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063A -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063A
KR20200014063A KR1020180089475A KR20180089475A KR20200014063A KR 20200014063 A KR20200014063 A KR 20200014063A KR 1020180089475 A KR1020180089475 A KR 1020180089475A KR 20180089475 A KR20180089475 A KR 20180089475A KR 20200014063 A KR20200014063 A KR 2020001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pull
pipe
columna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웅
강정원
우한준
정갑식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89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4063A/ko
Publication of KR2020001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2Dippers; Dred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06Dispersed solids
    • G01N2001/1012Suspensions
    • G01N2001/1025Liquid suspensions; Slurries; Mud; Slud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구나 갯벌을 포함하는 연안환경에서 주상 퇴적물을 수동으로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퇴적물에 관입되는 채취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채취관 내부를 선택적으로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진공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발생수단은, 하단 결합부가 상기 채취관의 상단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고, 상단 일측에는 밸브를 갖는 배출부가 형성된 헤드몸체; 및 상기 채취관이 퇴적물로 관입될 때 상기 채취관 내부의 공기나 물을 배출하면서 진공상태로 형성하도록 상기 배출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채취관의 상단부에 채취관 내부의 진공상태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진공발생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채취관을 퇴적층에 관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진공펌프로 채취관 내부의 진공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채취되는 주상 퇴적물 시료의 교란 및 유실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SAMPLING APPARATUS FOR SEDIMENT WITH CONFIRMING FUNCTION OF CORER}
본 발명은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구나 갯벌을 포함하는 연안환경에서 주상 퇴적물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시료의 교란 없이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 하구나 갯벌을 포함하는 연안 환경에서 퇴적 지형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해저면에서 퇴적층의 시료를 채취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채취된 퇴적층의 시료는 지질학적, 지질공학적, 지구화학적 및 생물학적 연구 등 관범위 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퇴적층 시료를 채취를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8908호(공고일 : 2014.02.24)에 중력 피스톤 코어 채취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중력 피스톤 코어 채취기는, 지지용 파이프의 한쪽이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중량물 지지체와, 상기 중량물 지지체와 상기 지지용 파이프에 결합되는 중량물로 이루어진 중량부; 상기 중량물 지지체에 일단이 결합되고, 선박의 윈치에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지지용 파이프와 중량물 지지체를 관통하여 일단부에 결합되는 피스톤을 구비한 시료채취관이 내부에 결합되는 보호 파이프; 상기 보호 파이프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트리거 하우징과, 상기 트리거 하우징에 걸리거나 걸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피스톤에 마련되는 트리거 암들을 포함하는 트리거 장치; 해저면에 닿는 압력에 의해 입구를 개방하여 퇴적물 시료가 상기 시료채취관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캐쳐가 내부에 결합되며, 소정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트리거 하우징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단부가 해저면에 닿는 압력에 의해 상기 트리거 하우징 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트리거 암들을 걸림 해제시키기 위한 캐쳐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시료 채취장치는 중량부와 함께 낙하하는 시료채취관이 트리거 장치를 통해 중량체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퇴적층에 박히면서 퇴적물 시료를 내부에 수용한 후 캐쳐를 통해 차폐되어 퇴적물 시료를 채취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선행기술은 시료채취관이 해수를 통해 해저면으로 낙하하면서 수압이나 조류가 가해짐에 따라 퇴적층에 수직상태로 박히지 못하고 경사상태로 해저면에 박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시료채취관이 해저면에 경사상태로 박힐 경우에는 퇴적층이 수직상태로 수용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시료채취관에 수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퇴적물 시료를 채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은 시료채취관이 수직상태로 낙하한다 하더라도 퇴적층에 박힌 시료채취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료 채취관의 방향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믹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076호(공고일 : 2015.01.26)에는 수중 퇴적물 시료 채취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 시료 채취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마개(3)와, 상부마개(3)에 결합되는 니플(5)과, 니플(5)에 결합되는 캡너트(6)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시료 채취기는 퇴적물의 조사를 위하여 시료를 채취할 때 잠수부가 휴대하고 들어가서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토양 퇴적물층의 상태를 왜곡됨이 없이 원상태 그대로 시료를 채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선행기술에 의한 시료 채취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채취관이 퇴적물에 관입될 때 채취관 내부의 공기 또는 물이 니플을 통하여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물 등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없었고, 따라서 채취관의 관입이 어려운 문제점 있었다.
