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0359Y1 - A multi-valve - Google Patents

A multi-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0359Y1
KR200290359Y1 KR2020020019324U KR20020019324U KR200290359Y1 KR 200290359 Y1 KR200290359 Y1 KR 200290359Y1 KR 2020020019324 U KR2020020019324 U KR 2020020019324U KR 20020019324 U KR20020019324 U KR 20020019324U KR 200290359 Y1 KR200290359 Y1 KR 200290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fluid
spun
housing
empt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932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왕희지
Original Assignee
왕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희지 filed Critical 왕희지
Priority to KR2020020019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035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0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0359Y1/en

Links

Landscapes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를 3 방향으로 이상의 다 방향으로 절환 유통시킬 수 있는 다중 밸브에 관한 것으로, 유체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빈 공간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유통구와 하나의 칸막이벽이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제 1 제어스푸울, 상기 제 1 제어스푸울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제어스푸울의 내부 빈 공간속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 2 제어스푸울; 상기 제 1 스푸울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2 제어스푸울의 결합형태에 따라 내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지는 다수개의 제어스푸울; 상기 제어스푸울 중 제일 내측에 위치하는 제어스푸울의 내부에 결합되어지면서 그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는 빈 공간 형태의 유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제어스푸울들에 맞추어 다수개의 유통구와 하나의 칸막이벽이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내부스푸울 및 ; 상기 각각의 스푸울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각 스푸울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회전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다중밸브는 각각의 회전손잡이를 사용하여 서로 중첩 결합되어 있는 스푸울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각각의 스푸울에 형성된 유통구와 칸막이벽의 배치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하여 들어온 유체의 배출방향을 다각도로 변경시켜 줄 수 있어 간단한 구조의 밸브하나만으로 유체의 이동방향을 다양하고 편리하게 절환 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valve capable of switching and flowing a fluid in three or more directions in three directions,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fluid; The first control spun, the first control spun is formed so as to rotate inside the housing, the interior is made of an empty space and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and one partition wall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empty space. A second control spring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second control spring so as to be rotated in the inner empty space of the first control spring; A plurality of control springs which are formed in the same form as the first sprue and sequentially coupled to the inside according to a coupling form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prings;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spun located in the innermost of the control spun is formed in the fluid space of the form of the empty space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a plurality of the center of the fluid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pun An inner spout formed with two distribution ports and one partition wall at equal intervals;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tary knob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prues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each sprue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multi-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uses the respective rotary knobs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sprues which are superimposed and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chang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distribution ports and the partition walls formed in the respective sprue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luid coming in through multiple angles so that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can be switched variously and conveniently with only one valve of simple structure.

Description

멀티 밸브{A multi-valve}A multi-valve

본 고안은 액체나 가스 등과 같은 유체의 이송방향을 절환시키는데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체의 이송방향을 필요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절환이송시킬 수 있게 하는 다중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used to switch the transfer direction of a fluid, such as liquid or gas, and more particularly relates to a multiple valve to enable the transfer of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fluid in various directions as needed.

일반적으로 유체의 이송을 제어하는 밸브는 그 기능과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방향절환밸브는 유체의 이송방향을 절환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온/오프 밸브는 유체를 이송 또는 차단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In general, the valve that controls the transfer of fluid is to play a variety of roles depending on the function and structure. For example, the direction switching valve has a function of switch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luid, and the on / off valve has a function of conveying or blocking the fluid.

한편, 방향절환밸브에도 여러 가지 타입이 있는 바, 예컨대 하나의 유체 유입구와 2개의 배출구를 포함한 3방향으로 이루어진 3웨이 밸브라 하는데, 이 3웨이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3방향으로만 제어할 수 있을 뿐, 4방향 이상으로는 제어할 수가 없다.On the other hand, there are various types of directional valves, for example, a three-way valve consisting of a three-way valve including one fluid inlet and two outlets, the three-way valve can control the flow of fluid only in three directions There is only control in four directions.

