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603A -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603A
KR20200018603A KR1020207000769A KR20207000769A KR20200018603A KR 20200018603 A KR20200018603 A KR 20200018603A KR 1020207000769 A KR1020207000769 A KR 1020207000769A KR 20207000769 A KR20207000769 A KR 20207000769A KR 20200018603 A KR20200018603 A KR 20200018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lunger rod
retaining
radially
releas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4648B1 (ko
Inventor
에리카 안드레
린다 오델베르그
안데르스 홀름크비스트
파르 레안더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1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65Administration mechanisms, i.e. constructional features, modes of administering a dose
    • A61M5/31576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 A61M5/3157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 A61M5/3158Constructional features or modes of drive mechanisms for piston rods based on axial translation, i.e. components directly operatively associated and axially moved with plunger rod performed by axially moving actuator operated by user, e.g. an injection bu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61M2005/208Release is possible only when device is pushed against the skin, e.g. using a trigger which is blocked or inactive when the device is not pushed against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6Fully automatic sleeve extens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sleeve does not require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 A61M2005/3267Biased sleeves where the needle is uncovered by insertion of the needle into a patient'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약물 전달 장치(1)용 투여 조립체(10)에 관련된다. 투여 조립체는 플런저 로드(15)와, 플런저 로드 홀더(21)와, 플런저 로드 홀더(21)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활성화 슬리브(23)를 포함한다. 트리거 부재는 활성화 슬리브(23)를 플런저 로드 홀더(21)에 대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플런저 로드(15)는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플런저 로드 홀더(21)에 대해 축방향으로 로킹되도록 구성된다. 플런저 로드(15)는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될 때 축방향으로 로킹되는 것이 해제된다.

Description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의료 장치에 관련된다. 특히, 본 개시는 약물 전달 장치(medicament delivery device)용 투여 조립체(administration assembly), 및 투여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에 관련된다.
약물 전달 장치, 특히 자기 주사기(auto-injector)와 같은 자동 투여 장치는 전형적으로 스프링 편향형(spring-biased)이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는, 예를 들어 장치를 주사 부위를 향해 가압하여 전달 부재 커버를 근위방향으로 하우징 내로 더 이동시켜 장치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또는 외부 버튼 또는 슬라이더(slider)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국제 공개 제 WO 2011/043714 호는 하우징, 제 1 활성화기 부재(activator member), 제 2 활성화기 부재, 플런저 로드(plunger rod) 및 제 1 압축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동 기구, 및 바늘 실드 슬리브(needle shield sleeve)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제 2 활성화기는 활성화 이전에 플런저 로드를 축방향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플런저 로드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근위방향 연장 가요성 텅부(proximally extending flexible tongue)를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은 가요성 텅부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고 가요성 텅부에 의한 반경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활성화기 부재로 인해 달성된다. 따라서, 가요성 텅부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활성화기 부재는 바늘 실드 슬리브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서 원위방향으로 가요성 텅부로부터 멀리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가요성 텅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져서 플런저 로드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플런저 로드는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 전에, 가요성 텅부는 제 1 압축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전방 편향력(forward-biasing force)을 받아서, 가요성 텅부가 시간 경과에 따라 약화된다. 가요성 텅부가 스프링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신장되므로 가요성 텅부의 단면 치수가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되기 때문에, 이러한 기계적 약화가 생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약물 전달 장치가 보다 긴 기간, 예를 들어 2년 동안 보관 상태로 유지되면, 가요성 텅부의 플라스틱 구조체가 실질적으로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압축 스프링은 장기간 보관 후에도 가요성 텅부에 손상을 주지 않는 전방 편향력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보다 높은 점도를 갖는 액체 약물쪽으로의 추세가 있어 왔다. 이러한 추세는 오늘날 과거보다 큰 분자를 함유하는 약물로 인해 주도되고 있다. 그러한 약물은 전형적으로 바이오시밀러(biosimilar)이다. 보다 높은 점도를 갖는 약물을 배출할 수 있기 위해서는, 플런저 로드에 대한 보다 높은 편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높은 플런저 로드 편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를 고려하여, 본 개시의 일반적인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키는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가 제공되며, 이 투여 조립체는, 플런저 로드와, 플런저 로드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제 1 탄성 부재와, 플런저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세장형의 플런저 로드 홀더와, 플런저 로드 홀더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플런저 로드 홀더에 대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제 1 위치를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된 활성화 슬리브를 포함하며, 플런저 로드 홀더는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를 갖고, 플런저 로드는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를 가지며, 제 1 위치에서, 활성화 슬리브는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를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와의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에서,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는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에 대한 근위방향으로 지향된 이동이 방지되어, 플런저 로드를 플런저 로드 홀더에 대해 축방향으로 로킹시키며, 제 2 위치에서, 활성화 슬리브는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가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제 1 탄성 부재에 의해 제공된 플런저 로드의 편향은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가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에 근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작용하게 하여,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를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서 플런저 로드를 플런저 로드 홀더로부터 해제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리거 부재는 활성화 슬리브의 근위 단부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를 갖는 전달 부재 커버이다.
