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909A -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909A
KR20200016909A KR1020200011919A KR20200011919A KR20200016909A KR 20200016909 A KR20200016909 A KR 20200016909A KR 1020200011919 A KR1020200011919 A KR 1020200011919A KR 20200011919 A KR20200011919 A KR 20200011919A KR 20200016909 A KR20200016909 A KR 20200016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enu
input
icon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9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4097B1 (en
Inventor
하영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1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097B1/en
Publication of KR20200016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9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0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tting a menu environment of a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setting a menu environment of a terminal, which is capable of conveniently switching an environment setting mode of a menu, and a method thereof. To achieve th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mprises a touch sensor, a display unit,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memory. The at least one memory stores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of, when being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allowing the device to display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detect a touch input from a part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execut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when the touch input is confirmed as a first input gesture based on a duration of the touch input; display a pop-up window including a menu having at least one configuration setting related to the application when the touch input is confirmed as a second input gesture based on a pressure value of the touch input; and execut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in response to another touch input confirmed as the first input gesture from a part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while displaying the popup window.

Description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리하게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 menu environment of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 menu environment of a terminal which can be conveniently switched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a menu.

단말기의 화면에는 해당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메뉴들을 표시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표시되는 다양한 메뉴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Various menus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and various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by the user's selection.

그러나 상기 메뉴에 대한 환경을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해당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change the environment for the menu, the user may switch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menu only through several steps.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퀵 패널에서는 WI-FI, 블루투스, GPS, 통화 알림 설정 및 자동회전들과 같은 메뉴들을 표시하고 있다. 상기 퀵 패널에 표시되는 상기 메뉴들 중 소정의 메뉴가 터치되면 해당 기능이 활성화되고, 다시 소정의 메뉴가 터치되면 해당기능이 비활성화 된다.For example, a quick panel on a smartphone running Android OS displays menus such as WI-FI, Bluetooth, GPS, call notification settings and autorotations. If a predetermined menu among the menus displayed on the quick panel is touched,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activated, and if the predetermined menu is touched again,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deactivated.

상기와 같이 퀵 패널에 표시되는 메뉴들은 터치 동작만으로 해당 기능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반면, 상기 메뉴들에 대한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예를 들어, 홈 화면에서 메인메뉴선택, 메인메뉴 중 환경설정메뉴 선택 및 표시되는 환경설정 메뉴들 중 해당 기능의 설정항목을 선택하거나, 또는 홈 화면에서 옵션버튼입력, 표시되는 옵션메뉴 중 환경설정메뉴 선택 및 표시되는 환경설정 메뉴들 중 해당 기능의 설정항목을 선택해야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nus displayed on the quick panel perform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s only by the touch operation. For example, select the main menu on the home screen, select the configuration menu among the main menus, and select the setting item of the corresponding function among the displayed configuration menus, or enter the option button on the home screen, or configure the environment among the displayed option menus. You have to select the setting item of the function among the menu selection and the configuration menu display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빠르고 직관적으로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 menu environment of a terminal which can be switched to a menu setting mode of a menu quickly and intuitive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리하게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볼 수 있는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 menu environment of a terminal which can conveniently view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a menu.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가, 터치 센서, 표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장치가, 상기 표시부에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의 일부에 터치 입력을 검출하며, 상기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터치 입력이 제1 입력 제스처로 확인되면,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터치 입력이 제2 입력 제스처로 확인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설정을 가지는 메뉴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표시하며, 상기 팝 업 윈도우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의 일부에 상기 제1 입력 제스처로 확인된 다른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 한다.When the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executed by a touch sensor, a display, at least one processor, and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device displays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ed icon When a touch input is detected on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and the touch input is identified as a first input gesture based on the duration of the touch input,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is executed, and When the touch input is confirmed as the second input gesture based on the pressure value, a pop-up window including a menu having at least one configuration setting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and while the pop-up window is displayed, the displayed icon is displayed. Confirm with the first input gesture on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other, it includes at least one memory storing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onfigured to execut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가, 터치 센서,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장치가, 상기 표시부에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일부에 숏 터치에 대응되는 제1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일부에 압력 터치에 대응되는 제2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설정을 가지는 메뉴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표시하며,상기 팝 업 윈도우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의 일부에 상기 숏 터치에 대응되는 다른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제2 입력이 상기 제1 입력과 관련된 터치 압력 값 보다 큰 압력 값과 관련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한다.When the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executed by a touch sensor, a display unit, at least one processor, and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device displays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and displays the icon. If a first input corresponding to the short touch is detected in a part of the icon,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is executed, and if a second input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touch is detected in the part of the displayed icon, at least one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is detected. A pop-up window including a menu having one configuration setting is displayed, and while displaying the pop-up window, in response to another touch input corresponding to the short touch on a part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Executing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At least one memory configured to stor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onfigured to have a second input associated with a pressure value greater than the touch pressure value associated with the first inpu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가, 터치 센,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장치가,상기 표시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상기 아이콘과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의 일부에 터치 입력을 검출하며, 상기 터치 입력이 숏 터치와 대응되면 상기 표시된 아이콘과 관련된 제1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터치 입력이 롱 터치에 대응되면 상기 표시된 아이콘과 관련된 제2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터치 입력이 압력 터치에 대응되면 상기 표시된 아이콘과 관련된 제3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3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의 일부에 상기 숏 터치에 대응되는 다른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압력 터치가 상기 숏 터치 또는 상기 롱 터치와 관련된 터치 압력 값 보다 큰 터치 압력 값과 관련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apparatu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executed by the touch sensor, the display unit, at least one processor, and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device displays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Detecting a touch input on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ic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if the touch input corresponds to a short touch, performs a first function related to the displayed icon, and the touch input corresponds to a long touch Perform a second function related to the displayed icon, and if the touch input corresponds to a pressure touch, perform a third function related to the displayed icon, and while performing the third function,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another touch input corresponding to the short touch on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At least one memory configured to execut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displayed icon, and to stor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onfigured to cause the pressure touch to be associated with a touch pressure value that is greater than the touch pressure value associated with the short touch or the long touch. .

