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121A -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121A
KR20200014121A KR1020180089593A KR20180089593A KR20200014121A KR 20200014121 A KR20200014121 A KR 20200014121A KR 1020180089593 A KR1020180089593 A KR 1020180089593A KR 20180089593 A KR20180089593 A KR 20180089593A KR 20200014121 A KR20200014121 A KR 20200014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chain
service
api
transaction
web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로
Priority to KR102018008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4121A/ko
Publication of KR20200014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04L67/32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에 참여하지 않은 노드들에게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은 노드에게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웹 서비스를 처리한 웹 서버로부터 API에 대한 호출을 요구받는 단계;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된 API 키를 획득하고 상기 API 키가 사용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API 키가 사용 가능하면, 상기 호출을 요구받은 API를 상기 웹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한 API를 통해서 생성된 트랜잭션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lock chain service}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체인에 참여하지 않은 노드들에게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동일 원장(즉, 트랜잭션)을 모든 노드가 공유하여,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운영하고 더불어 해킹과 변조를 막는 기술이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블록들이 체인 형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웹 서버, 클라이언트 단말 등의 노드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형성하고 있는 특정 그룹에 연결되어야 한다. 또한, 해당 노드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각각의 노드들은 자신의 서비스에 맞는 특화된 블록체인 기술이 필요하기도 한다. 부연하면,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에서 적용되는 블록체인 기술들은 가상화폐의 거래기록을 저장하는 형태로서, 이러한 기존의 블록체인 기술을 쇼핑 서비스, 콘텐츠 서비스 등에서와 같은 웹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설계 변경이 필요하다.
그런데 블록체인을 설계 변경하는 경우, 개발 비용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블록체인에 연결되지 않은 노드들에게도 블록체인 기술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은 노드에게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웹 서비스를 처리한 웹 서버로부터 API에 대한 호출을 요구받는 단계;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된 API 키를 획득하고 상기 API 키가 사용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API 키가 사용 가능하면, 상기 호출을 요구받은 API를 상기 웹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한 API를 통해서 생성된 트랜잭션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호출을 요구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웹 서비스의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등록을 요구받는 단계; 및 상기 웹 서비스의 제공자를 블록체인 서비스에 등록하고, 상기 API 키를 상기 제공자에게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전자 서명을 수행하고, 상기 전자 서명 및 상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할 수 있다.
상기 호출을 요구받는 단계는, 상기 웹 서비스의 유형과 대응되는 API의 호출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요구받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은, 블록체인과 연동하기 위한 복수의 API를 저장하고, 웹 서비스를 처리한 웹 서버로부터 API에 대한 호출을 요구받으면 상기 웹 서버의 저장중인 API 키가 사용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API 키가 사용 가능한 경우 상기 호출을 요구받은 API를 상기 웹 서버로 제공하는 API 라이브러리; 및 상기 제공된 API를 통해서 생성된 트랜잭션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관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API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웹 서버와 같은 일반 노드(즉,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은 노드)의 서비스 처리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함으로써, 블록체인을 편리하게 범용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웹 서비스 사업자가 블록체인 기술을 확보하지 않아도,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에 등록하면, 웹 서비스 처리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기존 노드들의 서비스 처리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함으로써, 웹 서비스에 대한 투명성, 신뢰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자를 블록체인 서비스에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웹 서비스의 처리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이 적용되는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와 연결되고, 네트워크(500)를 통해서 웹 서버(400), 통신 단말(110, 120) 각각과 통신한다.
