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963A -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963A
KR20200017963A KR1020180093569A KR20180093569A KR20200017963A KR 20200017963 A KR20200017963 A KR 20200017963A KR 1020180093569 A KR1020180093569 A KR 1020180093569A KR 20180093569 A KR20180093569 A KR 20180093569A KR 20200017963 A KR20200017963 A KR 20200017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tardation film
polarizing plate
retardation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진
고동호
양형일
정철인
이명호
김이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9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7963A/ko
Publication of KR20200017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8Inspecting transparent materials or objects, e.g. windscree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6Optical defects in or on transparent materials, e.g. distortion, surface flaws in conveyed flat sheet or r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 방지 필름에 포함된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 서로 90도의 광축 차이를 갖는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사이에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 위에 코팅된 상기 위상차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편광판과 인접한 측에 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제2 편광판과 인접한 측에 검출 소자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상쇄용 위상 지연층을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상기 제1 편광판, 상기 기재층 위에 코팅된 상기 위상차 필름, 상기 상쇄용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제2 편광판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검출 소자에 휘점으로 나타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위상차 필름의 불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은 비등방성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METHOD FOR INSPECTING DEFECT OF COATING TYPE RETARDATION FILM}
본 발명은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는 빛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가지고 화상을 표시하는 자발광형 표시 장치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의 전극 및 여러 금속 배선들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전극과 배선들은 외부에서 유입된 빛(외광)을 반사한다. 이러한 외광 반사로 인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밝은 환경에서 검은색 표현이 어렵고 낮은 콘트라스트비를 나타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외광 반사 방지용 편광 구조물이 유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접착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반사 방지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사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반사 방지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외광 반사를 위해 1/4 파장판(Quater Wave Plate; QWP)이 포함된 반사 방지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1/4 파장판 역할을 하는 액정층(LC layer)을 기재층에 해당하는 등방성 필름인 TAC 필름(Tri-acetyl-cellulose film)에 코팅한 후에, TAC 필름을 PVA 필름(Polyvinyl Alcohol film)에 접착시킨다.
도 2를 참고하면, 1/4 파장판 역할을 하는 액정층을 PET 필름(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과 같은 저가형 비등방성 필름을 사용한 캐리어에 코팅한 후, 미리 PVA 필름과 코팅된 접착층(Adhesion layer)에 액정층을 전사한 후 캐리어를 제거한다.
반사 방지 필름의 박형화를 위해 도 1의 반사 방지 필름에서 도 2의 반사 방지 필름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도 1과 같이 제조된 반사 방지 필름의 경우, 위상차 필름의 제조시 등방성 필름을 기재층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코팅 공정에서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가 가능하다. 하지만, 도 2와 같이 제조된 반사 방지 필름의 경우, 기재층에 해당하는 캐리어는 버려지는 필름이기 때문에 저가형의 PET 필름을 사용하는데, TAC 필름과 달리 PET 필름은 비등방성 필름이므로 코팅 공정 중에 위상차 필름의 품질 검사가 어려운 점이 있다.
실시예들은,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기재층으로 비등방성 필름을 사용하면서도 코팅 공정 중에 결함 검사가 가능한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 방지 필름에 포함된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 서로 90도의 광축 차이를 갖는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사이에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 위에 코팅된 상기 위상차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편광판과 인접한 측에 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제2 편광판과 인접한 측에 검출 소자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상쇄용 위상 지연층을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상기 제1 편광판, 상기 기재층 위에 코팅된 상기 위상차 필름, 상기 상쇄용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제2 편광판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검출 소자에 휘점으로 나타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위상차 필름의 불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은 비등방성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에 사용된 상기 비등방성 필름은, 배향각이 -4 내지 4도인 PET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비등방성 필름의 배향각 범위는 상기 비등방성 필름의 전체 영역에서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상쇄용 위상 지연층은, 상기 위상차 필름과 동일한 위상차를 갖고, 상기 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수직인 광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편광판의 광축은 0도이고, 상기 제2 편광판의 광축은 90도일 수 있다.