둘째, 통상 1 - 2m 길이로 형성된 채취관을 퇴적물에 관입시킨 후 회수하는 과정에서, 채취관의 외주면이 퇴적물과 밀착됨으로써 채취관을 빼내어 회수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하였고, 특히 수중에서의 회수 작업은 더욱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다.
셋째, 채취관의 상부마개에 구비된 니플에 캡너트 만을 체결하여 채취관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채취관이 퇴적물에 관입된 후 회수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퇴적물이 중력에 의해 채취관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선행기술에 의한 시료 채취기는, 채취관의 상단에 니플을 구비한 상부마개만 구비됨으로써, 퇴적물을 채취 작업이 불편하였고, 채취된 퇴적물 시료의 교란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8908호(공고일 : 2014.02.24) . 대한믹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6076호(공고일 : 2015.01.26)
본 발명의 목적은, 하구나 갯벌을 포함하는 연안환경에서 주상 퇴적물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시료의 교란없이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구나 갯벌을 포함하는 연안환경에서 주상 퇴적물을 수동으로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퇴적물에 관입되는 채취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채취관 내부를 선택적으로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진공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발생수단은, 하단 결합부가 상기 채취관의 상단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고, 상단 일측에는 밸브를 갖는 배출부가 형성된 헤드몸체; 및 상기 채취관이 퇴적물로 관입될 때 상기 채취관 내부의 공기나 물을 배출하면서 진공상태로 형성하도록 상기 배출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하단 결합부와 상기 채취관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하단 결합부가 결합되었을 때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기밀유지링들이 설치되고, 상기 기밀유지링들은, 상기 하단 결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채취관의 상단 사이 및 상기 하단 결합부의 내주면과 상기 채취관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채취관의 상단 영역 중에서 상기 하단 결합부가 결합되는 영역을 제외하는 상단 영역에는 상기 채취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채취관을 관입할 때 망치를 포함한 타격부재로 타격할 수 있도록 평편한 타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전기펌프를 구비하거나, 수동으로 펌핑 작동을 하도록 된 핸디형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헤드몸체의 측면 양쪽에는, 당김고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당김고리에는 상기 채취관을 퇴적물에서 빼낼 때 작업자가 당기도록 된 당김줄의 단부가 연결고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채취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채취관의 관입시 퇴적물과의 마찰저항이 최소화되어 관입 되도록 하고, 당김줄이 연결되기 위한 관입 첨단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관입 첨단부재는, 관입시 퇴적물이 통과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채취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의해 첨단부가 형성되고, 양쪽 외주면에는 당김줄이 연결되기 위한 당김고리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당김고리가 형성된 상기 관입 첨단부재의 외주면 상,하부 영역에는, 퇴적물로의 관입 및 잡아당겨 빼낼 때 퇴적물과의 간섭으로 인한 간섭이나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당김고리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상기 당김고리의 상단 쪽으로 경사진 회피면을 갖는 간섭회피돌기들이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회피돌기들 중에서 상부에 위치한 간섭회피돌기의 끝단에는, 상기 당김줄을 상향으로 당길 때 상기 당김줄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기 위한 당김줄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채취관의 상단부에 채취관 내부의 진공상태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진공발생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채취관을 퇴적층에 관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진공펌프로 채취관 내부의 진공상태를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채취되는 주상 퇴적물 시료의 교란 및 유실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1 - 2m 길이의 채취관을 퇴적물로부터 빼낼 때 헤드몸체 또는 관입 첨단부재에 구비되는 당김줄을 이용하여 잡아 당김으로써 채취관을 퇴적물로부터 빼내 회수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퇴적물 시료 채취장치를 도시한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100)는, 하구나 갯벌을 포함하는 연안환경에서 주상 퇴적물을 수동으로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퇴적물에 관입되는 채취관(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채취관(110) 내부를 선택적으로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진공발생수단(120)을 포함한다.
