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012A - 온수 이불 - Google Patents

온수 이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012A
KR20200016012A KR1020180091179A KR20180091179A KR20200016012A KR 20200016012 A KR20200016012 A KR 20200016012A KR 1020180091179 A KR1020180091179 A KR 1020180091179A KR 20180091179 A KR20180091179 A KR 20180091179A KR 20200016012 A KR20200016012 A KR 20200016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irculation
hot water
pipe
branch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206B1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김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식 filed Critical 김은식
Priority to KR102018009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2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6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15Blankets; Duvet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8Packaged or self-contained boilers, i.e. water heaters with control devices and pump in a single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8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using a liquid as fill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이불 내에 위치하는 분기관을 통하여 여러 갈래로 분기되도록하여 동시에 온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불 내 전체영역에서 온수의 빠른 순환이 유지되도록 하여 영역별 온도편차를 방지하는 한편, 이불 외피는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을 도포처리하여 전자파 및 정전기발생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한 온수 이불에 관한 것으로,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일단에 형성되어 회수관을 통하여 회수된 물을 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보일러부와;
상기 보일러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을 다수의 갈래로 분기되도록 하는 제1,2 분기관과, 상기 제1,2 분기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수관과 연결시키는 상기 제3,4 분기관과, 일단은 상기 제3,4 분기관과 타단은 보일러에 연결되는 회수관으로 이루어지는 온수공급부와;
상기 온수공급부 외측으로는 내측에 실리콘층이 형성된 내피와, 외측에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이 도포처리된 외피로 구성된 이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수 이불{The warm-water quilt}
본 발명은 온수 이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이불 내에 위치하는 분기관을 통하여 여러 갈래로 분기되도록하여 동시에 온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불 내 전체영역에서 온수의 빠른 순환이 유지되도록 하여 영역별 온도편차를 방지하는 한편, 이불 외피는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을 도포처리하여 전자파 및 정전기발생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한 온수 이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가옥에서 사용되는 온돌은 방바닥 및 실내공간을 따뜻하게 해주는 동절기 난방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근래에는 가옥구조 및 주거패턴의 서구화 경향에 따라 점차 침대사용이 증가하면서 침대와 온돌바닥과의 열전도가 직접적으로 행하여지지 않아 난방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실내온도를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열원을 필요로하게 되는 문제점을 줄이고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이불은 잠잘 때 몸을 덮어서 보온하는 보온재질을 각종 천으로 박음질하여 봉재한 상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온돌과 같이 바닥을 가열하여 대류에 의해 난방을 실시하는 구조에서는 바닥에서 발생된 열을 보온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이불은 휴식에 대한 중요성을 높이 인식하여, 안락감·위생·보온과 청량감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재료와 모양이 다양해졌다. 실내장식면에서도 중요한 구실을 하게 되었으며, 전통적인 이부자리 외에 침대용의 것이 병용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불은 보온재질의 종류에 따라 겨울용 솜이불, 솜을 조금 넣은 차렵이불·누비이불·겹이불·홑이불(여름용) 등을 마련하고 깃을 이불색에 맞추어 홍색과 남색, 자주와 연두, 연두와 홍색 등으로 배색하여 달았다 그러나 요즈음은 깃을 달지 않는 경우도 많고, 목화솜 대신 화학솜·풀솜을 두기도 한다.
상기 화학솜은 목화솜에 비해 흡습성이 작고 열에 약하나, 촉감·탄력이 좋고 가벼워서 요보다는 이불에 많이 사용한다. 이불 겉감으로는 양단·명주·삼팔주(三八紬)·산동주·마미단(麻美緞)·나사류·모본단(模本緞) 등을 쓰고, 안감은 대개 면으로 한다.
