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761A -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결정 - Google Patents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761A
KR20200014761A KR1020197035084A KR20197035084A KR20200014761A KR 20200014761 A KR20200014761 A KR 20200014761A KR 1020197035084 A KR1020197035084 A KR 1020197035084A KR 20197035084 A KR20197035084 A KR 20197035084A KR 20200014761 A KR20200014761 A KR 20200014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adio link
link control
transmission
control ent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7001B1 (ko
Inventor
요아힘 로에르
프라틱 바수 말릭
라비 쿠치보틀라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1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0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at the air interface
    • H04W72/08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04L47/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combination with information about buffer occupancy at either end or at transit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plit of the control plane or user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2Buffering or recovering information during reselection ; Modification of the traffic flow during hand-off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들,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개시된다. 하나의 방법(700)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엔티티를 2개의 상이한 셀 그룹에 속하는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시키는 단계(702)를 포함한다. 방법(700)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704)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서의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및 무선 링크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방법(700)은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706)를 포함한다. 방법(700)은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제출하는 단계(70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결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Joachim Loehr을 위해 2017년 6월 2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THRESHOLD BASED UL SPLIT BEARER OPERATION"인 미국 특허 출원 제62/514,71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주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 특정하게는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다음 약어들이 정의되며, 그 중 적어도 일부는 다음 설명 내에서 언급된다: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Fifth Generation("5G"),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AAA"), Positive-Acknowledgment("ACK"), Acknowledged Mode("AM"),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AMF"), Access Server("AS"),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AUSF"), Bandwidth("BW"), Cell Group("CG"),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C-RNTI"), Commo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C-PDCCH"), Dedicated Control Channel("DCCH"), Downlink("D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MRS"), Domain Name System("DNS"), Enhanced Mobile Broadband("eMBB"), Evolved Node B("eNB"), Enhance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eSIM"), Equipment Identity Register("EIR"), Evolved Packet Core("EPC"),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ETSI"), E-UTRAN Radio Access Bearer("E-RAB"), Evolved-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Frequency Division Duplex("FD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FDMA"), Fully Qualified Domain Name("FQD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Association("GSM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 Home Policy Control Function("H-PCF"), 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HPLMN"), Identity 또는 Identifier 또는 Identification("ID"),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IME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IMSI"), Internet-of-Things("IoT"), Layer2("L2"), Logical Channel Identifier("LCID"),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LCP"), Long Term Evolution("LTE"), Multiple Access("MA"), Medium Access Control("MAC"), Master Cell Group("MCG"), Modulation Coding Scheme("MCS"), Mobile Country Code("MCC"), Mobile Network Code("MNC"), Machine Type Communication("MTC"), Master Information Block("MIB), Mobility Management("MM"), Mobility Management Entity("MME"), Non-Access Stratum("NAS"), Narrowband("NB"), Negative-Acknowledgment("NACK") 또는 ("NAK"), Network Entity("NE"), Next Generation Node B("gNB"), New Radio("N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OFDM"), Over-the-Air("OTA"), Physical Broadcast Channel("PBCH"), Policy Control Function("PCF"),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PDCP"), Protocol Data Unit("PDU"), Public Land Mobile Network("PLMN"), 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PSS"), Pointer("PTR"), Quality of Service("QoS"), Random Access Channel("RACH"), Radio Access Technology("RAT"), Resource Block("RB"), Radio Link Control("RLC"), Radio Link Failure("RLF"), Radio Network Layer("RNL"), Radio Resource Control("RRC"), Radio Resource Management("RRM"), Radio Access Network("RAN"),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RSRQ"), Receive("RX"), Secondary Cell Group("SCG"), 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SSS"), Service Data Unit("SDU"), Sequence Number("SN"),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 Subscriber Management Function("SMF"), Signal-to-Noise Ratio("SNR"), Subscriber Identity Module("SIM"), System Information Block("SIB"), Sidelink("SL"), Shared Channel("SCH"), Synchronization Signal("SS"), Subscription Concealed Identifier("SUCI"), Subscription Permanent Identifier("SUPI"), Timing Advance Group("TAG"), Tracking Area("TA"), Time Division Duplex("TDD"), Transport Network Layer("TNL"), Transmission Time Interval("TTI"), Transmit("TX"), Unified Data Management("UDM"), User Data Repository("UDR"), User Entity/Equipment(Mobile Terminal)("UE"),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UICC"), Uplink("UL"),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UMTS"), User Plane Function("UPF"), 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URLLC"),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USIM"), Visited Policy Control Function("V-PCF"), 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VPLMN"), 및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WiMAX").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HARQ-ACK"는 집합적으로 긍정 확인응답("ACK") 및 부정 확인응답("NAK")을 나타낼 수 있다. ACK는 TB가 올바르게 수신되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NAK는 TB가 잘못 수신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정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특정 양의 데이터가 송신에 이용가능할 수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들에서는, 데이터의 다양한 부분들이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장치들 및 시스템들이 또한 상기 방법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엔티티를 2개의 상이한 셀 그룹에 속하는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서의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및 무선 링크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제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는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해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의 양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층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의 양으로서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제로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또는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제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해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그리고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은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은 하나의 베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은 2개의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은 2개의 베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임계치는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임계치는 우선순위화된 데이터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임계치는 비-우선순위화된 데이터에 대응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업링크 송신들에 사용하기 위해 다수의 베이스 유닛과 연관된 다수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중 제1 베이스 유닛과 연관된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를 지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베이스 유닛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를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제2 베이스 유닛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상기 다수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중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를 사용하기 위해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하는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재확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대응하는 송신 버퍼를 플러싱하고 상기 제1 베이스 유닛에 대응하는 송신 상태 변수들을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디폴트 베이스 유닛으로서 다수의 베이스 유닛 중 제1 베이스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방법은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상기 제1 베이스 유닛을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상기 다수의 베이스 유닛 중 제2 베이스 유닛을 사용하기 위해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하는 스위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엔티티를 2개의 상이한 셀 그룹에 속하는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시키고;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고 -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서의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및 무선 링크 제어 데이터를 포함함 -;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임계치와 비교하고;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제출한다.
