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743A - 열풍기 - Google Patents

열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743A
KR20200018743A KR1020180088862A KR20180088862A KR20200018743A KR 20200018743 A KR20200018743 A KR 20200018743A KR 1020180088862 A KR1020180088862 A KR 1020180088862A KR 20180088862 A KR20180088862 A KR 20180088862A KR 20200018743 A KR20200018743 A KR 20200018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hot air
blower
electric heater
h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덕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창화에너지
박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창화에너지, 박창덕 filed Critical (주)창화에너지
Priority to KR1020180088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8743A/ko
Publication of KR2020001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85The tubes containing an electrically heated intermediate fluid, e.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히터로 물을 가열하고 별도의 펌프 없이도 물의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열 교환 파이프에 온수를 공급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송풍부에 의해 형성된 바람과 열 교환을 통해 열풍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열 교환 파이프 내의 온수는 온도가 낮아져 하부 수평관에서 가열된 물과 대류되어 열 교환 파이프 내로 온도가 높은 물이 채워지게 된다.

Description

열풍기{AIR HEATER}
본 발명은 열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실내 외 난방에 있어서 적당한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온풍/열풍기가 사용되었다. 특히 석유, 가스 및 석탄 등의 가연성 물질을 발화시켜 가열시키는 온풍기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연성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연료 비용 및 유지 비용이 크고 가연성 물질이 연소하며 실 내외 산소량을 줄이고 공기 오염을 유발할 수 있어 별도의 환기 시설이나 정화시설이 필요했다.
또한, 종래의 온풍 또는 열풍을 형성하는 방식으로는 전기히터에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 또는 히터의 열기만으로 난방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종래의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강한 열기로 인해 공기 중의 산소를 연소시키기 때문에 일산화탄소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장시간 호흡 시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생명에 위협을 주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었다.
전기를 이용하여 온풍 혹은 열풍을 형성하는 경우 상술한 문제점은 해결될 수 있다. 다만, 열풍기의 경우 가열을 위한 구성 및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여 선풍기와 비교할 때 크기가 크다. 또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이 선풍기에 비해 많으므로 무게도 선풍기보다 무겁다. 따라서 선풍기에 비해 열풍기는 장치의 이동이 쉽지 않다. 또한, 열풍기는 일반적으로 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를 가열된 열매체유 또는 가열된 물과 열 교환을 통해 열풍을 형성하고, 열풍을 장치외부로 송풍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므로 가열 방식이나 방열 구조에 따라 장치의 효율이 크게 좌우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8241호(2017.08.0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별도의 펌프없이 작동되는 열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이 용이한 열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가 가열된 물 또는 열 매채유와의 충분한 열교환이 가능한 열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히터와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체를 수용하는 하부 수평관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와 일측이 연통되고 상기 하부 수평관과 수직을 이루는 복수 개의 열 교환 파이프 및 상기 열 교환 파이프들의 타측과 연통되는 상부 수평관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열 교환부, 열 교환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 및 열 교환부 및 송풍부를 수용하고 일 측에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송풍부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복수 개의 열 교환 파이프 사이를 통과하며 가열되어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기를 제공한다.
또한, 전기히터는 하부 수평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전기히터를 통해 하부 수평관에 수용된 가열유체가 가열됨에 따라 열 교환 파이프 및 상부 수평관에 수용되어 있는 가열유체와 대류될 수 있다.
또한, 송풍부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열 교환 파이프들을 통과할 때 공기의 진행방향을 바꿔주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는 상기 열 교환 파이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히터는 외주면에 열 전달부를 포함하여 열 전달부를 통해 가열유체가 가열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하측에 복수 개의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열유체는 물 또는 열매체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별도의 펌프없이 열 교환부를 통해 공기측으로 방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장치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를 통해 작은 공간에서 공기와 물간에 열교환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설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부의 배치에 따라 필요한 온도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내부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내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열 교환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열 교환부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하부 수평관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열 교환부가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일측", "타측", "상부", "하부"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에 앞서, 온풍 및 열풍은 온도범위로 용어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온도범위의 경계가 모호한 점, 두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점에 비추어 본원 명세서에서는 “열풍”이라는 용어로 통일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다만, 일각에서의 기준처럼 100℃ 혹은 그 이상의 온도범위의 바람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배출할 때 가열된 공기를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음을 분명히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열풍이라는 단어는 