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151A -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151A
KR20200017151A KR1020180092409A KR20180092409A KR20200017151A KR 20200017151 A KR20200017151 A KR 20200017151A KR 1020180092409 A KR1020180092409 A KR 1020180092409A KR 20180092409 A KR20180092409 A KR 20180092409A KR 20200017151 A KR20200017151 A KR 20200017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server
user
hmd device
virtu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070B1 (ko
Inventor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주)한국체스게임
김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체스게임, 김준형 filed Critical (주)한국체스게임
Priority to KR102018009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0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인 IPTV 망을 이용하여 가상공간 상에서 가상관광, 영화감상, 게임플레이 및 유저 교류 등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 및 VOD 등을 제공하는 IPTV 망을 기반으로 하는 셋탑박스 및 개인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을 활용하여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각 가정에서도 실감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CONTENTS BASED ON IPTV NETWORK}
본 발명은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텔레비전 서비스인 IPTV 망을 이용하여 가상공간 상에서 가상관광, 영화감상, 게임플레이 및 유저 교류 등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발전에 따라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콘텐츠가 대중화되고 있으며, 몰입형 경험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기업들은 오큘러스 리프트 및 갤럭시 기어VR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를 제품화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몰입형 가상현실 시스템의 대중화 및 관련 플랫폼을 선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상기의 HMD는 크게 자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센서를 탑재한 전용 HMD 장치와,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활용하는 HMD 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전용 HMD 장치는 자체적으로 탑재된 전용 디스플레이 모듈 및 센서를 이용함에 따라 그 성능이 다른 타입에 비해 높은 편이나, 전용 모듈을 이용함에 따라 그 비용이 상당하여 일반인들에게 보급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는 HMD 장치는 이미 모바일 단말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그 준비비용이 상당히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현재 모바일 단말의 성능으로는 기존의 PC 급의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이 가능하지만 아직까지는 대용량의 자료를 표출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단독으로 가상현실 콘텐츠를 수신 및 실행하기는 어려우며, 이에 고성능의 그래픽 카드를 탑재한 PC와 같은 별도의 가상현실 콘텐츠 실행 장치와 병행하는 형태로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일반 가정을 대상으로 하여 HMD 장치를 이용한 가상현실 콘텐츠의 제공 서비스를 대중화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3907호(공개일자: 2011.11.1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기존 양방향 TV 서비스인 IPTV 망을 활용하여 가상공간 상에서 영화감상, 게임실행, 유저 교류 등의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콘텐츠 프로바이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멀티캐스팅으로 송출하는 헤드엔드 시스템과, 상기 헤드엔드 시스템이 송출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지역 노드에 분산 설치되는 로컬서버와, 각 가정에 설치되고, 가입된 지역 노드의 로컬서버에 접속하여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재생하되, HMD 장치의 연결시 가상공간에 대한 화면을 상기 HMD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셋탑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컬서버는, 주문형 비디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VOD 서버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의한 가상공간을 구성하고, 접속된 셋탑박스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공간 내 위치시키는 가상현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상기 가상현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동기화부와, 상기 HMD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동기화부와, 상기 가상공간 내 상기 아바타 오브젝트의 위치 및 시선을 매핑하는 매핑부와, 상기 HMD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사용자의 좌표정보를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와, 상기 좌표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시선을 판단하는 시점 산출부와, 판단된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상기 아바타 오브젝트의 시선을 조정하여 상기 HMD 장치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서버는, 동일 지역 노드에 속한 하나 이상의 셋탑박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와, 배경 오브젝트, 콘텐츠 오브젝트 및 아바타 오브젝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공간 구성부와,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전송되는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가상공간에 적용하는 행위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는, 영상 재생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서버는, 상기 VOD 서버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비디오를 연계하여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표시하는 콘텐츠 연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서버는, 현재 지역 노드를 통해 접속한 셋탑박스가 일정 개수 이하일 때, 타 지역 노드의 가상현실 서버와 가상공간을 공유할 수 있다.
