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961A -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961A
KR20200018961A KR1020180094444A KR20180094444A KR20200018961A KR 20200018961 A KR20200018961 A KR 20200018961A KR 1020180094444 A KR1020180094444 A KR 1020180094444A KR 20180094444 A KR20180094444 A KR 20180094444A KR 20200018961 A KR20200018961 A KR 20200018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rack
hinge
hydraulic cylin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욱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주)경성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성정기 filed Critical (주)경성정기
Priority to KR102018009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8961A/ko
Publication of KR2020001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跳開)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가 도개되는 가동교 등에서 갑작스런 정전 사태로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위급한 경우에도 안전하게 개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위한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跳開)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는 상면이 평편하고 하부에 래크(rack)가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며 제1 힌지부와 힌지결합되어 회동(回動) 가능한 브릿지(bridge)부; 상기 브릿지부 중앙 상측으로 소정 높이 'ㅅ'자 형상으로 고정된 암(arm)부; 일측이 제2 힌지부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암부와 힌지연결되며 신축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부; 상기 브릿지(bridge)부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래크(rack)를 따라 슬라이드(slide)되는 안전장치부; 및 상기 안전장치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제3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回動)하는 안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힌지부 각각은 지면과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안전장치부는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드바가 상기 래크를 따라 움직이되 상기 브릿지부를 하부에서 밀고 있는 스프링부에 의해서 상기 래크에 대응되되 상기 래크보다 길이가 짧은 락킹래크가 상기 래크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유지시키고, 상기 유압실린더부의 작동으로 상기 브릿지부가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되, 상기 유압실린더부 내의 유압이 기준치 이하로 갑자기 떨어지면 상기 브릿지부가 상기 유압실린더부에 의해서 지지받지 못하고 상기 스프링부의 힘보다 큰 상기 브릿지부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부를 압착하여 상기 래크 및 락킹래크 사이가 맞물려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A DRIV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 LOCKING}
본 발명은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跳開)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가 도개되는 가동교 등에서 갑작스런 정전 사태로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위급한 경우에도 안전하게 개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위한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跳開)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가동교 형식으로 설계하는 이유는 교량 아래로 배가 지나갈 수 있도록 계획고를 높였을 때 주변 도로와의 접속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계획고의 조정보다 전체 종단선형을 조정하여 설계를 하면 전체적인 공사비 및 실효성 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해상 교량을 설계할 때에 배의 잦은 운행이 있으면 교량의 형하공간을 충분히 마련해주는 것이 적정한 계획이라고 하겠지만 일 년에 몇 차례 통과하는 경우 등은 굳이 계획고를 높이지 않고 통과구간만 가동교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기 때문에 가동교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 종래의 가동교로는 대표적으로 도개교, 선회교, 승개교 등이 있다.
