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916A -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 - Google Patents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916A
KR20200018916A KR1020180094328A KR20180094328A KR20200018916A KR 20200018916 A KR20200018916 A KR 20200018916A KR 1020180094328 A KR1020180094328 A KR 1020180094328A KR 20180094328 A KR20180094328 A KR 20180094328A KR 20200018916 A KR20200018916 A KR 20200018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ing edge
stay vane
stay
hydroelectric powe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식
서인호
Original Assignee
(주)대양수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수력 filed Critical (주)대양수력
Priority to KR102018009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8916A/ko
Publication of KR2020001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6Stators
    • F03B3/18Stator blades; Guide conduits or vanes, e.g.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02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with radial flow at high-pressure side and axial flow at low-pressure side of rotors, e.g. Francis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02E10/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이베인의 후연(trailing edge) 형상 변경을 통해 칼만 볼텍스의 크기를 저감하여 비정상 유동 및 압력맥동에 의한 진동을 저감하고, 진동에 의한 기계설비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은 전연(leading edge)에서부터 후연(trailing edge)까지 유선형의 에어포일(airfoil) 형태를 가지며, 후연은 상부면(압력면)이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절삭되어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Description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Stay Vane for Francis Turbine for Generation of Hydroelectric Power}
본 발명은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란시스 수차의 케이싱 내에 설치되어 유체의 유동을 내측의 런너(runner) 쪽으로 안내하는 스테이베인(stay vanes)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차는 수력에 의해 발전을 하는 기계장치로서, 주로 물의 낙차를 이용하여 발전기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는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장치를 수차(turbine)라고 한다. 즉, 수차 발전기는 물의 낙차를 이용하여 수차를 통해 발전기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수차는 크게 반동형과 충동형의 2가지로 분류할 수 있고, 반동형은 수차 전후 물의 압력 차이에서 에너지를 얻는 타입으로 수위 차이가 작지만 유량이 큰 조건에 적합하며, 프란시스형이나 프로펠러형 및 튜브형 등이 있다. 반면, 충동형은 물의 흐름의 운동에너지를 충돌시켜 에너지를 얻는 타입으로 유량은 적지만 수위 차이가 큰 조건에 적합하며, 펠톤형이나 타고형 및 크로스 흐름형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충동형 수차보다는 반동형 수차가 대부분이며, 반동형 수차 중에서도 프란시스형이 압도적이다. 이러한 프란시스 수차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런너(runner, 회전차)가 스파이럴(spiral) 형상의 케이싱 유로(casing)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 유로의 외주와 연결된 유입관로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런너의 원주방향을 거쳐 축방향으로 유출된다. 프란시스 수차는 런너 또는 유입관로의 설치 방식에 따라 수평형 또는 수직형으로 구분된다.
프란시스 수차는 해당 장소에 설치하기 전에 설치되는 장소의 수량 및 낙차를 주요조건으로 기타 주어지는 환경요건에 따라 최적의 효율 달성을 위하여 런너, 스테이베인(stay vanes) 및 가이드베인(guide vanes) 등의 종류나 깃수, 배치 등이 면밀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수차의 운전 시 케이싱 유로 내부에서 유체가 스테이베인 등의 안내를 받으면서 유동하는 과정에서 칼만 볼텍스에 의한 압력 맥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 맥동은 진동을 유발하여 기계설비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므로 압력 맥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테이베인의 형상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9054호(2014.04.1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6841호(2016.06.30. 등록)
본 발명은 스테이베인의 후연(trailing edge) 형상 변경을 통해 칼만 볼텍스의 크기를 저감하여 비정상 유동 및 압력맥동에 의한 진동을 저감하고, 진동에 의한 기계설비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은, 케이싱 유로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케이싱 유로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된 것으로, 전연(leading edge)에서부터 후연(trailing edge)까지 유선형의 에어포일(airfoil) 형태를 가지며, 후연은 상부면(압력면)이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절삭되어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베인의 후연에서의 칼만 볼텍스의 크기가 저감되어 비정상 유동 및 압력맥동에 의한 진동이 저감되고, 따라서 진동에 의해 기계 설비에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이 구성된 케이싱 유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베인의 형태(Case B)와 비교예 1(Case A) 및 비교예 2(Case C)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칼만 볼텍스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칼만 볼텍스 유동해석 결과를 통해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에 대한 압력맥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의 압력맥동에 대한 주파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5의 주파수 분석 결과를 통해 얻어진 주파수-스트로우홀 수(Frequency-strouhal Number)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에 대한 압력맥동 억제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을 후술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란시스 수차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케이싱 유로(10)의 내부에 발전기와 연결되는 런너(runner)(미도시)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런너의 외측에 유체(물)의 흐름을 원주방향으로(엄밀히 말하면 반경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복수의 스테이베인(20)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런너(미도시)와 상기 스테이베인(20) 사이에 물의 흐름을 상기 런너를 향해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베인(30)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스테이베인(20)은 전연(leading edge)(21)에서부터 후연(trailing edge)(22)까지 유선형의 에어포일(airfoil) 형태를 가지며, 후연(22)의 상부면(압력면)이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절삭되어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스테이베인(20)의 후연(22)이 상부면이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게 되면 스테이베인(20) 후연(22)에서의 칼만 볼텍스의 크기가 저감되어 압력맥동이 저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베인(20)의 실시예(Case B)와 비교예 1(Case A) 및 비교예 2(Case C)의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실시예(Case B)의 스테이베인(20)은 후연(22)의 압력면이 후방으로 절삭되어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반면에 비교예 1(Case A)은 후연(22)이 하부면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비교예 2(Case C)는 후연(22)의 하부면이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다.
도 3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스테이베인(20) 후연의 칼만 볼텍스 유동해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후연 형상에 따른 압력맥동을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칼만 볼텍스 유동 해석 결과로 얻어진 압력맥동에 대한 주파수 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5의 주파수 분석 결과를 통해 얻어진 주파수-스트로우홀 수(Frequency-strouhal Number)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6의 분석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스테이베인(20) 실시예에서 압력맥동 억제 효과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테이베인(20)의 후연 형상에 따른 압력맥동 억제도는 압력면 절삭 형태를 갖는 실시예(Case B)가 94.3%로 가장 높게 나타나 압력맥동에 의한 진동 저감 효과가 가장 크며, 압력맥동에 기인한 진동으로 인한 기계 파손 및 비정상 유동의 위험이 가장 낮아 프란시스 수차의 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비교예 2(Case C)의 경우 압력맥동 억제도는 90.0%이고, 비교예 1(Case A)은 압력맥동 억제도가 90.5% 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케이싱 유로 20 : 스테이베인(stay vanes)
21 : 전연전연(leading edge) 22 : 후연(trailing edge)
30 : 가이드베인(guide vanes)