따라서, 4방향 이상으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2개의 3웨이밸브를 사용하는 등 복잡한 관로 구조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control the flow of the fluid in more than four directions, there was an inconvenience such as using a complicated pipe structure such as using two three-way valve.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밸브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간단한 구조의 밸브 하나만으로 유체의 흐름을 3 방향이상 여러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멀티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valve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valve that can control the flow of the fluid in three or more directions with only one valve of a simple structure.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밸브는, 유체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빈 공간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유통구와 하나의 칸막이벽이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제 1 제어스푸울, 상기 제 1 제어스푸울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제어스푸울의 내부빈공간속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 2 제어스푸울; 상기 제 1 스푸울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2 제어스푸울의 결합형태에 따라 내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지는 다수개의 제어스푸울; 상기 제어스푸울 중 제일 내측에 위치하는 제어스푸울의 내부에 결합되어지면서 그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는 빈 공간 형태의 유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제어스푸울들에 맞추어 다수개의 유통구와 하나의 칸막이벽이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내부스푸울 및 ; 상기 각각의 스푸울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각 스푸울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회전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The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ousing having a fluid inlet and outlet; The first control spun, the first control spun is formed so as to rotate inside the housing, the interior is made of an empty space and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and one partition wall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empty space. A second control spring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second control spring to be rotated in the inner empty space of the first control spring; A plurality of control springs which are formed in the same form as the first sprue and sequentially coupled to the inside according to a coupling form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prings;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spun located in the innermost of the control spun is formed in the fluid space of the form of the empty space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a plurality of the center of the fluid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pun An inner spout formed with two distribution ports and one partition wall at equal intervals;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tary knob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prues to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each sprue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멀티 밸브는 각각의 회전손잡이를 사용하여 각각의 제어스푸울과 내부스푸울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각각의 스푸울에 구비된 유통구와 칸막이벽의 배치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하우징의 출입구를 통하여 들어온 유체의 배출방향을 다각도로 변경시켜 줄 수 있어 간단한 구조의 밸브 하나만으로 유체의 이동방향을 4방향으로 편리하게 절환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The multi-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uses the respective rotary knobs to adjust the rotation angles of the respective control spuns and the inner spuns, thereby chang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distribution port and the partition wall provided in each spu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housing can be changed at various angles, so that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can be conveniently switched in four directions with only one valve having a simple structure.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멀티밸브를 4 웨이 밸브에 적용시킨 실시예의 조립단면도,1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multi-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4-way valve;

도 2 는 도면 1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4 웨이 밸브의 내/제어스푸울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ner / control spring of the four-way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밸브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내부단면도로서, 도 3a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일직선을 이루도록 절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Figure 3 is a schematic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let and outlet are switched to form a straight line,

도 3b는 배출구가 유입구의 좌측으로 절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Figure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let is switched to the left side of the inlet,

도 3c는 배출구가 유입구의 우측으로 절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c shows a state in which the outlet is switched to the right side of the inle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유입구 2,3,4 - 배출구1-inlet 2,3,4-outlet

5 - 하우징 6 - 제어스푸울5-Housing 6-Control Spring

7 - 내부 스푸울 8 - 빈 공간7-Inside Spoul 8-Free Space

9,10,11 - 유통구 12 - 칸막이 벽9,10,11-outlet 12-partition wall

13 - 유체공간 14,15,16 - 유통구13-fluid space 14,15,16-outlet

17 - 칸막이 벽 18 - 오링17-partition wall 18-o-ring

19,20 - 회전 손잡이19,20-rotary knob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 1은 본 고안을 4웨이밸브에 적용시킨 경우의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면 2 는 본 고안에 따른 4웨이 밸브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스푸울과 제어스푸울의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멀티밸브를 이용한 4웨이 밸브는 하나의 유체 유입구(1)와 3개의 유체 배출구(2,3,4)를 구비한 하우징(5)으로 이루어진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our-way valv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and control spun installed in the four-way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four-way valve using the multi-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housing 5 having one fluid inlet 1 and three fluid outlets 2, 3, 4.

그리고, 상기 하우징(5)의 내부에 제어스푸울(6)과 내부 스푸울(7)로 이루어지는 2개의 스푸울이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wo sprues including a control spun 6 and an internal spun 7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5 so as to rotate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어스푸울(6)은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스푸울(7)은 제어스푸울(6)속에 끼워진 상태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Here, as shown in Figure 2, the control spring 6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freely with respect to the housing (5), the inner sprue (7) is fitted into the control spring (6) It is possible to rotate freely.

