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980A - Blood glucose test meter and Blood glucose test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lood glucose test meter and Blood glucose test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980A
KR20200014980A KR1020180090166A KR20180090166A KR20200014980A KR 20200014980 A KR20200014980 A KR 20200014980A KR 1020180090166 A KR1020180090166 A KR 1020180090166A KR 20180090166 A KR20180090166 A KR 20180090166A KR 20200014980 A KR20200014980 A KR 20200014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glucose
sensor
electrode
unit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3405B1 (en
Inventor
황인식
김해란
윤인준
한대우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보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보우
Priority to KR102018009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405B1/en
Priority to PCT/KR2018/008815 priority patent/WO2019027277A1/en
Publication of KR20200014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9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4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61B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0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or needle or using implanted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od glucose monitoring meter, which is installed on the skin and which monitors a blood glucose, having a small sense of irritation comprises: an electrode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kin and applying an electric current to the body; and a sensor unit penetrating under the skin and monitoring glucose. The electrode unit includes a positive electrode unit and a negative electrode unit.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unit and the negative electrode unit is different from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unit and the positive electrode unit.

Description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Blood glucose test meter and Blood glucose test method using the same}Blood glucose meter and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Blood glucose test meter and Blood glucose tes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설치되어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glucose meter and a method for measuring blood glucos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ood glucose meter and a blood sugar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which are installed on the skin to measure blood glucose.

많은 진단시험이 혈액 또는 다른 체액에 있는 물질의 양 또는 존재를 평가하기 위해 사람에게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다.Many diagnostic tests are routinely performed in humans to assess the amount or presence of substances in blood or other body fluids.

당뇨병은 주된 건강 관심사이며, 보다 심한 형태의 상태인 타입 I(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의 치료는 매일 1회 이상의 인슐린 주사를 필요로 한다. 인슐린은 혈액에서의 글루코스 또는 당의 이용을 제어하고, 고치지 않은 채로 있으면 케톤증이 될 수 있는 고혈당증을 예방한다.Diabetes is a major health concern, and treatment of type I (insulin dependent) diabetes, which is a more severe form of condition, requires one or more injections of insulin daily. Insulin controls the use of glucose or sugar in the blood and prevents hyperglycemia, which can lead to ketosis if left unfixed.

타입 I 당뇨병의 합병증을 피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는 수단으로서 혈중 글루코스의 농도를 자주 모니터링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또한, 타입 II(비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이 있는 환자는 식이요법 및 운동에 의해 그 상태를 제어하면서, 주기적으로 혈중 글루코스의 농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It is essential to monitor blood glucose levels frequently as a means of avoiding or at least minimizing the complications of type I diabetes. In addition, it is essential for patients with type II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to monitor blood glucose levels periodically while controlling their status by diet and exercise.

종래의 혈중 글루코스 모니터링 방법은 일반적으로 바늘 형태의 글루코스 센서를 이용한 침습형 글루코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나, 바늘 센서를 사용함에 따른 삽입 통증, 이물감, 감염 가능성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늘 센서에 우연히 접촉되는 미량의 클루코스만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blood glucose monitoring method, an invasive glucose monitoring system using a glucose sensor in the form of a needle is generally used,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insertion pain, foreign body feeling, and infection possibility by using the needle sensor. In addition, since only a small amount of glucose which is accidentally in contact with the needle sensor is measu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curacy is lowered.

상술한 바늘 센서의 삽입에 따른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역이온영동법을 이용한 비침습형 혈당측정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역이동영동법을 이용한 혈당측정 방법은 세포간액을 피부 위로 추출하여 글루코스를 측정하기 때문에, 바늘 센서를 이용한 침습형 혈당측정 방법보다 더욱 미량의 클루코스를 측정하게 되어, 정확도가 더욱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피부 타입이나 조건(땀, 체모 등)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caused by the insertion of the needle sensor described above, non-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s using reverse iontophoresi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since the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reverse mobility electrophoresis method extracts the intercellular fluid over the skin to measure glucose, it measures a smaller amount of glucose than the 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a needle sensor, and thus the accuracy is lowered. There was a problem that is much affected by the skin type and conditions (sweat, hair, etc.).

한편, 혈당 측정기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12566호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12566 as a conventional technology related to the blood glucose me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감이 적으며 정확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blood glucose meter and a method for measuring blood glucose using the same, which can measure blood sugar with little foreign body feel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는 피부에 설치되어 혈당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체내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극부; 및 피하에 침투되어 글루코스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전극부 및 (-)전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와 다르다.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kin to measure blood glucose, dispos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kin to apply an electric current in the body; And a sensor unit penetrating subcutaneously to measure glucose, wherein the electrode unit includes a (+) electrode unit and a (−) electrode unit, and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n end portion of the sensor unit and the (−) electrode unit is measured. It is different from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and the (+) electr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에 의하면 이물감이 적으며 정확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less foreign matter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ccurate blood sugar can be measured.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가 인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혈당 측정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혈당 측정기의 개략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의 개략 순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the blood glucose meter is installed in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lood glucose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blood glucose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degenerate other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Other embodiments tha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easily proposed, but they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는 피부에 설치되어 혈당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체내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극부; 및 피하에 침투되어 글루코스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전극부 및 (-)전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와 다를 수 있다.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kin to measure blood glucose, dispos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kin to apply an electric current in the body; And a sensor unit penetrating subcutaneously to measure glucose, wherein the electrode unit includes a (+) electrode unit and a (−) electrode unit, and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an end portion of the sensor unit and the (−) electrode unit is measured.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and the (+) electrode.

