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331A -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331A
KR20200015331A KR1020180091011A KR20180091011A KR20200015331A KR 20200015331 A KR20200015331 A KR 20200015331A KR 1020180091011 A KR1020180091011 A KR 1020180091011A KR 20180091011 A KR20180091011 A KR 20180091011A KR 20200015331 A KR20200015331 A KR 20200015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water
vertical
plant cultivation
cultiv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기
Original Assignee
박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기 filed Critical 박선기
Priority to KR1020180091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5331A/ko
Publication of KR20200015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00Preparation of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except carbon dioxi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물선 아치 지지 구조가 다수의 수평으로 배치된 빔에 의해 상호 연결된 지붕틀 기반 구조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부와; 상기 지지 구조부의 하단부를 따라 배열된 바이오 매트, 바이오 매트 및 활성탄 필터가 적층된 조립체를 포함하는 바이오 매트부와; 폐루프 순환 물 공급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 구조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으로 지지 구조의 상단부를 따라 배열되고, 수원의 이전인 바이오-매트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한 물 공급부와; 전원을 상기 물 공급부에 제공하는 1 이상의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물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이 바이오 매트부를 지나서 식물에게 공급되고 다시 남은 물을 여과하여 물고기를 키울 수 있는 양어조;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식물, 어류 및 기타 유사한 유기체를 동시에 키울 수 있으며, 양어조에서 나온 배출물을 식물의 먹이로 변환시키고, 그런 다음 전체 시스템은 깨끗한 물을 다시 양어조로 돌려보내어 물을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Vertical aqua phonics plant cultivation system}
본 발명은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을 수직으로 재배하고 어류를 함께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방식의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경작 가능한 땅과 신선한 물에 대한 접근은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그러한 지역들은 전형적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사람들의 제한된 능력과 종종 혹독한 환경 조건을 감안할 때 매우 낮은 생활 수준으로 고통을 받는다.
경작 가능한 토지와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에서도 증가하는 조건이나 계절적인 토지 제약으로 인해 효율적인 식량 성장은 어려울 수 있다. 모든 식량 성장 환경에서 잡초, 해충, 해충, 곤충 및 다른 기생 생물의 존재는 지속적인 위협이다.
기후, 토양 조건, 그리고 다른 요소들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특정 지역에서 재배될 수 있는 농작물의 유형을 제한한다. 온실의 출현은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특정 작물의 재배를 가능하게 했고, 보통은 최적의 작물이 아닐 때도 있었다. 그러나 온실은 일반적으로 값 비싼 재료를 이용하는 대규모의 광범위한 구조물로서 운영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소규모 온실도 개발되었지만 이 구조물들은 종종 비싸고 복잡하고 무거운 유리 패널에 의존한다. 이것은 가난한 지역과 개발 도상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성과 적용성을 제한한다. 온실 시스템과 관련된 또 다른 단점은 그들이 여전히 상당한 양의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물, 토양 영양소, 공간을 거의 요구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요한 것은 경작지와 신선한 물에 접근이 제한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을 제공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양한 식물 성장 및 대체 에너지 장치를 지원하고 통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어류 및 기타 유사한 유기체를 키울 수 있는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생물학적으로 활성화된 매트와 필터 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생물학적 필터 시스템과 양식, 수경재배, 태양광, 바람 및 배터리 기술을 결합한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태양이나 바람에 노출된 모든 지역에 설치할 수 있는 자급식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은 포물선 아치 지지 구조가 다수의 수평으로 배치된 빔에 의해 상호 연결된 지붕틀 기반 구조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부와; 상기 지지 구조부의 하단부를 따라 배열된 바이오 매트, 바이오 매트 및 활성탄 필터가 적층된 조립체를 포함하는 바이오 매트부와; 폐루프 순환 물 공급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 구조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으로 지지 구조의 상단부를 따라 배열되고, 수원의 이전인 바이오-매트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한 물 공급부와; 전원을 상기 물 공급부에 제공하는 1 