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757A - Fluid heating heater - Google Patents

Fluid heating 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757A
KR20200017757A KR1020180093050A KR20180093050A KR20200017757A KR 20200017757 A KR20200017757 A KR 20200017757A KR 1020180093050 A KR1020180093050 A KR 1020180093050A KR 20180093050 A KR20180093050 A KR 20180093050A KR 20200017757 A KR20200017757 A KR 20200017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opening
protrusion
flow path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99601B1 (en
Inventor
임차유
정현석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3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601B1/en
Publication of KR2020001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7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6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2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24H9/12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9Continuous flow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A fluid heating heater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fluid heating heater including: a plate-shaped partition wall unit; a main body including a flow path forming unit forming a flow path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unit; a heating plate disposed in a plate shape on the flow path forming unit and including a heating patter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ow path; a circuit board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unit;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eating pattern and the circuit board; a fluid supply pi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flow path; and a fluid discharge pi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can be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t least two directions, respectively.

Description

유체 가열 히터{FLUID HEATING HEATER}Fluid Heated Heater {FLUID HEATING HEATER}

본 발명은 유체 가열 히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수와 같은 유체를 가열할 수 있는 유체 가열 히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heating he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id heating heater capable of heating a fluid, such as cooling water.

현재 가장 일반적인 차량은 엔진을 구동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엔진은 휘발유, 경유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는데, 이러한 에너지원은 환경오염 문제뿐만 아니라 석유 매장량 감소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고, 전기자동차 등과 같이 새로운 에너지원을 사용한 차량이 개발되거나 실용화 단계에 이르고 있다.Currently, the most common vehicle uses an engine as a driving source. The engine uses gasoline, diesel, and the like as energy sources, which have various problems such as reduction of oil reserves as well as environmental pollution. Accordingly, the need for a new energy source is increasing, and a vehicle using a new energy source such as an electric vehicle is being developed or put into practical use.

그러나, 전기자동차 등은 엔진과 같이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 차량용 공조장치 등에 사용될 열원을 추가 설치할 필요가 있다.However, electric vehicles and the like do not have a heat source that generates a lot of heat like an engin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stall a heat source to be used for a vehicle air conditioner or the like.

종래 전기자동차 등에 추가 설치되는 열원으로는 히트펌프, 전기 히터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전기 히터는 기존의 공조장치에 대한 설계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 적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 히터는 크게 차량의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의 공기 가열식 히터와, 공기와 열 교환하는 냉각수를 가열하여 공기를 간접 가열하는 방식의 유체 가열 히터(또는 냉각수 히터)로 구분된다.The heat source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such as a heat pump, an electric heater, etc. Among these, the electric heater is widely used because it can be applied without changing the design for the existing air conditioner. Electric heater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air heating heaters of a method of directly heating air blown into a vehicle interior, and fluid heating heaters (or cooling water heaters) of indirectly heating air by heating cooling water that exchanges air with air.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5410호(2018.01.16., 냉각수 히터)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05410 (2018.01.16., Cooling water heate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유체 공급관 및 유체 배출관의 설치 자유도가 향상된 유체 가열 히터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fluid heating heater with improved freedom of installation of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판상의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타면에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유로형성부 상에 판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로에 대응하는 형상의 발열 패턴을 포함하는 발열판; 상기 격벽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발열 패턴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 상기 유로의 일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유로의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유체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유체 배출관은 각각 상기 메인 바디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유체 가열 히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ain body including a plate-shaped partition wall portion, and a flow path forming portion for forming a flow path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A heating plate disposed on the flow path forming part in a plate shape and including a heating patter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ow path; A circuit board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eating pattern to the circuit board; A fluid supply pi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flow path; And a fluid discharge pi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wherein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may each be provided with a fluid heating heater capable of coupling to the main body in at least two directions.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격벽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격벽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연결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 돌출부 내로 연장되어 상기 유체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 돌출부 내로 연장되어 상기 유체 배출관에 연결될 수 있다.The main body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barrier rib portion, the main body includes an inlet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flow path through the barrier rib portion, and the pair of protrusions include a first protrusion and And a second protrusion, wherein the inlet port extends into the first protrusion and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outlet port is extended into the second protrusion and connected to the fluid outlet pipe.

상기 격벽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격벽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버가 결합되는 제1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측벽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A first cov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the main body including a first side wall par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to which the first cover is coupled, and the pair of protrusions include the first side wall part It may be disposed outside of the part.

상기 돌출부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have a hexahedron shape.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측벽부의 제1-1 측벽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first sidewall of the first sidewall part.

상기 제1-1 측벽의 외측면은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함몰부는 상기 제1-1 측벽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first sidewall may include a pair of depressions in which the pair of protrusions are disposed, and the pair of depressions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first sidewall.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be disposed at a corner of the depression.

상기 함몰부는 상기 돌출부와 접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pression may include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상기 돌출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노출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disposed to face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노출면 중 하나의 노출면에 배치되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유체 배출관은 각각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각각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each include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disposed on one of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and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respectively include the first opening and the first opening. Coupled to a second opening, the inlet and the outlet can extend to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respectively.