상기 이불은 온돌에서 발생되는 열을 유지하도록 보온역할만을 하는 것으로서, 이불 자체에서 발열되지 못하였으나, 최근에는 이불에 내부에 열선을 매입하여 전기적인 발열이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이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이불은 내부에 매입된 열선에 전기를 인가하여 발생되는 열로 이불이 더워지도록하는 것으로써, 열선에서 전자기파가 발생되어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온돌의 원리를 이용하여 온수로 난방을 실시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12418호의 "침대용 물순환 매트리스"가 제시되고 있는바, 이는 매트리스 내부의 전체 영역에 걸쳐 온수 순화튜브를 매설해서 온수순환펌프를 통하여 보일러에서 데워진 온수가 상기 순화튜브를 순환한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한가닥의 순환튜브를 매트리스 내부의 전체영역 내에 국곡배치함으로써, 순환튜브의 출수부와 입수부의 온도차가 발생하여 균일하게 난방할 수 없으며, 물의 순환시간이 길어 난방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1241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보일러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이불 내에 위치하는 분기관을 통하여 여러 갈래로 분기되도록하여 동시에 온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불 내 전체영역에서 온수의 빠른 순환이 유지되도록 하여 영역별 온도편차를 방지한 온수 이불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불 외피는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을 도포처리하여 전자파 및 정전기발생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한 온수 이불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일단에 형성되어 회수관을 통하여 회수된 물을 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보일러부와; 상기 보일러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을 다수의 갈래로 분기되도록 하는 제1,2 분기관과, 상기 제1,2 분기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수관과 연결시키는 상기 제3,4 분기관과, 일단은 상기 제3,4 분기관과 타단은 보일러에 연결되는 회수관으로 이루어지는 온수공급부와; 상기 온수공급부 외측으로는 내측에 실리콘층이 형성된 내피와, 외측에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이 도포처리된 외피로 구성된 이불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보일러부에 형성된 온도조절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온도를 맞추고, 전원을 공급하면 히터가 물을 가열하고, 모터가 가열된 가열수를 공급관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온수공급부는 상기 보일러부 중 히터의 일단에 체결되어 순환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이 형성되며, 상기 공급관의 일단에는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을 다수의 갈래로 분기되도록 하는 제1,2 분기관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분기관의 일단에 순환관이 연결되돠, 상기 제1,2 분기관은 "Y"형으로 1개의 공급관에 2개의 순화관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1개의 공급관을 통하여 4개의 순환관으로 순환수가 공급되어 이불부에 배치되므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순환수를 공급하여 빠르게 난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의 일단에 회수관과 연결시키는 상기 제3,4 분기관이 체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3,4 분기관도 "Y"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 각각에는 2개의 순환관이 타단에는 1개의 회수관이 연결되어 순환된 순환수가 제3,4 분기관을 통하여 회수관으로 회수되어 다시 물탱크로 회수된다.
이에 따라 순환수가 바르게 회수되므로 순환수의 온도변화가 적어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불부는 시트지를 직물, 합성수지, 인조피혁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시트원단에 항미생 조성물질을 함침처리하여 형성한 시트부재와, 상기 항미생 조성물질이 함침 처리된 시트부재 표면 전면에 슝기트분말과, 귀사문분말과, 포졸란분말과, 탈크분말과, 천연바인딩을 첨가하여 혼합조성한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을 스프레이 증착방식을 통하여 장식문양의 패턴을 도포처리하여 유해전류를 감쇄하도록 한 패턴전도층으로 구성되어, 시트부재에 도포된 패턴형전도층의 물질특성에 따른 대전방지 및 도전성 기능에 의해 유해전류 및 전자파, 정전기를 감쇄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이불은 보일러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이불 내에 위치하는 분기관을 통하여 여러 갈래로 분기되도록하여 동시에 온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불 내 전체영역에서 온수의 빠른 순환이 유지되도록 하여 영역별 온도편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불 외피는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을 도포처리하여 전자파 및 정전기발생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온수 이불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온수 이불 중 보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온수 이불 중 공급관 및 분기관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온수 이불 중 이불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 구성 및 작용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 온수 이불을 나타낸 전체 구성도로써,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 일단에 형성되어 회수관을 통하여 회수된 물을 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보일러부(100)가 형성된다.
상기 보일러부(100)에 형성되어 물을 분기관으로 공급하는 공급관(310)과, 상기 공급관(310)에 형성되어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340)을 다수의 갈래로 분기되도록 하는 제1,2 분기관(320,330)과, 상기 제1,2 분기관(320, 330)의 일단에 연결되는 순환관(340)과, 상기 순환관(340)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수관(370)과 연결시키는 제3,4 분기관(350,360)과, 일단은 상기 제3,4 분기관(350,360)과 타단은 보일러에 연결되는 회수관(370)으로 이루어지는 온수공급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온수공급부(300) 외측으로는 내측에 실리콘층이 형성된 내피(510)와 외측에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이 도포처리된 외피(530)로 구성된 이불부(500)가 형성된다.