상기 도개교는 교각 위의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삼아 교량을 위쪽으로 약 70°가량 들어올려 선박의 항해를 위한 공간을 만드는 형식으로서, 경간의 중앙에 절단면이 있어, 교량의 중간이 양쪽으로 올라가는 이엽식과 경간의 한쪽에만 회전축이 있어 교량 전체를 한쪽으로 들어올리는 일엽식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번호 제10-1873271호(비상다리가 구성되어 있는 가동보)에 의하면, 가동보(100)는 계단형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에 수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되, 수로의 전후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칸막이프레임(120)과; 상기 칸막이프레임(12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사람이 건너다닐 수 있도록 하는 패널형상의 비상다리(130);로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프레임(120)은 유압실린더(140)의 신축에 의해 상단이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유압실린더(140)에 의해서 칸막이프레임(120) 및 비상다리(130) 등을 지지하고 있으나, 갑자기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칸막이프레임(120) 및 비상다리(130) 등의 무게에 의해서 유압실린더(140)가 파손되거나 가동보(100)가 붕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3271호, 발명의 명칭이 '비상다리가 구성되어 있는 가동보' (등록일자 2018.06.2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유압실린더로 다리가 도개되는 가동교 등에서 갑작스런 정전 사태로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위급한 경우에도 안전하게 지지하여 개교 상태를 유지하고 비상상태가 해제된 후에도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는 상면이 평편하고 하부에 래크(rack)가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며 제1 힌지부와 힌지결합되어 회동(回動) 가능한 브릿지(bridge)부; 상기 브릿지부 중앙 상측으로 소정 높이 'ㅅ'자 형상으로 고정된 암(arm)부; 일측이 제2 힌지부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암부와 힌지연결되며 신축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부; 상기 브릿지(bridge)부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래크(rack)를 따라 슬라이드(slide)되는 안전장치부; 및 상기 안전장치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제3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回動)하는 안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힌지부 각각은 지면과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안전장치부는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드바가 상기 래크를 따라 움직이되 상기 브릿지부를 하부에서 밀고 있는 스프링부에 의해서 상기 래크에 대응되되 상기 래크보다 길이가 짧은 락킹래크가 상기 래크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유지시키고,
상기 유압실린더부의 작동으로 상기 브릿지부가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되, 상기 유압실린더부 내의 유압이 기준치 이하로 갑자기 떨어지면 상기 브릿지부가 상기 유압실린더부에 의해서 지지받지 못하고 상기 스프링부의 힘보다 큰 상기 브릿지부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부를 압착하여 상기 래크 및 락킹래크 사이가 맞물려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 톱니끼리 맞물리지 않게 이격되게 하나 브릿지부(210)를 지탱하고 있는 유압실린더부(230)에 유압이 떨어질 경우 브릿지부(210)의 자중에 의하여 톱니가 맞물리면서 자동 잠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브릿지부(210)의 자체 중량과, 바람 등의 외압으로 인하여 위험으로부터 쉽게 노출을 피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안전장치부(240)로 인하여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근접센서 등을 별도로 구성하여 브릿지부가 경사진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핀으로 고정하므로, 안전이 확실하지 못하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장치부는 갑작스럽게 유압실린더부 내 동력(유압 또는 공압) 손실이 발생할 경우(외압에 의한 누유, 유압배관 파손 등), 고정핀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고정하기까지 시간이 소요되어 비상시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힌지부의 힌지축과 고정핀 중심까지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수직한 경우를 제외한 경사진 경우에는 약한 바람에 고정핀 또는 경첩(hinge)이 변형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도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닫힘 및 열림 상태를 동시에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30° 정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 부분을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45° 정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60° 정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수직하게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걸치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외압에 의한 누유, 유압배관 파손, 정전 등으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유압실린더 내에 동력 손실이 발생할 경우, 비상다리 등의 무게에 의해서 유압실린더가 파손되거나 가동보가 붕괴될 수 있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창출되었다.
참고로, 도개교(跳開橋)란 배가 통과할 때 교량을 움직여 배의 운행에 지장이 없도록 만들어진 다리를 의미하며, 가동교(可動橋)의 한 종류이다. 이에 대해 보통의 다리를 고정교(固定橋)라고 한다. 운하가 많은 네덜란드 등지에서는 지금도 가동교를 건설하는 일이 많은데, 배가 통과할 때 교량 위의 교통이 차단되고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그 모습이 사라져 가고 있다. 가동교에는 여러 가지 구조가 있는데 크게 도개교(跳開橋)와 선회교(旋回橋) 및 승개교(昇開橋)의 3종류로 구분되고 있다.