일 실시예는 활성화 슬리브를 제 1 위치를 향해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는 반경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1 아암 및 반경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2 아암을 포함하며,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플런저 로드 홀더의 본체에 대한 부착부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해결책과 대조적으로, 제 1 아암은 초기에 압축된 상태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 1 아암은 활성화 슬리브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당기는 힘을 받지 않을 것이고, 결과적으로 제 1 아암은 보다 긴 기간 동안 보관되더라도 기계적으로 약화되지 않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슬리브는 활성화 슬리브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의 반경방향 외측 휨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는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와의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에서 유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성화 슬리브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지거나 피봇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아암은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을 갖고, 제 2 아암은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은, 서로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활성화 슬리브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에 대해 근위에 위치되어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의 근위방향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는 활성화 슬리브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는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를 포함하며,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와의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의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에서,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은 제 1 개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은 제 2 개구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활성화 슬리브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은 제 1 개구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게 되고,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은 제 2 개구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 및 제 1 개구는 협동하는 경사면을 갖고,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 및 제 2 개구는 협동하는 경사면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는 제 1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 및 제 2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의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에서,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은 제 1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의 제 1 근위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은 제 2 반경방향 외측 연장 부분의 제 2 근위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은 활성화 슬리브가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제 1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 및 제 2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를 제 1 아암 및 제 2 아암으로부터 결합해제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 및 제 1 근위면은 협동 경사면을 갖고,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 및 제 2 근위면은 협동하는 경사면을 갖는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약물 전달 장치가 제공되며, 이 약물 전달 장치는, 하우징과, 활성화 슬리브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트리거 부재와,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제 1 양태에 따른 투여 조립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원에서 달리 명시적으로 규정되지 않는 한, 본 기술 분야에서의 일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일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시적으로 기술되지 않는 한,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등의 적어도 하나의 예시를 언급하는 것으로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개념의 특정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써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투여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일 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투여 조립체의 제 1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투여 조립체의 플런저 로드 홀더 및 플런저 로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a 및 도 4b는 투여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특정 구성요소가 제거된 상태의 도 4a 및 도 4b의 투여 조립체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투여 조립체의 제 2 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투여 조립체의 플런저 로드 홀더 및 플런저 로드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8a 내지 도 8c는 다양한 작동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투여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원위 부분의 종단면을 도시하며,
도 9a 내지 도 9c는 다양한 작동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투여 조립체의 변형예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의 원위 부분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이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개념이 이하에서 보다 충분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개념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가 철저해지고 완전해지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 개념의 범위를 완전히 전달하도록 예로서 제공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도면 부호가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근위 단부(proximal end)"는, 투여 조립체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약물 전달 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에 가장 근접한 투여 조립체의 해당 단부를 지칭한다.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의 근위 단부는 약물 배출 동안에 주사 부위를 향하여 있는 해당 단부이다. 투여 조립체의 임의의 구성요소를 지칭할 때에도 동일한 고려사항이 적용된다. "원위 단부(distal end)"는 근위 단부에 대한 반대측 단부이다. "근위방향" 및 등가적으로, "근위방향으로"는 투여 조립체의 중심 축을 따라 원위 단부로부터 근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원위방향" 또는 "원위방향으로"는 "근위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약물 전달 장치(1)의 일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약물 전달 장치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투여 조립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자기 주사기이다.
약물 전달 장치(1)는 근위 단부(3a) 및 원위 단부(3b)를 갖는 하우징(3)과, 하우징(3)의 근위 단부(3a)의 근위 개구로부터 연장되는 전달 부재 커버(5)와, 후방 단부 캡(7)을 포함한다.