온도범위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내부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10)는 복수 개의 열 교환부(100), 송풍부(200) 및 열 교환부(100) 및 송풍부(200)를 수용하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300)은 후술할 가열유체가 가열되는 온도, 가이드부의 개폐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320), 위급한 상황 시 사용될 수 있는 전원 차단부(330), 열풍기(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휠(340) 및 하우징(3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는 공기 배출구(31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배출구(310)는 내부에서 형성된 바람이 외부로 송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면 족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태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손이나 발이 열풍기(10)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 결정된 크기의 격자가 복수 개 형성되도록 배출구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300)에는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도 2의 35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개폐부(350)를 통해 열풍기(10) 내부를 수리하거나 부품을 교체할 수 있다.
휠(340)는 열풍기(10)가 필요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열풍기(10)를 이동시킬 때 편리성을 위해 배치될 수 있으며, 크기나 용도에 따라 휠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고 배치되는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 교환부(100)는 전기히터(112)와 전기히터로부터 가열될 수 있는 가열유체를 수용할 수 있고, 하우징(300)의 하측면에 수평하게 관의 형태로 형성된 가열부(110), 가열부(110)와 일 측이 연통되고 하부 수평관(111)과 수직을 이루는 복수 개의 열 교환 파이프(120) 및 열 교환 파이프(120)의 타측과 연통되고 상측면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상부 수평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유체는 물 또는 열매체유일 수 있다.
열 교환부(100)는 하우징(300) 내에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송풍부(200)로부터 공기가 진행되는 방향에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열 교환부(100)의 배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열 교환부(100)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복수 개의 상부 수평관(130)의 상측에는 가열유체가 저장될 수 있는 유체탱크(131)가 형성될 수 있어 작동시 열 교환부(100)로 가열유체를 주입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하부 수평관(111)을 유체통로(미도시됨)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국소적으로 가열되어 열풍기의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외각에 배치된 하부 수평관(111)에는 유체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어, 열풍기(10)의 외부로 가열유체를 제거할 수 있다. 유체통로는 하부 수평관(111)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하부 수평관(111)의 일면에 개구부(미도시됨)가 형성되는 방식 또는 호스 등을 통해 가열유체가 하부 수평관(111)들 간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즉, 상부 수평관(130)에서 가열유체를 주입할 수 있고 하부 수평관(111)에서 가열유체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열풍기(10) 내부에 있는 가열유체를 영구적으로 쓰지 않고 교체할 수 있다. 영구적으로 쓰지 않고 교체 가능하다는 의미는 열풍기(10)를 작동할 때마다 가열유체를 교체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내부 청소나 위생상의 문제로 내부에 있는 가열유체를 갈아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송풍부(200)는 팬(210), 공기 유입구(미도시) 및 모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20)를 통해 팬(210)을 회전시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열풍기(10) 내부에서 바람을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바람은 열 교환부(100)를 지나며 가열된 후 공기 배출구(310)로 배출될 수 있다. 바람의 세기를 높이기 위해 팬(210)을 더욱 빠르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송풍부(200)는 고압의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어 강한 풍압을 갖도록 바람이 형성될 수 있다.
송풍부(200)는 하우징(30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의 일측에는 공기 배출구(31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송풍부(200)가 공기 배출구(310)와 멀리 떨어질수록 바람이 열 교환부(100)측에 체류되는 시간이 길어져 공기에서의 열 교환에 유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내부 평면도이다.
하나의 열 교환부(100)는 복수 개의 열 교환 파이프(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열 교환 파이프(120)의 경우 열풍기(10)의 크기에 따라 배치되는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열 교환 파이프(120)는 하부 수평관(111) 및 상부 수평관(130)과 수직이 되며 연통될 수 있다.
도 3에는 송풍부(200)와 열 교환 파이프(120)사이에 공간이 작게 표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바람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송풍부(200)와 송풍부(200)에 가장 인접한 열 교환부(100)가 어느 정도의 이격거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열 교환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의 열 교환부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열 교환부(100)는 하부 수평관(111), 복수 개의 열 교환 파이프(120) 및 상부 수평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수평관(111)에는 가열유체가 수용될 수 있고, 일측에 전기히터(112)가 삽입될 수 있다. 전기히터(112)는 하부 수평관(111)에 하나만 수용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 개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배치되는 전기히터(112)의 수는 히터의 성능 및 가열시킬 가열유체의 용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열 교환 파이프(120)는 일측이 하부 수평관(111)과 연통되고 타측이 상부 수평관(130)과 연통될 수 있다. 열 교환 파이프(12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제작단가를 줄이기 위해서 원기둥 형상이 선택될 수 있다. 사각기둥의 열 교환 파이프가 사용될 경우 원형의 열 교환 파이프가 선택될 경우와 같은 부피의 물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재료가 필요하다.
