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560A - Soundproof wall with acoustic block - Google Patents

Soundproof wall with acoustic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560A
KR20200019560A KR1020190055859A KR20190055859A KR20200019560A KR 20200019560 A KR20200019560 A KR 20200019560A KR 1020190055859 A KR1020190055859 A KR 1020190055859A KR 20190055859 A KR20190055859 A KR 20190055859A KR 20200019560 A KR20200019560 A KR 20200019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acoustic block
acoustic
opening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07133B1 (en
Inventor
김봉식
김창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펜타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펜타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펜타드
Priority to KR1020190055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133B1/en
Publication of KR2020001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5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1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76Cellular, e.g. as wall fac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 wall built with an acoustic block. The soundproof wall comprises the acoustic block including a box shape portion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formed by a front wall, a rear wall disposed in parallel to the front wall to be distanced from the front wall, both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whil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walls, and a base wall disposed on lower portions of the front wall, the rear wall, and both the side walls; an opening portion formed in the front wall in a thickness direction; and a hollow portion defined by the front wall, the rear wall, both the side walls, and the base wall and fluid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portion. Prefera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proof wall allows noise entering an air passage to be introduced into the opening portion of the acoustic block communicating with the air passage, thereby reducing noise by a resonance phenomenon.

Description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 {Soundproof wall with acoustic block}Soundproof wall with acoustic block {Soundproof wall with acoustic block}

본 발명은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특별하기로 공명 현상을 기초로 하여 특정 주파수대의 음을 차음할 수 있도록 구성된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proof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proof wall constructed of acoustic blocks configured to sound insulation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based on resonance phenomena.

급속한 산업발달에 따라 교통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원활한 교통량 확보를 위해 도로, 철로, 공항 등이 확충되고 있다. 도로, 철로, 공항 주변에는 교통수단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방음벽이 설치되어 있다.With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traffic volume is increasing, and roads, railroads, airports, etc. are expanding to secure smooth traffic volume. Sound barriers are installed around roads, railways, and airports to block the transmission of noise from transportation.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다수의 지주를 수직으로 기립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에 흡음(혹은 차음)기능을 구비한 방음판넬을 적층 설치하여 소음을 차단하게 된다.  In general, the soundproof wall is to install a plurality of strut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stand vertically, and then install a soundproof panel having a sound absorption (or sound insulation) laminated to block the noise.

특허문헌 1에 따른 방음판넬의 구조는 방음판넬 본체의 전면부에 요홈부를 형성하고, 요홈부의 개구부에는 다수의 흡음공을 천공한 커버를 배치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방음벽은 요홈부와 커버로 한정된 공명실을 통해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판넬형 구조의 방음벽은 소리의 차단 뿐만 아니라 기류도 함께 차단하여 풍하중(風荷重)을 고려하지 않는 문제점을 갖는다.In the structure of the soundproof panel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a recess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soundproof panel body, and a cover having a plurality of sound absorbing holes is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recess. The soundproof wall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structure that effectively absorbs vibration and noise through a resonance chamber defined by a recess and a cover, and the panel-type soundproof wall blocks not only sound but also airflow to prevent wind load. )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problem.

특허문헌 2는 풍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는 통풍형 방음패널을 제시하고 있는데, 다수의 전면 분리판을 갖춘 전면판과 다수의 후면 분리판을 갖춘 후면판 사이에 가로판(구획프레임)과 세로판(격벽)으로 구획된 공명체임버를 형성한다. 공명체임버는 구획프레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격판들 간의 이격틈새를 공명구멍으로 적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실제로 동일(혹은 단일)한 크기의 공명체임버와 공명 구멍으로만 구성된 방음벽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차음하고자 하는 목표주파수만을 차음할 수밖에 없는 한계성을 갖는다. Patent document 2 proposes a ventilated soundproof panel that can reduce wind load, and includes a horizontal plate (compartment frame) and a vertical plate (between a front plate having a plurality of front separators and a rea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rear separators). A resonance chamber partitioned by a partition wall). The resonance chamber applies the clearance gap between the plates installed at intervals in the partition frame as the resonance hole. Patent Document 2 actually consists of a resonance chamber of the same size (or single) and a soundproof wall composed only of resonance holes, and therefore has a limit of only sounding the target frequency to be soundproof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3023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302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826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38264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한 속이 비어 있는 육면체의 어쿠스틱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empty hexahedral acoustic block having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thereof.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의 어쿠스틱 블록을 쌓아 조적식 벽체 구조물로 축조가능하며 이를 통해 방음벽을 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by stacking acoustic blocks having a hexahedron shape to form a masonry wall structure through which a soundproof wall can be construc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은 내부에 공동부를 갖춘 박스형상부와 공동부에 연통가능하게 박스형상부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한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되며, 방음벽은 풍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벽체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로 통로를 구비하는데, 방음벽은 공기 유로 통로를 한정하는 어쿠스틱 블록의 개구부를 공기 유로 통로와 연통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공기 유로 통로로 진입한 소음을 공기 유로 통로와 연통되는 어쿠스틱 블록의 개구부 내로 유입되어 공명 현상에 의해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oundproof wa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of an acoustic block having a box-shaped portion having a cavity therein and an opening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box-shaped portio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avity portion, and the soundproof wall is a wind load. One or more air flow passages are provided in the wall constructed of the acoustic blocks so as to reduce the noise, and the soundproof wall is arranged so that the openings of the acoustic blocks defining the air flow passages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flow passages.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enter the air passage passage noise into the opening of the acoustic block communicating with the air passage passage can attenuate the noise by the resonance phenomenon.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은 공기 유로 통로를 한정하는 이격배치된 어쿠스틱 블록들의 개구부를 상호 대향되도록 방향설정할 수 있다.The sound barr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oriented so as to oppose the openings of the spaced apart acoustic blocks defining the air passage passages.