상기 보일러부(100)는 이불부(5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물을 공급하는 주입구(111)가 형성된 물탱크(110)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110)의 일단에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전원(131)을 인가받아 가열하는 히터(130)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130)의 일측에는 순환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15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맞추면 히터가 순환수를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가열하여 모터(113)을 통하여 순환시키게 된다.
이때 온도조절기(150)는 다이얼식, 버튼식 등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기(150)의 일측에는 순환하는 순환수의 온도를 감지하며, 온도조절기(150)의 명령에 의해 히터(130)를 가동시켜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하는 온도감지센서(170)가 형성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170) 일단에 순환수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보다 과열되면 히터의 가동을 멈추는 안전장치(190)가 형성된다.
상기 온수공급부(300)는 상기 보일러부(100) 중 히터(130)의 일단에 체결되어 순환관(240)으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3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관(310)의 일단에는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340)을 다수의 갈래로 분기되도록 하는 제1,2 분기관(320,3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 분기관(320, 330)의 일단에 순환관(340)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2 분기관(320,330)은 "Y"형으로 1개의 공급관에 2개의 분기관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1개의 공급관을 통하여 4개의 순환관(340)으로 순환수가 공급되어 이불부에 배치되므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순환수를 공급하여 빠르게 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순환관(340)의 일단에 회수관(370)과 연결시키는 상기 제3,4 분기관(350,360)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제3,4 분기관(350,360)도 "Y"형상으로 제3,4 분기관(350,360) 일단에는 각각에 2개의 순환관이 타단에는 1개의 회수관이 연결되어 순환된 순환수가 제3,4 분기관(350,360)을 통하여 회수관(370)으로 회수되어 다시 물탱크로 회수된다.
이에 따라 순환수가 바르게 회수되므로 순환수의 온도변화가 적어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불부(500)는 상기 온수공급부(300) 외측으로는 내측에 실리콘층이 형성된 내피(510)와 외측에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이 도포처리된 외피(530)로 구성된다.
상기 내피(510)는 온수공급부(300) 외측 상하부에 배치되되, 내측 각각에 실리콘층(511이 형성되어 순환관이 파손되어 순환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열융착 또는 고주파융착으로 내피를 접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외피(530)는 내피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시트부재(531)와, 패턴형전도층(533), 실리콘층(5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부재(531)는 부직포, 압축견면 등의 합성섬유 또는 명주, 한지, 마 등의 천연섬유, 기타 합성수지, 인조피혁 등으로 이루어진 얇은 평면구조의 시트원단을 그 종류에 구애받음 없이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한 소재를 택일하여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시트부재(531)는 나노입자크기로 가공된 황화동과 난연재 그리고 카올린용액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항미생조성물질에 침지하여 그 표면과, 내면 전면에 걸쳐 함침되도록하는 게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시트부재(531) 표면과 내면 전면에 걸쳐 함침된 항미생조성물질에 있어, 상기 황화동은 주지된 바와 같이, 인체 및 생활환경에 무해한 안전성 물질로서, 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유해균 박멸기능, 인체에 유해한 전자판 차단기능, 악취를 없애는 소취기능은 물론, 조류인플루엔자 억제기능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작용을 행하는 물질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황화동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황화동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즉, 황화수소와 유기용매를 적용한 제조방법 또는 황화수소와 수계용매를 적용한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해 5nm ~ 10nm 입자크기로 추출된 황화동 나노입자 원료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시트부재(531) 표면과 내면 전면에 걸쳐 함침된 항미생조성물질에 있어, 상기 난연재는 화재발생시 불꽃의 전파를 지연 및 단절시키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통상의 물질로서, 이는 크게 참가형 난연재와 반응형 난연재로 분리된다.