한편, 상기 제어스푸울(6)은 그 내부가 원형의 빈 공간(8)으로 되어 있고, 상기 빈 공간(8)을 중심으로 3개의 유통구(9,10,11)와 칸막이 벽(12)이 90도의 등간격을 두고 배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 스푸울(7)이 상기 제어스푸울(6)의 빈 공간(8)속에 회전할 수 있게 끼워져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pring 6 has a circular hollow space 8 therein, and has three distribution ports 9, 10, 11 and partition walls 12 around the empty space 8. It i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f 90 degrees. Thus, the inner sprue 7 is fitted to be rotatable in the empty space 8 of the control spun 6.

또, 상기 내부 스푸울(7)은 그 내부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게 빈 공간으로 형성된 유체공간(13)과 상기 유체공간(13)을 중심으로 90도의 등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의 유통구(14,15,16) 및 칸막이 벽(17)을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prue (7) is three fluid outlet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f 90 degrees around the fluid space 13 and the fluid space 13 formed into an empty space for the fluid to pass through therein 14, 15, 16 and the partition wall 17 are provided.

물론, 상기 내부 스푸울(7)과 제어스푸울(6)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으면서도 서로의 사이를 통하여 유체가 누출되지 않게 결합되어 있는 한편, 내부스푸울(7)에 형성된 유통구(14,15,16)와 제어스푸울(6)에 형성된 유통구(9,10,11)의 주변에 유체의 기밀을 위한 오링(18) 등이 설치되어 있다.Of course, the inner spun 7 and the control spun 6 can be rotated smoothly, but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fluid does not leak through each other, while the outlet 14 formed in the inner spun 7 O-rings 18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the flow ports 9, 10 and 11 formed in the 15 and 16 and the control springs 6.

그리고, 상기 내부 스푸울(7)과 제어스푸울(6)은 각각 회전 손잡이(19,20)와 연결되어 하우징(5)의 바깥에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prue 7 and the control spun 6 are connected to the rotary knobs 19 and 20,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op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5.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4웨이 밸브는 상기 회전 손잡이(19,20)를 사용하여 내부 스푸울(7)과 제어스푸울(6)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하우징(5)의 유입구(1)와 연통되는 배출구(2,3,4)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The four-way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uses the rotary knobs 19 and 20 to adjust the angle of the inner sprue 7 and the control sprue 6 to the inlet 1 of the housing 5. It is possible to select one of the outlets 2, 3, and 4 in communication.

즉,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스푸울(6)의 칸막이 벽(12)과 내부 스푸울(7)의 칸막이 벽(17)이 측방으로 연통된 유통구(10,15)를 각각 차단하게 함으로써 내부스푸울(7)의 유통구(16)와 제어스푸울(6)의 유통구(11)가 상기 하우징(5)의 유입구(1)와 일직선으로 배열된 배출구(3)와 연통되어지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partition wall 12 of the control sprue 6 and the partition wall 17 of the inner sprue 7 block the flow ports 10 and 15 communicating laterally, respectively. Thus, the outlet port 16 of the inner spout 7 and the outlet port 11 of the control spun 6 communicate with the outlet port 3 arranged in line with the inlet port 1 of the housing 5. do.

따라서, 상기 유입구(1)로 유입된 유체는 일직선 경로를 따라 배출구(3)를 통하여 배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inlet 1 is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 along a straight path.

여기서, 유입구(1)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일직선 방향에 배치된 배출구(3)를 통하여 배출되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상기 내부 스푸울(7)과 제어스푸울(6)의 배열방향이 반드시 도면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되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고 이와 반대의 위치로 배열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inner sprue 7 and the control sprue 6 must be illustrated. It does not have to be arranged as shown in 3a, but may be arranged in the opposite position.

다음, 상기 유입구(1)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유입구(1)의 왼쪽방향으로 배출되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도면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스푸울(7)의 칸막이벽(17)과 제어스푸울(6)의 칸막이 벽(12)이 하우징(5)의 배출구(2,3)를 차단시키게 하면, 유입구(1)의 왼쪽 방향에 배치된 배출구(4)만 개방되어지게 되므로, 이 배출구(4)를 통하여 유체가 배출되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Next, in order to allow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 to be discharged in the left direction of the inlet 1, as illustrated in FIG. 3B, the partition wall 17 and the control spun of the inner sprue 7 are illustrated. If the partition wall 12 of (6) blocks the outlets 2 and 3 of the housing 5, only the outlet 4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inlet 1 will be opened, so that the outlet 4 Through the fluid can be discharged.

