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633A - Life-saving system by fire - Google Patents

Life-saving system by f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633A
KR20200016633A KR1020180091953A KR20180091953A KR20200016633A KR 20200016633 A KR20200016633 A KR 20200016633A KR 1020180091953 A KR1020180091953 A KR 1020180091953A KR 20180091953 A KR20180091953 A KR 20180091953A KR 20200016633 A KR20200016633 A KR 20200016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ire
lifesaving
unit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9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명
Original Assignee
김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명 filed Critical 김종명
Priority to KR102018009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6633A/en
Publication of KR2020001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63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3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direction in which child or item is locat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sav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fire in a predetermined space. The lifesav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fire comprises: a fire detecting unit detecting whether fire occurs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location where the fire occurs to obtain fire information; an environment sensing unit obtaining environmen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harmful factors in the predetermined space; a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obtaining human body information of each of people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service server unit receiving the fire informati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human body information from the fire detecting unit, the environment sensing unit, and the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o generate lifesaving information and to transmit the lifesaving information to a fire rescue team and a manager.

Description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LIFE-SAVING SYSTEM BY FIRE}Life-saving system according to fire {LIFE-SAVING SYSTEM BY FIRE}

본 발명은 화재시 주변환경정보에 따라 인명을 구조하는 인명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인명구조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위치한 주변환경정보와 화재정보 및 인근에 위치한 사람들 각각의 인체정보를 제공하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saving system that rescues lives according to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case of fire, and more particularly, to establish a lifesaving plan in case of a fir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fire information and people located nearby. It relates to a life-saving system according to a fire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each human body.

최근 도시화가 진행되어 갈수록 아파트, 오피스텔, 학교 및 병원 등과 같은 고층건물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일정공간 다수 사람들이 밀집하는 장소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As urbanization progresses in recent years, as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officetels, schools, and hospitals gradually increase, places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in a certain space are concentrated gradually increase.

상기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밀집된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고온의 화염 및 시야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비상통로 등 대피로를 찾기 어렵고, 유독성 가스 등으로 인한 질식 때문에 피난이 어려운 상황이 다수 발생된다.When a fire occurs in a crowded place as described above, evacuation paths such as emergency passages are difficult to find due to a high temperature flame and difficulty of securing a visibility, and many situations are difficult to evacuate due to asphyxiation due to toxic gas.

이러한 경우, 고층 건물인 경우 대피로 대신 완강기 또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건물의 창문을 통해 대피하거나, 건물 옥상에서 헬리콥터를 이용한 구조 또는 소방구조대에 의한 구조가 필요하다.In this case, in case of a high-ris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evacuate through the windows of the building by using a ladder or ladder instead of the evacuation route, or to use a rescue or fire rescue team using a helicopter on the roof of the building.

그런데 헬리콥터에 의한 구조가 어려운 건물의 수가 많고, 소방구조대가 화재 현장에 도달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현실적으로 모든 인명을 구조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number of buildings difficult to rescue by helicopter, and the firefighting team took a long time to reach the fire sit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realistically rescue all lives.

또한, 소방구조대가 화재 현장에 도착하더라도, 사람들 개개인의 신체 능력 또는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대피 가능성이 다르고, 화재 발생 지점 주변의 먼지, 가스 농도 등 주변환경에 따라 화재진압 방법 및 인명구조 순서 등이 달라지게 되어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계획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firefighting team arrives at the fire site, the evacuation possibilit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physical ability or health condition, and the fire suppression method and the lifesaving order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dust and gas concentration near the fire occurrence point. It was difficult to develop a lifesaving plan following a fire.