이에, 본 발명은 5nm ~ 10nm 입자크기로 가공된 첨가형 난연재를 주로 이용함이 바람직하며, 부연적 설명으로, 첨가형 난연재의 종류로는 수산화알미늄, 산화안티몬, 수산화마그네슘과 같은 무기계 난연재가 있고, 기타로 할로겐계 난연재, 인게 난연재 등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재(531) 표면과 내면 전면에 걸쳐 함침된 항미생 조성물에 있어, 상기 카올린은 천연점토광물 즉, 규산염광물로부터 생산되는 함수규산알루미늄으로, 이는 백색 또는 유백색의 분말형태로 취하고, 화화식은 Al2Si2O(OH)4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올린은 촉감이 미끌미끌하고, 다량의 음이온과 양자에너지, 원적외선 방출기능에 의해 항균, 제습, 탈취는 물론 정화작용과 제독작용 등에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카올린은 본 발명에서는 5nm ~ 10nm 입자크기로 가공된 미세분말형태에서 정수에 투입하여 용해시킨 카올린용액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의 외피(530)를 이루는 패턴형전도층(533)은 전술한 항미생조성물질이 함침처리된 시트부재(531) 표면 전면에 유해전류 즉, 정전기 및 전자파를 대전방지 및 도전성 기능에 의해 유도하여 지면으로 흘려보내기 위해 마련되는 요지구성인 것이다.
상기 패턴형전도층(533)은 슝기트분말과, 귀사문석분말과, 포졸란분말과, 탈크분말과, 천연바인딩을 첨가하여 혼합조성한 대전방지코팅조성물을 형성한 후 스프레이 증착방식에 의해 시트부재(531) 표면에 다양한 장식적 문양의 패턴으로 도포처리하여 형성한다.
이때 패턴형전도층(533)을 형성하는 대전방지코팅조성물의 조성비는 슝기트분말 40 ~ 60%의 중량비율, 귀사문석분말 30 ~ 40%의 중량비율, 포졸란분말 5 ~ 10%의 중량비율, 탈크분말 5 ~ 10%의 중량비율로 혼합조성하여 기초분발혼합재를 형성한 후 천연바인딩을 5:5의 비율로 더 첨가 혼합하여 조성한다.
이때 패턴형전도층(533)을 형성하는 대전방지코팅조성물에 있어, 상기 슝기트는 30 ~ 40%의 탄소와, 60 ~ 70%의 규산염이 함유된 유일한 천연나노구조의 복합광물로써, 상기 슝기트광물에는 인체에 유익한 20여 가지 이상의 미량원소가 포함되어 있고, 천연산화방지재로 질병에 대해 연역성을 높여주는 기능이 있으며, 그 외에 물과 공기를 전화시키는 흡착기능, 우착유기물질을 분해하는 촉매기능, 유해전자기파의 흡수 및 차폐기능, 그리고 방사선의 중화 및 흡수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의 특성을 갖는바, 이러한 슝기트는 5 ~ 50μm 이하 분말로 가공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형전도층(533)을 형성하는 대전방지코팅조성물에 있어, 상기 귀사문석은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칼슘, 철분, 규소 등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이 내포되어 있는 천연의 기석으로, 93.8%에 이르는 원적외선 방사율과, 97.5%에 이르는 세균억제력, 95.6%에 이르는 소취(탈취)기능을 갖으며, 특히, 수맥파(지전류) 및 전자파 등을 중화시켜 인체를 보호하는 용도로 널리 이용되는 물질특성을 갖는바, 이러한 귀사문석은 5 ~ 50μm 이하의 분말입자로 가공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턴형전도층(533)을 형성하는 대전방지코팅조성물에 있어, 상기 포졸란은 강요성 및 규산성분으로, 수경성은 아니지만 물에 의하여 수산화칼슘과 화합하면 경화는 반응(포졸란 반응)을 나타내는 규산질미립분의 총칭으로서, 이는 크게 규조토, 규산백토, 응회암, 화산재 등과 같은 천연광물로 채취되는 포졸란과,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소성점토 등과 같은 인공포졸란으로 그 종류가 구분되는 것이고, 이러한, 포졸란은 다량의 원적외선 및 음이온발생 작용에 의해 탈취, 살균, 공팡이제거 등의 기능으로, 각종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되는 것인바, 이에 포졸란은 5 ~ 50μm 이하의 분말입자로 가공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턴형전도층(533)을 형성하는 대전방지코팅조성물에 있어, 상기 탈크는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암석으로 색깔은 백색, 은백색, 담녹색 등이 있으며, 그 용도는 아트지를 가공할 때의 재료가 되거나 고무, 의약, 도금, 살충제, 난연재, 충전제, 화장품, 보온용 내화제 등 아주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규산마그네슘의 수화 등의 광물인바, 이러한 천연 광물성 탈크를 5 ~ 50μm 이하의 분말입자로 가공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턴형전도층(533)을 형성하는 대전방지코팅조성물에 있어, 상기 `천연바인딩은 패턴형전도층(533)을 형성하는 대전방지코팅조성물에 접착 고정력을 부여하기 위한 일종의 코팅응고제, 즉, 시트부재(531)로 형성되는 패턴형전도층(533)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코팅(도포) 처리될 수 있도록 한 코팅접착 수단인바, 이와 같은 천연바인딩은 해양에 서식하는 갈조식물류, 즉, 미역, 다시마, 곤치, 녹미채, 감태, 대황, 모자방 등 다양한 종류의 해초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택일하여 채취하고, 그 채취된 해초를 100℃ 이상 고온의 온수에 투입하여 온수가 증발될 때까지 지속적인 가열을 통해 해초를 걸죽한 액상체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트부재를 이용하면, 시트부재에 도포된 패턴형전도층(533)의 물질특성에 따른 대전방지 및 도전성 기능에 의해 유해전류 및 전자파, 정전기를 감쇄시키게 된다.