상기 제1 편광판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후 원편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원편광된 빛이 상기 상쇄용 위상 지연층을 통과한 후 선편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을 통과한 빛은 통과 전후에 선편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은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차 필름의 불량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반사 방지 필름에 부착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상기 제1 편광판과 상기 위상차 필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위상차 PET 필름을 코팅 기재층으로 사용하고 코팅형 위상차 필름을 상쇄할 수 있는 새로운 위상 지연층을 추가함으로써 코팅 공정 중에 결함 검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반사 방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PVA 필름에 위상차 필름을 부착하기 전인 코팅 공정 중에 결함 검사를 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이 부착된 반사 방지 필름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기재층으로부터 위상차 필름을 박리하고 다시 코팅하거나 기재층 위에 위상차 필름을 다시 코팅함으로써 결함을 바로 잡을 수 있기 때문에, 결함에 의한 비용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착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반사 방지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사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반사 방지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코팅 기재층으로 등방성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출 시스템의 편광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광특성을 상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코팅 기재층으로 비등방성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출 시스템의 편광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서 도시한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에 따라 불량을 확인하는 휘점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에 따라 불량을 확인하는 휘점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시스템에서 상쇄용 위상 지연층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나타나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3은 코팅 기재층으로 등방성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출 시스템의 편광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액정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의 결함을 검사하기 위해, 2개의 편광판(20, 50)을 크로스하여 빛을 차단시키고, 제1 편광판(20)과 제2 편광판(50) 사이에 위상차 필름(40)을 배치한다. 위상차 필름(40)은 기재층(30) 위에 코팅되고, 기재층(30)은 제1 편광판(20)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광원(10)에서 발생된 빛이 제1 편광판(20), 기재층(30), 위상차 필름(40) 및 제2 편광판(50)을 차례로 지나 검출 소자(60)에 도달하는 경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제1 편광판(20)은 45도의 광축을 가질 수 있고, 제2 편광판(50)은 -45도의 광축을 가질 수 있으며, 위상차 필름(40)은 45도의 광축을 가질 수 있다. 검출 소자(60)는 카메라, 광학 현미경 등과 같이 빛을 감지하는 수단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함이 없는 위상차 필름(40)이라면 광원(10)에서 발생한 빛은 제1 편광판(20), 기재층(30) 및 위상차 필름(40)을 통과한 후에 제2 편광판(50)에서 차단되어 검출 소자(60)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반면, 위상차 필름(40)의 결함 때문에, 애초 차단되어야 할 빛이 제2 편광판(50)을 통과하여 검출 소자(60)에 도달하게 되면 휘점으로 나타나고, 이를 통해 위상차 필름(40)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이처럼 불량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위상차 필름(40)이 코팅되는 기재층(30)이 TAC 필름과 같은 등방성 필름이어야 하고, 만약 기재층(30)이 PET 필름과 같은 비등방성 필름인 경우에는 위상차 필름(40)에 포함된 액정의 편광 상태를 변형시키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불량 검출이 어렵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광특성을 상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기재층(31) 위에 코팅된 위상차 필름(41)과 인접하도록 상쇄용 위상 지연층(100)을 배치할 수 있고, 상쇄용 위상 지연층(100)은 위상차 필름(41)과 동일한 위상차를 가지며 위상차 필름(41)의 광축과 수직인 광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위상차 필름(41)에 포함된 액정의 광특성이 위상 지연층(100)을 통과하면서 상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41)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 방지 필름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된 전극 및 여러 금속 배선들이 외부에서 유입된 빛을 반사하여 콘트라스트비를 낮추는 문제를 반사 방지 필름에 포함된 위상차 필름(41)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재층(31)은 비등방성 필름을 포함한다. 이처럼 기재층(31)으로서 비등방성 필름인 PET 필름을 사용하게 되면 빛이 통과할 때 위상차 필름(41)에 포함된 액정의 편광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위상차 필름(41)에 인접하게 상쇄용 위상 지연층(100)을 배치하게 되면 변형된 액정의 광특성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때, 기재층(31)은 비등방성 필름 중에서 비교적 배향각이 균일한 PET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PET 필름의 경우, PET 필름을 제조할 때 이축 연신을 하고, 이축 연신 공정에서 필름이 받는 힘의 크기의 편차가 발생하므로 배향각에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필름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배향각 값을 가지기 때문에 위상차 필름(41)의 정확한 불량 검출이 어렵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검출 방법에 따르면, 정확한 불량 검출을 위해서 비교적 배향각이 균일한 PET 필름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즉, 필름의 전체 영역에서 편차가 작은 배향각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기재층(31)에 포함된 PET 필름은 배향각이 -7 내지 7도이고,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재층(31)에 포함된 PET 필름의 배향각은 -4도 내지 4도 이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재층(31)에 사용되는 PET 필름의 예로서, 토요보(Toyobo)사의 고위상차 필름(Super retarder film; SRF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용화된 SRF 필름의 배향각은 대략 -7 내지 7도이고, 위상차는 대략 8000 나노미터이상이다. SRF 필름은 2축 연신을 할때, 횡방향 및 종방향의 연신 비율 조정을 통해 배향각을 0에 가까운 값으로 만들기 때문에 배향각 편차가 작은 필름이 만들어질 수 있다. 즉, 균일한 배향각을 갖는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대략 1000mm로 슬릿팅된 SRF 필름을 폭방향(횡방향)을 따라 100mm 간격으로 위상차 및 배향각을 측정한 데이터를 나타내고, 하기 표 2는 일반적인 PET 필름을 폭방향을 따라 100mm 간격으로 위상차 및 배향각을 측정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배향각이 0도에 가까울수록 위상차 필름(41)의 결함 검사에 유리하고, 일반적인 PET 필름의 경우에는 배향각이 0도에 가까운 부분이 SRF 필름 대비하여 매우 협소하여 결함 검사를 하기에 매우 불리하다. 일반 PET의 경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필름 위치에서는 배향각이 0에 가까운 값을 보이긴 하지만, 그 값 분포가 균일하지 않고 편차가 심하다. 반면 SRF 필름의 경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의 전체 영역에서 -4 내지 4도의 배향각을 가짐으로써 균일한 배향각을 나타낼 수 있다.