전달 부재 커버(5)는 근위방향으로 편향되어 있다. 전달 부재 커버(5)는 하우징(3)에 대해 선형으로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전달 부재 커버(5)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3)에 대한 연장 위치(extended position)와 하우징(3)에 대한 수축 위치(retract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수축 위치에서는, 연장 위치에서보다 전달 부재 커버(5)의 더 큰 부분이 하우징(3)에 의해 수용된다. 전달 부재 커버(5)는 연장 위치를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약물 전달 장치(1)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부재 커버(5)는 제 1 전달 부재 커버 아암(5a) 및 제 2 전달 부재 커버 아암(5b)과, 전달 부재 커버(5)의 연장 위치에서 하우징(3)으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된 원통형 근위 부분(5c)을 갖는다. 제 1 전달 부재 커버 아암(5a) 및 제 2 전달 부재 커버 아암(5b)은 근위 부분(5c)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된다.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약물 전달 장치(1)는 약물 용기(9), 스토퍼(stopper)(11) 및 약물 용기 홀더(medicament container holder)(13)를 포함할 수 있다. 약물 용기 홀더(13)는 하우징(3)에 장착되고, 약물 용기(9)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약물 용기(9)는 개방된 원위 단부를 통해 스토퍼(1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플런저 로드(15), 제 1 탄성 부재(17), 예를 들어 스프링, 안내 로드(19), 플런저 로드 홀더(21), 활성화 슬리브(activation sleeve)(23) 및 제 2 탄성 부재(25), 예를 들어 스프링을 포함하는 투여 조립체(10)를 더 포함한다. 투여 조립체(10)는 또한 여기서는 전달 부재 커버(5)에 의해 예시된 트리거 부재(triggering member)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 홀더(21)는 플런저 로드(1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플런저 로드는 내측 축방향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제 1 탄성 부재(17)는 플런저 로드(15)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 1 탄성 부재(17)는 플런저 로드(15)의 축방향 채널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제 1 탄성 부재(17)는 축방향 채널 내에 배열될 때 안내 로드(19)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높은 강성의 제 1 탄성 부재(17)의 굽힘이 방지될 수 있다.
플런저 로드(15)는 플런저 로드(15)의 외부면의 원위 단부 부분 상에 제공된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를 갖는다. 본 예에서,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는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 또는 날개부(wing)(16)를 포함한다.
플런저 로드 홀더(21)는 플런저 로드(1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약물 전달 장치(1)의 사용 전에, 플런저 로드(15)는 플런저 로드 홀더(21)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플런저 로드 홀더(21)는 플런저 로드(15)의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와 협동하도록 구성된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를 갖는다. 약물 투여 전에,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는 활성화 슬리브(23)에 의해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와의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활성화 슬리브(23)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이고, 플런저 로드 홀더(21)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활성화 슬리브(23)는 플런저 로드 홀더(21)에 대해 제 1 또는 초기 위치로부터 제 1 또는 초기 위치에 대해 원위에 위치된 제 2 또는 해제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활성화 슬리브(23)는 플런저 로드 홀더(21)를 원주방향으로 둘러싸고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와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활성화 슬리브(23)는 본 예에서는 전달 부재 커버(5)인 트리거 부재에 의해 초기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전달 부재 커버(5)는 활성화 슬리브(23)의 근위 단부(23b)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5d)를 갖는다. 본 예에서, 제 1 전달 부재 커버 아암(5a) 및 제 2 전달 부재 커버 아암(5b)은 활성화 슬리브(23)의 근위 단부(23b)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활성화 슬리브(23)가 원위방향으로 제 2 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는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와의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와의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의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는 플런저 로드(15)를 플런저 로드 홀더(21)와의 축방향 인터로킹 상태(axially interlocked state)로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플런저 로드(15)는 약물 용기(9) 내로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약물이 배출될 수 있다.
제 2 탄성 부재(25)는 활성화 슬리브(23)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편향으로 인해, 활성화 슬리브(23)는 전달 부재 커버(5)의 원위 단부(5d)에 대해 지지된다. 본 예에 따르면, 활성화 슬리브(23)는 원위 플랜지(23a)가 제공된 외부면을 갖는다. 제 2 탄성 부재(25)는 플랜지(23a) 및 후방 단부 캡(7)에 대해 지지되도록 플랜지(23a)와 후방 단부 캡(7) 사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2 탄성 부재(25)는 활성화 슬리브(23)의 근위 단부(23b)가 전달 부재 커버(5)의 원위 단부(5d)와 접촉하도록 활성화 슬리브(23)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킬 것이다.