상기 실리콘층(535)은 순환관이 파손되어 순환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열융착 또는 고주파융착으로 외피를 내피에 접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내피를 제외하고 외피만을 배치할 수 있다.
이하, 본원발명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물탱크에 물을 공급하여 전원을 공급하면 히터가 물을 가열하고, 모터가 가열된 가열수를 공급관으로 공급한다.
이때 온도조절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온도를 맞춘다.
모터에 의해 가열수를 공급받은 공급관은 일단에 구비된 제1,2 분기관을 통하여 순환관으로 가열수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Y"형으로 형성된 제1,2 분기관은 1개의 공급관에 2개의 순화관이 연결되어 1개의 공급관을 통하여 4개의 순환관으로 가열수가 공급되어 이불부에 배치되므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순환수를 공급하여 빠르게 난방할 수 있게 된다.
순환관을 순환한 순환수는 "Y"형상으로 형성된 제3,4 분기관 일단 각각에 연결된 1개의 회수관을 통하여 회수되어 물탱크로 회수됨에 따라 순환수가 바르게 회수되므로 순환수의 온도변화를 적게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100 : 보일러부 110 : 물탱크
130 : 히터 150 : 온도조절기
170 : 온도감지센서 190 : 안전장치
300 : 온수공급부 310 : 공급관
320, 330 : 제1,2 분기관 340 : 순환관
350, 360 : 제3,4 분기관 370 : 회수관
500 : 이불부 510 : 내피
511 : 535 : 실리콘층
530 : 외피 531 : 시트부재
533 : 패턴형전도층

Claims (6)

  1.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일단에 형성되어 회수관을 통하여 회수된 물을 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보일러부와;
    상기 보일러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을 다수의 갈래로 분기되도록 하는 제1,2 분기관과, 상기 제1,2 분기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수관과 연결시키는 제3,4 분기관과, 일단은 상기 제3,4 분기관과 타단은 보일러에 연결되는 회수관으로 이루어지는 온수공급부와;
    상기 온수공급부 외측으로는 내측에 실리콘층이 형성된 내피와, 외측에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이 도포처리된 외피로 구성된 이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이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부는 물이 공급되는 주입구가 형성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일단에 형성되어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일측에 순환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와;
    상기 온도조절기의 일측에 형성되어 순환하는 순환수의 온도를 감지하며, 온도조절기의 명령에 의해 히터를 가동시켜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온도감지센서 일단에 형성되어 온도가 과열되면 히터의 가동을 멈추는 안전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이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부는 상기 보일러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분기관으로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일단에 형성되어 온수가 순환되는 순환관을 다수의 갈래로 분기되도록 하는 제1,2 분기관과;
    상기 제1,2 분기관에 연결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에 연결되어 회수관과 연결시키는 상기 제3,4 분기관과;
    일단은 상기 제3,4 분기관과 타단은 보일러에 연결되는 회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비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분기관은 "Y"형으로 1개의 공급관에 2개의 순화관이 연결되어 1개의 공급관을 통하여 4개의 순환관으로 순환수가 공급되어 이불부에 배치되므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순환수를 공급하여 빠르게 난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3,4 분기관은 "Y"형상으로 일단 각각에 2개의 순환관이 타단에는 1개의 회수관이 연결되어 순환된 순환수가 제3,4 분기관을 통하여 회수관으로 회수되어 순환수가 바르게 회수되므로 순환수의 온도변화를 적게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이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불부는 상기 온수공급부 외측으로는 내측에 실리콘층이 형성된 내피와, 외측에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이 도포처리된 외피로 구성되되, 상기 내피는 온수공급부 외측 상하부에 배치되되, 내측 각각에 실리콘층이 형성되어 순환관이 파손되어 순환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열융착 또는 고주파융착으로 내피를 접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외피는 내피 각각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시트부재와, 패턴형전도층과, 실리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직물, 합성수지, 인조피혁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시트원단에 나노입자크기의 황화동과 난연재, 카올린용액이 혼합된 항미조성물질이 함침 처리된 시트부재와;