Position
(mm)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위상차
(nm)
13184.2 13143.1 13145.9 13083.6 13058.2 13139.4 13049.1 12979.9 13018.1
배향각
(°)
3.2 3.6 2.9 2.8 2.7 3.6 2.5 2.0 2.1
Position
(mm)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위상차
(nm)
5600.6 5668.2 5694.1 5724.9 5767.7 5797.1 5787.2 5789.8 5780.4
배향각
(°)
10.1 8.8 7.1 5.5 3.6 2.1 0.2 -1.2 -2.7
도 6은 코팅 기재층으로 비등방성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출 시스템의 편광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0도 내지 4도의 배향각을 갖는 SRF 필름에 액정을 코팅하여 기재층(31)에 코팅된 위상차 필름(41)의 제품을 준비하고, 이를 피검사 대상으로 하여 제1 편광판(21)과 제2 편광판(51) 사이에 배치한다. 제1 편광판(21)은 0도의 광축을 갖고, 제2 편광판(51)은 90도의 광축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서 설명한 등방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코팅 기재층처럼 각각 45도와 -45도의 광축을 갖는 제1 편광판과 제2 편광판을 사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출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기재층(31)으로 비등방성 필름을 사용해야 하는데, 편광판의 광축을 고려하여 45도 또는 -45도의 배향각을 갖는 PET필름을 현실적으로 제조하기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도 5에서 설명한 기재층(31)이 제1 편광판(21)을 향하도록 하고, 위상차 필름(41)과 제2 편광판(51) 사이에 상쇄용 위상 지연층(100)이 배치되도록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광원(10)과 검출 소자(60)의 위치는 서로 자리바꿈 할 수 있다. 광원(10)과 검출 소자(60)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검출 방법은 빛의 투과 및 차단을 이용하는 검출법이기 때문에 편광이 변화하는 모습은 실질적으로 차이가 없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함이 없는 위상차 필름(41)이라면 광원(10)에서 발생한 빛은 제1 편광판(21), 기재층(31), 위상차 필름(41) 및 상쇄용 위상 지연층(100)을 통과한 후에 제2 편광판(51)에서 차단되어 검출 소자(60)에서 검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광원(10)에서 발생한 빛은 광축이 0도인 제1 편광판(21)을 통과하면서 선편광으로 변하고, 기재층(31)을 통과하면서 선편광 상태가 유지되며, 위상차 필름(41)을 통과한 후 원편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후 상쇄용 위상 지연층(100)을 통과하면서 다시 선편광으로 변형되고, 광축이 90도인 제2 편광판(5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비편광 상태인 광원(10)에서 발생한 빛이 제1 편광판(21)을 통과하면 선편광이 발생하고, 선편광된 빛이 위상차 필름(41)을 통과할 때 선편광이 위상차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해서는 위상차 필름(41)의 광축이 선편광의 진동 방향에 수직 또는 평행에 가까워야 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출 시스템을 적용하여, 광원(10)에서 발생한 빛이 제1 편광판(21), 기재층(31), 위상차 필름(41), 상쇄용 위상 지연층(100) 및 제2 편광판(51)을 차례로 통과하여 검출 소자(60)에 휘점으로 나타나는지 여부에 따라 위상차 필름(41)의 불량을 검출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서 도시한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에 따라 불량을 확인하는 휘점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에 따라 불량을 확인하는 휘점을 나타내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시스템에서 상쇄용 위상 지연층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나타나는 광학 현미경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출 소자로서 광학 현미경을 통해 불량을 인식할 수 있는데,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사진에서 빛이 차단되는 정상부와 불량이 검출되는 결함부 사이의 명암비로 불량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정상부와 결함부 사이의 명암비가 명확히 구별되어야 검출에 유리하다.