위에서 간략히 설명된 실시예들의 더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 도면들에 예시된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이들 도면이 일부 실시예들만을 묘사하고 따라서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하고,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의 사용을 통해 추가적인 특이성 및 상세로 기술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는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4는 버퍼 상태 보고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는 데이터 분할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6은 PDCP 버퍼링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7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정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의 양태들은 시스템, 장치, 방법, 또는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 실시예, 전적으로 소프트웨어 실시예(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함)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태들을 조합하는 실시예의 형식을 취할 수 있고, 이들은 모두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코드로 지칭되는 머신 판독가능 코드,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제품의 형식을 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들은 유형의, 비일시적, 및/또는 비송신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들은 신호들을 구현하지 않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저장 디바이스들은 코드에 액세스하기 위한 신호들만을 이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 유닛들 중 특정한 것들은 그들의 구현 독립성을 더 특정하게 강조하기 위해 모듈들로서 라벨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은 커스텀 초대규모 집적("VLSI") 회로들 또는 게이트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 로직 칩들, 트랜지스터들, 또는 다른 개별 컴포넌트들과 같은 기성품 반도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또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등과 같은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은 또한 다양한 타입들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을 위한 코드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의 식별된 모듈은, 예를 들어, 객체, 프로시저, 또는 함수로서 조직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별된 모듈의 실행 파일들은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될 필요는 없고, 논리적으로 함께 결합될 때, 모듈을 포함하고 모듈에 대한 표명된 목적을 달성하는 상이한 위치들에 저장된 이종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실, 코드의 모듈은 단일 명령어 또는 다수의 명령어일 수 있고, 심지어, 여러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여러 메모리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운용 데이터가 본 명세서에서 모듈들 내에서 식별되고 예시될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형식으로 구현되고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데이터 구조 내에 조직될 수 있다. 운용 데이터는 단일 데이터 세트로서 수집될 수 있거나, 상이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되는 것을 포함하여 상이한 위치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모듈 또는 모듈의 부분들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소프트웨어 부분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다.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임의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코드를 저장하는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홀로그래픽, 마이크로기계,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 디바이스의 더 구체적인 예들(비포괄적인 리스트)은 다음을 포함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갖는 전기 접속, 포터블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소거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포터블 콤팩트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CD-ROM"), 광학 저장 디바이스,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 본 문서의 맥락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명령어 실행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또는 그와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 매체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임의의 수의 라인일 수 있고 파이선, 루비, 자바, 스몰토크, C++ 등과 같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C" 프로그래밍 언어 등과 같은 종래의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들, 및/또는 어셈블리어들과 같은 머신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코드는 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원격 컴퓨터 상에서, 또는 전적으로 원격 컴퓨터 또는 서버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접속은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일 실시예", "실시예" 또는 유사한 표현에 대한 언급은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문구 "일 실시예에서", "실시예에서 ", 및 유사한 표현의 출현은,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일 수도 있고, 달리 명백하게 특정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의 그러나 모든 실시예는 아닌 것"을 의미한다. 용어들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는(comprising)", "갖는(having) ", 및 이들의 변형들은, 달리 명백하게 특정되지 않는 한,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한다. 열거된 항목들의 리스트는, 달리 명백하게 특정되지 않는 한, 항목들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가 상호 배타적이라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용어들 "a", "an" 및 "the"는 달리 명백하게 특정되지 않는 한 "하나 이상"을 또한 언급한다.
또한, 실시예들의 설명된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모듈들, 사용자 선택들, 네트워크 트랜잭션들, 데이터베이스 쿼리들, 데이터베이스 구조들, 하드웨어 모듈들, 하드웨어 회로들, 하드웨어 칩들 등의 예들과 같은 다수의 특정 상세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실시예들이 특정 상세들 중 하나 이상 없이, 또는 다른 방법들, 컴포넌트들, 재료들 등과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재료들, 또는 동작들은 실시예의 양태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양태들은,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장치, 시스템, 및 프로그램 제품의 개략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 블록도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개략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 블록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 개략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 블록도들 내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코드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개략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 블록도들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하도록 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컴퓨터,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특정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코드가 또한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명령어들이 개략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 블록도들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 특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제조물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코드는 또한 컴퓨터, 다른 프로그램 가능 데이터 처리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 로딩되어,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 수행되어 컴퓨터 구현 프로세스를 생성하게 하여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코드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 특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세스들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들 내의 개략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 블록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 시스템들, 방법들 및 프로그램 제품들의 가능한 구현들의 아키텍처, 기능성, 및 동작을 예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개략 흐름도들 및/또는 개략 블록도들 내의 각각의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의 하나 이상의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블록에서 언급된 기능들은 도면들에서 언급된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블록들은 때때로 수반된 기능성에 따라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시된 도면들의 하나 이상의 블록 또는 그의 부분들과 기능, 로직 또는 효과가 동등한 다른 단계들 및 방법들이 고려될 수도 있다.
비록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들에서 다양한 화살표 타입들 및 라인 타입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대응하는 실시예들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사실, 일부 화살표들 또는 다른 커넥터들은 묘사된 실시예의 논리적 흐름만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살표는 묘사된 실시예의 열거된 단계들 사이의 특정되지 않은 지속기간의 대기 또는 모니터링 기간을 지시할 수 있다.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들 내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특정된 기능들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기반 시스템들, 또는 특수 목적 하드웨어와 코드의 조합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또한 유의할 것이다.