본 발명은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에 대한 단축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편리하게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하고,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종래의 방법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shortcut path to a menu environment setting device and method of a terminal, thereby conveniently switching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a menu, and making it easier to check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a menu than a conventional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메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WI-FI메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통화알림 메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a - 도 5e는 도 3 - 도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menu according to a type of gesture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WI-FI menu according to a type of gesture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call notification menu according to a type of gesture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5E are views for explaining FIGS. 3-4.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와 고정 단말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전자기기로서, 화상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단말기는 데스크탑(desktop) 개인용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and a fixed terminal. 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easily carried, such as a video telephon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terminal, a WCDMA terminal,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terminal, It may b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terminal, an e-book, a portable computer (notebook, tablet, etc.), or a digital camera. The fixed terminal may be a desktop personal computer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123)는 휴대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23)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 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오디오 처리부(125)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부(1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RF unit 123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123 includes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The data processor 120 includes a transmitter for encoding and modulating the transmitted signal and a receiver for demodulating and decoding the received signal. That is, the data processor 120 may be configured of a modem and a codec.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 audio processor 125 plays a function of reproducing the received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or transmitting the transmitted audio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to the audio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0.

키 입력부(1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The key input unit 127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eric and character information and function keys for setting various functions.

메모리(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스처를 통해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emory 130 may be composed of program memory and data memories. The program memory may store programs for controlling a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programs for controlling to switch to a menu setting mode through a ges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s.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1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뉴에서 발생되는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o switch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menu according to the type of gesture generated from the menu.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에서 발생되는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메뉴의 해당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메뉴에 현재 설정된 환경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menu or to display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urrently set in the menu according to the type of gesture generated in the menu.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에 현재 설정된 환경정보를 팝업창으로 표시하는 동안, 상기 메뉴에서 발생되는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메뉴의 해당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is generated in the menu while display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currently set in the menu as a pop-up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gesture, the controller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menu or switches to an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menu.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에 현재 설정된 환경정보를 팝업창으로 표시하는 동안, 상기 팝업창에서 발생되는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o switch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menu according to the type of gesture generated in the pop-up window, while displaying the environment information currently set in the menu as a pop-up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기 제스처의 종류는, 숏 터치, 롱 터치, 더블 터치, 멀티터치 드래그 및 압력 감지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ype of gesture may include a short touch, a long touch, a double touch, a multi-touch drag, and a pressure sensitive touch.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에 발생되는 제스처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숏 터치일 때 상기 메뉴의 해당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롱 터치일 때 상기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제스처의 종류가 더블 터치일 때 때 상기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determines the type of gesture generated in the menu, performs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menu when the type of the gesture is a short touch, and the type of the gesture i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110. When the touch is long, the display may be switched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menu, and when the type of the gesture is double touch,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menu may be displayed.