딕체이고, 상기 강조 굵기는 기본 굵기보다 더 굵은 형태이며, 상기 강조 색상은 파랑 색상이고, 상기 기본 밑줄은 단일 밑줄이며, 상기 강조 밑줄은 이중 밑줄이고, 상기 출제횟수 기본 표식은 붉은 아래 첨자이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는,
출제횟수에 따라서 기출문제를 표시할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을 학습자로부터 설정받으며, 학습자로부터 설정된 강조 서체, 강조 굵기, 강조 색상, 강조 밑줄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제2표시 모드로 동작하며,
학습자 설정에 의하여 상기 제1표시 모드, 및 제2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고,
기존의 학습자 문제 풀이 결과에 대한 히스토리 이력을 분석하여 학습자 취약 과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학습자 취약 과목에 대해서만 상기 제2표시모드로서 기출문제를 표시하는 기출문제분석 제공 시스템.
This is a terminal used by learners studying the past questions, the typeface, thickness, color, underline, and the number of questions to display the past questions from the learner is select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questions by each question received from the previous question, the typeface, Learner terminal for displaying the past questions as thickness, color, underline, number of questions asked;
A question-keeping-providing server having a question-recording question and a question number, which provides a question and a question number requested by the learner terminal; And
And a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providin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rner terminal and a previous problem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learner terminal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typeface, thickness, color, underlining, the display of the past questions as the number of questions,
A combination of the preset default font, accent font, default weight, accent weight, base color, accent color, base underline, accent underline, and the number of question marks to display past questions.
The learner terminal,
Receiving the analysis period from the learner, and asks the previous question provided in the previous question during the set analysis period, the previous question and the number of questions during the requested analysis period received from the previous question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basic font, highlighted font, basic weight, highlighted weight, basic color, highlighted color, basic underline, highlighted underline, and the number of question marks are stored in the storage of the terminal. ,
Based on the number of questions asked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information on the basic font, the highlighted font, the basic thickness, the highlighted weight, the basic color, the highlighted color, the default underline, the highlighted underline, and the number of question mark are extracted from the storage device of the terminal. Operating in the first display mode displaying the previous problem according to the extracted information,
One-question questions are displayed in basic font, basic weight, basic color, and basic underline without displaying the number of questions.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twice are marked with the highlighted typeface, basic weight, basic color, and underlined emphasis, without displaying the number of questions.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three times will be displayed in highlighted font, highlighted weight, and basic color without displaying the number of questions.
The 4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are marked with the highlighted typeface, highlighted weight, basic color, and basic number of questions.
The five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are marked with the emphasis typeface, weight, color, and number of questions.
The six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are marked with the highlighted typeface, highlighted weight, highlighted color, basic underline, and basic number of questions.
Questions that have been asked more than seven times are indicated by the typeface, accent weight, accent color, accent underline, and the basic number of questions.
The accent font is Gothic, the accent thickness is thicker than the basic thickness, the accent color is blue, the basic underline is a single underline, the emphasis underline is a double underline, and the number of times the basic marker is red Subscript,
The learner terminal,
A second display mode in which the pre-emptive font, accent weight, accent color, and accent underline are set by the learn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and the preliminary problem is displayed as the accent font, accent weight, accent color, and underline set by the learner. Operating at,
By the learner setting, the previous problem is displayed as one of the first display mode and the second display mode,
And analyzing the history history of the existing learner problem solving result and storing information on learner vulnerable subjects, and displaying the past problem as the second display mode only for the subject vulnerable subject.
KR1020200018439A 2018-03-23 2020-02-14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 KR1023580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439A KR102358022B1 (en) 2018-03-23 2020-02-14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992A KR20190105201A (en) 2018-02-20 2018-03-23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
KR1020200018439A KR102358022B1 (en) 2018-03-23 2020-02-14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992A Division KR20190105201A (en) 2018-02-20 2018-03-23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657A true KR20200019657A (en) 2020-02-24
KR102358022B1 KR102358022B1 (en) 2022-02-04

Family

ID=6963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439A KR102358022B1 (en) 2018-03-23 2020-02-14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02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454A (en) 2009-05-15 2010-11-24 이정훈 A system providing a setting question by an incorrect answer
KR101090512B1 (en) * 2009-12-14 2011-12-08 에스더 오 A study book available for effective learning formed a display part of possible questions’ frequency
KR20120076515A (en) * 2010-11-29 2012-07-09 이인석 Providing system and thereof method of editing service for learning contents using ranking of exam question
KR101315477B1 (en) * 2012-12-28 2013-10-07 (주)피플러스미디어 Grade based foreign language education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454A (en) 2009-05-15 2010-11-24 이정훈 A system providing a setting question by an incorrect answer
KR101090512B1 (en) * 2009-12-14 2011-12-08 에스더 오 A study book available for effective learning formed a display part of possible questions’ frequency
KR20120076515A (en) * 2010-11-29 2012-07-09 이인석 Providing system and thereof method of editing service for learning contents using ranking of exam question
KR101315477B1 (en) * 2012-12-28 2013-10-07 (주)피플러스미디어 Grade based foreign language education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022B1 (en)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rcer-Mapstone et al. Student perceptions of communication skills in undergraduate science at an Australian research-intensive university
Liao Using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to reduce grammar errors in writing
Muniandy et al. Learning styles,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nd fields of study among ESL learners
Hadar et al. Cognitive opportunities in textbooks: the cases of grade four and eight textbooks in Israel
JP6668821B2 (en) Education support device, program, and education support system
Donovan et al. Closing the feedback loop: engaging students in large first-year mathematics test revision sessions using pen-enabled screens
Rezaei et al. Effectiveness of using English vocabulary mobile applications on ESL's Learning performance
McDade Increasing graduate medical education diversity and inclusion
Caves et al. The impact of high school exit exams on graduation rates and achievement
KR20140029885A (en)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study information
KR20140127483A (en) System of a sham examination and study using application
KR20200019657A (en)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
Xie Using production-oriented approach in business English courses: perceptions of China’s English-major and non-English-major undergraduates
KR20190105201A (en) Examination teaching materials for analysis previous test and system for the same
Tabatabaei et al. ESP learners' perception of ESP program problems at Iranian Universities (a case study of Islamic Azad University Najafabad Branch)
Aziza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Text Genre 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ith Their Reading Comprehension
KR20150089425A (en) Mathematics learning system for self leading using internet network
Olson et al. Understanding the physical education edTPA assessment: Strategies for success
Zolfaghari et al. Examining Learner-centred Pedagogy and Assessment Practices in Teacher Training Program at Universities of Iran: Investigating Teachers' and Students' Attitudes
US20150050635A1 (en) Examinee equipment, test managing server, test progressing method of examinee equipment, and test analyzing method of test managing server
Ismail et al. Internet as an Influencing Factor of Teachers' Confidence in Using ICT.
Isaias et al. Measurement Methodologie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Global Online Learning
Parshall et al. Content development and review
Austin What’s At Stake in a High-Stakes Math Test? Analysis of Multimodal Challenges for Emergent English Bilingual Learners
Inayah et al. Analysis Tasks in English Textbook “When English Rings a Bell” for 7th Gr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