각각의 도면 내의 요소들의 설명은 선행하는 도면들의 요소들을 참조할 수 있다. 유사한 요소들의 대안의 실시예들을 포함하는, 모든 도면들에서 유사한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도 1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실시예를 묘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원격 유닛들(102) 및 네트워크 유닛들(104)을 포함한다. 비록 특정 수의 원격 유닛(102) 및 네트워크 유닛(104)이 도 1에 묘사되어 있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임의의 수의 원격 유닛(102) 및 네트워크 유닛(104)이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들(102)은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들, 태블릿 컴퓨터들, 스마트 폰들, 스마트 텔레비전들(예를 들어, 인터넷에 접속된 텔레비전들), 셋톱 박스들, 게임 콘솔들, 보안 시스템들(보안 카메라들을 포함), 차량 온보드 컴퓨터들,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라우터들, 스위치들, 모뎀들), IoT 디바이스들 등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들(102)은 스마트 워치들, 피트니스 밴드들, 광학 헤드 장착형 디스플레이들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또한, 원격 유닛들(102)은 가입자 유닛들, 모바일들, 이동국들, 사용자들, 단말들, 모바일 단말들, 고정 단말들, 가입자국들, UE, 사용자 단말들, 디바이스,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원격 유닛들(102)은 UL 통신 신호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유닛(104)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유닛들(104)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유닛(104)은 또한 액세스 포인트, 액세스 단말, 베이스, 베이스 유닛, 기지국, Node-B, eNB, gNB, Home Node-B, 릴레이 노드, 디바이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인프라스트럭처 디바이스, 또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네트워크 유닛들(104)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네트워크 유닛(104)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여러 네트워크 중에서도, 인터넷 및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에 결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코어 네트워크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무선 액세스 및 코어 네트워크들의 이들 및 다른 요소들은 예시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유닛(104)은 다음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eNB, gNB, AMF, DB, MME, PCF, UDR, UPF, 서빙 게이트웨이, 및/또는 UDM.
일 구현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3GPP에 의해 특정된 LTE 프로토콜들 또는 NR/5G 프로토콜들을 준수하고, 여기서 네트워크 유닛(104)은 DL 상에서 OFDM 변조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하고 원격 유닛들(102)은 UL 상에서 SC-FDMA 방식 또는 OFDM 방식을 이용하여 송신한다. 그러나, 더 일반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여러 프로토콜들 중에서도, 일부 다른 개방형 또는 전용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WiMAX를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임의의 특정 무선 통신 시스템 아키텍처 또는 프로토콜의 구현으로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네트워크 유닛들(104)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서빙 영역, 예를 들어, 셀 또는 셀 섹터 내의 다수의 원격 유닛들(102)을 서빙할 수 있다. 네트워크 유닛들(104)은, 시간, 주파수, 및/또는 공간 도메인에서 원격 유닛들(102)을 서빙하기 위해 DL 통신 신호를 송신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엔티티를 2개의 상이한 셀 그룹에 속하는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서의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및 무선 링크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임계치와 비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제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유닛(102)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유닛(104)은 원격 유닛(102)에 의해 수행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200)의 일 실시예를 묘사한다. 장치(200)는 원격 유닛(102)의 일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원격 유닛(102) 은, 프로세서(202), 메모리(204), 입력 디바이스(206), 디스플레이(208),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206) 및 디스플레이(208)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단일 디바이스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임의의 입력 디바이스(206) 및/또는 디스플레이(208)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프로세서(202), 메모리(204),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입력 디바이스(206) 및/또는 디스플레이(208)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02)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고 및/또는 논리 연산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알려진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중앙 처리 유닛("CPU"), 그래픽 처리 유닛("GPU"), 보조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유사한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루틴들을 수행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202)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엔티티를 2개의 상이한 셀 그룹에 속하는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시키고;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고 -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서의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및 무선 링크 제어 데이터를 포함함 -;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임계치와 비교하고;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제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메모리(204), 입력 디바이스(206), 디스플레이(208),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메모리(204)는,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04)는 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동적 RAM("DRAM"), 동기식 동적 RAM("SDRAM"), 및/또는 정적 RAM("SRAM")을 포함하는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04)는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204)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04)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 둘 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204)는 또한 원격 유닛(102) 상에서 동작하는 운영 체제 또는 다른 컨트롤러 알고리즘들과 같은 프로그램 코드 및 관련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 디바이스(206)는, 일 실시예에서, 터치 패널, 버튼, 키보드, 스타일러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알려진 컴퓨터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206)는,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208)와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206)는 텍스트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가상 키보드를 사용하여 및/또는 터치스크린 상의 필기에 의해 입력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 디바이스(206)는 키보드 및 터치 패널과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08)는,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알려진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8)는 시각, 가청, 및/또는 햅틱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시각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8)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또는 이미지, 텍스트 등을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유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비제한적인 예로서, 디스플레이(208)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안경,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8)는 스마트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텔레비전, 테이블 컴퓨터, 노트북(랩톱)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차량 대시보드 등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08)는 가청 경보 또는 통지(예를 들어, 비프음 또는 차임)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진동, 움직임, 또는 다른 햅틱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햅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08)의 전부 또는 일부가 입력 디바이스(206)와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206) 및 디스플레이(208)는 터치스크린 또는 유사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208)는 입력 디바이스(206)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송신기(210)는 UL 통신 신호를 네트워크 유닛(104)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고 수신기(212)는 네트워크 유닛(104)으로부터 DL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록 하나의 송신기(210) 및 하나의 수신기(212)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원격 유닛(102)은 임의의 적합한 수의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를 가질 수 있다.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는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송신기 및 수신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는 트랜시버의 일부일 수 있다.
도 3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치(300)의 일 실시예를 묘사한다. 장치(300)는 네트워크 유닛(104)의 일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 유닛(104)은, 프로세서(302), 메모리(304), 입력 디바이스(306), 디스플레이(308), 송신기(310), 및 수신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로세서(302), 메모리(304), 입력 디바이스(306), 디스플레이(308), 송신기(310), 및 수신기(312)는 원격 유닛(102)의 프로세서(202), 메모리(204), 입력 디바이스(206), 디스플레이(208),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와 각각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비록 하나의 송신기(310) 및 하나의 수신기(312)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네트워크 유닛(104)은 임의의 적합한 수의 송신기(310) 및 수신기(312)를 가질 수 있다. 송신기(310) 및 수신기(312)는 임의의 적합한 타입의 송신기 및 수신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신기(310) 및 수신기(312)는 트랜시버의 일부일 수 있다.