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팝업창으로 표시하는 동안, 상기 메뉴에 숏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메뉴의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menu when a short touch occurs in the menu 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menu as a pop-up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팝업창으로 표시하는 동안, 상기 메뉴에 롱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o switch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menu when a long touch occurs on the menu 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menu as a pop-up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팝업창으로 표시하는 동안, 상기 팝업창에 숏 터치가 발생될 때, 상기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controls to switch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menu when a short touch occurs in the pop-up window 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menu as a pop-up wind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에서 발생되는 상기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메뉴를 색 또는 모양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o display the menu by color or shap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gesture generated in th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부(14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상기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 또는 CMOS센서라 가정하며, 상기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camera unit 140 captures image data, and includes a camera sensor for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In this case, the camera sensor is assumed to be a CCD or CMOS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by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ddition,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ISP(Image Signal Processing)를 수행하며, 상기 ISP는 감마교정, 인터폴레이션, 공간적 변화, 이미지 효과, 이미지 스케일, AWB, AE,AF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상기 카메라부(14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상기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6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50)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한다고 가정하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여 표시되는 화면크기에 따라 온 스크린 표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50 performs an image signal processing (ISP)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40 on the display unit 160, and the ISP performs gamma correction, interpolation, spatial variation, image effect, and the like. Performs functions such as Image Scale, AWB, AE, and AF. Therefore, the image processor 150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40 in units of frame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160.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50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to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 The image codec may be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processor 150 has an On Screen Display (OSD) function, and may output on-screen display data according to a screen size display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영상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상기 표시부(160)은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표시부(160)에는 상기 키 입력부(127)와 같은 키들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60 displays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150 on a screen, and displays user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10.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60 may use an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an LCD controller, a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d an LCD display device. In this cas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LCD may operate as an input unit, and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the same keys as the key input unit 127.

또한 상기 표시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뉴에서 발생되는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상기 메뉴를 색 또는 모양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the menu by color or shape according to the type of gesture generated in the menu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단말기에서 메뉴를 제어하는 동작을 도 2 - 도 4 및 도 5a - 도 5e를 통해 상세히 살펴본다.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menu in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and 5a to 5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메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menu according to a type of gesture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에 표시되는 메뉴들 중 특정 메뉴에 대해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뉴에 발생된 제스처의 종류를 판단하는 202단계를 진행한다.Referring to FIG. 2, when a gesture is generated for a particular menu among menus displayed on the terminal,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01 and proceeds to step 202 in which the type of gesture generated in the menu is determined. do.

상기 메뉴에 발생된 제스처가 제1 제스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제스처가 발생된 메뉴의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204단계를 진행한다.If the gesture generated in the menu is the first gesture,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03 and proceeds to step 204 in which the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menu in which the first gesture is generated is performed.

그러나 상기 메뉴에 발생된 제스처가 제2 제스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제스처가 발생된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206단계를 진행한다.However, if the gesture generated in the menu is the second gesture,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05 and proceeds directly to step 206 to switch to the configuration mode of the menu in which the second gesture is generated.

또는 상기 메뉴에 발생된 제스처가 제3 제스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3 제스처가 발생된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208단계를 진행한다.Alternatively, if the gesture generated in the menu is the third gesture,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07 and displays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menu in which the third gesture is generated.

상기 20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상기 메뉴 근처에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step 208, the controller 110 may display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menu as a pop-up window near the menu.

상기 팝업 창으로 상기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메뉴에 상기 제1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뉴의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210단계를 진행한다.If the first gesture is generated in the menu 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menu through the pop-up window,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09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menu in step 209. Proceed.

또는 상기 팝업 창으로 상기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메뉴에 상기 제2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212단계를 진행한다.Alternatively, when the second gesture is generated in the menu 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menu through the pop-up window,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11 and immediately switches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menu. Proceed to step 212.

또는 상기 팝업 창으로 상기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팝업 창에 상기 제1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상기 212단계를 진행한다.Alternatively, when the first gesture is generated in the pop-up window 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menu using the pop-up window,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213 and immediately switches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menu. Proceed to step 212.