이제 도 3a를 참조하면, 약물 전달 장치(1)가 하우징(3)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탄성 부재(25)는 후방 단부 캡(7)과 플랜지(23a)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부재 커버(5)를 원위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활성화 슬리브(23)는 도시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할 것이다. 따라서, 제 2 탄성 부재(25)는 압축되어 활성화 슬리브(23) 및 전달 부재 커버(5)를 근위방향으로, 즉 각각 제 1 위치 및 연장 위치를 향해 편향시킬 것이다.
본 예에 따르면, 후방 단부 캡(7)은 플런저 로드 홀더(21)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관형 본체(7a)를 갖는다. 관형 본체(7a)는 플런저 로드 홀더(21)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관형 본체(7a)는 리세스(7b)를 갖고, 플런저 로드 홀더(21)는 리세스(7c)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 돌출부(21b)를 갖는다. 따라서, 후방 단부 캡(7) 및 플런저 로드 홀더(21)는 서로에 대해 축방향 및 회전방향으로 로킹된다.
도 3b는 플런저 로드 홀더(21) 및 그 안에 수용된 플런저 로드(15)를 도시하고 있다. 플런저 로드 홀더(21)는 반경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1 아암(21c) 및 반경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2 아암(21d)을 갖는다.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플런저 로드 홀더(21)의 본체와의 부착부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그들의 부착부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원위방향 연장 아암이다.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본 예의 경우와 같이 플런저 로드 홀더(21)의 본체와 일체형일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본 예에 따르면, 플런저 로드 홀더(21)의 본체에는 2개의 반경방향 관통 개구(21e)가 제공되며, 그 중 하나만이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반경방향 관통 개구(21e)는 플런저 로드 홀더 구조체의 기계적 강도를 약화시키고, 각각의 힌지 구조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반경방향 관통 개구(21e)는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지거나 피봇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제 1 아암(21c)은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을 갖는다. 제 2 아암(21d)은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을 갖는다.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은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각각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의 원위 단부 부분에 제공된다.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은 서로를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아암(21c)과 제 2 아암(21d) 사이의 거리는 제 1 아암(21c)과 제 2 아암(21d)을 따르는 다른 곳보다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과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 사이에서 더 짧다.
플런저 로드(15)에는, 본 예에서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6)를 포함하는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가 제공된다.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6)는 플런저 로드(15)의 원위 단부 부분 상에 제공된다.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은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6)에 대해 근위에 위치된다.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6)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에 대해 지지된다. 이러한 경우에, 활성화 슬리브(23)의 내부면은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에 대해 지지되어,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지거나 피봇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이전에 방지한 내부면도 또한 제 1 아암(21c)과 제 2 아암(21d)을 원위방향으로 지나서 원위방향으로 이동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지거나 피봇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경방향 제한면(radially delimiting surface)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제 1 탄성 부재(17)에 의해 제공된 높은 근위방향 편향으로 인해,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6)는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압박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는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과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 사이의 순간적으로 팽창된 갭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도 4a는 활성화 슬리브(23)가 플런저 로드 홀더(21) 위에 제공된 상태의 투여 조립체(10)를 도시하고 있다. 활성화 슬리브(23)는 원위 부분(23c) 및 근위 부분(23d)을 갖는다. 원위 부분(23c)은 근위 부분(23d)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도 4a에 도시된 활성화 슬리브(23)의 제 1 위치에서, 원위 부분(23c)은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을 원주방향으로 둘러싸고, 그에 따라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의 반경방향 외측 이동을 방지한다.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2 위치로 원위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원위 부분(23c)보다 큰 내경을 갖는 근위 부분(23d)은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을 원주방향으로 둘러쌀 것이다.
도 4b에서, 활성화 슬리브(23)는 하기에서의 구성요소의 예시를 위해 제거되었다. 활성화 라인(27)은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기 전에, 활성화 슬리브(23)의 원위 부분(23d)의 후연부가 원위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로질러야 하는 축방향 위치를 표시한다.