상기 제1 개구의 방향은 상기 제2 개구의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may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상기 제1 개구의 방향은 상기 제2 개구의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상기 제1 개구의 방향은 상기 제2 개구의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may b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노출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노출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노출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노출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관은 상기 복수의 제1 개구 중 하나의 제1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 배출관은 상기 복수의 제2 개구 중 하나의 제2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입구를 상기 유체 공급관이 결합된 제1 개구로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구를 상기 유체 배출관이 결합된 제2 개구에 연결하는 방향전환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s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respectively disposed on at least two expose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and the second protrusions are disposed on at least two expose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wherein the fluid supply pipe is coupled to a first opening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the fluid discharge pipe is coupled to a second opening of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diverter valve connecting the inlet to the first opening to which the fluid supply pipe is coupled, or the outlet to the second opening to which the fluid outlet pipe is coupled.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체 공급관 또는 상기 유체 배출관이 구비된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각각 상기 회전체를 통해 상기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유체 배출관에 연결될 수 있다.The protrusion may include a rotor provided with the fluid supply pipe or the fluid discharge pipe,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may be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through the rotor,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유체 공급관 및 유체 배출관을 복수의 노출면을 포함하는 돌출부에 배치함으로써 복수의 노출면이 향하는 복수의 방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설치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in the protrusion including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install one of a plurality of directions facing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thereby improving installation freedom.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 가열 히터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제1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제2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B-B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메인 바디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메인 바디의 배면도이고,
도 10은 도 2의 메인 바디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 9을 중첩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2의 발열판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C-C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변형 예이고,
도 17은 도 14의 다른 변형 예이고,
도 18은 도 17의 돌출부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방향전환밸브의 작동 예이고,
도 20은 도 14의 또 다른 변형 예이고,
도 21은 도 20의 돌출부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uid heating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is removed from FIG. 1;
5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ver is removed from FIG. 1;
6 is a cross-sectional view at AA of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8 is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of FIG. 2,
9 is a rear view of the main body of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main body of FIG. 2,
FIG. 11 is a front view of FIG. 8 superimposed on FIG. 9;
12 is a front view of the heating plate of FIG. 2,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at CC of FIG. 12,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15 and 16 are modified examples of FIG. 14,
17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4,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rusion of FIG. 17,
19 i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of FIG.
20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4,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rusion of FIG. 20.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결합 또는 연결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or connection does not mean only a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each component, but when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each component and each component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respectively It can be us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체 가열 히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luid heating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in the drawings with reference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 가열 히터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이고, 도 4는 도 1에서 제1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제2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uid heating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ver in Figure 1, 5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over is removed from FIG. 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체 가열 히터(10)는 메인 바디(100), 제1 커버(210), 제2 커버(220), 발열판(230), 회로기판(300) 및 버스 바(4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커넥터(310), 제2 커넥터(320), 전자소자(330, 340) 및/또는 수온센서(3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1 to 5, the fluid heating heat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first cover 210, a second cover 220, a heating plate 230, and a circuit. It may include the substrate 300 and the bus bar 400,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or 310, a second connector 320, an electronic device 330 and 340, and / or a water temperature sensor 350. have.

메인 바디(100)는 격벽부(110), 제1 측벽부(120), 제2 측벽부(130), 유로형성부(140) 및 한 쌍의 돌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part 110, a first side wall part 120, a second side wall part 130, a flow path forming part 140, and a pair of protrusions 150.

격벽부(110)는 일면, 및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The partition 110 may have a plate shape includ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제1 측벽부(120)는 격벽부(1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측벽부(130)는 격벽부(110)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ide wall part 12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and the second side wall part 13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유로형성부(140)는 격벽부(110)의 타면에 유로(141)를 노출되게 형성할 수 있다.The flow path forming part 140 may be formed to expose the flow path 141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유로형성부(140)는 격벽부(110)의 타면에서 돌출된 형태일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격벽부(110)의 타면 중 일부가 함몰된 형태일 수도 있다.The flow path forming part 140 may b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is recessed.

한 쌍의 돌출부(150)는 격벽부(1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150)에는 유체 공급관(160) 및 유체 배출관(17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pair of protrusions 150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The fluid supply pipe 160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170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air of protrusions 150.

유체 공급관(160)은 유로(141)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고, 유체 배출관(170)은 유로(141)에서 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The fluid supply pipe 160 may supply fluid to the flow path 141,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170 may discharge fluid from the flow path 141.

제1 커버(21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1 측벽부(120)에 결합되어 메인 바디(100)의 전방에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커버(220)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2 측벽부(130)에 결합되어 메인 바디(100)의 후방에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커버(210)와 메인 바디(100) 사이, 제2 커버(220)와 발열판(230) 사이, 및 발열판(230)과 메인 바디(100) 사이에는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S)가 개재되어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cover 21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ide wall part 12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to form a first receiving space in front of the main body 100. The second cover 22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3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to form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at the rear of the main body 100. A sealing member S such as an O-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ver 210 and the main body 100, between the second cover 220 and the heating plate 230, and between the heating plate 230 and the main body 10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atertightness.

발열판(230)은 유로형성부(140) 상에 배치되어 유로(141)의 노출면을 폐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로형성부(140)를 구성하는 직선부 및 곡선부는 발열판(230)의 일면에 접할 수 있다.The heating plate 230 may be disposed on the flow path forming part 140 to close the exposed surface of the flow path 141. For example,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curved portion constituting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140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heating plate 230.

