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055A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055A
KR20200015055A KR1020180090345A KR20180090345A KR20200015055A KR 20200015055 A KR20200015055 A KR 20200015055A KR 1020180090345 A KR1020180090345 A KR 1020180090345A KR 20180090345 A KR20180090345 A KR 20180090345A KR 20200015055 A KR20200015055 A KR 20200015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
attempt
network
communication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준
이지연
이장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0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5055A/ko
Priority to PCT/KR2019/008617 priority patent/WO2020027461A1/ko
Publication of KR2020001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1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구조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제2 SIM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구조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1 SIM, 및 상기 제2 SIM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SIM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EMERGENCY CALL IN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user equipment: UE)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해진 위치나 이동 중에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단말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인증 과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범용 집적 회로 카드)를 단말에 삽입하고, UICC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통해 단말과 통신 사업자(mobile network operator; MNO)의 서버간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UICC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방식의 경우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경우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로 불릴 수 있다.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서비스에 가입하면, 상기 통신 사업자는 사용자에게 UICC(예: SIM 카드 또는 USIM 카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 상기 제공받은 UICC를 삽입하면, 상기 UICC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USIM 어플리케이션이 그 UICC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값과 인증을 위한 암호키 값을 이용하여 동일한 값이 저장되어 있는 통신 사업자의 서버와 적절한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무선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두 개의 SIM을 지원하는 DSDS(dual SIM dual standby) 또는 DSDA(dual SIM dual active)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를 시도할 경우, 캠핑(camping)한 셀(cell)에 액세스(access)가 된 이상 통신 연결의 실패가 반복되더라도 동일한 셀에 대해서만 긴급 호를 반복하여 시도할 수 있다. 예컨대, DSDS 또는 DSDA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네트워크 내부의 문제가 있어서 일정기간 동안 긴급 호를 발신하지 못하는 상황이더라도 무선 신호(radio signal)가 정상적인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문제가 있는 네트워크로 반복하여 긴급 호를 시도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긴급 호 연결까지 시간이 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DSDS 또는 DSDA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가 가능한 네트워크에 신속하게 연결시켜 긴급 호 연결 확률을 높이고 긴급 호 연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또는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제1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구조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제2 SIM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구조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1 SIM, 및 상기 제2 SIM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SIM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제1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 및 제2 SIM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스토리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스토리지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제2 SIM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제2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은, DSDS 또는 DSDA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적은 횟수의 시도로도 긴급 호를 성공시키도록 함으로써 긴급 호의 성공 확률을 높이고 긴급 호 연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를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기지국 간의 RRC 접속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라는 표현은 적어도 둘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HMD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MD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 mounted device; HMD) 또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ed display; 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DSDS 또는 DSDA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또는 단말)에서 긴급 호가 가능한 네트워크에 신속하게 연결시켜 긴급 호 연결 확률을 높이고 긴급 호 연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자 장치를 단말로 지칭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지칭하는 단말은 전술한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특정 네트워크 유형으로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5 세대 통신 네트워크,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특정 노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 가입자 정보 관리 노드, 이동성 관리 노드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단말이 접속하여 가입자 인증 기능을 수행하는 HLR(home location register), AuC(authentication center)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인증 후에 접속하여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단말(UE)'은 이동국(MS), 터미널(terminal),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access terminal),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송수신 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태블릿,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웨어러블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계측기 등도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M2M(machine to machine) 단말,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특정 용어들은 무선 통신 관련 표준 문서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능들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상기 표준 문서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능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수행되는 기능들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를 위한 네트워크 환경(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는 전자 장치(101)(예컨대, 단말), 제1 통신 네트워크(121), 또는 제2 통신 네트워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하나의 장치에서 두 개의 SIM을 지원하는 DSDS(dual SIM dual standby) 또는 DSDA(dual SIM dual active) 전자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101)에는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의 두 개의 SIM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을 각각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제1 구조물(미도시) 및 제2 구조물(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SIM(111)은 제1 통신 네트워크(121)의 통신 사업자에 가입된 SIM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SIM(111)을 이용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121)에 접속함으로써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상기 제2 SIM(112)은 제2 통신 네트워크(122)의 통신 사업자에 가입된 SIM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제2 통신 네트워크(122)에 접속함으로써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터치 스크린)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가 제1 SIM(111)을 통해 제1 통신 네트워크(121)와 연결된 경우, 상기 긴급 호의 요청에 대한 처리는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121)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가 제2 SIM(112)을 통해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연결된 경우, 상기 긴급 호의 요청에 대한 처리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122)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SIM(111)을 통한 제1 통신 네트워크(121)와의 통신 시도가 실패할 경우, 상기 제2 SIM(112)을 통해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의 통신 시도를 수행함으로써 신속하게 긴급 