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9885A -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study information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study inform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29885A KR20140029885A KR1020120096016A KR20120096016A KR20140029885A KR 20140029885 A KR20140029885 A KR 20140029885A KR 1020120096016 A KR1020120096016 A KR 1020120096016A KR 20120096016 A KR20120096016 A KR 20120096016A KR 20140029885 A KR20140029885 A KR 201400298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rning
- information
- learner
- item
- learner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51 Integrated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71 gener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87 quadratic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athematic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8—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gebra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포인트수학학습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그 응답으로 학습자가 미리 선택한 학습교재의 학습단원별 제1학습문항에 대한 문제풀이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창의 위치 및 크기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문제풀이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문제풀이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을 표현하는 기호와 문자를 포함하는 문제풀이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이해가 안되는 풀이단계별 이론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 체크표시창을 포함하는 문제풀이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제1학습문항에 대한 이론설명 체크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executed in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device connected to a learner terminal and a network. When the point number learning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learner pre-selects the learning materials by the learner. Transmitting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including position and size information of a first display window displaying problem solving information for a first learning item, and a user interface allowing a learner to request the problem solving information; And, if the problem solving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problem check information including symbols and letters representing the theory of the first step of the problem solving problem and the theory check that allows the learner to check the theory for each step of the solution does not understand Learning problem solving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display window Receiving from the step and the learner terminal to transmit to the terminal type the theory described check information for the first learning items and stor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학습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에게 풀이단계별 이론 힌트와,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와, 학습자의 취약 단원 및 이론 분석, 오답노트, 공식집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executed in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to a learner terminal and a network. 2 This course provides information on learning item information, weak unit of the learner, analysis of theory, incorrect answer note, and formula.
수학을 학습하는 많은 수의 학습자들이 수학문제를 푸는데 있어서, '어떻게 문제에 접근하느냐' 보다 '문제에 대한 풀이과정 또는 결과' 만을 중요하게 여긴다.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수학교재 역시 문제와 해답만을 수록하고 있어서 문제를 풀다가 막히는 부분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풀이과정이 제공되는 해답을 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학교재에서 제공하는 풀이는 전체 풀이과정을 이어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특정 부분의 풀이가 막혀서 문제를 풀지 못하는 학습자들에게는 단계별 사고력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된다. A large number of learners of mathematics care about 'solving process or result' of a problem rather than 'how to approach the problem'. Most mathematics materials on the market also contain only problems and solutions, so if there is a blockage in solving a problem, the solution is provided. However, in general, the solution provided by the mathematics textbook explains the whole solution process continuously, so it is a factor that hinders the ability to think step by step for learners who are unable to solve the problem due to the blockage of a certain part.
또한, 많은 학습자들이 예를 들어, 인수분해의 정의와 인수라는 용어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지만 기계적인 연산과정을 통하여 인수분해 문제를 풀어낸다. 하지만 이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인수분해를 이해한 학습자는 수학적 개념, 정의, 원리를 바탕으로 인수분해를 이해한 학습자에 비하여 복잡한 응용문제를 풀어내는데 있어서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반면에 정확한 정의와 공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문제에 대한 접근력을 키운 학습자는 응용력이 필요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전자에 비해 높고 주어진 문제 및 해답이 올바른 문제인지, 올바른 풀이법인지를 판단하는 능력도 더욱 탁월하다. 그러므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이론과 공식'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In addition, many learners, for example, do not know the definition of arguments and the term arguments correctly, but solve their factoring problems through mechanical computation. However, learners who understand factoring through this process have limitations in solving complex application problems compared to learners who understand factoring based on mathematical concepts, definitions, and principles. On the other hand, learners who have gained access to new problem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precise definitions and formulas are more likely than the former to solve complex problems that require application and determine whether a given problem and solution is the right problem or the right solution. The ability to do it is even bette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focuses on 'how to approach' to solve a given problem and solves it through 'theories and formulas'.
일례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4337호(발명의 명칭: 수학 학습서 편집방법, 이하 '선행기술' 이라 함)는 수학 이론을 개념 및 공식 단위로 정리한 레이블을 작성하고, 문제 풀이과정에서 각 단계마다 적용되는 이론에 관한 레이블을 개시함으로써, 문제에 적용되는 이론을 습득하고 풀이방법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적당하도록 구현된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1-0044337 (name of the invention: a method for editing a math book,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prepares a label that summarizes mathematical theory in concept and formula units, and solves a problem. By labeling the theory applied to each step in the process, it is implemented so that it is appropriate to learn the theory applied to the problem and to understand exactly how to solve it.
그러나, 선행기술은 단순히 학습교재를 편집하는 과정만을 소개하고 있을 뿐 학습자 단말기에 수학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은 전혀 구현되어 있지 않다. 이에 학습자 단말기를 통해 학습자가 언제 언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수학학습이 가능한 장치가 필요하다.However, the prior art merely introduces a process of editing a learning textbook, but a function of providing a math learning service to a learner terminal is not implemented at all. Therefore, a device that enables a learn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learn math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a learner terminal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가 쉽고 편리하게 풀이단계별 이론 힌트를 확인할 수 있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the above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that allows a learn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identify theoretical hints for each solving step.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학습자가 쉽고 편리하게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addit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that allows a learn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identify second learning item information similar to the theory of each step of solving the first learning item.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은 학습자의 요청에 따라 학습자의 취약 단원 및 이론 분석, 오답노트, 공식집을 제공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ddit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that provides a weak unit of a learner and a theoretical analysis, incorrect notes, and a formula book in response to a learner's request.
본 발명의 또다른 부가적인 목적은 수익창출이 가능한 비지니스 솔루션을 제공하고, 학습교재 출판업계의 매출 증진에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ddit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siness solution capable of generating revenue, and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that indirectly helps to increase sales in the teaching materials publishing industry.
