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731A - 특히 가전기기를 위한 도어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특히 가전기기를 위한 도어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731A
KR20200014731A KR1020197029826A KR20197029826A KR20200014731A KR 20200014731 A KR20200014731 A KR 20200014731A KR 1020197029826 A KR1020197029826 A KR 1020197029826A KR 20197029826 A KR20197029826 A KR 20197029826A KR 20200014731 A KR20200014731 A KR 20200014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ment
keeper
door
lock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1001B1 (ko
Inventor
파브리치오 프로무티코
마시모 나르디니
마르첼로 폴라스트리
Original Assignee
비트론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트론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비트론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0001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05B47/0006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having a non-movable core; with permanent magn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3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도어 잠금 장치(door-locking device)(1)는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10)를 포함하며, 이는 가전기기의 도어를 잠그기 위해 이동 가능한 래칭 슬라이더(movable latching slider)(7)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잠금 핀(locking pin)(11)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요크(yoke)(21), 상기 요크(21)에 고정되며 상기 요크(21)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을 따라서 극성이 부여된 영구자석(23)을 포함하는 자석부(magnet part)(22), 상기 자석부(22)의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전자석들(26), 및 서로 각을 이루며 연결된 두 개의 아암들(29a, 29b)을 포함하는 요동 키퍼(rocking keeper)(29)를 포함하며, 상기 키퍼는 상기 전자석들의 코어들(27)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각각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자석부(22)의 지지 표면(25) 상에 얹힌다.

Description

특히 가전기기를 위한 도어 잠금 장치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door-locking device), 특히 가전기기를 위한 도어-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전기기의 도어를 잠그기 위해 이동 가능한 래칭 슬라이더(movable latching slider)와 협조하도록 구성된 잠금 핀(locking pin)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핀은, 래칭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휴지 위치(rest position)와, 래칭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유형의 도어-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 잠금 장치는 가전기기, 예를 들어 세탁기의 개구의 근접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결합 부재는 가전기기의 이러한 개구와 관련된 가동 도어(movable door)에, 예를 들어 연접 방식(articulated way)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콤팩트하고 신뢰성 있는 구조를 가진, 이러한 유형의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은 위에서 정의된 유형의 도어 잠금 장치를 가진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며, 상기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는,
자기 전도성 재료의 요크(yoke);
상기 요크에 고정되며 상기 요크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극성이 부여된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석부(magnet part);
상기 자석부의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전자석들로서, 각각의 전자석은 상기 요크에 고정된 자기 전도성 재료의 코어 및 상기 코어에 감긴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두 개의 전자석들; 및
자기 전도성 재료의 요동 키퍼(rocking keeper)로서, 상기 키퍼의 코너 부분을 통해 서로 각을 이루며 연결된 두 개의 아암들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 부분은, 상기 키퍼가 상기 전자석들의 코어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각각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코너 부분 둘레로 요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자석부의 지지 표면 상에 얹히는, 요동 키퍼;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핀은, 상기 키퍼가 상기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각각 상기 휴지 위치 또는 잠금 위치를 취하는(assume) 방식으로, 상기 키퍼의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동의 정확성, 외부 자기장으로부터의 면역 및 예를 들어, 모터 또는 솔레노이드의 사용을 위한 알려진 직접-전압 해법에 대한 비용/크기 면에서 더 양호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이며, 이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순전히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2와 3은 도 1의 도어 잠금 장치의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의 사시도들이며;
도 4와 5는 케이싱을 제외한 도 2와 3의 장치의 분해도들이며;
도 6은 도 2와 3의 장치의 전기 제어회로도이며;
도 7과 8은 두 개의 상이한 작동 위치들에서 도 2와 3의 장치의 자기 액추에이터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며;
도 9와 10은 도 6에 도시된 전기 회로도의 상태에 대응되는 상태에서, 도 2와 3의 장치의 단면도들이며;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상태의 전기 회로도를 보여주며;
도 12와 13은 도 11에 도시된 전기 회로도의 상태에 대응되는 상태에서, 도 2와 3의 장치의 단면도들이며;
도 14는 도 6과 11에 도시된 상태와 상이한 상태의 전기 회로도를 보여주며;
도 15와 16은 도 14에 도시된 전기 회로도의 상태에 대응되는 상태에서, 도 2와 3의 장치의 단면도들이며;
도 17은 도어 잠금 장치의 래칭 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른 검출 스위치의 거동을 도시한 그래프를 보여주며;
도 18과 19는 케이싱을 제외한 도 2와 3의 장치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며;
도 20은 도 2와 3의 장치의 전기 제어회로도의 대체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1은 도 20의 전기 회로도를 시행한 도 2와 3의 장치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에서, 도어 잠금 장치는 집합적으로 1로 표시된다.