또, 상기 전극부와 상기 센서부간의 위치관계를 규정하는 위치 규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defining unit def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ode unit and the sensor unit.

또, 상기 전극부는 상기 위치 규정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위치 규정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피하에 침투될 수 있다.The electrode portion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and the sensor portion may penetrate subcutaneous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또, 상기 위치 규정부는 상기 센서부가 피하에 침투되는 위치를 규정하는 침투 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침투 유도부를 통해 피하에 침투될 수 있다.The position defining part may include a penetration inducing part defining a position at which the sensor part penetrates subcutaneously, and the sensor part may penetrate subcutaneously through the penetration inducing part.

또, 상기 침투 유도부는 관통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netration guide portion may be formed as a through space.

또, 상기 관통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간 상에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위치 규정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가 피하에 침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disposed on the through space to allow the sensor part and the position defining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o guide the sensor part to penetrate subcutaneously.

또,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portion and the (-) electrode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portion and the (+) electrode portion.

또, 상기 센서부의 단부는 (-)전극부가 차지하는 풋프린트(footprint)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nd portion of the sensor part may be disposed in a footprint occupied by the negative electrode part.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는 상기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thod for measuring blood glucose using the blood glucose meter.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가 인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at the blood glucose meter is installed in the huma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이다.2 and 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혈당 측정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lood glucose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혈당 측정기의 개략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다.Figure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blood glucose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more clearly expres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simplified or omit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100)는 역이온영동을 응용하는 구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lood glucose met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apply reverse iontophoresis.

일례로, 상기 혈당 측정기(100)는 역이온영동을 응용하되 침습형/반침습형 혈당 측정원리를 응용한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blood glucose meter 100 may be configured to apply reverse iontophoresis but applied invasive / semi-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 principle.

일례로, 상기 혈당 측정기(100)는 송신기(10), 전극부(20) 및 글루코스 센서(3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lood glucose meter 100 may include a transmitter 10, an electrode unit 20, and a glucose sensor 30.

일례로, 송신기(10)는 글루코스 센서(30)에서 측정한 글루코스 농도값 또는 혈당값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미도시)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For example, the transmitter 10 transmits data related to the glucose concentration value or the blood glucose value measured by the glucose sensor 30 to an output device (not shown) including a receiver.

출력장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출력장치(PC, 스마트폰, 시계형태의 출력장치 등)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the output device, it is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known output devices (PC, smartphone, watch-type output device, etc.).

전극부(20)는 (-)극(21) 및 (+)극(22)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역이온영동에 의해 (-)극(21) 쪽으로 충분한 양의 글루코스가 모일 수 있도록 피부를 통하여 체내에 전류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The electrode part 20 is formed to include the negative electrode 21 and the positive electrode 22, and the skin is allowed to collect a sufficient amount of glucose toward the negative electrode 21 by reverse iontophoresis. It acts to apply an electric current through the body.

이때, 전극부(20)의 재질은 백금(Pt), 금(Au), 은(Ag) 및 이들에 탄소(C)를 포함하는 전극 또는 은/염화은(Ag/AgCl)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 전극부(2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material of the electrode unit 20 may be an electrode including platinum (Pt), gold (Au), silver (Ag) and carbon (C), or silver / silver chloride (Ag / AgCl) electrode. It is not limited, it is possible to form the electrode unit 20 from a variety of materials.

상기 전극부(20)는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면, 스크린 프린팅 방법 및 스퍼터링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The electrode portion 20 may be manufactured by any known method, for example, a screen printing method and sputtering.

이때, 전극부(20)를 반침습 또는 완전 침습 방식의 바늘 형태로 형성하여 피부층 내부(반침습) 또는 피하층(완전 침습)으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electrode portion 20 in the form of a semi-invasive or fully invasive needle shape and inserted into the skin layer (semi-invasive) or subcutaneous layer (completely invasive).

글루코스 센서(30)는 미세한 바늘 또는 바늘과 같은 구조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효소전극(미도시)을 형성하여 외과적인 방법으로 피하에 이식되어 세포 간액에서의 글루코스의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glucose sensor 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ine needle or a needle-like structure, and forms an enzyme electrode (not shown) therein to be implanted subcutaneously by a surgical method to direct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cell liver fluid. Can play a role.