본 발명의 또다른 부가적인 목적은 학습자가 더 나은 새로운 풀이법을 등록할 수 있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addition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in which a learner can register a better new solu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학습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은,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포인트수학학습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그 응답으로 학습자가 미리 선택한 학습교재의 학습단원별 제1학습문항에 대한 문제풀이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창의 위치 및 크기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문제풀이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문제풀이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제1학습문항의 문제풀이단계별 이론을 표현하는 기호와 문자를 포함하는 문제풀이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이해가 안되는 풀이단계별 이론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 체크표시창을 포함하는 문제풀이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제1학습문항에 대한 이론설명 체크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executed in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to a learner terminal and a network, the point number learning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In response, the posi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problem solving information for the first learning item for each learning unit of the learning material selected by the learner in advance, and a user interface for allowing the learner to request the problem solving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the learner's terminal, and when the problem solving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s terminal, problem solving information including symbols and letters representing the theory for each problem solving step of the first learning item is understood by the learner. Check the theory to check the theory for each step It comprises the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input theoretical explanation check information for the first study questions a problem-solving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the steps Sight from the learn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o the learner terminal.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학습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은,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는 제1학습문항에 대응하는 수학문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executed in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to a learner terminal and a network may include transmitting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h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learning item.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학습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은, 문제풀이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문제풀이 표시정보가, 학습자로 하여금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 보기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유사한 제2학습문항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executed in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device connected to a learner terminal and a network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problem solv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wherein the problem solving display information includes: It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learner to request to view the second learning item similar to the theory of solving the first learning item, and when the second request for similar learning item is input from the learner's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second learning item information similar to a theory to a learner terminal.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학습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은,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는 학습자로 하여금 제1학습문항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은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유사한 제2학습문항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executed in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device connected to a learner terminal and a network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It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request a second learning item similar to the first learning item.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second learning item information similar to the theory of each step of solving the first learning item when the second learning item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s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o the learner terminal.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학습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은,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학습교재 선택정보가 입력되면 학습서비스신청정보를 조회하여 학습교재에 대한 학습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부정인 경우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교재에 대한 학습서비스를 신청하도록 하는 서비스가입 안내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그 응답으로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가입 신청정보가 입력되면 결제를 처리하고 학습서비스신청정보에 학습서비스 가입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긍정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학습교재의 학습단원별 수학문제 선택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executed in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to a learner terminal and a network may include: transmitting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Is inputted, the learning service application information is queried to determine whether the learning service for the teaching material is available, and if the result is negative, the service subscription guide information for the learner to apply for the learning service for the learning material to the learner terminal. If the service subscripti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paymen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as a response, processing the payment and storing the learning service subscription information in the learning service application information, and if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s positive, the learning textbook from the learner terminal. Entering mathematics problem selection information for each learning unit It includes a receiving step further.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학습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은,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는 제1학습문항에 대한 문제해석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창의 위치 및 크기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문제해석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문제해석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제1학습문항의 의미를 표현하는 기호와 문자를 포함하는 문제해석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이해가 안되는 문제해석정보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해석 체크표시창을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executed in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to a learner terminal and a network may include: transmitting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Posi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learning item, and a user interface for allowing the learner to request the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if the problem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including a symbol and a letter representing a meaning of a learning item and a problem analysis check display window to allow a learner to check problem interpretation information that is not understood.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학습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은,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취약단원 분석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제1학습문항에 대한 문제해석 체크정보 또는 이론설명 체크정보를 이용하여 학습단원별로 취약한 이론의 종류 및 이론 종류별 취약도 정보를 생성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executed in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learner terminal and a network, when a weak unit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a learner terminal, checks a problem analysis for a first learning item.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the types of the vulnerable theories and the vulnerabilities of the theories by type by using the information or the theoretical explanation check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learner terminal.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른 학습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에서 실행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은,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는 학습자로 하여금 수학문제에 대한 새로운 풀이법 등록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학문제에 대한 새로운 풀이법 및 새로운 풀이법 등록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수학문제에 대한 새로운 풀이법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executed in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to a learner terminal and a network may include: transmitting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wherein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is a learner. And a new 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registration of a new solution for a math problem, and if a new solution for the math problem and a new solution registration request information are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storing the new solution for the math problem. It includes mor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학습자 단말기로 본 발명에 따른 수학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math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math le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learner terminal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학습자가 문제를 풀면서 잘 몰랐던 풀이단계별 이론 힌트를 제공함으로, 학습자가 정확한 수학적 개념, 정의, 원리에 대하여 이해를 하고 수학적 개념, 정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복잡한 응용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자기주도형 수학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First, by providing theoretical hints for solving steps that the learner did not know while solving a problem, the learner understood the exact mathematical concepts, definitions, and principles, and systematically solved complex application problems based on understanding the mathematical concepts, definitions, and principles. Helps students learn self-directed math.
둘째, 학습자가 문제를 풀면서 잘 몰랐던 풀이단계별 이론 힌트를 제공함으로, 학습자의 단계별 사고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Second, by providing theoretical hints for solving steps that the learner did not know while solving problems, it helps to improve the learners' level of thinking.
셋째, 학습자가 요청한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를 제공함으로, 학습자가 반복 학습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반복 학습을 통해 수학적 개념, 정의, 원리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Third, by providing the second learning item information similar to the theory for solving the first learning item requested by the learner, it helps the learn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repeat the learning. Helps to improve understanding
넷째, 복수개의 학습교재에서 학습자가 요청한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를 제공함으로, 학습자에게 많은 양의 반복 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학습자는 해당 학습교재를 구입해야 함으로 학습교재 출판업계의 매출 증진에 간접적으로 도움을 준다. Fourth, by providing second learning item information similar to the theory for solving the first learning item requested by the learner in the plurality of learning materials, the learner can provide a large amount of repetitive learning opportunities. On the other hand, learners have to purchase the corresponding learning materials indirectly help to increase the sales of the learning materials publishing industry.
다섯째, 학습자에게 학습서비스를 제공하는 댓가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비지니스 솔루션을 제공한다.Fifth, it provides a business solution that can generate profit in exchange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s to learners.
여섯째, 학습자에게 문제해석정보를 제공함으로, 학습자가 문제의 출제의도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Sixth, by providing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to the learner, it helps the learn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intention of the question.
일곱째, 학습자가 잘 몰랐던 문제해석 또는 풀이단계별 이론설명에 대한 체크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취약 단원 및 이론 분석, 오답노트, 공식집을 제공함으로, 학습자가 부족한 부분을 쉽고 빠르게 이해하고 암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Seventh, by providing the learner's weak unit and theory analysis, incorrect answer note, and formula book by using the check information on the problem interpretation or the explanation of the theoretical explanation by solving the step, the learner can understand and memorize the shortcomings easily and quickly. give.
여덟째, 문제해석 또는 문제풀이단계에서 등록된 풀이법보다 더 나은 새로운 풀이법이 존재하는 경우 새로운 풀이법을 학습자가 등록할 수 있다.Eighth, the learner can register a new solution when there is a new solution that is better than the registered solution in the problem analysis or problem solving stag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수학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수학학습 제공장치에 접속한 학습자 단말기가 수학학습 제공창지로부터 수신한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장치에 표시한 메인화면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4 내지 도 7 은 도 3 의 메인화면에서 학습자가 포인터장치로 지시하는 수학학습 표시정보에 대응하는 세부적인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장치에 표시한 메인화면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8 은 도 4 의 메인화면에서 학습자가 포인터장치로 포인트수학학습을 클릭하여 수학학습 제공창지로부터 수신한 포인트수학학습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장치에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9 는 도 8 의 화면에서 학습자가 포인터장치로 다른 문항 목록 열기를 클릭하여 수학학습 제공창지로부터 수신한 새로운 학습문항정보를 디스플레장치에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10 은 도 8 의 화면에서 학습자가 포인터장치로 문제해석 도움말을 클릭하여 수학학습 제공창지로부터 수신한 문제해석정보를 디스플레장치에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11 은 도 8 의 화면에서 학습자가 포인터장치로 문제풀이 도움말을 클릭하여 수학학습 제공창지로부터 수신한 풀이단계별 이론정보를 디스플레장치에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12 는 도 8 또는 도 11의 화면에서 학습자가 포인터장치로 유사한 학습문항 보기를 클릭하여 수학학습 제공창지로부터 수신한 유사한 학습문항정보를 디스플레장치에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entire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ain screen on which a learner terminal connected to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window on a display device.
4 to 7 illustrate embodiments of a main screen displaying detailed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indicated by a learner to a pointer device on a main screen of FIG. 3.
FIG. 8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a learner clicks point math learning with a pointer device on the main screen of FIG. 4 to display point learning information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received from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window.