이에,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지점, 화재 발생 지점 주변환경정보와 화재정보 및 인근에 위치한 사람들 개개인의 인체정보 등을 화재 발생 지역의 소방구조대, 관리자 및 인근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전달하여, 사람들의 대피에 도움을 제공하고 화재진압 방법 및 인명구조 순서 등 인명구조 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하여 사람들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보장하고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Therefore, in case of a fire, the fire occurrence point, fire occurrence environment, fire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eople in the vicinity are transmitted to the firefighting rescue team in the area where the fire occurs, the administrator and the people in the vicinity, helping people evacuat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can provide people with safety measures and minimize the damages caused by fires by quickly establishing lifesaving plans such as fire suppression methods and lifesaving procedures.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을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background art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related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 10-1309747 B1(2013.09.11.)KR 10-1309747 B1 (2013.09.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정공간 내에서 화재 발생시, 사람들의 인체정보와 화재 발생 지점에 대한 정보 및 공간 내 주변환경정보를 수집하여 인근의 소방구조대 및 관리자에게 전송하여 화재진압 방법 및 인명구조 순서 등 인명구조 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할 수 있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a fire occurs in a certain space, the human body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the fire occurrence point of peopl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space to collect and transmit to nearby firefighters and administrators It provides a lifesaving system in response to a fire that can quickly establish a lifesaving plan such as fire suppression methods and lifesaving procedures.

또한, 일정공간 내부에 위치한 각각의 사람들에게 화재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사람들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보장하고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을 제공한다.In addition, by providing fire-related information to each person located in a certain space to provide a life-sav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e that can ensure the safety of people efficiently and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fi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bove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은 일정공간 내에서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일정공간 내의 화재 발생 여부 및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여 화재정보를 획득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일정공간 내의 유해 인자에 대한 정보인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환경 센싱부; 상기 일정공간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사람들의 인체정보를 획득하는 인체정보 수집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 환경 센싱부 및 인체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화재정보, 환경정보 및 인체정보를 수신받아 인명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소방구조대 및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부;를 포함한다.The lifesaving system according to a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esaving system according to a fire in a predetermined space, and to detect a fire occurrence and a location of a fire in the predetermined space to detect a fire and obtain fire information. part; An environment sensing unit for obtaining environment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harmful factors in the predetermined space; A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which obtains human body information of each person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a service server unit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e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human body information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an environmental sensing unit, and a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o generate lifesaving information, and to transmit it to a firefighting team and an administrator.

상기 일정공간은 복수의 감지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화재 감지부는 각각의 상기 감지영역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환경 센싱부는 각각의 상기 감지영역의 유해 인자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etection areas, wherein the fire detection unit may detect whether each of the detection areas is fired, and the environment sensing unit may measure harmful factors of each detection area. .

상기 인체정보 수집부는, 상기 일정공간 내의 각각의 사람들 각각에 대한 상기 인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개인이 착용 가능한 복수 개의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worn by an individual so that the human body information of each person in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obtained in real time.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인명구조 정보를 각각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ice server unit transmits the lifesaving information to each of the wearable devices.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인명구조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unit including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lifesaving information and a display.

또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공간에 대한 지도정보가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서비스 서버부는, 대피 경로 안내를 포함하는 상기 인명구조 정보를 각각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ear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identifier configured to detect a current location, include map information of the predetermined space, and the service server unit may include the lifesaving information including an evacuation route guide.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o the wearable device.

상기 서비스 서버부는, 각각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개개인의 신체 능력 또는 건강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인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인명구조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인명구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rvice server unit collects the human body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dividual's physical ability or health status in real time from each of the wearable devices in real time to generate the lifesa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lifesaving order can do.

상기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환경정보 및 화재정보로부터, 유해 인자 및 화재 지점에 가까운 순서로 상기 인명구조 순서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rvice server unit generates the lifesaving sequence from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fire information in a sequence close to the harmful factor and the fire point.

착용자의 나이, 지병 정보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개인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를 상기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d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wearer's age, diseas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to the service server unit. It can be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공간 내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위치 및 주변 환경정보에 따라 화재 진압계획 등 인명구조 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rgent to develop a technology for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by a fire, as it is possible to quickly establish a lifesaving plan such as a fire suppression pla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fir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when a fire occurs in a predetermined space. It is true.

또한, 일정공간 내의 사람들 개개인의 신체 능력 또는 건강 상태 등 인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그에 따라 인명구조 순서 등 인명구조 계획을 수립할 수 있어 사람들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보장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human body information such as individual's physical ability or health status in real time in real time, and establish a lifesaving plan such as lifesaving order accordingly, so that it can effectively guarantee people's safety and minimize damage.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부 및 환경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a lifesaving system according to a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e detection unit and the environmental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description, the sam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elements, and may be described by quoting content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under such a rule, and the contents determined to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repeated may be omitted.

