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898A -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898A
KR20200013898A KR1020180089103A KR20180089103A KR20200013898A KR 20200013898 A KR20200013898 A KR 20200013898A KR 1020180089103 A KR1020180089103 A KR 1020180089103A KR 20180089103 A KR20180089103 A KR 20180089103A KR 20200013898 A KR20200013898 A KR 20200013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container body
nozzle
content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영광
Original Assignee
변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영광 filed Critical 변영광
Priority to KR1020180089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3898A/ko
Publication of KR2020001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8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부품 수를 보다 줄이고 구조를 더 단순화하여 제조가 용이하도록,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용물 배출홀이 형성되는 숄더부, 상기 숄더부의 내용물 배출홀과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자체의 탄성에 의한 펌핑작용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상기 배출홀로 배출하는 펌핑장치, 및 상기 펌핑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AND PUMPING APPARATUS FOR THE SAME}
본 개시내용은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액상의 화장품은 용기 내에 담겨져 화장 시 용기로부터 일정량의 내용물을 토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액상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내용물을 펌핑하여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펌핑장치를 구비한다. 펌핑장치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눌려져 내용물을 펌핑하여, 용기 출구를 통해 배출시킨다.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조립공정이 번거롭고 화장품 용기의 제조 단가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종래 펌핑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 수를 줄여 구조를 단순화하고, 정량의 내용물을 부드럽게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개발한 바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05595호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특허 등록을 받은 액상 화장품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액상 화장품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내용물의 펌핑 작용이 만족스러우면서도 보다 비용이 저렴한 화장품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이러한 필요성과 치열한 시장 환경에 맞춰 보다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액상의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과제는 부품 수를 보다 줄이고 구조를 더 단순화하여 제조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구현예의 화장품 용기는,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용물 배출홀이 형성되는 숄더부, 상기 숄더부의 내용물 배출홀과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자체의 탄성에 의한 펌핑작용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상기 배출홀로 배출하는 펌핑장치, 및 상기 펌핑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구현예의 펌핑장치는, 내부가 관통되어 내용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이루고 축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팽창되어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가변시켜 내용물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펌핑부재, 및 상기 펌핑부재에 결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여 상기 펌핑부재와 상기 배출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조작부 구동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를 압축하고 내부 관로와 상기 펌핑부재 내부 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노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핑부재는, 상기 용기본체 상단의 출구에 결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구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하단플랜지, 상기 장착부 내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용기본체로부터 펌핑부재 내부로 일방향으로 유입시키는 체크밸브, 상기 장착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의 구동에 따라 탄성에 의한 압축과 팽창을 하여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가변시키는 압력부, 상기 압력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노즐부재의 내부 관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내주면에 상측 내경보다 하측 내경이 확장되도록 단차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재와 밀착되어 상기 압력부와 상기 노즐부재의 내부 관로 사이를 차단하는 언더컷부,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삽입부를 탄성적으로 신축시켜 상기 언더컷부와 상기 노즐부재 사이를 개폐하는 신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부는 상기 삽입부의 단면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이루고 외측으로 불록하게 적어도 한 번 이상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재는 상기 신축부는 상기 압력부보다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커, 외력에 대해 상기 압력부가 먼저 변형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노즐부재는, 내부에 관로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은 상기 숄더부의 배출홀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끼워져 펌핑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 상부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펌핑부재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플랜지, 상기 노즐몸체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 관로와 상기 펌핑부재의 삽입부 내부를 연통하는 유입홀, 상기 노즐몸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 관로 선단을 막고 상기 펌핑부재의 언더컷부에 밀착되어 상기 압력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를 차단하는 밸브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삽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 내주면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숄더부 또는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개방된 중심부의 하단은 상기 용기본체 출구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펌핑부재의 하단플랜지를 가압하는 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부재는 상기 숄더부 또는 상기 용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노즐부재에 설치되고 노즐부재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사면을 갖는 경사부재, 상기 숄더부 측면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노즐부재를 향해 이동되는 버튼, 상기 버튼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재의 사면에 접하도록 대향된 경사진 사면을 갖는 빗면부재를 포함하여, 버튼을 누르게 되면 빗면부재의 사면을 따라 경사부재의 사면이 밀리면서 노즐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펌핑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노즐부재의 연결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숄더부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 상기 숄더부 내주면에 노즐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숄더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부재를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노즐부재 일측에 고정원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통은 외주면을 따라 톱니 형태의 경사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향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는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원통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원통을 덮는 회전원통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원통은 내주면에 상기 상향기어부의 경사면에 접하도록 대향된 톱니 형태의 경사면을 갖는 하향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는 상기 고정원통 외측을 감싸며 상기 회전원통 하단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통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통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홀더가 노즐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상기 숄더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원통의 하향기어부에 의해 고정원통의 상향기어부가 밀리면서 노즐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펌핑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숄더부에 대해 용기본체를 가압하여 상기 노즐부재를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용기본체 외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숄더부가 결합되는 외통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는 상기 외통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통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통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홀더가 노즐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통에 대해 상기 용기본체를 눌러 이동시킴에 따라 용기본체가 숄더부쪽으로 이동되어 용기본체 상단에 결합된 펌핑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본 구현예에 따르면, 노즐부재와 펌핑부재가 단일의 부품으로 제조됨으로써, 부품 수를 보다 줄일 수 있고 구조를 보다 더 단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조가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와 도 3은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축방향이라 함은 중심축선이 지나는 방향으로 도 1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하며, 상, 상부, 상방향 이라 함은 도 1에서와 같이 화장품 용기를 바닥에 놓았을 때,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지칭하고, 하, 하부, 하방향이라 함은 그 반대인 아래쪽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본체(10), 숄더부(20), 펌핑장치(30), 및 조작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원통형태를 이룰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수용공간 내에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이하, 내용물이라 한다)이 채워진다. 용기본체(1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용기본체(10)는 하단이 막히고 상단에 개방된 출구(11)를 형성한다. 용기본체(10)의 상단 출구(11)는 펌핑장치(30)와 연결된다. 이에, 용기본체(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은 출구(11)에서 배출되어 펌핑장치(30)를 따라 숄더부(20) 출측으로 배출된다.