도 4에서는 복수 개의 열 교환부(100)가 모두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열 교환부(100)를 연결시킬 때 열 교환 파이프(120)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 파이프(120)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열 교환 파이프(120)가 서로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경우와 바람의 이동경로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전기히터(112)를 통해 가열된 가열유체는 열 교환부(100) 내에서 대류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물을 포함한 액체의 경우 온도에 따라 밀도가 달라지므로 차가운 물질을 아래로 가라앉고 뜨거운 물질을 위로 떠오른다. 따라서 하부 수평관(111)에서 가열유체가 가열되면 위로 떠오르게 되고 상부 수평관(130) 및 열 교환 파이프(120)에 수용되어있는 가열유체는 이에 대응하여 아래로 가라앉아 전기히터(112)로부터 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송풍부(200)에 의해 형성된 바람으로 인해 열 교환 파이프(120) 내의 가열유체의 온도가 내려가면 가라앉아 전기히터(112)로부터 열을 공급받을 수 있고, 그 자리에 이미 가열되어있던 가열유체가 올라가 채워주면서 열풍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열유체로서 물이 사용되는 경우, 물의 온도를 약 100℃ 이하로 가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압에서 물은 100℃에서 끓게 되어 수증기가 되므로 100℃이상의 온도에서는 제어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물이 사용되는 경우 폭발이나 화재의 위험이 없기 때문에 안정성 측면세어 유리할 수 있다.
반면에, 가열유체로서 열매체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매체유의 온도를 약 250℃ 정도로 가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약 250℃의 온도로 유지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열풍의 온도를 일시적 혹은 한시적으로 약 300℃까지 승온시킬 수도 있다.
열매체유는 물에 비해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물에 비해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도 기화되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물이 사용되는 경우보다 고온의 바람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물이 사용되는 경우 물때와 같은 불순물이 발생할 수 있으나, 열매체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10)는 별도의 펌프없이도 지속적으로 열 교환 파이프(120)에 가열된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물은 0 내지 4℃ 사이에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밀도가 커지나 본 발명의 사용목적상 0 내지 4℃ 사이에서 작동되지 않으므로 논외로 한다.
상부 수평관(130)은 온도센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132)는 가열유체, 즉 물 또는 열매체유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부 수평관(130)측에 온도센서(132)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충분하게 가열된 가열유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132)를 통해 상부 수평관(130) 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전기히터(112)의 정상작동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공기배출구(310)로부터 배출되는 바람의 온도 등을 예상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전기히터(112)가 하부 수평관(111)에 2개 삽입되어있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및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기히터(112)가 2개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각각의 전기히터(112)는 봉 형태로 형성된 히터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봉이 휘어진 형태, 즉, U자형의 형태를 띨 수 있다. 전기히터(112)의 형상은 물과 접촉면적이 커지도록 형성되면 족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기히터(112)는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히터(112)가 하부 수평관(111)에 삽입될 때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히터(112)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 수평관(111)의 일면에 전기히터(11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10)의 하부 수평관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부 수평관(111)은 전기히터(112')의 외부에 형성되는 열 전달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달부(115)는 효율을 위해 카본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전기히터(112)가 직접 물과 닿아 가열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에서는 전기히터(112')가 직접 물과 닿지 않고 열 전달부(115)를 통해 가열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를 직접가열식, 후자를 간접가열식으로 지칭하여 설명하는 것일 수 있다.
간접가열식으로 물이 가열되는 경우에는 전기히터(112)에 물때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기히터(112)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직접가열식의 경우 열전달률이 간접가열식에 비해 높을 수 있다.
열풍을 형성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접가열식 및 간접가열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나, 열매체유가 사용되는 경우 직접가열식을 선택하게 되면 화재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열매체유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간접가열식으로 열매체유를 가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열풍기의 열 교환부가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10)의 열 교환부(100)는 열 교환 파이프(120)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21)는 열 교환 파이프(120)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부(200)로부터 형성된 바람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송풍부(200)로부터 형성된 바람이 열 교환 파이프(120) 사이를 이동하며 가열되어 열풍이 형성될 수 있는데, 열 교환부(100)에 바람이 체류하는 시간이 많아지는 경우 높은 온도의 열풍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풍기(10)는 사용목적, 용도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나, 크기가 결정되면 내부에 배치할 수 있는 열 교환부(100)의 숫자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열 교환부(100)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가이드부(121)를 통해 송풍부(200)에서 형성된 바람이 열 교환 파이프(120)와 열 교환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가이드부(121)는 각각의 열 교환 파이프(120)간에 모두 배치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가이드부(121)가 각각의 열 교환 파이프(120)에 배치되는 경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제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이드부(121)가 배치됨으로써 공기는 열 교환 파이프(120)와 충분한 열 교환을 할 수 있다. 도 7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송풍부(200)와 가장 인접한 열 교환 파이프(120)들 중 송풍부(200)에서 형성된 바람이 바로 만나는 열 교환 파이프(120)들에는 가이드부(121)가 형성되어 양측으로 공기가 나뉘며 열교환을 할 수 있다. 송풍부(200)와 가장 인접한 열 교환부(100)의 양 측에서 가열된 바람이 송풍부(200)와 2번째로 인접한 열 교환부(100)로 이동되어 가이드부(121)로 연결된 2개의 열 교환 파이프(120)들을 지나게 될 수 있다. 다만, 도 7과 같이 가이드부(121)가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열풍기
100: 열 교환부
110: 가열부
111: 하부 수평관
112: 전기히터
113: 고정부재
114: 유체 배출구
115: 열 전달부
120: 열 교환 파이프
121: 가이드부
130: 상부 수평관
131: 유체탱크
132: 온도센서
200: 송풍부
210: 팬
220: 모터
300: 하우징
310: 공기 배출구
320: 제어부
330: 전원 차단부
340: 휠
350: 개폐부