상기 과정들에서는 제1 제스처 내지 제3 제스처를 통해 메뉴를 제어하는 동작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제스처 내지 제3 제스처는 숏 터치, 롱 터치, 더블 터치, 멀티터치, 드래그 및 압력 감지 터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또한 단말기의 움직임의 종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processes,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menu through first to third gestures is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first to third gestures are a short touch, a long touch, a double touch, a multi touch, a drag and a pressure sensing touch. It may be any one of and may also include the type of movement of the terminal.

예를 들어 특정 메뉴를 선택한 후, 단말기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메뉴의 해당기능 수행 또는 메뉴의 환경설정모드 전환 또는 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selecting a specific menu, the user may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menu, change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menu, or display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menu according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terminal.

또한 상기 메뉴를 제어하기 위한 제스처의 종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Also, the type of gesture for controlling the menu may be set by the user.

하기 도 3 내지 도 4, 및 도 5a 내지 도 5e의 실시 예를 통해 단말기에서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메뉴를 제어하는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3 to 4 and 5a to 5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menu according to the type of gesture in the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WI-FI메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서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통화알림 메뉴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5a - 도 5e는 도 3 - 도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WI-FI menu according to a type of gesture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all notification according to a type of gesture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menu, and FIGS. 5A to 5E are diagrams for describing FIGS. 3 to 4.

본 발명의 실 시예에서는 제스처의 종류로써 일정시간 이내 입력된 숏 터치, 일정시간 이상 입력된 롱 터치 및 일정시간 이내에 연속으로 터치가 발생되는 더블 터치를 사용하여, 메뉴를 제어하는 동작을 예로 설명한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of controlling a menu using a short touch inpu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 long touch input over a predetermined time, and a double touch generated continuous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s an example of a gesture will be described. .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1, 도 5a 내지 도 5e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5A to 5E.

먼저 상기 도 3을 통해 퀵 패널(510)에 표시되는 WI-FI메뉴를 제어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표시부(160)의 화면의 상측부분에서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5a와 같이 소정의 메뉴들을 가지는 퀵 패널(510)을 표시한다. First,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WI-FI menu displayed on the quick panel 51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standby mode of the terminal, when a drag occurs from an upper direction to a lower direction in an upper portion of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60.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displays the quick panel 510 having predetermined menus as shown in FIG. 5A.

상기 퀵 패널(510)에서 WI-FI메뉴(501)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WI-FI메뉴에 발생된 터치의 종류를 판단하는 302단계를 진행한다.If a touch occurs on the WI-FI menu 501 in the quick panel 510,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301 and proceeds to step 302 to determine the type of touch generated in the WI-FI menu. do.

상기 WI-FI메뉴(501)에 발생된 터치의 종류가 숏 터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현재 WI-FI기능이 비활성화 되어 있으면 활성화 시키고, 현재 WI-FI기능이 활성화 되어 있으면 비활성화 시키는 304단계를 진행한다.If the type of touch generated in the WI-FI menu 501 is a short touch,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303 and activates the current WI-FI function if it is deactivated, and activates the current WI-FI function. If yes, proceed to step 304 to deactivate.

그러나 상기 WI-FI메뉴(501)에 발생된 터치의 종류가 롱 터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3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5b와 같이 WI-FI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WI-FI 환경설정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306단계를 진행한다.However, if the type of touch generated in the WI-FI menu 501 is a long touch,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305 and configures the WI-FI environment as shown in FIG. 5B. The flow proceeds to step 306 in which the mode is directly switched.

또는 상기 WI-FI메뉴(501)에 발생된 터치의 종류가 더블 터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WI-FI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308단계를 진행한다. Alternatively, if the type of touch generated in the WI-FI menu 501 is a double touch,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307 and proceeds to step 308 in which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WI-FI menu is displayed. do.