호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두 개의 SIM을 사용하는 DSDS 및 DSDA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단일 SIM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이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물리적인 별도의 SIM을 구비하지 않고 임베디드 가입자 식별 모듈(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eSIM)이 내부에 배치된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또는 무선 통신 회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또는 무선 통신 회로(150)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예: 터치 스크린)는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하나의 장치에서 두 개의 SIM을 지원하는 DSDS(dual SIM dual standby) 또는 DSDA(dual SIM dual active) 전자 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101)에는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의 두 개의 SIM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을 각각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제1 구조물 및 제2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제1 SIM(111)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예: 도 1의 제1 통신 네트워크(121))와 제1 통신을 수립할 수 있으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예: 도 1의 제2 통신 네트워크(122))와 제2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예, app1(131a), app2(131b) 또는 phone app(131c))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131), 전화(telephony) 모듈(135) 또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모듈(136)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프레임 워크(132)와 라이브러리(133) 또는 커널(13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메모리(130)는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된 프로세서(12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또는 코드) 및 상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명령어 및 데이터가 상기 프로세서(120)로 로드(load)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상기 프로세서(120)는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SIM(111)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제1 네트워크(121)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150)를 통해 제2 네트워크(122)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300)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두 개의 SIM을 활용한 DSDS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DSDS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101)는 제1 SIM(111), 제2 SIM(112), 제1 SIM 인터페이스(321), 제2 SIM 인터페이스(322), SIM 스위치 컨트롤러(310), 무선 통신 회로(150),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130)는 제1 프로토콜 스택(331), 제2 프로토콜 스택(332), 또는 프로토콜 공통 데이터(340)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1 SIM(111) 및 상기 제2 SIM(112)는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150)를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각각 제1 SIM 인터페이스(321) 및 제2 SIM 인터페이스(322)를 통해 SIM 스위치 컨트롤러(3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SIM 스위치 컨트롤러(310)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제1 프로토콜 스택(331)을 이용하여 제1 SIM 모드로 동작할 경우 제1 SIM 인터페이스(321)로 스위칭되며, 상기 전자 장치(101)가 제2 프로토콜 스택(332)을 이용하여 제2 SIM 모드로 동작할 경우 제2 SIM 인터페이스(322)로 스위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DSDS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101)는 상기 SIM 스위치 컨트롤러(310)에 의해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150)를 사용하여 두 개의 네트워크(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를 등록 및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DSDS를 지원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네트워크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두 개의 SIM(111, 112)이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이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물리적인 별도의 SIM을 구비하지 않고 eSIM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메모리(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예: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는 DSDS를 지원하기 위해 음성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활성화 상태와 음성 및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지만 언제든지 활성화 상태로 천이 가능한 비활성화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150)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DSDS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가 동시에 활성화 될 수 없으므로, 전자 장치(101)는 페이징 채널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하여 경우에 따라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 간의 활성화를 스위칭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1)는 두 개의 SIM(111, 112)에 대한 각 인터페이스(321, 322)를 포함하며, 상기 두 인터페이스(321, 322) 간에 스위칭을 할 수 있는 SIM 스위치 컨트롤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SIM 스위치 컨트롤러(310)를 통해 하나의 무선 통신 회로(150)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150),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제1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11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구조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제2 SIM(11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구조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상기 무선 통신 회로(150), 상기 제1 SIM(111), 및 상기 제2 SIM(112)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12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130)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13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SIM(111)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제1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3 시점에서,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3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4 시점에서, 상기 제1 SIM(111)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2 시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2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수신된 RRC 접속 해제 메시지 내 실패 이유(cause)와 관련된 정보의 포함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실패 이유와 관련된 정보의 포함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1 SIM(111)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2 SIM(112)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가 동일한 가입자 네트워크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입자 네트워크가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시작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1 SIM(111)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2 SIM(112)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가 동일한 가입자 네트워크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입자 네트워크가 서로 상이하면,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 동작 없이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한 상기 이동 네트워크 검색이 완료되기 전, 상기 제1 SIM(111)을 이용한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의 수립이 성공되면,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한 상기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중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150),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제1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 및 제2 SIM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스토리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상기 무선 통신 회로(150), 및 상기 스토리지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0)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120)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130)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13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DSDS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101)에서 긴급 호를 시도할 경우, 캠프 온(camping on)을 한 셀(cell)에 액세스(access)가 되면,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해당 셀에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액세스된 셀에서 긴급 호 연결에 실패를 반복하더라도 동일한 셀에 긴급 호를 반복 시도할 수 있다.