본 발명은 일정공간 내에서 화재 발생시 화재정보와 주변환경정보 및 일정공간 내에 위치한 사람들의 인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신속하게 가장 효율적인 인명구조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사람들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보장하고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fire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human body information of people located in a certain space in real time when a fire occurs in a certain space quickly to establish the most efficient lifesaving plan, to ensure the safety of people efficiently and to fire It is characterized by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life-saving system according to a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은 일정공간(10) 내의 화재 발생 여부 및 화재 발생 위치를 포함하는 화재정보를 감지하는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100)와 일정공간(10) 내의 주변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환경 센싱부(200)와 일정공간(10) 내의 사람들에 대하여 각각의 인체정보를 획득하는 인체정보 수집부(300) 및 수집된 화재정보, 환경정보 및 인체정보를 수신받아 인명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소방구조대(500) 및 관리자(600)에게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부(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life-sav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e detection for detecting in real time to detect the fire information, including whether the fire occurr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0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occurs The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300 and the collected human body information for each of the environment sensing unit 200 and the people in the predetermined space 10 to obta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n the unit 100 and the predetermined space 10 and collected The service server unit 400 receives fire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human body information to generate lifesaving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firefighting team 500 and the manager 6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부(100)는 예를 들어 화재 발생 여부 및 화재 발생 위치를 모두 검출할 수 있는 화재 감지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화재 감지부ㅍ는 화재 발생 여부 및 발생 위치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화재 감지센서 및 감지방법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fire detec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example, a fire detection sensor that can detect both the fire and the location of the fire occurs,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Various types of fire detection sensors and detection methods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n occurrence occurs at the same time may be selectively applied.

한편, 환경 센싱부(200)는 예를 들면 일정공간(10) 내의 유해 인자에 대한 정보인 환경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유해 인자는 먼지, 분진, 에어로졸, 훈연, 연기, 안개, 스모그, 검댕 등 대기 중에 존재하는 물을 제외한 액체 또는 고체물질을 총칭하는 입자상 물질에 대한 정보, 곰팡이, 진드기 등의 생물학정보, 생활 화학물질, 온도, 습도 등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유해 인자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sensing unit 200 is for collec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harmful factors in a certain space 10, wherein the harmful factors are dust, dust, aerosol, smoke, smoke, fog, smog, All harmful factors that may affect human health such as soot and other information on particulate matter that refers to liquids or solids other than water present in the atmosphere, biological information such as mold and mites, household chemicals, temperature and humidity. It may include.

이때, 환경 센싱부(200)는 상기와 같은 다수의 유해 인자 중 선택된 유해 인자를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환경감지 센서들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환경감지 센서들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nvironmental sensing unit 200 may selectively use various types of environmental sensing sensors capable of sensing the selected harmful factors among the plurality of harmful factors,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kinds of environmental sensing sensors.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센싱부는 추가적으로 유/무선으로 연결된 추가 환경감지 센서를 통해 추가 환경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obtain additio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through an additional environmental sensor connected by wire / wireless.

추가 환경감지 센서는 일정공간 주변의 날씨, 먼지, 습도 등 환경정보일 수 있고, 추가 환경감지 센서는 기상청 등의 공공 기관이 설치한 센서가 될 수 있다.The additional environmental sensor may be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weather, dust, and humidity around a certain space, and the additional environmental sensor may be a sensor installed by a public institution such as a meteorological office.

이에, 서비스 서버부(400)는 추가 환경감지 센서로부터 추가 환경정보를 취합하여 활용함으로써, 인명구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service server 400 may further improve lifesaving efficiency by collecting and using additional environmental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environmental senso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감지부 및 환경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e detection unit and the environmental sen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일정공간(10)은 복수의 감지영역(11)으로 구획될 수 있고, 본 발명의 화재 감지부(100) 및 환경 센싱부(200)는 각각의 감지영역(11)에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nother predetermined spa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etection areas 11, and the fire detection unit 100 and the environmental sens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 May be provided in plural so as to be installed in each sensing area 11.