발열판(230)은 제2 측벽부(130) 및 유로형성부(14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2 커버(220)와 함께 제2 측벽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측벽부(130)는 발열판(2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단차를 형성하는 테두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131)는 제2 측벽부(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발열판(23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heating plate 23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30 and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140, and coupled to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30 together with the second cover 220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Can be.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30 may include an edge portion 131 forming a step so that the heating plate 230 may be inserted. The edge portion 131 may protrude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30 to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heating plate 230.

회로기판(300)은 제1 측벽부(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300)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의 의해 격벽부(110)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포스트(11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로기판(300)은 격벽부(110)의 일면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회로기판(300)과 격벽부(110)의 일면 사이에는 전자소자(330, 34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The circuit board 3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sidewall part 120.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300 may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posts 111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by fastening members such as bolts. Accordingly, the circuit board 300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and the electronic devices 330 and 3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ircuit board 300 and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Space can be secured.

제1 커넥터(310) 및 제2 커넥터(320)는 제1 측벽부(120)를 관통하여 외부전원(미도시)과 회로기판(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 커넥터(310)는 고전압 커넥터(HV connector)일 수 있고, 제2 커넥터(320)는 저전압 커넥터(LV connector)일 수 있다. 회로기판(300)은 제1 커넥터(310) 및 제2 커넥터(320)를 통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310 and the second connector 320 may pass through the first sidewall part 120 to electrically connect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and the circuit board 300. The first connector 310 may be a high voltage connector (HV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320 may be a low voltage connector (LV connector). The circuit board 300 may receive electricity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the first connector 310 and the second connector 320.

전자소자(330, 340)는 격벽부(1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안착 홈(112) 또는 플랫폼(113)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소자(330, 340)는 격벽부(110)를 사이에 두고 유로(141)를 따라 흐르는 유체와 열 교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소자(330, 34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소자(330, 340)에서 방출된 열로 유체를 가열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s 330 and 340 may be disposed in the mounting groove 112 or the platform 113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0.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s 330 and 340 may exchange heat with the fluid flowing along the flow path 141 with the partition 110 therebetween. Accordingly, overheating of the electronic devices 330 and 340 may be prevented, and energy efficiency may be enhanced by heating the fluid with heat emit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s 330 and 340.

전자소자(330, 340)는 회로기판(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기판(300)에 인쇄 또는 실장된 회로 패턴(미도시), 소자(미도시) 등과 함께 각종 제어 로직을 구현할 수 있다. 전자소자(330, 340)는 커패시터(330), IGBT(340)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nic devices 330 and 34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300 to implement various control logics together with a circuit pattern (not shown), an element (not shown), or the like printed o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300. The electronic devices 330 and 340 may include a capacitor 330, an IGBT 340,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버스 바(400)는 격벽부(110)를 관통하는 연결구(110e) 내에 배치되어 발열판(230)의 발열 패턴과 회로기판(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발열판(230)의 발열 패턴은 버스 바(400)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발열 패턴은 전기를 공급받으면 발열하는 전기 저항체일 수 있다. 한편, 연결구(110e)는 제1 측벽부(120) 및 제2 측벽부(130)의 내측에서 격벽부(110)를 관통할 수 있다.The bus bar 400 may be disposed in the connector 110e penetrating the partition 11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heating pattern of the heating plate 230 to the circuit board 300. The heating pattern of the heating plate 230 may receive electricity through the bus bar 400. The heating pattern may be an electrical resistor that generates heat when electricity is supplied. Meanwhile, the connector 110e may penetrate the partition wall part 110 inside the first side wall part 120 and the second side wall part 130.

도 6은 도 1의 A-A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B-B에서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메인 바디(100)는 제1 측벽부(120)의 외측에서 격벽부(110)를 관통하는 유입구(110a) 및 배출구(110b)를 포함할 수 있다.6 and 7,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n inlet port 110a and an outlet port 110b that penetrate the partition wall part 110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sidewall part 120.

유입구(110a) 및 배출구(110b)는 유로(141)에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돌출부(150) 내로 연장되어 유체 공급관(160) 및 유체 배출관(17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The inlet 110a and the outlet 110b may be connected to the flow path 141 and may extend into the pair of protrusions 150 to be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ipe 160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170, respectively.

한 쌍의 수온센서(350)는 격벽부(110)를 관통하는 한 쌍의 삽입구(110c, 110d) 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삽입구(110c, 110d)는 제1 측벽부(120)의 내측에서 격벽부(110)를 관통하여 유로(14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삽입구(110c, 110d)는 유입구(110a) 및 배출구(110b)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삽입구(110c, 110d)는 제1 측벽부(120)를 사이에 두고 유입구(110a) 및 배출구(110b)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수온센서(350)는 유로(141)에 유입된 직후의 유체 온도 및 유로(141)에서 배출되기 직전의 유체 온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300)은 한 쌍의 수온센서(350)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유로(141)에서 배출되는 유체 온도가 기 설정된 목표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발열판(230)에 공급되는 전력 등을 조절할 수 있다.The pair of water temperature sensors 350 may be disposed in the pair of insertion holes 110c and 110d passing through the partition wall part 110, respectively. The insertion holes 110c and 110d may be connected to the flow path 141 through the partition wall part 110 at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ide wall part 120. In addition, the pair of insertion holes 110c and 110d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let port 110a and the outlet port 110b, respectively. That is, the pair of insertion holes 110c and 110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let port 110a and the outlet port 110b with the first sidewall portion 120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ly, the pair of water temperature sensors 350 may measure the fluid temperature immediately after flowing into the flow path 141 and the fluid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being discharged from the flow path 141,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circuit board 300 receives the temperature data from the pair of water temperature sensor 350 and supplies it to the heating plate 230 so that the fluid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flow path 141 can reach the preset target temperature based on the temperature data. Power can be adjusted.