용기본체(10)는 출구(11)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함에 따라 내용물을 용기본체(10) 출구 쪽으로 밀어 올려주는 피스톤부재(12)를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피스톤부재(12)는 용기본체(10)의 내부에 슬라이딩되게 삽입된다. 피스톤부재(12)가 내용물을 게속 밀어 올림에 따라, 내용물은 용기본체(10)의 상단 출구(11)와 피스톤부재(12) 사이에서 계속 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피스톤부재(12)는 용기본체(10) 내부 단면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어 용기본체(10) 내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피스톤부재(12)의 외주면 가장자리에는 용기본체(10) 내주면에 밀착되어 두 부재 사이를 실링하는 패드(13)가 형성될 수 있다. 패드(13)는 용기본체(10) 내주면과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착되어 용기본체(10) 내주면을 따라 상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용기본체(10)로부터 내용물이 배출되어 빠져나감에 따라 용기본체(10)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해 피스톤부재(12)가 상부로 밀려올라 간다. 피스톤부재(12)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은 출구(11) 쪽으로 밀려올라간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10)로부터 내용물을 사용함에 따라 피스톤부재(12)는 출구쪽으로 이동하여 남아있는 내용물의 양에 맞춰 용기본체(10) 내부 공간을 줄이게 된다.
용기본체(10)의 상단은 숄더부(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본체(10) 상단의 외주면과 숄더부(20) 하단 내주면에는 각각 수나사와 암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용기본체(10)와 숄더부(20)는 나사 결합 구조 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숄더부(20)는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용물 배출홀(22)이 형성되어 펌핑장치(30)를 통해 용기본체(10) 상단 출구(11)와 연통된다.
숄더부(20)는 용기본체(10) 상부에 결합되는 숄더몸체(21), 및 숄더몸체(21)에 설치되며 배출홀(22)이 형성된 배출관(23)을 포함할 수 있다.
숄더몸체(21)는 용기본체(10)와 대응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하단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용기본체(10) 상단에 나사 체결되어 결합된다. 숄더몸체(21) 상단에는 화장을 위해 피부에 부드럽게 접촉되는 브러쉬(24) 또는 다공성 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관(23)은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어 배출홀(22)을 형성한다. 배출관(23)은 숄더몸체(21) 상단에서 브러쉬(24) 내부로 연장되어 브러쉬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는 숄더몸체(21)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뚜껑(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뚜껑(25)은 숄더몸체(21)에 결합되어 숄더몸체(21) 상단에 설치된 브러쉬(24)를 덮어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숄더몸체(21)에 펌핑장치(30)와 펌핑장치(30)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70)가 배치될 수 있다. 숄더몸체(21)는 펌핑장치(30) 및 조작부(70)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부(70)는 숄더부(20) 측면에 구비된 버튼(71)을 눌러 펌핑장치(30)를 구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조작부(7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펌핑장치(30)는 숄더몸체(21) 내부에서 배출관(23)과 용기본체(10) 상단 출구(11) 사이에 설치되어 출구로부터 내용물을 배출관(23)으로 이송한다.
펌핑장치(30)는 자체적으로 탄성에 의한 펌핑작용을 통해 내부 압력을 가변시킴으로써,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을 배출홀(22)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펌핑장치(30)는, 내용물 펌핑을 위한 펌핑부재(40), 및 펌핑부재(40)에 결합되어 펌핑부재(40)를 개폐하는 노즐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펌핑부재(40)는 상하단이 개방되어 내용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이루고 축방향을 따라 자체 탄성력에 의해 압축 또는 팽창되어 내부공간의 압력을 가변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펌핑부재(40)는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가변시킴으로써, 내용물을 배출홀(22)로 펌핑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펌핑장치(3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펌핑부재(40)는 탄성에 의한 압축과 팽창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핑부재(40)는 고무나 실리콘, 또는 수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이라 함은 원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눌려져 부피가 줄어든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팽창이라 함은 압축된 상태에서 부피가 늘어나 원 상태로 복귀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펌핑부재(40)는 자체적으로 탄성을 갖고 있어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펌핑부재(40)는 자체 탄성에 의한 압축 및 팽창을 통해 내용물을 일방향으로 펌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펌핑부재(40)는 장착부(41), 하단플랜지(42), 체크밸브(43), 압력부(45), 삽입부(47), 언더컷부(48) 및 신축부(5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장착부(41)는 펌핑부재(40)의 하단을 이루며 용기본체(10) 상단의 출구(11)에 끼워져 결합된다. 장착부(41)는 용기본체(10) 상단의 출구에 긴밀하게 밀착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본체(10) 상단의 출구(11)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장착부(41)는 이러한 용기본체(10) 상단 출구에 긴밀하게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출구 내경에 대응되는 원통형태를 이루어 출구에 밀착 설치될 수 있다. 장착부(41)는 용기본체(10) 출구에 끼워져 용기본체 내부로 삽입되도록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41)의 연장 길이는 용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장착부(41) 외주면을 따라 하단플랜지(42)가 일체로 형성된다. 하단플랜지(42)는 장착부(4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용기본체(10)의 출구(11)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스토퍼로 작용한다. 이에, 하단플랜지(42)가 출구 상단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펌핑부재(40)가 용기본체(10)의 출구(11)를 통해 용기본체(10) 내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단플랜지(42)는 출구(11) 상단에 밀착되어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펌핑부재(40)는 자체 탄성력을 갖는 부재로 노즐부재(60)에 끼워져 용기본체(10) 출구(11)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이에, 펌핑부재(4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하단플랜지(42)는 출구(11)에 소정 압력으로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하단플랜지(42)가 출구(11) 상단에 소정의 압력으로 밀착되어 있어 용기본체(10) 내용물이 그 사이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펌핑부재(40)와 용기본체(10) 사이 기밀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단플랜지(42) 위쪽에서 하단플랜지(42)를 눌러 지지하는 링부재(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부재(15)는 펌핑부재(40)와 간섭되지 않도록 중심부(16)가 개방된 링 형태의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링부재(15)의 개방된 중심부(16) 하단은 용기본체(10) 출구쪽으로 연장되어 하단플랜지(42) 상부에 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링부재(15)의 중심부(16) 하단이 펌핑부재(40)의 하단플랜지(42) 상부를 눌러 지지하게 된다. 