도 8을 참고하면, 배향각 10도를 갖는 비등방성 필름인 PET를 기재층으로 사용한 경우에 결함 발생시 휘점이 불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검출 소자를 통해 결함이 휘점으로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10을 참고하면, 상쇄용 위상 지연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휘점이 불명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배향각 3도의 SRF 필름을 기재층으로 사용한 경우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에 따르면, 반사 방지 필름에 위상차 필름을 부착하기 전인 코팅 공정 중에 결함 검사를 함으로써 위상차 필름이 부착된 반사 방지 필름 전체를 폐기하지 않고 기재층으로부터 위상차 필름을 박리하고 다시 코팅하거나 기재층 위에 위상차 필름을 다시 코팅함으로써 결함을 바로 잡을 수 있어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광원
21, 51: 편광판
31: 기재층
41: 위상차 필름
60: 검출 소자
100: 위상 지연층

Claims (11)

  1.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 방지 필름에 포함된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
    서로 90도의 광축 차이를 갖는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 사이에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 위에 코팅된 상기 위상차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편광판과 인접한 측에 광원을 배치하고, 상기 제2 편광판과 인접한 측에 검출 소자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위상차 필름과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상쇄용 위상 지연층을 배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상기 제1 편광판, 상기 기재층 위에 코팅된 상기 위상차 필름, 상기 상쇄용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제2 편광판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검출 소자에 휘점으로 나타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위상차 필름의 불량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은 비등방성 필름을 포함하는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기재층에 사용된 상기 비등방성 필름은, 배향각이 -4 내지 4도인 PET 필름인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비등방성 필름의 배향각 범위는 상기 비등방성 필름의 전체 영역에서 만족하는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상쇄용 위상 지연층은, 상기 위상차 필름과 동일한 위상차를 갖고, 상기 위상차 필름의 광축과 수직인 광축을 갖는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제1 편광판의 광축은 0도이고, 상기 제2 편광판의 광축은 90도인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편광판으로부터의 빛이 상기 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후 원편광으로 변형되는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원편광된 빛이 상기 상쇄용 위상 지연층을 통과한 후 선편광으로 변형되는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8. 제5항에서,
    상기 기재층을 통과한 빛은 통과 전후에 선편광 상태를 유지하는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액정을 포함하는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10. 제1항에서,
    상기 위상차 필름의 불량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반사 방지 필름에 부착되기 이전에 수행되는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11. 제1항에서,
    상기 기재층은 상기 제1 편광판과 상기 위상차 필름 사이에 위치하는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KR1020180093569A 2018-08-10 2018-08-10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KR20200017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69A KR20200017963A (ko) 2018-08-10 2018-08-10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569A KR20200017963A (ko) 2018-08-10 2018-08-10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963A true KR20200017963A (ko) 2020-02-19

Family

ID=6967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569A KR20200017963A (ko) 2018-08-10 2018-08-10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79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199B1 (ko) 2020-10-08 2022-01-06 주식회사 온옵틱스 편광카메라와 편광광원을 이용한 비등방성 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2347200B1 (ko) 2020-10-08 2022-01-06 주식회사 온옵틱스 모노카메라와 편광광원을 이용한 비등방성 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199B1 (ko) 2020-10-08 2022-01-06 주식회사 온옵틱스 편광카메라와 편광광원을 이용한 비등방성 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2347200B1 (ko) 2020-10-08 2022-01-06 주식회사 온옵틱스 모노카메라와 편광광원을 이용한 비등방성 물질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7338B2 (en) Polarizing plate for minimizing reflecting properties i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5051874B2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フィルムの欠陥検出方法、積層フィルムの欠陥検出装置
JP4869053B2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積層フィルムの欠陥検出方法、積層フィルムの欠陥検出装置、積層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US8520171B2 (en) Optical display device having polarizing film
US20180039138A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polarizing laminate for use in the liquid crystal panel
KR101348469B1 (ko) 편광자, 그것을 사용한 광학 필름, 그것들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US9041882B2 (en) Optical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377571B2 (en) Optical film
US10437095B2 (en) Continuous optical film laminate, roll of continuous optical film laminate and IP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513421B2 (en) Multilayere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8767146B2 (en) Display device
KR20210004985A (ko) 광대역 파장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원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00017963A (ko) 코팅형 위상차 필름의 결함 검사 방법
JP2008292201A (ja) 積層フィルムの検査方法及び積層フィルムの検査装置
TW202129249A (zh) 檢查方法、檢查裝置及檢查系統
US9986603B2 (en) Multilayere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film
KR20160142798A (ko) 다층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85131A (ko) 다층형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117014A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