한 쌍의 삽입구(110c, 110d)는 한 쌍의 경사면(121a)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경사면(121a)은 격벽부(110)의 일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측벽부(120)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삽입구(110c, 110d)는 격벽부(110)의 일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수온센서(350)의 설치 및 교체 시 수온센서(350)를 잡고 이송하는 지그(미도시)가 제1 측벽부(120)와 충돌할 수 있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삽입구(110c, 110d)는 경사면(121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air of insertion holes 110c and 110d may be disposed on the pair of inclined surfaces 121a, respectively. The inclined surface 121a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irst side wall part 120. The insertion holes 110c and 110d may extend in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Therefore, when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350 is installed and replaced, the jig (not shown) holding and transferring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350 may collide with the first side wall part 120. The insertion holes 110c and 110d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surface 121a,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8은 도 2의 메인 바디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메인 바디의 배면도이고, 도 10은 도 2의 메인 바디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8에 도 9를 중첩한 정면도이다.FIG. 8 is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of FIG. 2, FIG. 9 is a rear view of the main body of FIG. 2, FIG. 10 is a side view of the main body of FIG. 2, and FIG. 11 is a front view of FIG. .

도 8을 참조하면, 제1 측벽부(120)는 서로 마주보는 제1-1 측벽(121) 및 제1-2 측벽(122), 제1-1 측벽(121)과 제1-2 측벽(122)을 연결하고 서로 마주보는 제1-3 측벽(123) 및 제1-4 측벽(124)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sidewall portion 120 may face the first-first sidewall 121 and the first-second sidewall 122, the first-first sidewall 121, and the first-second sidewall ( 122 may include a first sidewall 123 and a first sidewall 124 facing each other.

제1-1 측벽(121)의 내측면은 한 쌍의 경사면(121a)과 연결될 수 있고, 제1-1 측벽(121)의 외측면은 한 쌍의 돌출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경사면(121a)은 한 쌍의 돌출부(150)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first sidewall 121 may be connected to the pair of inclined surfaces 121a,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first sidewall 121 may be connected to the pair of protrusions 150. The pair of inclined surfaces 121a may be disposed to face the pair of protrusions 150.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310) 및 제2 커넥터(320)는 제1-1 측벽(121)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310) 및 제2 커넥터(320)는 한 쌍의 돌출부(150) 사이 또는 한 쌍의 경사면(12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4 and 8, the first connector 310 and the second connector 32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first-first sidewall 121.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310 and the second connector 3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protrusions 150 or between the pair of inclined surfaces 121a.

도 9를 참조하면, 유로(141)는 유입구(110a)로부터 배출구(110b)까지 연장될 수 있고, 한 쌍의 삽입구(110c, 110d)는 유입구(110a) 및 배출구(110b)에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flow path 141 may extend from the inlet port 110a to the outlet port 110b, and the pair of insertion holes 110c and 110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port 110a and the outlet port 110b, respectively. Can be.

유로형성부(140)는 제2 측벽부(1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14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직선부(143), 및 복수의 직선부(143)를 연결하는 복수의 곡선부(145, 147)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w path forming part 1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side wall part 130. The flow path forming unit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143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curved portions 145 and 147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143.

직선부(143) 및 곡선부(145, 147)는 격벽부(110)의 타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The straight portion 143 and the curved portions 145 and 147 may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0.

곡선부(145, 147)는 직선부(143)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측에 배치되는 제1 곡선부(145) 및 제2 곡선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곡선부(145)는 직선부(143)의 제2 단 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곡선부(147)는 직선부(143)의 제1 단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구(110a) 및 배출구(110b)는 직선부(143)의 제1 단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곡선부(145)는 복수의 직선부(143) 중 홀수 번째 직선부(143)의 제2 단을 차례로 연결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곡선부(147)는 복수의 직선부(143) 중 짝수 번째 직선부(143)의 제1 단을 차례로 연결할 수 있다.The curved portions 145 and 147 may include a first curved portion 145 and a second curved portion 147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143. For example, the first curved portion 145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end side of the straight portion 143,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147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end side of the straight portion 143. have. The inlet 110a and the outlet 110b may be disposed at the first end side of the straight portion 143. The plurality of first curved portions 145 may sequentially connect the second ends of the odd-numbered straight portions 143 among the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143, and the plurality of second curved portions 147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aight portions ( The first ends of the even-numbered straight parts 143 may be sequentially connected.

