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678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감쇄 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감쇄 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678A
KR20200017678A KR1020180092857A KR20180092857A KR20200017678A KR 20200017678 A KR20200017678 A KR 20200017678A KR 1020180092857 A KR1020180092857 A KR 1020180092857A KR 20180092857 A KR20180092857 A KR 20180092857A KR 20200017678 A KR20200017678 A KR 20200017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loss
cell
reference signal
downlink
relate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0969B1 (ko
Inventor
류현석
박성진
방종현
여정호
오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969B1/ko
Priority to US16/537,438 priority patent/US11133877B2/en
Publication of KR2020001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678A/ko
Priority to US17/484,958 priority patent/US1171615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969B1/ko
Priority to US18/360,670 priority patent/US2023037018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추정하는 단말의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감쇄 결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ATHLO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경로감쇄 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포밍(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 의료 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묶어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CA (carrier aggregation) 기술이 널리 알려져 왔다. 기지국과 단말이 하향링크 CA만을 지원하는 경우,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는 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수신하지만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는 단일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기지국과 단말이 하향링크 CA와 상향링크 CA를 동시에 지원하는 경우, 단말은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모두 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정보들은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시 (즉, 앞서 언급한 PUSCH, PUCCH 또는 SRS 전송 시), 인접 셀로의 간섭을 완화하고 상향링크 전송 정보의 수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상향링크 송신전력 제어를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라미터들과 자신이 측정한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이용하여 송신전력 값을 설정하게 된다. UL CA를 지원하는 상향링크 캐리어 주파수의 수가 많을 경우 (예를 들어, 4개의 캐리어 주파수를 지원), 단말은 4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주파수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정보 전송을 위해, 각 상향링크에 대응되는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참조신호를 통해 (예를 들어,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4개의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해야 한다. 그리고 단말은 4개의 상향링크 캐리어 주파수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정보 전송 시, 추정한 경로감쇄 값을 이용하여 송신전력 값을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CA에 사용되는 캐리어 주파수의 수가 증가할수록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추정하기 위한 단말의 전력 소모가 증가한다. 이러한 단말의 전력 소모 문제는 아날로그 빔포밍을 사용하는 셀과의 CA 환경에서 더 심각해질 수 있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빔 또는 상향링크 빔은 서로 다른 경로감쇄를 겪기 때문에, 단말은 자신이 접속해 있는 셀이 지원하는 빔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기지국으로 보고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단말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경로감쇄 결정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5G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감쇄 결정을 위한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상향링크 CA가 적용되는 경우 상향링크 전송을 위해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추정하는 단말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단말의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경로감쇄(pathloss)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따라 식별된 제2셀의 BWP(bandwidth part) 내의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측정하는 단계, 하향링크 경로감쇄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제1셀에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제2셀의 셀 인덱스, BWP의 BWP 인덱스 및 참조 신호의 자원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참조 신호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B의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가 하향링크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 결정하는 단계는 제2셀의 BWP 내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경로감쇄 값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가 상향링크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 결정하는 단계는 제2셀의 BWP 내에서 참조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했던 경로감쇄 값을 고려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며,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SpatialRelationInfo 파라미터, PUSCH-PathlossReferenceRS 파라미터, 또는 pathlossReferenceLinking 파라미터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지국으로부터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경로감쇄(pathloss)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따라 식별된 제2셀의 BWP(bandwidth part) 내의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측정하고, 하향링크 경로감쇄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제1셀에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방법은, 단말로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경로감쇄(pathloss)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단말에 의하여,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따라 식별된 제2셀의 BWP(bandwidth part) 내의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측정된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적용함으로써 결정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단말로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경로감쇄(pathloss)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단말로부터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단말에 의하여,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따라 식별된 제2셀의 BWP(bandwidth part) 내의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측정된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적용함으로써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감쇄 결정 방법을 통해서 경로감쇄 추정을 위한 단말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고, 기지국은 단말이 경로감쇄를 추정하기 위한 참조신호를 전송하지 않아도 되므로 기지국 스케줄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에서 CA(carrier aggregation)를 사용하지 않는 단일-셀(single cell) 경우에서의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에서 DL(Downlink)/UL(Uplink) CA를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DL/UL CA를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둘 이상의 빔을 사용하는 단일 셀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둘 이상의 빔을 사용하는 다중 셀로 구성된 CA 환경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중 빔을 사용하는 다중 셀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CA 동작을 수행할 때 단말의 전력소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작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경로감쇄 연결(linking) 정보의 전송 방법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경로감쇄 linking 정보의 전송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경로감쇄 linking 정보의 전송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경로감쇄 linking 정보의 전송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에서 CA(carrier aggregation)를 사용하지 않는 단일-셀(single cell) 경우에서의 기지국(110)과 단말(120)의 동작(1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지국은 하향링크(DL: downlink)를 통해 기준 신호(RS: reference signal)를 전송하며 단말은 이를 측정하여 하향링크 경로감쇄 (PL: Pathloss) 값을 추정해낸다. 