또, 상기 유입구(1)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유입구(1)의 오른쪽 ??향으로 배출되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도면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스푸울(7)의 칸막이 벽(17)과 제어스푸울(6)의 칸막이 벽(12)이 하우징(5)의 배출구(3,4)를 차단시키게 하면, 유입구(1)의 오른쪽 방향에 배치된 배출구(2)만 개방되어지게 되므로, 이 배출구(2)를 통하여 유체가 배출되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allow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 to be discharged toward the right side of the inlet 1, as shown in FIG. 3C, the partition wall 17 and the partition wall 17 of the inner sprue 7 are formed. When the partition wall 12 of the earthhole 6 blocks the outlets 3 and 4 of the housing 5, only the outlet 2 arranged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inlet 1 is opened, so that the outlet Through (2) the fluid can be discharged.

한편, 상기와 같이 내부 스푸울(7)과 제어스푸울(6)의 칸막이 벽(17,12)을 사용하여 하우징(5)의 배출구(2,3,4)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유체가 유출되지 않게 하기도 하지만 유체의 역류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by selectively blocking the outlets 2, 3, 4 of the housing 5 using the partition walls 17, 12 of the inner sprue 7 and the control sprue 6 as described above, It does not spill but prevents backflow of the fluid.

그리고, 도면 3b와 도면 3c에서와 같이 하우징(5)의 배출구(2,3,4)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때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제어스푸울(7,6)을 배열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해당 배출구(2,3,4)를 차단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스푸울(6,7)의 배치방향을 세팅시키기만 하면 된다.In addition, when selectively blocking the outlets 2, 3, and 4 of the housing 5, as shown in FIGS. 3b and 3c, the inner / control springs 7, 6 must be arranged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sprues 6 and 7 in the direction of blocking the corresponding outlets 2, 3 and 4.

상기에서는 본 고안을 적용시킨 가장 간단한 구조, 즉 4개의 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4웨이 밸브에 적용시킨 경우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여기에만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simplest structur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at is, when it is applied to a four-way valve that controls the flow of fluid in four directions.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멀티밸브는 상기 스푸울의 개수와 이 스푸울에 형성된 유통구의 개수는 유체의 유동방향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multi-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e spouls and the number of outlets formed in the spouls will vary depending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즉, 상기한 바와 같이 4방향으로 제어하는 경우에는 2개의 스푸울과 3개의 유통구 및 1개의 칸막이벽을 형성시켜 주면 되지만, 10방향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8개의 스푸울과 9개의 유통구 및 1개의 칸막이벽을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That is, in the case of controlling in four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two sprues, three distribution ports, and one partition wall may be formed, but in the case of controlling in the ten directions, eight spouls and nine distribution ports may be used. And one partition wall.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밸브는 그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따라 각기 다른 개수의 스푸울과 유통구의 개수가 다른 구조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use a different number of spouls and the number of outlets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멀티밸브는 하나의 하우징(5)에 서로 겹쳐지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스푸울(6,7)을 회전할 수 있게 내장시키고, 이들 각각의 스푸울(6,7)의 위치를 회전손잡이(19,20)로써 제어할 수 있게 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하나의 유입구(1)를 통하여 유입되어 들어오는 유체를 상기 스푸울의 개수와 이 스푸울에 형성된 유통구의 개수에 따라 3개 방향 이상으로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 so as to rotate a plurality of sprues 6, 7 coupled to one housing 5 overlapping each other, each of these sprues 6, 7) has a simple structure that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rotary knobs (19, 20),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one inlet (1) of the number of the sprue and the outlet formed in the spout Depending on the number can be selected and controlled in three or more directions.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밸브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제어도 용이하고 하나의 밸브를 사용하여 4방향 이상으로 유체의 유동을 통제할 수가 있어 배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imple structure is easy to control and can control the flow of the fluid in more than four directions using a single valve can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pipe.