이에, 각각의 화재 감지부(100) 및 환경 센싱부(200)는 설치된 감지영역(11) 내의 화재 발생 여부와 감지영역(11) 내의 먼지농도, 습도, 유해가스 농도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서비스 서버부(400)로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서버부(400)는 복수 개의 감지영역(11)들 중에서 화재가 발생된 감지영역(11)을 감지할 수 있다.Accordingly, each of the fire detection unit 100 and the environmental sensing unit 200 detects the occurrence of fire in the installed detection area 11 and the dust concentration, humidity, harmful gas concentration in the detection area 11 in real time, and provides services. By transmitting to the server unit 400, the service server unit 400 may detect a detection area 11 in which a fire occurs among the plurality of detection areas 11.

또한, 화재가 발생된 감지영역(11)과 인접한 감지영역(11)의 먼지 및 발화 가능한 가스 농도 등 각각의 감지영역(11)에 대한 환경정보로부터 화재시 불길이 번지는 방향 및 시간 등 화재 예측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인명구조 계획을 신속하게 수립할 수 있으며 화재 예측을 통해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ire prediction, such as the direction and time of spreading the flame in case of fire, from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each detection area 11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dust and flammable gas in the detection area 11 and the detection area 11 adjacent to the fire It is possible to easily implement a lifesaving plan, and to quickly extinguish a fire by predicting the fire, thereby minimizing the loss of life and property damage caused by the fire.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된 감지영역(11)을 중심으로 일 방향에 LPG 등 발화성 가스의 농도가 높거나, 먼지 등 인화성 물질이 많은 지점으로 불길이 쉽게 번질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환경정보를 통해 불길이 쉽게 번질 수 있는 감지영역(11) 먼저 화재 진화를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For example, since the flame can easily spread to a point where a high concentration of a flammable gas such as LPG or a flammable substance such as dust is spread around one side of the detection area 11 where a fire has occurred, the abov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e detection area 11 that can easily spread through the fire by first extinguishing fire can quickly extinguish the fire.

본 발명의 도 2에서 일정공간(10)은 단층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하나의 예로서 일정공간(10)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된 건축물인 경우 복수의 층으로 구획될 수 있다.In FIG.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space 10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a single layer, but as an example for description, when the predetermined space 10 is a building formed of a plurality of floors, the predetermined space 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floors.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체정보 수집부(300) 일정공간(10) 내에 위치하는 사람들의 신체활동 능력 및 건강상태 등 인체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 서버부(400)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human body information, such as physical activity capabilities and health status of people located in a certain space 10 and transmits to the service server 400.

이때, 인체정보 수집부(300)는 일정공간(10) 내부에 위치하는 사람들 개개인의 인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해야 하는 바, 일정공간(10) 내로 들어오는 사람들이 각각 착용하여 실시간으로 인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웨어러블 기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00 is to obtain the human body information of each person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0 in real time, each person who enters into the predetermined space 10 to wear the human body information in real tim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wearable device 310 to do s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웨어러블 기기(310)는 착용자의 현재 신체활동 능력과 맥박, 호흡 등 건강상태를 수집하도록 인체정보 감지센서(311)를 포함하고 인체정보 감지센서(311)로부터 획득한 인체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 서버부(400)로 전송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each wearable device 310 includes a human body information sensor 311 so as to collect a wearer's current physical activity ability and a health condition such as a pulse and breathing, and from the human body information sensor 311. The collected human body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transmitted to the service server 400.

이에, 서비스 서버부(400)는 각각의 사람들에 대한 개개인의 인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수치와 비교하여 심장마비 등 착용자의 인체정보에 이상이 발생었다 판단되는 경우 인명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소방구조대(500) 및 관리자(600)에게 전송하여, 이상 발생시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정공간 내에 수용된 사람들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service server 400 collects individual human body information about each person in real time, and compares it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human body information of the wearer such as a heart attack. By generating th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firefighting rescue team 500 and the manager 600,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ope with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has the effect of efficiently ensuring the safety of people accommodated in a certain space.

또한, 화재 발생시에는 각각 개인별로 화재로 인한 유독가스 등으로 인한 질식 등 이상상태 발생시 해당지역의 소방구조대(500) 및 관리자(600)가 즉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구조 순서 등 인명구조 계획을 포함하는 인명구조 정보를 생성할 수 있어 인명구조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event of a fire, each firefighter's rescue team 500 and the administrator 600 in the area immediately know when an abnormal condition such as asphyxiation due to toxic gas due to a fire occurs for each individual, thus including lifesaving plans such as lifesaving ord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lifesaving information, which ha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lifesaving efficiency.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310)는 서비스 서버부(400)에서 생성된 인명구조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312a) 및 디스플레이(312b)를 포함하는 출력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wearable device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put unit 312 including a speaker 312a and a display 312b for outputting lifesaving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rvice server 400. It may further include.