단말은 추정한 경로감쇄 값을 상향링크(UL: uplink) 전송 시, 송신전력 제어에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하향링크를 통해 CRS (Cell-specific RS)를 단말로 전송하고 CRS의 송신전력 값 (referenceSignalPower)을 단말로 시스템 정보를 통해 알려준다.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한 CRS를 이용하여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고,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통해 전송한 CRS의 송신전력 값을 이용하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해 낸다. 또한, 단말은 자신이 추정한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및 상향링크 사운딩 신호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의 송신전력 값 설정에 사용한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에서 DL CA 및 UL CA를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기지국(210)과 단말(220)의 동작(200)에 대한 예시이다. 이때, UL CA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주파수의 수는 DL CA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주파수 수의 부분 집합일 수 있다. 즉, DL CA에서 사용되는 캐리어의 개수가 M이라고 가정하고 UL CA에서 사용되는 캐리어의 개수를 N으로 가정하면, M = N이다. 이때, DL CA 또는 UL CA에서 사용되는 캐리어를 셀(cell)로 명명할 수 있다. 기지국이 둘 이상의 cell을 지원하는 DL CA의 경우, 기지국은 각 cell의 하향링크를 통해 CRS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CRS를 이용하여 각 셀의 하향링크 RSRP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각 셀에서 전송되는 CRS의 송신전력 값 (referenceSignalPower)을 시스템 정보를 통해 단말로 configuration할 수 있다. 단말은 각 셀의 CRS를 통해 측정한 하향링크 RSRP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각 셀의 CRS 송신전력 값을 이용하여 각 셀의 경로감쇄 값을 추정해 낼 수 있다. 단말은 특정 셀의 상향링크로 데이터 채널, 제어 채널 및 사운딩 신호를 전송할 때, 해당 셀의 하향링크를 통해 추정한 경로감쇄 값을 이용하여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단말은 모든 셀에서 전송되는 CRS를 측정해야 하며, 이는 단말의 전력소모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3에서 예시한 단말의 동작(300)이 종래 CA 기술에서 고려돼 왔다. 도 3은 통신 시스템에서 DL/UL CA를 사용하는 환경에서의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UL CA 지원 없이 DL CA만을 지원하는 단말, 또는 DL CA와 UL CA를 모두 지원하지 않는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제어 채널 및 사운딩 신호)을 자신이 접속한 UL cell에서 수행한다. 이때, 자신이 접속한 UL cell은 단말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 설정 이전에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했던 UL cell을 의미하며, UL CA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동기화를 수행한 DL cell과 초기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했던 UL cell은 동일 cell이 될 수 있다. 따라서 UL CA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305)은 기지국과 하향링크 동기화를 수행한 DL cell로부터 수신한 CRS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310). 그리고 추정한 경로감쇄 값을 이용하여 UL cell의 캐리어 주파수에서 전송되는 모든 상향링크 전송을 위한 송신전력 값 설정에 적용한다(315).
한편, DL CA와 UL CA를 모두 지원하는 단말의 경우, 하향링크로 둘 이상의 cell (또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하향링크 캐리어 주파수)과 상향링크로 둘 이상의 cell (또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상향링크 캐리어 주파수)을 통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이전에 수행되는 상향링크 전송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 제어 채널)은, 기지국과 하향링크 동기화를 수행했던 DL cell (또는 하향링크 캐리어 주파수)에 상응되는 UL cell (또는 상향링크 캐리어 주파수)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DL cell (또는 하향링크 캐리어 주파수)에 상응되는 UL cell (또는 상향링크 캐리어 주파수)은 시스템 정보를 통해 기지국이 설정할 수 있다.
RRC 연결 설정 과정에서 기지국과 단말은 DL CA와 UL CA에 대한 지원 여부를 협상한다. 이러한 능력 협상을 통해 기지국은 단말의 CA 지원 여부 (예를 들어, DL CA와 UL CA를 모두 지원하는지, DL CA만을 지원하는지 또는 DL CA와 UL CA를 모두 지원하지 않는지)를 파악하게 되고, 단말은 기지국의 CA 지원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UL CA를 지원한다는 의미는 DL CA와 UL CA를 모두 지원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UL CA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UL CA 지원 없이 DL CA만을 지원하거나 또는 UL CA와 DL CA 모두 지원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UL CA를 지원하는 단말은(305) 기지국으로부터 RRC 설정을 통해 UL CA 동작을 위한 UL cell들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UL cell index 또는 UL cell index에 해당되는 DL cell index 등)를 획득하고, 경로감쇄의 기준 연결(reference linking 또는 linking)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320). 경로감쇄의 linking에 대한 정보는, 해당 셀의 상향링크 전송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상향링크 제어 채널 및 상향링크 사운딩 신호 전송)에 필요한 송신전력 값 설정에 이용되는 해당 셀의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참조할 수 있는 cell 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UL CA 동작을 위한 UL cell index 또는 UL cell index에 해당되는 DL cell index를 다음의 예와 같이 configuration한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ServingCellIndex = 1, 2 즉, cell index 1번과 2번에서 UL 전송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기지국이 configuration함. 이때, 각 Serving Cell에서 경로감쇄 linking을 '0'으로 설정한 경우, 단말은 ServingCellIndex 1번과 ServingCellIndex 2번에서 전송되는 (즉, UL ServingCellIndex 1번에 상응되는 DL ServingCellIndex과 UL ServingCellIndex 2번에 상응되는 DL ServingCellIndex에서 전송되는, 또는 DL ServingCellIndex 1과 DL ServingCellIndex2에서 전송되는) CRS를 통해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UL ServingCellIndex 0번에 상응되는 DL ServingCellIndex 또는 DL ServingCellIndex 0에서 전송되는 CRS를 통해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325). 단말은 추정한 경로감쇄 값을 이용하여 ServingCellIndex 1번과 ServingCellIndex 2번에서 전송되는 (즉, DL ServingCellIndex 1번에 상응되는 UL ServingCellIndex와 DL ServingCellIndex 2번에 상응되는 UL ServingCellIndex에서 전송되는, 또는 UL ServingCellIndex 1과 UL ServingCellIndex2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상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향링크 사운딩 신호의 송신전력 값 설정에 적용할 수 있다(330). 단말은 설정한 송신전력 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상향링크 제어 채널 또는 상향링크 사운딩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350).