펌핑부재(40)의 하단플랜지(42)는 용기본체(10)의 출구(11) 상단과 링부재(15)의 중심부(16) 하단 사이에서 가압 밀착된다. 따라서, 하단플랜지(42)가 용기본체(10)에 긴밀하게 밀착되고 링부재(15)에 의해 지지되어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함으로써, 내용물 펌핑과정에서 내용물이 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링부재(15)는 용기본체(10) 또는 숄더부(20)에 끼워져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부재(15)는 숄더부(20) 하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단턱에 끼워져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외에 링부재는 숄더부 또는 용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링부재(15)는 펌핑부재의 하단플랜지를 가압 지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며 그 형태나 설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장착부(41) 내부에는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을 펌핑부재(40)로 일방향으로 유입시키는 체크밸브(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체크밸브(43)는 펌핑부재(40) 내부 압력에 의해 구멍(44)이 벌어지거나 닫혀 개폐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체크밸브(43)는 상부로 연장되는 양면이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뾰족한 뿔형태를 이루고 첨부인 상단에는 슬릿 형태의 구멍(44)이 형성되어 서로 접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체크밸브(43)의 얇은 상단이 서로 탄성적으로 접하거나 벌어지면서 구멍(44)이 개폐 된다.
체크밸브(43)는 펌핑부재(40)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개폐되어 용기본체(10)에서 펌핑부재(40) 쪽으로만 내용물을 이송하게 된다. 즉, 펌핑부재(40)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면 체크밸브(43) 선단의 구멍(44)이 벌어지면서 열리게 된다. 이에,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이 체크밸브(43) 구멍을 통해 펌핑부재(40) 내부로 유입된다. 반대로, 펌핑부재(40)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면 체크밸브(43)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슬릿 형태의 구멍(44)이 닫히게 된다. 이에, 펌핑부재(40) 내측의 내용물은 용기본체(10) 쪽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압력부(45)는 장착부(4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압력부(45)는 조작부(70)의 구동에 따라 자체 탄성에 의한 압축과 팽창을 통해 내부 공간(46)의 압력을 가변한다.
본 실시예의 압력부(45)는 외측으로 불록하게 적어도 한 번 이상 굽어진 원형의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부(45)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46)은 바로 하부에 위치한 체크밸브(43)와 연통된다. 체크밸브(43)로부터 유입된 내용물은 압력부(45)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46)에 수용된다.
도 3의 실시예는 압력부(45)가 한번 굽어진 단일 주름관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력부(45)는 내부공간의 크기나 압력부(45)에 의한 내용물 펌핑량에 따라 두 번 이상 복수회 연속적으로 굽어져 다단의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부(45)의 주름진 형태나 단면 두께 등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압력부(45)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주름진 부분이 탄성 변형되면서 내부 공간을 압축 또는 팽창시켜 압력을 가변시킴으로써 펌핑작용을 하게 된다. 압력부(45)는 외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내용물에 토출압을 가하고,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용기본체(10)의 내용물에 흡입압을 가하게 된다. 이에, 별도의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고도 압력부(45)가 압축 및 팽창하면서 내용물을 펌핑시킬 수 있게 된다.
조작부(70)의 구동에 따라 펌핑부재(40)에 외력이 가해지면 압력부(45)에 힘이 전달되고 압력부(45)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내부 공간(46)이 압축된다. 압력부(45)의 압축에 의해 내부 공간(46)의 압력이 커지게 된다. 내부 공간(46)의 압력이 용기본체(10)보다 상대적으로 커져 체크밸브(43)는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압력부(45)의 압축에 따라 압력을 받고 있는 내용물은 최종적으로 노즐부재(60)가 개방되면서 노즐부재(60)를 통해 배출홀(22)로 배출된다.
펌핑부재(4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압력부(45)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팽창되어 원래 형태로 복귀된다. 압력부(45) 내부 공간(46)이 팽창하면서 내부 압력이 용기본체(10)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에, 체크밸브(43)가 개방되고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이 체크밸브(43)를 통해 압력부(45) 내부 공간으로 재 유입되어 채워진다.
삽입부(47)는 압력부(45)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노즐부재(60)와 결합되며, 노즐부재(60)의 내부 관로(61)와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삽입부(47)는 원통형태의 관 구조물로, 압력부(45)에서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펌핑부재(40)의 상단부를 이룬다. 삽입부(47)의 개방된 선단을 통해 노즐부재(60)가 내부로 삽입 설치된다. 삽입부(47)는 노즐부재(60)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삽입부(47)의 내면은 노즐부재(60) 외면에 가압 밀착되어 실링된다. 또한, 삽입부(47)의 상단은 후술하는 노즐부재(60)의 상단플랜지(64)에 가압 밀착된다. 따라서, 삽입부(47)는 노즐부재(60) 외주면과 상단플랜지(64)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실링됨으로써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삽입부(47) 내주면에 언더컷부(48)가 단차홈 형태로 형성된다. 언더컷부(48)는 삽입부(47) 내주면에서 하측 부분의 내경이 확장되도록 단차 가공된다. 이에, 언더컷부(48) 위쪽은 삽입부(47) 내주면을 이루며, 언더컷부(48)의 내측면이 이루는 내경은 위쪽의 삽입부(47) 내주면의 이루는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언더컷부(48)의 수평 단차면(49)에는 후술하는 노즐부재(60)의 밸브시트(66)가 놓여 밀착된다. 단차 가공된 언더컷부(48)의 내경은 밸브시트(66)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삽입부(47) 신축시 언더컷부(48) 내주면과 밸브시트(66)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언더컷부(48)의 단차면(49)은 노즐부재(60)의 밸브시트(66)와 밀착되어 펌핑부재(40)와 노즐부재(60) 사이를 차단하며, 밸브시트(66)와 이격되면서 내용물이 지나는 통로를 이룬다.