직선부(143)와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직선부(143)의 제1 단으로부터 유입구(110a) 및 배출구(110b)까지의 최대 거리(L1)는 직선부(143)의 제1 단으로부터 제2 곡선부(147)까지의 최대 거리(L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유로(141)에 유입되거나 유로(141) 내에서 발생한 기포는 배출구(110b)를 통해 유로(14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로(141)에 기포가 축적되면 발열판에 국부적인 열 집중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발열판의 발열 성능 저하, 나아가 화재를 야기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traight portion 143, the maximum distance L1 from the first end of the straight portion 143 to the inlet 110a and the outlet 110b is determined from the first end of the straight portion 143. It may be larger than the maximum distance L2 to the two curved portions 147. Therefore, bubbles flowing into the flow path 141 or generated in the flow path 14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low path 141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0b. When bubbles accumulate in the flow path 141, localized heat concentration may occur on the heat generating plate, thereby causing deterioration in heat generation performance of the heat generating plate and thus causing fire.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격벽부(110)의 일면을 기준으로, 제1-3 측벽(123) 및 제1-4 측벽(124)의 높이는 제1-1 측벽(121)에서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격벽부(110)의 일면을 기준으로, 제1-2 측벽(122)의 높이는 제1-1 측벽(121)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수온센서의 설치 및 교체 시 수온센서를 잡고 이송하는 지그가 제1-2 측벽(122)과 충돌할 수 있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때, 제1 커버는 제2 측벽부와 상응하는 형상의 제3 측벽부를 포함하여 격벽부(110)와 제1 커버 사이의 거리는 격벽부(110)의 전체 영역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격벽부(110)의 일면과 마주보는 제1 커버의 판부는 격벽부(110)의 일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8 and 10, ba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the heights of the first sidewall 123 and the first sidewall 124 are away from the first sidewall 121. Can decrease. Ba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0, the height of the first-second sidewall 122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first sidewall 121.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that the jig for holding and transferring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may collide with the first-second sidewall 122 when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and replaced. In this case, the first cover may include a third sidewall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idewall por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0 and the first cover may be maintained constant over the entire area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110. For example, the plate part of the first cover facing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110.

도 11을 참조하면, 안착 홈(112) 또는 플랫폼(113)은 격벽부(110)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유로(141)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110a)와 안착 홈(112) 또는 플랫폼(113)은 유로(141)의 연장 방향, 즉 직선부(143)와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mounting groove 112 or the platform 113 may overlap the flow path 141 in a direction penetrating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110. In addition, the inlet 110a and the seating groove 112 or the platform 113 may overlap each other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flow path 141, that 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traight portion 143.

도 12는 도 2의 발열판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C-C에서의 단면도이다.FIG. 12 is a front view of the heating plate of FIG. 2,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12.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발열판(230)은 유로(141)에 접하는 일면 및 일면의 반대면인 타면을 포함하는 금속판(231), 금속판(231)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233), 제1 절연층(233) 상에 배치되는 발열 패턴(235), 및 발열 패턴(235)을 감싸는 제2 절연층(237)을 포함할 수 있다.12 and 13, the heating plate 230 may include a metal plate 231 including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low path 141 and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one surface thereof, and a first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metal plate 231. 233, a heating pattern 235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233, and a second insulating layer 237 surrounding the heating pattern 235.

금속판(231)은 알루미늄(Al) 또는 스테인리스강(SUS)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 전도성이 우수한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metal plate 231 may include aluminum (Al), stainless steel (SUS),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other materials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제1 절연층(233)은 금속판(231)과 발열 패턴(235) 사이의 전기 절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233 may provide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metal plate 231 and the heating pattern 235.

발열판(230)은 유로(141)에 대응하는 발열 패턴(23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발열 패턴(235)은 유로(141)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1개의 발열 패턴(235)이 유로(141)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평행한 2개 이상의 발열 패턴(235)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에는 설명 편의를 위해, 메인 바디에 형성되는 유로(141)를 일점 쇄선으로 표시하였고, 제1 절연층(233), 발열 패턴(235) 및 제2 절연층(237)이 금속판(231)의 타면에 형성되어 금속판(231)의 일면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점선으로 표시하였다.The heating plate 230 may include a heating pattern 235 corresponding to the flow path 141. That is, the heating pattern 235 may extend along the flow path 141. Although one heating pattern 235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in the flow path 141,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wo or more heating patterns 235 parallel to each other may be disposed. In FIG. 12,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low path 141 formed in the main body is indicated by a dashed-dotted line,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233, the heating pattern 235,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237 are metal plates 231.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etal plate 231 is not visible on one side, but indicated by a dotted line.

도 1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14를 참조하면, 격벽부의 일면에는 한 쌍의 돌출부(151, 152)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51, 152)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돌출부(151, 152)가 육면체 형상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4, a pair of protrusions 151 and 152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The protrusions 151 and 152 may have a hexahedron shap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otrusions 151 and 152 will be described as being limited to the case of the cube shape.

한 쌍의 돌출부(151, 152)는 제1 측벽부(1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측벽부(120)의 외측에서 격벽부를 관통하는 유입구 및 배출구가 각각 한 쌍의 돌출부(151, 152) 내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돌출부(151, 152)를 배치할 수 있다.The pair of protrusions 151 and 15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sidewall portion 120. Accordingly, the pair of protrusions 151 and 152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inlets and outlets penetrating the partition walls outside the first sidewall portion 120 extend into the pair of protrusions 151 and 152, respectively.

한 쌍의 돌출부(151, 152)는 제1 측벽부(120)의 제1-1 측벽(121)의 외측면에 접할 수 있다.The pair of protrusions 151 and 152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first sidewall 121 of the first sidewall part 120.