상기 30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WI-FI메뉴(501)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상기 WI-FI메뉴 근처에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step 308, the controller 110 may display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WI-FI menu 501 as a popup window near the WI-FI menu.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WI-FI메뉴가 현재 활성화되어 있을 때 상기 WI-FI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WI-FI메뉴가 현재 비 활성화되어 있을 때 WI-FI 비활성화를 알리거나 상기 WI-FI메뉴에 설정된 이전 환경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팝업 창에 상기 WI-FI메뉴에 설정된 환경정보로써, 예를 들어 현재 또는 이전에 연결된 공유기의 종류 및 신호세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5c는 상기 WI-FI메뉴가 현재 활성화 되어 있을 때, 상기 WI-FI메뉴(501)근처에 상기 WI-FI에 설정된 환경정보로써 현재 연결된 공유기의 종류(“iptime”) 및 신호세기를 팝업창(501a)으로 표시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110 displays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WI-FI menu when the WI-FI menu is currently activated, and informs the deactivation of the WI-FI when the WI-FI menu is currently inactive. Alternatively, the previous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WI-FI menu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may display, for example, the type and signal strength of the router currently or previously connected as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WI-FI menu in the pop-up window. 5C is a pop-up window showing the type (“iptime”) and signal strength of the currently connected router as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WI-FI near the WI-FI menu 501 when the WI-FI menu is currently activated. Indicated by (501a).

상기 팝업 창으로 상기 WI-FI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WI-FI메뉴(501)에 상기 숏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WI-FI메뉴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는 310단계를 진행한다.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WI-FI menu in the pop-up window, if the short touch occurs in the WI-FI menu 501,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309 and the WI- In step 310, the FI menu is activated or deactivated.

또는 상기 팝업 창으로 상기 WI-FI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WI-FI메뉴(501)에 상기 롱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5b와 같이 상기 WI-FI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312단계를 진행한다.Alternatively, when the long touch occurs in the WI-FI menu 501 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WI-FI menu through the pop-up window,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311. In step 312, the process immediately switches to the configuration mode of the WI-FI menu.

또는 상기 팝업 창으로 상기 WI-FI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팝업 창에 상기 더블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5b와 같이 상기 WI-FI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상기 312단계를 진행한다.Alternatively, when the double touch occurs in the pop-up window 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WI-FI menu through the pop-up window,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in step 313 and the WI as shown in FIG. 5B. Proceed to step 312 to switch directly to the configuration mode of the FI menu.

다음으로 상기 도 4를 통해 퀵 패널(510)에 표시되는 통화알림메뉴를 제어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단말기의 대기모드에서 표시부(160)의 화면의 상측부분에서 상측방향에서 하측방향으로 드래그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5a와 같이 소정의 메뉴들을 가지는 퀵 패널(510)을 표시한다. Next, the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call notification menu displayed on the quick panel 51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controller 110 detects this and displays the quick panel 510 having predetermined menus as shown in FIG. 5A.

상기 퀵 패널(510)에서 통화알림메뉴(502)에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통화알림메뉴(502)에 발생된 터치의 종류를 판단하는 402단계를 진행한다.When a touch is generated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502 in the quick panel 510,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401 and determines step 402 of determining the type of touch generated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502. Proceed.

상기 통화알림메뉴(502)에 발생된 터치의 종류가 숏 터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통화알림메뉴의 종류를 변경하는 404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404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단말기가 현재 진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며, 벨소리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단말기가 현재 벨소리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며, 진동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If the type of touch generated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502 is a short touch,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403 and proceeds to step 404 in which the call notification menu is changed. In step 404,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terminal to be in a vibration mode and to switch to a ring mode, and the terminal is currently set to a ring mode and to switch to a vibration mode.

그러나 상기 통화알림메뉴(502)에 발생된 터치의 종류가 롱 터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40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5d와 같이 통화알림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통화알림 환경설정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406단계를 진행한다.However, if the type of touch generated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502 is a long touch,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405 and immediately enters a call notification configuration mode in which the call notification environment can be set as shown in FIG. 5D. Proceed to step 406 to switch.

또는 상기 통화알림메뉴(502)에 발생된 터치의 종류가 더블 터치이면, 상기 제어부(110)는 4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통화알림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408단계를 진행한다. Alternatively, if the type of touch generated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502 is a double touch,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407 and proceeds to step 408 in which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is displayed.