상기 HMD 장치는, 상기 셋탑박스의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사용자의 방향 및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가 탑재된 모바일 단말과, 상기 모바일 단말의 분할된 두 화면이 두 눈에 대향하도록 장착되고, 사용자의 얼굴상에 착용되는 VR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MD 장치는, 하나의 셋탑박스에 둘 이상이 접속하고, 동일 가상 공간상에 서로 다른 아바타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시스템의 셋탑박스를 통한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가상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멀티캐스팅으로 송출되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서비스 가입범위에 따라 지역 노드의 가상현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현실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의한 가상공간을 연결된 HMD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의한 가상공간을 연결된 HMD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HMD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좌표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좌표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시선을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된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오브젝트의 시선을 조정하여 상기 HMD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의한 가상공간을 연결된 HMD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HMD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에 따른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를 상기 가상현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현실 서버로부터 상기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적용된 가상공간에 대한 화면을 상기 HMD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적용된 가상공간에 대한 화면은, 상기 지역 노드의 VOD 서버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연계된 주문형 비디오를 재생한 화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 및 VOD 등을 제공하는 IPTV 망을 기반으로 하는 셋탑박스 및 개인이 소지한 모바일 단말을 활용하여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각 가정에서도 실감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가상현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셋탑박스의 구조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도 7,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이용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 등의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재된 "...부(unit), "...모듈(module)", "...장치(device)"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기능이 조합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 있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 "모듈", "장치" 및 "시스템"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부" 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읽기, 쓰기 및 지우기가 가능한 형태로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또는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고, 장치에 탑재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프로그램들은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탑재한 서버, 셋탑박스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크게 콘텐츠 프로바이더(CP; 10), 헤드 엔드 시스템(H/E; 20), 지역 노드(Local; 30) 및 셋탑측 단말(STB; 40)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프로바이더(10)는 영화 배포 서버(11), 게임 서버(12), 가상공간 서버(13) 등을 통해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를 배포하는 제공자로서, 뉴스와 같은 실시간 동영상, 주문형 비디오(VOD)와 같은 콘텐츠 뿐만 아니라, 게임 및 사용자가 아바타를 통해 3차원 가상공간을 이동할 수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배포할 수 있다. 콘텐츠 프로바이더(10)는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방식으로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를 헤드 엔드 시스템(20)에 배포할 수 있다.
헤드엔드 시스템(20)은 Gigabit 이상의 고속 라우터에 공지된 PIM-SM 프로토콜과 같은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IPTV 서비스에 필요한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데이터 및 콘텐츠 데이터를 멀티캐스팅으로 가입자의 셋탑박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엔드 시스템(20)은 미디어 관리 시스템(21) 및 방송 시스템(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중, 미디어 관리 시스템(21)은 콘텐츠 프로바이더(10)로부터 영상 및 가상현실 콘텐츠를 수신, 저장 받기 위한 복수의 서버 및 데이터 베이스와, 각 지역 노드(30)의 하나 이상의 VOD 서버(31) 및 가상현실 서버(100)에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트랜잭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시스템(22)은 실시간 지상파 방송, 동영상 등의 송출을 위한 데이터 인코딩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타 에이전트 관리자, 각 채널에 관한 PSI/SI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PSI/SI 제너레이터, 콘텐츠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데이타 인코더, 스케쥴러 사용자 인터페이스(Scheduler U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지역 노드(30)는 서비스 가능 지역 내 분산되어 설치되는 다수의 VOD 서버(31) 및 가상현실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VOD 서버(31)는 다수의 주문형 비디오(VOD) 파일을 저장할 수 있고, 가입자의 가입범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셋탑박스(200)에 VOD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현실 서버(100)는 배경 오브젝트, 콘텐츠 오브젝트 및 아바타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저장 및 실행할 수 있다.
각 지역별 VOD 서버(31) 및 가상현실 서버(100)는 헤드엔드 시스템(20)으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해당 지역의 셋탑박스(200)의 요청시 지역 노드(30)에서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함에 따라 멀티캐스트(multicast)를 구현하게 된다.