세포 간액 내의 글루코스 농도와 혈관 내의 글루코스 농도는 서로 연동되어 변하기 때문에, 세포 간액 내의 글루코스의 농도와 혈관 내의 글루코스의 농도는 거의 비례하는 값을 갖는다.Since the glucose concentration in the intracellular fluid and the glucose concentration in the blood vessels chang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intracellular fluid and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blood vessel have almost a proportional value.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글루코스 센서(3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glucose sensor 3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known types of sensors.

일례로, 글루코스 센서(30)는 시술에 의해 피하에 이식될 수도 있다.In one example, the glucose sensor 30 may be implanted subcutaneously by the procedure.

즉, 글루코스 센서(30)는 시술에 의해 피하에 완전 이식 및 삽입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glucose sensor 30 may be completely implanted and inserted subcutaneously by the procedur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한 글루코스 농도 측정방법은 공지된 기술인 전기화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화학적 분석방법이란, 효소전극(미도시)에 의해 추출된 글루코스로부터 산소를 소모하여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과산화수소에 적정 전위를 걸어 산화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전자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The glucose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glucose sensor 3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n electrochemical analysis method known in the art, and the electrochemical analysis method consumes oxygen from glucose extracted by an enzyme electrode (not shown). By means of generating hydrogen peroxide, and by applying a proper potential to the generated hydrogen peroxide to oxidize, by measuring the amount of electrons generated, it may mean a method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다만,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한 글루코스 농도 측정방법은 앞서 설명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역이온영동에 의해 글루코스가 집중된 영역에 배치되어 집중된 영역 상의 글루코스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형가능 하다.However, the method for measuring glucose concentration through the glucose sensor 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any method capable of measuring glucose on a concentrated region by placing glucose in a concentrated region by reverse iontophoresis may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도 1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은 전극부(20)를 피부에 접촉 및/또는 피하에 침투시킴과 동시에 글루코스 센서(30)를 삽입하는 단계(S10), 전극부(20)를 통하여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S20),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해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S30)로 크게 나눌 수 있다. In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jecting the electrode unit 20 into the skin and / or subcutaneously and inserting the glucose sensor 30 (S10), the current through the electrode unit 20 Applying step (S20), it can be divided into the step (S30)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through the glucose sensor 30.

이하, 각 단계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전극부(20)를 피부에 접촉 및/또는 피하에 침투시킴과 동시에 (-)극(21) 방향으로 글루코스 센서(3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전극부(20)를 반침습 또는 완전 침습 방식의 바늘 형태로 형성하여 피부층 내부(반침습) 또는 피하층(완전 침습)으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First, the glucose sensor 30 may be inserted in the negative electrode 21 direction while simultaneously injecting the electrode portion 20 into the skin and / or subcutaneously.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electrode portion 20 in the form of a semi-invasive or fully invasive needle shape and inserted into the skin layer (semi-invasive) or subcutaneous layer (completely invasive).

글루코스 센서(30)는 미세한 바늘 형태로 내부에 효소전극(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부(20)의 (-)극(21) 방향으로 피하에 삽입되어 세포 간액에서의 글루코스 농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The glucose sensor 30 has an enzyme electrode (not shown) formed therein in the form of a fine needle. The glucose sensor 30 is inserted subcutaneously in the dire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21 of the electrode part 20 to directly adjust the glucose concentration in the intercellular fluid. It can be measured.

이후, 전극부(20)를 통하여 전류를 인가시킨다. Thereafter, a current is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20.

전극부(20)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면, 경피 내 세포 간액에 전류가 인가되어 세포 간액 내 Na+등의 양이온은 (-)극(21) 방향으로, Cl-등의 음이온은 (+)극(22) 방향으로의 이온 흐름이 형성되고, 이러한 이온 흐름을 통해 세포간액 내의 글루코스가 도 1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극(2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집중되어 농도가 높아지는 상태가 된다. When a current is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20, a current is applied to the intracellular transdermal fluid so that cations such as Na + in the intracellular fluid are directed toward the (−) pole 21, and anions such as Cl − are connected to the (+) pole ( The ion flow toward 22) is formed, and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intercellular fluid is concentrated while moving toward the negative electrode 21 as shown by the arrow in FIG. 1 through the ion flow.

이때, 글루코스가 자체로 이온성을 띠지는 않지만, Na+등의 양이온이 (-)극(21)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온흐름에 편승하여 함께 (-)극(2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although glucose is not ionic in itself, cations such as Na + are piggybacked along the ion flow moving in the (-) pole 21 direction and move together in the (-) pole 21 direction.

(-)극(21) 방향으로 글루코스가 집중된 후,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해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한다. After glucose is concentrated in the negative electrode 21 direction, the glucose concentration is measured through the glucose sensor 30.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한 글루코스의 농도 측정은 공지된 기술인 전기화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전기화학적 분석방법은 글루코스를 글루코스 센서(30) 내에 고정화되어 있는 포도당 산화효소에 의해 과산화수소를 생성하게 하고, 생성된 과산화수소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산화되면서 발생되는 전류, 즉 전기량을 측정함으로써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through the glucose sensor 30 may use an electrochemical analysis method known in the art. In the electrochemical analysis method, glucose is generated by glucose oxidase immobilized in the glucose sensor 30, and a concentration of glucose is measured by measuring a current generated by oxidizing by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generated hydrogen peroxide, that is, an electric quantity. Can be measured.