그 중 도개교는 교각 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교량을 위쪽으로 회전시켜 선박의 항행을 위해 공간을 만드는 형식이다. 도개교의 종류에는 경간(徑間)의 중앙에 절단면이 있어 교량의 중간 부분이 양쪽으로 올라가는 이엽식(二葉式)과, 경간의 한쪽에만 회전축이 있어 교량 전체를 한쪽으로 들어올리는 일엽식(一葉式)이 있다. 도개교는 개폐할 때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교량과 균형을 이룬 무거운 추(錘)를 갖추고 있지만, 교면에 풍압(風壓)을 받으면 상당히 큰 동력을 필요로 한다. 외관은 보통 다리와 같고, 개교(開橋)할 때는 선박 항행공간에 제약을 가장 적게 주기 때문에 가동교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닫힘 및 열림 상태를 동시에 도시한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30° 정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B' 부분을 도시한 정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45° 정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60° 정도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가 수직하게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200)는 상면이 평편하고 하부에 래크(rack)(213)가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며 제1 힌지부(211)와 힌지결합되어 회동(回動) 가능한 브릿지(bridge)부(210); 상기 브릿지부(210) 중앙 상측으로 소정 높이 'ㅅ'자 형상으로 고정된 암(arm)부(220); 일측이 제2 힌지부(231)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암부(220)와 힌지연결되며 신축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부(230); 상기 브릿지부(210)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래크(213)를 따라 슬라이드(slide)되는 안전장치부(240); 및 상기 안전장치부(240)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제3 힌지부(251)를 기준으로 회동(回動)하는 안전지지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힌지부(211, 231, 251) 각각은 지면(S)과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안전장치부(240)는 하우징(241) 내부에 슬라이드바(242)가 상기 래크(213)를 따라 움직이되 상기 브릿지부(210)를 하부에서 밀고 있는 스프링부(245)에 의해서 상기 래크(213)에 대응되되 상기 래크(213)보다 길이가 짧은 락킹래크(243)가 상기 래크(213)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부(230)의 작동으로 상기 브릿지부(210)가 상기 제1 힌지부(211)를 기준으로 회동하되, 상기 유압실린더부(230) 내의 유압이 기준치 이하로 갑자기 떨어지면 상기 브릿지부(210)가 상기 유압실린더부(230)에 의해서 지지받지 못하고 상기 스프링부(245)의 힘보다 큰 상기 브릿지부(210)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부(245)를 압착하여 상기 래크(213) 및 락킹래크(243) 사이가 맞물려 고정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힌지부(211)의 힌지축(211s)과 소정 거리 이격된 관통홀(212)에 고정핀(215)을 삽입하여 상기 브릿지부(210)를 수직·고정한다.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자동 락킹(locking)이 가능한 도개 장치(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bridge)부(210), 암(arm)부(220), 유압실린더부(230), 안전장치부(240); 및 안전지지부(250)를 포함한다.
브릿지(bridge)부(210)는 도 3, 도 4,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이나 하천 등을 연결하는 교량으로, 상면이 평편한 사각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평상시 차량이나 사람이 왕래할 수 있고 선박이 통과할 경우 개교(開橋)된다.
또한, 브릿지부(210)는 하부에 래크(rack)(213)가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며 제1 힌지부(211)와 힌지결합되어 회동(回動) 가능하게 형성된 가동프레임이다.
여기서, 래크(213)는 직선 부재의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톱니가 형성된 기어(gear)로, 브릿지부(210) 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제1 힌지부(21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S)과 견고하게 고정되는데, 힌지축(211s)이 형성되고 힌지축(211s)과 소정 거리 이격된 관통홀(21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212)에 고정핀(215)을 삽입할 수 있다.
즉, 브릿지부(210)를 수직·고정하고자 할 경우, 제1 힌지부(211)에 관통홀(212)이 있어 브릿지부(210)가 수직을 이룰 때 고정핀(215)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암(arm)부(2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부(210) 중앙 상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ㅅ'자 형상으로 브릿지부(210)에 고정되고, 후술하는 유압실린더의 힘에 의해서 제1 힌지부(211)를 기준으로 브릿지부(21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당기거나 밀 수 있는 힘 전달부가 된다.
유압실린더부(2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제2 힌지부(231)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암부(220)와 힌지연결되며 신축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2 힌지부(231)는 지면(S)과 견고하게 고정된다.
유압실린더부(230)는 작동유의 압력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유압 액츄에이터 중 왕복 직선 운동을 시행하는 것으로, 실린더(cylinder), 실린더 내의 피스톤(piston), 실린더 밖으로 노출되는 로드(rod) 등으로 구성되어 피스톤의 이동으로 로드(rod)가 신축(伸縮)되어 상기 로드(rod)와 힌지연결된 암부(220)에 힘을 전달하므로 일체로 결합된 브릿지부(210)가 힘을 받아 제1 힌지부(211)를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안전장치부(24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부(210) 하부에 부착되어 래크(213)를 따라 미끄러짐(slide) 이동을 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부(230)에 문제가 발생하면 브릿지부(210)의 하중에 의해서 자동으로 멈춰지게 한다.