셋탑측 단말(40)은 셋탑박스(200)와, HMD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셋탑박스(200)는 본 발명의 IPTV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각 가정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IG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 채널을 선택 및 해제를 요청할 수 있고, 지역 노드(30)의 VOD 서버(31) 및 가상현실 서버(100)와 연동하여 다량의 트래픽에서 무관하게 IPTV 방송 및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셋탑박스(2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 노드(30)의 가상현실 서버(100)와 동기화하여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가상현실 서버(100)와 동기화하여 다양한 형태의 오브젝트들이 배치되는 가상공간 내 사용자 시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제공하는 것으로, 셋탑박스(200)에 탑재되는 그래픽 엔진이 배경 오브젝트, 콘텐츠 오브젝트 및 아바타 오브젝트를 구현하고, 가상현실 서버가 구현한 가상공간과 동기화 됨으로써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가상현실 서버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가상현실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버(100)는 동일 지역 노드에 속한 하나 이상의 셋탑박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110), 배경 오브젝트, 콘텐츠 오브젝트 및 아바타 오브젝트로 이루어지는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공간 구성부(120), VOD 서버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비디오를 연계하여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표시하는 콘텐츠 연계부(130), 셋탑박스로부터 전송되는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가상공간에 적용하는 행위 처리부(140) 및, 서버 구동을 위한 각종 설정값 및 데이터가 저장된 서버 저장소(1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10)는 IPTV 망의 헤드 엔드 시스템으로부터 배포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지역 노드에 속한 복수의 셋탑박스와 동기화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공간 구성부(120)는 콘텐츠 데이터에 따라 가상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가상공간은 맵에 해당하는 배경 오브젝트(121), 가상공간 상에서 재생할 수 있는 VOD 등의 콘텐츠 오브젝트(122) 및, 가상공간을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아바타 오브젝트(123)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오브젝트들은 셋탑박스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구현한 가상공간과 동기화된다.
또한, 공간 구성부(120)는 현재 지역 노드를 통해 접속한 셋탑박스가 일정 개수 이하일 때, 타 지역 노드의 가상현실 서버에 접속하여 가상공간을 공유함으로써, 일정 인원 이상의 사용자들이 함께 동일 공간 내에서 가상현실 콘텐츠 데이터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콘텐츠 연계부(130)는 공간 구성부(120)가 구현한 가상공간 내 오브젝트 중, VOD 와 같은 콘텐츠를 가상공간 내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지역 노드의 VOD 서버와 연동하여 그로부터 VOD 리스트를 수신하고, 가상공간 내 적용하며 리스트 내 어느 하나의 VOD 가 선택되면, 연계된 VOD 서버로부터 VOD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할 수 있다.
행위 처리부(140)는 가상공간 내 아바타의 이동, 콘텐츠 선택 등의 행위를 공간 구성부(120)의 가상공간에 적용할 수 있다. 각 셋탑박스는 동기화된 가상공간 내에서 실제 사용자의 움직임, 시점 변경 등을 실시간으로 아바타에 반영하게 되며, 이러한 사용자 즉, 아바타의 행위는 가상현실 서버(100)와의 동기화에 따라 서버 통신부(110)를 통해 행위 처리부(140)에 의해 수집되고, 공간 구성부(120)에 제공됨으로써, 가상현실 서버(100)의 가상공간 내 아바타에 그대로 반영되게 된다.