삽입부(47) 위쪽 상단이 노즐부재(60)의 상단플랜지(64)에 지지된 상태에서, 아래쪽 언더컷부(48)의 수평 단차면(49)이 노즐부재(60)의 밸브시트(66)에 탄력적으로 밀착된다. 이에, 삽입부(47)의 언더컷부(48)는 밸브시트(66)에 가압 밀착되어 두 부재 사이를 닫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삽입부(47)의 축방향 길이 즉, 삽입부(47) 상단에서 언더컷부(48) 사이의 길이는 신축부(50)의 탄성적 변형에 의해 가변된다. 삽입부(47)의 길이가 가변되면서 언더컷부(48)와 밸브시트(66) 사이가 개폐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신축부(50)는 삽입부(47)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조작부(70)의 구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삽입부(47)의 축방향 길이를 신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신축부(50)는 조작부(70)의 구동에 따라 자체의 탄성에 의해 삽입부(47)의 축방향으로 압축 또는 팽창된다. 신축부(50)의 압축과 팽창에 따라 삽입부(47)가 신축되면서 축방향을 따라 삽입부(47) 전체 길이가 가변된다.
신축부(50)는 외력이 가해져 눌려졌을 때 압축 변형될 수 있도록 삽입부(47)의 단면 두께보다 얇은 두께의 주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삽입부(47)에서 신축부(50) 부분이 쉽게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부(47)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신축부(50)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굽어진 단일 주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신축부(50)의 주름 형태는 단일 주름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바라와 같이 다단의 주름 형태로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신축부(50)가 조작부(70)의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삽입부(47)의 축방향 길이가 축소된다. 이에, 언더컷부(48)가 밸브시트(66)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로 이동되면서 언더컷부(48)의 수평 단차면(49)과 밸브시트(66) 사이가 이격되어 틈새가 발생된다. 따라서 펌핑부재(40)와 노즐부재(60) 사이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틈새를 통해 노즐부재(60)로 배출될 수 있다.
탄성부재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되어 있던 신축부(50)가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삽입부(47)의 축방향 길이가 원래대로 신장된다. 이에, 언더컷부(48)가 밸브시트(66)에 대해 상대적으로 아래로 이동되면서 언더컷부(48)의 수평 단차면(49)이 밸브시트(66)에 밀착된다. 따라서 언더컷부(48)와 밸브시트(66) 사이가 닫히면서 내용물의 배출이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신축부(50)는 압력부(45)보다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되어 있다. 펌핑부재(40)는 동일한 재질의 단일 몸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신축부(50)와 압력부(45)는 그 형태나 단면 구조 등을 달리하여 탄성계수를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축부(50)의 단면 살 두께가 압력부(45)의 단면 살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하여 신축부(50)와 압력부(45)의 탄성계수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펌핑부재(4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부(45)가 신축부(50)보다 먼저 압축 변형될 수 있다. 압력부(45)가 탄성 변형된 후 외력이 계속 가해짐에 따라 압력부(45)보다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신축부(50)가 압축 변형된다. 신축부(50)가 압축 변형되어 길이가 수축되면서 언더컷부(48)와 밸브시트(66) 사이가 개방된다. 이에, 압력부(45)에서 가압 상태에 있는 내용물은 언더컷부(48)와 밸브시트(66) 사이를 통해 노즐부재(60)로 배출된다.
반대로 펌핑부재(4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신축부(5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먼저 팽창 변형되면서 원상태로 복귀된다. 신축부(50)가 원상태로 복귀되어 길이가 신장되면서 언더컷부(48)의 단차면(49)에 밸브시트(66)가 밀착되어 두 부재 사이가 차단된다. 신축부(50)가 원상태로 복귀된 후 압력부(45)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팽창 변형되면서 원상태로 복귀된다. 압력부(45)가 팽창 변형되면서 내부 공간에 부압이 형성된다. 언더컷부(48)와 밸브시트(66)는 밀착되어 닫힌 상태이므로 압력부(45)의 부압에 의해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이 압력부(45)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압력부(45)와 신축부(50)가 순차적으로 구동됨으로써, 내용물의 펌핑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펌핑부재(40)에 결합되는 노즐부재(6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노즐부재(60)는 펌핑부재(40)의 상부에 결합되어 펌핑부재(40)와 배출홀(22) 사이를 연결한다. 노즐부재(60)는 내부에 관로(61)가 형성되어 내용물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노즐부재(60)는 조작부(70)의 구동에 따라 펌핑부재(40)를 압축하고 펌핑부재(40)와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노즐부재(60)는 단일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펌핑장치(30)의 부품 수를 보다 줄여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고 부품들 간의 간섭에 따른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노즐부재(60)가 일체화된 단일의 몸체를 이룸에 따라 구성부 간에 틈새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구성부 간의 틈새로 내용물이 유입되거나 새나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노즐부재(60)는 내부에 관로(61)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은 숄더부(20)의 배출홀(22)에 연결되는 연결관(62), 연결관(6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펌핑부재(40)의 삽입부(47)에 끼워져 결합되는 노즐몸체(63), 노즐몸체(63) 상부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펌핑부재(40)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플랜지(64), 노즐몸체(63)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 관로(61)와 펌핑부재(40) 내부를 연통하는 유입홀(65), 노즐몸체(63)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 관로(61)를 차단하고 펌핑부재(40)의 언더컷부(48)에 밀착되어 펌핑부재(40)의 압력부(45)와 삽입부(47) 사이를 차단하는 밸브시트(66)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재(60)는 숄더부(20) 내에서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결관(62)과 노즐몸체(63)는 일체로 연장된 하나의 관 구조물을 이룬다. 연결관(62)과 노즐몸체(63) 내부로 내용물이 이송되는 관로(61)가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관(62)은 숄더부(20)의 배출관(23)과 연결된다. 예를 들어, 연결관(62)의 내부로 배출관(23)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축방향을 따라 노즐부재(60)가 이동될 때, 연결관(62)과 배출관(23)의 연결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배출관(23)의 하단 외주면에는 연결관(62) 내주면과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오링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부재(6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연결관(62) 내부에서 배출관(23)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몸체(63)는 펌핑부재(40)의 삽입부(47)에 대응되는 원통형태를 이룬다. 노즐몸체(63)는 삽입부(47)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 설치된다. 펌핑부재(40) 상단은 노즐몸체(63) 외측에 돌출 형성된 상단플랜지(64)까지 끼워져 상단플랜지(64)에 의해 받쳐 지지된다.