종래의 침습방식은 전극 부젼의 소정영역에 자연적으로 유입된 글루코스만을 측정하는 것이어서 전극 주변에 유입되는 글루코스의 양이 적어서 측정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어렵지만, 본 발명은 역이온영동을 이용하여 전극주변에 강제적으로 글루코스를 모이게 하여 집중시키는 방법이므로, 전극 주변에 유입되는 글루코스의 양이 많아서 측정의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conventional invasive method is to measure only the glucose naturally introduced into the predetermined region of the electrode failure, so that the amount of glucose introduced around the electrode is difficult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uses reverse iontophoresis to Since the method of forcibly collecting and concentrating glucose has a large amount of glucose flowing into the electrode periphery,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is remarkably improved.

측정된 글루코스 농도는 송신기(10)를 통해 체외에 있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미도시)로 송신되어, 출력장치(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글루코스 농도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measured glucose concentr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er 10 to an output device (not shown) including a receiver outside the body, whereb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measured glucose concentration through the output device (not shown).

정해진 시간 단위로 연속적으로 측정된 글루코스 농도는 출력장치(미도시)에 저장되어 수일간의 글루코스 농도를 기록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glucose concentration continuously measure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can be stored in an output device (not shown) to record and manage the glucose concentration for several day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은 전극부(20)를 통해 인가된 전류로 인해 (-)극(21) 방향으로 글루코스가 집중된 후, (-)극(21) 방향으로 삽입된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해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혈당측정방법에 비해 측정 정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glucose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glucose is concentrated in the (-) pole 21 due to the current applied through the electrode unit 20, in the (-) pole 21 direction. Since the glucose concentration is measured through the inserted glucose sensor 30, the measurement accura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역이온영동을 응용한 침습형 연속 혈당 측정기(100)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은 전극부(20)를 통해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극(21) 방향으로 글루코스를 집중시킨 후, (-)극(21) 방향으로 삽입된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해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혈당 측정기(100)에 비해 측정 정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invasiv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100 and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y glucose to the negative electrode 21 by applying current through the electrode unit 20. After concentration, the glucose concentration is measured through the glucose sensor 30 inserted in the (-) pole 21 direction, so that the measurement accuracy is remarkably improved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lood glucose meter 100. .

나아가, 글루코스 센서(30)가 피하에 침투되는 깊이를 작게 하여도 정확한 글루코스 농도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물감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Further, even if the depth at which the glucose sensor 30 penetrates subcutaneously is small, accurate measurement of glucose concentration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foreign body feeling can be significantly lowered.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혈당 측정기(1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blood glucose meter 10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일례로, 전극부(20)는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체내에 전류를 인가하는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unit 2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kin to apply a current to the body.

일례로, 전극부(20)는 피부의 표피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진피, 피하지방층 등에 삽입 배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unit 20 may be disposed on the epidermis of the skin, or may be inserted into the dermis, subcutaneous fat layer, or the like.

여기서, 글루코스 센서(30)(이하, 센서부로 지칭)는 피하에 침투되어 글루코스를 측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Here, the glucose sensor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nsor unit) may be configured to penetrate subcutaneously and measure glucose.

센서부(30)는 직접 글루코스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으나, 글루코스와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데이터 및/또는 화학적 변화를 획득하여 간접적으로 글루코스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다.The sensor unit 30 may directly measure the amount of glucose, but may also indirectly measure the amount of glucose by acquiring data and / or chemical changes that may occur in contact with the glucose.

일례로, 상기 전극부(20)는 (+)극(22)(이하, (+)전극부로 지칭) 및 (-)극(21)(이하, (-)전극부로 지칭)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부(22)와 상기 (-)전극부(21)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part 20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electrode part) and a negative electrode 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electrode part). The positive electrode portion 22 and the negative electrode portion 2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kin.

여기서, 일례로, 피하에 침투된 상기 센서부(30)의 단부와 피부에 설치된 상기 (-)전극부(21) 간의 이격거리는 피하에 침투된 상기 센서부(30)의 단부와 피부에 설치된 상기 (+)전극부(22) 간의 이격거리와 다를 수 있다.Here, for exampl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unit 30 penetrated subcutaneously and the (-) electrode unit 21 installed in the skin is the end of the sensor unit 30 penetrated subcutaneously and the skin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 electrode 22.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하에 침투되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센서부(30)의 끝단(하측 단부)과 상기 (-)전극부(21)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30)의 끝단(하측 단부)과 상기 (+)전극부(22) 간의 이격거리와 다를 수 있다.To describe this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3,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lower end) of the sensor unit 30 and the (-) electrode unit 21 penetrated subcutaneously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s defined as the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lower end) of the sensor unit 30 and the (+) electrode unit 22 may be different.