LTE RLC 프로토콜에서는, RLC 층에서 연결(concatenation)이 지원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하나의 RLC PDU는 하나 이상의 RLC SDU 및/또는 RLC SDU들의 하나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MAC 층으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RLC 연결이 수행된다(예를 들어, UL 승인을 수신하고 LCP 절차를 수행하면, MAC는 RLC PDU의 크기를 대응하는 RLC 층에 지시하고, 후자는 차례로 연결, 즉, RLC PDU 구성을 수행한다). 따라서, LTE에서는 RLC 층도 MAC 층도 UL 승인이 수신되기 전에는 어떠한 전처리도 할 수 없다. 따라서, RLC 층 및/또는 MAC 층 처리는 실시간 처리를 겪는다(예를 들어, 원격 유닛(102)에 의해). 5G/NR 시스템들에 의해 목표로 하는 높은 데이터 레이트 및 낮은 레이턴시를 수용하기 위해,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에 이용가능한 처리 시간이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과 비교하여 제한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L2 프로토콜 함수들은 그러한 높은 목표 데이터 레이트들 및 낮은 레이턴시들을 달성하기 위해 처리 능력 친화적 방식으로 단순화되고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UL 승인을 수신하기 전에 RLC 층 및/또는 MAC 층의 전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RLC 층에서 어떤 연결도 지원되지 않는다(예를 들어, PDCP SDU는 그 자신의 MAC 서브-헤더를 갖는 MAC SDU로 미리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비-분할 베어러(예를 들어, PDCP 엔티티가 하나의 RLC 엔티티와 연관됨)에 대해, 원격 유닛(102)은 PDCP SDU들을 하위 층들로 전달하고 이들을 추가로 처리, 즉 PDCP SDU들이 상위 층에 의해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직접, RLC PDU들/MAC SDU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UL 분할 베어러 경우에(예를 들어, 그의 무선 프로토콜들이 마스터 셀 그룹 및 2차 셀 그룹 둘 다에 속하는 이중 접속성 시나리오에서의 무선 베어러 - 분할 베어러의 PDCP 엔티티는 2개의 상이한 셀 그룹에 속하는 2개의 RLC 엔티티와 연관됨) 전처리의 목적으로 PDCP SDU들을 하위 층들로 직접 전달하기 위해서는 PDCP 엔티티가 UL 승인이 수신되기 전에 PDCP SDU들이 어느 셀 그룹(MCG 또는 SCG)으로 송신되어야 하는지를 알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UL 분할 베어러 동작이 적용되는 이중 접속성 구성들(예를 들어, NR-NR 이중 접속성 및 LTE-NR 이중 접속성 조건들)에 대해 전처리가 간단하지 않을 수 있다. 원격 유닛(102) 내의 PDCP 엔티티가 UL 승인 수신 전에 어느 네트워크 유닛(104)으로 데이터가 송신될지를 알 수 없는 이유는, PDCP 버퍼 점유(예를 들어, PDCP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구성된 임계치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예를 들어, ul-DataSplitThreshold가 구성되고 PDCP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ul-DataSplitThreshold 이상이면), 원격 유닛(102)이 모든 연관된 네트워크 유닛(104)에 버퍼 상태 보고의 목적으로 동일한 PDCP 데이터 양을 보고할 수 있다는 것이다(예를 들어, 원격 유닛(102)은 SCG를 위해 구성된 MAC 엔티티 및 MCG를 위해 구성된 MAC 엔티티 둘 다에게 PDCP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지시한다). PDCP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임계치 이상인 그러한 조건에서, 수신된 업링크 승인들에 따라 송신이 발생할 수 있다(예를 들어, 원격 유닛(102)은 PDCP PDU들을, SCG를 위해 구성된 연관된 AM RLC 엔티티 또는 MCG를 위해 구성된 연관된 AM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에, 어느 것이든 PDU들을 요청한 것에 제출한다). 원격 유닛(102)은 어느 네트워크 유닛(104)으로부터 UL 승인이 수신될 것인지를 알 수 없으므로 PDCP, RLC, 및/또는 MAC 헤더들의 전처리는 비-분할 베어러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Rel.13에서 표준화된 UL 분할 베어러 동작에 대한 UE 거동의 추가 상세들은 TS36.323에서 발견될 수 있고, PDCP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가 구성된 임계치보다 작을 때, 원격 유닛의 PDCP 엔티티는 연관된 RLC 엔티티들 중 하나에만 PDCP 데이터를 제출하고 - 2개의 RLC 엔티티 중 어느 것에 PDCP 데이터가 제출되는지는 무선 리소스 구성("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다 - 또한 PDCP 엔티티는 버퍼 상태 보고의 목적으로 구성된 RLC 엔티티와 연관된 MAC 엔티티에게만 PDCP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지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PDCP PDU들을 송신 기회의 전처리를 위해 연관된 RLC 층으로 라우팅할 수 있고(예를 들어, RLC PDU는 하위 층, 즉 MAC로부터의 통지 없이 구성될 수 있음), 그에 의해 PDCP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UL 분할 베어러의 경우에 PDCP PDU들을 전처리의 목적으로 RLC 층(들)에 제출할 때 - PDCP 데이터를 RLC 엔티티들에 제출하는 것은 UL 승인이 수신되기 전에 행해짐 - PDCP 데이터가 RLC 층으로 즉시 라우팅되기 때문에 PDCP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항상 임계치, 즉 ul-DataSplitThreshold 미만이다. 원격 유닛(102)의 PDCP 엔티티는 임계치와의 데이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PDCP 데이터를 하나의 RLC 엔티티에만 라우팅할지 그리고 버퍼 상태 보고의 목적으로 PDCP 데이터를 하나의 MAC 엔티티에만 지시할지 또는 둘 다에 할지를 결정하므로, 하나의 셀 그룹(MCG 또는 SCG)만이 PDCP 데이터의 UL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LC 층은 PDCP 층이 PDCP PDU들을 전처리의 목적으로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요청을 PDCP 층에 송신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PDCP PDU들을 PDCP 엔티티와 연관된 RLC 엔티티들로 라우팅할 목적으로 PDCP에서 구성된 임계치와의 비교를 위해 그리고 대응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은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해, 원격 유닛(102)은 PDCP 엔티티와 연관된 RLC 엔티티들(예를 들어,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PDU들)에서 전처리된 데이터를 고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PDCP 층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로서 다음을 고려할 수 있다: 하위 층들에 PDU가 제출되지 않은 SDU들에 대해: SDU가 PDCP에 의해 아직 처리되지 않은 경우, SDU 자체; 및/또는 SDU가 PDCP에 의해 처리된 경우 PDU.