이에, 착용자는 출력부(312)를 통해 현재 인명구조 상황 및 화재정보 등이 포함된 인명구조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us, the wearer can receive the lifesa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lifesaving situation and fire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312 in real time, thereby minimizing damage due to fire and facilitating the rescu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웨어러블 기기(310)는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식별부(313)를 더 포함하고, 일정공간의 지도정보가 내장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wearable device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313 for detecting a current location, and preferably includes map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식별부(313)는 예를 들어 위성 신호(GPS),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각각의 웨어러블 기기(310)의 현재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313 may be applied with various means for identifying the current state of each wearable device 310 such as, for example, a satellite signal (GPS), Bluetooth, and Wi-Fi. .

이때, 서비스 서버부(400)는 웨어러블 기기(310)를 착용한 화재 발생 위치와 주변환경정보 및 각 개인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각각 개인별로 최적의 대피 경로를 생성하여 각각의 개개인이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310)의 제어부(314)로 전송하면 제어부(314)는 이를 스피커(312a) 및 디스플레이(312b)를 포함하는 출력부(312)를 통해 출력시킴으로써 착용자의 대피를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server 400 collects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wearing the wearable device 310 to generate an optimal evacuation route for each individual and is worn by each individual. When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14 of the wearable device 310, the control unit 314 has an effect that can help the evacuation of the wearer by outputting it through the output unit 312 including the speaker 312a and the display 312b. .

또한, 웨어러블 기기(310) 착용자의 신체활동 능력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맥박, 체온 등 인체정보가 기준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는 경우 스피커(312a)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소방구조대(500) 및 관리자(600)가 해당 웨어러블 기기(310)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하여 해당 웨어러블 기기(310) 착용자의 구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earable device 310 wearer's physical activity ability is sharply lowered or the human body information such as pulse, body temperature is significantly out of the reference range by generating an alarm through the speaker 312a, firefighters 500 and manager 600 The position of the wearable device 310 may be facilitated to shorten the rescue time of the wearer of the wearable device 310.

이때, 웨어러블 기기(310)는 예컨대,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각속도센서, 지자기센서 등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며, 이러한 센서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신체활동 능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earable device 310 includes at least one of a sensor such as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 angular velocity sensor, a geomagnetic sensor, and the like, and collects physical activity capability information by detecting a wearer's movement using the sensor. Can be.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310)는 착용자의 나이와 지병 및 특이사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wearable device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315 for inputting the wearer's age, illness, and specific information.

이때, 입력부(315)를 통해 착용자가 자신의 혈액형, 폐기능, 피부수분도, 인슐린저항성, 천식, 아토피 등 특이사항 및 당뇨, 고혈압 등 지병정보와 나이 등을 입력할 수 있어 화재 발생시, 서비스 서버부(400)는 상기의 내용을 포함하는 착용자 개개인의 인체정보를 기준으로 구조 순서 등 인명구조 정보를 생성하여 소방구조대(500) 및 관리자(600)에게 전송함으로써, 인명구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the wearer can input his / her own blood type, lung function, skin moisture level, insulin resistance, asthma, atopic dermatitis and other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and age through the input unit 315. The unit 400 generates lifesaving information such as rescue order based on the human body information of each wearer including the above contents and transmits it to the firefighting team 500 and the manager 600, thereby maximizing lifesaving efficiency. It work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부(400)는 상기와 같이 화재 감지부(100)로부터 화재 발생 여부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화재정보를 수신받고, 환경 센싱부(200)로부터 각각의 감지영역에 대한 환경정보를 수신받으며, 인체정보 수신받아, 인명구조 정보를 생성하여 인근 소방구조대(500) 및 관리자(600)의 서버 또는 단말기로 전송한다.Service server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fire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e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00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sensing from the environmental sensing unit 200 Receives environmental information about the area, receives human body information, generates lifesav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servers or terminals of the neighboring firefighting team 500 and the manager 600.