안전장치부(2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41), 슬라이드바(242), 락킹래크(243), 스프링부(245), 지지판(246), 롤러부(247)을 포함한다.
안전장치부(240)는 외곽을 감싸는 하우징(241) 내에 슬라이드바(242)가 브릿지부(210)를 지지하면서 슬라이드(slide) 가능하고 스프링부(245)가 상기 슬라이드바(242)에 지지되어 락킹래크(243)를 하방으로 밀면서 래크(213)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유지시킨다.
이때, 하우징(241) 내에 슬라이드바(242)는 브릿지부(210)와 접촉하는 면에 그리스(grease)로 충전되어 래크(213)를 따라 원활하게 슬라이드(slide)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안전장치부(240)는 외곽을 감싸는 하우징(241) 내에 슬라이드바(242)가 브릿지부(210)를 그리스(grease)로 충전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밀고 있어 래크(213)를 따라 미끄러지듯이 원활하게 움직이되 슬라이드바(242)를 밀고 있는 스프링부(245)에 의해서 상기 래크(213)에 대응되되 상기 래크(213)보다 길이가 짧은 락킹래크(243)가 상기 래크(213)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유지시킨다.
또한, 안전장치부(240)는 스프링부(245) 하부에 지지판(246) 및 롤러부(247)가 내장되어 래크(213)를 따라 상측의 슬라이드바(242)와 동시에 하측의 롤러부(247)가 원활하게 구름 운동을 하여 이동하게 한다.
즉, 안전장치부(240)는 하우징(241) 내부에 슬라이드바(242)가 래크(213)를 따라 움직이되 브릿지부(210)를 하부에서 밀고 있는 스프링부(245)에 의해서 상기 래크(213)에 대응되되 상기 래크(213)보다 길이가 짧은 락킹래크(243)가 상기 래크(213)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유지시키고, 동시에 하측의 롤러부(247)가 구름 운동을 하여 상기 래크(213)를 따라 이동하게 한다.
안전지지부(250)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로 제3 힌지부(251)를 기준으로 회동(回動)하면서 안전장치부(240)를 하부에서 지지한다.
즉, 안전지지부(250)는 안전장치부(240)를 따라서 회전하게 되고 유압실린더부(230)에 문제가 발생하면 안전장치부(240)가 작동될 때 하부에서 안전장치부(240)를 지지한다.
여기서, 제3 힌지부(251)는 지면(S)과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부(230)의 작동으로 브릿지부(210)가 제1 힌지부(211)를 기준으로 회동하되, 상기 유압실린더부(230) 내의 유압이 기준치 이하로 갑자기 떨어지면 상기 브릿지부(210)가 상기 유압실린더부(230)에 의해서 지지받지 못하고 상기 스프링부(245)의 저항 힘보다 큰 상기 브릿지부(210)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부(245)를 압착하여 상기 래크(213) 및 락킹래크(243) 사이가 맞물려 고정되게 안전장치부(240)가 작동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2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상시 톱니끼리 맞물리지 않게 이격되게 하나 브릿지부(210)를 지탱하고 있는 유압실린더부(230)에 유압이 떨어질 경우 브릿지부(210)의 자중에 의하여 톱니가 맞물리면서 자동 잠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브릿지부(210)의 자체 중량과, 바람 등의 외압으로 인하여 위험으로부터 쉽게 노출을 피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안전장치부(240)로 인하여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근접센서 등을 별도로 구성하여 브릿지부가 경사진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핀으로 고정하므로, 안전이 확실하지 못하고 제작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전장치부는 갑작스럽게 유압실린더부 내 동력(유압 또는 공압) 손실이 발생할 경우(외압에 의한 누유, 유압배관 파손 등), 고정핀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고정하기까지 시간이 소요되어 비상시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힌지부의 힌지축과 고정핀 중심까지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수직한 경우를 제외한 경사진 경우에는 약한 바람에 고정핀 또는 경첩(hinge)이 변형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도개 장치
210 : 브릿지(bridge)부
220 : 암(arm)부
230 : 유압실린더부
240 : 안전장치부
250 : 안전지지부

Claims (2)

  1. 상면이 평편하고 하부에 래크(rack)가 길이방향으로 내설되며 제1 힌지부와 힌지결합되어 회동(回動) 가능한 브릿지(bridge)부;
    상기 브릿지부 중앙 상측으로 소정 높이 'ㅅ'자 형상으로 고정된 암(arm)부;
    일측이 제2 힌지부와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암부와 힌지연결되며 신축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부;
    상기 브릿지(bridge)부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래크(rack)를 따라 슬라이드(slide)되는 안전장치부; 및