예시적으로, 제1-1 측벽(121)의 외측면은 한 쌍의 돌출부(151, 152)가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함몰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함몰부(125)는 제1-1 측벽(12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함몰부(125)는 제1-1 측벽(121)과 마주보는 제1-2 측벽을 향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돌출부(151, 152)는 함몰부(125)의 코너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함몰부(125)는 돌출부(151, 152)에 접하는 제1 면(125a) 및 제2 면(125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51, 152)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3개의 노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출부(151, 152)가 육면체가 아닌 다면체인 경우 노출면은 2개 또는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한편, 한 쌍의 함몰부(125)로 인해, 제1-1 측벽(121)의 내측에는 한 쌍의 함몰부(125) 사이에 배치되는 여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310) 및 제2 커넥터(320)와 회로기판 사이의 결선 작업 등이 용이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first sidewall 121 may include a pair of depressions 125 in which a pair of protrusions 151 and 152 are disposed, respectively. The pair of depressions 125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first sidewall 121. The depression 125 may have a concave shape toward the first-second sidewall facing the first-first sidewall 121. The protrusions 151 and 152 may be disposed at the corners of the recess 125. That is, the depression 125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25a and a second surface 125b that contact the protrusions 151 and 152. Accordingly, the protrusions 151 and 152 may include three exposed surfaces disposed to face different directio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protrusions 151 and 152 are polyhedrons instead of hexahedrons, the exposed surfaces may be two or four or more.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pair of depressions 125, a free spac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depressions 125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first sidewall 121. Therefore,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first connector 310 and the second connector 320 and the circuit board can be facilitated.

제1 돌출부(151)는 제1 돌출부(151)에 구비된 복수의 노출면 중 하나의 노출면에 배치되는 제1 개구(15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돌출부(152)는 제2 돌출부(152)에 구비된 복수의 노출면 중 하나의 노출면에 배치되는 제2 개구(152a)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151 may include a first opening 151a disposed on one of the expose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of the first protrusion 151, and the second protrusion 152 may include the second protrusion. The second opening 152a may be disposed on one of the expose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provided at 152.

도 6, 도 7 및 도 14를 참조하면, 유입구(110a)는 유체 공급관(160)이 결합되는 제1 개구(151a)까지 연장될 수 있고, 배출구(110b)는 유체 배출관(170)이 결합되는 제2 개구(152a)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개구(151a)의 방향은 제2 개구(152a)의 방향과 평행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6, 7, and 14, the inlet 110a may extend to the first opening 151a to which the fluid supply pipe 160 is coupled, and the outlet 110b may be coupled to the fluid discharge pipe 170. It may extend to the second opening 152a.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151a may be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52a,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15 및 도 16은 도 14의 변형 예이다.15 and 16 are modified examples of FIG. 14.

도 15를 참조하면, 제1 개구(151a)의 방향은 제2 개구의 방향과 반대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151a may b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도 16을 참조하면, 제1 개구(151a)의 방향은 제2 개구(152a)의 방향과 수직일 수도 있다. 상술한 것처럼, 제1 개구(151a)는 제1 돌출부(151)의 3개의 노출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 개구(152a)도 제2 돌출부(152)의 3개의 노출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9가지의 변형 예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가열 히터(10)가 설치되는 구조물, 예를 들어 차량의 다양한 레이아웃에 맞춰 곡관, 연결관 등의 추가 구성품 없이도 유체 공급관(160)과 유체 배출관(170)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 구성품의 관리비용 등이 절감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151a may b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152a.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opening 151a may be disposed on any one of three exposed surfaces of the first protrusion 151. Similarly, the second opening 152a may be disposed on any one of the three exposed surfaces of the second protrusion 152. That is, nine variants may be possible. Accordingly, the orientation of the fluid supply pipe 160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170 may be easily changed without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a curved pipe and a connection pipe in accordance with various layouts of a structure in which the fluid heating heater 10 is installed, for example, a vehicle. . Accordingly, the management cost of additional components and the like can be reduced.

도 17은 도 14의 다른 변형 예이고, 도 18은 도 17의 돌출부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방향전환밸브의 작동 예이다.FIG. 17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4, FIG. 18 is a sectional view of the protrusion of FIG. 17, and FIG. 19 is an operation example of the directional valve of FIG. 18.

도 17을 참조하면, 제1 돌출부(151)는 제1 돌출부(151)에 구비된 복수의 노출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노출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개구(151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돌출부(152)는 제2 돌출부(152)에 구비된 복수의 노출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노출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2 개구(152a)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first protrusion 151 may include a first opening 151a disposed on at least two expose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of the first protrusion 151. The second protrusion 152 may include second openings 152a disposed on at least two expose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of the second protrusion 152.

유체 공급관(160)은 복수의 제1 개구(151a) 중 하나의 제1 개구(151a)에 결합될 수 있고, 유체 배출관(170)은 복수의 제2 개구(152a) 중 하나의 제2 개구(152a)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공급관(160) 및 유체 배출관(170)은 차량의 레이아웃 등에 따라 요구되는 방향에 맞게 결합될 수 있다.The fluid supply pipe 16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opening 151a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151a,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170 may have a second opening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152a). 152a). Therefore, the fluid supply pipe 160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170 may be coupled according to the requir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vehicle.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돌출부(151, 152)는 돌출부(151, 152) 내에 배치되는 방향전환밸브(153)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전환밸브(153)는 유입구(110a) 및 배출구(110b)를 각각 유체 공급관(160)이 결합된 제1 개구(151a) 및 유체 배출관(170)이 결합된 제2 개구(152a)에 연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방향전환밸브(153)는 돌출부(151, 152)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 유입구(110a) 및 배출구(110b)에 연결되는 개구(151a, 152a)가 변경되는 구조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18 and 19, the protrusions 151 and 152 may include a direction switching valve 153 disposed in the protrusions 151 and 152.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153 may connect the inlet port 110a and the outlet port 110b to the first opening 151a to which the fluid supply pipe 160 is coupled and the second opening 152a to which the fluid discharge pipe 170 is coupled, respectively. have. For example,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153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penings 151a and 152a connected to the inlet 110a and the outlet 110b are changed when the direction change valve 153 moves in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trusions 151 and 15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well-known structures may be applied.