어쿠스틱 블록은 적층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박스형상부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한편, 박스형상부의 하단에서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결합홈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The acoustic block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box-shaped portion to facilitate stacking installation, and additionally includes one or more coupling groov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s on the bottom of the box-shaped portion. can do.

바람직하기로, 어쿠스틱 블록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 벽과, 전면 벽과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후면 벽, 전면 벽과 후면 벽의 양 단부를 연결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 벽, 전면 벽과 후면 벽 및 양 측면 벽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저면 벽, 및 기저면 벽과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된 천장면 벽으로 형성된 박스형상부와; 전면 벽의 내부영역에서 두께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 및 전면 벽과, 후면 벽, 양 측면 벽, 기저면 벽, 및 천장면 벽으로 한정되고, 개구부와 유체연통되는 공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Preferably, the acoustic block is formed in a cube shape,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spaced apart parallel to the front wall, the two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the front wall and the rear facing each other connecting the ends of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A box-shaped portion formed of a base wall wall disposed below the wall and both side walls, and a ceiling wall disposed above the base wall wall; An opening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inner region of the front wall; And a cavity defined by the front wall, the rear wall, both side walls, the base wall, and the ceiling wall an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pening.

특별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은 어쿠스틱 블록으로 차음하고자 하는 특정 주파수를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oundproof wall constructed with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a specific frequency to be soundproofed by the acoustic block by Equation 1 below.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here,

Vac : 음속V ac Sound speed

P : 개구율(

Figure pat00002
; A1 : 개구부 단면적, A2 : 개구부와 대향되는 후면 벽의 내부 면적)P: aperture ratio (
Figure pat00002
; A 1 : opening cross section, A 2 : internal area of the rear wall opposite the opening)

W: 공동부의 세로폭 길이W: longitudinal length of the cavity

t : 전면 벽의 두께, t: thickness of the front wall,

d : 개구부의 유효직경d: effective diameter of ope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은 어쿠스틱 블록의 차음 대역폭의 최대 주파수를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undproof wall constructed of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the maximum frequency of the sound insulation bandwidth of the acoustic block by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여기서, here,

Vac : 음속V ac Sound speed

P : 개구율(

Figure pat00004
; A1 : 개구부 단면적, A2 : 개구부와 대향되는 후면 벽의 내부 면적)P: aperture ratio (
Figure pat00004
; A 1 : opening cross section, A 2 : internal area of the rear wall opposite the opening)

W: 공동부의 세로폭 길이W: longitudinal length of the cavity

t : 전면 벽의 두께, t: thickness of the front wall,

d : 개구부의 유효직경d: effective diameter of opening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the ordinary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s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어쿠스틱 블록은 개구부의 크기와 공동부의 부피 등을 달리하여 차음 대역폭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control the sound insulation bandwidth by varying the size of the opening and the volume of the cavity.

본 발명은 다양한 차음 대역폭을 갖춘 다수의 어쿠스틱 블록을 혼용하여 방음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저주파수, 중주파수, 고주파수까지 차음 대역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sound barrier by mixing a plurality of acoustic blocks having a variety of sound insulation bandwidth, thereby extending the sound insulation bandwidth to low, medium and high frequencies.

특히, 본 발명은 차음하고자 하는 특정 주파수대를 시공 전에 산출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소음원에서 발생된 소음을 차음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ound off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by calculating a specific frequency band to be soundproof before construction.