도 5에는, 약물 투여 동안, 약물 전달 장치(1)가 사용중인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약물 투여 이전에, 전달 부재 커버(5)는 투여 부위에 대해 배치되고 그 부위를 향해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전달 부재 커버(5)는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를 향해 하우징 내로 이동된다. 따라서, 전달 부재 커버(5)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슬리브(23)를 원위방향으로 가압한다. 도 5에서, 활성화 슬리브(23), 특히 그것의 원위 부분(23c)은 활성화 라인(27)을 지나서 이동하였다. 이에 의해,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 즉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는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을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하여,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d)을 지나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가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을 지나서 이동했다면,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도 5에 도시된 초기 평행 위치로 다시 이동된다. 이제, 플런저 로드(15)는 플런저 로드 홀더(21)로부터 결합해제되고, 스토퍼(11)를 약물 용기 내부로 전방으로 가압하여 약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6은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약물 전달 장치(1')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약물 전달 장치(1')는 이전에 설명된 투여 조립체(10)와 상이한 투여 조립체(10')를 갖는다. 플런저 로드 홀더 및 플런저 로드 구성은 이전 예와 비교하여 상이하다.
도 7은 플런저 로드 홀더(21') 및 플런저 로드 홀더(21')에 의해 수용된 플런저 로드(15')를 도시하고 있다. 플런저 로드 홀더(21')는 반경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1 아암(21'c) 및 반경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2 아암(21'd)을 포함한다.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플런저 로드 홀더(21')의 본체와의 부착부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원위방향 연장 아암이다.
도 8a는 약물 배출/투여 이전의 디폴트 상태에 있는 약물 전달 장치(1')의 원위 부분의 종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본 예에 따르면, 플런저 로드(15')는 제 1 개구(16'a) 및 제 2 개구(16'b)를 포함하는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를 갖는다. 제 1 개구(16'a) 및 제 2 개구(16'b)는 플런저 로드(15')의 외부면에 제공된 반경방향 개구이다. 제 1 개구(16'a) 및 제 2 개구(16'b)는 플런저 로드(15')의 원주방향으로 약 180° 이격되어 제공된다.
제 1 아암(21'c)에는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돌출부(22'a)가 제공되고, 제 2 아암(21'c)에는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돌출부(22'b)가 제공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돌출부(22'a)는 제 1 개구(16'a)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 1 파지 부재이고,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돌출부(22'b)는 제 2 개구(16'b)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 2 파지 부재이다.
활성화 슬리브(23)는 원위 부분(23c) 및 근위 부분(23d)을 갖는다. 원위 부분(23c)은 근위 부분(23d)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다.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원위 부분(23c)의 내부면에 대해 지지된다. 따라서,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이러한 상황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예에서,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제 1 아암(21'c)은 원위 부분(23c)의 내부면에 대해 지지된 돌출부를 갖고, 제 2 아암(21'd)은 원위 부분(23c)의 내부면에 대해 지지된 돌출부를 갖는다.
도 8b는 약물 투여가 시작되었을 때를 도시하고 있다. 전달 부재 커버(5)는 연장 위치로부터 수축 위치를 향해 이동되었고, 활성화 슬리브(23)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되었다. 활성화 슬리브(23)는 이제 막 활성화 라인(27)을 지나서 이동하였고, 그에 따라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질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은 플런저 로드(15')의 제 1 개구(16'a) 및 제 2 개구(16'b)로부터 결합해제되어, 플런저 로드(15')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 1 개구(16'a) 및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은 협동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 2 개구(16'b)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은 협동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들 협동하는 경사면은 플런저 로드 홀더(21')와 플런저 로드(15') 사이의 결합해제를 용이하게 한다.
도 8c에서, 플런저 로드(15')는 플런저 로드 홀더(21')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되고, 플런저 로드 홀더(21')에 대해 근위방향으로 이동되었다.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초기 위치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다시 이동되었다.