이에, 펌핑부재(40)의 하단은 하단플랜지(42)가 용기본체 상에 지지되고, 상단은 노즐부재(60)의 상단플랜지(64)에 지지된다. 따라서, 펌핑부재(40)는 용기본체(10)의 출구와 노즐부재(60)의 상단플랜지(64)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펌핑부재(40)를 용기본체(10)의 출구와 노즐부재(60) 사이에서 가압 밀착되도록 하여 기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펌핑부재(40)와 용기본체(10)의 출구 사이 또는 펌핑부재(40)와 노즐몸체(63) 사이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노즐몸체(63)의 외측면에는 삽입부(47)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삽입부(47) 내주면과 이격된 공간(5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노즐몸체(63)는 펌핑부재(40)의 삽입부(47) 내면에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신축부(50) 탄성 변형시 삽입부(47)가 원활하게 신축되며, 펌핑부재(40)의 내용물이 삽입부(47)와 노즐몸체(63) 사이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노즐몸체(63)의 함몰된 측면에 유입홀(65)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홀(65)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노즐몸체(63)의 외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삽입부(47)와 노즐몸체(63) 사이로 유입된 내용물은 유입홀(65)을 통해 노즐몸체(63) 내부 관로(61)로 이동된다.
노즐몸체(63) 하단에 밸브시트(66)가 일체로 형성된다. 밸브시트(66)는 노즐몸체(63) 내부 관로(61)의 하단을 차단하며, 플랜지 형태로 돌출되어 언더컷부(48)의 수평 단차면(49)에 밀착된다.
밸브시트(6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몸체(63)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밸브시트(66)의 직경은 대략 언더컷부(48)에 삽입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시트(66)의 윗면은 언더컷부(48)의 수평 단차면(49)과 긴밀하게 면접촉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삽입부(47)는 노즐부재(60)의 상단플랜지(64)와 밸브시트(66) 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삽입부(47)가 상단플랜지(64)에 지지된 상태에서 삽입부(47)에 형성된 신축부(50)의 탄성력에 의해 언더컷부(48)와 밸브시트(66)는 소정의 압력으로 긴밀하게 밀착된다. 이에, 밸브시트(66)와 언더컷부(48) 사이가 막힌다. 따라서, 아래쪽 압력부(45) 내부 공간에서 위쪽 신축부(50) 내부 공간(51)으로 내용물 이동이 차단된다.
조작부(70)의 구동에 따라 신축부(50)가 압축상태로 탄성 변형되면 삽입부(47)의 길이가 수축된다. 이에, 노즐부재(60)의 밸브시트(66)와 언더컷부(48) 사이가 이격되어 틈새가 발생되고, 내용물이 두 부재 사이 틈새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부(70)는 숄더부(20) 측면에 구비되어 노즐부재(60)와 연결된다. 조작부(70)의 구동에 따라 노즐부재(60)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용기본체(10)와의 사이에서 펌핑부재(40)를 탄성 변형시킨다.
조작부(70)는 노즐부재(60)에 설치되고 노즐부재(60)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사면을 갖는 경사부재(72), 숄더부(20) 측면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노즐부재(60)를 향해 이동되는 버튼(71), 버튼(71)에 형성되고 경사부재(72)의 사면에 접하도록 대향된 경사진 사면을 갖는 빗면부재(73)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71)은 축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버튼(71)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경사부재(72)의 사면과 버튼(71)의 빗면부재(73)에 형성된 사면은 서로 대칭을 이루어 슬라이딩되도록 접한다. 즉, 경사부재(72)와 빗면부재(73)가 직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대향된 경사부재(72)의 사면과 빗면부재(73)의 사면이 서로 접한다. 이에, 버튼(71)을 누르게 되면 빗면부재(73)의 사면과 경사부재(72)의 사면이 서로 미끄러진다. 버튼(71)은 축방향에 직각으로 이동하고, 노즐부재(60)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버튼(71)의 이동에 따라 빗면부재(73)의 사면을 따라 경사부재(72)의 사면이 밀리면서 노즐부재(60)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부재(72)는 상단플랜지(64) 위쪽에 설치되며, 상대적으로 그 위쪽에 버튼(71)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버튼(71) 구동에 따라 노즐부재(60)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경사부재(72)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연결관(62)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버튼(71)에 형성되는 빗면부재(73) 역시 경사부재(72)에 대응하여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경사부재(72) 형성 위치에 맞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버튼(71)을 눌렀을 때 노즐부재(60)의 축중심에서 양쪽으로 힘이 균등하게 분배되어 보다 용이하고 원활하게 노즐부재(6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노즐부재(60)의 이동에 따라 펌핑부재(40)가 눌려져 탄성적으로 압축 변형된다.