상기 장치는 도 1에 4로 표시된 것과 같은 결합 부재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개구(opening)(3)를 가진다.
그 자체가 알려진 방식에서, 상기 도어 잠금 장치(1)는 가전기기, 예를 들어 세탁기의 개구의 근접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 부재(4)는 가전기기의 이러한 개구와 관련된 가동 도어(movable door)에, 예를 들어 연접 방식(articulated way)으로,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래칭 슬라이더(latching slider)는 상기 결합 부재(4)가 개구(3)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7로 표시된다.
상기 래칭 슬라이더(7)는 주된 개구(main opening)(8)를 가지며, 이는, 상기 슬라이더(7)의 다양한 작동 상태들 또는 위치들에서,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개구(3)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보며 정렬된다.
도어의 결합 부재(4)를 상기 개구(3)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이러한 결합 부재(4)는 상기 슬라이더(7)와 알려진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며, 상기 슬라이더(7)가 탄성 수단(미도시)의 작용에 반하여 이동하도록 한다. 도어가 닫힌 때, 도어의 결합 부재(4)는 상기 슬라이더(7)의 개구(8) 내에 맞물리는 단부 헤드(end head)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 부재(4)의 목 부분은 상기 개구(3)와 슬라이더(7) 사이에 홀딩된다.
상기 결합 부재(4)와, 상기 슬라이더(7)와 도 1의 결합 부재(4) 사이의 결합 구조는 단지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도시되며, 본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도어 잠금 장치(1)는 도면들에 전반적으로 10으로 표시된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electromechanical control device)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10)는 이동 가능한 잠금 핀(movable locking pin)을 포함하며, 이는 도 2와 그 이후의 도면들에서 11로 표시된다. 이러한 부재는, 상기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10)의 케이싱(10b) 내에 만들어진, 상기 래칭 슬라이더(7)가 이동 가능한 영역과 마주보는 개구(10a)를 통해, 도 1을 보는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이동 가능한 잠금 부재(11)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1)가 관련된 가전기기의 작동 명령에 따라 도 9와 12에 도시된 휴지 위치(rest position)로부터 도 15에 도시된 잠금 위치(lock position)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래칭 슬라이더(15)의 이동을 허용 및 각각 방해하도록 구성된다.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 핀(11)은 래칭 슬라이더(7)에 형성된 잠금 개구(lock opening)(9)에 맞물린다.
상기 장치(10)는 케이싱(10b) 내에 수용되며 특히 도 5와 7 내지 8에 도시된 자기 액추에이터(20)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 액추에이터(20)는 상기 잠금 핀(11)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자기 액추에이터(20)는 케이싱(10b)에 고정되며 철과 같은 자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플레이트 또는 요크(yoke)(21)를 포함한다. 상기 요크(21)는 상기 요크의 양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관통-구멍들(21a)을 가진다.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영구자석(23)과 전기자(armature)(24)를 포함하는 자석부(magnet part)(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영구자석(23)은 요크(21)의 대략 중심에 고정된다. 상기 전기자(24)는 자기 전도성 재료, 예컨대 철로 만들어지며, 영구자석(23)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전기자(24)는 상기 요크(21) 반대쪽으로 향한 지지 표면(25)(도시된 예에서 상면)을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20)는 두 개의 전자석들(26)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전자석(26)은, 상기 요크(21)의 각개의 관통-구멍(21a) 내에 고정되는, 철과 같은 자기 전도성 재료의 코어(27), 및 상기 코어(27) 둘레에 감긴 솔레노이드(28)를 포함한다. 각각의 코어(27)는 상기 요크(21) 반대쪽으로 향한 유지 표면(retaining surface)(27a)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유지 표면들(27a)은 상기 지지 표면(25)과 동일 평면이다.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요동 키퍼(rocking keeper)(29)를 더 포함한다. 상기 키퍼(29)는 자기 전도성 재료, 예컨대 철로 만들어지며, 제1 아암(29a)과 제2 아암(29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아암(29a)과 제2 아암(29b)은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키퍼의 코너 부분(29c)을 통해 서로 각을 이루며 연결된다. 상기 코너 부분(29c)에, 상기 자석부(22)의 지지 표면(25) 상에 얹히는 에지(29d)가 형성된다. 상기 키퍼(29)는 바람직하게는 일체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키퍼(29)의 제2 아암(29b)은 직접적으로 또는 관절(articulation)을 통해 잠금 핀(11)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제2 아암(29b)은 상기 핀(11)에 형성된 시트(seat)(11a) 내에 삽입되는 부속부(appendage)(29e)를 가진다.