Claims (1)

유체의 유입구와 배출구를 갖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면서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빈 공간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유통구와 하나의 칸막이벽이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제 1 제어스푸울; 상기 제 1 제어스푸울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제어스푸울의 내부 빈 공간속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제 2 제어스푸울; 상기 제 1 스푸울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2 제어스푸울의 결합형태에 따라 내부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지는 다수개의 제어스푸울; 상기 제어스푸울 중 제일 내측에 위치하는 제어스푸울의 내부에 결합되어지면서 그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는 빈 공간 형태의 유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공간을 중심으로 상기 제어스푸울들에 맞추어 다수개의 유통구와 하나의 칸막이벽이 등간격으로 배치 형성된 내부스푸울 및 ; 상기 각각의 스푸울에 연결되어 하우징의 외부에서 각 스푸울의 회동각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회전손잡이로 구성된 멀티밸브.A housing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of the fluid; A first control spring installed rotatably inside the housing and having a hollow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orts and one partition wall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empty space; A second control spun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trol spun and installed to rotate in an internal empty space of the first control spun; A plurality of control springs which are formed in the same form as the first sprue and sequentially coupled to the inside according to a coupling form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springs;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ntrol spun located in the innermost of the control spun is formed in the fluid space of the form of the empty space through which the fluid passes, a plurality of the center of the fluid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pun An inner spout formed with two distribution ports and one partition wall at equal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rotation knob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sprues to control a rotation angle of each sprue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KR2020020019324U 2002-06-26 2002-06-26 A multi-valve KR2002903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324U KR200290359Y1 (en) 2002-06-26 2002-06-26 A multi-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9324U KR200290359Y1 (en) 2002-06-26 2002-06-26 A multi-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0359Y1 true KR200290359Y1 (en) 2002-09-27

Family

ID=7312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9324U KR200290359Y1 (en) 2002-06-26 2002-06-26 A multi-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0359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019B1 (en) 2008-05-06 2009-03-31 (주)우연더윙스 3 way valve
KR101181021B1 (en) 2006-12-14 2012-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ratus of preventing abnormal vibration for dissel engine vehicles using vacuum pressure of a brake master cylinder
KR20190110032A (en) * 2018-03-19 2019-09-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Device for regulating a flow through and distributing a fluid in a fluid circuit
KR20200017757A (en) * 2018-08-09 2020-02-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luid heating heater
KR20230001103A (en) * 2021-06-28 2023-01-04 디와이피엔에프 주식회사 Diverter valve with seal with heterogeneous propertie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021B1 (en) 2006-12-14 2012-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ratus of preventing abnormal vibration for dissel engine vehicles using vacuum pressure of a brake master cylinder
KR100891019B1 (en) 2008-05-06 2009-03-31 (주)우연더윙스 3 way valve
KR20190110032A (en) * 2018-03-19 2019-09-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Device for regulating a flow through and distributing a fluid in a fluid circuit
KR102216300B1 (en) * 2018-03-19 2021-02-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Device for regulating a flow through and distributing a fluid in a fluid circuit
KR20200017757A (en) * 2018-08-09 2020-02-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luid heating heater
KR102499601B1 (en) * 2018-08-09 2023-02-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luid heating heater
KR20230001103A (en) * 2021-06-28 2023-01-04 디와이피엔에프 주식회사 Diverter valve with seal with heterogeneous properties
KR102540276B1 (en) * 2021-06-28 2023-06-07 디와이피엔에프 주식회사 Diverter valve with seal with heterogeneous propert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8029A (en) Single control faucet
KR200290359Y1 (en) A multi-valve
RU2317460C2 (en) Cartridge for sanitary equipment
KR20090071507A (en) The bibcock having the cold water and warm water mixture are possible
US3773076A (en) Selector valve for receiving & distributing plural flows
CA2198182A1 (en) Rotary Control Valve for a Water Conditioning System
US8505579B2 (en) Selectable fluid valve assembly
EP0819444A3 (en) Multi-stage type flow rate switching device
FI69348B (en) blandare
CN213361196U (en) Multifunctional valve core
KR20050078047A (en) Valve for changing flow paths
US6808123B2 (en) Mixing faucet having multiple discharges
EP1489342B1 (en) Three-way valve
JPH09280392A (en) Four-way selector valve
JPS6312281Y2 (en)
CN215410364U (en) Three-function shower faucet with improved structure
JP2959012B2 (en) Switching valve
AU550476B2 (en) Single control faucet
JP3364015B2 (en) Switching valve
JPS6014836Y2 (en) Water faucet direct connection unit
JP3753483B2 (en) Faucet direct water purifier
JP3490194B2 (en) Switching valve
JPH0749150Y2 (en) Flow path switching valve
WO1983001668A1 (en) Single control faucet
KR200230838Y1 (en) Open / close valve device of booth type show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