UL CA를 지원하는 단말이라도, 기지국이 경로감쇄 linking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320), 단말은 기지국이 CA를 위해 configure한 모든 셀의 CRS를 이용하여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340). 단말은 추정한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적용하여, 기지국이 activation한 UL 셀의 상향링크 전송의 송신전력 값 설정에 적용할 수 있다(345). 그리고 설정된 송신전력 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350).
도 4는 둘 이상의 빔을 사용하는 단일 셀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4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N 개의 빔을 지원하는 셀에 대한 예시이며 (빔-1, 빔-2, ..., 빔-N),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기준 신호를 통해서 M 개의 빔에 대한 RSRP를 측정하고 (N = M), 상향링크 전송을 빔-2의 방향으로 수행하는 예시이다. 이때,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빔-2의 방향은 단말이 스스로 결정하거나 기지국이 빔-2의 방향으로 전송을 명령한 경우일 수 있다.
단말이 스스로 빔-2의 방향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결정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로, 단말은 자신이 측정한 M개의 RSRP들 중 가장 큰 RSRP 값을 갖는 빔 방향으로 (예를 들어, 도 4의 빔-2)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이 상향링크 빔 방향을 지시하는 경우, 기지국은 RRC, MAC(medium access control) CE(control element),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또는 둘 이상의 조합 (예를 들어, RRC와 DCI의 조합)을 통해 단말에게 특정 빔 방향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명령할 수 있다. 이때, 빔 방향은 하향링크 RSRP 측정과 이를 통한 하향링크 경로감쇄 추정에 사용되는 하향링크 RS의 자원 index 이거나 (예를 들어,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 빔 상호성(beam correspondence 또는 beam reciprocity)이 존재하는 경우), 상향링크 사운드 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SRS의 자원 index일 수 있다 (빔 상호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 하향링크 RSRP 측정과 하향링크 경로감쇄 추정에 사용될 수 있는 RS는 SSB (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이거나 (SSB의 SSS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SSB의 SSS와 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DMRS (Demodulation RS)를 모두 사용), CSI(channel state information)-RS일 수 있다. 기지국이 상향링크 빔 방향을 지시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RRC, MAC CE,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통해 SSB, CSI-RS 또는 SRS의 자원 index를 알려줄 수 있다.
도 5는 둘 이상의 빔을 사용하는 다중 셀로 구성된 CA 환경에서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5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N1 개의 빔을 지원하는 셀-1과 N2개의 빔을 지원하는 셀-N에 대한 예시이며, 단말은 셀-1으로부터 M1 개의 빔에 대한 RSRP를 측정하고 (N1 = M1) 빔-2의 방향으로 셀-1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고, 셀-N으로부터 M2 개의 빔에 대한 RSRP를 측정하고 (N2 = M2) 빔-N2의 방향으로 셀-N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모든 셀이 둘 이상의 빔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다중 셀을 구성하는 기지국의 특정 셀 또는 특정 셀들은 단일 빔을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CA에서는 도 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각 셀 별로 전송되는 CRS를 이용하여 RSRP를 측정하거나,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configuration한 특정 셀에서 추정한 경로감쇄 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송신전력 값의 설정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다중 빔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일 셀에서도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RS를 이용하여 RSRP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하고 상향링크 송신전력 값의 설정에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전력소모가 단일 빔을 사용하는 시스템 대비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다중 빔을 사용하는 다중 셀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CA 동작을 수행할 때 더 심각해 질 수 있다.
한편, 아날로그 빔포밍을 사용하는 시스템은 mmWave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광대역 전송이 가능하다(예를 들어, 1 GHz 대역폭).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단말의 전력소모 감소를 위해 BWP (bandwidth part: 부분 대역폭) 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이 논의된 바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 GHz 대역폭을 지원하는 단말 또는 기지국의 경우라도, 매번 전 대역폭을 통해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송신/수신을 수행할 경우, 단말의 전력소모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능력에 따라, 광대역 폭을 지원하는 단말과 협대역 폭을 지원하는 단말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및 기지국을 위해 부분 대역폭을 운용할 수 있다. 즉, 광대역 폭을 지원하는 기지국일 지라도 단말이 광대역 폭 지원 능력이 없는 경우, 단말의 능력에 기반하여 기지국은 협대역 폭(또는, 부분 대역폭)으로 하향링크의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단말에게 상향링크로 데이터 및 제어 정보의 전송을 명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시스템 대역폭 내에서 부분 대역폭은 최대 4개까지 단말 특정적(UE-dedicated) RRC 시그널링을 통해 설정(configuration)할 수 있으며, DCI를 통해 실제 하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의 수신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 부분 대역폭을 단말에게 지정해 줄 수 있다 (즉, RRC로 알려준 4개의 부분 대역폭 중, 하나의 부분 대역폭을 DCI로 지정). 또는 RRC reconfiguration을 통해 단말이 하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의 수신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 부분 대역폭을 지정해 줄 수 있다. 