덧붙여서, 본 발명은 어쿠스틱 블록을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여 쉽고 편리하게 적층설치할 수 있어 방음벽의 시공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block may be form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r a cube shape, and thus may be easily and conveniently stacked and installed, thereby improving the construction and durability of the soundproof wal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의 축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의 다른 실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을 다른 방식으로 축조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의 또 다른 방식으로 축조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ilt state of an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of an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an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acoustic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another manner.
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a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으로 이루어진 방음벽(100)을 개략적으로 도해한 도면으로, 일반적으로 방음벽(100)은 소음원과 수음점 사이에 배치되어 소음원에서 발생된 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oundproof wall 100 made of an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eneral, the soundproof wall 100 is disposed between a noise source and a sound absorbing point to detect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Serves to reduce.

방음벽(100)은 다수의 지주를 수직으로 기립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다수의 지주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을 조적(組積)식으로 적층설치하여 벽체(壁體)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공명 현상을 통해 특정 주파수의 소음을 차음할 수 있도록 속이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형상부와 이 박스형상부의 일면에 개구부를 형성한 단순한 구조로 구성된 단일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개구부(12)를 통해 소음원에서 발생된 소음을 어쿠스틱 블록(1)의 내부로 입사하면서 어쿠스틱 블록의 내부 공기를 진동시켜 상쇄 간섭으로 특정 주파수를 차음하게 된다.The soundproof wall 1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vertically stand a plurality of struts, and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between the plurality of struts in a stacked manner to form a wall structure. Can be formed. That is,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an empty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shaped part and an opening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x-shaped part so as to sound the noise of a specific frequency through a resonance phenomenon. Consists of a single component consisting of,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noise source through the opening 12 is incident to the interior of the acoustic block (1) while vibrating the internal air of the acoustic block to sound a certain frequency by the offset interference.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특정 주파수(다시 말하자면, 차음하고자 하는 목표 주파수)를 차음하기 위해 공명 현상을 이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되,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헬름홀츠(Helmholtz) 공명을 일으킬 수 있도록 개구부(12)와 내부에 기체를 수용하는 공동부(13)를 갖춘 단위 용기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use a resonance phenomenon to sound a specific frequency (that is, a target frequency to be sounded), 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unit container having an opening 12 and a cavity 13 containing a gas therein so as to cause Helmholtz resonance.

특별하기로,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개구부의 크기(단면적, 유효 직경), 공동부의 부피, 전면 벽의 두께 등의 매개변수를 통해 함수로 표현되는 자체 공명주파수를 제어하여 차음하고자 하는 목표 주파수에 일치시켜 소음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기하학적 특성으로 공명주파수를 제어하여 가능한 넓은 차음 대역폭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In particular,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sound insulation by controlling its own resonance frequency expressed as a function through parameters such as the size of the opening (section area, effective diameter), the volume of the cavity, the thickness of the front wall, and the like. The noise can be controlled by matching the target frequency. To this end,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a wide sound insulation bandwidth as possible by controlling the resonance frequency as a geometric characteristic.