도 9a 내지 도 9c는 플런저 로드(15') 및 플런저 로드 홀더(21')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서, 플런저 로드(15")는 제 1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b) 및 제 2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c)를 포함하는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를 갖는다. 제 1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b) 및 제 2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c)는 플런저 로드(15")의 원위 단부 부분에 배열된다. 플런저 로드 홀더(21")는 도 8a 내지 도 8c의 예와 유사하지만, 여기서는 제 1 아암(21"c)의 내부면은 경사져 있고, 제 1 아암(21"c)의 반경방향 두께가 근위방향으로 증가한다. 또한, 제 2 아암(21"d)의 내부면은 경사져 있고, 제 2 아암(21"d)의 반경방향 두께가 근위방향으로 증가한다. 이러한 구성은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의 반경방향 외측 휨/굽힘을 용이하게 한다.
제 1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b)는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제 1 근위면(15"d)을 갖는다. 제 2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c)는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제 2 근위면(15"e)을 갖는다. 제 1 근위면(15"d)은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의 대응면과 같이 경사져 있다. 제 2 근위면(15"e)은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의 대응면과 같이 경사져 있다. 이러한 구성은 활성화 슬리브(23)의 원위 부분이 도 9b에 도시된 활성화 라인(27)을 지나서 이동할 때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의 반경방향 팽창을 용이하게 한다.
도 9b에서, 활성화 슬리브(23)의 원위 부분(23c)은 활성화 라인(27)을 지나서 이동하였다. 따라서, 제 1 아암(21"c) 및 제 2 아암(21"d)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져서, 근위방향으로 편향된 플런저 로드(15"), 및 특히 제 1 반경방향 외측 연장 부분(15"b) 및 제 2 반경방향 외측 연장 부분(15"c)이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 아래로 통과할 수 있게 한다.
도 9c는 제 1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b) 및 제 2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c)가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을 지나서 이동하고, 플런저 로드(15")가 근위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 개념이 주로 몇 개의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기에 개시된 것과는 다른 실시예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 개념의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가능하다.

Claims (14)

  1. 약물 전달 장치(1; 1')용 투여 조립체(10; 10'; 10")에 있어서,
    플런저 로드(15; 15'; 15")와,
    상기 플런저 로드(15; 15'; 15")를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제 1 탄성 부재(17)와,
    상기 플런저 로드(15; 15'; 1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세장형의 플런저 로드 홀더(21; 21'; 21")와,
    상기 플런저 로드 홀더(21; 21'; 21")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런저 로드 홀더(21; 21'; 21")에 대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 편향되도록 구성된 활성화 슬리브(23)를 포함하며,
    상기 플런저 로드 홀더(21; 21'; 21")는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 21'a)를 갖고, 상기 플런저 로드(15; 15'; 15")는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 15'a; 15"a)를 가지며,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활성화 슬리브(23)는 상기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 21'a)를 상기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 15'a; 15"a)와의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에서, 상기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 15'a; 15"a)는 상기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 21'a)에 대한 근위방향으로 지향된 이동이 방지되어, 상기 플런저 로드(15; 15'; 15")를 상기 플런저 로드 홀더(21; 21'; 21")에 대해 축방향으로 로킹시키며,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활성화 슬리브(23)는 상기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 21'a)가 상기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로부터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탄성 부재(17)에 의해 제공된 상기 플런저 로드(15; 15'; 15")의 편향은 상기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 15'a; 15"a)가 상기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 21a')에 근위방향으로 지향된 힘을 작용하게 하여, 상기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 21'a)를 상기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플런저 로드(15; 15'; 15")를 상기 플런저 로드 홀더(21; 21'; 21")로부터 해제시키는
    투여 조립체(10; 10'; 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슬리브(23)를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 근위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된 제 2 탄성 부재(25)를 포함하는
    투여 조립체(10; 10'; 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 21a')는 반경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1 아암(21c; 21'c; 21"c) 및 반경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2 아암(21d; 21'd; 21"d)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아암(21c; 21'c; 21"c) 및 상기 제 2 아암(21d; 21'd; 21"d)은 상기 플런저 로드 홀더(21; 21'; 21")의 본체에 대한 부착부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투여 조립체(10; 10'; 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슬리브(23)는 상기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아암(21c; 21'c; 21"c) 및 상기 제 2 아암(21d; 21'd; 21"d)의 반경방향 외측 휨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 21'a)는 상기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 15'a; 15"a)와의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에서 유지되는