진공발생수단(120)은, 하단 결합부(헤드몸체A)가 채취관(110)의 상단부(112)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고, 일측에는 밸브(B)를 갖는 배출부(헤드몸체B)가 형성된 헤드몸체(헤드몸체)와, 채취관(110)이 퇴적물로 관입될 때 채취관(110) 내부의 공기나 물을 배출하면서 진공상태로 형성하도록 배출부(122B)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진공펌프(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몸체(122)의 하단 결합부(122A)와 채취관(110)의 상단부(112) 사이에는, 하단 결합부(122A)가 결합되었을 때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기밀유지링(130)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기밀유지링(130)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다. 즉, 하나의 기밀유지링(130)은 하단 결합부(122A)의 내주면(122A-2)에 형성된 단턱(122A-1)과 채취관(110) 상단부(112)의 상단면(112A)에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하단 결합부(122A)와 채취관(110)의 상단부(112)가 체결되어 결합되었을 때 상단면(112A)이 단턱(122A-1)의 설치홈에 안착된 기밀유지링(130)을 압축시키면서 밀착되므로 단턱(122A-1)과 상단면(112A) 사이에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하단 결합부(122A)의 내주면(122A-2)에 형성된 각 설치홈에 각각의 기밀유지링(130)이 설치되므로, 채취관(110)을 하단 결합부(122A)에 체결하게 되면 채취관(110)의 외주면(112B)이 각 기밀유지링(130)을 압박하면서 밀착되므로 하단 결합부(122A)와 채취관(110)의 외주면(112B) 사이에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채취관(110)의 상단부(112) 외주면(112B) 및 상단면(112A)에 고무 또는 실리콘 코팅을 하는 경우에 각 기밀유지링(130)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므로 기밀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관(110)에는 투명한 투시창(114)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채취관(110)의 상단 영역 중에서 하단 결합부(122A)가 결합되는 영역을 제외하는 상단 영역에는 채취관(11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14)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 투시장(114)을 통하여 채취관(110)이 퇴적물에 관입될 때 퇴적물의 관입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진공발생수단(120)의 작동시 채취관(110) 상부에서의 시료 교란상태 또는 물의 배출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몸체(122)의 상면에는, 채취관(110)을 퇴적물에 관입할 때 망치를 포함한 타격부재(H)로 타격할 수 있도록 평편한 타격부(122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타격부재(H)는 합성수지재나 고무 또는 목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는 타격부재(H)로 타격부(122C)를 타격할 때 헤드몸체(122)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채취관(110)에 과도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시료의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진공펌프(124)는, 헤드몸체(122)의 배출부(122B)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헤드몸체(122)의 내부 및 채취관(1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진공펌프(124)는 내장된 배터리 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전기펌프로 구성되거나, 수동으로 펌핑 작동을 하도록 된 핸디형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디형 펌프로 이루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100)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관(110)에 헤드몸체(122)가 결합되고, 헤드몸체(122)와 진공펌프(124)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채취관(110)의 하단부(116)를 지면 또는 해저면에 위치시킨 후 밸브(B)를 개방한다.