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UL 분할 베어러 동작을 위해 버퍼 점유를 임계치(예를 들어, ul-DataSplitThreshold)와 비교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PDCP 버퍼 점유(예를 들어, 송신에 이용가능한 PDCP 엔티티 및/또는 버퍼 내에 있는 PDCP 데이터의 양)에 더하여, 전처리의 목적으로 하위 층들에 제출된 PDCP PDU들(예를 들어, 연관된 RLC 엔티티들)도 임계치와의 비교를 위해 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처리를 위해 하위 층들에 제출된 PDCP PDU들은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PDU들로서 정의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연관된 RLC 엔티티들 내의 RLC 데이터 및 조합된 PDCP 버퍼 점유가 구성된 임계치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PDCP PDU들을, SCG를 위해 구성된 연관된 RLC 엔티티 또는 MCG를 위해 구성된 연관된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에 제출한다. 원격 유닛(102)은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연관된 RLC 엔티티들 내의 RLC 데이터 및 조합된 PDCP 버퍼 점유가 구성된 임계치 이상일 때 SCG를 위해 구성된 MAC 엔티티들 및 MCG를 위해 구성된 MAC 엔티티 둘 다에 PDCP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지시한다.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연관된 RLC 엔티티들 내의 RLC 데이터 및 조합된 PDCP 버퍼 점유가 구성된 임계치보다 작은 것에 응답하여, 원격 유닛(102)의 PDCP 엔티티는 연관된 RLC 엔티티들 중 하나에만 PDCP 데이터를 제출하고 - 2개의 RLC 엔티티 중 어느 것에 PDCP 데이터가 제출되는지는 무선 리소스 구성(RRC)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다 - 또한 PDCP 엔티티는 버퍼 상태 보고의 목적으로 구성된 RLC 엔티티와 연관된 MAC 엔티티에게만 PDCP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지시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RLC AM 모드에 대한 재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데이터 PDU들(또는 RLC 데이터 PDU들의 세그먼트들)의 양이 임계치와의 비교를 위해 고려될 수 있다. 인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새로이 생성된 RLC PDU들보다 RLC 재송신들이 우선순위화될 수 있기 때문에, 재송신을 대기하고 있는 RLC PDU들(또는 RLC PDU들의 부분들)이 다음 업링크 송신에서 송신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RLC 재송신 PDU들이 이미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RLC 재송신 PDU들에 대한 처리 타이밍에 대한 문제가 없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UL 분할 베어러 동작을 위한 PDCP에서의 임계치와의 비교의 목적으로 그리고 PDCP 엔티티 내에 있는 PDCP 데이터의 양에 더하여, 전처리의 목적으로 하위 층들에 제출된 PDCP PDU들(예를 들어,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PDU들 및/또는 재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PDU들)도 고려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의 버퍼 상태 보고(40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원격 유닛(102)은 MAC 버퍼 상태 보고(404)의 목적으로 RLC 데이터 량(402)(예를 들어, RLC 층에서의 데이터 량)을 계산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RLC 데이터 량(402)은 전처리된 RLC 데이터(예를 들어,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데이터 PDU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MAC 버퍼 상태 보고(404)의 목적으로, 원격 유닛(102)은 RLC 층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RLC 데이터 량(402)을, RLC 데이터 PDU에 아직 포함되지 않은 RLC SDU들(406)(또는 그의 세그먼트들); 송신(408)을 위해 계류중인 RLC 데이터 PDU들; 및/또는 재송신(410)(예를 들어, RLC AM)인 RLC 데이터 PDU들(또는 그의 부분들)을 포함하도록 계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RLC SDU의 일부 및/또는 RLC PDU의 일부는 일부, 부분, 세그먼트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이중 접속성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원격 유닛(102)은 기지국들 둘 다가 NR 기반인, 즉 양쪽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gNB들인 기지국들과 같은 2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접속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업링크 분할 베어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데이터 분할(5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UL 분할 베어러 동작을 위한 PDCP 층에서의 데이터(502)에 대해 2개의 임계치가 정의될 수 있다(예를 들어, 각각의 셀 그룹에 대해 하나씩).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PDCP 데이터(예를 들어, PDCP 층 및/또는 버퍼에 저장된 PDCP 데이터)의 양 플러스 우선순위화된 RLC 엔티티의 전처리된 데이터의 양은 PDCP에서 제1 임계치와 비교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PDCP는 PDCP PDU들을, 먼저 우선순위화된 셀 그룹으로, 우선순위화된 셀 그룹에 속하는 RLC 엔티티로 각각 라우팅하기 시작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라우팅은 구성된 제1 임계치에 도달할 때까지 행해진다. 데이터(502)의 제1 부분(504)은 제1 임계치까지인 데이터(502) 그룹의 양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우선순위화된 RLC 엔티티(예를 들어,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데이터)에서의 전처리된 데이터의 양은 구성된 제1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PDCP 층에 잔여 데이터가 있다면, PDCP는 PDCP PDU들을, 다른 비-우선순위화된 CG로, 비-우선순위화된 셀 그룹에 속하는 RLC 엔티티로 각각 제2 구성된 임계치까지 라우팅하여, 비-우선순위화된 RLC 층에서의 전처리된 데이터(예를 들어,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데이터)의 양이 제2 구성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데이터(502)의 제2 부분(506)은 제1 임계치보다 크고 제2 임계치보다 작은 데이터(502) 그룹의 양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PDCP 층 내에 임의의 잔여 데이터가 있다면, PDCP는 PDCP PDU들을, SCG를 위해 구성된 연관된 RLC 엔티티 또는 MCG를 위해 구성된 연관된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로, 어느 것이든 PDU들을 요청한 것으로 라우팅한다(예를 들어, 잔여 PDCP 데이터는 수신된 업링크 승인에 따라 라우팅된다). 데이터(502)의 제3 부분(508)은 제2 임계치보다 큰 데이터(502) 그룹의 양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부분(502)은 제1 데이터(510), 제2 데이터(512), 및 제3 데이터(514)를 포함한다. 