일례로, 상기 센서부(30)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21)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30)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22) 간의 이격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For example, a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unit 30 and the (-) electrode unit 21 may be small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unit 30 and the (+) electrode unit 22.

즉, 상기 센서부(30)의 단부는 상기 (+)전극부(22)보다 (-)전극부(21) 쪽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end of the sensor unit 30 may be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the (-) electrode unit 21 rather than the (+) electrode unit 22.

또한, 일례로, 상기 센서부(30)의 단부는 (-)전극부(21)가 차지하는 풋프린트(footprint, A)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an end portion of the sensor unit 30 may be disposed in a footprint A occupied by the negative electrode unit 21.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전극부(21)가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극부(21)의 하측은 상기 (-)전극부(21)의 풋프린트(A)가 차지하는 일정 영역이 규정되며, 여기서, 상기 센서부(30)의 끝단은 상기 (-)전극부(21)가 규정하는 풋프린트(A)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more detail, when the (-) electrode part 21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kin, the lower side of the (-) electrode part 21 is the footprint of the (-) electrode part 21. A predetermined area occupied by (A) is defined, and the end of the sensor unit 30 may be disposed in the footprint A defined by the negative electrode unit 21.

그 결과,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전극부(21)로 유도된 글루코스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ensor part 30 can be easily in contact with the glucose induced by the (-) electrode part 21.

앞서 설명한 상기 센서부(30)의 단부는 상기 센서부(30)의 형상으로 볼 때 하측 끝단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글루코스와의 반응에서 볼 때 상기 센서부(30) 중 글루코스와 반응할 수 있는 부분의 끝단을 의미할 수도 있다.An end of the sensor unit 30 described above may mean a lower end when viewed in the shape of the sensor unit 30, but may react with glucose in the sensor unit 30 when viewed in response to glucose. It can also mean the end of a part.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전극부(20)와 상기 센서부(30)의 위치 관계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ode unit 20 and the sensor unit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일례로, 혈당 측정기(100)는 상기 전극부(20)와 상기 센서부(30)간의 위치관계를 규정하는 위치 규정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lood glucose meter 100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defining unit 40 def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ode unit 20 and the sensor unit 30.

일례로,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전극부(21)와 상기 (+)전극부(22) 간의 위치관계,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전극부(22) 간의 위치관계 및/또는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전극부(21) 간의 위치관계를 규정할 수도 있다.In one example,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is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 electrode portion 21 and the (+) electrode portion 22, the sensor portion 30 and the (+) electrode portion 22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nd / or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 unit 30 and the (-) electrode unit 21 may be defined.

위치관계라 함은 상기 전극부(20)와 상기 센서부(30)가 인체에 설치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전극부(20)와 산기 센서부(30) 간의 위치, 상호 떨어진 거리 및/또는 각도 등을 의미할 수 있다.The positional relationship refers to the position, distance and / or angle between the electrode unit 20 and the diffuser sensor unit 30 when the electrode unit 20 and the sensor unit 30 are installed in the human body. And the like.

즉, 상기 전극부(20)가 피부에 설치되어 피부 상에 직/간접적으로 위치 고정되고, 상기 센서부(30)가 피하에 침투되되 외력을 가하여도 더 이상 깊이 침투되지 않는 최대의 침투 상태(인체에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부(20)와 상기 센서부(30) 간의 위치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That is, the electrode part 20 is installed on the skin and is directly or indirectly fixed on the skin, and the sensor part 30 penetrates subcutaneously but does not penetrate deeply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installation on the human body is completed),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ode unit 20 and the sensor unit 30 may be defined.

일례로, 상기 전극부(2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unit 20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일례로, 상기 (+)전극부(22) 및/또는 상기 (-)전극부(21)는 상기 위치 규정부(40)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 electrode part 22 and / or the (−) electrode part 21 may be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osition defining part 40.

일례로, 상기 전극부(2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의 하면 상에 스크린 프린팅 방법 및 스퍼터링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기계적 결합,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de unit 2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by screen printing, sputtering, or the like, and may be adhesively fixed by mechanical bonding, adhesive, or the like.

그 결과, 상기 전극부(2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 하측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electrode portion 20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ide of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또한,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피하에 침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30 may penetrate subcutaneous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즉,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센서부(30)가 피하로 침투되는 위치를 미리 규정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may predefine the position where the sensor unit 30 penetrates subcutaneously.

일례로,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센서부(30)가 피하에 침투되는 위치를 규정하는 침투 유도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침투 유도부를 통해 피하에 침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may include a penetration induction unit defining a position where the sensor unit 30 penetrates subcutaneously, and the sensor unit 30 may penetrate subcutaneously through the penetration induction unit. Can be.

즉,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센서부(30)가 피하로 침투되는 위치를 미리 규정하는 상기 침투 유도부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 defining part 40 may include the penetration inducing part that predefines a position at which the sensor part 30 penetrates subcutaneously.