밸브(B)를 개방한 상태에서 헤드몸체(122)를 하향으로 가압하여 채취관(110)이 퇴적물에 관입되도록 한다. 이때, 타격부재(H)로 타격부(122C)를 가격하여 채취관(110)을 관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채취관(110)이 퇴적물에 관입될 때 진공펌프(124)를 작동시킨다. 진공펌프(124)가 작동되면 채취관(110)이 퇴적물로 관입 됨에 따라 채취관(1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헤드몸체(122)의 개방된 밸브(B)와 진공펌프(124)를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채취관(11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반발력으로 채취관(110)이 퇴적물 속으로 더욱 파고들게 된다. 따라서 채취관(110)을 퇴적물에 관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과정으로 채취관(110)의 관입이 완료되면, 밸브(B)를 닫고, 진공펌프(124)를 배출구(122B)로부터 분리한 후 채취관(110)을 퇴적물로부터 빼내어 이동한다. 이때, 밸브를 닫지 않고 진공펌프(124)를 분리하지 않으며, 진공펌프(124)를 작동시키면서 채취관(110)을 퇴적물로부터 회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채취관(110) 내부, 특히 채취관(110) 내측 상부 영역의 감압상태를 계속 유지시켜 채취관(110)의 회수시 채취된 시료가 중력에 의해 채취관(110)으로부터 빠져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채취관(110)을 퇴적물로부터 빼낸 후 채취관(110)의 하단부(116)를 하부캡(도시되지 않음)으로 폐쇄하여 시료의 유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채취관(110)의 관입시 진공펌프(124)를 작동시키면서 관입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채취관(110)의 관입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밸브(B)를 닫거나 진공펌프(124)를 계속 작동시킴으로써, 채취관(110) 내부의 진공상태가 유지되어 채취관(110)을 퇴적물에서 회수하더라도 채취된 시료의 유실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100)는, 헤드몸체(122)의 측면 양쪽에, 당김고리(122F)가 각각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당김고리(122F)는, 채취관(110)을 퇴적물로부터 빼낼 때 작업자가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각 당김고리(122F)에는 채취관(110)을 퇴적물에서 빼낼 때 작업자가 당기도록 된 당김줄(140)의 단부가 연결고리(142)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고리(142)는 연결 조작이 용이하도록 비너 또는 샤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쪽의 당김고리(122F)에 당김줄(140)이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양쪽의 당김줄(140)을 당길 수 있음으로써, 채취관(110)을 퇴적물에서 빼내어 회수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채취관(110)의 길이가 2m 정도로 긴 경우에 헤드몸체(122)만을 취부하여 퇴적물로부터 빼내는 작업이 쉽지 않으나, 전술한 각 당김줄(140)을 이용하여 2인 이상이 채취관(110)을 상부로 당길 경우에 채취관(110)을 용이하게 퇴적물로부터 빼내어 회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100)는, 채취관(110)의 하단부(116)에, 채취관(110)의 관입시 퇴적물과의 마찰저항이 최소화되어 관입 되도록 하고, 당김줄(140)이 연결되기 위한 관입 첨단부재(16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관입 첨단부재(1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취관(110)이 퇴적물에 관입될 때 퇴적물이 통과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채취관(110)의 하단부(116)에 결합되며,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62)에 의해 첨단부(164)가 형성되고, 양쪽 외주면에는 당김줄(140)이 연결되기 위한 당김고리(166)가 각각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당김고리(166)가 형성된 관입 첨단부재(160)의 외주면 상,하부 영역에는, 퇴적물로의 관입 및 잡아당겨 빼낼 때 퇴적물과의 간섭으로 인한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당김고리(166)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당김고리(166)의 상단 쪽으로 경사진 회피면(168A)을 갖는 간섭회피돌기(168)들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이 간섭회피돌기(168)들은 대략 삼각뿔 형상을 갖으나, 회피면(168A)은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한편, 상,하부의 간섭회피돌기(168)들 중에서 상부에 위치한 간섭회피돌기(168)의 끝단에는, 당김줄(140)을 상향으로 당길 때 당김줄(140)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기 위한 당김줄 수용홈(168B)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입 첨단부재(160)가 적용된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62)과 첨단부(164) 및 당김고리(166)들을 구비한 관입 첨단부재(160)를 채취관(110)의 하단부(116)에 체결하여 결합한다. 물론, 관입 첨단부재(160)를 채취관(110)에 결합한 후 각 당김고리(166)에 당김줄(140)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이어서, 각 당김고리(166)에 당김줄(140)들을 연결고리로 연결한 후 밸브(B)를 개방하고 진공펌프(124)를 작동시키면서 채취관(110)을 퇴적물에 관입한다.