상기 액추에이터(20)는 전기 절연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의 지지 구조물(31)을 더 포함하며, 이는 각개의 코어들(27), 요크(21) 및 자석부(22)에 대해 상기 솔레노이드(28)를 절연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 구조물(31)은 상기 전자석들로 전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두 개의 전도체 리드(conductor lead)(31a, 31b)를 지지한다.
상기 전자석들(26)의 솔레노이드들(28)은 바람직하게는 반대 방향으로 감기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된다.
제1 위치에서(도 7), 상기 키퍼의 제1 아암(29a)은 상기 핀(11)으로부터 이격된 코어(27)의 유지 표면(27a)과 접촉되고 상기 핀(11)으로부터 이격된 지지 표면(25)의 반과 접촉된다. 상기 전기자(24), 키퍼(29), 코어(27) 및 요크(21)는 모두 자기 투과성이기 때문에, 영구자석(23)의 자기장의 흐름은 도 7과 8에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다. 결과적으로, 상기 영구자석(23)에 의해 제1 아암(29a)과 각개의 코어(27) 사이에 유발된 자력은 제2 아암(29b)과 각개의 코어(27) 사이에 유발된 자력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장치(10) 외부의 전력의 적용 없이 상기 키퍼(29)는 제1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액추에이터(20)를 전환할 필요가 있을 때, 전도체 리드(31a, 31b)를 통해 전자석에 펄스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핀(11)으로부터 이격된 전자석(26)은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자기장의 흐름은 도 7에 실선 화살표로 도시된다. 이 경우에, 상기 핀(11)으로부터 이격된 전자석(26)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상기 영구자석(23)에 의해 상기 핀(11)으로부터 이격된 전자석(26)과 상기 키퍼의 제1 아암(29a) 사이에 발생된 자기장에 반대된다. 동시에, 상기 핀(11)에 가까운 전자석(26)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은 상기 영구자석(23)에 의해 상기 핀(11)에 가까운 전자석(26)과 상기 키퍼의 제2 아암(29b) 사이에 발생된 자기장에 긍정적으로 겹쳐진다. 결과적으로, 상기 핀(11)에 더 가까운 코어(27)와 제2 아암(29b) 사이의 자력은 상기 핀(11)으로부터 먼 코어(27)와 제1 아암(29a) 사이의 자력보다 크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아암(29b)은 상기 핀(11)에 더 가까운 코어(27)와 접촉하도록 움직이게 되고, 상기 키퍼(29)는 제2 위치(도 8)로 전환된다.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아암(29b)은 상기 핀(11)에 더 가까운 코어(27)의 유지 표면(27a)과 접촉하고 상기 핀(11)에 가까운 지지 표면(24)의 중간부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전기자를 제1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 상기 전도체 리드(31a, 31b)에 이전의 펄스와 반대로 펄스가 인가된다.
특히,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10)는 제1 및 제2 전기 제어 단자들(41, 42)을 더 포함하며, 이들은 각개의 제1 및 제2 라인들(41a, 42a)에 의해 각개의 전도체 리드(31a, 31b)에서 자기 액추에이터(20)에 연결된다.