Claims (8)

  1. 전기히터와 상기 전기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유체를 수용하는 하부 수평관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가열부와 일측이 연통되고 상기 하부 수평관과 수직을 이루는 복수 개의 열 교환 파이프 및 상기 열 교환 파이프들의 타측과 연통되는 상부 수평관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열 교환부;
    상기 열 교환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부; 및
    상기 열 교환부 및 상기 송풍부를 수용하고 일 측에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부에서 송풍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복수 개의 열 교환 파이프 사이를 통과하며 가열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열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는 상기 하부 수평관에 삽입되어 있는, 열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를 통해 상기 하부 수평관에 수용된 상기 가열유체가 가열됨에 따라 상기 열 교환 파이프 및 상기 상부 수평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가열유체와 대류되는, 열풍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에서 송풍되는 상기 공기가 상기 열 교환 파이프들을 통과할 때 상기 공기의 진행방향을 바꿔주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열풍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열 교환 파이프 사이에 배치되는, 열풍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히터는 외주면에 열 전달부를 포함하여 상기 열 전달부를 통해 상기 가열유체가 가열되는, 열풍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측에 복수 개의 휠을 더 포함하는, 열풍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유체는 물 또는 열매체유인, 열풍기.
KR1020180088862A 2018-07-30 2018-07-30 열풍기 KR20200018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62A KR20200018743A (ko) 2018-07-30 2018-07-30 열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862A KR20200018743A (ko) 2018-07-30 2018-07-30 열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743A true KR20200018743A (ko) 2020-02-20

Family

ID=6964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862A KR20200018743A (ko) 2018-07-30 2018-07-30 열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87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241B1 (ko) 2016-01-26 2018-06-28 강민영 피티시 히터를 갖춘 전기 열풍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241B1 (ko) 2016-01-26 2018-06-28 강민영 피티시 히터를 갖춘 전기 열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4972B2 (ja) 冷暖風送風機
US10502368B2 (en) Indirect fluid heater
CN110736088B (zh) 一种根据水位控制阀门开闭的蒸汽发生器
CN110736373B (zh) 一种自主加热的环路热管蓄热器
KR20200018743A (ko) 열풍기
CN111256504A (zh) 一种根据蓄热温度控制阀门和电加热器的蓄热器
US3612004A (en) Water heater
KR20200041048A (ko) 열풍기
KR200466598Y1 (ko) 전기 온수 보일러
CN110864573A (zh) 一种根据温度加热的环路热管蓄热器
KR20120003597A (ko) 전기 보일러
KR20160142070A (ko) 다중코일로 이루어진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KR101607239B1 (ko) 이중관식 보일러
KR101641698B1 (ko) 병렬식 코일형 열교환기를 이용한 온수공급장치
KR101991373B1 (ko) 전기 스팀 보일러
KR101415957B1 (ko) 보일러용 인덕션 가열기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장치
TWI789946B (zh) 瞬熱型加熱裝置
CN101280959B (zh) 油水交换采暖热水两用机
KR20060087356A (ko) 열교환기 및 이를 채용한 스팀/온수 공급시스템
KR20110111264A (ko) 열매체 보일러
KR101607238B1 (ko) 복합식 보일러
KR101516889B1 (ko) 고분자 촉매 발열체를 이용한 보일러
KR101712018B1 (ko) 순차식 순간 열교환보일러
US20190376726A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KR20220125193A (ko) 보조 가열수단을 갖는 열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