이상의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물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이 바이오 매트부를 지나서 식물에게 공급되고 다시 남은 물을 여과하여 물고기를 키울 수 있는 양어조;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은 1 이상의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전원 생성 소자가 지지 구조의 상단부를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의 지지 구조부는 강철, 알루미늄, 플라스틱, 목재, 대나무와 카본 화이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의 바이오 매트부는 그 위에 시딩된 플랜트가 대사 작용을 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암모니아를 니트라이트로 변환시키고 그리고 나서, 니트라이트를 질산염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유익균으로 접종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의 물 공급부는 수조로부터 바이오 매트부까지 통과하는 물을 수집하기 위한 관개 집수 배관부와; 물을 재순환하기 위해 구성된 펌프와 배수 설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은 바람 속도, 풍향, 대기 온도, 기압 압력 그리고 습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정한 환경 조건을 측정하는 장치를 포함한 상기 지지 구조부에 연결된 제 1 마스트에 장착된 기상측정부;와 상기 지지 구조부에 연결된 제 2 마스트에 장착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의 전원 공급부는 풍력터빈, 수류형 수차, 태양광 패널, AC 전원, 인력 제너레이터, 배터리와 연료 전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은 수평 표면 위의 지지 구조의 독립 구조를 허용하기 위한 상기 지지 구조부에 연결된 기초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은 세로 표면 위의 지지 구조의 마운팅을 허용하기 위한 상기 지지 구조부에 연결된 수직 장착 부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어류 및 기타 유사한 유기체를 동시에 키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고기가 있는 경우, 시스템은 양어조에서 나온 배출물을 식물의 먹이로 변환시키고, 그런 다음 전체 시스템은 깨끗한 물을 다시 양어조로 돌려보내어 물을 최소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의 전체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의 포물선 아치형 트러스 비계, 풍력터빈의 상세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비계 구조의 상세한 후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 대한 생물학적 필터 시스템의 상세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으로 식물을 성장시킨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 기반한 파일 기반의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의 포물선 아치형 트러스 비계, 풍력터빈의 상세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비계 구조의 상세한 후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 대한 생물학적 필터 시스템의 상세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으로 식물을 성장시킨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 기반한 파일 기반의 프로세스의 흐름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의 전체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은 지지 구조부, 바이오 매트부, 물 공급부, 전원 공급부, 태양광 패널부, 기상측정부 및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부(10)는 포물선형 또는 기타 형태의 비계로 구성된다. 도면과 같이 두 세트의 포물선형 비계 구조물은 일정한 거리로 분리되어 일련의 수평 빔을 통해 함께 결합된다. 비계의 분리 거리와 높이는 일반적으로 수직형 식물재배시스템의 크기를 규정하며, 이것은 요구와 크기 구속 조건에 따라 많은 다른 치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구조부(10)에는 전원 생성을 위한 발전 시스템, 발전기 및 발전소 관리 유닛과 특정 통신 장비가 부착된다. 즉, 기본적으로 풍력 터빈(17), 통신탑(18), 풍력 터빈(17)을 지지하기 위해 2개의 수직축(21,22)을 부착한 태양광 패널(16)과 전기 저장 뱅크(12)는 양어조 펌프와 자외선(UV)필터 시스템에 전력을 공급한다. 펌프 및 필터 시스템에 대한 세부 사항은 아래에 자세히 설명된 도 3 및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나와 있다.
도 1은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 있어 31개의 식물이 활발히 성장하는 구조를 보여 준다.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는 양어조(20) 안의 물고기들이 자라는 것으로 보여진다.
기상측정부(19)는 특정한 기상환경 조건을 측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는 풍속, 풍향, 기온, 습도, 기압 및 기타 관련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탑(18)은 무선 안테나 또는 기타 통신 장치와 GPS(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장치와 같은 다른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은 생물학적으로 활성화된 매트와 필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생물학적 필터 시스템과 양식업 및 수경 재배 기술을 결합하고 있다. 지지 구조부(10)의 포물선형 비계 위에 중앙에 위치한 것은 상당히 수직인 수경 재배 시스템이다. 하나의 구현에서 31개의 식물이 일련의 수직 세트, 식물이 심어졌고, 여기에는 바이오 매트(38,39) 및 활성탄 필터(4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오 매트(38,39) 및 활성탄 필터(40)는 섬유 바이오 매트 기질을 석재, 유리 또는 벽돌 조각 또는 그 조합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에 공급되는 물은 바이오 매트(38,39)와 활성탄 필터(40)를 통해 재활용되며, 이는 식물과 결합하여 질소를 생성하는 박테리아 배양으로 접종된다.