각 전자 장치(101)에서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해 네트워크 접속을 시도할 경우, 하기 <표 1>과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확인하여 액세스 가능한 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systemInformationBlockType4)
cellAccessRestriction
cellBarred: notBarred (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cellBarred: notBarred (1)”에 의해 해당 셀을 긴급 호가 가능한 셀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내부의 문제가 있어서 전자 장치(101)가 일정기간 동안 긴급 호를 발신하지 못하는 상황이더라도 전자 장치(101)와 기지국 간에 무선 신호(radio signal)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1)는 하기 <표 2>의 예에서와 같이 문제가 있는 네트워크로 반복하여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NAS MM CM SERVICE REQUEST
RRC UL.CCCH rrcConnectionRequest establishmentCause: emergencyCall (9)
RRC DL.CCCH rrcConnectionSetup
RRC UL.DCCH rrcConnectionSetupComplete

RRC DL.DCCH rrcConnectionRelease
NAS MM CM SERVICE REQUEST
RRC UL.CCCH rrcConnectionRequest
RRC DL.CCCH rrcConnectionSetup
RRC UL.DCCH rrcConnectionSetupComplete
RRC DL.DCCH rrcConnectionRelease

NAS MM CM SERVICE REQUEST
RRC UL.CCCH rrcConnectionRequest
RRC DL.CCCH rrcConnectionSetup
RRC UL.DCCH rrcConnectionSetupComplete
RRC DL.DCCH rrcConnectionRelease
상기 <표 2>의 예를 참조하면, 긴급 호를 위한 RRC connection이 수행되고, cause 없이 네트워크에서 RRC connection release를 할 수 있다. 이후, 동일한 셀에서 긴급 호를 재 발신(redial)함으로써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하는 경우, 최종적으로 긴급 호가 실패 처리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를 재시도할 경우 동일한 SIM으로 동일한 동작이 반복되어, 긴급 호가 실패 처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와 기지국(102) 간의 RRC 접속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400)이다. 전자 장치(101)에서 capability의 초과로 네트워크 스턱(stuck)이 발생하여 RRC(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Release가 발생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102)으로 UE Capability Data를 PDU(protocol data unit) 단위로 분리하여 전송(401, 402, 403, 404, 430)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102)으로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RRC connec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410)할 수 있으며, 기지국(102)으로부터 RRC connection setup 메시지를 수신(420)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102)으로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메시지를 송신(440)할 수 있으며, 기지국(102)으로부터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수신(450)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1)는 CA(carrier aggregation)의 증가로 인하여 기지국(102)에 전달해야 할 UE Capability Data의 양이 길어지게 되며 이를 도시된 바와 같이 PDU 단위로 분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자 장치(101)와 기지국(102) 간의 지속적인 데이터 전송 및 ack/nack 응답으로 인하여 전자 장치(101)와 기지국(102) 간의 긴급 호를 위한 RRC connection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긴급 호 연결이 실패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500)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5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111)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성공할 경우 동작 550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동작 5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동작 540에서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제2 SIM(112)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작 540은, 상기 동작 530에서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600)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610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1 SIM(111)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SIM(111) 정보는 eSIM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성공할 경우 동작 650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동작 640에서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제2 SIM(112)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SIM(112) 정보는 eSIM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작 640은, 상기 동작 630에서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700)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710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111)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성공할 경우 동작 790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7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75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시도의 실패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 내에 포함된 cause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가 기지국과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송수신하는 메시지는 하기 <표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AS CM SERVICE REQUEST