이와 같이 채취관(110)을 퇴적물에 관입할 때 하단부(116)에 경사면(162)과 첨단부(164)를 구비한 관입 첨단부재(16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채취관(110)의 관입은 퇴적물의 저항이나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관입 첨단부재(160)에 퇴적물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사면(162)과 첨단부(164)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김고리(166)들을 기준으로 상,하부의 간섭회피돌기(168)들 중에서 하부쪽에 위치하는 간섭회피돌기(168)에 회피면(168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관입 첨단부재(160)의 관입시 퇴적물이 당김고리(166)에 접촉되지 않도록 퇴적물을 양쪽으로 분산시키게 된다. 따라서 채취관(110)이 관입될 때 당김고리(166)들에 의한 관입 저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즉, 당김고리(166)가 상,하부의 간섭회피돌기(168)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채취관(110)의 관입시 퇴적물과의 간섭으로 인한 저항이 발생 되지 않게 된다.
전술한 과정으로 채취관(110)의 관입이 완료되어 퇴적물이 채취관(110)의 내부에 채워지면, 작업자들은 양쪽의 당김줄(140)을 상향으로 당겨 채취관(110)을 퇴적물로부터 빼내 회수한다.
이와 같이 각 일단이 관입 첨단부재(160)의 양쪽 당김고리(166)에 각 일단이 연결된 각 당김줄(140)을 상향으로 당김으로써, 관입 첨단부재(160)와 결합된 채취관(110)의 회수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당김줄(140)을 상향으로 당길 때 당김줄(140)이 간섭회피돌기(168)의 끝단에 형성된 당김줄 수용홈(168B)이 삽입되므로 당김줄(140)이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양쪽의 당김줄(140)을 상향으로 당길 때 양쪽의 당김줄(140)이 정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당김줄(140)을 상향으로 당기는 힘이 정확하게 관입 첨단부재(160)에 전달될 수 있고, 따라서 채취관(110)의 회수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채취관(110)을 퇴적물에서 빼낼 때 간섭회피돌기(168)들 중에서 상부 쪽에 위치한 간섭회피돌기(168)가 퇴적물을 양쪽으로 회피시키게 되므로 각 당김고리(166)가 퇴적물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저항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는 당김고리(166)의 높이보다 간섭회피돌기(168)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채취관(110)의 상단에 진공펌프(124)를 구비한 헤드몸체(122)가 구비됨으로써, 채취관(110) 내부의 진공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채취되는 퇴적물 시료의 유실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몸체(122) 또는 관입 첨단부재(160)에 당김줄(140)을 연결하기 위한 당김고리(122F,166)이 구비됨으로써 채취관(110)의 회수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110 : 채취관
120 : 진공발생수단 122 : 헤드몸체
122A : 하단 결합부 122B : 배출부
122C : 타격부 122F, 166 : 당김고리
124 : 진공펌프 130 : 기밀유지링
140 : 당김줄 160 : 관입 첨단부재
162 : 경사면 164 : 첨단부
168 : 간섭회피돌기 168A : 회피면
168B : 당김줄 수용홈 B : 밸브
H : 타격부재

Claims (9)

  1. 하구나 갯벌을 포함하는 연안환경에서 주상 퇴적물을 수동으로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퇴적물에 관입되는 채취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채취관 내부를 선택적으로 진공상태로 형성하기 위한 진공발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발생수단은,
    하단 결합부가 상기 채취관의 상단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고, 상단 일측에는 밸브를 갖는 배출부가 형성된 헤드몸체; 및
    상기 채취관이 퇴적물로 관입될 때 상기 채취관 내부의 공기나 물을 배출하면서 진공상태로 형성하도록 상기 배출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결합부와 상기 채취관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하단 결합부가 결합되었을 때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기밀유지링들이 설치되고, 상기 기밀유지링들은, 상기 하단 결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과 상기 채취관의 상단 사이 및 상기 하단 결합부의 내주면과 상기 채취관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관의 상단 영역 중에서 상기 하단 결합부가 결합되는 영역을 제외하는 상단 영역에는 상기 채취관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채취관을 관입할 때 망치를 포함한 타격부재로 타격할 수 있도록 평편한 타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전기전기펌프를 구비하거나, 수동으로 펌핑 작동을 하도록 된 핸디형 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몸체의 측면 양쪽에는,