또한, 제2 부분(504)은 제4 데이터(516), 제5 데이터(518), 및 제6 데이터(520)를 포함한다. 또한, 제3 부분(506)은 제7 데이터(522), 제8 데이터(524), 제9 데이터(526), 제10 데이터(528), 제11 데이터(530), 및 제12 데이터(532)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PDCP 엔티티(예를 들어, MCG RLC 및/또는 SCG RLC)와 연관된 RLC 엔티티들은 전처리된 RLC 데이터/PDU들의 양이 구성된 임계치 미만인 조건들에서(예를 들어, 일부 UL 송신을 수행했을 때) 전처리의 목적으로 PDCP PDU들을 PDCP 층에 요청한다. PDCP 층 및/또는 버퍼에 데이터가 있는 조건들에서, PDCP 층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PDCP PDU들을 먼저 우선 순위화된 RLC로, 우선순위화된 셀 그룹으로 각각 라우팅하고 그 후 비-우선순위화된 RLC로, 비-우선순위화된 셀 그룹으로 각각 라우팅할 수 있다. PDCP 버퍼가 비어 있고 새로운 데이터가 상위 층으로부터 PDCP에 도착하는 조건들에서, PDCP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PDCP 데이터를 대응하는 RLC 엔티티들로 라우팅할 수 있다(예를 들어, 우선순위화된 CG/RLC로 제1 임계치까지 시작하고 그 후 PDCP PDU들을 비-우선순위화된 CG/RLC로 제2 구성된 임계치까지 라우팅한다).
도 6은 PDCP 버퍼링(6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6에 예시된 버퍼링(600)은 UL 분할 베어러 동작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시된 버퍼링(600)에 의하면: ul-DataSplitDRB-ViaSCG가 거짓으로 설정된다(예를 들어, MCG는 우선순위화된 CG); Threshold1 (RLCMCG에 대한)은 100개 유닛으로 설정되고; 그리고 Threshold2(RLCSCG에 대한)는 50개 유닛으로 설정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PDCP 버퍼, RLCMCG, 및 RLCSCG가 초기화된다. 그 후, 100개 유닛의 데이터가 PDCP 버퍼에 도착하고 그로부터 100개 유닛이 RLCMCG로 라우팅된다. 그 후, 50개 유닛의 데이터가 PDCP 버퍼에 도착하고 그로부터 50개 유닛이 RLCSCG로 라우팅된다. 그 후 80개 유닛에 대해 MCG에 대해 원격 유닛(102)에서 UL 승인이 수신되고 따라서 80개 유닛이 RLCMCG로부터 송신된다. 그 후, 50개 유닛에 대해 SCG에 대해 원격 유닛(102)에서 UL 승인이 그 후 수신되고 따라서 50개 유닛이 RLCSCG로부터 송신된다. 다음으로, 100개 유닛의 데이터가 PDCP 버퍼에 도착하고 그로부터 80개 유닛이 RLCMCG로 라우팅되고 20개 유닛이 RLCSCG로 라우팅된다. 그 후, 500개 유닛의 데이터가 PDCP 버퍼에 도착하고 그로부터 30개 유닛이 RLCSCG로 라우팅된다.
PDCP가 우선순위화된 CG 및 비-우선순위화된 CG에 대해 배타적으로 예약된 PDCP 데이터를 대응하는 RLC 엔티티들로 반복적으로 라우팅하는 것(예를 들어, threshold1 및 threshold2까지)에 응답하여, PDCP 버퍼 및/또는 층은 수신된 UL 승인들에 따라 분산 및/또는 라우팅되는 데이터만을 보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L 분할 베어러에 대해 구성된 threshold1(예를 들어, 우선순위화된 셀 그룹 각각 RLC에 대해 구성된 임계치)은 ul-DataSplitThreshold와 동일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CG에 대한 분할 베어러의 MAC 버퍼 상태(예를 들어, MCG 및 SCG)는 하위 층들에 전달되지 않는 PDCP 데이터(예를 들어, PDCP 층 및/또는 버퍼에서의 PDCP 데이터) 플러스 전처리된 RLC 데이터, 재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데이터, RLC 층에 저장된 RLC SDU들, 및/또는 RLC 제어 PDU들(예를 들어, RLC 상태 보고)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이중 접속성을 위해 구성된다(예를 들어, 원격 유닛(102)은 셀 그룹들 및/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 중 하나가 LTE 기반이고 다른 셀 그룹 및/또는 네트워크 엔티티가 NR 기반인 기지국들과 같은 2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접속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업링크 분할 베어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전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NR에 기초하는 셀 그룹 및/또는 링크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임계치로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PDCP 데이터의 양 플러스 NR RLC 엔티티의 전처리된 데이터의 양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PDCP 데이터 라우팅 및 버퍼 상태 보고의 목적으로 PDCP에 구성된 임계치와 비교된다. NR CG 각각 NR RLC 엔티티가 우선순위화된 CG인 구성들에서, PDCP는 PDCP PDU들을 NR CG/RLC 엔티티로 라우팅하기 시작할 수 있다. 인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라우팅은 구성된 임계치(예를 들어, 데이터의 최대량)까지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RLC에서의 전처리된 데이터(예를 들어,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데이터)의 양은 구성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LTE 기반 CG/RLC가 우선순위화된 CG/RLC인 구성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비-우선순위화된 CG에 대한 임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DCP 층에서의 원격 유닛(102) 거동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분할 베어러들에 대해, 송신 PDCP 엔티티에서 라우팅이 수행되고, 수신 PDCP 엔티티에서 재배열이 수행되고; ul-DataSplitDRB-ViaSCG가 상위 층들에 의해 참으로 설정되면: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PDU들의 양이 threshold1과 같을 때까지 PDCP PDU들을 SCG를 위해 구성된 RLC 엔티티들에 제출하고;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PDU들의 양이 threshold2와 같을 때까지 PDCP PDU들을 MCG를 위해 구성된 RLC 엔티티들에 제출하고; 그렇지 않으면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PDU들의 양이 threshold1과 같을 때까지 PDCP PDU들을 MCG를 위해 구성된 RLC 엔티티에 제출하고;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PDU들의 양이 threshold2와 같을 때까지, PDCP PDU들을 SCG를 위해 구성된 RLC 엔티티에 제출한다. PDCP PDU들을 제출하도록 하위 층들에 의해 요청될 때, 송신 PDCP 엔티티는: PDCP PDU들을, SCG를 위해 구성된 연관된 RLC 엔티티 또는 MCG를 위해 구성된 연관된 RLC 엔티티 중 어느 하나에, 어느 것이든 PDU들을 요청한 것에 제출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2)은 이중 접속성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원격 유닛(102)은 셀 그룹들 및/또는 기지국들 둘 다가 NR 기반인, 즉 양쪽 네트워크 엔티티들이 gNB들인 기지국들과 같은 2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접속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원격 유닛(102)은 업링크 분할 