이렇게 기지국으로부터 DCI를 통해 또는 RRC reconfiguration을 통해 실제 지정 받은 하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의 수신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및 제어정보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는 부분 대역폭을 활성화된 부분 대역폭 (active BWP)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도 6은 다중 빔을 사용하는 다중 셀로 구성된 시스템에서 CA 동작을 수행할 때 단말의 전력소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동작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RRC 연결 설정 과정에서 기지국과 단말은 UL CA 지원 여부에 대한 능력을 협상할 수 있다(605). 단말이 접속한 기지국이 UL CA를 지원하고 단말이 UL CA를 지원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CA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RRC를 통해 configuration할 수 있다(630). 이때, 파라미터들은 CA에 사용되는 serving cell index와 각 serving cell의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serving cell의 상향링크 전송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은 적어도 다음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TDD(time division duplex) DL/UL configuration: TDD 시스템에서 DL slot과 UL slot의 configuration
- UL BWP (bandwidth part) 관련 파라미터: serving cell에서 지원하는 BWP의 수 및 각 BWP에서 전송될 수 있는 PUSCH, PUCCH 및 SRS 전송을 위한 파라미터
* PUSCH 전송 파라미터의 경우, 다음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PUSCH scrambling 위한 ID, PUSCH가 Codebook 기반 전송 또는 non Codebook 기반 전송을 따르는지의 여부, PUSCH DMRS의 mapping type, PUSCH power control 파라미터, PUSCH Frequency hopping mode, PUSCH resource allocation type, PUSCH aggregation의 경우 aggregation 되는 slot의 수, PUSCH에 사용되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table (예를 들어, 64-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or 256-QAM), PUSCH 전송에 사용되는 waveform (즉, CP-OFDM(cyclic prefix based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r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 spread OFDM), PUSCH의 최대 rank 수, Resource Block Group (RBG) 크기, pi/2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의 적용 여부, UCI(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PUSCH로 전송하기 위한 파라미터 등
** PUSCH로 전송되는 Transport block (TB)이 CBG (Code Block Group) 단위로 전송되는지 또는 TB 단위로 전송되는지의 여부, CBG 단위로 전송되는 경우, TB당 최대 CBG의 개수
* PUCCH 전송 파라미터의 경우, 다음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PUCCH resource set의 개수, 각 PUCCH format 관련 파라미터 (PUCCH format 1, format 2, format 3, format 4에 관련된 파라미터로 각 PUCCH format 별로 slot 내 frequency hopping 지원 여부, 추가 DMRS의 사용 여부, 최대 지원 가능한 code rate, HARQ-ACK(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ACK)과 CSI 정보의 multiplexing 여부 등), DL 수신 후 ACK 전송까지의 timing, PUCCH power control 파라미터, PUCCH 전송에 사용되는 빔 정보 등
* SRS 전송 파라미터의 경우, 다음 파라미터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SRS resource set의 개수,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에서 accumulation의 사용 여부, 각 SRS resource set 내에서 SRS resource의 개수와 각 SRS resource의 type (예를 들어, aperiodic, periodic, semi-persistent SRS), SRS 전송에 사용되는 SRS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 등
- Special Cell (SpCell: Master Cell Group내의 Primary Cell 또는 Secondary Cell Group 내의 Primary Secondary Cell)에서 초기 UL 전송을 위한 BWP
- TAG ID: Secondary Cell에서 사용되는 TAG (동일한 Timing Advance를 적용할 수 있는 Group)의 ID
- PUSCH 전송 파라미터: enable CBG-based transmission & max CBG per TB (2, 4, 6, 8)
상기 파라미터들과 더불어 하향링크 경로감쇄의 linking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635, 640). 이러한 경우, 경로감쇄의 linking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는 경로감쇄를 적용해야 하는 cell의 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경로감쇄 linking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에는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참조할 수 있는 셀(이하, '참조 셀'로 명명)의 index와 함께 참조 셀에서 지원하는 BWP의 ID가 포함될 수 있다 (참조 cell에서 BWP를 운용하는 경우). 이때, BWP ID는 부분 대역폭에 대한 index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이 4개의 부분 대역폭을 운용하는 경우 BWP ID는 1, 2, 3, 4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0, 1, 2, 3 중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경로 감쇄 linking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에는 참조 셀의 index와 경로감쇄 값을 적용해야 하는 셀(이하, '타깃 셀'로 명명)의 BWP ID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경로 감쇄 linking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에는 참조 셀의 index, 참조 셀의 BWP ID, 그리고 타깃 셀의 BWP ID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경로감쇄 linking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로부터 참조 셀의 index와 참조 셀 또는 타깃 셀의 BWP ID 정보를 획득한 단말은 (BWP ID가 없는 경우, 참조 셀의 index만을 획득), RS 자원 index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RS 자원 index는 참조 셀의 index가 지칭하는 셀에서, 참조 셀의 BWP ID가 지칭하는 BWP에서 전송되는 RS의 종류 (즉, SSS/PBCH의 DMRS 또는 CSI-RS) 및 해당 RS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를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RS 자원 index는 참조 셀의 index가 지칭하는 셀에서, 타깃 셀의 BWP ID가 지칭하는 BWP에서 전송되는 SRS 자원의 index를 의미할 수 있다.