상부 관개 탱크(37)의 물은 방출구멍을 통해 방출하고, 관개 분배 헤드 및 침전 필터(44)를 통과하여 자유롭게 떠다니는 박테리아, 기생충, 조류를 제거하고 식물에게 공급하게 된다. 식물에게 공급하고 남은 물은 수조(35)에 수집된 후 배출관(24)을 통해 양어조(20)로 돌아온다. 양어조(20)로 돌아온 물은 물고기에게 해로운 물질이 없고 동시에 물고기들에게 먹이를 제공한다. 이러한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 한번 공급된 물은 연속 재순환 루프에 의해서 순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구조부(10)는 풍력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 터빈(17)을 지지한다. 이 전력은 전압 조절기(15)로 전송된 다음 전기 저장 뱅크(12)로 전송된다. 지지 구조부(10)는 또한 하나 이상의 태양 전지판을 지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풍력 터빈(17) 및 태양광 패널(16)에서 발생하는 전력은 전기 저장 뱅크(12)에 저장되며, 배터리 뱅크 또는 유사한 저장 장치(예:콘덴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이 시스템은 가능한 경우 기존 AC 전원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어조(20)의 구성 및 배치, 전기 저장 뱅크(12), 전력 마력기어 회로, 재순환 펌프 하우징(29)을 나타내며, 식물재배시스템의 포물선형 비계의 후면 프레임에 부착된 것은 파워 인버터와 관리 유닛(13), 통신 시스템(14), 전압 조절기(15) 및 풍속계(27)이다. 모든 전기 장치는 전원 제어를 위해 배선기(30)에 배선된다. 전력은 전원 및 전기 장치에서 전원 케이블(49)을 통해 전기 저장 뱅크(12)로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은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체 포물선형 비계를 강철 기초 브레이스(26)에 설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비계 기둥은 영구 또는 반 영구적인 전개를 위한 콘크리트 또는 동등한 기초에 설치된다. 추가적인 대안 구현에서, 이동식 또는 임시 배치를 위한 바퀴 또는 이동 팔레트에 비계 구조를 배치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양어조(20)는 해충이 양어조(20)에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가드나 다른 종류의 뚜껑(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28)는 지지 구조부(10)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 대한 생물학적 필터 시스템의 상세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사람의 음식 공급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고기는 양어조(20)에서 사육된다. 양어조(20)의 물은 물고기, 죽은 식물, 먹지 않은 물고기 사료, 그리고 다른 생물학적 잔류물로부터 쓰레기를 모은다. 이것들은 암모니아, 니트라이트 그리고 질소를 포함하는 물의 영양소 부하의 일부로 통과된다. 물과 용해 가능한 쓰레기와 고체 폐기물은 모두 양어조 바닥에서 빨려 올라가 생물학적 필터 시스템을 통해 재활용된다. 구체적으로 생물학적 필터 시스템은 식물이 자라는 바이오 매트(38,39) 및 활성탄 필터(40)로 구성될 수 있다. 물은 식물 섬유와 활성 탄소로 구성된 매트가 될 수 있는 바이오 매트(38,39) 및 활성탄 필터(40) 세트를 통해 흘러내린다. 생물학적 매트는 물과 컨베이어의 암모니아 및 니트로사이드를 분해할 목적으로 유익한 박테리아 및 영양소(예:니트로바시리아 및 니트로사민)로 접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순환 펌프(34)에 의해 양어조(20)에서 양어조 물 흡입구(33)를 통과한다. 물은 튜브(42)를 통해 공급되며, 이는 수경재배 시스템을 위한 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외선 여과기/멸균 장치(35)로 보내어 진다. 그런 다음 상부 관개 탱크(37)를 통해 물이 역류 파이프에서 공급된다. 이후 식물 섬유 바이오 매트(38), 2차 식물 섬유 바이오 매트(39)를 통과해 활성탄 필터(40)를 활성화했다. 그 다음에 물은 상부 관개 탱크(37)를 통해 흐르고 배수관(24)에서 나온 물은 다시 양어조(20)로 흘러들어간다.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 매트(38,39) 및 활성탄 필터(40)는 샌드위치 어레이에 배치된 동일한 크기의 구성 요소와 마찬가지로 세 개의 분리된 매트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물학적 필터 시스템은 구성과 필요에 따라 적절한 크기, 형태 및 재료의 매트 및/또는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실제 바이오 매트 수(예:1-4)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활성탄 필터(40)는 하나 이상의 매트에 분리되거나 통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으로 식물을 성장시킨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식물(45)은 식물 섬유 또는 바이오 매트(38,39)에 수직으로 심는다. 