또한, 자기 액추에이터(20)와 직렬로 배치된 검출 스위치(45)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검출 스위치(45)는 상기 래칭 슬라이더(7)의 이동에 뒤따라 개방 위치(도 6과 9)와 폐쇄 위치(도 2와 13)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검출 스위치(45)는 가전기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잠금 스위치(lock switch)(47)는 상기 제2 단자(42)에 연결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스위치(47)는 상기 잠금 핀(11)의 이동에 뒤따라 개방 위치(도 6과 9)와 폐쇄 위치(도 14)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잠금 스위치(47)는 가전기기 도어의 잠금/잠금해제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의 예에서, 상기 잠금 스위치(47)는 자기 액추에이터(20)와 병렬로 배치된 제3 라인(48)을 통해 단자들(41, 42)에 연결된다. 상기 제3 라인(48)에는 상기 잠금 스위치(47)와 직렬로 배치된 다이오드(49)가 제공된다. 보호 서미스터(protection thermistor)(51), 구체적으로 PTC가 제1 단자(41)와, 제1 라인(41a)과 제3 라인(48) 사이의 연결부 사이에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이러한 서미스터는 제1 라인(41a)에, 전기 액추에이터(20)와, 제1 라인(41a)과 제3 라인(48) 사이의 연결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검출 스위치(45)는 전기 전도성 재료의 유연성 세장형 박판(flexible elongated leaf)(45a)을 포함하며, 이는 래칭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박판(45a)은 자기 액추에이터(10) 반대쪽에서 상기 요크(21)에 고정되는 고정 단부(45b)와, 가동 콘택트 요소(movable contact element)(45c)를 가진다. 상기 박판(45a)은 고정 단부(45b)를 통해 자기 액추에이터의 요크(21)에 전도성 있게 연결된다. 상기 검출 스위치(45)는 상기 장치(10)의 케이싱(10b)에 고정된 고정 박판(fixed leaf)(45d)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박판(45d)은 고정 콘택트 요소(45e)와 제2 단부(45f)를 가지며, 상기 고정 콘택트 요소(45e)는, 검출 스위치(45)의 폐쇄 위치에서, 유연성 박판(45a)의 가동 콘택트 요소(45c)에 의해 접촉되며, 상기 제2 단부(45f)는 콘택트 스프링(45g)에 의해 자기 액추에이터(20)의 전도체 리드들 중 하나(31b)에 전도성 있게 연결된다.
상기 검출 스위치(45)의 개폐를 위해 제어 부재(control member)(46)가 제공된다. 이러한 제어 부재(46)는 상기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된 레버(46a)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46a)는, 상기 레버가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에 대한 횡방향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핀 단부(pin end)(46b)와, 상기 장치(10)와 마주보는 래칭 슬라이더(7)의 면 상에 형성된 캠(7a)에 맞물릴 수 있는 추종 단부(follower end)(46c)를 가진다. 이러한 캠(7a)은 기본적으로,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된 제1 표면(7b)과, 이러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제2 표면(7c)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면(7c)은 제1 표면(7b)으로부터 상기 장치(10)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레버(46a)의 추종 단부(46c)의 부분은 상기 슬라이더(7)와 접촉되기 위해 상기 장치(10)의 케이싱(10b)에 형성된 윈도우(10c)를 통해 돌출된다. 상기 검출 스위치(45)의 개방 위치에서(도 9), 유연성 박판(45a)의 가동 콘택트 요소(45c)는 제어 부재(46)의 상승된 추종 단부(46c)와 맞물림으로써 유연성 박판(45a)의 탄성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고정 박판(45d)의 고정 콘택트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유지된다. 상기 검출 스위치(45)의 폐쇄 상태에서(도 120, 상기 제어 부재(46)의 추종 단부(46c)는 하강하며, 유연성 박판(45a)의 탄성력에 기인하여 유연성 박판(45a)의 가동 콘택트 요소(45c)가 고정 박판(45d)의 고정 콘택트 요소(45c)와 접촉하도록 허용한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 잠금 스위치(47)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래칭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된 유연성 세장형 박판(47a)을 포함한다. 상기 박판(47a)은 상기 검출 스위치(450의 박판(45a)의 고정 단부(45b)에 고정된 고정 단부(47b)와, 가동 콘택트 요소(47c)를 가진다. 상기 박판(47a)은 고정 단부(47b)를 통해 검출 스위치(45)의 박판(45a)과 자기 액추에이터의 요크(21)에 전도성 있게 연결된다. 상기 잠금 스위치(470는 상기 장치(10)의 케이싱(10b)에 고정된 고정 박판(47d)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 박판(47d)은 고정 콘택트 요소(47e)와 제2 단부(47f)를 가지며, 상기 고정 콘택트 요소(47e)는, 잠금 스위치(47)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유연성 박판(47a)의 가동 콘택트 요소(47c)에 의해 접촉되며, 상기 제2 단부(47f)는 상기 다이오드(49)의 단부에 전도성 있게 연결된다.