참조 셀의 index, 참조 셀의 BWP ID, 참조 셀의 BWP 에서 전송되는 RS 자원 index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단말은, 서빙 셀에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UL 전송전력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수신된 정보에 따라 참조 셀의 BWP 내의 RS 자원 index에 따라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추정/측정/계산할 수 있다(645).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단말이 UL로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를 '1'로 가정하고,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RRC를 통해 수신한 경로감쇄 linking 파라미터에 참조 셀 index = 0, 참조 셀의 BWP ID = '3', SSB 자원 index = '8'이 포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런 경우, 단말은 셀 index '1'로 전송하는 PUSCH의 송신전력 값에 필요한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셀 index '1'의 하향링크를 통해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셀-0번의 BWP ID 3번에서 전송되는 SSB의 자원 index 8번을 통해 획득하여 PUSCH 송신전력 값 설정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이 UL로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를 '1'로 가정하고,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RRC를 통해 수신한 경로감쇄 linking 파라미터에 참조 셀 index = 0, 타깃 셀의 BWP ID = '3', SRS 자원 index = '6'이 포함된 경우를 또 다른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런 경우, 단말은 셀 index '1'로 전송하는 PUSCH의 송신전력 값에 필요한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셀 index '1'의 하향링크를 통해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셀-0번의 BWP ID 3번에서 전송하는 SRS의 자원 index 6번을 전송할 때 사용했던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PUSCH 송신전력 값 설정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설정한 송신전력 값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660).
상기 예들에서는 PUSCH의 전송에 대해 언급했으나, 경로감쇄 linking 파라미터는 PUCCH 또는 SRS의 전송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경로감쇄의 linking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는 PUSCH, PUCCH 또는 SRS들 중 하나의 전송에만 적용될 수 있다. 이때, PUSCH, PUCCH 또는 SRS들 중 어느 전송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미리 정해진 약속을 따르거나, 또는 기지국이 결정할 수 있다. 미리 약속이 정해진 경우에 대한 일 예로, 경로감쇄 linking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기지국으로부터 configuration 되고, 경로감쇄의 linking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에 참조 셀의 index, 타깃 셀의 BWP ID (또는 참조 셀의 BWP ID) 그리고 RS의 종류 및 RS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경우, 기지국과 단말은 해당 경로감쇄 값이 PUSCH 전송에만 사용됨을 사전에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동작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이 결정하는 일 예로, 기지국은 경로감쇄 linking 파라미터로부터 획득한 경로감쇄 값을 PUSCH에 적용할 것인지, PUCCH에 적용할 것인지, 또는 SRS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2-bit를 통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기지국이 UL CA를 지원하지 않거나 단말이 UL CA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605), 단말은 자신이 기지국과 초기 랜덤 액세스를 수행했던 셀에서, 기지국이 활성화시킨 하향링크 BWP내에서, 기지국이 지정한 RS 종류 및 RS 자원 index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RS를 이용해 추정한 경로감쇄 값을, 상향링크 전송의 송신전력 값 세팅에 사용할 수 있다(610, 615, 620).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자신이 기지국과 초기 랜덤 액세스를 수행했던 셀에서, 기지국이 활성화시킨 상향링크 BWP내에서, 기지국이 지정한 SRS 자원 index로 전송되는 SRS의 전송에 사용했던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이용해 상향링크 전송의 송신전력 값 설정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설정한 송신전력 값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660).
한편, 기지국과 단말 모두가 UL CA를 지원하지만,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한 CA 관련 파라미터에 경로감쇄 linking 파라미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635), 단말은 실제 UL 전송이 수행될 UL cell에 상응하는 DL cell의 활성화된 하향링크 BWP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RS를 이용하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650). 이때, 기지국은 DL cell의 BWP ID와 RS 자원 index를 단말로 설정(configuration)할 수 있다. 단말은 추정한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의 송신전력 값 세팅에 사용할 수 있다(655).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실제 UL 전송이 수행될 UL cell의 활성화된 상향링크 BWP에서 전송되는 SRS의 전송에 사용된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UL cell의 BWP ID와 SRS 자원 index를 단말로 configuration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설정한 송신전력 값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660).
도 7은 경로감쇄 연결(linking) 정보의 전송 방법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경로감쇄의 linking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기지국은 PUSCH-SpatialRelationInfo라는 RRC 파라미터(700)에 경로감쇄의 linking 정보(7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PUSCH-SpatialRelationInfo는 PUSCH-Config Information Element (IE)를 통해 단말로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이때, PUSCH-SpatialRelationInfo는 도 7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경로감쇄의 linking 정보와 관련된 각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 PUSCH-SpatialRelationInfoId: PUSCH 전송을 위한 빔 방향을 나타내는 인덱스로, 셀에서 PUSCH 전송을 위해 지원할 수 있는 빔 방향의 최대 개수(maxNrofPUSCH-SpatialRelationInfos)는 고정이며 (예를 들어, 32), PUSCH-SpatialRelationInfoId는 최대 개수 내에서 indexing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xNrofPUSCH-SpatialRelationInfos = 32를 가정하는 경우, PUSCH-SpatialRelationInfoId는 [1, 32]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servingCellId: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참조할 수 있는 셀의 index를 의미한다. 이때, 셀의 index는 단말이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servingCellId가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한 경우,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에 상응되는 하향링크 셀 index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RS (SSB 또는 CSI-RS)를 이용하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servingCellId가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한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로 전송되는 (또는 전송했던) SRS에 적용된 경로감쇄 값을 PUSCH 전송에 재사용 할 수 있다. 한편, servingCellId가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상이한 경우, 단말은 PUSCH를 전송하는 셀이 아닌, servingCellId가 지시하는 셀의 index에 상응되는 하향링크 셀 index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RS를 이용하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servingCellId가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상이한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로 전송되는 (또는 전송했던) SRS에 적용된 경로감쇄 값을 PUSCH 전송에 재사용 할 수 있다.