    당김고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당김고리에는 상기 채취관을 퇴적물에서 빼낼 때 작업자가 당기도록 된 당김줄의 단부가 연결고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취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채취관의 관입시 퇴적물과의 마찰저항이 최소화되어 관입 되도록 하고, 당김줄이 연결되기 위한 관입 첨단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관입 첨단부재는,
    관입시 퇴적물이 통과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상기 채취관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하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의해 첨단부가 형성되고, 양쪽 외주면에는 당김줄이 연결되기 위한 당김고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고리가 형성된 상기 관입 첨단부재의 외주면 상,하부 영역에는,
    퇴적물로의 관입 및 잡아당겨 빼낼 때 퇴적물과의 간섭으로 인한 저항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당김고리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상기 당김고리의 상단 쪽으로 경사진 회피면을 갖는 간섭회피돌기들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회피돌기들 중에서 상부에 위치한 간섭회피돌기의 끝단에는, 상기 당김줄을 상향으로 당길 때 상기 당김줄이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기 위한 당김줄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KR1020180089475A 2018-07-31 2018-07-31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KR20200014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475A KR20200014063A (ko) 2018-07-31 2018-07-31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475A KR20200014063A (ko) 2018-07-31 2018-07-31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063A true KR20200014063A (ko) 2020-02-10

Family

ID=6962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475A KR20200014063A (ko) 2018-07-31 2018-07-31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406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08B1 (ko) 2013-12-02 2014-03-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중력 피스톤 코어 채취기
KR200476076Y1 (ko) 2013-05-20 2015-01-26 김휘중 수중 퇴적물 시료채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76Y1 (ko) 2013-05-20 2015-01-26 김휘중 수중 퇴적물 시료채취기
KR101368908B1 (ko) 2013-12-02 2014-03-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중력 피스톤 코어 채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876B1 (ko) 토양시료 채취기
CN101696915B (zh) 一种无井软土层地区人工快速采集地下水样品装置
KR101480790B1 (ko) 반자동 개폐식 부니 채취기
KR100896979B1 (ko) 중력추를 이용한 지하수 시료 채수기 및 그의 채수방법
CN105181376B (zh) 一种水下运载器搭载深海沉积物取样器
CN105300724B (zh) 田间水稻根系取样装置与方法
CN205538315U (zh) 一种全封闭式土层测年龄样品取土器
KR101916407B1 (ko) 휴대용 중력 코어러
KR20060122689A (ko) 소형 저서생물 정량채집기
JP5165666B2 (ja) 柱状試料採取方法及び採取装置
CN105547737B (zh) 一种深海潜水取样装置及其实施方法
KR20200014063A (ko) 주상 퇴적물 수동 채취장치
JP2019082417A (ja) 未固結試料採取装置及び未固結試料採取方法
CN207964358U (zh) 浅埋地下水与地表水取样器
CN206020069U (zh) 一种土壤采集装置
KR200474736Y1 (ko) 채취 효율 개선을 위한 토양 샘플러
CN216645961U (zh) 一种便携式新型浅水采泥器
CN201522389U (zh) 一种无井软土层地区人工快速采集地下水样品装置
CN115753216A (zh) 一种水质检测提取装置
CN209559533U (zh) 一种淤泥状污染土壤采集取样装置
CN211179047U (zh) 一种林业用便携式土壤采样装置
CN211013633U (zh) 一种用于小口径监测井的细长型地下水采样器
JPH0560663A (ja) 水中堆積土砂のサンプリング方法
CN212007870U (zh) 一种土壤修复用检测装置
CN209215337U (zh) 培养试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