그 결과,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전극부(20)의 위치를 규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피하에 침투되는 상기 센서부(30)의 위치를 규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전극부(20)와 상기 센서부(30) 간의 위치관계를 규정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not only defines the position of the electrode portion 20 but also defines the position of the sensor portion 30 that penetrates subcutaneously, and consequently,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 unit 30 may be defined.

여기서, 일례로, 상기 침투 유도부는 관통공간(S)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as an example, the penetration inducing part may be formed as a through space (S).

즉, 상기 침투 유도부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That is, the penetration induction part may be a space in which a part of the position defining part 40 penetrates.

일례로, 상기 침투 유도부는 상기 (+)전극부(22)와 상기 (-)전극부(21) 사이에 형성될수 있으며, 나아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극부(21)를 향하여 경사긴 상기 관통공간(S)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netration induction part may be formed between the (+) electrode part 22 and the (−) electrode part 21, and further, the inclined toward the (−) electrode part 21 toward the lower side. It may be formed as a through space (S).

사용자는 상기 침투 유도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30)를 피하로 삽입시킬 수 있다.The user may insert the sensor unit 30 subcutaneously through the penetration induction unit.

상기 침투 유도부는 상기 관통공간(S)일 수도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위치 규정부(40)의 다른 부분과 구별되는 식별 표시일 수도 있다.The penetration guide part may be the through space 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 identification mark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parts of the position defining part 40.

여기서, 일례로, 혈당 측정기(100)는 상기 관통공간(S)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간(S) 상에서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위치 규정부(40)가 상호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30)가 피하에 침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in one example, the blood glucose meter 100 is disposed on the through space (S) so that the sensor unit 30 and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through space (S), the sensor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50 for guiding the portion 30 to penetrate subcutaneously.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관통공간(S) 상에 배치된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관통공간(S)을 규정하는 상기 위치 규정부(40)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part 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nsor part 30 disposed on the through space S and the position defining part 40 defining the through space 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an be.

나아가,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관통공간(S)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간(S)으로 삽입되는 상기 센서부(30)가 상기 위치 규정부(40)로 향하지 않고 피하로 침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guide part 50 is disposed on the through space S so that the sensor part 30 inserted into the through space S may penetrate subcutaneously without facing the position defining part 40. can do.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50)는 중공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guide portion 50 may be a pipe shape having a hollow.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가이드부(50)가 형성하는 중공을 지나 피하로 침투될 수 있다.The sensor unit 30 may penetrate subcutaneously through the hollow formed by the guide unit 50.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위치 규정부(40)와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part 50 may be attached to the position defining part 40 and may have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position defining part 40.

또한,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센서부(30)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30)와 연동되어 위치 이동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50 may be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30 and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sensor unit 30.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혈당 측정기(100) 및 혈당측정방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blood glucose meter 100 and the blood sugar measuring metho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우선 사용자는, 상기 전극부(20)가 장착된 상기 위치 규정부(40)를 피부에 설치할 수 있다.First, the user may install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on which the electrode unit 20 is mounted.

일례로, 피부에 대향하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의 하면은 피부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접착층이 형성될 수도 있고 밴드와 같은 열결부재를 구비하여 인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n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sition defining part 40 opposite to the skin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kin, or may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uman body by having a heat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and. .

일례로,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하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패드 형상일 수도 있고, 케이스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may have a pad shape having an adhesive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or may be a case.

사용자는 상기 위치 규정부(40)를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 고정할 수 있다.The user may fix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kin.

그 결과, 상기 (+)전극부(22) 및 상기 (-)전극부(21)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에 의해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 electrode portion 22 and the (-) electrode portion 21 can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kin by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상기 위치 규정부(40) 및 상기 전극부(20)를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후, 사용자는 상기 센서부(30)를 피하로 침투시킬 수 있다.After arranging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and the electrode portion 2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kin, the user can penetrate the sensor portion 30 subcutaneously.

이 때, 사용자는 상기 위치 규정부(40)가 구비하는 상기 침투 유도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30)를 피하로 침투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may penetrate the sensor unit 30 subcutaneously through the penetration induction unit provided in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상기 센서부(30)가 피하로 침투되는 정도는 미리 정해질 수 있다.The degree of penetration of the sensor unit 30 subcutaneously may be predetermined.

일례로,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 및/또는 상기 가이드부(50)와 직/간접적으로 접촉됨으로 인해 피하로 침투되는 정도가 미리 정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ensor unit 30 may be predetermined to penetrate subcutaneously due to direct / indirect contact with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and / or the guide unit 50.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상기 센서부(30)를 피하로 침투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센서부(30)를 미리 정해진 정도까지만 침투시킬 수 있고, 이 보다 더 이상 침투시키고자 상기 센서부(3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위치 규정부(40) 및/또는 상기 가이드부(50) 간에 직/간접적으로 접촉되어 더 이상 상기 센서부(30)가 피하로 침투되지 않을 수 있다.To describe this in more detail, when the user applies the external force to penetrate the sensor unit 30 subcutaneously, the user can infiltrate the sensor unit 30 only to a predetermined degree, and to infiltrate the above furth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ensor unit 30, the sensor unit 30 and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and / or the guide unit 50 are in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ensor unit 30 is no longer avoided. It may not penetrate into.