- referenceSignal: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의 종류 및 RS 자원의 index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의 종류가 SSB, CSI-RS 또는 SRS인지를 나타내며, SSB인 경우는 SSB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 CSI-RS인 경우는 CSI-RS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 SRS인 경우는 SRS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를 나타낸다. 한편,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가 SRS인 경우, SRS 자원의 index (SRS-ResourceId)와 더불어 SRS가 전송되는 BWP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경로감쇄 linking 정보의 전송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경로감쇄의 linking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기지국은 PUSCH-PathlossReferenceRS라는 RRC 파라미터(800)에 경로감쇄의 linking 정보(8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PUSCH-PathlossReferenceRS는 PUSCH-PowerControl Information Element (IE)를 통해 단말로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이때, PUSCH-PathlossReferenceRS는 도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경로감쇄의 linking 정보와 관련된 각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 PUSCH-PathlossReferenceRS-Id: PUSCH 전송을 위한 빔 방향을 나타내는 인덱스로, 셀에서 PUSCH 전송을 위해 지원할 수 있는 빔 방향의 최대 개수(maxNrofPUSCH-SpatialRelationInfos)는 고정이며 (예를 들어, 32), PUSCH-SpatialRelationInfoId는 최대 개수 내에서 indexing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xNrofPUSCH-SpatialRelationInfos = 32를 가정하는 경우, PUSCH-SpatialRelationInfoId는 [1, 32]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servingCellId: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참조할 수 있는 셀의 index를 의미한다. 이때, 셀의 index는 단말이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servingCellId가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한 경우,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에 상응되는 하향링크 셀 index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RS (SSB 또는 CSI-RS)를 이용하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servingCellId가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한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로 전송되는 (또는 전송했던) SRS에 적용된 경로감쇄 값을 PUSCH 전송에 재사용 할 수 있다. 한편, servingCellId가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상이한 경우, 단말은 PUSCH를 전송하는 셀이 아닌, servingCellId가 지시하는 셀의 index에 상응되는 하향링크 셀 index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RS를 이용하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servingCellId가 PUSCH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상이한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로 전송되는 (또는 전송했던) SRS에 적용된 경로감쇄 값을 PUSCH 전송에 재사용 할 수 있다.
- referenceSignal: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의 종류 및 RS 자원의 index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의 종류가 SSB, CSI-RS 또는 SRS인지를 나타내며, SSB인 경우는 SSB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 CSI-RS인 경우는 CSI-RS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 SRS인 경우는 SRS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를 나타낸다. 한편,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가 SRS인 경우, SRS 자원의 index (SRS-ResourceId)와 더불어 SRS가 전송되는 BWP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경로감쇄 linking 정보의 전송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경로감쇄의 linking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기지국은 SRS-SpatialRelationInfo라는 RRC 파라미터(900)에 경로감쇄의 linking 정보(9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SRS-SpatialRelationInfo는 SRS-Config Information Element (IE)를 통해 단말로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이때, SRS-SpatialRelationInfo는 도 9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경로감쇄의 linking 정보와 관련된 각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 servingCellId: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참조할 수 있는 셀의 index를 의미한다. 이때, 셀의 index는 단말이 SRS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servingCellId가 SRS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한 경우,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에 상응되는 하향링크 셀 index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RS (SSB 또는 CSI-RS)를 이용하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servingCellId가 SRS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한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로 전송되는 (또는 전송했던) SRS에 적용된 경로감쇄 값을 현재 SRS 전송에 재사용 할 수 있다. 한편, servingCellId가 SRS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상이한 경우, 단말은 PUSCH를 전송하는 셀이 아닌, servingCellId가 지시하는 셀의 index에 상응되는 하향링크 셀 index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RS를 이용하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servingCellId가 SRS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상이한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로 전송되는 (또는 전송했던) SRS에 적용된 경로감쇄 값을 현재 SRS 전송에 재사용 할 수 있다.
- referenceSignal: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의 종류 및 RS 자원의 index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의 종류가 SSB, CSI-RS 또는 SRS인지를 나타내며, SSB인 경우는 SSB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 CSI-RS인 경우는 CSI-RS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 SRS인 경우는 SRS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를 나타낸다. 한편,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가 SRS인 경우, SRS 자원의 index (SRS-ResourceId)와 더불어 SRS가 전송되는 BWP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경로감쇄 linking 정보의 전송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경로감쇄의 linking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기지국은 PathlossReferenceRS라는 RRC 파라미터(1000)에 경로감쇄의 linking 정보(10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PathlossReferenceRS는 SRS-Config Information Element (IE)를 통해 단말로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이때, PathlossReferenceRS는 도 10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경로감쇄의 linking 정보와 관련된 각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 SRS-ResourceSet-Id: 기지국은 단말에게 BWP 별로 하나 이상의 SRS resource set을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WP 별로 최대 16개의 SRS resource set이 존재할 수 있다. SRS-ResourceSet-Id는 SRS resource set의 index를 나타낼 수 있다.
- SRS-ResourceIdList: 하나의 SRS resource set에는 하나 이상의 SRS resource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SRS resource set에는 최대 16개의 SRS resource가 존재할 수 있다 (maxNrofSRS-ResourcesPerSet = 16). SRS-ResourceIdList는 SRS resource set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SRS resource들의 index를 나타낼 수 있다.
- servingCellId: 하향링크 경로감쇄 값을 참조할 수 있는 셀의 index를 의미한다. 이때, 셀의 index는 단말이 SRS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servingCellId가 SRS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한 경우,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에 상응되는 하향링크 셀 index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RS (SSB 또는 CSI-RS)를 이용하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servingCellId가 SRS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동일한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로 전송되는 (또는 전송했던) SRS에 적용된 경로감쇄 값을 현재 SRS의 전송에 재사용 할 수 있다. 한편, servingCellId가 SRS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상이한 경우, 단말은 SRS를 전송하는 셀이 아닌, servingCellId가 지시하는 셀의 index에 상응되는 하향링크 셀 index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RS를 이용하여 경로감쇄 값을 추정할 수 있다. servingCellId가 SRS를 전송하는 셀의 index와 상이한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은 해당 셀의 index로 전송되는 (또는 전송했던) SRS에 적용된 경로감쇄 값을 현재의 SRS 전송에 재사용 할 수 있다.