    투여 조립체(10; 10'; 1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슬리브(23)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아암(21c; 21'c; 21"c) 및 상기 제 2 아암(21d; 21'd; 21"d)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지거나 피봇될 수 있게 되는
    투여 조립체(10; 10'; 10").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암(21c; 21'c; 21"c)은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22'a; 22"a)을 갖고, 상기 제 2 아암(21d; 21'd; 21"d)은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 22'b; 22"b)을 갖는
    투여 조립체(10; 10'; 1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상기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은, 서로를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에 대해 근위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의 근위방향 이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투여 조립체(1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는 상기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상기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6)를 포함하는
    투여 조립체(10).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는 제 1 개구(16'a) 및 제 2 개구(16'b)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와의 상기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21'a)의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에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은 상기 제 1 개구(16'a)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은 상기 제 2 개구(16'b)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은 상기 제 1 개구(16'a)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은 상기 제 2 개구(16'b)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게 되는
    투여 조립체(10').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상기 제 1 개구(16'a)는 협동하는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 및 상기 제 2 개구(16'b)는 협동하는 경사면을 갖는
    투여 조립체(10').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지 및 해제 구조체(15"a)는 제 1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b) 및 제 2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c)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지 및 해제 구조체의 축방향 로킹 접촉 위치에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은 상기 제 1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b)의 제 1 근위면(15"d)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은 상기 제 2 반경방향 외측 연장 부분(15"c)의 제 2 근위면(15"e)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아암(21"c) 및 상기 제 2 아암(21"d)은 상기 활성화 슬리브(23)가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반경방향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b) 및 상기 제 2 반경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15"c)를 상기 제 1 아암(21"c) 및 상기 제 2 아암(21"d)으로부터 결합해제시키는
    투여 조립체(1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a) 및 상기 제 1 근위면(15"d)은 협동 경사면을 갖고, 상기 제 2 반경방향 내측 연장 부분(22"b) 및 상기 제 2 근위면(15"e)은 협동하는 경사면을 갖는
    투여 조립체(10").
  13. 약물 전달 장치(1; 1')에 있어서,
    하우징(3)과,
    활성화 슬리브(23)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트리거 부재(5)와,
    상기 하우징(3)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여 조립체(10; 10'; 10")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1; 1').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5)는 상기 활성화 슬리브(23)의 근위 단부(23b)에 대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원위 단부(5d)를 갖는 전달 부재 커버인
    약물 전달 장치(1; 1').
KR1020207000769A 2017-07-12 2018-07-02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414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80913.0 2017-07-12
EP17180913 2017-07-12
PCT/EP2018/067779 WO2019011690A1 (en) 2017-07-12 2018-07-02 ADMINISTRATION ASSEMBLY FOR A MEDICINE DELIVERY DEVICE AND DRUG DELIVE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603A true KR20200018603A (ko) 2020-02-19
KR102414648B1 KR102414648B1 (ko) 2022-06-30

Family

ID=5932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769A KR102414648B1 (ko) 2017-07-12 2018-07-02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357927B2 (ko)
EP (1) EP3651836A1 (ko)
JP (1) JP6970293B2 (ko)
KR (1) KR102414648B1 (ko)
CN (1) CN110769874B (ko)
TW (1) TWI678220B (ko)
WO (1) WO201901169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6490B1 (ko) * 2023-02-15 2024-06-21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82089B1 (ko) * 2023-02-15 2024-07-05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94755B1 (ko) * 2023-04-11 2024-08-14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94749B1 (ko) * 2023-04-05 2024-08-14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94741B1 (ko) * 2023-03-29 2024-08-14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WO2024172557A1 (ko) * 2023-02-15 2024-08-22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136A (ko) * 2011-12-15 2017-09-18 에스에이치엘 그룹 에이비 자동 주입 장치