FIG.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 new learning item information received from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window by clicking on another item list by using a pointer device on the screen of FIG. 8.
FIG. 10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ing a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received from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window by clicking on a problem analysis help using a pointer device on a screen of FIG. 8.
FIG. 11 is a view showing a screen displaying theoretical information for each step of solving received from a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window by clicking on a problem solving help using a pointer device on a screen of FIG. 8.
FIG. 12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learner clicks the view similar item on the screen of FIG. 8 or 11 to display a similar item on the display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sen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인터넷(110)으로 연결되는 학습자 단말기(120)와, 관리자 단말기(130)와, 회원 단말기(140)와, 수학학습 제공장치(200)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As shown in FIG. 1, the enti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학습자 단말기(120)는 학습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총칭한다. 일례로, 학습자 단말기(120)는 PC, 노트북, 아이패드, 스마트폰, 스마트TV로 구현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는 인터넷(110)을 통해 수학학습 제공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기(120)를 통해 수학학습 제공장치(200)에 접속하여 학습서비스 신청을 하고, 수학학습 제공장치(200)에 제공하는 풀이단계별 이론정보와 유사한 학습문항정보를 통해 수학적 개념, 정의, 원리에 대하여 이해를 하고 수학적 개념, 정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복잡한 응용문제를 해결하는 사고력을 키우는 학습을 할 수 있다.The
관리자 단말기(130)는 수학학습 제공장치(2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를 총칭한다. 일례로, 관리자 단말기(130)는 PC, 노트북, 아이패드, 스마트폰, 스마트TV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130)를 통해 수학학습 제공장치(200)의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한다. The
회원 단말기(140)는 학습자 또는 관리자 아닌 일반회원, 예를 들어, 학습자의 부모, 출판업계 관계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회원 단말기(140)는 PC, 노트북, 아이패드, 스마트폰, 스마트TV로 구현될 수 있다. The
수학학습 제공장치(200)는 풀이단계별 이론 힌트와,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와, 학습자의 취약 단원 및 이론 분석, 오답노트, 공식집을 제공하고, 학습자가 작성한 새로운 풀이법을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네트워크 서버 또는 웹 서버 내에 구현될 수 있다. The mathematics
이하,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학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학학습정보를 제공하는 수학학습 제공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통신부(210)와 저장부(220)와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Hereinafter, a mathematical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s shown in FIG. 2, the apparatus for providing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10, a storage unit 220, and a control unit 230.
통신부(21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LAN 카드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EEE 802.11 표준을 따르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 무선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기술의 표준을 따르는 무선 모뎀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210)는 다양한 버젼의 CDMA, 셀룰라, GSM, W-CDMA 방식등 현존하는 방식은 물론, 향후에 등장할 이동통신방식의 무선통신회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10 transmits / receives data by connecting to a network, such as a LAN card or Bluetooth, zigbee, a wireless LAN (WLAN) conforming to the IEEE 802.11 standard, Wi-Fi, WiBro. (WiBro) may be implemented as a wireless modem that conforms to the standards of technology used in wireless networks.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various types of CDMA, cellular, GSM, W-CDMA schemes, such as existin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as well as existing methods.
저장부(22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수학학습 제공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이 실행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거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220 may be composed of a program memory and a data memory. The program memory may store program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ath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The data memory stores data generated while programs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are executed or data input from the outside.
저장부(220)는 일례로, 회원정보(221), 수학이론정보(222), 학습단원정보(223), 학습교재정보(224), 학습문항정보(225), 학습서비스신청정보(226), 포인트수학학습정보(227), 학습분석정보(228)를 포함한다.The storage unit 220 is, for example, member information 221, mathematical theory information 222, learning unit information 223, learning materials information 224, learning item information 225, learning service application information 226 , The point math learning information 227,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228.
회원정보(221)는 접속정보(예컨대,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 및 개인정보(예컨대, 이름, 생년월일, 학교명, 이메일주소, 연락처)를 포함한다. 회원정보는 각각의 회원별로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회원탈퇴 시 개인정보를 삭제하나, 본 발명에서는 학습문항별 난이도 표본추출에 이용하기 위해 생년월일과 학습자가 학습한 기록들은 삭제되지 않는다. Member information 221 includes access information (eg, ID (ID) and password (PW)) and personal information (eg, name, date of birth, school name, email address, contact information). Member information is assigned to a unique number for each member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Generally, the personal information is deleted when the member withdraw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e of birth and the record learned by the learner are not deleted for use in sample difficulty of learning.
수학이론정보(222)는 모든 학습교재에 수록된 수학이론이 코드화된 이론코드와, 카테고리분류코드, 학습단원분류코드, 상세한 이론설명정보, 증명 플래그, 원리문제 플래그, 기본문제 플래그, 기타정보 플래그를 포함한다. 수학이론정보는 각각의 수학이론별로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Mathematic theory information 222 is a theoretical code coded mathematical theory contained in all learning materials, category classification code, learning unit classification code, detailed theoretical explanation information, proof flag, principle problem flag, basic problem flag, other information flag Include. Mathematical theory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is assigned a unique number for each mathematical theory.
일례로, 이론코드는 교과과정정보, 학년분류정보, 세부과정정보, 단원 인덱스정보, 이론분류번호정보, 이론명칭정보, 학습단원분류정보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eory code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curriculum information, grade classification information, detailed course information, unit index information, theory classification number information, theory name information, and learning unit classification information.
교과과정정보는 크게 기본(교과서 내용)과 심화(교과서 외 내용)로 분류되며, 기본코드는 1, 심화코드는 2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E1은 초등기본, E2는 초등심화, M1은 중등기본, M2는 중등심화, H1은 고등기본, H2는 고등심화를 의미한다. 학년분류정보는 K1∼K12 총 12단계로 분류되며, 여기서 K1∼K10은 초1∼고1 과정과 매칭되고, K11은 문과, K12는 이과 교과 과정과 매칭된다. 세부과정정보는 학년별로 세부적으로 나뉘어진 교과정보를 의미하며, 일례로 세부과정정보는 학년분류정보 뒤에 A∼Z 붙여서 구분된다. Curriculum information is largely classified into basic (textbook contents) and deepening (non-textbook contents). The basic code is 1 and the deepening code is 2. For example, E1 is elementary basic, E2 is elementary deep, M1 is middle basic, M2 is middle deep, H1 is higher basic, H2 is higher deep. Grade classification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12 levels of K1 to K12, where K1 to K10 are matched to the first to high first courses, K11 is to the literature, and K12 is matched to the science curriculum. Detailed course information refers to curriculum information divided by grade. For example, detailed course information is classified by attaching A to Z after grade classification information.
단원 인덱스정보는 대단원―중단원―소단원을 포함하며, 일례로, 헤드 코드(Head Code)로 S 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S2―1―2는 대단원 2 중단원 1 소단원2를 의미한다. 단원 인덱스정보는 매년 새롭게 정의된다. The unit index information includes a large unit, a middle unit, and a small unit. For example, S is used as a head code. For example, S2-1-2 means Chapter 2 Lesson One 1 Lesson 2. Unit index information is newly defined every year.