상기 408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통화알림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상기 통화알림메뉴 근처에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step 408, the controller 110 may display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as a pop-up window near the call notification menu.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팝업 창에 상기 통화알림메뉴에 설정된 환경정보로써, 예를 들어 현재 진동모드일 때는 진동상세설정(예를 들어 “항상 진동”) 및 진동세기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현재 벨소리모드일 때 벨소리 종류 및 벨소리음량정보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5e는 상기 통화알림메뉴가 벨소리모드일 때, 상기 통화알림메뉴(502) 근처에 상기 통화알림메뉴에 설정된 환경정보로써 벨소리 종류(“Ring1)및 벨소리 음량을 팝업창(502a)으로 표시하고 있다.The controller 110 displays the vibration detail setting (for example, "always vibration") and vibration intensity information a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in the pop-up window, for example, in the current vibration mode, or the current ring tone. In mode, ringer type and ringer volum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5E illustrates a popup window 502a displaying ring type (“Ring1”) and ringing volume as environmental information set in the call alert menu near the call alert menu 502 when the call alert menu is in the ring mode. .

상기 팝업 창으로 상기 통화알림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통화알림메뉴(502)에 상기 숏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0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통화알림메뉴를 벨소리모드 또는 진동모드로 전환하는 410단계를 진행한다.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in the pop-up window, if the short touch occurs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502,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409 and displays the call notification menu. In step 410, the mobile terminal switches to the ring mode or the vibration mode.

또는 상기 팝업 창으로 상기 통화알림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통화알림메뉴(502)에 상기 롱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4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5d와 같이 상기 통화알림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412단계를 진행한다.Alternatively, if the long touch is generated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502 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in the pop-up window,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411 and the process shown in FIG. 5D. In step 412, the process immediately switches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call notification menu.

또는 상기 팝업 창으로 상기 통화알림메뉴에 설정된 현재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팝업 창에 상기 더블 터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상기 도 5d와 같이 상기 통화알림메뉴의 환경설정모드로 바로 전환하는 상기 412단계를 진행한다.Alternatively, when the double touch occurs in the pop-up window while displaying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call notification menu in the pop-up window, the controller 110 detects it in step 313 and the call notification as shown in FIG. 5D. In step 412, the process immediately switches to the configuration mode of the menu.

상기 도 3 - 도 4에서는 퀵 패널의 메뉴에서 발생되는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해당기능수행, 빠른 환경설정모드 전환 및 환경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퀵 패널의 메뉴뿐만 아니라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통해서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3 to 4 illustrate a configuration of performing a corresponding function, changing a quick environment setting mode, and displaying environ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gesture generated from the menu of the quick panel, but not only the menu of the quick panel but also the terminal. The same oper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n icon representing an application.

즉, 단말기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안, 해당 아이콘에 발생된 제스처를 판단한다. 상기 해당 아이콘에서 제1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나 상기 해당 아이콘에서 제2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모드로 빠르게 자동 전환한다. That is, while displaying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ing the application on the terminal, the gesture generated on the icon is determined. When the first gesture occurs in the corresponding icon, the controller 110 switches to an applic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con. However, when the second gesture occurs in the corresponding icon, the controller 110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quickly.

또는 상기 해당 아이콘에서 제3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현재환경정보를 상기 해당 아이콘 근처에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a third gesture occurs in the corresponding icon, the controller 110 may display the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as a popup window near the icon.

상기 해당 아이콘 근처에 상기 팝업창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해당 아이콘에서 제1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모드로 전환하고, 또는 상기 해당 아이콘에 제2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한다. 또는 상기 해당 아이콘 근처에 상기 팝업창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팝업창에 제1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해당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환경설정모드로 자동 전환한다.While displaying the pop-up window near the icon, when the first gesture occurs in the icon, the controller 110 switches to an applic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icon, or when a second gesture occurs in the icon. The controller 110 switches to an environment setting mode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Alternatively, while the pop-up window is displayed near the icon, when the first gesture is generated in the pop-up window, the application automatically switches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con.

예를 들어, 단말기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을 표시하는 동안,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에서 제1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메시지모드로 전환하고, 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에서 제2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메시지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한다. 또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에서 제3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 설정된 현재환경정보를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근처에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a first gesture is generated from an icon representing a message application while the terminal is displaying a plurality of icons represent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the controller 110 switches to the message mode, or from the icon representing the message application. When 2 gestures are generated, the controller 110 switches to the environment setting mode of the message. Alternatively, when a third gesture is generated from an icon representing a message application, the controller 110 may display a current environment information set in the message application as a popup window near an icon representing the message application.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근처에 상기 팝업창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아이콘에 제1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메시지모드로 전환하고, 또는 상기 아이콘에 제2 제스처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메시지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한다. 또는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근처에 상기 팝업창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팝업창에 제1 제스처가 발생되면 메시지의 환경설정모드로 전환한다.While displaying the pop-up window near the icon representing the message application, the controller 110 switches to the message mode when the first gesture is generated on the icon, or when the second gesture is generated on the icon, the controller 110. ) Switches to the configuration mode of the message. Alternatively, while the pop-up window is displayed near the icon representing the message application, when the first gesture is generated in the pop-up window, the message enters the configuration mode of the message.