한편, 서비스 서버부(400)는 화재 감지부(100)와 환경 센싱부(200)로부터 수신받은 화재 발생 위치와 주변 환경정보로부터 불길의 경로를 예상하고, 각각의 웨어러블 기기(310)로부터 수신받은 각 개인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개인별 탈출 경로를 생성하며 이를 다시 각각의 웨어러블 기기(310)로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rvice server 400 estimates the path of the flame from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100 and the environmental sensing unit 200, received from each wearable device 310 An escape route for each individual may be generated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and then transmitted to each wearable device 310.

또한, 서비스 서버부(400)는 수집된 환경정보 및 인체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400 may provide health information to the user based on the collecte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human body information.

여기서, 건강정보는 측정된 환경정보의 유해 인자 중 인체정보의 사용자가 보유한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 인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유해 인자가 질환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Here, the health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harmful factors affecting the disease possessed by the user of the human body information among the harmful factors of the measured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may indicate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harmful factors on the disease.

그리고 건강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질환을 악화시키는 유해 인자에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노출되어 있는 경우, 질환이 악화 됨을 경고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lth information may include a content of warning that the disease is worsened when the user is exposed to a harmful factor worsening the disease possessed by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한편, 소방구조대(500) 또는 관리자는ㅍ 서비스 서버로부터 공급받은 인명구조 정보를 통해 인명구조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서비스 서버부(400)로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부(400)는 이를 각각의 웨어러블 기기(310)로 전달함으로써, 인명구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the fire brigade 500 or the manager establishes a lifesaving plan through the lifesaving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service server and transmits it to the service server 400. Thereafter, the service server 400 transmits it to each wearable device 310, thereby maximizing life saving efficiency.

예를 들어,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저층이 완전 폐쇄되어 소방구조대(500) 또는 관리자(600)가 건물 옥상에서 헬리콥터 등을 이용하여 구조를 시도하는 경우, 이러한 구조계획 정보와 함께 웨어러블 기기(310)의 출력부를 통해 각 개인별 위치에서 옥상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신속한 구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fire occurs in a high-rise building and the low-rise is completely closed, the fire rescue team 500 or the manager 600 attempts to rescue using a helicopter or the like on the roof of the building. By guiding the path that is moved to the rooftop from each individual location through the output of 310, it is possible to enable a quick struct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10: 일정공간 11: 감지영역
100: 화재 감지부 200: 환경 센싱부
300: 인체정보 수집부 310: 웨어러블 기기
311: 인체정보 감지센서 312: 출력부
312a: 스피커 312b: 디스플레이
313: 위치 식별부 314: 제어부
400: 서비스 서버부 500: 소방구조대
600: 관리자
10: constant space 11: detection area
100: fire detection unit 200: environmental sensing unit
300: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310: wearable device
311: human body information sensor 312: output unit
312a: speaker 312b: display
313: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314: control unit
400: service server unit 500: firefighting rescue team
600: manager

Claims (8)