    상기 항미조성물질이 함침 처리된 시트부재 표면 전면에 슝기트분말과, 귀사문분말과, 포졸란분말과, 탈크분말과, 천연바인딩을 첨가하여 혼합조성한 대전방지 코팅조성물을 스프레이 증착방식을 통하여 장식문양의 패턴을 도포처리하여 유해전류를 감쇄하도록 한 패턴전도층과;
    순환관이 파손되어 순환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열융착 또는 고주파융착으로 외피를 내피에 접착할 수 있도록 한 실리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이블.
KR1020180091179A 2018-08-06 2018-08-06 온수 이불 KR10210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179A KR102100206B1 (ko) 2018-08-06 2018-08-06 온수 이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179A KR102100206B1 (ko) 2018-08-06 2018-08-06 온수 이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012A true KR20200016012A (ko) 2020-02-14
KR102100206B1 KR102100206B1 (ko) 2020-05-15

Family

ID=6951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179A KR102100206B1 (ko) 2018-08-06 2018-08-06 온수 이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2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418B1 (ko) 2001-12-10 2003-12-31 정용범 침대용 물순환 매트리스
KR20130001432U (ko) * 2011-08-23 2013-03-06 김광현 해열 기능을 갖는 보냉 베개
KR101453916B1 (ko) * 2014-03-20 2014-10-23 주식회사 동양이지텍 메쉬형 사계절 냉온수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418B1 (ko) 2001-12-10 2003-12-31 정용범 침대용 물순환 매트리스
KR20130001432U (ko) * 2011-08-23 2013-03-06 김광현 해열 기능을 갖는 보냉 베개
KR101453916B1 (ko) * 2014-03-20 2014-10-23 주식회사 동양이지텍 메쉬형 사계절 냉온수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206B1 (ko) 202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820Y1 (ko) 건강 기능성 침구류
KR20080023714A (ko) 기능성 목 밴드
US20070180599A1 (en) Leather belt
KR102100206B1 (ko) 온수 이불
CN204918944U (zh) 抗菌面料
CN204888835U (zh) 一种抗菌面料
KR20140011811A (ko) 사우나 바닥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한 사우나 구조
KR102401933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다기능 온열자극 경피패치 및 그 경피패치 제조방법
KR101703479B1 (ko) 페그마타이트 등을 포함한 직물발열체, 난방커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768814B (zh) 一种竹炭纤维保温地毯
KR20200008248A (ko) 이동식 다용도 개인 룸
CN201342072Y (zh) 电气石汗蒸房
KR20150001506A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특성이 우수한 면상 발열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면상 발열 시트
CN201929484U (zh) 一种能量温疗宝石床垫
KR101110322B1 (ko)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코튼스프레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1128147B1 (ko) 황토석 - 편백나무제 침구속재
KR100460715B1 (ko) 항균효과를 갖는 천연피혁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91816A (ko) 물 침대용 매트리스 원단
KR200291627Y1 (ko)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KR102009715B1 (ko) 견운모를 이용한 원적외선 방사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56366A (ko) 옥을 함유한 난방필름
KR19990038020U (ko) 황토를 이용한 전기 매트
KR101061929B1 (ko) 흙 침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03122A (ko) 참옻 발효진액을 함유하는 온열침대용 한지마감 참숯판재
KR100462566B1 (ko) 숯함유 유연성부재를 위한 숯도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