RRC rrcConnectionRequestestablishmentCause:emergencyCall
RRC rrcConnectionSetup
RRC rrcConnectionSetupComplete

RRC rrcConnectionRelease
상기 <표 3>의 예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1 SIM(111)으로 긴급 호를 시도하여 실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101)는 기지국과 상기 제1 SIM(111)을 통해 긴급 호를 위한 RRC connection이 수행되고, cause 없이 네트워크에서 RRC connection release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작 740의 확인 결과 제1 SIM(111)의 네트워크 사업자와 제2 SIM(112)의 네트워크 사용자가 동일하고, 상기 동작 750의 확인 결과, 상기와 같이 cause 정보 없이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동작 76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limited camping)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SIM(112)은 풀 서비스(full service) 상태에 있는 상황이지만, 상기 제1 SIM(111)에 대응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긴급 호의 시도가 계속 실패할 경우, 제2 SIM(112)은 다른 네트워크로 캠프 온을 하여 긴급 호를 시도하는 것이 성공 확률이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2 SIM(112)을 통해 풀 서비스 상태를 제공해 주는 네트워크가 아닌 제한된 특정 서비스(예: 긴급 호 서비스)만 가능한 다른 네트워크에 캠프 온을 시도할 수 있다.
동작 770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동작 760의 제한된 캠프 온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PLMN 검색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한 PLMN 검색이 완료되면 제한된 캠프 온 통지(notific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동작 760에서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 요청 후, 상기 제2 SIM(112)에 의해 특정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기 전까지 내부적인 리다이얼(internal redial)로 계속하여 제1 SIM(111)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을 시도할 수 있다.
동작 78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SIM(111)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이 계속하여 실패하고, 상기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이 완료되면, 상기 제1 SIM(111)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을 중단하고, 제2 SIM(112)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800)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810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111)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성공할 경우 동작 880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8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85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시도의 실패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 내에 포함된 cause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가 기지국과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송수신하는 메시지는 도 7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작 840의 확인 결과 제1 SIM(111)의 네트워크 사업자와 제2 SIM(112)의 네트워크 사업자가 동일하고, 상기 동작 850의 확인 결과, 상기와 같이 cause 정보 없이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동작 86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limited camping)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SIM(112)은 풀 서비스(full service) 상태에 있는 상황이지만, 상기 제1 SIM(111)에 대응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긴급 호의 시도가 계속 실패할 경우, 제2 SIM(112)은 다른 네트워크로 캠프 온을 하여 긴급 호를 시도하는 것이 성공 확률이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2 SIM(112)을 통해 풀 서비스 상태를 제공해 주는 네트워크가 아닌 제한된 특정 서비스(예: 긴급 호 서비스)만 가능한 다른 네트워크에 캠프 온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동작 860의 제한된 캠프 온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PLMN 검색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한 PLMN 검색이 완료되면 제한된 캠프 온 통지(notific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동작 860에서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 요청 후, 상기 제2 SIM(112)에 의해 특정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기 전까지 내부적인 리다이얼(internal redial)로 계속하여 제1 SIM(111)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을 시도할 수 있다.