베어러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RLC 엔티티들에서의 전처리된 데이터의 양을 미리 구성된 임계치들과 비교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RLC 엔티티는 전처리된 RLC 데이터의 구성된 최대량을 갖는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RLC에서의 전처리된 데이터는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RLC 데이터 PDU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RLC 엔티티가 우선순위화된 RLC 엔티티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 하나의 셀 그룹이 우선순위화된 셀 그룹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우선순위화된 RLC 엔티티에서의 전처리된 데이터의 양을 구성된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우선순위화된 RLC 엔티티 및/또는 셀 그룹에서의 전처리된 데이터의 양이 구성된 임계치(예를 들어, 전처리된 데이터의 최대량) 미만이면, RLC 엔티티는 구성된 임계치까지 전처리를 위해 PDCP PDU들을 요청할 수 있다(PDCP 층에 충분한 PDCP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하여). 다음으로, 원격 유닛(102)은 다른(예를 들어, 비-우선순위화된) RLC 엔티티에서의 전처리된 데이터의 양을 대응하는 구성된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RLC 엔티티에서의 전처리된 데이터의 양이 구성된 임계치 미만인 구성들에서 RLC 엔티티는 구성된 임계치까지 PDCP PDU들을 요청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UL 송신을 위해 분할 베어러로 구성될 수 있다. 분할 베어러가 비-분할 베어러(예를 들어, MCG 베어러 또는 SCG 베어러)로 재구성되는 조건들에서, MAC 층은 MAC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할 수 있다(예를 들어, 분할 베어러가 MCG 베어러로 재구성되는 조건들에서는 MCG에 대한 MAC 엔티티가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할 수 있고, 분할 베어러가 SCG 베어러로 재구성되는 조건들에서는 SCG에 대한 MAC 엔티티가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하위 층들에 의해 성공적인 전달이 확인되지 않은 제1 PDCP PDU로부터의 베어러 재구성으로 인해 재설정 및/또는 제거되는 RLC 엔티티에 이전에 제출된 모든 PDCP PDU들의 재송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PDCP 층의 버퍼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전처리로 인해 베어러 재구성으로 인해 제거될 수 있는 RLC 엔티티에 더 많은 수의 RLC PDU들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더 많은 수의 PDCP PDU들이 잔여 CG 및/또는 링크를 통해 재송신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이 버퍼 상태 보고를 트리거하는 것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유닛(104)은 베어러 재구성으로 인해 재송신을 겪은 데이터의 양을 인식하게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 그룹들 및/또는 송신 레그들의 고속 스위칭을 사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UL 분할 베어러 동작에 대한 대안으로서 UL 데이터 송신을 위해 한 번에 하나의 CG 및/또는 링크를 사용하고 채널 상태, 트래픽 부하 등과 같은 인자들에 따라 링크를 동적으로 스위칭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분할 베어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예를 들어, gNB)는 원격 유닛(102)이 2개의 레그 및/또는 링크 중 어느 것을 하나 이상의 PDCP PDU의 UL 송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 구성은 PDCP 제어 PDU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PDCP 제어 PDU는 2차 셀 그룹/2차 링크 및/또는 SCG RLC가 PDCP PDU들의 UL 송신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부울 변수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부울 변수는 마스터 셀 그룹/마스터 링크 및/또는 MCG RLC가 UL 송신에서 PDCP PDU들의 송신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MAC 제어 요소들("CE들")은 2개의 셀 그룹/링크 중 어느 것이 하나 이상의 PDCP PDU의 UL 송신에 사용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MAC CE는 원격 유닛(102)이 PDCP PDU들의 UL 송신을 위해 사용하는 논리적 채널의 LCID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MAC CE는 업링크 PDCP PDU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셀 그룹(예를 들어, MCG 또는 SCG)을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링크 스위칭을 지시하는 제어 시그널링의 수신 시에, 원격 유닛(102)은 모든 PDCP PDU들을 지시된 링크의 RLC 엔티티 및/또는 논리적 채널로 라우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그널링된 링크 스위칭 전에 사용되는 레그 및/또는 링크의 RLC 엔티티가 아직 확인응답되지 않은 RLC SDU들을 PDCP 엔티티에 지시할 수 있다(예를 들어, RLC 상태 보고에 의해).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UL 데이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새로운 링크(예를 들어, PDCP 제어 PDU 또는 MAC CE에서 지시된 링크)를 통해 아직 확인응답되지 않은 RLC SDU들을 재송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RLC 송신 버퍼를 플러싱하고 RLC 송신 상태 변수들을 리셋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활성화된 링크(예를 들어,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이전에 사용된 링크)의 RLC 엔티티가 재확립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엔티티는 UL PDCP PDU 송신을 위한 링크를 구성 및/또는 스위칭하기 위한 지시와 함께 분할 베어러에 대한 PDCP 상태 보고를 송신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PDCP 상태 보고의 수신 시에, 업링크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는 것으로 지시된 링크 및/또는 레그를 통해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아직 확인응답되지 않은 PDCP SDU들을 재송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RLC 송신 버퍼를 플러싱하고 UL 데이터 송신에 사용되지 않는 레그의 RLC 송신 상태 변수들을 리셋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비활성화된 링크의 RLC 엔티티가 재확립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분할 베어러의 구성 시에 UL 데이터(예를 들어, PDCP PDU) 송신을 위해 디폴트 레그 및/또는 링크가 사용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원격 유닛(102)은 네트워크 엔티티가 일부 제어 시그널링에 의하여 "링크 스위칭"을 시그널링할 때까지 UL 데이터 송신을 위해 디폴트 레그를 사용한다.