- pathlossReferenceRS: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의 종류 및 RS 자원의 index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의 종류가 SSB, CSI-RS 또는 SRS인지를 나타내며, SSB인 경우는 SSB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 CSI-RS인 경우는 CSI-RS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 SRS인 경우는 SRS가 전송되는 자원의 index를 나타낸다. 한편,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가 SRS인 경우, SRS 자원의 index (SRS-ResourceId)와 더불어 SRS가 전송되는 BWP의 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athloss 결정에 사용된 reference RS는 SRS resource set 내에서는 동일할 수 있다. 즉, 하나의 SRS resource set 내에 하나 이상의 SRS resource가 존재할 경우, 단말은 하나 이상의 SRS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SRS의 전송에 사용된 pathloss를 참조하는데 사용된 RS는 동일하다. 즉, 경로감쇄 값을 획득할 수 있는 RS가 SSB인 경우, SRS resource set 내의 모든 SRS 전송에 대한 경로감쇄 값은 동일한 SSB index를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은 송수신부(1110), 단말 제어부(1130), 메모리(1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제어부(1130)는 회로,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부(11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송수신부(1110)는 모뎀이 포함된 RF(radio frequency)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송신부와 수신부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 제어부(1130)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제어부(113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위하여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추정할 수 있으며, 계산된 경로감쇄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150)는 송수신부(1110)를 통해 송신 및 수신되는 정보와 단말 제어부(1130)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12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1210), 기지국 제어부(1230), 메모리(125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제어부(1230)는 회로,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송수신부(12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송수신부(1210)는 모뎀이 포함된 RF(radio frequency)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송신부와 수신부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기지국 제어부(1230)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 제어부(1230)는 단말로 경로감쇄 추정을 위한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계산된 전송전력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250)는 송수신부(1210)를 통해 송신 및 수신되는 정보와 기지국 제어부(1230)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의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경로감쇄(pathloss)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따라 식별된 제2셀의 BWP(bandwidth part) 내의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셀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상기 제2셀의 셀 인덱스, 상기 BWP의 BWP 인덱스 및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B의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인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가 하향링크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셀의 상기 BWP 내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경로감쇄 값을 고려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가 상향링크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셀의 상기 BWP 내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했던 경로감쇄 값을 고려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SpatialRelationInfo 파라미터, PUSCH-PathlossReferenceRS 파라미터, 또는 pathlossReferenceLinking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것인, 방법.
  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기지국으로부터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경로감쇄(pathloss)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따라 식별된 제2셀의 BWP(bandwidth part) 내의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측정하고,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셀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상기 제2셀의 셀 인덱스, 상기 BWP의 BWP 인덱스 및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단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B의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인 것인, 단말.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가 하향링크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셀의 상기 BWP 내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경로감쇄 값을 고려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가 상향링크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셀의 상기 BWP 내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했던 경로감쇄 값을 고려하여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것인, 단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되며, 상기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SpatialRelationInfo 파라미터, PUSCH-PathlossReferenceRS 파라미터, 또는 pathlossReferenceLinking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것인, 단말.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경로감쇄(pathloss)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에 의하여,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따라 식별된 제2셀의 BWP(bandwidth part) 내의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측정된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적용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상기 제2셀의 셀 인덱스, 상기 BWP의 BWP 인덱스 및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B의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인 것인,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가 하향링크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의 상기 BWP 내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경로감쇄 값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가 상향링크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의 상기 BWP 내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했던 경로감쇄 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인,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SpatialRelationInfo 파라미터, PUSCH-PathlossReferenceRS 파라미터, 또는 pathlossReferenceLinking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것인, 방법.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단말로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경로감쇄(pathloss)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셀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에 의하여,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에 따라 식별된 제2셀의 BWP(bandwidth part) 내의 참조 신호(RS: reference signal)에 기초하여 측정된 하향링크 경로감쇄를 적용함으로써 결정되는 것인,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상기 제2셀의 셀 인덱스, 상기 BWP의 BWP 인덱스 및 상기 참조 신호의 자원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기지국.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는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의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B의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또는 SRS(sounding reference signal)인 것인, 기지국.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가 하향링크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의 상기 BWP 내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경로감쇄 값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하향링크 경로감쇄 관련 정보가 상향링크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경우, 상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은 상기 단말이 상기 제2셀의 상기 BWP 내에서 상기 참조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했던 경로감쇄 값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인, 기지국.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경로감쇄 관련 정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SpatialRelationInfo 파라미터, PUSCH-PathlossReferenceRS 파라미터, 또는 pathlossReferenceLinking 파라미터에 포함되는 것인, 기지국.