서버 저장소(150)는 가상현실을 운영하는 요구되는 설정값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서버 저장소(150)는 공간 구성부(120)가 가상공간을 구성하기 위한 맵 파일, 그래픽 설정, 네트워크 설정 및 셋탑박스 식별자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가상현실 서버는 해당 지역 내 셋탑박스에 HMD 장치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셋탑박스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셋탑박스의 구조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3은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셋탑박스는,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210). 사용자의 리모콘 키 선택에 따라 송출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모듈(220), MPEG데이터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오디오데이터 및 비디오데이터로 출력하는 디코더(230), 제어동작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되는 RAM 및 ROM을 포함하는 메모리(240), 셋탑박스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며, 가상현실 프로그램을(300)을 실행하는 CPU(250), CPU(250)에 의해 실행되는 영상 또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연결된 TV 또는 모니터로 출력하는 출력모듈(260) 및 구동을 위한 OS, 가상현실 프로그램(300)이 저장된 셋탑 저장소(2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10)은 유무선 방식으로 정보통신망을 통해 지역 노드 및 HMD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셋탑박스(200)는 인터넷으로는 유선방식으로 연결될 수 되어 가입된 지역 노드에 접속할 수 있고, HMD 장치 즉, 모바일 단말과는 무선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리모콘 수신모듈(220)은 셋탑박스(2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을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모콘 수신모듈(220)은 적외선(IR)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단방향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디코더(230)는 지역노드로부터 스트리밍 되는 영상, 셋탑 저장소(270)에 저장된 영상 또는 셋탑박스(200)의 확장단자에 연결된 저장매체에 저장된 영상 등을 디코딩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셋탑박스의 기본 동작 및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240)에는 CPU(250)의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맵핑되는 롬(ROM)과, CPU(250)의 제어동작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되는 램(RAM) 등이 있다.
CPU(250)는 셋탑박스(200)의 전반적인 구동과, 가상현실 프로그램(300)의 실행에 따라, 가상공간을 메모리(240)에 상주시켜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를 가상공간 내 위치시키고, 이에 대응하는 화면을 연결된 HMD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CPU(250)로는 MCU 등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이용될 수 있다.
출력모듈(260)은 셋탑박스(200)의 디코더(230)를 통해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연결된 외부의 TV 또는 모니터 등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PTV 망 기반 셋탑박스(200)는 공지된 IPTV 용 셋탑박스와 동일하게 실시간 방송, VOD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이는 출력모듈(260)을 통해 TV로 표시될 수 있다.
셋탑 저장소(270)는 셋탑박스(200)의 구동을 위한 OS 및 어플리케이션은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 저장소(270)는 지역 노드의 가상현실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가상공간과 연동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300)을 저장할 수 있고, CPU(250)에 가상현실 프로그램(300)이 실행됨에 따라, 메모리(240)에 로딩(loading)되어 아바타의 시점에 따른 가상공간을 셋탑박스(200) 상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는 각 가정에서 VOD 와 같은 기존의 IPTV 서비스 이외에도 가상공간에서 아바타의 활동을 구현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셋탑박스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각 구성부는 JAVA와 같은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제작되어 기록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셋탑박스에 탑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프로그램(300)은 가상현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동기화부(310), HMD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동기화부(320), 가상공간 내 아바타 오브젝트의 위치 및 시선을 매핑하는 매핑부(330), 판단된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아바타 오브젝트의 시선을 조정하여 상기 HMD 장치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340), HMD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사용자의 좌표정보를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350) 및 좌표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시선을 판단하는 시점 산출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동기화부(310)는 가상현실 프로그램(300)의 실행에 따라, 해당 셋탑박스가 가입된 지역 노드의 가상현실 서버가 제공하는 가상공간과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 동기화부(320)는 셋탑박스(200)와 연결되어 가상현실 화면을 표시하는 HMD 장치와의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HMD 장치는 셋탑박스의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사용자의 방향 및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가 탑재된 모바일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분할된 두 화면이 두 눈에 대향하도록 장착되고, 사용자의 얼굴상에 착용되는 VR 거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말 동기화부(320)는 가상공간(331)에 대한 화면을 실시간으로 HMD 장치에 전송하는 동시에, 모바일 단말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매핑부(330)는 가상현실 서버가 생성한 가상공간 및 그에 위치한 아바타에 HMD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시점 및 방향 등을 매핑 할 수 있다. 가상현실 서버가 생성한 가상공간 및 그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들은 가상현실 프로그램(300)에서 동일하게 전달되고, 매핑부(330)는 HMD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에 대하여 감지한 행위를 가상공간(331)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가 그에 준하는 행위를 수행하도록 한다.
영상 표시부(340)는 매핑부(330)에 의한 가상공간(331)을 HMD 장치에서 표시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3D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영상을 좌안 및 우안으로 분할하여 HMD 장치에 전송하여야 하며, 영상 표시부(340)는 가상공간(331)에 대한 영상을 양안에 맞도록 분할하여 장치 동기화부(320)를 통해 HMD 장치에 전송하게 된다.