일정공간 내에서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일정공간 내의 화재 발생 여부 및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여 화재정보를 획득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일정공간 내의 유해 인자에 대한 정보인 환경정보를 획득하는 환경 센싱부;
상기 일정공간 내에 위치하는 각각의 사람들의 인체정보를 획득하는 인체정보 수집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 환경 센싱부 및 인체정보 수집부로부터 상기 화재정보, 환경정보 및 인체정보를 수신받아 인명구조 정보를 생성하고 소방구조대 및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부;를 포함하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
Regarding the life-saving system according to fire in a certain space,
A fire detector for detecting fire and fire position in the predetermined space to obtain fire information;
An environmental sensing unit for obtain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harmful factors in the predetermined space;
A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which obtains human body information of each person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And
Receive the fire information,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human body information from the fire detection unit, environmental sensing unit and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on unit to generate lifesaving information and transmits to the rescue team and the administrator; including, Lifesaving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정공간은 복수의 감지영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화재 감지부는 각각의 상기 감지영역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며, 상기 환경 센싱부는 각각의 상기 감지영역의 유해 인자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determined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nsing areas,
The fire detector detects whether a fire occurs in each of the detection zones, and the environment sensing unit measures a harmful factor of each of the detection zon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체정보 수집부는,
상기 일정공간 내의 각각의 사람들 각각에 대한 상기 인체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개인이 착용 가능한 복수 개의 웨어러블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인명구조 정보를 각각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uman body information collecting unit,
It includes a plurality of wearable devices that can be worn by the individual, so that the human body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eople in the certain space can be obtained in real time,
The service server unit,
And transmitting the lifesaving information to each of the wearable devic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상기 인명구조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wearable device,
And a display unit including a speaker and a display for outputting the lifesaving informa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식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공간에 대한 지도정보가 내장되고,
상기 서비스 서버부는, 대피 경로 안내를 포함하는 상기 인명구조 정보를 각각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wear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for detecting the current location, the map information for the predetermined space is embedded,
And the service server unit transmits the lifesa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evacuation route guidance to each of the wearable device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부는,
각각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개개인의 신체 능력 또는 건강 상태를 포함하는 상기 인체정보 및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인명구조 순서를 포함하는 상기 인명구조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service server unit,
According to the fir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llecting in real time the human body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individual's physical ability or health status from each of the wearable device to generate the lifesav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lifesaving order Lifesaving syste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부는,
상기 환경정보 및 화재정보로부터, 유해 인자 및 화재 지점에 가까운 순서로 상기 인명구조 순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rvice server unit,
And saving the lifesaving sequence from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the fire information in the order of closeness to the harmful factors and the fire poin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착용자의 나이, 지병 정보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개인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에 따른 인명구조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wearable device,
And an input unit for inputting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wearer's age, diseas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to the service server unit.
KR1020180091953A 2018-08-07 2018-08-07 Life-saving system by fire KR202000166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953A KR20200016633A (en) 2018-08-07 2018-08-07 Life-saving system by f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953A KR20200016633A (en) 2018-08-07 2018-08-07 Life-saving system by fi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633A true KR20200016633A (en) 2020-02-17

Family

ID=6967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953A KR20200016633A (en) 2018-08-07 2018-08-07 Life-saving system by f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663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47B1 (en) 2012-06-04 2013-10-15 주식회사 이노센싱 System for rescuing distress of human life by collapse and fi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747B1 (en) 2012-06-04 2013-10-15 주식회사 이노센싱 System for rescuing distress of human life by collapse and fi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510B1 (en) Automated detection of firefighter teams
KR102126281B1 (en)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US7026947B2 (en) Building emergency path finding systems and method
EP3125205B1 (en) Individual evacuation plan generation and notification via smart/wearable devices by positioning and predicting emergencies inside a building
CN205748391U (en) Escape and rescue guides system
JP3446996B2 (en) Comprehensive disaster prevention and rescue system
Wilson et al. A wireless sensor network and incident command interface for urban firefighting
RU2472226C2 (en) Apparatus for monitoring location of individuals
ES2198939T3 (en) FIRE DETECTOR AND FIRE ALARM SYSTEM.
KR101755533B1 (en)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124067B1 (en) SYSTEM FOR PREDICTING SMOKE SPREADING AND EVACUATION ROUTE USING INTERNET OF THING (IoT) SENSORS, AMD METHOD FOR THE SAME
KR1019231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IoT based intelligent disaster evacuation
KR100637708B1 (en) System and terminal for providing realtime fire-fighting information
CN201832302U (en) System for evaluating building fire situation and indicating personnel evacuation
KR101583184B1 (en) Disaster detection system
BRPI0708413B1 (en) METHOD FOR EVACUATING A DIVIDED BUILDING IN ZONES, DANGER NOTICE CENTER AND EVACUATION SYSTEM TO EVACUATING A DIVIDED BUILDING IN ZONES
CN103041522A (en) Building fire situation assessment and personnel evacuating indication method and system
CN111815921A (en) Intelligent fire-fighting rapid linkage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same
KR20090003938A (en) Intellegent apparatus for escaping from accident using sensor network and mobile terminal and method thereof
TWI442345B (en) Intelligent fire escape system
CN107737429A (en) A kind of intelligent fire-pretection system
CN111915823A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server and mobile terminal equipment
KR20190134543A (en) System for controlling evacuation route guidance with smart direction indicator light using beacon and method thereof
WO2019069248A1 (en) A system and device to assist rescue and support personnel in emergencies
KR20200016633A (en) Life-saving system by f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