상기 잠금 스위치(47)를 개폐하기 위해 제어 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제어 부재는 상기 잠금 핀(1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부속물(11b)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 스위치(47)의 개방 상태에서(도 13), 상기 유연성 박판(47a)의 가동 콘택트 요소(47c)는 상기 유연성 박판(47a)의 위치에 기인한 맞물림에 의해 상기 고정 박판(47d)의 고정 콘택트 요소(47e)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잠금 스위치(47)의 폐쇄 상태에서(도 16), 잠금 핀(11)의 이동에 기인하여, 상기 핀의 부속물(11b)은 유연성 박판(47a)과 맞물려 유연성 박판(47a)의 가동 콘택트 요소(47c)가 유연성 박판(47a)의 탄성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고정 박판(47d)의 고정 콘택트 요소(47e)와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잠금 스위치(47)의 고정 박판(47b)과 접촉하지 않는 다이오드(49)의 리드(lead)는 상기 보호 서미스터(51)의 하나의 리드와 연결되며, 또한 콘택트 스프링(52)을 통해, 자기 액추에이터(20)의 다른 전도체 리드(31a)와 연결된다.
상기 보호 서미스터(51)의 타단부는 제1 단자(41)에 전도성 있게 연결되며, 상기 제1 단자(41)는 상기 장치(10)의 케이싱(10b)에 고정된다. 상기 제2 단자(42)는 요크(21)에 고정되며 또한 요크에 전도성 있게 연결된다.
상기 제1 라인(41a)은 제1 단자(4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서미스터(51), 콘택트 스프링(52) 및 자기 액추에이터의 전도체 리드들 중 하나(31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라인(42a)은 제2 단자로부터 연장되며, 요크(21), 상기 검출 스위치(45)의 유연성 박판(45a) 및 고정 박판(45d), 콘택트 스프링(45g) 및 자기 액추에이터의 다른 전도체 리드(31b)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 상기 제3 라인은 다이오드(49), 잠금 스위치(47)의 고정 박판(47d) 및 유연성 박판(47a)을 포함한다.
휴지 및 도어 개방 상태들에서(도 6과 9 내지 10), 상기 래칭 슬라이더(7)는 잠금 핀(11)의 개구(10a)와 겹쳐져서 잠금 핀(11)의 이동을 방해하며, 상기 제어 부재(46)의 추종 단부(46c)를 밀어서 검출 스위치(45)가 개방되도록 강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로가 열려있기 때문에 가능한 전기적 펄스가 어떠한 움직임도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이는 두 개의 단자들(41, 42)을 통해 회로의 저항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입증될 수 있다.
도어가 닫힌 때, 상기 결합 부재(4)가 도어 잠금 기구 내에 들어오는 것은 래칭 슬라이더(7)의 이동을 야기하며, 이는 잠금 핀(11)의 영역을 자유롭게 하고 동시에 검출 스위치(45)의 제어 부재(46)의 추종 단부(46c)를 자유롭게 한다. 상기 유연성 박판(45a)의 사전 로딩으로 인해, 상기 검출 스위치(45)가 폐쇄된다(도 11 내지 13).
이 상태는 전압에 의해 두 개의 단자들(41, 42) 사이의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기계의 전자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는 솔레노이드들(28)의 직렬 저항들 및 보호 PTC(51)의 저항과 동일한 저항이 될 것이다.
따라서, 서술된 상태에서, 단자들(41, 42) 사이에 펄스 전원(pulsed power supply)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상기 자기 액추에이터(20)의 작동과 함께 상기 키퍼(29)의 결과적인 회전을 초래하고 상기 잠금 핀(11)의 탈출과 함께 잠금 스위치(47)의 폐쇄를 초래한다(도 14 내지 16).
이 상태는 전자장치를 통해 회로 내에 다이오드의 작동 방향에 대하여 적절한 극성으로 검출 전류를 통과시키고 회로의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으며, 이는 보호 PTC(51)의 저항과 동일한 값을 가질 것이다.