도 2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전면 벽(11a)과, 후면 벽(11b), 측면 벽(11c,11d), 및 기저면 벽(11e)으로 획정된 속이 비어 있는 육면체 형상의 박스형상부(11;도 1 참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박스형상부는 직육면체 형상 혹은 정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박스형상부는 전면 벽(11a)과 이 전면 벽(11a)과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후면 벽(11b), 전면 벽(11a)과 후면 벽(11b)의 양 단부를 연결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 벽(11c,11d)을 갖고, 전면 벽(11a)과 후면 벽(11b) 및 양 측면 벽(11c,11d)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저면 벽(11e)으로 형성될 수 있다. 2 to 3, an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wall 11a, a rear wall 11b, side walls 11c, 11d, and a base wall wall 11e. It may be formed of a hollow box-shaped portion 11 (see Fig. 1) defined in hollow. Preferably, the box-shaped portion may be a cuboid shape or a cube shape. The box-shape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ront wall 11a and the rear wall 11b spac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wall 11a, and both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whil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ront wall 11a and the rear wall 11b. It may have a base wall 11e having 11c and 11d and disposed below the front wall 11a and the rear wall 11b and both side walls 11c and 11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부를 개방한 박스형상부와, 박스형상부의 일면에 두께방향으로 천공된 개구부(12), 및 박스형상부(11) 내부에 배치된 공동부(13)로 이루어지는데, 공동부(13)는 개구부(12)를 통해 외부와 유체연통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를 개방한 박스형상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벽 구조물의 상부에 마감 프레임(미도시)으로 마감처리되어 박스형상부의 개방면을 폐쇄할 수 있을 것이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box-shaped portion having an open top, an opening 12 perforated in a thickness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box-shaped portion, and a cavity 13 disposed inside the box-shaped portion 11, the cavity portion 13 may be dispos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2. The box-shaped portion 11 having the upper portion ope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losed with a finishing frame (not show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oundproof wall structure as shown in FIG. 1 to close the open surface of the box-shaped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적층가능하도록 박스형상부(11)의 상단에 수직상방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4)를 구비하는 한편, 박스형상부(11)의 하단에 결합돌기(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15)을 구비한다.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engaging projections 14 protruding vertically upward on the top of the box-shaped portion 11 so as to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The lower end of the (11)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15 formed concave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jection to accommodate the coupling projection (14).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본 발명의 어쿠스틱 블록(1)은 공명 현상을 이용하여 차음하고 있기 때문에 어쿠스틱 블록(1)의 공명주파수는 박스형상부(11)의 형상과는 무관하고 공동부(13)의 부피, 개구부(12)의 단면적, 개구부(12)의 벽 두께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사실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공동부(13)의 부피, 개구부(12)의 단면적 등을 달리하여 차음하고자 하는 저주파수 대역에서 고주파수 대역까지 차음 대역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As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ince the acoustic b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oundproofed using a resonance phenomeno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acoustic block 1 is independent of the shape of the box-shaped portion 11, It is determined by the volume of the portion 13,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12, the wall thickness of the opening 12 and the like. On the basis of this fact,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in the volume of the cavity 13,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12, and the like from the low frequency band to the high frequency band to be soundproofed. Can be extended.

특별하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차음하고자하는 특정 주파수(ftarget;혹은 목표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igned to determine a specific frequency (f target ; or target frequency) to be sounded by Equation 1 below.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여기서, Vac : 음속, P : 개구율(

Figure pat00006
), W: 공동부의 세로폭 길이, t : 전면 벽의 두께, d : 개구부의 유효직경 이다. 참고로, A1 : 개구부 단면적이고, A2 : 개구부와 대향되는 후면 벽의 내부 면적(공동부의 가로폭 길이(L)×공동부의 높이 길이(H)) 이다. Where V ac : Sound velocity, P: aperture ratio
Figure pat00006
), W: longitudinal length of cavity, t: thickness of front wall, d: effective diameter of opening. For reference, A 1 is an opening cross section, and A 2 is an inner area of the rear wall facing the opening (width length L of the cavity part x height length H of the cavity part).

[수학식 1]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공동부(13)의 부피(W×A2)와 개구율(P)에 종속되어 차음하고자 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어쿠스틱 블록에서 공동부의 부피, 개구율 등을 다양한 크기로 가변시킴으로써 넓은 주파수 대역을 형성시킬 수 있어 차음 대책 수립에 매우 유용하게 된다. 예컨대, 공동부의 부피가 커지고 개구율이 낮아질수록 차음 대역폭이 저주파 영역의 소리를 효과적으로 차음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공동부의 부피가 작아지고 개구율이 커질수록 차음 대역폭이 (중)고주파 영역의 소리에 대한 차음효과를 갖는다.Based on Equation 1,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endent on the volume (W × A 2 ) and the aperture ratio (P) of the cavity 13 to be soundproof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Can be set. This makes it possible to form a wide frequency band by varying the volume, aperture ratio, etc. of the cavity in various sizes in the acoustic block, which is very useful in establishing sound insulation measures. For example, as the volume of the cavity increases and the aperture ratio decreases, the sound insulation bandwidth can effectively sound the low frequency region sound. In contrast, as the volume of the cavity decreases and the aperture ratio increases, the sound insulation bandwidth has a sound insulation effect on the sound in the (medium) high frequency region.

다시 말하자면, 위의 [수학식 1]에 따른 특정 주파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을 통해 차음하고자 하는 주파수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pecific frequency according to Equation 1 above can identify the frequency region to be soundproofed through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의 [수학식 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동일한 크기와 동일한 형상의 어쿠스틱 블록을 통해 차음 대역폭의 최대 주파수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Equation 2 below may identify the maximum frequency region of the sound insulation bandwidth through an acoustic block having the same size and the same shape shown in FIGS. 2 and 3.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은 [수학식 1]의 최소 차음 주파수와 [수학식 2]의 최대 차음 주파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어쿠스틱 블록을 통해 차음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더욱 정확하게 산출하고 확인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minimum sound insulation frequency of [Equation 1] and the maximum sound insulation frequency of [Equation 2], whereby the acoustic block is possible through the acoustic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Bands can be more accurately calculated and confirm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금속, 알루미늄(비금속), 콘크리트, 고분자 폴리머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소리가 통과하지 않는 어떠한 재질이여도 무방할 것이다. 선택가능하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1)은 박스형상부(11)의 내부면에 흡음재(미도시)를 장착하여 흡음 및 진동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흡음재는 유리섬유, 폴리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metal, aluminum (non-metal), concrete, polymer, and may be any material that is not limited thereto and does not pass sound. To be selected, the acoustic block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absorb sound and vibration reduction effect by mount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not show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x-shaped portion (11). Sound absorbing material may be made of glass fiber, polyurethane and the like.