이론분류번호정보는 일례로, 헤드 코드(Head Code)로 I 를 사용하며, 순차 증가 형식으로 할당하되 기본 입력은 100단위이고 이론과 이론 사이에 삽입해야 하는 경우 두 값의 중간값을 코드로 입력하며, 매년 새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론분류번호정보가 I00200 인 경우 200번째 이론을 의미한다. For example, the theoretical classification number information uses I as the head code, and assigns it in sequential increment format, but the basic input is 100 units, and if it is to be inserted between the theory and the theory, the middle value of the two values is entered as a code. It can be newly defined every year. For example, if the theoretical classification number information is I00200, it means the 200th theory.
이론명칭정보는 일례로, 정의(D : Definition), 정리(T : Theorem), 용어(e : Term ), 성질(P : Property), 공식(F : Formula), 문제해석(A : Analysis), 팁(i : Tip)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ory name information as an example, the definition (D: D efinition), cleanup (T: T heorem), the term (e: T e rm), characteristics (P: P roperty), formula (F: F ormula), problem analysis ( A : A nalysis) and a tip ( i : T i p) can be implemented.
학습단원분류정보는 대단원―중단원―소단원을 포함하며, 각 단원에는 해당 단원코드가 지정된다. 예를 들어, 대단원은 집합(단원코드 : 11), 방정식(단원코드 : 12), 함수(단원코드 : 13), 수열(단원코드 : 14)을, 대단원 함수의 중단원은 일반함수(단원코드 : 11), 지수함수(단원코드 : 12), 로그함수(단원코드 : 13), 삼각함수(단원코드 : 14)를, 중단원 일반함수의 소단원은 상수함수(단원코드 : 11), 일차함수(단원코드 : 12), 이차함수(단원코드 : 13), 고차함수(단원코드 : 14)를 포함하는 경우, 학습단원분류정보 13―11―14는 함수―일반함수―고차함수를 의미한다. Less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Chapter-Intermediate-Subsection, and each unit is assigned a corresponding unit code. For example, a large unit is a set (unit code: 11), an equation (a unit code: 12), a function (unit code: 13), a sequence (unit code: 14), and a break member of a large unit function is a general function (unit code). 11), exponential function (Section code: 12), logarithmic function (Section code: 13), trigonometric function (Section code: 14). (Lesson code: 12), quadratic function (Unit code: 13), and higher-order function (Unit code: 14), the learning unit classification information 13-11-14 means function-general function-higher function.
예를 들어, 이론코드가 H1 K10B S2―1―2 I00200 D 13―11―14 인 경우, 상기 이론코드는 고등기본(H1), 고등수학(하)(K10B), 대단원 2, 중단원 1, 소단원 2(S2―1―2), 200번째 이론(I00200), 정의(D), 함수―일반함수―고차함수(13―11―14)를 의미한다. For example, if the theoretical code is H1 K10B S2-1-2 I00200 D 13-11-14, the theoretical code is higher basic (H1), higher mathematics (lower) (K10B), Chapter 2, Lesson 1, It means subsection 2 (S2-1-2), the 200th theory (I00200), definition (D), function-general function-higher-order function (13-11-14).
학습단원정보(223)는 학습단원분류정보와 학습단원명을 포함한다. 학습단원분류정보는 대단원―중단원―소단원을 포함하며, 각 단원에는 해당 단원코드가 지정된다. 학습단원정보는 각각의 학습단원별로 고유번호가 할당되어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학습교재정보(224)는 학습교재코드와 학습단원명과 출판년도와 문제 카테고리 플래그, 문제 카테고리 정보, 대단원명, 중단원명, 소단원명을 포함한다. The learning unit information 223 includes learning unit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a learning unit name. Less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Chapter-Intermediate-Subsection, and each unit is assigned a corresponding unit code. Learning unit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is assigned a unique number for each learning unit. The teaching material information 224 includes the teaching material code, the learning unit name, the year of publication, the problem category flag, the problem category information, the great unit name, the discontinued element name, and the subsection name.
학습문항정보(225)는 문제코드와 학습교재코드와 이론코드와 대단원명 Str, 중단원명 Str, 소단원명 Str, 카테고리명 Str, 문제번호 Str를 포함한다. 여기서, 문제코드는 학습교재에 인쇄된 수학문제와 매칭되는 고유식별정보이다. 도 2 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저장부(220)는 학습교재에 인쇄된 수학문제정보와 문제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학습교재에 인쇄된 수학문제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학습교재 출판업계와 저작권에 대한 협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learning item information 225 includes a question code, a teaching material code, a theory code, a great-name name Str, an abort element name Str, a small-name name Str, a category name Str, and a problem number Str. Here, the problem code i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math problem printed on the textbook.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storage unit 220 may store math problem information and a problem code printed on the learning textbook. In order to store the information on the mathematics problems printed on the teaching materials, discussions with the teaching materials publishing industry and copyright should be preceded.
학습서비스신청정보(226)는 학습서비스를 신청한 학습자정보와 학습자가가 구매한 학습교재별 포인트수학학습정보를 포함한다. 포인트수학학습정보(227)는 학습문항에 대응되는 문제해석정보와 문제풀이정보와 정답정보를 포함한다. The learning service application information 226 includes learner information applying for the learning service and the point number learning information for each learning material purchased by the learner. The point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227 includes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problem solving information, and correct answ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item.
문제해석정보는 기호와 문자를 포함하는 문제표현정보와 그에 대응하는 문제해석 텍스트와 학습자로 하여금 이해가 안되는 문제해석정보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해석 체크표시창을 포함한다. 문제풀이정보는 풀이단계별 이론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이해가 안되는 풀이단계별 이론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 체크표시창을 포함한다. The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includes problem expression information including symbols and characters, and corresponding problem analysis text and a problem analysis check mark window that allows a student to check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that is not understood. The problem solving information includes theoretical information for each step and a theory check window that allows the learner to check the theory for each step that is not understood.
학습분석정보(228)는 학습자 접속정보와 학습자가 학습한 학습문항정보와 학습결과정보를 포함한다. 학습결과정보는 학습자가 문제를 풀면서 잘 몰랐던 풀이단계별 이론설명 체크정보 또는 문제해석 체크정보를 포함한다. The learning analysis information 228 includes learner access information, learning item information learned by the learner, and learning result information. The learning result information includes the theoretical explanation check information or problem interpretation check information for each solving step that the learner did not know while solving a problem.
제어부(230)는 저장부(22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를 이용하여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원정보처리부(231), 접속 처리부(232), 수학이론 처리부(233), 학습단원 처리부(234), 학습교재 처리부(235), 학습문항 처리부(236), 학습서비스 신청 처리부(237), 포인트학습 처리부(238), 학습설정 처리부(239), 학습분석 처리부(240)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2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using the program memory and the data memory stored in the storage 220.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unit 230 includes a memb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31, a connection processing unit 232, a mathematical theory processing unit 233, a learning unit processing unit 234, a learning text processing unit 235, and a learning item processing unit. 236, learning service application processing unit 237, point learning processing unit 238, learning setting processing unit 239, and learning analysis processing unit 240.
회원정보 처리부(231)는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접속정보(예컨대, 아이디(ID)와 비밀번호(PW)) 및 개인정보(예컨대, 이름, 생년월일, 학교명, 이메일주소, 연락처)를 입력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The memb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31 receives the access information (eg, ID (ID) and password (PW)) and personal information (eg, name, date of birth, school name, e-mail address, contact information) from the learner terminal, and receives the storage unit 220. ).