결과적으로, 상기 위치 규정부(40) 및/또는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전극부(20) 간의 위치관계를 규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부(30)가 피하로 침투되는 깊이의 정도를 규정할 수도 있다.As a result,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and / or the guide portion 50 not only define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 portion 30 and the electrode portion 20, but also the sensor portion 30 You can also specify the degree of depth that penetrates subcutaneously.

상기 센서부(30)가 미리 정해진 피하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된 후, 상기 전극부(20)가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전극부(21) 쪽으로 글루코스가 집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After the sensor unit 30 is inserted at a predetermined subcutaneous position, the electrode unit 20 may apply a current to concentrate the glucose toward the negative electrode unit 21.

그 후,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전극부(21) 쪽으로 유도된 글루코스와 반응하여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ensor unit 30 may measure blood glucose by reacting with glucose induced toward the (-) electrode unit 21.

도 4는 혈당 측정기(100)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lood glucose meter 10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투 유도부는 상기 (-)전극부(A21)가 규정하는 풋프린트(A)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enetration induction part may be formed on the footprint A defined by the negative electrode part A21.

즉, 상기 침투 유도부는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상기 (-)전극부(A21)에 의해 포위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침투 유도부를 통해 피하로 침투되는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전극부(A21)가 규정하는 풋프린트(A)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penetration induction par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urrounded by the (-) electrode part A21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the sensor part 30 penetrated subcutaneously through the penetration induction part may be formed in the (-) direction. The electrode portion A21 may be disposed on the footprint A defined.

도 5는 혈당 측정기(100)의 구성에 대한 개략 블록도로서, 혈당 측정기(100)는 상기 송신기(10), 상기 전극부(20), 상기 센서부(30)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onfiguration of the blood glucose meter 100, wherein the blood glucose meter 100 may include the transmitter 10, the electrode unit 20, the sensor unit 30, and the controller 60. Can be.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전극부(20)의 전류인가에 대한 제어, 상기 센서부(30)로부터 센싱되는 데이터의 연산/산출 및/또는 상기 송신기(10) 작동의 제어 등을 구현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controller 6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control of current application of the electrode unit 20, calculation / calculation of data sensed from the sensor unit 30, and / or control of operation of the transmitter 10. Can be.

일례로, 혈당 측정기(100)가 구성하는 상기 송신기(10), 상기 전극부(20), 상기 센서부(30), 상기 제어부(60), 상기 위치 규정부(40) 및 상기 가이드부(50)는 적어도 하나가 다른 어느 하나와 상호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ransmitter 10, the electrode unit 20, the sensor unit 30, the control unit 60,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and the guide unit 50 constituted by the blood glucose meter 100. )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one is detached from one another.

즉, 일례로, 상기 전극부(2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와 탈착되어 새로운 상기 전극부(20)로 교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That is, for example, the electrode unit 20 may be replaced with the new electrode unit 20 by being detached from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and the guide unit 50 may be replaced with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It may be removable.

또한, 일례로,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송신기(10)와 탈착될 수도 있다.Also, as an example, the position defining unit 40 may be detachable from the transmitter 10.

또한, 일례로, 상기 전극부(2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침투 유도부를 지나 피하에 침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극부(20)는 이미 상기 침투 유도부를 지나 상기 위치 규정부(40)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the electrode unit 20 is moved by the external force of the user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enetrated subcutaneously through the penetration induction un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electrode unit 20 is already the penetration induction unit It may be used by the user in a stat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through the.

즉, 사용자가 상기 위치 규정부(40)를 피부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위치 규정부(40)에 고정된 상기 전극부(20)가 피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위치 규정부(40)에 고정된 상기 센서부(30)가 피하에 침투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user installs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on the skin, the electrode portion 20 fixed to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is installed on the skin and fixed to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40. The sensor unit 30 may penetrate subcutaneously.

앞서 설명한 혈당 측정기(10)는 혈당을 측정하는 용도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혈당 측정의 용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 동물 등에 설치되어 인체, 동물의 건강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blood glucose meter 10 is used for measuring blood glucos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use of blood sugar measurement, and is installed in a human body, an animal, and the like to obtain data related to human health and animal health. It can also be used for other purposes.