눌려진 버튼(71)은 펌핑부재(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버튼(71)에 외력이 제거되면 압축되어 있던 펌핑부재(40)가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팽창된다. 펌핑부재(40)에 결합되어 있는 노즐부재(60) 역시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노즐부재(60)의 이동에 따라 경사부재(72)가 빗면부재(73)를 밀어줌으로써, 눌려져 있던 버튼(71)이 숄더부(20)에서 돌출되어 원상태로 복귀된다.
조작부(70)는 버튼(71)이 눌려졌을 때 노즐부재(60)가 유동되지 않고 축방향 중심을 따라 정확히 이동될 수 있도록 숄더부(20) 내면에 가이드되어 이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작부(70)는, 노즐부재(60)의 연결관(62)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숄더부(20)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74), 숄더부(20) 내주면에 노즐부재(6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홀더(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돌기(7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62)에 형성되어 숄더부(20) 내주면으로 연장된 플랜지(76)의 외측 선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77)는 플랜지와 연결관(62)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리브이다. 이에, 가이드돌기(74)가 숄더부(20) 내주면의 가이드홀더(75)에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홀더를 따라 안내됨으로써, 숄더부(20) 내에서 축방향을 따라 노즐부재(60)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숄더부(20) 측면에서 돌출된 버튼(71)을 눌러주게 되면, 버튼(71)의 빗면부재(73)에 형성된 사면이 경사부재(72)의 사면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계속 버튼(71)을 누르게 되면 빗면부재(73)의 사면은 경사부재(72)의 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되고 경사부재(72)는 빗면부재(73)의 사면에 의해 밀려 이동된다.
따라서, 경사부재(72)가 설치된 노즐부재(60)는 숄더부(20) 내에서 축방향을 따라 용기본체(1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노즐부재(60)가 축방향을 따라 용기본체(10) 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노즐부재(60)와 용기본체(10) 사이에 설치된 펌핑부재(40)가 힘을 받아 탄성적으로 압축된다.
펌핑부재(40)가 압축되면서 펌핑부재(4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에 토출압이 가해지고, 언더컷부(48)와 밸브시트(66) 사이가 개방되면서 내용물이 노즐부재(60) 내부로 유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재(6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펌핑부재(40)가 눌려져 압축된다. 펌핑부재(40) 하단의 체크밸브(43)는 용기본체(10)에서 펌핑부재(40) 쪽으로만 내용물이 이동하는 일방향 밸브로, 펌핑부재(40)가 압축되어 내부 공간(46)의 압력이 커짐에 따라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펌핑부재(40)의 압력부(45)가 압축되면서 압력부(45) 내부 공간(46)의 압력이 커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버튼(71)이 계속 눌러져 노즐부재(60)가 계속 이동하게 되면 삽입부(47)에 형성된 신축부(50)가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부(47)의 축방향 길이가 축소된다. 이에, 삽입부(47) 내측의 언더컷부(48)에 밀착되어 있던 밸브시트(66)가 언더컷부(48)에서 이격되면서 언더컷부(48)와 밸브시트(66) 사이가 개방된다.
따라서, 압력부(45) 내부 공간(46)에서 압력을 받고 있던 내용물이 개방된 언더컷부(48)와 밸브시트(66) 사이를 통해 삽입부(47)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내용물은 삽입부(47) 내측 공간(51)에 연통되어 있는 노즐몸체(63)의 유입홀(65)을 통해 노즐몸체(63) 내부 관로(61)로 유입된다. 노즐몸체(63) 내부 관로(61)로 유입된 내용물은 노즐몸체(63)에 연결된 연결관(62)을 따라 배출관(23)으로 이동되고 배출관(23)의 배출홀(22)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된다.
버튼(71)을 누르고 있던 외력이 제거되면 버튼(71)은 펌핑부재(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먼저, 압축되어 있던 신축부(5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수축되어 있던 삽입부(47)가 원상태로 신장된다. 삽입부(47)의 길이가 원 상태로 늘어남에 따라 노즐부재(60)가 위로 이동되면서 밸브시트(66)가 언더컷부(48)에 밀착된다. 이에, 언더컷부(48)와 밸브시트(66) 사이가 차단된다. 밸브시트(66)가 언터컷부(48)에 완전히 밀착되고 연속해서 압축되어 있던 압력부(45) 또한 탄성복원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원상태로 복귀되다. 노즐부재(60)는 압력부(45) 팽창에 따라 계속 위로 이동된다.