도 20은 도 14의 또 다른 변형 예이고, 도 21은 도 20의 돌출부의 단면도이다.20 is another modified example of FIG. 14, and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trusion of FIG. 20.

도 20을 참조하면, 돌출부(151, 152)는 돌출부(151, 1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154)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51, 152)는 회전체(154)가 배치되는 안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관(160)은 제1 돌출부(151)에 배치된 회전체(154)에 결합될 수 있고, 유체 배출관(170)은 제2 돌출부(152)에 배치된 회전체(15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공급관(160) 및 유체 배출관(170)은 회전체(154)가 회전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각도의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회전체(154)는 구 형상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the protrusions 151 and 152 may include a rotating body 154 rotatably coupled to the protrusions 151 and 152. The protrusions 151 and 152 may include seating grooves in which the rotating body 154 is disposed. The fluid supply pipe 160 may be coupled to the rotor 154 disposed on the first protrusion 151, and the fluid outlet tube 170 may be coupled to the rotor 154 disposed on the second protrusion 152. have. Therefore, the fluid supply pipe 160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170 may have various angle directions within a range in which the rotating body 154 is rotatable. At this time, the rotating body 154 may have a spherical shape.

도 21을 참조하면, 회전체(154) 내에는 유입구(110a)를 유체 공급관(160)에 연결하거나, 또는 배출구(110b)를 유체 배출관(170)에 연결하는 관통 홀(154a)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154)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유입구(110a) 또는 배출구(110b)가 유체 공급관(160) 또는 유체 배출관(17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유입구(110a) 또는 배출구(110b)에 접하는 관통 홀(154a)의 입구 면적은 유입구(110a) 또는 배출구(110b)의 입구 면적보다 클 수 있다.Referring to FIG. 21, a through hole 154a may be formed in the rotating body 154 to connect the inlet 110a to the fluid supply pipe 160 or the outlet 110b to the fluid discharge pipe 170. have. Despite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154, inlet 110a or outlet 110b to mainta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ipe 160 or the fluid discharge pipe 170, to the inlet (110a) or outlet 110b The inlet area of the contact through hole 154a may be larger than the inlet area of the inlet 110a or the outlet 110b.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유체 가열 히터 100: 메인 바디
110: 격벽부 110a: 유입구
110b: 배출구 110c, 110d: 삽입구
110e: 연결구 111: 포스트
112: 안착 홈 113: 플랫폼
120: 제1 측벽부 121: 제1-1 측벽
121a: 경사면 122: 제1-2 측벽
123: 제1-3 측벽 124: 제1-4 측벽
125: 함몰부 125a: 제1 면
125b: 제2 면 130: 제2 측벽부
131: 테두리부 140: 유로형성부
141: 유로 143: 직선부
145: 제1 곡선부 147: 제2 곡선부
150, 151, 152: 돌출부 151a, 152a: 개구
153: 방향전환밸브 154: 회전체
154a: 관통 홀 160: 유체 공급관
170: 유체 배출관 210: 제1 커버
220: 제2 커버 230: 발열판
231: 금속판 233: 제1 절연층
235: 발열 패턴 237: 제2 절연층
300: 회로기판 310: 제1 커넥터
320: 제2 커넥터 330, 340: 전자소자
350: 수온센서 400: 버스 바
10: fluid heating heater 100: main body
110: partition wall portion 110a: inlet
110b: outlet 110c, 110d: insertion hole
110e: connector 111: post
112: seating groove 113: platform
120: first sidewall portion 121: first-first sidewall
121a: inclined surface 122: 1-2th sidewall
123: first-3 sidewall 124: first-4 sidewall
125: depression 125a: first side
125b: second side 130: second sidewall portion
131: edge portion 140: flow path forming portion
141: Euro 143: straight portion
145: first curved portion 147: second curved portion
150, 151, 152: protrusion 151a, 152a: opening
153: direction change valve 154: rotating body
154a: through hole 160: fluid supply pipe
170: fluid discharge pipe 210: first cover
220: second cover 230: heating plate
231: metal plate 233: first insulating layer
235: heat generating pattern 237: second insulating layer
300: circuit board 310: first connector
320: second connector 330, 340: electronic device
350: water temperature sensor 400: bus bar

Claims (15)