도 4는 박스형상부(11)의 일 측벽, 즉 전면 벽의 내부영역에 다양한 유형의 개구부(12)를 포함한 상부를 개방한 어쿠스틱 블록의 다른 실례들을 도해하고 있다.4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n acoustic block with an open top including various types of openings 12 in one side wall of the box-shaped portion 11, ie the inner region of the front wall.

도 4(a)는 박스형상부의 전면 벽에 슬릿(slit)형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도 4(b)는 박스형상부의 전면 벽에 원형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도 4(c)는 박스형상부의 전면 벽에 사각형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은 도시되었듯이 다양한 유형의 개구부를 박스형상부의 전면 벽에 형성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한개의 개구부만을 도해하고 있지만 개구율을 매개변수로 하는 [수학식 1] 및/또는 [수학식 2]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천공할 수도 있다.Fig. 4 (a) forms a slit-shaped opening on the front wall of the box-shaped portion, Fig. 4 (b) forms a circular opening on the front wall of the box-shaped portion, and Fig. 4 (c) shows the box-shaped portion. A rectangular opening is formed in the front wall of the.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various types of openings in the front wall of the box-shaped portion as shown, and only one opening is illustrated in the figure, but the equation [Equation 1] and / or [ One or more openings may be drilled according to Equation 2].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의 사용상태도로, 복수의 어쿠스틱 블록(1)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 구조물로 수직방향으로 적층 또는 수평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할 수 있다.5 is a state of use of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coustic blocks (1) can be alternately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r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wall structure as shown in FIG. .

본 발명에 따른 작은 부피의 어쿠스틱 블록과 본 발명에 따른 큰 부피의 어쿠스틱 블록을 혼용하여 차음 대역폭을 확장하여 광범위한 소음 주파수를 소멸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은 각각의 어쿠스틱를 통해 차음가능한 특정 주파수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각각의 어쿠스틱에 매개변수들의 크기를 달리하여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부피의 어쿠스틱 블록은 지지블록(참조부호 없음)을 통해 큰 부피의 어쿠스틱 블록과 동일 너비를 갖도록 하여 일정한 폭 두께를 갖는 벽체의 방음벽으로 시공할 수 있다. By mixing the small volum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arge volum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insulation bandwidth can be extended to eliminate a wide range of noise frequencies.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oise of a specific frequency soundable through each acoustic, it can be configured to reduce the noise in various frequency bands by varying the size of the parameters in each acoustic. As shown, the small volume acoustic block can be constructed as a soundproof wall of a wall having a constant width and thickness by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large volume acoustic block through the support block (not indicated).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을 다른 방식으로 축조한 사용상태로서, 다수의 어쿠스틱 블록을 적층설치하여 방음벽(200)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방음벽(200)은 강풍 등의 바람에 의해 작용되는 풍하중을 저감하기 위해 벽체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도 통로(210)를 구비한다. 공기 유로 통로(210)는 방음벽의 전면측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방음벽을 가로질러 후면측을 향해 강제로 안내할 수 있도록 방음벽 내부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FIG. 6 is a state in which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another manner, and a plurality of acoustic blocks may be stacked to form the soundproof wall 200. In particular, the soundproof wall 200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air guide passages 210 in the wall to reduce the wind load acting by the wind, such as strong winds. The air passage passage 210 may be disposed in the soundproof wall inner region so as to forcibly guide the wind blowing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soundproof wall to the rear side across the soundproof wall.

방음벽(200)은 어쿠스틱 블록들(1)을 이격되게 배치하고 어쿠스틱 블록(1)의 개구부(12)를 상호 대향(對向)되도록 방향설정하여, 어쿠스틱 블록들(1) 사이에 공기 유로 통로(210)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되었듯이, 소음과 함께 바람이 공기 유로 통로(210)로 진입하게 되고, 소음은 공기 유로 통로(210)와 연통되는 어쿠스틱 블록(1)의 개구부(12) 내로 유입되고 공명 현상에 의해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The soundproof wall 200 arranges the acoustic blocks 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orients the openings 12 of the acoustic blocks 1 to face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n air passage path between the acoustic blocks 1. 210 may b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wind enters the air passage passage 210 together with the noise, and the noise is introduced into the opening 12 of the acoustic block 1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passage passage 210 and the noise is caused by resonance. Can be attenuated.