동작 87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SIM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SIM(111)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이 성공할 경우, 제2 SIM(112)에 대해 제한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에서 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네트워크로 캠프 온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업자 네트워크로 PLMN 검색을 시작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900)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910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111)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성공할 경우 동작 980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9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95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시도의 실패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 내에 포함된 cause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가 기지국과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송수신하는 메시지는 도 7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작 940의 확인 결과 제1 SIM(111)의 네트워크 사업자와 제2 SIM(112)의 네트워크 사업자가 동일하고, 상기 동작 950의 확인 결과, 상기와 같이 cause 정보 없이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동작 96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limited camping)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SIM(112)은 풀 서비스(full service) 상태에 있는 상황이지만, 상기 제1 SIM(111)에 대응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긴급 호의 시도가 계속 실패할 경우, 제2 SIM(112)은 다른 네트워크로 캠프 온을 하여 긴급 호를 시도하는 것이 성공 확률이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2 SIM(112)을 통해 풀 서비스 상태를 제공해 주는 네트워크가 아닌 제한된 특정 서비스(예: 긴급 호 서비스)만 가능한 다른 네트워크에 캠프 온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동작 960의 제한된 캠프 온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PLMN 검색을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한 PLMN 검색이 완료되면 제한된 캠프 온 통지(notific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동작 960에서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 요청 후, 상기 제2 SIM(112)에 의해 특정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기 전까지 내부적인 리다이얼(internal redial)로 계속하여 제1 SIM(111)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을 시도할 수 있다.
동작 97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이 완료되기 전, 상기 제1 SIM(111)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이 성공할 경우, 제2 SIM(112)에 대한 제한된 서비스 요청을 취소할 수 있다. 상기 요청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수행하던 PLMN 검색을 중단하고, 풀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사업자 네트워크에 계속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000)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1010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111)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10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작 1030의 확인 결과 제1 SIM(111)의 네트워크 사업자와 제2 SIM(112)의 네트워크 사업자가 동일하고, 상기 전자 장치(101)가 DSDA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101)인 경우, 동작 10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SIM(111)에 의한 통신 시도의 실패 여부와 상관 없이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105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성공할 경우, 동작 1070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05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동작 1060에서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제2 SIM(112)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100)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1110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1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111)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성공할 경우 동작 1170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1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11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15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시도의 실패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 내에 포함된 cause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가 기지국과 네트워크 접속을 위해 송수신하는 메시지는 하기 <표 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AS MM CM SERVICE REQUEST
RRC UL.CCCH rrcConnectionRequestestablishmentCause:emergencyCall
RRC DL.CCCH rrcConnectionSetup
RRC UL.DCCH rrcConnectionSetupComplete

RRC DL.DCCH rrcConnectionRelease
상기 <표 4>의 예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1 SIM(111)으로 긴급 호를 시도하여 실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SIM(111)으로 긴급 호를 위한 RRC connection이 수행되고, cause 없이 네트워크에서 RRC connection release를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2 SIM(112)으로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작 1140의 확인 결과 제1 SIM(111)의 네트워크 사업자와 제2 SIM(112)의 네트워크 사업자가 상이하고, 상기 동작 1150의 확인 결과, 상기와 같이 cause 정보 없이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동작 116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SIM(112)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을 바로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DSDS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101)에서 제2 SIM(112)에서 제1 SIM(111)으로 캠프 온 PLMN 정보를 사전에 전달한 상황(또는 상기 제2 SIM(112)을 통한 캠프 온 PLMN 정보를 확인한 상황)에서 상기 제1 SIM(111)으로 긴급 호를 시도하여 액세스가 불가능한 셀로 판단되면, 셀 재선택(reselection)을 시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RRC connection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난 후 네트워크에서 연결을 중단(disconnect) 하거나 상기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예시에서와 같이 cause 없이 RRC connection release 할 경우 상기 제1 SIM(111)의 네트워크 사업자와 제2 SIM(112)의 네트워크 사업자가 상이하기 때문에 바로 제2 SIM(112)을 이용하여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1200)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1210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단일 SIM(single SIM) 상태 또는 SIM 카드가 없는 상태(no SIM)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2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긴급 호 연결을 위해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시도는 미리 정해진 횟수(예: N회)만큼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동작 12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시도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내에 성공할 경우 동작 1260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2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시도가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실패하면, 동작 124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네트워크로의 제한된 캠프 온(limited camping)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1250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네트워크로 제한된 캠프 온을 완료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에 의한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제2 SIM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제1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3 시점에서,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시작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4 