Claims (1)

  1. 케이싱 유로 내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케이싱 유로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를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된 것으로,
    전연(leading edge)에서부터 후연(trailing edge)까지 유선형의 에어포일(airfoil) 형태를 가지며, 후연은 상부면(압력면)이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절삭되어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는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
KR1020180094328A 2018-08-13 2018-08-13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 KR20200018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328A KR20200018916A (ko) 2018-08-13 2018-08-13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328A KR20200018916A (ko) 2018-08-13 2018-08-13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916A true KR20200018916A (ko) 2020-02-21

Family

ID=6967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328A KR20200018916A (ko) 2018-08-13 2018-08-13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89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9032A (zh) * 2023-11-17 2023-12-19 哈尔滨大电机研究所有限公司 一种混流式水泵水轮机波形活动导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054B1 (ko) 2012-12-10 2014-04-2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일체형 케이싱 시스템을 구비한 수력기계
KR101636841B1 (ko) 2013-06-05 2016-07-20 알스톰 르네와블 테크놀로지즈 에너지 변환 설비 보수 방법 및 보수된 에너지 변환 설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054B1 (ko) 2012-12-10 2014-04-28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일체형 케이싱 시스템을 구비한 수력기계
KR101636841B1 (ko) 2013-06-05 2016-07-20 알스톰 르네와블 테크놀로지즈 에너지 변환 설비 보수 방법 및 보수된 에너지 변환 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9032A (zh) * 2023-11-17 2023-12-19 哈尔滨大电机研究所有限公司 一种混流式水泵水轮机波形活动导叶
CN117249032B (zh) * 2023-11-17 2024-03-15 哈尔滨大电机研究所有限公司 一种混流式水泵水轮机波形活动导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694B2 (en) Wheel for a hydraulic machine, a hydraulic machine including such a wheel, and an energy conversion installation equipped with such a hydraulic machine
EP2769083B1 (en) Compact blade for runner of francis turbine and method for configuring runner
KR20200018916A (ko) 수력발전용 프란시스 수차의 스테이베인
NO334130B1 (no) Anordning ved løpehjul for hydraulisk strømningsmaskin
JP2009257094A (ja) 軸流水力機械のランナベーン
CN108691717B (zh) 双转轮的混流式水轮机
US10480480B2 (en) Hydraulic turbine
CN109885886B (zh) 一种减小多级泵扬程曲线驼峰的水力设计方法
US1748892A (en) Hydraulic process and apparatus
KR102075020B1 (ko) 수차 및 소수력 발전장치
CN108005834A (zh) 一种水流式向心涡轮
CN109763928B (zh) 导流叶片以及流体机械
KR20120110270A (ko) 수로 내에 설치되는 횡류형 수류수차
CN107762713B (zh) 一种适用于大流量的多功能减压阀
KR101406180B1 (ko) 개선된 흡출관을 구비한 수력기계
KR20220122130A (ko) 프란시스형 수차의 캐비테이션 저감 구조
CN202946437U (zh) 二代加核主泵推力轴承油叶轮
CN217502089U (zh) 一种用于立式离心泵的下沉式进口导叶
JP6370591B2 (ja) 水力機械
JP6132708B2 (ja) 水車ランナおよび水車
Sridharan et 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small hydro electric power plant due to cavitation in turbine runner casings
JP6132736B2 (ja) カプラン水車
Sridharan et al. Investigations on Deformation in Discharge ring and Outer Distributor Cone Performance in Small Hydro Power Plants with Cavitation
CN206448899U (zh) 一种斜击式水轮机
CN103016392A (zh) 二代加核主泵推力轴承油叶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