식물은 첫 번째 바이오 매트(38)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되고, 뿌리는 두 번째 바이오 매트(39)를 통과해서 자라며, 세 번째 활성탄 필터(40)로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탄 필터(40)는 물 공급을 여과하고, 식물 뿌리에 탄소 영양소를 첨가한다. 바이오 매트(38,39)와 활성탄 필터(40) 및 식물의 뿌리(46)를 통과한 후에, 물은 수조(35)에 모아지고 배출 파이프를 통해 양어조(20)로 돌아간다. 수조(35)에 있는 재순환 펌프(35)는 폐루프에서 물이 순환할 수 있도록 급수를 다시 공급한다. 구현에서 배출 파이프(24)의 물은 상부 관개 저장소(37) 내에 폐기되는 관개 분배 헤드 및 침전 필터(44)를 통과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에 기반한 파일 기반의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양어조(64))와 수직형 수경재배(62) 사이를 흐르는 폐쇄 루프 과정을 보여 준다. 이 과정에서, 양어조(64)에서 펌프(66)를 거쳐 생물학적 필터(68)로 물이 펌핑된다. 그리고 나서 물은 침전 탱크로 전달되고 자외선 멸균장치(72)를 통해 급수탱크 및 펌프(70)로 펌프질된다. 수직형 수경재배(62)의 물도 자외선 멸균장치(72)를 통과해 양어조(62)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은 물은 성장하는 바이오 매트와 생물학적 필터를 통해 재활용할 수 있으며, 식물의 뿌리와 함께 질소를 만드는 박테리아 배양으로 예방 접종이 가능하며, 암모니아, 니트라이트, 니트라이트를 금속화하여 질소 폐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지지 구조부 12. 전기 저장 탱크
13. 파워 인버터와 관리 유닛 14. 통신 시스템
15. 전압 조절기 17. 풍력터빈
18. 통신탑 19. 기상측정부
20. 양어조 21. 수직축
23. 뚜껑 24. 배출관
26. 기초 베이스 27. 풍속계
28. 받침대 29. 재순환 펌핑 시스템
30. 배선기 33. 양어조 물 흡입구
34. 재순환 펌프 35. 자외선 멸균장치
37. 상부 관개 탱크 38,39. 바이오 매트
40. 활성탄 필터 49. 전원케이블

Claims (9)

  1. 포물선 아치 지지 구조가 다수의 수평으로 배치된 빔에 의해 상호 연결된 지붕틀 기반 구조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부와;
    상기 지지 구조부의 하단부를 따라 배열된 바이오 매트, 바이오 매트 및 활성탄 필터가 적층된 조립체를 포함하는 바이오 매트부와;
    폐루프 순환 물 공급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 구조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으로 지지 구조의 상단부를 따라 배열되고, 수원의 이전인 바이오-매트에 물을 유동시키기 위한 물 공급부와;
    전원을 상기 물 공급부에 제공하는 1 이상의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물 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물이 바이오 매트부를 지나서 식물에게 공급되고 다시 남은 물을 여과하여 물고기를 키울 수 있는 양어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1 이상의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전원 생성 소자가 지지 구조의 상단부를 따라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부는
    강철, 알루미늄, 플라스틱, 목재, 대나무와 카본 화이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재료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매트부는
    그 위에 시딩된 플랜트가 대사 작용을 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암모니아를 니트라이트로 변환시키고 그리고 나서, 니트라이트를 질산염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유익균으로 접종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는
    수조로부터 바이오 매트부까지 통과하는 물을 수집하기 위한 관개 집수 배관부와;