좌표 산출부(350)는 HMD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가속도 센서 등에 의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그 감지신호 중, 사용자의 위치좌표를 감지 및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좌표 산출부(350)는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위치좌표 변화, 일 예로서, 리모콘을 쥐고 있는 손의 위치변화 등을 감지한 신호에 따른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시점 산출부(360)는 HMD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자자기 센서 등에 의한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현재 바라보는 시점에 대한 시점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좌표 산출부(350) 및 시점 산출부(360)에 의한 산출된 좌표들은 매핑부(330)에 전달되어 가상공간(331) 내 아바타에 적용됨에 따라, 사용자는 아바타의 시점에 따른 가상공간(331)의 화면을 볼 수 있고, 가상공간(331)에서의 오브젝트 선택 등의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상공간(331)에서 아바타의 행위에 따라, 설정된 이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전술한 본 발명의 가상현실 콘텐츠 시스템의 셋탑박스 및 이의 구성부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의한 가상공간을 연결된 HMD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가상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멀티캐스팅으로 송출되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00), 서비스 가입범위에 따라 지역 노드의 로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10) 및, 로컬서버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콘텐츠 데이터에 의한 가상공간을 연결된 HMD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IPTV 서비스 가입에 따라 각 가정에 셋탑박스가 설치되고,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가상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멀티캐스팅으로 송출되면, 셋탑박스는 데이터를 수신한다(S100).
다음으로, 셋탑박스의 구동에 따라, 서비스 가입범위에 따라 지역 노드의 로컬서버에 접속하게 된다(S110). IPTV 서비스는 가입시 그 서비스 이용범위가 상이할 수 있고, VOD 서비스 만을 이용할 수 있거나, 혹은 가상현실 서비스도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셋탑박스는 사용자의 가입범위내 포함되는 지역 노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상현실 서비스에 가입된 셋탑박스는, 로컬서버로부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콘텐츠 데이터에 의한 가상공간을 연결된 HMD 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S120), 사용자는 그 가상공간 내에서 아바타를 통해 3D 입체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S120 단계는, HMD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에 따른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를 상기 가상현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가상현실 서버로부터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적용된 가상공간에 대한 화면을 HMD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셋탑박스가 지역 노드의 가상현실 서버에 접속하여 그로부터 생성된 가상공간과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동기화한 이후, 셋탑박스는 HMD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한다.
다음으로,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분석하여 가상공간에 반영하되, 수신된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에 따른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를 상기 가상현실 서버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가상현실 서버로부터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적용된 가상공간에 대한 화면을 HMD 장치에 표시함으로써 가상공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적용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6, 도 7,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이용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정 내 설치된 셋탑박스와 무선 연결되는 HMD 장치(400)의 사용형태 및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단말(410)에 셋탑박스와 동기화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하여 양안에 대응하는 3D 입체 가상현실 화면(411)을 시청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410)은 사용자의 안면에 장착되는 거치대의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두 눈을 향하도록 착용됨에 따라, 사용자는 좌안 및 우안 각각의 영상이 합성됨에 따른 입체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화면은 가상공간 내 아바타의 시선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410)은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탑재하고 있으며, 이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및 방향 등을 감지하여 셋탑박스에 전송할 수 있고, 셋탑박스는 그 감지신호에 따라 좌표 및 시선을 산출하고 이를 가상공간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는 IPTV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HMD 장치에 장착되는 모바일 단말(410)은 가상공간 내에 위치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고, 기존 IPTV가 제공하는 VOD 서비스를 TV가 아닌 가상공간 내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이러한 VOD 화면(412)은 장르별로 구분된 복수의 주문형 비디오(VOD)를 나열할 수 있고, 사용자는 VOD 화면(412)상에 어느 하나의 장르 및 VOD를 선택하여 가상공간 내에서 VOD 를 시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역 노드의 가상현실 서버는 동일 지역 노드에 속한 VOD 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하는 다른 형태의 화면을 예시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HMD 장치에 의한 3D 입체 영상 재생 기능뿐만 아니라, TV를 이용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재생 기능을 포함하고, TV 화면(500)을 통해 이를 타일형 UI(Tile type UI; 511)로 표시함으로써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전환 버튼(512)을 선택하여 리스트를 전환하고, 원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이 선택되면, 셋탑박스는 내장된 전용 재생 플레이어(515)를 실행하여 자체 저장소에 저장된 동영상 또는 지역 노드의 VOD 서버가 제공하는 VOD 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도 8c는 전술한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 재생 기능을 HMD 장치로 실행시의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좌안 또는 우안 중 어느 하나의 입체화면(600)을 예시하고 있다.