본 발명의 단말기의 메뉴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a menu environment of a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optical disk,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nonvolatile memory,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through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 제어부, 130:메모리, 160:표시부 110: control unit, 130: memory, 160: display unit

Claims (17)

장치에 있어서,
터치 센서;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장치가,
상기 표시부에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의 일부에 터치 입력을 검출하며,
상기 터치 입력의 지속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터치 입력이 제1 입력 제스처로 확인되면,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터치 입력의 압력 값을 기반으로 상기 터치 입력이 제2 입력 제스처로 확인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설정을 가지는 메뉴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표시하며,
상기 팝 업 윈도우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의 일부에 상기 제1 입력 제스처로 확인된 다른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In the apparatus,
Touch sensors;
A display unit;
At least one processor; And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device may,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Detecting a touch input on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If the touch input is confirmed as a first input gesture based on the duration of the touch input,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is executed.
If the touch input is identified as a second input gesture based on the pressure value of the touch input, a pop-up window including a menu having at least one configuration setting related to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A computer program configured to execute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in response to another touch input identified by the first input gesture on a portion of the display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while displaying the pop-up window; At least one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입력 제스처가 숏 터치 제스처이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of claim 1, wherein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omprise:
And execute the application if the first input gesture is a short touch gesture.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설정이 지원되지 않은 제1 모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대응되는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의 상기 일부에서 제3 입력 제스처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입력 제스처가 롱 터치 제스처로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설정이 지원되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해 구성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Displaying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n a first mode in which a setting related to a user interface is not supported,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Detecting, by the touch sensor, a third input gesture at the por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And when the third input gesture is determined as a long touch gesture, display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in a second mode in which a setting related to the user interface is support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입력 제스처가 검출되면 타이머를 초기화하고,
상기 타이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입력 제스처가 제1 지속 시간 동안 유지되고 있는지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입력 제스처가 상기 제1 지속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of claim 1, wherein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omprise:
Initialize the timer when the first input gesture is detected;
Determine whether the first input gesture is maintained for a first duration based on the timer,
And execute the application if the first input gesture is maintained for the first dur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타이머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입력 제스처가 제2 지속 시간 동안 유지되고 있는지 결정하며,
상기 제1 입력 제스처가 상기 제2 지속 시간 동안 유지되면 상기 아이콘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of claim 4, wherein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mprise:
Determine whether the first input gesture is maintained for a second duration based on the timer,
And perform the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icon if the first input gesture is maintained for the second duration.
제1항에 있어서,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입력 제스처의 압력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or,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And determine a pressure value of the second input gesture based on the signal generated by the pressur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제스처는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생성된 신호를 기반으로 검출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input gesture is detected based on a signal generated by the touch sensor.
장치에 있어서,
터치 센서;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장치가,
상기 표시부에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일부에 숏 터치에 대응되는 제1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일부에 압력 터치에 대응되는 제2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설정을 가지는 메뉴를 포함하는 팝업 윈도우를 표시하며,
상기 팝 업 윈도우를 표시하는 동안,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의 일부에 상기 숏 터치에 대응되는 다른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제2 입력이 상기 제1 입력과 관련된 터치 압력 값 보다 큰 압력 값과 관련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In the apparatus,
Touch sensors;
A display unit;
At least one processor; And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device may,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on the display unit;
When a first input corresponding to a short touch is detected on a portion of the displayed icon,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is executed.
When a second input corresponding to a pressure touch is detected on a portion of the displayed icon, a pop-up window including a menu having at least one configuration setting related to the application is displayed.
While displaying the pop-up window,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is executed in response to another touch input corresponding to the short touch on a part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And at least one memory configured to stor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onfigured to cause the second input to be associated with a pressure value greater than the touch pressure value associated with the first inpu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초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설정이 지원되지 않은 제1 모드에 표시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표시된 아이콘의 일부에 롱 터치에 대응되는 제3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설정이 지원되는 제2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icon is initially displayed in a first mode in which no setting related to the user interface is supported,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And when a third input corresponding to a long touch is detected on a portion of the displayed icon, displaying the user interface in a second mode in which a setting related to the user interface is suppor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팝업 윈도우의 일부로서 표시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menu is displayed as part of a pop-up window.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applica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a network interface.
장치에 있어서,
터치 센서;
표시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장치가,
상기 표시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상기 아이콘과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의 일부에 터치 입력을 검출하며,
상기 터치 입력이 숏 터치와 대응되면 상기 표시된 아이콘과 관련된 제1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터치 입력이 롱 터치에 대응되면 상기 표시된 아이콘과 관련된 제2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터치 입력이 압력 터치에 대응되면 상기 표시된 아이콘과 관련된 제3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3 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의 일부에 상기 숏 터치에 대응되는 다른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압력 터치가 상기 숏 터치 또는 상기 롱 터치와 관련된 터치 압력 값 보다 큰 터치 압력 값과 관련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
In the apparatus,
Touch sensors;
A display unit;
At least one processor; And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device may,
Display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Detecting a touch input on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ic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If the touch input corresponds to a short touch, a first function related to the displayed icon is performed;
If the touch input corresponds to a long touch, perform a second function related to the displayed icon,
If the touch input corresponds to a pressure touch, perform a third function related to the displayed icon,
While performing the third function, the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is executed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another touch input corresponding to the short touch on a part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splayed icon.
And at least one memory configured to stor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onfigured to cause the pressure touch to be associated with a touch pressure value that is greater than a touch pressure value associated with the short touch or the long touch.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와 별도인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터치 입력과 관련된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sensor separate from the touch sensor,
The pressure sensor is configured to measure a pressure associated with the touch inpu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의 수행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포함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Performing the first function includes execu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제 2 기능의 수행 중 적어도 일부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이 변경 될 수 있는 설정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장치.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of claim 12, wherein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omprise:
At least as part of performing the second function, an apparatus configured to display the user interface in a setting mode in which at least one setting related to the user interface can be chang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장치가,
상기 제3 기능의 수행 중 적어도 일부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메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포함하는 장치.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of claim 12, wherein when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omprise:
Configured to display a menu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as at least part of the execution of the third function,
The menu includes at least one setting of the applic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는 팝 업 윈도우의 적어도 일부로서 표시되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menu is displayed as at least part of a pop up window.
KR1020200011919A 2020-01-31 2020-01-31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 KR1022140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919A KR102214097B1 (en) 2020-01-31 2020-01-31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919A KR102214097B1 (en) 2020-01-31 2020-01-31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402A Division KR20130142301A (en) 2012-06-19 2012-06-19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909A true KR20200016909A (en) 2020-02-17
KR102214097B1 KR102214097B1 (en) 2021-02-09