    상기 안전장치부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제3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回動)하는 안전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힌지부 각각은 지면과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안전장치부는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드바가 상기 래크를 따라 움직이되 상기 브릿지부를 하부에서 밀고 있는 스프링부에 의해서 상기 래크에 대응되되 상기 래크보다 길이가 짧은 락킹래크가 상기 래크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유지시키고,
    상기 유압실린더부의 작동으로 상기 브릿지부가 상기 제1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되, 상기 유압실린더부 내의 유압이 기준치 이하로 갑자기 떨어지면 상기 브릿지부가 상기 유압실린더부에 의해서 지지받지 못하고 상기 스프링부의 힘보다 큰 상기 브릿지부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부를 압착하여 상기 래크 및 락킹래크 사이가 맞물려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의 힌지축과 소정 거리 이격된 관통홀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상기 브릿지(bridge)부를 수직·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
KR1020180094444A 2018-08-13 2018-08-13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 KR20200018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444A KR20200018961A (ko) 2018-08-13 2018-08-13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444A KR20200018961A (ko) 2018-08-13 2018-08-13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961A true KR20200018961A (ko) 2020-02-21

Family

ID=69671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444A KR20200018961A (ko) 2018-08-13 2018-08-13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89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431B1 (ko) * 2020-10-20 2021-02-16 우일산업 주식회사 기립상태를 지지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가동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271B1 (ko) 2017-08-25 2018-07-02 동근한 비상다리가 구성되어 있는 가동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271B1 (ko) 2017-08-25 2018-07-02 동근한 비상다리가 구성되어 있는 가동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431B1 (ko) * 2020-10-20 2021-02-16 우일산업 주식회사 기립상태를 지지하는 록킹장치를 포함하는 가동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193B1 (ko) 부체식 플랩 게이트
US9187186B2 (en) Reduced dimensions platform for the landing of an aircraft on an access facility
DE60220690T2 (de) Zwischen zwei positionen, eine auf dem boden aufliegende und eine schwimmende, bewegliche gebäudeanordnung
EP1846286B1 (en) Device for transporting structures on water
EP2971366B1 (en) Flood guard barrier lifting system
BR112012023556B1 (pt) plataforma autoelevatória para operações fora da costa, e, métodos para operar e para implementar uma plataforma autoelevatória fora da costa
EP2731862A1 (de) Anordnung von schwimmplattformen
KR20080041210A (ko) 접이식 붐
GB2560057A (en) Turbine deployment system
KR20200018961A (ko) 자동 락킹이 가능한 도개 장치
ES2736723T3 (es) Sistema para el montaje/desmontaje de palas en aerogeneradores
WO2010086133A2 (de) Einrichtung zum umwandeln der wellenenergie von wasser in mechanische und/oder elektrische energie
CN107207226A (zh) 稳定器装置
US6099207A (en) Offshore platform assembly
WO2018061324A1 (ja) 起伏ゲートの回転支承および起伏ゲート
KR101722956B1 (ko) 압력분산형 가동보
KR102542665B1 (ko) 해일 방재 전도형 차수벽
EP2045204A1 (en) Scissor lift
WO2016174919A1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NL1007432C2 (nl) Offshore platform inrichting.
CN109083885A (zh) 液压缸自锁装置及合页坝
US6598549B1 (en) Boat lift
KR101016771B1 (ko) 친환경 하천 자동 난간
KR102028419B1 (ko) 자동으로 인양되는 부잔교용 도교
US10895085B2 (en) System for adjusting surface le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