이러한 입체화면(600)에서 사용자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아바타를 가상공간(611)상에서 영상과 관련된 콘텐츠 오브젝트가 배치된 위치로 이동하면, 전술한 도 8b와 유시한 화면이 입체적으로 펼쳐지고, 그 타일형 UI(612) 상에서 리스트를 전환하거나, 어느 하나의 원하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선택 및 재생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 : 콘텐츠 프로바이저(CP) 20 : 헤드엔드 시스템(H/E)
30 : 로컬서버(Local) 40 : 셋탑측 단말(STB)
100 : 가상현실 서버 110 : 제어부
120 : 공간 구성부 130 : 콘텐츠 연계부
140 : 행위 처리부 150 : 서버 저장소
200 : 셋탑박스 210 : 통신모듈
220 : 리모콘 수신모듈 230 : 디코더
240 : 메모리 250 : CPU
260 : 출력모듈 270 : 셋탑 저장소
300 : 가상현실 프로그램 310 : 서버 동기화부
320 : 장치 동기화부 330 : 매핑부
331 : 가상공간 340 : 영상 표시부
350 : 좌표 산출부 360 : 시점 산출부
400 : HMD 장치 410 : 모바일 단말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콘텐츠 프로바이더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멀티캐스팅으로 송출하는 헤드엔드 시스템;
    상기 헤드엔드 시스템이 송출하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지역 노드에 분산 설치되는 로컬서버; 및
    각 가정에 설치되고, 가입된 지역 노드의 로컬서버에 접속하여 이용 가능한 콘텐츠를 재생하되, HMD 장치의 연결시 가상공간에 대한 화면을 상기 HMD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셋탑박스
    를 포함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서버는,
    주문형 비디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VOD 서버; 및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의한 가상공간을 구성하고, 접속된 셋탑박스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오브젝트를 상기 가상공간 내 위치시키는 가상현실 서버
    를 포함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상기 가상현실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동기화부;
    상기 HMD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동기화부;
    상기 가상공간 내 상기 아바타 오브젝트의 위치 및 시선을 매핑하는 매핑부;
    상기 HMD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사용자의 좌표정보를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
    상기 좌표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시선을 판단하는 시점 산출부; 및
    판단된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상기 아바타 오브젝트의 시선을 조정하여 상기 HMD 장치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를 포함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서버는,
    동일 지역 노드에 속한 하나 이상의 셋탑박스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배경 오브젝트, 콘텐츠 오브젝트 및 아바타 오브젝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가상공간을 구현하는 공간 구성부; 및
    상기 셋탑박스로부터 전송되는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상기 가상공간에 적용하는 행위 처리부
    를 포함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오브젝트는, 영상 재생 이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서버는,
    상기 VOD 서버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주문형 비디오를 연계하여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표시하는 콘텐츠 연계부
    를 더 포함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현실 서버는,
    현재 지역 노드를 통해 접속한 셋탑박스가 일정 개수 이하일 때, 타 지역 노드의 가상현실 서버와 가상공간을 공유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는,
    상기 셋탑박스의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사용자의 방향 및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가 탑재된 모바일 단말;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분할된 두 화면이 두 눈에 대향하도록 장착되고, 사용자의 얼굴상에 착용되는 VR 거치대
    를 포함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HMD 장치는,
    하나의 셋탑박스에 둘 이상이 접속하고, 동일 가상 공간상에 서로 다른 아바타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9. 청구항 1에 기재된 시스템의 셋탑박스를 통한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헤드엔드 시스템으로부터 가상공간을 포함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가 멀티캐스팅으로 송출되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가입범위에 따라 지역 노드의 가상현실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현실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의한 가상공간을 연결된 HMD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의한 가상공간을 연결된 HMD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HMD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좌표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좌표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의 시선을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아바타 오브젝트의 시선을 조정하여 상기 HMD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의한 가상공간을 연결된 HMD 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HMD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 중, 하나 이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의 조작, 방향 및 위치에 따른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를 상기 가상현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가상현실 서버로부터 상기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적용된 가상공간에 대한 화면을 상기 HMD 장치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바타 오브젝트의 행위에 대응하는 이벤트가 적용된 가상공간에 대한 화면은,