시점에서, 상기 제1 SIM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2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2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수신된 RRC 접속 해제 메시지 내 실패 이유(cause)와 관련된 정보의 포함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실패 이유와 관련된 정보의 포함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1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2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가 동일한 가입자 네트워크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입자 네트워크가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시작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1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2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가 동일한 가입자 네트워크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입자 네트워크가 서로 상이하면,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 동작 없이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SIM을 이용한 상기 이동 네트워크 검색이 완료되기 전, 상기 제1 SIM을 이용한 상기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의 수립이 성공되면, 상기 제2 SIM을 이용한 상기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제2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전면의 사시도(1300)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300)는, 제 1 면(또는 전면)(1310A), 제 2 면(또는 후면)(미도시), 및 제 1 면(1310A) 및 제 2 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측면(1310C)을 포함하는 하우징(13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는, 하우징은, 도 1의 제 1 면(1310A), 제 2 면 및 측면(1310C)들 중 일부를 형성하는 구조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면(1310A)은 적어도 일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전면 플레이트(1302)(예: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1310C)은, 전면 플레이트(1302) 및 후면 플레이트(미도시)와 결합하며,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측면 부재")(1318)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후면 플레이트 및 측면 베젤 구조(1318)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302)는, 상기 제 1 면(1310A)으로부터 상기 후면 플레이트 쪽으로 휘어져 심리스하게(seamless) 연장된 2개의 제 1 영역(1310D)들을, 상기 전면 플레이트(1302)의 긴 엣지(long edge) 양단에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300)는, 디스플레이(1301), 오디오 모듈(1303, 1307, 1314), 센서 모듈(1304, 1319), 카메라 모듈(1305), 키 입력 장치(1315, 1316, 1317), 인디케이터(1306), 및 커넥터 홀(1308, 130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자 장치(1300)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키 입력 장치(1315, 1316, 1317), 또는 인디케이터(1306))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1)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1302)의 상당 부분을 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1)는, 터치 감지 회로,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 및/또는 자기장 방식의 스타일러스 펜을 검출하는 디지타이저와 결합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303, 1307, 1314)은, 마이크 홀(1303) 및 스피커 홀(1307, 1314)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 홀(1303)은 외부의 소리를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서는 소리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홀(1307, 1314)은, 외부 스피커 홀(1307) 및 통화용 리시버 홀(1314)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스피커 홀(1307, 1314)과 마이크 홀(1303)이 하나의 홀로 구현 되거나, 스피커 홀(1307, 114) 없이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예: 피에조 스피커). 센서 모듈(1304, 1319)은, 전자 장치(1300)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300)는, 도시되지 않은 센서 모듈, 예를 들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1304)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400) 내의 전자 장치(1401)(예컨대,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400)에서 전자 장치(1401)는 제 1 네트워크(14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4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4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404) 또는 서버(14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1)는 서버(14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4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1)는 프로세서(1420), 메모리(1430), 입력 장치(1450), 음향 출력 장치(1455), 표시 장치(1460), 오디오 모듈(1470), 센서 모듈(1476), 인터페이스(1477), 햅틱 모듈(1479), 카메라 모듈(1480), 전력 관리 모듈(1488), 배터리(1489), 통신 모듈(1490), 가입자 식별 모듈(1496), 또는 안테나 모듈(14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4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460) 또는 카메라 모듈(14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4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4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4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4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4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4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476) 또는 통신 모듈(14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4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4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4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20)는 메인 프로세서(14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4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423)은 메인 프로세서(14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423)는 메인 프로세서(14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4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4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4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4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421)와 함께, 전자 장치(14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460), 센서 모듈(1476), 또는 통신 모듈(14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4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480) 또는 통신 모듈(14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430)는, 전자 장치(14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420) 또는 센서모듈(14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30)는, 휘발성 메모리(14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4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40)은 메모리(14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42), 미들 웨어(14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450)는, 전자 장치(14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4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4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4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4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4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4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460)는 전자 장치(14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4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4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4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470)은, 입력 장치(14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455), 또는 전자 장치(14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476)은 전자 