도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서는, 키퍼(29)를 휴지 위치(제1 위치)로 회전시키고 잠금 스위치(47)를 열기 위해 단자들(41, 42)의 리드들에 잠금 펄스의 반대 극성으로 전류 펄스를 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한 장치는 검출 스위치(45)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도 17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래칭 슬라이더(7)의 위치(x)는 가로 좌표에 보인다. 실선(A)은 가전기기의 도어가 닫힌 때 검출 센서(45)에 의해 제공된 신호를 나타낸다. 점선(B)은 잠금 해제된 도어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에서 검출 센서(45)에 의해 제공된 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점선과 포인트(C)는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는 단계 중에 검출 센서(45)에 의해 제공된 신호를 나타낸다. 수직선(D)은 래칭 슬라이더(7)가 잠금 핀(11)에 의해 잠길 수 있는 위치, 즉 상기 슬라이더(7)의 잠금 개구(9)가 잠금 핀(11)이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곡선(A)의 단계의 위치는 슬라이더(7)의 잠금 개구(9)에 대한 경사진 캠(7c)의 위치에 의존한다.
잠금 해제된 핀 상태에서(곡선 B), (유연성 박판(45a)의 특성에 기인한) 검출 스위치(45)의 히스테리시스는 완전히 잠글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다.
잠금 상태의 경우에(곡선 C), 잘못된 개방 신호가 가전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검출 스위치(45)는 선(D)의 위치를 넘어서 폐쇄 상태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어가 잠긴 상태에서 검출 스위치(45)의 증가된 히스테리시스가 생성되며, 이는 폐쇄 상태에서 접촉 상태가 유지되도록 허용한다.
증가된 히스테리시스를 얻기 위해, 도 12와 15의 비교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검출 스위치(45)의 제어 부재(46)의 핀 단부(46b)는 상기 장치(10)의 케이싱(10b)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부재(46)의 핀 단부(46b)는 제어 부재(46)의 핀 단부(46b)를 향하는 잠금 핀(11)의 표면에 형성된 경사 캠(11c)에 결합된다. 이렇게 하면, 슬라이더(7)의 슬라이딩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잠금 핀(11)의 이동은 슬라이더(7)의 슬라이딩 방향에 평행한 제어 부재(46)의 이동을 유발하며, 예컨대 제어 부재(46)의 추종 단부(46c)를 슬라이더(7)의 경사 캠(7c)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킨다. 따라서, 검출 스위치(45)의 개방 위치에서 변화가 얻어진다.
도 20과 21을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된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의 대체 가능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상기 장치의 특징은 사실상의 모듈성에 있으며, 이는 위에서 설명된 두 개의 단자들을 가진 구성이 상기 장치의 약간의 변경들에 의해 세 개의 단자들을 가진 구성으로 변형되도록 허용한다.
이전 실시예의 요소들에 대응되는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할당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더 설명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잠금 스위치(47)의 고정 콘택트 요소(47e)는 제1 라인(41a)이 아니라 제3 단자(53), 또는 보조 단자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다이오드가 없다. 이러한 추가 단자(53)는 잠금 스위치(47)의 폐쇄가 모니터링되도록 허용하며, 검출 스위치(45)의 폐쇄를 모니터링하는 기능과 도어 잠금을 활성화/비활성화시키는 기능은 단자들(41과 42)에 유지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박판(47e)은 상기 장치의 케이싱(10b)에 고정된 연결 박판(54)의 일단부에 전도성 있게 연결되며, 연결 박판(54)의 반대쪽 단부는 추가 단자(53)를 지탱한다.