    상기 지역 노드의 VOD 서버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연계된 주문형 비디오를 재생한 화면인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80092409A 2018-08-08 2018-08-08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4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409A KR102542070B1 (ko) 2018-08-08 2018-08-08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409A KR102542070B1 (ko) 2018-08-08 2018-08-08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151A true KR20200017151A (ko) 2020-02-18
KR102542070B1 KR102542070B1 (ko) 2023-07-11

Family

ID=6963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409A KR102542070B1 (ko) 2018-08-08 2018-08-08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79733A (zh) * 2022-05-24 2022-08-30 深圳市景阳博创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电视的vr视频播放机顶盒
WO2024012137A1 (zh) * 2022-07-12 2024-01-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虚拟现实的导航方法、控制器以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907A (ko) 2010-05-10 2011-11-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Iptv 시스템 및 그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30074961A (ko) * 2011-12-27 2013-07-0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Iptv 기반의 공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6149002A (ja) * 2015-02-12 2016-08-18 株式会社コロプラ コンテンツ視聴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視聴動作をコンピュータに制御させ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202686A (ja) * 2015-04-24 2016-12-08 株式会社コロプラ ゲーム体験共有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3907A (ko) 2010-05-10 2011-11-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Iptv 시스템 및 그의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30074961A (ko) * 2011-12-27 2013-07-05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Iptv 기반의 공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6149002A (ja) * 2015-02-12 2016-08-18 株式会社コロプラ コンテンツ視聴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視聴動作をコンピュータに制御させ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202686A (ja) * 2015-04-24 2016-12-08 株式会社コロプラ ゲーム体験共有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79733A (zh) * 2022-05-24 2022-08-30 深圳市景阳博创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电视的vr视频播放机顶盒
CN114979733B (zh) * 2022-05-24 2024-03-22 深圳市景阳博创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电视的vr视频播放机顶盒
WO2024012137A1 (zh) * 2022-07-12 2024-01-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虚拟现实的导航方法、控制器以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070B1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978B2 (en) Dynamic video image synthesis using multiple cameras and remote control
US111138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ation of augmented reality supplemental content in combination with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US9830680B2 (en) Apparatus for adapting a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viewing apparatus
RU2750505C1 (ru) Оптимизация доставки звука для приложений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US113633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EP2426939B1 (en) Providing enhanced content
JP2018067966A (ja) ライブ選択的適応帯域幅
US20130290848A1 (en) Connected multi-screen video
CN107888993B (zh) 一种视频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
JP2013183209A (ja) 多視点映像ストリーム視聴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51176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80146218A1 (en) Free viewpoint picture data distribution system
KR20180054377A (ko) 인터랙티브한 가상현실 시스템
US202100779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 non-curated viewing perspective in a video game platform based on a curated viewing perspective
KR102542070B1 (ko) Iptv 망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7144452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1922970B1 (ko) Vr 콘텐츠에 대한 라이브 스트리밍 방법 및 시스템
JP708336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240007713A1 (en) Provision of media content
KR102659489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로그램
KR20190007804A (ko)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61804A (ko) 아바타를 이용한 메타버스 클라우드 스트리밍 시스템 및 방법
Bassbouss Concepts and models for creating distributed multimedia applications and content in a multiscreen environment
JP2016528781A (ja) 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上の擬似インタラクティブなプログラムガ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