수학이론 처리부(233)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모든 학습교재에 수록된 수학이론이 코드화된 이론코드와, 카테고리분류코드, 학습단원분류코드, 상세한 이론설명정보, 증명 플래그, 원리문제 플래그, 기본문제 플래그, 기타정보 플래그를 입력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Mathematics theory processing unit 233 is a theoretical code coded mathematical theory contained in all learning materials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category classification code, learning unit classification code, detailed theoretical explanation information, proof flag, principle problem flag, basic problem flag, other The information flag is receiv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220.
학습단원 처리부(234)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학습교재에 상관없이 포괄적으로 설정된 학습단원분류정보와 학습단원명을 포함하는 학습단원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The learning unit processor 234 receives the learning unit class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learning unit class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unit name, which are set comprehensively regardless of the teaching material,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and stores the learning unit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20.
학습교재 처리부(235)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학습교재코드와 학습단원명과 출판년도와 문제 카테고리 플래그, 문제 카테고리 정보, 대단원명, 중단원명, 소단원명을 입력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The teaching material processing unit 235 receives the teaching material code, the learning unit name, the publication year, the problem category flag, the problem category information, the great unit name, the discontinued unit name, and the unit member name from the manager terminal, and stores them in the storage unit 220.
학습문항 처리부(236)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문제코드와 학습교재코드와 이론코드와 대단원명 Str, 중단원명 Str, 소단원명 Str, 카테고리명 Str, 문제번호 Str를 입력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The learning item processing unit 236 receives a problem code, a teaching material code, a theory code, a great deal of names Str, an interruption name Str, a small piece name Str, a category name Str, and a problem number Str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stores them in the storage unit 220. .
학습서비스 신청 처리부(237)는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학습교재 선택정보와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가입 신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The learning service application processing unit 237 receives service subscription appl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learning textbook selection information and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learner terminal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220.
포인트학습 처리부(238)는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포인트수학학습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그 응답으로 학습자가 미리 선택한 학습교재의 학습단원별 제1학습문항에 대한 문제풀이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창의 위치 및 크기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문제풀이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If the point learning process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point learning processing unit 238 displays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first display window that displays the problem solving information for the first learning item for each learning unit of the learning material selected by the learner in response. And send information to the learner terminal, the mathematical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interface for allowing the learner to request the problem solving information.
또한, 포인트학습 처리부(238)는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문제풀이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을 표현하는 기호와 문자를 포함하는 문제풀이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이해가 안되는 풀이단계별 이론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 체크표시창을 포함하는 문제풀이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포인트학습 처리부(238)는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제1학습문항에 대한 이론설명 체크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이하, 포인트학습 처리부(238)의 기능은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problem solving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s terminal, the point learning processing unit 238 has problem solving information including symbols and letters representing the theory for each step of solving the first learning item and the theory for each step of solving that the learner does not understand. It transmits the problem solving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the theoretical check display window to check the learner terminal. The point learning processing unit 238 receives the theoretical explanation check information about the first learning item from the learner terminal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220. 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point learning processing unit 238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2.
학습설정 처리부(239)는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학습교재, 학습단원, 학습문항에 대한 선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The learning setting processing unit 239 receives selection information about a learning textbook, a learning unit, and a learning question from a learner terminal, and stores the selection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20.
학습분석 처리부(240)는 접속 처리부(232)로부터 학습자 접속정보와 학습설정 처리부(239)로부터 학습자가 학습한 학습문항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또한, 학습분석 처리부(240)는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학습결과정보를 입력받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여기서, 학습결과정보는 학습자가 문제를 풀면서 잘 몰랐던 풀이단계별 이론설명 체크정보 또는 문제해석 체크정보를 포함한다.The learning analysis processor 240 receives learner access information from the access processor 232 and learning item information learned by the learner from the learning setting processor 239 and stores the learner access information in the storage 220. In addition, the learning analysis processing unit 240 receives the learning result information from the learner terminal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220. Here, the learning result information includes the theoretical explanation check information or problem interpretation check information for each solving step that the learner did not know while solving a problem.
학습분석 처리부(240)는 학습자 접속정보와 학습자가 학습한 학습문항정보와 학습결과정보를 이용하여 날짜별, 단원별, 문제별로 분석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취약 단원 및 이론 분석, 오답노트, 공식집을 생성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learning analysis processing unit 240 may analyze by date, unit, and problem by using the learner access information, the learning item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result information learned by the learner, and analyze the weak unit and theory of the learner, the incorrect note, and the official collection. Create and send to learner terminal.
본 발명의 수학학습 제공장치에 접속한 학습자 단말기가 수학학습 제공창지로부터 수신한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장치에 표시한 메인화면(3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인트학습(310), 학습분석(320), 설정관리(330), 커뮤니티(340), Home┃서비스신청┃로그아웃(350), 학습자 이름/아이디/교육과정(36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자가 포인터장치(예컨대, 마우스, 스타일러스펜, 손가락)로 포인트학습(310)을 지시하게 되면, 학습자 단말기는 포인트학습(310)에 관련된 세부적인 표시정보(311)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다. 세부적인 표시정보(311)는 '포인트 수학학습', '학습단원 설정', '포인트 유형 검색', '이론 검색', '학습교재 검색', '스마트팁'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learner instructs the point learning 310 with a pointer device (eg, a mouse, a stylus pen or a finger),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학습자가 '포인트 수학학습'을 포인터장치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기는 수학학습 제공장치로 포인트수학학습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그 응답으로 수학학습 제공장치로부터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다. 학습자가 '학습단원 설정'을 포인터장치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단원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창을 표시한다. 학습자가 '포인트 유형 검색'을 포인터장치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자신이 제작한 학습문항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과 이론코드 목록을 표시한다.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입력한 학습문항과 유사한 학습문항을 수학학습 제공장치로 요청하여 유사한 학습문항정보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다. When the learner selects 'point mathematics learning' as the pointer device, the learner terminal transmits the point mathematics learning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device, and in response, receives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from the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device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device. do. When the learner selects 'learning unit setting' as the pointer device,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an input window for allowing the learner to input the learning unit to learn. When the learner selects the 'point type search' as the pointer device,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an input window and a list of theoretical codes so that the learner can input the learning items he or she has made. The learner terminal requests a learning item similar to the learning item input by the learner to the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device, receives similar learning item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device.