본 발명의 어쿠스틱 블록(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벽체 구조물로 적층설치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6과 같이 다양한 패턴으로 쉽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acoustic block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and is not only easy to be stacked in a wall structure, but also has an advantage of being easily arranged in various patterns as shown in FIGS. 1 and 6.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을 도 1에 도해된 축조방식과 도 6에 도해된 축조방식을 혼용하여 축조된 것으로, 어쿠스틱 블록의 적층설치 뿐만 아니라 풍하중 저감을 통해 내구성과 함께 미려함을 제공할 수도 있다. FIG. 7 is a mixed structure of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llustrated in FIG. 1 and the construction method illustrated in FIG. 6. The acoustic block is not only laminated and installed, but also with durability through wind load reduction. It can also provide beauty.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해된 어쿠스틱 블록은 도 2에 도해된 어쿠스틱 블록의 다른 변형예로서, 박스형상부의 천정면을 제외하고는 매우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료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 배제할 것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block illustrated in FIG. 8 is another modification of the acoustic block illustrated in FIG. 2, and has a very similar structure except for the ceiling surface of the box-shaped portion, and thus is similar or identical for the sake of clarity.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excluded her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은 전면 벽(11a)과, 후면 벽(11b), 측면 벽(11c,11d), 기저면 벽(11e), 및 천장면 벽(11f)으로 획정된 속이 비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형상부(11)를 구비하고, 박스형상부(11)는 서로 마주보는 기저면 벽(11e)과 천장면 벽(11f)을 갖추고 잇다.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hollow defined by the front wall 11a, the rear wall 11b, the side walls 11c and 11d, the base wall 11e, and the ceiling wall 11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shaped part 11 is provided, and the box-shaped part 11 is equipped with the base wall wall 11e and the ceiling wall 11f which face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은 박스형상부(11)의 일면, 예컨대 전면 벽(11a)의 내부영역에서 두께방향으로 천공된 개구부(12)와 박스형상부 내부에 배치된 공동부(13)를 유체연통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ing 12 perforated in a thickness direction in one area of the box-shaped portion 11, for example, the front wall 11a, and a cavity disposed inside the box-shaped portion ( 13) is provided in fluid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은 기하학적 형상에 기인하여 더욱 용이하게 수직방향으로 적층설치할 수 있으며 상부를 폐쇄하고 있어 내구성과 함께 공동부(13)를 한정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 등의 구성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공수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Acoustic block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more easily due to the geometric shape and is cl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mponent member such as a separate frame for limiting the cavity 13 with durability It does not need to have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lowering the work maneuver.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은 박스형상부(11)의 개구부(12)에 인너 튜브(16;inner tube)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인너 튜브(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2)의 원주 둘레에서 공동부(13)의 내부공간을 향해 길이연장될 수 있다. 9 is an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tube (16) in the opening 12 of the box-shaped portion (11). The inner tube 16 may extend lengthwise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12 toward the interior space of the cavity 13 as shown.

일반적으로, 헬름홀츠의 공명 현상은 개구부의 입구 길이(다시 말하자면, 전면 벽의 두께(t) + 인너 튜브의 길이)에 따라 공명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은 인너 튜브(16)의 길이를 짧게 혹은 길게 조절하여 차음하고자 하는 특정 주파수를 더욱 효과적이면서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인너 튜브(16)가 박스형상부(11)의 공간부(13) 내측으로 뻗어 있어 박스형상부의 외부 형상을 단순화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인터 튜브의 배치는 예컨대 도 6에 서로 대향되게 이격배치된 한쌍의 어쿠스틱 블록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도 통로(210)를 방해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In general, the resonance phenomenon of Helmholtz is known to be able to adjust the resonance frequency according to the inlet length of the opening (that is, the thickness t of the front wall + the length of the inner tube). Thus,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inner tube 16 short or long to set a specific frequency to be sounded more effectively and precisely. In addition, the inner tube 16 extends into the space 13 of the box-shaped portion 11 so as to simplify the external shape of the box-shaped portion. Such an arrangement of inter tubes has the advantage of not disturbing the air guide passage 210 formed between a pair of acoustic block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FIG. 6, for example.