장치(14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4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477)는 전자 장치(14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4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4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4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4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4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4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4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4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488)은 전자 장치(14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489)는 전자 장치(14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4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90)은 전자 장치(14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402), 전자 장치(1404), 또는 서버(14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90)은 프로세서(14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490)은 무선 통신 모듈(14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4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4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4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4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4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498) 또는 제 2 네트워크(14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4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4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4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4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498) 또는 제 2 네트워크(14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4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4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4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499)에 연결된 서버(14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4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4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402, 1404) 각각은 전자 장치(14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4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402, 1404, or 14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4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4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4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4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436) 또는 외장 메모리(14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4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4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호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1500)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15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SIM(111)에서 제2 SIM(112)으로 PLMN으로의 캠프 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동작 1512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1 SIM(111)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514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1 SIM(111)에 대한 긴급 호 시도가 실패하면, 동작 1516에서 제1 SIM(111) 및 제2 SIM(112)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동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518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긴급 호 시도의 실패에 대응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 내에 포함된 cause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작 1516의 확인 결과 제1 SIM(111)의 네트워크 사업자와 제2 SIM(112)의 네트워크 사업자가 동일하고, 상기 동작 1518의 확인 결과, 상기와 같이 cause 정보 없이 RRC connection release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동작 15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limited camping)을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SIM(112)은 풀 서비스(full service) 상태에 있는 상황이지만, 상기 제1 SIM(111)에 대응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긴급 호의 시도가 계속 실패할 경우, 제2 SIM(112)은 다른 네트워크로 캠프 온을 하여 긴급 호를 시도하는 것이 성공 확률이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1)는 제2 SIM(112)을 통해 풀 서비스 상태를 제공해 주는 네트워크가 아닌 제한된 특정 서비스(예: 긴급 호 서비스)만 가능한 다른 네트워크에 캠프 온을 시도할 수 있다.
동작 1522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동작 1520의 제한된 캠프 온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하여 PLMN 검색을 시작할 수 있다. 동작 1528에서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SIM(112)을 이용한 PLMN 검색이 완료되면 동작 1530에서 제한된 캠프 온 통지(notific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101)는 상기 동작 1520에서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 요청 후, 상기 제2 SIM(112)에 의해 특정 네트워크에 캠프 온하기 전까지 동작 1524에서 내부적인 리다이얼(internal redial)로 계속하여 제1 SIM(111)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을 시도할 수 있다.
동작 1526에서,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SIM(111)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이 계속하여 실패하고, 동작 1528에서 상기 제2 SIM(112)에 의한 제한된 캠프 온이 완료되면, 동작 1532에서 상기 제1 SIM(111)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을 중단하고, 동작 1534에서 제2 SIM(112)에 의한 긴급 호 요청을 처리할 수 있다
동작 1536에서 전자 장치(101)(또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2 SIM(112)에 대해 긴급 호를 시도하고, 동작 1538에서 제2 SIM(112)을 통한 긴급 호 요청이 성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네트워크 환경 101 : 전자 장치
111 : 제1 SIM 112 : 제2 SIM
120 : 프로세서 121 : 제1 통신 네트워크
122 : 제2 통신 네트워크 130 : 메모리
131 : 어플리케이션 131a : 제1 어플리케이션
131b : 제2 어플리케이션 131c : 폰 어플리케이션
132 : 프레임워크 133 : 라이브러리
134 : 커널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50 : 무선 통신 회로 310 : SIM 스위치 컨트롤러
321 : 제1 SIM 인터페이스 322 : 제2 SIM 인터페이스
331 : 제1 프로토콜 스택 332 : 제2 프로토콜 스택
340 : 프로토콜 공통 데이터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제1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구조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제2 SIM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구조물;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제1 SIM, 및 상기 제2 SIM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SIM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제1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3 시점에서,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시작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3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4 시점에서, 상기 제1 SIM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2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2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수신된 RRC 접속 해제 메시지 내 실패 이유(cause)와 관련된 정보의 포함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실패 이유와 관련된 정보의 포함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1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2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가 동일한 가입자 네트워크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입자 