학습자가 '이론 검색'을 포인터장치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기는 이론코드 목록을 표시한다. 학습자가 '학습교재 검색'을 포인터장치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구매한 학습교재 목록을 표시한다. 학습자가 '스마트팁'을 포인터장치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새로운 풀이법을 입력하여 수학학습 제공장치에 등록된 스마트팁 목록을 표시한다. When the learner selects 'theoretical search' as the pointer device,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the theoretical code list. When the learner selects 'learning textbook' as the pointer device,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a list of learning textbooks that the learner has purchased. When the learner selects the 'smart tip' as the pointer device, the learner terminal displays a list of smart tips registered in the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device by the learner entering a new solution.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자가 포인터장치(예컨대, 마우스, 스타일러스펜, 손가락)로 학습분석(320)을 지시하게 되면,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분석(320)에 관련된 세부적인 표시정보(321)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다. 세부적인 표시정보(321)는 '날짜별 분석', '단원별 분석', '문제별 분석', '통합형 분석', '취약단원 분석', '오답노트 정보', '나만의 공식집'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learner instructs the
여기서, 날짜별 분석은 학습자가 학습한 날짜를 기준으로 학습성취도를 분석하여 그래프로 표현하는 것이다. 단원별 분석은 학습자가 학습한 학습단원별로 학습자가 확실히 알고 있는 이론과 취약한 이론을 분석하여 표로 표현하는 것이다. 문제별 분석은 학습자가 학습한 문제별로 학습결과를 분석하여 표로 표현하는 것이다. 통합형 분석은 날짜, 학습단원, 문제별 학습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그래프 또는 표로 표현하는 것이다. Here, the analysis by date is a graph of analyzing the learning achievement based on the date the learner learns. Unit analysis is to analyze and express the weak and theories that the learner knows for each learning unit. Problem-based analysis is to analyze and express the results of learning by the problems learned by the learner in a table. Integrated analysis analyzes the results of learning by date, unit of study, and problem in a graph or table.
취약단원 분석은 학습단원별로 취약한 이론의 종류 및 이론 종류별 취약도를 분석하여 그래프로 표현하는 것이다. 오답노트 정보는 학습자가 오답노트를 만들기 위해 선택한 학습 단원 및 이론 내에서 문제, 이론, 풀이, 정답을 텍스트로 표현하는 것이다. 나만의 공식집은 학습자가 공식집을 만들기 위해 선택한 학습 단원 및 이론 내에서 공식을 텍스트로 표현하는 것이다. Vulnerable unit analysis is to analyze and express the types of weak theories and the degree of vulnerability by the type of theory. Incorrect note information is a textual representation of a problem, theory, solution, or correct answer within the unit of learning and theory that the learner chooses to create an incorrect note. My own formula collection is a textual representation of the formula within the unit of study and theory that the learner chooses to create.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자가 포인터장치(예컨대, 마우스, 스타일러스펜, 손가락)로 설정관리(330)을 지시하게 되면, 학습자 단말기는 설정관리(330)에 관련된 세부적인 표시정보(331)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다. 세부적인 표시정보(331)는 '학습교재 설정', '학습단원 설정', '기타 설정', '개인정보 수정'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learner instructs the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자가 포인터장치(예컨대, 마우스, 스타일러스펜, 손가락)로 커뮤니티(340)를 지시하게 되면, 학습자 단말기는 커뮤니티(340)에 관련된 세부적인 표시정보(341)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한다. 세부적인 표시정보(341)는 '공지사항', '교육입시자료', '자유게시판', '질문게시판', '1:1멘토링'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7, when a learner instructs the
도 4 의 메인화면에서 학습자가 포인터장치로 포인트수학학습을 클릭하여 수학학습 제공창지로부터 수신한 포인트수학학습 표시정보를 디스플레장치에 표시한 화면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인트학습(310), 학습분석(320), 설정관리(330), 커뮤니티(340), Home┃서비스신청┃로그아웃(350), 학습자 이름/아이디/교육과정(360)와, 수학문제 표시창(370)과, 수학교재명(810), 학습문항정보(820), 문제해석 표시창(830), 문제풀이 표시창(840), 정답 표시창(850)을 포함한다. In the main screen of FIG. 4, the screen on which the learner clicks the point math learning with the pointer device and displays the point math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window on the display device is shown in FIG. 8. , Learning analysis (320), setting management (330), community (340), Home┃ service application┃
수학문제 표시창(370)은 학습교재에 인쇄된 수학문제정보를 표시한다. 학습교재에 인쇄된 수학문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학습교재 출판업계와 저작권에 대한 협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즉, 수학문제 표시창(370)은 선택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math
수학문제 표시창(37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즉, 학습자 단말기 화면에 표현되는 정보의 양이 한 화면 분량을 넘으면 이미 화면에 표현된 수학문제 표시창(370) 전체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수학문제 표시창(370)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막으려면, 학습자는 포인터장치로 수학문제 표시창(370)의 '현재위치에 고정'을 체크하면 된다. 수학문제 표시창(370)에는 학습자가 선택한 문제해석단계별 체크 및 풀이단계별 이론 체크 정보를 '히스토리'로 표시한다.The math
수학문제 표시창(370)에는 학습자가 현재 수학문제에 해당하는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 보기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유사한 학습문항 보기]'를 표시한다. The math
수학교재명(810)은 학습자가 학습서비스를 신청한 교재들 중에 포인트수학학습을 하기 위해 선택한 교재를 표시한다. 학습문항정보(820)는 문제번호, 대단원명, 중단원명, 등록된 스마트팁 개수를 표시한다. 학습문항정보(820)에는 학습자가 새로운 풀이법 보기를 요청하거나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스마트팁 보기/등록'을 표시한다. 또한, 학습문항정보(820)에는 학습자가 새로운 학습문항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다른 문항목록 열기'를 표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자가 '다른 문항목록 열기'를 포인터장치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기는 수학학습 제공장치로 새로운 학습문항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그 응답으로 새로운 학습문항정보를 입력받아 표시창(821)에 표시한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learner selects 'open another item list' as the pointer device, the learner terminal transmits new learning item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device and receives new learning item information in response. The
문제해석 표시창(830)은 학습자가 문제해석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문제해석에 관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클릭하세요"를 표시한다. 학습자가 포인터장치로 문제해석 표시창(830)을 클릭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제해석 표현정보와 단원정보를 표시창(831)에 표시한다. 만일 학습자가 표현01 이 이해가 안되어 '[해석보기]'를 선택하면 문제해석정보를 표시창(832)에 표시한다. 이때, 학습자가 문제해석정보가 이해가 안되면 표현 01 문제 해석 체크창(832A)을 클릭한다. The problem
문제풀이 표시창(840)은 학습자가 문제풀이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문제플이에 관한 도움이 필요하시면 클릭하세요"를 표시한다. 학습자가 포인터장치로 문제풀이 표시창(841)을 클릭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풀이단계별 이론을 표현하는 기호와 문자를 포함하는 문제풀이정보와 단원정보를 표시창(841)에 표시한다. 만일 학습자가 풀이단계 02 가 이해가 안되어 '[이론 힌트 보기]'를 선택하면 해당 이론에 대한 설명, 예컨대 공식을 표시창(842)에 표시한다. 이때, 학습자가 이론 설명이 이해가 안되면 단계 02 이론 설명 체크창(842A)을 클릭한다. The problem solving
또한, 만일 학습자가 풀이단계 02 이론과 유사한 학습문항을 보기를 원하는 경우, '02- 유사한 학습문항 보기'를 포인터장치로 선택하면, 학습자 단말기는 수학학습 제공장치로 유사한 학습문항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그 응답으로 수학학습 제공장치로부터 도 12와 같은 유사한 학습문항정보를 입력받아 표시창(871)에 표시한다. In addition, if the learner wants to view the learning items similar to the solving step 02 theory, if the user selects '02-View similar learning items' as the pointer device, the learner terminal transmits similar learning item request information to the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device. In response, similar learning item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2 is received from the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device and displayed on the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창(871)에는 학습자가 제1학습문항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71A), 학습교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재선택창(871B), 학습자가 선택한 교재별 유사한 학습문항정보(871C, 871D)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2, the
학습자가 제1학습문항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871A)는 제1학습문항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의 출력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학습자로 하여금 제1학습문항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을 문제풀이단계별 이론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The user interface 871A, which allows a learner to request a second learning item that is similar to the first learning item, inclu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learner to select an output range of the second learning item that is similar to the first learning item, and allows the learner to select the first learning item. It inclu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a second learning question, similar to the learning question, to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heory of problem solving steps.