도 7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7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 흐름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원격 유닛(102) 또는 네트워크 유닛(104)과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예를 들어,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GPU, 보조 처리 유닛, FPGA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700)은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엔티티를 2개의 상이한 셀 그룹에 속하는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시키는 단계(702)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700)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704)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서의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및 무선 링크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70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제출하는 단계(708)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는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구성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방법(700)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해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의 양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층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의 양으로서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제로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또는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제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해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그리고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은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은 하나의 베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은 2개의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은 2개의 베이스 유닛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임계치는 제1 임계치 및 제2 임계치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임계치는 우선순위화된 데이터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임계치는 비-우선순위화된 데이터에 대응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업링크 송신들에 사용하기 위해 다수의 베이스 유닛과 연관된 다수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중 제1 베이스 유닛과 연관된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를 지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상기 제1 베이스 유닛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를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제2 베이스 유닛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상기 다수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중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를 사용하기 위해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하는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상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재확립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상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대응하는 송신 버퍼를 플러싱하고 상기 제1 베이스 유닛에 대응하는 송신 상태 변수들을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디폴트 베이스 유닛으로서 다수의 베이스 유닛 중 제1 베이스 유닛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방법(700)은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상기 제1 베이스 유닛을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상기 다수의 베이스 유닛 중 제2 베이스 유닛을 사용하기 위해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하는 스위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다른 특정 형식들로 실시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보다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지시된다. 청구항들의 균등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은 그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방법으로서,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엔티티를 2개의 상이한 셀 그룹에 속하는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시키는 단계;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서의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및 무선 링크 제어 데이터를 포함함 -;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해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의 양을 지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층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해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의 양으로서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제로를 지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또는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제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이상인 것에 응답하여 버퍼 상태 보고를 위해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그리고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된 매체 액세스 제어 엔티티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지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송신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은 하나의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은 하나의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승인은 2개의 업링크 승인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유닛은 2개의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업링크 송신들에 사용하기 위해 복수의 베이스 유닛과 연관된 복수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중 제1 베이스 유닛과 연관된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를 지시하는 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유닛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를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제2 베이스 유닛에 대응하는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상기 복수의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중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를 사용하기 위해 스위칭하는 것을 지시하는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의 재확립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대응하는 송신 버퍼를 플러싱하고 상기 제1 베이스 유닛에 대응하는 송신 상태 변수들을 리셋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장치로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엔티티를 2개의 상이한 셀 그룹에 속하는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와 연관시키고;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결정하고 -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은 상기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 및 상기 제2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서의 초기 송신을 위해 계류중인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 및 무선 링크 제어 데이터를 포함함 -;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상기 임계치 미만인 것에 응답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 엔티티에 상기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데이터를 제출하는, 장치.
KR1020197035084A 2017-06-02 2018-05-18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결정 KR102667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14719P 2017-06-02 2017-06-02
US62/514,719 2017-06-02
PCT/US2018/033527 WO2018222418A1 (en) 2017-06-02 2018-05-18 Determining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5942A Division KR20240074003A (ko) 2017-06-02 2018-05-18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결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761A true KR20200014761A (ko) 2020-02-11
KR102667001B1 KR102667001B1 (ko) 2024-05-21

Family

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2195A1 (en) 2023-03-01
US20200169909A1 (en) 2020-05-28
US10609589B2 (en) 2020-03-31
EP3635896B1 (en) 2022-11-30
US20220030458A1 (en) 2022-01-27
WO2018222418A1 (en) 2018-12-06
CN110612686A (zh) 2019-12-24
CN110612686B (zh) 2022-10-28
US11877176B2 (en) 2024-01-16
US20180352556A1 (en) 2018-12-06
EP3635896A1 (en) 2020-04-15
US11172395B2 (en) 2021-11-09
CN115765932A (zh)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7176B2 (en) Determining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CN114080766B (zh) 传送块传输
US10574564B2 (en) Duplicating PDCP PDUS for a radio bearer
CN110651492B (zh) 报告监视的参数信息
CN112219413A (zh) 通过多种无线电接入类型进行的v2x通信
US11522623B2 (en) Determining an encoding scheme for differential RSRP reporting
CN112655268B (zh) 消息3缓冲区中的媒体访问控制协议数据单元
CN112740758B (zh) 具有网络信息的切换请求
CN114205880B (zh) 响应于切换条件被触发选择基站单元
KR102667001B1 (ko)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결정
US11234212B2 (en) Predicting paging failure information
KR20240074003A (ko) 송신에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결정
EP3744123B1 (en) Prioritizing usage of logical channels corresponding to logical identif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