이하, 통신 단말(110, 120) 중에서 참조부호 110를 가지는 통신 단말은 제1통신 단말(110), 참조부호 120을 가지는 통신 단말은 제2통신 단말(120)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제1통신 단말(110)은 웹 서비스를 일반 유저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지한 단말로서,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 단말(110)은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에 블록체인 서비스 등록을 요청하여 API 키를 발급받을 수 있다. 상기 API 키는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API에 접근할 수 있는 일종의 API 접근 인증정보이다. 또한, 제1통신 단말(110)은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는 웹 서버(400)에 접속한 후, 상기 발급받은 API 키를 이용하여 웹 서버(400)와 블록체인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제2통신 단말(120)은 일반 사용자가 소지한 통신 장치로서,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 단말(120)은 웹 서버(400)로 접속하여, 온라인 쇼핑 서비스, 금융 서비스, 콘텐츠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웹 서버(400)는 온라인 쇼핑 서비스, 금융 서비스, 콘텐츠 서비스 등과 같은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상기 웹 서버(400)는 웹 서비스가 요청되면, API 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에 저장된 복수의 API 중에서 필요 API를 호출한 후, 이 호출한 API를 통해서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트랜잭션은 쇼핑 거래 정보, 금융 거래 정보, 디지털 콘텐츠 구매(또는 거래) 정보 등 중에서 어느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복수의 노드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트랜잭션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속하는 각 노드들은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이 트랜잭션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 이때,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속하는 노드들은 전자 서명의 진위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포함된 각 노드들은 트랜잭션이 기록되며 블록 간에 연결 구조를 가지는 블록체인을 서로 공유한다. 상기 트랜잭션은 웹 서버(400)에서 사용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면 발생한다. 상기 웹 서비스의 예로서, 온라인 쇼핑 서비스, 금융 거래 서비스,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등이 있다.
상기 블록은 블록 헤더와 트랜잭션으로 구성된다. 블록 헤더는 이전 블록 해시값, 머클루트(Markle Root), 난스(Nonce), 타임스탬프를 포함한다. 상기 이전 블록 해시는 마스터 블록체인 구조에서 이전 블록(즉, 부모 블록)에 대한 해시 참조값을 나타낸다. 머클루트는 머클 트리 루트에 대한 해시(hash)이다. 타임 스탬프는 블록의 생성시간이 기록된다. 트랜잭션은 쇼핑 거래 정보, 금융 거래 정보, 디지털 콘텐츠 구매(또는 거래) 정보 등과 웹 서비스의 처리 내역이 저장된다.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은 블록체인을 관리하고, 더불어 웹 서버(400)와 연동하여 웹 서비스 처리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은 등록 처리부(210), 키 관리부(220), 비용 관리부(230), API 라이브러리(library)(240) 및 블록체인 관리부(250)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등록 처리부(210), 키 관리부(220), 비용 관리부(230) 및 블록체인 관리부(250)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로 상기 메모리에 탑재(저장)될 수 있다.
API 라이브러리(24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와 연동될 수 있는 복수의 API를 저장한다. 각각의 API는 사용 용도(즉, 유형)에 따라서 그 기능이 구별되어 API 라이브러리(240)에 저장된다. 예를 들어, 계좌 이체와 관련된 API가 API 라이브러리(240)에 저장될 수 있고, 디지털 콘텐츠 구매에 대한 API가 API 라이브러리(24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물품 구매 또는 판매에 대한 API가 API 라이브러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패스워드 변경과 관련된 API가 API 라이브러리(240)에 저장될 수 있고, 회원 가입/탈퇴와 관련된 API가 API 라이브러리(24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더불어 포인트 충전과 관련된 API가 API 라이브러리(24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API들을 통해서, 웹 서비스와 관련된 트랜잭션이 생성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파된다. 상기 API 라이브러리(240)는 웹 서버(400)로부터 특정 API의 호출을 요구받으면, 웹 서버(400)에 저장중인 API 키를 확인하고, 이 API 키가 사용 가능 상태인 경우에만 호출 요구된 API를 웹 서버(400)로 제공한다.