Family

ID=6967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919A KR102214097B1 (en) 2020-01-31 2020-01-31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09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0680A1 (en)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displaying user interface for context-specific setting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095A (en) * 2008-08-01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implement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KR20110088930A (en)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팬택 Multi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2032891A (en) * 2010-07-28 2012-02-16 Kyocera Corp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4095A (en) * 2008-08-01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implementing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KR20110088930A (en) *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 팬택 Multi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2032891A (en) * 2010-07-28 2012-02-16 Kyocera Corp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097B1 (en)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05398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s in the terminal
CN110139262B (en) Bluetooth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lated product
KR100689522B1 (en) Method for displaying icon and controlling direct link in wireless terminal
CN108021305B (en) Application association starting method and device and mobile terminal
KR100689499B1 (en) Method for key information displaying in wireless terminal
CN108446058B (en) Mobile terminal oper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WO2011162875A2 (en) Method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managing status components for global call control
KR20130141837A (en)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mode in terminal
CN111078076A (en) Application program switch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7241491B (en) Message prompt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0753153A (en) Terminal control method,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9743129B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control method and related product
KR20150026273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panding function in electronic device
CN103873660A (en) Electronic device with incoming call processing function and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CN108769414B (en) Information prompt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1061450B (en) Parameter adjust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1526426A (en) Video playing method,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214097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tting menu environment in terminal
US202002962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menu in portable terminal
KR2014003166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n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KR20150022202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reactivity in electronic device
KR10166489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and executing prefered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06784B1 (en) method for editing initial menu
JP592246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1357280A (en) Video call control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