판상의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타면에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부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
상기 유로형성부 상에 판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유로에 대응하는 형상의 발열 패턴을 포함하는 발열판;
상기 격벽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발열 패턴과 상기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 바;
상기 유로의 일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유로의 타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유체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유체 배출관은 각각 상기 메인 바디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방향으로 결합 가능한 유체 가열 히터.
A main body including a plate-shaped partition wall portion and a flow path forming portion forming a flow path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ortion;
A heating plate disposed on the flow path forming part in a plate shape and including a heating patter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low path;
A circuit board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heating pattern and the circuit board;
A fluid supply pi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flow path; And
A fluid discharge pip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And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t least two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격벽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격벽부를 관통하여 상기 유로에 연결되는 유입구 및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 돌출부 내로 연장되어 상기 유체 공급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 돌출부 내로 연장되어 상기 유체 배출관에 연결되는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The main body includes an inlet and outlet through the partition wall connected to the flow path,
The pair of protrusions include a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protrusion,
The inlet extends into the first protrusion and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outlet port extends into the second protrusion and is connected to the fluid discharge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격벽부의 일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커버가 결합되는 제1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측벽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2,
A first cove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The main body may include a first sidewall par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part to which the first cover is coupled.
And the pair of protrusions are disposed outside the first side wall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육면체 형상인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trusion is a hexahedral fluid heating hea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측벽부의 제1-1 측벽의 외측면에 접하는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protrusion is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first sidewall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측벽의 외측면은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함몰부는 상기 제1-1 측벽의 양단에 배치되는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5,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first-first sidewall includes a pair of depressions in which the pair of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disposed,
And the pair of depressions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first sidewal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의 코너에 배치되는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protrusion is disposed at a corner of the depres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돌출부와 접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recess includes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노출면을 포함하는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protrusions include a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disposed to face different direction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노출면 중 하나의 노출면에 배치되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유체 배출관은 각각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각각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까지 연장되는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each include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disposed on one of the expose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extend to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respectivel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방향은 상기 제2 개구의 방향과 평행한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방향은 상기 제2 개구의 방향과 반대인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is opposite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방향은 상기 제2 개구의 방향과 수직인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direction of the first opening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he second open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노출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노출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복수의 노출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노출면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관은 상기 복수의 제1 개구 중 하나의 제1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유체 배출관은 상기 복수의 제2 개구 중 하나의 제2 개구에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입구를 상기 유체 공급관이 결합된 제1 개구로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출구를 상기 유체 배출관이 결합된 제2 개구에 연결하는 방향전환밸브를 포함하는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openings respectively disposed on at least two expose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The second protrus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disposed on at least two exposed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xposed surfaces, respectively,
The fluid supply pipe is coupled to a first opening of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openings,
The fluid discharge pipe is coupled to a second opening of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openings,
The protrusion includes a diverter valve connecting the inlet port to the first opening coupled to the fluid supply pipe, or the outlet port to the second opening coupled to the fluid discharge pi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체 공급관 또는 상기 유체 배출관이 구비된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각각 상기 회전체를 통해 상기 유체 공급관 및 상기 유체 배출관에 연결되는 유체 가열 히터.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trusion includes a rotating body provided with the fluid supply pipe or the fluid discharge pipe,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pipe and the fluid discharge pipe through the rotating body.
KR1020180093050A 2018-08-09 2018-08-09 Fluid heating heater KR1024996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50A KR102499601B1 (en) 2018-08-09 2018-08-09 Fluid heating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50A KR102499601B1 (en) 2018-08-09 2018-08-09 Fluid heating h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757A true KR20200017757A (en) 2020-02-19
KR102499601B1 KR102499601B1 (en) 2023-02-16

Family

ID=6966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50A KR102499601B1 (en) 2018-08-09 2018-08-09 Fluid heating 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60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359Y1 (en) * 2002-06-26 2002-09-27 왕희지 A multi-valve
JP2013220708A (en) * 2012-04-16 2013-10-28 Mitsubishi Heavy Ind Ltd Heat medium heating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KR20140134023A (en) * 2013-05-13 2014-11-21 이종은 Instantaneous water heater and heating device using the water heater
KR20180005410A (en) 2016-07-06 2018-01-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er
KR20180075777A (en) * 2016-12-26 2018-07-05 우리산업 주식회사 Heater assembly for heating flui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359Y1 (en) * 2002-06-26 2002-09-27 왕희지 A multi-valve
JP2013220708A (en) * 2012-04-16 2013-10-28 Mitsubishi Heavy Ind Ltd Heat medium heating device, and vehicle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KR20140134023A (en) * 2013-05-13 2014-11-21 이종은 Instantaneous water heater and heating device using the water heater
KR20180005410A (en) 2016-07-06 2018-01-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Cooling-water heater
KR20180075777A (en) * 2016-12-26 2018-07-05 우리산업 주식회사 Heater assembly for heating flu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601B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00325B (en) Battery module
WO2021007727A1 (en) Vehicle-mounted computing device in smart automobile, and smart automobile
US20150216077A1 (en) Electronic equipment cooling device and power converter having electronic equipment cooling device
WO2017026312A1 (en) Battery pack
CN110861466A (en) Heating device
CN103380015A (en) Heat medium heating device and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provided with same
JP5285489B2 (en) Battery assembly
CN110816219B (en) Heater for heating fluid
US20220003455A1 (en) Fluid heater
KR102496429B1 (en) Fluid heating heater
KR102499601B1 (en) Fluid heating heater
JP5776935B2 (en) Battery wiring module and battery module temperature control system
CN111795492B (en) Heating device for use in a vehicle
KR102573588B1 (en) Fluid heating heater
KR20160109167A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KR102499613B1 (en) Fluid heating heater
KR102506806B1 (en) Fluid heating heater
KR102053045B1 (en) Waer Heater
KR20210024967A (en) Fluid heating heater
JP7487550B2 (en) Cooling structure for mobile computing device
KR102499621B1 (en) Fluid heating heater
KR20230073486A (en) Fluid heating heater
JP6438543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KR20190092052A (en) Heater assembly for heating fluid
JP7468221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