펌핑부재(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노즐부재(60)가 위로 이동되면 노즐부재(60)에 설치된 경사부재(72)가 위로 이동된다. 경사부재(72)가 위로 이동되면서 사면을 통해 접해 있는 빗면부재(73)에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버튼(71)에 외력을 가할 때와 반대로 경사부재(72)의 사면은 빗면부재(73)의 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되고 빗면부재(73)는 경사부재(72)의 사면에 의해 밀려 이동된다. 따라서, 빗면부재(73)가 설치된 버튼(71)이 숄더부(20)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압축되어 있던 압력부(45)가 원상태로 팽창하면서 용기본체(10) 내에 수용된 내용물은 체크밸브(43)를 통해 압력부(45) 내부 공간(46)으로 유입되어 재충전된다. 언더컷부(48)와 밸브시트(66)가 닫힌 상태에서 압력부(45)가 팽창함에 따라 압력부(45)의 내부 공간에는 용기본체(10) 내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부압이 형성된다. 이에, 체크밸브(43)가 개방되면서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이 체크밸브(43)를 통해 압력부(45) 내부 공간(46)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압력부(45) 내에는 새로운 내용물이 다시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버튼(71) 구동에 따라 펌핑부재(40)가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변형 및 복원되면서 내용물을 펌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을 최종적으로 숄더부(20)의 배출홀(22)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도 6은 화장품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5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는 펌핑부재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조작부의 구조를 제외하고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조작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는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0), 용기본체(1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용물 배출홀(22)이 형성되는 숄더부(20), 숄더부(20)에 설치되고 내용물 배출홀(22)과 연결되며 탄성에 의한 펌핑작용을 통해 용기본체(10)의 내용물에 압력을 가해 배출홀(22)로 배출하는 펌핑장치(30), 및 펌핑장치(30)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80,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작부(80)는 숄더부(20)를 회전시켜 노즐부재(60)를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작부(80)는, 용기본체(10)에 대해 숄더부(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숄더부(20) 회전시 노즐부재(60)는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펌핑부재(40)를 탄성변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조작부(80)은 숄더부(20) 회전시 노즐부재(6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노즐부재(60)에 설치되고 표면에 상향기어부(82)가 형성된 고정원통(81), 숄더부(20)에 설치되고 상향기어부(82)에 맞물리는 하향기어부(84)가 형성된 회전원통(8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숄더부(20) 회전시 노즐부재(60)가 회전 제한된 상태로 상하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용기본체(10) 상부에 설치되고 내주면에 가이드홀더(86)가 설치된 지지통(85)과, 노즐부재(60)의 고정원통(81)에 설치되어 가이드홀더(86)를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8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원통(81)은 노즐부재(60)의 연결관(62) 일측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고정원통(81)은 원통형 구조물로, 외주면을 따라 상향기어부(82)가 형성된다. 상향기어부(82)는 경사면이 톱니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향기어부(82)는 톱니 형태 경사면의 첨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구조로, 톱니 형태나 경사면의 개수 등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회전원통(83)은 숄더부(20)의 내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원통(83)은 원통형 구조물로, 개방된 하단은 고정원통(81)의 상부로 연장된다. 회전원통(83)의 내주면을 다라 하향기어부(84)가 형성되어 고정원통(81)의 상향기어부(82)와 맞물린다. 하향기어부(84)는 경사면이 톱니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하향기어부(84)는 상향기어부(82)와 대향되도록 톱니 형태 경사면의 첨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대향 배치된 하향기어부(84)가 상향기어부(82)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회전원통(83)은 숄더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숄더부(20)가 용기본체(10)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고정원통(8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이에, 회전원통(83)의 하향기어부(84)가 이동되면서 고정원통(81)의 상향기어부(82)를 밀어냄으로써, 고정원통(81)이 설치된 노즐부재(6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통(85) 내부에 펌핑부재(40)가 위치하게 되므로 펌핑부재(40)의 하단플랜지(42)를 가압 지지하는 링부재(15)는 지지통(85)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통(85)은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물로, 용기본체(10) 상단에서 고정원통(81) 외측을 감싸며 회전원통(83) 하단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지지통(85)이 설치된 용기본체(10)의 상단부는 용기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기본체(10)와 별도로 제조되어 용기본체(1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통(85)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홀더(86)가 축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홀더(86)는 지지통(85)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스플라인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통(85)의 상단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원통(8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돌기(87)가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지지통(85)의 가이드홀더(86)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에, 고정원통(81)은 가이드돌기(87)가 가이드홀더(86)에 끼워져 회전이 제한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홀더(86)를 따라 상하로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본체(10)에 대해 숄더부(20)를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원통(83)의 하향기어부(84)에 맞물려 있는 고정원통(81)의 상향기어부(82)에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에, 고정원통(81)의 상향기어부(82)가 회전원통(83)의 하향기어부(84)에 의해 밀려나면서 고정원통(81)이 설치된 노즐부재(60)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노즐부재(60)가 이동함에 따라 노즐부재(60)와 결합되어 있는 펌핑부재(40)가 탄성 변형되어 내용물을 펌핑하게 된다.
도 6은 또다른 실시예의 조작부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작부(90)은 숄더부(20)에 대해 용기본체(10)를 가압하여 노즐부재(60)를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작부(90)는, 상하가 개방되어 용기본체(10)에 별도로 구비되는 외통(91)을 포함하여, 외통(91)에 대해 용기본체(10)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펌핑부재(40)를 탄성 변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외통(91)은 용기본체(10) 외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 숄더부(20)가 결합된다. 외통(91)은 용기본체(10)의 외경보다 충분히 큰 내경을 갖는 원통형 구조물로, 용기본체(10)가 내부로 이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외통(91)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어, 외통(91)에 삽입되는 용기본체(10) 하단이 외통(91)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에, 사용자는 외통(91)을 잡은 상태에서 외통(91)에서 돌출된 용기본체(10) 하단을 눌러줌으로써, 용기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외통(91) 상단에는 숄더부(20)가 결합된다. 외통(91)의 상단은 숄더부(2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숄더부(2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용기본체(10)의 상단에는 외통(91) 내주면으로 연장된 지지통(92)이 형성된다. 지지통(92)은 원통형 구조물로,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돌기(93)가 원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통(92)이 설치된 용기본체(10)의 상단부는 용기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기본체(10)와 별도로 제조되어 용기본체(1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외통(91) 내주면에는 가이드돌기(93)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홀더(94)가 축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홀더(94)는 외통(91) 내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스플라인 형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통(92)에 형성된 가이드돌기(93)는 외통(91)에 형성된 가이드홀더(94)에 끼워져 가이드홀더(94)를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가이드홀더(94)의 축방향 하단은 가이드돌기(93)의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통(92)의 가이드돌기(93)가 단턱에 걸려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지지통(92)이 설치된 용기본체(10)가 외통(91)에서 빠지지 않고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외통(91)의 하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용기본체(10)를 외통(91)에 대해 눌러 이동시킴에 따라 용기본체(10)가 축방향을 따라 숄더부(20) 쪽으로 이동된다. 숄더부(20)에 대해 용기본체(10)가 이동됨으로써, 용기본체(10) 상단에 결합된 펌핑부재(40)가 탄성 변형되어 내용물을 펌핑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통(92) 내부에 펌핑부재(40)가 위치하게 되므로 펌핑부재(40)의 하단플랜지(42)를 가압 지지하는 링부재(15)는 지지통(92)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용기본체 11 : 출구