네트워크가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시작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1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2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가 동일한 가입자 네트워크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입자 네트워크가 서로 상이하면,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 동작 없이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부를 통해 노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제1 가입자 식별 모듈(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 및 제2 SIM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스토리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스토리지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고,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제1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3 시점에서, 상기 제2 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시작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제2 SIM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제1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3 시점에서,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시작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3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4 시점에서, 상기 제1 SIM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2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2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요청 메시지의 전송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수신된 RRC 접속 해제 메시지 내 실패 이유(cause)와 관련된 정보의 포함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실패 이유와 관련된 정보의 포함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1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2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가 동일한 가입자 네트워크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입자 네트워크가 서로 동일하면,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시작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하면, 상기 제1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와 상기 제2 SIM에 대한 가입자 네트워크가 동일한 가입자 네트워크인지를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가입자 네트워크가 서로 상이하면, 상기 제2 SIM을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 동작 없이 상기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19.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긴급 호를 요청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입력에 상응하여, 제1 시점에서 제1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와의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서, 제2 SIM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네트워크와의 제2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제1 시도(attempt)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통신을 수립하기 위한 상기 제1 시도가 실패한 이후, 상기 제1 시점 이후 상기 제2 시점 이전의 제3 시점에서, 상기 제2 SIM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네트워크 검색을 시작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KR1020180090345A 2018-08-02 2018-08-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KR20200015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345A KR20200015055A (ko) 2018-08-02 2018-08-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PCT/KR2019/008617 WO2020027461A1 (ko) 2018-08-02 2019-07-1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345A KR20200015055A (ko) 2018-08-02 2018-08-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055A true KR20200015055A (ko) 2020-02-12

Family

ID=6923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345A KR20200015055A (ko) 2018-08-02 2018-08-02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15055A (ko)
WO (1) WO2020027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52951B (zh) * 2020-06-28 2024-01-30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用户签约数据的切换控制方法、装置以及终端、介质
EP4173437A4 (en) * 2020-06-30 2024-03-06 Qualcomm Inc PROCEDURES FOR IMPROVED EMERGENCY NOTIFICATION
CN114271022A (zh) * 2020-07-31 2022-04-0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1364B2 (en) * 2013-07-15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lligent SIM selection supporting rich context of input factors
US9374697B2 (en) * 2014-04-01 2016-06-21 Mediatek Inc. Method of selecting an active SIM for an emergency service and multi-SIM device utilizing the same
US20160021520A1 (en) * 2014-07-16 2016-01-21 Qualcomm Incorporated Allowing emergency call when no service in ue in case of shared bands
US10219188B2 (en) * 2015-11-11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ling IMS and CSFB call at user equipment in wireless network
US20170230932A1 (en) * 2016-02-04 2017-08-10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conflict management for multi-sim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27461A1 (ko) 2020-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8461B2 (en) Electronic device and heat control method based on temperature of battery in electronic device
US10608324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US1008851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fect in an electronic device
US20170163076A1 (en) Device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nd method thereof
US103200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9948784B2 (en) Method of call forwarding between devices
US20170206779A1 (en) Method of controll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10021103B2 (en) Service authorization methods and apparatuses
US201501347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communication of electronic devices
US20150310197A1 (en) Method of processing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516489B2 (en) Method of searching for device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102285158B1 (ko)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862698B2 (e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for and controlling controllees in smart home system
US9621986B2 (en) Electronic device, audio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the audio device
US939843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mergency call in electronic device
KR102475230B1 (ko) 통신망 연결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627160B1 (ko) 커넥터 장치
KR102550591B1 (ko) 전자 장치에서 가입자 식별 모듈을 연결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전자 장치
US20150304603A1 (en) Call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KR2020001505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긴급 호 처리 방법
KR20190110393A (ko) 가전 기기의 통신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및 서버
US9894709B2 (en) Method of delivering policy information for offload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20200068658A1 (en) Communication configu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device thereof
US20160381729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180108142A (ko) 통화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