등록 처리부(210)는 서비스 제공자를 블록체인 서비스에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등록 처리부(210)는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즉, 제1통신 단말)로부터 블록체인 서비스를 요청받으면, 세부 정보를 획득하고, 서비스 제공자를 인증한 후, 세부 정보를 회원 정보(즉, 블록체인 회원 정보)로 저장한다. 상기 세부 정보에는 서비스 제공자의 성명(또는 상호명), 생년월일(또는 사업자 번호), 전화번호, 계좌번호, 연동되는 웹 서버의 주소, 웹 서버의 서비스 유형 등이 포함된다.
키 관리부(220)는 복수의 API 키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키 관리부(220)는 등록된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로 API 키를 발급한다. 상기 키 관리부(220)는 비용 입금 내역을 토대로, 발급된 API 키 중에서 사용 허용 상태 또는 사용 불가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비용 관리부(230)는 블록체인 서비스 비용을 서비스 제공자별로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비용 관리부(230)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블록체인 서비스 비용을 입급받아 관리한다. 상기 서비스 비용은 월 정액으로 관리될 수 있으며, 또는 사용량에 비례하여 책정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비용은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선입금될 수 있다.
블록체인 관리부(250)는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의 개인키로 전자 서명을 수행한 후, 상기 전자 서명과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파한다. 즉, 블록체인 관리부(250)는 웹 서버(400)에서 처리한 웹 서비스를 토대로 트랜잭션이 생성되면, 이 트랜잭션과 전자 서명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서비스 제공자를 블록체인 서비스에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의 등록 처리부(210)는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인 제1통신 단말(110)로부터 서비스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301).
그러면, 등록 처리부(210)는 상기 제1통신 단말(110)로 세부 정보를 요청하고(S303), 서비스 제공자의 성명(또는 상호명), 생년월일(또는 사업자 번호), 전화번호, 계좌번호, 연동되는 웹 서버의 주소, 웹 서버의 서비스 유형 등이 포함하는 세부 정보를 제1통신 단말(110)로부터 수신한다(S305).
이어서, 등록 처리부(210)는 상기 세부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자를 인증을 수행하거나, 외부의 본인 인증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본인 인증을 수행한다(S307). 이때, 등록 처리부(210)는 세부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 제공자의 정보(즉, 생년월일, 성명, 전화번호)를 토대로 서비스 제공자를 인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등록 처리부(210)는 서비스 제공자의 인증에 실패하면, 인증 실패 사실을 제1통신 단말(110)로 전송하고, 블록체인 서비스 등록을 실패 처리한다. 반면에, 등록 처리부(210)는 서비스 제공자의 인증에 성공하면, 키 관리부(220)로 API 키 발급을 요청한다.
그러면, 키 관리부(220)는 현재 발급되지 않은 API 키를 확인하여, 이 API 키를 제1통신 단말(110)로 발급한다(S309). 이때, 키 관리부(220)는 상기 발급한 API 키에 대한 사용 상태를 사용 불가능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1통신 단말(110)은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한 API 키를 저장하고, 서비스 제공자의 조작에 의해서 일정한 서비스 사용료를 선 입금한다(S313). 이때, 서비스 제공자는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계좌번호로 상기 서비스 사용료를 선 입금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신 단말(110)은 서비스 사용료가 입금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S315).
다음으로,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의 비용 관리부(230)는 금융사 서버(예컨대, 은행 서버)를 통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비용을 입금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입금이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식별정보와 상기 입금 비용을 매핑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키 관리부(220)는 서비스 비용이 입금됨에 따라 상기 발급한 API 키에 대한 사용 상태를 사용 가능 상태로 설정한다(S317). 다음으로,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의 등록 처리부(210)는 정상적으로 블록체인 서비스에 등록되었음을 제1통신 단말(110)로 알린다.