KR1020180092857A 2018-08-09 2018-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감쇄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245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857A KR102450969B1 (ko) 2018-08-09 2018-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감쇄 결정 방법 및 장치
US16/537,438 US11133877B2 (en) 2018-08-09 2019-08-09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athlo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7/484,958 US11716156B2 (en) 2018-08-09 2021-09-24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athlo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8/360,670 US20230370180A1 (en) 2018-08-09 2023-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athlo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857A KR102450969B1 (ko) 2018-08-09 2018-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감쇄 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678A true KR20200017678A (ko) 2020-02-19
KR102450969B1 KR102450969B1 (ko) 2022-10-05

Family

ID=6940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857A KR102450969B1 (ko) 2018-08-09 2018-08-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감쇄 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11133877B2 (ko)
KR (1) KR102450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1048B (zh) * 2018-08-10 2023-05-09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用于估计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的路径损耗的方法和设备
US20200221405A1 (en) * 2019-01-04 2020-07-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ounding reference signal for uplink-based multi-cell measurement
US10856237B2 (en) 2019-02-14 2020-12-01 Ofinno, Llc Power control with multiple panels in a radio system
US11864127B2 (en) * 2019-06-04 2024-01-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facilitate automatic association of pathloss reference and spatial relations for fast uplink beam switching
WO2021027761A1 (en) * 2019-08-12 2021-02-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ransmit power
EP4005297A1 (en) * 2019-08-14 2022-06-01 Ofinno, LLC Power control in carrier aggregation with multiple transmission reception points
US11582700B2 (en) * 2020-02-24 2023-02-14 Qualcomm Incorporated Applicable time for MAC-CE based path loss reference signal (PL RS) update
WO2021231599A1 (en) * 2020-05-13 2021-11-18 Intel Corporation Inter-cell beam management for 5g systems
CN113691928B (zh) * 2020-05-14 2022-09-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
US11937235B2 (en) * 2020-07-02 2024-03-19 Qualcomm Incorporated Slot format indicator (SFI) enhancement for sub-band full-duplex
CN114390694A (zh) * 2020-10-22 2022-04-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终端、网络侧设备及存储介质
US20220240243A1 (en) * 2021-01-25 2022-07-28 Qualcomm Incorporated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for millimeter wave bands
US20220303093A1 (en) * 2021-03-19 2022-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default beam and pathloss reference signal for transmission of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5189829B (zh) * 2021-04-02 2023-12-2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路径损耗参考信号的确定方法、设备、装置及介质
CN114026907B (zh) * 2021-09-28 2024-01-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上行波束的测量方法及其装置
WO2024003856A1 (en) * 2022-06-30 2024-01-04 Jio Platform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ath loss propagation model through machine learn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765A (ko) * 2010-01-29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 헤드룸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20257513A1 (en) * 2011-04-08 2012-10-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s for multi-group communications
US20140192673A1 (en) * 2011-09-30 2014-07-10 Pantech Co., Ltd. Uplink power controlling method and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26635B2 (en) 2009-03-17 2014-06-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9215650B2 (en) 2011-10-19 2015-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6053324B2 (ja) * 2012-05-18 2016-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パスロス算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CN104782208B (zh) 2012-11-14 2018-07-20 Lg电子株式会社 在载波聚合系统中操作终端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装置
US9554339B2 (en) 2013-11-09 2017-0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425900B2 (en) * 2017-05-15 2019-09-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control
US10771214B2 (en) * 2017-09-11 2020-09-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power contrl framework
EP3567939B1 (en) * 2018-05-10 2020-07-08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power headroom report for multiple pathloss re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87843B2 (en) * 2018-05-11 2021-01-05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 uplink transmission based on a pathloss estimate
JP6963720B2 (ja) * 2018-08-30 2021-11-1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765A (ko) * 2010-01-29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 헤드룸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20257513A1 (en) * 2011-04-08 2012-10-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Devices for multi-group communications
US20140192673A1 (en) * 2011-09-30 2014-07-10 Pantech Co., Ltd. Uplink power controlling method and uplink signal receiving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_1807279 *
Samsung, R1-1807660, Summary of NR UL power control - CA/DC aspects, 3GPP TSG RAN WG1 #93, 3GPP 서버공개일(2018.05.2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70180A1 (en) 2023-11-16
US20200052802A1 (en) 2020-02-13
US11133877B2 (en) 2021-09-28
US11716156B2 (en) 2023-08-01
KR102450969B1 (ko) 2022-10-05
US20220014284A1 (en)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9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경로감쇄 결정 방법 및 장치
US106384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E-to-UE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82033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beamforming-based cellular system
US1060879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ve PTRS operation and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885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signal transmission based on codeboo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00550B2 (en) Operation method of terminal and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supporting same
US20210091827A1 (en) Base station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9125101B2 (en) Distributed power control for D2D communications
CN116709494A (zh) 用于确定上行链路发送定时的方法和装置
KR20180122958A (ko) 다운링크/업링크(dl/ul) 간 빔 연계 방법 및 장치
US20150230230A1 (en) Effective 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during the combination of multiple carriers for wideband support
CN111557107B (zh) 基站装置、终端装置以及通信方法
CN107734686B (zh) 下行控制信令的发送及接收方法、装置、基站、终端
CN115516965A (zh) 用于动态波束指示机制的方法和装置
CN112567680A (zh) 在无线通信系统中配置和指示波束信息的方法和设备
KR102496114B1 (ko) 채널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
US20220201672A1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s method
KR20220130109A (ko) 다중 빔 시스템에서의 동적 빔 적응
CN113711526A (zh) 在无线通信系统中收发上行链路参考信号的方法和设备
WO2018229727A1 (en) Sending commands in downlink control channel
CN116235416A (zh) 用于波束测量和报告的方法和装置
KR102504455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비주기적 srs 전송 타이밍 결정 방법 및 장치
US11469871B2 (en) Signaling of SRS resources for PUSCH rate matching
US20230247626A1 (en) Method for performing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2201030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 송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