Claims (7)

  1. 특히 가전기기를 위한 도어 잠금 장치(door-locking device)(1)로서,
    가전기기의 도어를 잠그기 위해 이동 가능한 래칭 슬라이더(movable latching slider)(7)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잠금 핀(locking pin)(11)을 포함하는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핀(11)은, 상기 래칭 슬라이더(7)가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휴지 위치(rest position)와, 상기 래칭 슬라이더(7)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10)는,
    자기 전도성 재료의 요크(yoke)(21);
    상기 요크(21)에 고정되며 상기 요크(21)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극성이 부여된 영구자석(23)을 포함하는 자석부(magnet part)(22);
    상기 자석부(22)의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전자석들(26)로서, 각각의 전자석(26)은 상기 요크(21)에 고정된 자기 전도성 재료의 코어(27) 및 상기 코어(27)에 감긴 솔레노이드(28)를 포함하는, 두 개의 전자석들(26); 및
    자기 전도성 재료의 요동 키퍼(rocking keeper)(29)로서, 상기 키퍼의 코너 부분(29c)을 통해 서로 각을 이루며 연결된 두 개의 아암들(29a, 29b)을 포함하며, 상기 코너 부분(29c)은, 상기 키퍼(29)가 상기 전자석들의 코어들(27)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와 각각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코너 부분(29d) 둘레로 요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자석부(22)의 지지 표면(25) 상에 얹히는, 요동 키퍼(29);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핀(11)은, 상기 키퍼(29)가 상기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각각 상기 휴지 위치 또는 잠금 위치를 취하는(assume) 방식으로, 상기 키퍼의 아암들 중 하나의 아암(29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10)는 검출 스위치(4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 스위치는 상기 래칭 슬라이더(7)의 움직임에 따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도어 잠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위치(45)는 상기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60)의 제1 및 제2 전기 단자(41, 42) 사이에서 상기 전자석들(26)의 솔레노이드들(28)과 직렬로 배치되는, 도어 잠금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위치(45)는, 고정 콘택트 요소(45e), 폐쇄에서 상기 고정 콘택트 요소(45e)를 향해 탄성적으로 응력이 가해지는 가동 콘택트 요소(movable contact element)(45c), 및 추종 단부(follower end)(46c)를 가진 회전 가능한 제어 부재(46)를 포함하되, 상기 추종 단부(46c)는 상기 제어 부재(46)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래칭 슬라이더(7)에 형성된 캠(cam)(7a)에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어 부재(46)의 추종 단부(46c)는 상기 가동 콘택트 요소(45c)를 상기 고정 콘택트 요소(45e)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어 부재(46)의 추종 단부(46c)는 상기 가동 콘택트 요소(45c)가 상기 고정 콘택트 요소(45e)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도어 잠금 장치.
  5. 전기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10)는 잠금 스위치(4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 스위치는 상기 잠금 핀(11)의 움직임에 따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도어 잠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칭 슬라이더(7)의 이동에 뒤따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는 검출 스위치(45)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출 스위치(45)는 상기 전자기계적 제어 장치(60)의 제1 및 제2 전기 단자(41, 42) 사이에서 상기 전자석들(26)의 솔레노이드들(28)과 직렬로 배치되고, 상기 잠금 스위치(47)는 하나의 리드(lead)에서 제3 단자(53)에 연결되고, 다른 리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기 단자들(41, 42) 사이의 라인(41a, 42a)에 연결되는, 도어 잠금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스위치(47)는, 고정 콘택트 요소(47e)와 가동 콘택트 요소(47c), 및 상기 잠금 핀(11)과 통합된 제어 부속물(control appendage)(11b)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부속물(11b)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가동 콘택트 요소(47c)에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가동 콘택트 요소(47c)는 상기 고정 콘택트 요소(47e)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어 부속물(11b)은 상기 가동 콘택트 요소(47c)에 가해진 탄성력의 작용에 대항하여 상기 가동 콘택트 요소(47c)를 상기 고정 콘택트 요소(47e)와 접촉한 상태로 유지하는, 도어 잠금 장치.
KR1020197029826A 2017-04-10 2018-04-09 특히 가전기기를 위한 도어 잠금 장치 KR102481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039143 2017-04-10
IT102017000039143A IT201700039143A1 (it) 2017-04-10 2017-04-10 Dispositivo blocca-porta, particolarmente per apparecchi elettrodomestici.
PCT/IB2018/052441 WO2018189640A1 (en) 2017-04-10 2018-04-09 Door locking device, particularly for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731A true KR20200014731A (ko) 2020-02-11
KR102481001B1 KR102481001B1 (ko) 2022-12-23

Family

ID=5957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9826A KR102481001B1 (ko) 2017-04-10 2018-04-09 특히 가전기기를 위한 도어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99913B2 (ko)
EP (1) EP3610104B1 (ko)
KR (1) KR102481001B1 (ko)
IT (1) IT201700039143A1 (ko)
WO (1) WO20181896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39100A1 (it) * 2017-04-10 2018-10-10 Bitron Spa Dispositivo blocca-porta, particolarmente per apparecchi elettrodomestici.
IT201800006542A1 (it) 2018-06-22 2018-09-22 Dispositivo blocco-porta.