한편, 서비스 사용료는 후불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키 관리부(220)는 비용 입금에 관계없이 우선 상기 발급한 API 키에 대한 사용 상태를 사용 가능 상태로 설정하고, 이후에 서비스 사용료가 지정된 날짜에 입금되지 않으면 상기 API 키의 사용 상태를 사용 불가능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통신 단말(110)은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는 웹 서버(400)에 접속한 후, 상기 발급받은 API 키를 이용하여 웹 서버(400)와 블록체인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S319).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자는 제1통신 단말(110)을 이용하여 웹 서버(400)에서 발생하는 온라인 쇼핑 거래 정보, 계좌 이체 정보, 콘텐츠 구매 정보, 패스워드 변경 정보, 회원 가입/탈퇴 정보, 포인트 충전 정보 등이 블록체인에 저장되도록, 웹 서버의 서비스 기능과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에서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API를 연동시킬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자는 발급받은 API 키를 연동 수단으로서, 상기 웹 서버(400)에 저장한다. 한편, 연동 설정을 구성한 서비스 제공자는 블록체인과의 연동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웹 서비스의 처리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반 사용자가 소지한 제2통신 단말(120)은 웹 서버(400)에 접속하여, 온라인 쇼핑 서비스, 금융 서비스, 콘텐츠 구매 등과 같은 서비스를 요청한다(S401).
그러면, 웹 서버(400)는 제2통신 단말(120)이 요구한 웹 서비스를 처리하고(S403), 이 서비스 유형과 대응되는 API를 확인한다. 그리고 웹 서버(400)는 사전에 저장된 API 키를 이용하여 상기 확인한 API를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에서 호출한다(S405).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API는 사용되는 유형(즉, 용도)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웹 서버(400)는 처리한 웹 서비스와 유형을 확인하여 이 유형과 대응되는 API를 호출을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요구한다. 그리고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의 API 라이브러리(240)는 웹 서버(400)로부터 API 키를 수신하고, 이 API 키가 사용 가능 상태인 경우에, 호출 요구된 API를 웹 서버(400)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웹 서버(400)는 상기 호출한 API를 통해서, 콘텐츠 거래 내역, 금융 거래 내역, 온라인 쇼핑 거래 내역, 회원 가입/탈퇴 정보, 포인트 충전 정보 등 중에서 어느 하나가 기록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이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S407).
그러면,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의 키 관리부(220)는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전자 서명을 수행한 후, 수신한 트랜잭션과 전자서명을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파한다(S409).
이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포함된 각 노드들은 상기 트랜잭션을 검증한다. 이때,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의 각 노드들은 상기 전자 서명의 진위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트랜잭션을 검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의 각 노드들은, 트랜잭션의 검증에 성공하면, 이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신규 블록을 생성하고, 이 신규 블록을 기존의 블록과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저장한다(S411).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의 비용 관리부(230)는 상기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정상적으로 저장되면, 상기 선 입금된 서비스 비용에서 상기 트랜잭션 처리에 따른 비용을 차감하여 선 입금된 서비스 비용을 갱신한다(S413). 한편, 비용 관리부(230)는 서비스 비용이 후불인 경우, 상기 트랜잭션 처리에 따른 비용을 기존에 비용에 가산하여 청구할 서비스 비용을 갱신한다. 또 다른 예로서, 비용 관리부(230)는 서비스 비용이 정액제인 경우, 상기 트랜잭션 처리에 따른 로그 데이터를 축적하여 저장하고, 서비스 비용 차감 또는 갱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200)은 API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웹 서버(400)와 같은 일반 노드(즉,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은 노드)의 서비스 처리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되게 함으로써, 블록체인 기술을 용이하게 범용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120 : 통신 단말
200 :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
300 : 블록체인 네트워크
400 : 웹 서버
500 : 네트워크
210 : 등록 처리부
220 : 키 관리부
230 : 비용 관리부
240 : API 라이브러리
250 : 블록체인 관리부

Claims (7)

  1.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은 노드에게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웹 서비스를 처리한 웹 서버로부터 API에 대한 호출을 요구받는 단계;
    상기 웹 서버에 저장된 API 키를 획득하고 상기 API 키가 사용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API 키가 사용 가능하면, 상기 호출을 요구받은 API를 상기 웹 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한 API를 통해서 생성된 트랜잭션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을 요구받는 단계 이전에,
    상기 웹 서비스의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등록을 요구받는 단계; 및