    물을 재순환하기 위해 구성된 펌프와 배수 설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바람 속도, 풍향, 대기 온도, 기압 압력 그리고 습도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일정한 환경 조건을 측정하는 장치를 포함한 상기 지지 구조부에 연결된 제 1 마스트에 장착된 기상측정부;와
    상기 지지 구조부에 연결된 제 2 마스트에 장착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풍력터빈, 수류형 수차, 태양광 패널, AC 전원, 인력 제너레이터, 배터리와 연료 전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 표면 위의 지지 구조의 독립 구조를 허용하기 위한 상기 지지 구조부에 연결된 기초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세로 표면 위의 지지 구조의 마운팅을 허용하기 위한 상기 지지 구조부에 연결된 수직 장착 부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KR1020180091011A 2018-08-04 2018-08-04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KR20200015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11A KR20200015331A (ko) 2018-08-04 2018-08-04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11A KR20200015331A (ko) 2018-08-04 2018-08-04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331A true KR20200015331A (ko) 2020-02-12

Family

ID=6956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011A KR20200015331A (ko) 2018-08-04 2018-08-04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53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3874A (zh) * 2022-06-28 2022-07-29 海南大学三亚南繁研究院 一种智能控制的清洁能源立体种植设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3874A (zh) * 2022-06-28 2022-07-29 海南大学三亚南繁研究院 一种智能控制的清洁能源立体种植设施
CN114793874B (zh) * 2022-06-28 2022-09-13 海南大学三亚南繁研究院 一种智能控制的清洁能源立体种植设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391B1 (en) Vertical aquaponic micro farm
Gorjian et al. On-farm applications of solar PV systems
US8950111B2 (en) Device for fixing biomass-based solar heat and carbon dioxide gas, and house equipped with same fixing device
CN102223942B (zh) 用于处理支持光合作用的废气,特别是co2的方法和设备
CN107114152B (zh) 一种滨海盐渍土地区台田浅池-温室系统及其应用
CN207016562U (zh) 一种曝气式生态浮床系统
CN206735912U (zh) 一种多功能生态浮岛装置
KR101161308B1 (ko) 태양전지 패널을 이용하는 조립 가변형 인삼밭 조립체
US20210328543A1 (en) Photovoltaic array and agricultural dual method of use: agrivoltaics
KR20200015331A (ko) 수직형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시스템
CN105198088A (zh) 一种景观净化钢结构树
DE102009008093B4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biomassegestützten Abgas-, insbesondere CO2-Entsorgung
US20230309460A1 (en) Agro-photovoltaic module
Deepthi et al. Integrated smart system for urban farming
CN104663307A (zh) 新型农业宜居生态系统
JP2003116381A (ja) 浮沈調整機能付き水面栽培浮床及び作物栽培システム
CN210746435U (zh) 多层次立体种植养殖复合大棚
CN2489578Y (zh) 双绿农牧机械化程控化生产棚室
CN100464626C (zh) 一种动植物温室养殖种植方法及装置
CN102257928A (zh) 一种水田
El Saeidy et al. EFFECTIVENESS OF APPLYING SOLAR ENERGY IN THE AQUAPONIC SYSTEM FOR SAVING ENERGY
KR101407638B1 (ko) 발효열을 이용한 온상설비
CN105104016A (zh) 一种光伏发电站种植铁皮石斛的设施和铁皮石斛种植方法
CN107494238B (zh) 一种网架平台式水上森林或花果园构建方法
CN109864018B (zh) 保温大棚池塘罗非鱼循环水高产高效养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