CA3127718C (en) * 2019-02-26 2023-10-17 Becton Dickinson France Rigid needle shield remover with drop test feature for autoinjector
CN110681004A (zh) * 2019-11-15 2020-01-14 苏州嘉树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注射器
US20220387726A1 (en) * 2019-11-27 2022-12-08 Shl Medical Ag Drive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EP4384243A1 (en) 2021-08-13 2024-06-19 SHL Medical AG Medicament delivery device
EP4173656A1 (en) 2021-10-27 2023-05-03 medmix Switzerland AG Needle guard,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O2024188695A1 (en) 2023-03-14 2024-09-19 Shl Medical Ag Diameter extension device for medicament delivery device
WO2024188692A1 (en) 2023-03-14 2024-09-19 Shl Medical Ag Medicament delivery device
WO2024188693A1 (en) 2023-03-14 2024-09-19 Shl Medical Ag Medicament delivery device
WO2024188691A1 (en) 2023-03-14 2024-09-19 Shl Medical Ag Medicament delivery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714A1 (en) * 2009-10-08 2011-04-14 Shl Group Ab Medicament delivery device
WO2014195183A1 (en) * 2013-06-03 2014-12-11 Novo Nordisk A/S Medical injection device
JP2015504713A (ja) * 2011-12-21 2015-02-16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自動注射器
KR20150135444A (ko) * 2013-03-25 2015-12-02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파워 팩 로크
US20160008541A1 (en) * 2013-03-22 2016-01-14 Tecpharma Licensing Ag Substance dispensing device with signa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9629A1 (en) * 2010-06-28 2011-12-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EP2699290A1 (en) * 2011-04-21 2014-02-26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Medicated module with lock ring
WO2013104414A1 (en) * 2012-01-10 2013-07-1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Guiding assembly for intradermal injection
EP2926861B1 (en) * 2012-03-14 2019-01-30 SHL Medical AG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9901680B2 (en) * 2012-06-29 2018-02-27 Novo Nordisk A/S Spring driven injection device
CH707898A2 (de) 2014-07-29 2014-10-15 Tecpharma Licensing Ag Autoinjektor mit einstellbarer Dosis.
US10363373B2 (en) * 2015-04-24 2019-07-30 Shl Medical Ag Medicament delivery device
CH711240A2 (de) * 2015-06-23 2016-12-30 Tecpharma Licensing Ag Autoinjektionsvorrichtung.
JP2018537251A (ja) 2015-12-14 2018-12-20 ケアベイ・ヨーロッパ・リミテッドCarebay Europe Limited 薬剤送達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3714A1 (en) * 2009-10-08 2011-04-14 Shl Group Ab Medicament delivery device
JP2015504713A (ja) * 2011-12-21 2015-02-16 サノフィ−アベンティス・ドイチュラント・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自動注射器
US20160008541A1 (en) * 2013-03-22 2016-01-14 Tecpharma Licensing Ag Substance dispensing device with signaling device
KR20150135444A (ko) * 2013-03-25 2015-12-02 케어베이 유럽 리미티드 파워 팩 로크
WO2014195183A1 (en) * 2013-06-03 2014-12-11 Novo Nordisk A/S Medical injection devic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6490B1 (ko) * 2023-02-15 2024-06-21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82089B1 (ko) * 2023-02-15 2024-07-05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WO2024172557A1 (ko) * 2023-02-15 2024-08-22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94741B1 (ko) * 2023-03-29 2024-08-14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94749B1 (ko) * 2023-04-05 2024-08-14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694755B1 (ko) * 2023-04-11 2024-08-14 주식회사 비에스엘 자동 약물 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7968A (zh) 2019-03-01
CN110769874A (zh) 2020-02-07
CN110769874B (zh) 2022-02-01
US11357927B2 (en) 2022-06-14
JP2020527439A (ja) 2020-09-10
US20220241518A1 (en) 2022-08-04
JP6970293B2 (ja) 2021-11-24
TWI678220B (zh) 2019-12-01
WO2019011690A1 (en) 2019-01-17
EP3651836A1 (en) 2020-05-20
KR102414648B1 (ko) 2022-06-30
US20200147321A1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8603A (ko)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KR102399468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투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US11944789B2 (en) Autoinjector with a signaling device
KR102359225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안전 조립체
JP6334717B2 (ja) 自動インジェクタのための安全装置
JP7459220B2 (ja) 自動挿入注射器
EP2451506B1 (en) Injection device
KR102423473B1 (ko) 지지 구조체
KR102232351B1 (ko)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기구
KR20200018593A (ko) 약물 전달 장치용 운반 조립체, 및 그것을 포함한 약물 전달 장치
KR20180082552A (ko) 약물 전달 장치
KR102564150B1 (ko) 활성화 방지 캡 조립체
TW201739440A (zh) 用於藥物輸送裝置的容器保持總成和包括容器保持總成的藥物輸送裝置
US10857285B2 (en) Support structure
CN114728126A (zh) 用于药剂输送装置的驱动组件
CN119031948A (zh) 用于将产品自动注射到注射部位的自动注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3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