이상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oundproof wall constructed by the acoustic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by those with knowledge of the world.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appended claims.

1 ----- 어쿠스틱 블록,
11 ----- 박스형상부,
12 ----- 개구부,
13 ----- 공동부,
14 ----- 결합돌기,
15 ----- 결합홈,
16 ----- 인너 튜브,
100, 200 ----- 방음벽.
1 ----- acoustic block,
11 ----- box shape,
12 ----- opening,
13 ----- joint department,
14 ----- engaging projection,
15 ----- coupling groove,
16 ----- inner tube,
100, 200 ----- soundproof wall.

Claims (6)

어쿠스틱 블록(1)을 포함한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은 내부에 공동부(13)를 갖춘 박스형상부(11)와 상기 공동부(13)에 연통가능하게 상기 박스형상부(11)의 일면에 형성된 개구부(12)를 구비한 상기 어쿠스틱 블록(1)으로 축조되며,
상기 방음벽은 풍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어쿠스틱 블록(1)으로 축조된 벽체에 하나 이상의 공기 유로 통로(210)를 구비하고,
상기 방음벽은 상기 공기 유로 통로를 한정하는 상기 어쿠스틱 블록의 개구부(12)를 상기 공기 유로 통로(210)와 연통되게 배치하는데,
여기서, 상기 공기 유로 통로로 진입한 소음은 상기 공기 유로 통로(210)와 연통되는 상기 어쿠스틱 블록의 개구부(12) 내로 유입되어 공명 현상에 의해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
In the soundproof wall including the acoustic block (1),
The acoustic wall includes the box-shaped portion 11 having a cavity 13 therein and the acoustic block 1 having an opening 12 formed in one surface of the box-shaped portion 1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cavity 13. )
The soundproof wall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air flow path passage 210 in the wall constructed by the acoustic block (1) to reduce the wind load,
The soundproof wall arranges the opening 12 of the acoustic block defining the air flow passag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ssage 210.
Here, the noise entering the air passage passage is introduced into the opening 12 of the acoustic block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passage passage 210 can be attenuated by the resonance phenomenon, the acoustic block, Constructed soundproof wal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 통로(210)는 상기 공기 유로 통로를 한정하는 이격배치된 상기 어쿠스틱 블록들의 개구부(12)를 상호 대향되도록 방향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air passage passage 210 is orient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openings 12 of the spaced apart acoustic blocks defining the air passage pass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스형상부(11)는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4)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박스형상부(11)는 상기 박스형상부의 하단에서 상기 결합돌기(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의 결합홈(15)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x-shaped portion 11 is further provided with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14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top,
The box-shaped portion (1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coupling grooves (15)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jection (14) at the lower end of the box-shaped portion, soundproof wall constructed by an acoustic bloc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쿠스틱 블록(1)은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면 벽(11a)과, 상기 전면 벽(11a)과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후면 벽(11b), 상기 전면 벽(11a)과 상기 후면 벽(11b)의 양 단부를 연결하면서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 벽(11c,11d), 상기 전면 벽(11a)과 후면 벽(11b) 및 양 측면 벽(11c,11d)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저면 벽(11e), 및 상기 기저면 벽(11e)과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된 천장면 벽(11f)으로 형성된 상기 박스형상부(11)와;
상기 전면 벽(11a)의 내부영역에서 두께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개구부(12); 및
상기 전면 벽(11a)과, 상기 후면 벽(11b), 상기 양 측면 벽(11c,11d), 상기 기저면 벽(11e), 및 천장면 벽(11f)으로 한정되고, 상기 개구부(12)와 유체연통되는 상기 공동부(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coustic block 1 is formed in a cube shape,
A front wall 11a, a rear wall 11b spaced apart in parallel with the front wall 11a, and both side walls facing each other while connecting both ends of the front wall 11a and the rear wall 11b. 11c and 11d, a base wall 11e disposed below the front wall 11a and the rear wall 11b, and both side walls 11c and 11d, and an upper portion facing the base wall wall 11e. The box-shaped portion (11) formed of the arranged ceiling wall (11f);
The opening 12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inner region of the front wall 11a; And
The front wall 11a, the rear wall 11b, both side walls 11c and 11d, the base wall 11e, and the ceiling wall 11f, and are in fluid with the opening 12 The cavity 13 is in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soundproof wall constructed of an acoustic block.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쿠스틱 블록(1)의 차음하고자 하는 특정 주파수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
[수학식 1]
Figure pat00008