PL4092229T3 (pl) * 2021-05-20 2024-05-06 Locinox Zamek drzwiowy zamykany za pomocą elektrycznie uruchamianego mechanizmu blokującego oraz zastosowanie takiego zamk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2331A1 (de) * 1984-08-18 1986-02-26 Ellenberger & Poensgen GmbH Türverriegelungsvorrichtung mit Sofortverriegelung und verzögerter Entriegelung mit Wasserstandsüberwachu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3343A (en) * 1969-11-07 1971-11-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omechanical door lock for laundry apparatus
US4286811A (en) * 1978-03-15 1981-09-01 Schantz Spencer C Bimetal actuated locking device
US4342476A (en) * 1980-07-24 1982-08-03 Eaton Corporation Electromechanical lid latch assembly
US5019935A (en) * 1990-04-06 1991-05-28 Ikuro Nakamura Protection circuit for electrical appliance
US5629662A (en) * 1995-02-01 1997-05-13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Low energy memory metal actuated latch
IT1296669B1 (it) * 1997-12-22 1999-07-14 Bitron Spa Dispositivo di bloccaggio e sbloccaggio di un portello di un apparecchio elettrodomestico.
DE10038376C2 (de) * 2000-08-07 2003-04-30 Zangenstein Elektro Türverriegelung für die Tür eines elektrischen Haushaltsgerätes
WO2009145747A1 (en) * 2007-05-24 2009-12-03 Face Bradbury R Lighting fixture with low voltage transformer & self-powered switching system
SI22866A (sl) * 2008-09-03 2010-03-31 ITW@METALFLEX@@d@o@o@@Tolmin Varnostna zapora vrat gospodinjskega aparata prednostno pralnega stroja
IT1402638B1 (it) * 2010-11-04 2013-09-13 Bitron Spa Modulo attuatore perfezionato, sistema di bloccaggio-sbloccaggio di un portello di un elettrodomestico e relativo metodo di funzionamento.
JP2015510121A (ja) 2012-02-07 2015-04-02 ティ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ライヘム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メット ベペルクテ アーンスプラケリイクヘイト 光ファイバの視覚的検査方法
CN103295847B (zh) * 2012-03-01 2016-12-07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驱动装置及具有该驱动装置的继电器
ITRM20130017A1 (it) * 2013-01-10 2014-07-11 Bitron Spa Dispositivo blocco-porta ad attivazione magnetica.
US9528298B2 (en) * 2013-07-17 2016-12-27 Illinois Tool Works, Inc. Appliance latch with uni-directional actuator
HU230782B1 (hu) * 2014-03-19 2018-05-02 Istvan Andor Suemegi Elektromágneses mûködtetésû bistabil reteszelõ eszköz
IT201700075600A1 (it) * 2017-07-05 2019-01-05 Illinois Tool Works Blocco porta elettromagnetic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2331A1 (de) * 1984-08-18 1986-02-26 Ellenberger & Poensgen GmbH Türverriegelungsvorrichtung mit Sofortverriegelung und verzögerter Entriegelung mit Wasserstandsüberwach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1001B1 (ko) 2022-12-23
US20210102403A1 (en) 2021-04-08
US11299913B2 (en) 2022-04-12
EP3610104A1 (en) 2020-02-19
WO2018189640A1 (en) 2018-10-18
EP3610104B1 (en) 2021-01-20
IT201700039143A1 (it) 2018-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001B1 (ko) 특히 가전기기를 위한 도어 잠금 장치
KR102482397B1 (ko) 특히 가전기기를 위한 도어 잠금 장치
US6025766A (en) Trip mechanism for an overload relay
US7549685B2 (en) Lock for a household appliance
WO2013181289A9 (en) Electromagnetic door-lock
KR20010043645A (ko) 전기적 과부하에 대한 접점 메커니즘
US20200115843A1 (en) Electromagnetic Door Lock
KR102078713B1 (ko) 자기로 작동되는 도어잠금장치
JPS5916629B2 (ja) 錠止装置
CN110630104B (zh) 门锁装置
EP2834829B1 (en) Door locking device with integrated door sensing switch
RU216214U1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ого замка
KR20190020128A (ko) 중전압 회로 차단기용 액추에이터
US11732503B2 (en) Device for closing and opening and/or for locking and unlocking doors, in particular doors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or the like
EP3352195B1 (en) Electromechanical relay with test button
GB190119072A (en) Improvements in Thermostatic Swit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