즉,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형함은 자명하다.That i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for other us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송신기
20: 전극부
30: 센서부
40: 위치 규정부
10: transmitter
20: electrode part
30: sensor unit
40: position regulation

Claims (9)

피부에 설치되어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기에 있어서,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체내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극부; 및
피하에 침투되어 글루코스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전극부 및 (-)전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와 다른,
혈당 측정기.
In the blood glucose meter installed on the skin to measure blood glucose,
An electrode uni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kin to apply an electric current to the body; And
And a sensor unit penetrating subcutaneously to measure glucose.
The electrode unit,
(+) Electrode portion and (-) electrode portio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portion and the (-) electrode portion,
Different from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and the positive electrode,
Blood glucose 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와 상기 센서부간의 위치관계를 규정하는 위치 규정부;를 더 포함하는,
혈당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defining portion for def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ode portion and the sensor portion,
Blood glucose me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위치 규정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위치 규정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피하에 침투되는,
혈당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de unit,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The sensor unit,
Penetrated subcutaneous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osition defining portion,
Blood glucose met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규정부는,
상기 센서부가 피하에 침투되는 위치를 규정하는 침투 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침투 유도부를 통해 피하에 침투되는,
혈당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location defining unit,
A penetration induction portion defining a position at which the sensor portion penetrates subcutaneously,
The sensor unit,
Penetrated subcutaneously through the penetration induction part,
Blood glucose me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 유도부는,
관통공간으로 형성되는,
혈당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enetration induction part,
Formed as a through space,
Blood glucose met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간 상에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위치 규정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가 피하에 침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혈당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5,
And a guide part disposed on the through space so that the sensor part and the position defining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through space, and guide the sensor part to penetrate subcutaneously.
Blood glucose me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 보다 작은,
혈당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portion and the (-) electrode portion,
Less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and the (+) electrode,
Blood glucose met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단부는,
상기 (-)전극부가 차지하는 풋프린트(footprint) 내에 배치되는,
혈당 측정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n end of the sensor unit,
Disposed in a footprint occupied by the negative electrode portion,
Blood glucose meter.
제1항 내지 제8항에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측정방법.
A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blood sugar using a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KR1020180090166A 2017-08-04 2018-08-02 Blood glucose test meter and Blood glucose test method using the same KR1021734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166A KR102173405B1 (en) 2018-08-02 2018-08-02 Blood glucose test meter and Blood glucose test method using the same
PCT/KR2018/008815 WO2019027277A1 (en) 2017-08-04 2018-08-03 Blood glucose meter and method for measuring blood glucose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166A KR102173405B1 (en) 2018-08-02 2018-08-02 Blood glucose test meter and Blood glucose test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980A true KR20200014980A (en) 2020-02-12
KR102173405B1 KR102173405B1 (en) 2020-12-04

Family

ID=6956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166A KR102173405B1 (en) 2017-08-04 2018-08-02 Blood glucose test meter and Blood glucose test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40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355A (en) * 2004-08-05 2004-09-14 (주) 테크포엠 Transdermal Reverse-Iontophoretic Glucose Monitoring Bio-Sensor minimized interruption of interference material
JP2013521942A (en) * 2010-03-16 2013-06-13 メドトロニック ミニメ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nalyte sensor device with improved electrode configuration,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device
KR101288400B1 (en) * 2012-07-10 2013-08-02 주식회사 유엑스엔 Measuring method of blood sugar level,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20170040918A (en) * 2015-10-06 2017-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Bio sensor and sens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9355A (en) * 2004-08-05 2004-09-14 (주) 테크포엠 Transdermal Reverse-Iontophoretic Glucose Monitoring Bio-Sensor minimized interruption of interference material
JP2013521942A (en) * 2010-03-16 2013-06-13 メドトロニック ミニメ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Analyte sensor device with improved electrode configuration,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device
KR101288400B1 (en) * 2012-07-10 2013-08-02 주식회사 유엑스엔 Measuring method of blood sugar level,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KR20170040918A (en) * 2015-10-06 2017-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Bio sensor and sens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405B1 (en)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0245B2 (en) Transdermal analyte extraction and detection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US8046043B2 (en) Extraction device, analyzer, extraction method, and analysis method
US7426408B2 (en) Minimally-invasiv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alyte levels
RU2290062C2 (en) Electrochemical el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aking biological fluid sample and analyzing substance under study available in it
JP4817692B2 (en) Analysis equipment
JP4080251B2 (en) Biofluid component sampling and measurement equipment
JPWO2007088855A1 (en) Blood sensor and blood test apparatus having the same
EP0708615A1 (en) Noninvasive glucose monitor
CN108348156B (en) Mechanically co-located sweat stimulation and sensing
KR102173405B1 (en) Blood glucose test meter and Blood glucose test method using the same
US11857313B2 (en) Sweat biosensing companion devices and subsystems
KR20170040918A (en) Bio sensor and sensing method thereof
JP2005218855A (en) Percutaneous analyte extraction kit, percutaneous analyte extraction apparatus, blood sugar level measuring apparatus, percutaneous analyte extraction method, and blood sugar level measuring method
KR20190014875A (en) Invasive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applying reverse iontophoresis and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method using thereof
CN110879240A (en) Analyte monitoring system
JP2586594B2 (en)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KR20010109506A (en) Extracting System for Glucose in Skin Layer Using Electroosmosis Eff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