    상기 웹 서비스의 제공자를 블록체인 서비스에 등록하고, 상기 API 키를 상기 제공자에게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전자 서명을 수행하고, 상기 전자 서명 및 상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을 요구받는 단계는,
    상기 웹 서비스의 유형과 대응되는 API의 호출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요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5.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블록체인과 연동하기 위한 복수의 API를 저장하고, 웹 서비스를 처리한 웹 서버로부터 API에 대한 호출을 요구받으면 상기 웹 서버의 저장중인 API 키가 사용 가능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API 키가 사용 가능한 경우 상기 호출을 요구받은 API를 상기 웹 서버로 제공하는 API 라이브러리; 및
    상기 제공된 API를 통해서 생성된 트랜잭션을 상기 웹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여 상기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관리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비스의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등록을 요구받아, 상기 웹 서비스의 제공자를 블록체인 서비스에 등록하는 등록 처리부; 및
    서비스 등록된 상기 제공자에게 상기 API 키를 발급하는 키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관리부는,
    상기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전자 서명을 수행하고, 상기 전자 서명 및 상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서비스 시스템.
KR1020180089593A 2018-07-31 2018-07-31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4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593A KR20200014121A (ko) 2018-07-31 2018-07-31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593A KR20200014121A (ko) 2018-07-31 2018-07-31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121A true KR20200014121A (ko) 2020-02-10

Family

ID=6962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593A KR20200014121A (ko) 2018-07-31 2018-07-31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41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4035A (zh) * 2020-12-12 2021-04-09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区块链的服务发布交互方法、系统、设备及应用
CN116260655A (zh) * 2023-05-06 2023-06-13 杭州瀚陆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深海机器人数据传输方法和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34035A (zh) * 2020-12-12 2021-04-09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区块链的服务发布交互方法、系统、设备及应用
CN116260655A (zh) * 2023-05-06 2023-06-13 杭州瀚陆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深海机器人数据传输方法和系统
CN116260655B (zh) * 2023-05-06 2023-07-25 杭州瀚陆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深海机器人数据传输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7632B2 (en) Electronic bill management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817345B2 (en) Distributed ledger for monitoring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cloud service providers
WO2020024968A1 (zh) 资源转移数据管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9102269B (zh) 基于区块链的转账方法及装置、区块链节点及存储介质
CN109508970B (zh) 基于区块链的汇款方法及装置
CN110557403B (zh) 基于区块链的资源分配方法、装置、存储介质及节点设备
CN110659906B (zh) 票据信息处理方法、相关设备及介质
WO2015116998A2 (en) Electronic transfer and obligation enforcement system
CN111309745B (zh) 虚拟资源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640604B2 (en) Automated blockchain address creation and transfers by uniform resource locator generation and execution
US202200363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exchange
KR20190132047A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플랫폼 제공 방법
US20220156725A1 (en) Cross-chain settlement mechanism
CN112001713A (zh) 区块链系统以及请求处理方法和装置
CN113947394A (zh) 云存储中重复数据可删除的基于区块链的公平支付方法
KR20190132054A (ko)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제공 방법
CN110674531A (zh) 基于区块链的居住信息管理方法、装置、服务器及介质
KR10233381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카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4121A (ko) 블록체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20059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과금 공증장치, 과금 시스템 및 과금방법
CN114462989A (zh) 数字货币硬件钱包应用的启用方法、装置和系统
CN110599176A (zh) 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节点设备
KR20210117731A (ko)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내역 확인 시스템
JP2020047216A (ja) 課金情報生成プログラム、課金情報生成装置及び課金情報生成方法
CN111415148A (zh) 无感支付的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