여기서,
Vac : 음속
P : 개구율(
Figure pat00009
; A1 : 개구부 단면적, A2 : 개구부와 대향되는 후면 벽의 내부 면적)
W: 공동부의 세로폭 길이
t : 전면 벽의 두께,
d : 개구부의 유효직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A specific frequency to be soundproofed of the acoustic block (1) is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the soundproof wall constructed by the acoustic block.
[Equation 1]
Figure pat00008

here,
V ac Sound speed
P: aperture ratio (
Figure pat00009
; A 1 : opening cross section, A 2 : internal area of the rear wall opposite the opening)
W: longitudinal length of the cavity
t: thickness of the front wall,
d: effective diameter of open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어쿠스틱 블록(1)의 차음 대역폭의 최대 주파수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쿠스틱 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
[수학식 2]
Figure pat00010

여기서,
Vac : 음속
P : 개구율(
Figure pat00011
; A1 : 개구부 단면적, A2 : 개구부와 대향되는 후면 벽의 내부 면적)
W: 공동부의 세로폭 길이
t : 전면 벽의 두께,
d : 개구부의 유효직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maximum frequency of the sound insulation bandwidth of the acoustic block (1) is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the soundproof wall constructed by the acoustic block.
[Equation 2]
Figure pat00010

here,
V ac Sound speed
P: aperture ratio (
Figure pat00011
; A 1 : opening cross section, A 2 : internal area of the rear wall opposite the opening)
W: longitudinal length of the cavity
t: thickness of the front wall,
d: effective diameter of opening
KR1020190055859A 2019-05-13 2019-05-13 Soundproof wall with acoustic block KR1021071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59A KR102107133B1 (en) 2019-05-13 2019-05-13 Soundproof wall with acoustic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859A KR102107133B1 (en) 2019-05-13 2019-05-13 Soundproof wall with acoustic bloc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070 Division 2018-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560A true KR20200019560A (en) 2020-02-24
KR102107133B1 KR102107133B1 (en) 2020-05-07

Family

ID=69637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859A KR102107133B1 (en) 2019-05-13 2019-05-13 Soundproof wall with acoustic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13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421A (en) * 1995-03-08 1996-09-24 Nozawa Corp Resonator type soundproof panel
KR200333023Y1 (en) 2003-08-14 2003-11-12 최광철 The structure of soundproof panel
JP6240446B2 (en) * 2012-09-13 2017-11-29 大成建設株式会社 Box Helmholtz Resonator Assembly and Tunnel Blasting Reduction Method
KR101838264B1 (en) 2017-03-28 2018-03-14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Air-passing soundproof panel and Air-passing soundproof wal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6421A (en) * 1995-03-08 1996-09-24 Nozawa Corp Resonator type soundproof panel
KR200333023Y1 (en) 2003-08-14 2003-11-12 최광철 The structure of soundproof panel
JP6240446B2 (en) * 2012-09-13 2017-11-29 大成建設株式会社 Box Helmholtz Resonator Assembly and Tunnel Blasting Reduction Method
KR101838264B1 (en) 2017-03-28 2018-03-14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Air-passing soundproof panel and Air-passing soundproof wal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133B1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5500C2 (en) Sound-absorbing structure
JP5252699B2 (en) Broadband sound absorbing structure and sound absorbing material
US20050258000A1 (en) Noise reducing equipment
KR100720639B1 (en) Sound-absorbing structure body
KR101260823B1 (en) Diffraction noise reduction device for noise barrier upper edge using helmholtz resonance absorber
RU2411329C2 (en) Sound-absorbing elements of premises
JP6762129B2 (en) Sound absorber
US7380636B2 (en) Noise reducing equipment
JPH09221721A (en) Sound insulating device for road side and tunnel
KR20200019560A (en) Soundproof wall with acoustic block
JP2014052539A (en) Sound absorption structure
KR101824209B1 (en) Sound absorption apparatus using resonance for low frequency band
JP3523826B2 (en) Soundproofing
KR200380479Y1 (en) Soundproof tunnel
KR101838264B1 (en) Air-passing soundproof panel and Air-passing soundproof wall using the same
JPH09111906A (en) Sound insulator
JP7456753B2 (en) Sound absorbers, sound absorber adjustment methods, ceiling structures, and buildings
JP6356988B2 (en) tunnel
JP2015227939A (en) Resonant type sound absorber
JP2005290722A (en) Isolator
KR100637785B1 (en) Soundproof device and soundproof wall
KR102542083B1 (en) Silencer for reducing the sonic boom of exit of the gang wind tunnel connected to the railway tunnel and noise re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103576B1 (en) Air-passing soundproof panel and Air-passing soundproof wall
EP4191575A1 (en) Sound absorbing device
KR101359609B1 (en) Stud for use of light wal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