학습자가 출력범위를 모두로 선택하고, 학습교재를 정석과 해법을 선택하고, 기준문항 0890의 기준단계가 문제풀이 02단계인 경우, 학습자 단말기는 수학학습 제공장치로 유사한 학습문항정보를 요청하여, 그 응답으로 정석과 해법에서 수록된 학습문항 중에 기준문항 0890의 문제풀이 02단계 이론과 유사한 학습문항정보를 입력받아 화면에 표시한다. 수학학습 제공장치는 학습문항에 해당하는 이론코드를 기준으로 이론코드가 유사한 학습문항을 검색한다.If the learner selects all the output range, selects the teaching material and the solution, and if the reference level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이론코드는 교과과정정보, 학년분류정보, 세부과정정보, 단원 인덱스정보, 이론분류번호정보, 이론명칭정보, 학습단원분류정보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학습문항에 해당하는 이론코드가 교과과정정보, 학년분류정보, 세부과정정보, 단원 인덱스정보, 이론분류번호정보, 이론명칭정보, 학습단원분류정보 7개가 모두 동일한 경우 유사도는 7이다. 즉, 유사도는 이론코드에 포함된 7개의 정보중에서 동일한 개수에 따라 결정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heoretical code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curriculum information, grade classification information, detailed course information, unit index information, theoretical classification number information, theoretical name information, and learning unit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heoretical cod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learning items are the same as the curriculum information, grade classification information, detailed course information, unit index information, theory classification number information, theory name information, and learning unit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case similarity is 7. That is, the similari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ame number among seven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heoretical code.
도 8에서 정답 표시창(850)은 학습자가 정답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이 문항의 정답을 알고 싶으시면 클릭하세요"를 표시한다. 학습자가 포인터장치로 정답 표시창(850)을 클릭하면, 수학학습 제공장치로 정답정보를 요청하여 해당 정답정보를 입력받아 표시한다. In FIG. 8, the correct
도 8에서 문제해석(361)은 학습자가 모든 문제해석이 이해가 안될 경우, 모든 문제해석을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문제풀이(362)는 학습자가 모든 문제풀이가 이해가 안될 경우, 모든 문제해석을 일괄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분석입력(363)은 학습자가 이해가 안되는 문제해석 단계와 풀이단계별 이론 체크정보를 수학학습 제공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In FIG. 8, the
학습자 단말기는 학습자가 분석입력(363)을 클릭하면 학습문항별로 학습자가 체크한 문제해석 단계와 풀이단계별 이론 체크정보를 수학학습 제공장치로 전송한다. 수학학습 제공장치는 학습문항별 문제해석 단계와 풀이단계별 이론 체크정보를 저장하고, 학습자 또는 관리자의 학습결과 분석 요청에 따라 학습문항별 문제해석 단계와 풀이단계별 이론 체크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취약 단원 분석 및 이론 분석, 오답노트, 공식집을 생성한다. When the learner clicks on the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7)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포인트수학학습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그 응답으로 학습자가 미리 선택한 학습교재의 학습단원별 제1학습문항에 대한 문제풀이정보를 표시하는 제1 표시창의 위치 및 크기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문제풀이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문제풀이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을 표현하는 기호와 문자를 포함하는 문제풀이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이해가 안되는 문제풀이단계별 이론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 체크표시창을 포함하는 문제풀이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학습문항에 대한 이론설명 체크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In the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executed in the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network,
When the point math learning request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learner's posi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he first display window displaying the problem solving information for the first learning item for each learning unit of the learning material selected by the learner, and the learner Transmitting mathematical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the problem solving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When the problem-solving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problem-solving information including symbols and letters representing the theory of solving steps of the first learning item and a problem-solving step theory that the learner does not understand can be checked. Transmitting problem solving display information including a theory check display window to a learner terminal; And
Receiving the theoretical explanation check information on the first learning item from the learner terminal and storing the received information;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가, 상기 제1학습문항에 대응하는 수학문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the mathematics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arning item.
상기 문제풀이 표시정보가,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 보기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이: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유사한 제2학습문항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transmitting of the problem solv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The problem solving display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learner to request to view a second learning item that is similar to the theory of each step of solving the first learning item,
The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s:
If second similar learning item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transmitting second learning item information similar to the theory of each step of solving the first learning item to the learner terminal;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가,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제1학습문항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이: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유사한 제2학습문항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학습문항의 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The mathematical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learner to request a second learning item similar to the first learning item,
The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s:
Searching for similar second learning item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learner terminal, searching for second learning item information similar to the theory of each step of solving the first learning item, and transmitting a search result to the learner terminal;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는,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다른 학습교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상기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교재의 학습문항정보 중에 상기 제1학습문항의 문제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learner to select another learning material.
Transmitting the similar second learning item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Searching second learning item information similar to the theory for each problem solving step of the first learning item among the learning item information of the learning text selected by the learner and transmitting a search result to the learner terminal;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는,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제1학습문항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의 출력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제1학습문항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을 문제풀이단계별 이론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math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learner to select an output range of a second learning item similar to the first learning item, and the learner to select a second learning item similar to the first learning item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step theory. Math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a user interface to enable.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가, 새로운 제3학습문항정보와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새로운 제3학습문항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이: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제3학습문항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새로운 제3학습문항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for allowing the new third learning item information and the learner to request new third learning item information.
The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s:
When the new third learning item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transmitting the new third learning item information to the learner terminal;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새로운 제3학습문항에 대응하는 수학문제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새로운 제3학습문항에 대응하는 수학문제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수학문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new third learning item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comprises:
Transmitting a user interface for allowing the learner to request mathematics probl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new third learning item to a learner terminal; And
If the math problem requ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ew third learning item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math problem information to the learner terminal;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가,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수학문제에 대한 새로운 풀이법 등록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이: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학문제에 대한 새로운 풀이법 및 새로운 풀이법 등록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수학문제에 대한 새로운 풀이법을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The mathematics learning indication information further compris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learner to request a new solution registration for the mathematics problem;
The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s:
Storing a new solution for the math problem when the new solution and the new solution registration request information for the math problem are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가, 상기 제1학습문항에 대한 문제해석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문제해석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이: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문제해석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학습문항에 대한 문제해석정보를 표시하는 제2 표시창의 위치 및 크기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이해가 안되는 문제해석정보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해석 체크표시창을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ing of the mathematics learning indication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comprises: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first learning item and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a learner to request the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The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s:
When the problem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posi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he second display window displaying the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for the first learning item, and the learner to check the problem analysis information that does not understand Transmitting a problem analysis check display window to the learner terminal;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가, 상기 제1학습문항에 대한 정답정보를 표시하는 제3 표시창의 위치 및 크기정보와,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정답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이: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정답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학습문항의 정답을 표현하는 기호와 문자를 포함하는 정답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0, wherei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to a learner terminal,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further includes position and size information of a third display window displaying correct answer information for the first learning question, and a user interface for allowing a learner to request the correct answer information.
The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is:
If correct answer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transmitting correct answer information including a symbol and a character representing a correct answer of the first learning question;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취약단원 분석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학습문항에 대한 문제해석 체크정보 또는 이론설명 체크정보를 이용하여 학습단원별로 취약한 이론의 종류 및 이론 종류별 취약도 정보를 생성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0,
When the weak unit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learner terminal is generated by generating the types of vulnerable theories and weaknesses by the type of theory using the problem analysis check information or the theory explanation check information on the first learning item. Transmitting to;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오답노트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학습문항에 대한 문제해석 체크정보 또는 이론설명 체크정보를 이용하여 학습단원별로 오답노트 정보를 생성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0,
When incorrect answer note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using the problem interpretation check information or the theoretical explanation check information on the first learning item, generating incorrect note information for each learn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incorrect note information to the learner terminal;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공식집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학습문항에 대한 문제해석 체크정보 또는 이론설명 체크정보를 이용하여 학습단원별로 공식집 정보를 생성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0,
When the official collection request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learner terminal, using the problem analysis check information or the theoretical explanation check information on the first learning item, generating official collection information for each learn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nformation to the learner terminal;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further.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포인트수학학습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그 응답으로 학습자가 미리 선택한 학습교재의 학습단원별 제1학습문항에 대하여 학습자가 상기 제1학습문항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수학학습 표시정보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유사한 제2학습문항 요청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제1학습문항의 문제풀이단계별 이론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In the mathematics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executed in the mathematics learning provid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learner terminal and the network,
When the point math learning request information is inputted from the learner terminal, the user can make the learner request a second learning item similar to the first learning item with respect to the first learning item for each learning member of the learning material selected by the learner in response. Transmitting mathematical learning ind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interface to a learner terminal; And
Searching for similar second learning item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learner terminal, searching for second learning item information similar to the theory for each problem solving step of the first learning item, and transmitting a search result to the learner terminal;
Mathematical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mprising a.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는,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다른 학습교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athematical learning ind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a second learning item similar to the first learning item to the learner terminal,
The mathematics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further compris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learner to select a different learning material.
상기 수학학습 표시정보는,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제1학습문항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의 출력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제1학습문항과 유사한 제2학습문항을 문제풀이단계별 이론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학습정보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athematical learning ind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a 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a second learning item similar to the first learning item to the learner terminal,
The math learning display information,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learner to select an output range of a second learning item similar to the first learning item, and the learner to select a second learning item similar to the first learning item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step theory. Math learn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urther comprises a user interface to enab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6016A KR20140029885A (en) | 2012-08-31 | 2012-08-31 |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study inform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6016A KR20140029885A (en) | 2012-08-31 | 2012-08-31 |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study inform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9885A true KR20140029885A (en) | 2014-03-11 |
Family
ID=5064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6016A KR20140029885A (en) | 2012-08-31 | 2012-08-31 |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study inform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29885A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6157A (en) * | 2014-04-07 | 2015-10-15 | 김용원 | method of learning service in on-line and service system thereof |
KR20200078944A (en) * | 2018-12-24 | 2020-07-02 | 주식회사 구름 | Method for providing game type coding education service based online |
KR20200081015A (en) * | 2018-12-27 | 2020-07-07 |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 Software coding training support and evaluation system |
KR20210113542A (en) * | 2020-03-08 | 2021-09-16 | 구본성 | Mathematics Digital Learning Materials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Learning Contents |
KR20210114622A (en) * | 2020-03-11 | 2021-09-24 | 주식회사 씨엔제이브라더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udy guide using learning ability enhancing algorithm |
KR102499770B1 (en) * | 2022-04-04 | 2023-02-14 | (주)아이앤에스 |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cours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
-
2012
- 2012-08-31 KR KR1020120096016A patent/KR20140029885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6157A (en) * | 2014-04-07 | 2015-10-15 | 김용원 | method of learning service in on-line and service system thereof |
WO2015156483A1 (en) * | 2014-04-07 | 2015-10-15 | 김용원 | Concept-associated online study service method, and service system therefor |
KR20200078944A (en) * | 2018-12-24 | 2020-07-02 | 주식회사 구름 | Method for providing game type coding education service based online |
KR20200081015A (en) * | 2018-12-27 | 2020-07-07 | ㈜ 한국공학기술연구원 | Software coding training support and evaluation system |
KR20210113542A (en) * | 2020-03-08 | 2021-09-16 | 구본성 | Mathematics Digital Learning Materials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Learning Contents |
KR20210114622A (en) * | 2020-03-11 | 2021-09-24 | 주식회사 씨엔제이브라더스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udy guide using learning ability enhancing algorithm |
KR102499770B1 (en) * | 2022-04-04 | 2023-02-14 | (주)아이앤에스 |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cours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llis et al. | Ethics, education policy and research: the phonics question reconsidered | |
US8483606B2 (en) | Automatic determination of user alignments and recommendations for electronic resources | |
WO2017180532A1 (en) | Integrated student-growth platform | |
Hwang et al. | Diagnosing student learning problems based on historical assessment records | |
TW201239830A (en) |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knowledge assessment and learning | |
KR20140029885A (en) | Method for providing mathematics study information | |
Drisko | Holistic competence and its assessment | |
Peter et al. | Making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more efficient by providing individual feedback | |
Waldeck et al. | Collaborative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learning in college courses: Which are used, for what purposes, and to what ends? | |
Valero et al. | Embedding employability and transferable skills in the curriculum: a practical, multidisciplinary approach | |
Hennig et al. | Situated mathematics teaching within electrical engineering courses | |
Irfan et al. | Insights into Student Perceptions: Investig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ol Usability in Irish Higher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Limerick | |
Michael et al. | A content analysis of the ACGME specialty milestones to identify performance indicators pertaining to the development of residents as educators | |
Burkhardt et al. | Information literacy successes compared: Online vs. face to face | |
Turner et al. | Exploring the potential of using undergraduates’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 in research methods as a proxy for capturing learning gain | |
Bulut et al. | Evaluating group differences in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The impact of item properties | |
Krom et al. | A quality checklist for responsible conduct of research (RCR) education: A proposal to complement the predictive modeling tool | |
Castleberry et al. | Instructor perspectives on the use of tag-organised assessment to facilitate formative assessment strategies in STEM courses | |
Gaitsgory et al. | Opinion piece:'Medical students-learning from textbooks or electronic media?'. | |
Sawyer et al. | Beyond cultural competence: A methodology for teaching effective practice across difference | |
Curle et al. | Exploring the nexus of variables in English-medium instruction research: a comprehensive global meta-analysis | |
Kuo et al. | The factors and impacts of large-scale digital content accreditations | |
Hoang | Exploring digital competence among Vietnamese EFL preservice teachers: the role of ICT self-efficacy, collegial collaboration, and infrastructural support | |
Cvancara | Optimizing how we teach research methods | |
Wulandari | Ethical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edited by Liliana Mâtă, Singapore, Springer, 2022, 217 pp., ISBN: 978-981-16-1953-3 (paperback) ISBN: 978-981-16-1951-9 (eBoo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7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140812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