12 : 피스톤부재 15 : 링부재
20 : 숄더부 21 : 숄더몸체
22 : 배출홀 23 : 배출관
30 : 펌핑장치 40 : 펌핑부재
41 : 장착부 42 : 하단플랜지
43 : 체크밸브 45 : 압력부
46,51 : 공간 47 : 삽입부
48 ; 언더컷부 49 : 단차면
50 : 신축부 60 : 노즐부재
61 : 관로 62 : 연결관
63 : 노즐몸체 64 : 상단플랜지
65 : 유입홀 66 : 밸브시트
70,80,90 : 조작부 71 : 버튼
72 ; 경사부재 73 : 빗면부재
74,87,93 : 가이드돌기 75,86,94 : 가이드홀더
81 : 고정원통 82 : 상향기어부
83 : 회전원통 84 : 하향기어부
85,92 : 지지통 91 : 외통

Claims (20)

  1.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용물 배출홀이 형성되는 숄더부, 상기 숄더부의 내용물 배출홀과 상기 용기본체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자체의 탄성에 의한 펌핑작용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상기 배출홀로 배출하는 펌핑장치, 및 상기 펌핑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펌핑장치는, 내부가 관통되어 내용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이루고 축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팽창되어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가변시켜 내용물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펌핑부재, 및 상기 펌핑부재에 결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여 상기 펌핑부재와 상기 배출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조작부 구동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를 압축하고 내부 관로와 상기 펌핑부재 내부 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노즐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재는, 상기 용기본체 상단의 출구에 결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구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하단플랜지, 상기 장착부 내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용기본체로부터 펌핑부재 내부로 일방향으로 유입시키는 체크밸브, 상기 장착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의 구동에 따라 탄성에 의한 압축과 팽창을 하여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가변시키는 압력부, 상기 압력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노즐부재의 내부 관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내주면에 상측 내경보다 하측 내경이 확장되도록 단차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재와 밀착되어 상기 압력부와 상기 노즐부재의 내부 관로 사이를 차단하는 언더컷부, 및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삽입부를 탄성적으로 신축시켜 상기 언더컷부와 상기 노즐부재 사이를 개폐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상기 삽입부의 단면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이루고 외측으로 불록하게 적어도 한 번 이상 굽어져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상기 압력부보다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커, 외력에 대해 상기 압력부가 먼저 변형되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부 또는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 설치되고 개방된 중심부의 하단은 상기 용기본체 출구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펌핑부재의 하단플랜지를 가압하는 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상기 숄더부 또는 상기 용기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는, 내부에 관로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은 상기 숄더부의 배출홀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끼워져 펌핑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 상부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펌핑부재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플랜지, 상기 노즐몸체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 관로와 상기 펌핑부재의 삽입부 내부를 연통하는 유입홀, 및 상기 노즐몸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 관로 선단을 막고 상기 펌핑부재의 언더컷부에 밀착되어 상기 압력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를 차단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삽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 내주면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화장품 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노즐부재에 설치되고 노즐부재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사면을 갖는 경사부재, 상기 숄더부 측면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노즐부재를 향해 이동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재의 사면에 접하도록 대향된 경사진 사면을 갖는 빗면부재를 포함하여, 버튼을 누르게 되면 빗면부재의 사면을 따라 경사부재의 사면이 밀리면서 노즐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펌핑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노즐부재의 연결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숄더부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 상기 숄더부 내주면에 노즐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홀더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숄더부를 회전시켜 상기 노즐부재를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노즐부재 일측에 고정원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통은 외주면을 따라 톱니 형태의 경사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향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숄더부는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원통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원통을 덮는 회전원통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원통은 내주면에 상기 상향기어부의 경사면에 접하도록 대향된 톱니 형태의 경사면을 갖는 하향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는 상기 고정원통 외측을 감싸며 상기 회전원통 하단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통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통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홀더가 노즐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대해 상기 숄더부를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원통의 하향기어부에 의해 고정원통의 상향기어부가 밀리면서 노즐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펌핑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숄더부에 대해 용기본체를 가압하여 상기 노즐부재를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용기본체 외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 상기 숄더부가 결합되는 외통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 상단에는 상기 외통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지지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통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외통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홀더가 노즐부재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외통에 대해 상기 용기본체를 눌러 이동시킴에 따라 용기본체가 숄더부쪽으로 이동되어 용기본체 상단에 결합된 펌핑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
  15. 액상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용물 배출홀이 형성되는 숄더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상기 용기본체와 배출홀 사이에 연결 설치되며 자체의 탄성에 의한 펌핑작용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상기 배출홀로 배출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핑장치는, 내부가 관통되어 내용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이루고 축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압축 또는 팽창되어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가변시켜 내용물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펌핑부재, 및 상기 펌핑부재에 결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이동되는 관로를 형성하여 상기 펌핑부재와 상기 배출홀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조작부 구동에 따라 상기 펌핑부재를 압축하고 내부 관로와 상기 펌핑부재 내부 공간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노즐부재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재는, 상기 용기본체 상단의 출구에 결합되는 장착부, 상기 장착부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출구 상단에 걸려 지지되는 하단플랜지, 상기 장착부 내부에 형성되어 내용물을 용기본체로부터 펌핑부재 내부로 일방향으로 유입시키는 체크밸브, 상기 장착부 상부에 형성되어 탄성에 의한 압축과 팽창을 하여 내부 공간의 압력을 가변시키는 압력부, 상기 압력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노즐부재의 내부 관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내주면에 상측 내경보다 하측 내경이 확장되도록 단차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재와 밀착되어 상기 압력부와 상기 노즐부재의 내부 관로 사이를 차단하는 언더컷부, 및 상기 삽입부에 형성되고 삽입부를 탄성적으로 신축시켜 상기 언더컷부와 상기 노즐부재 사이를 개폐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상기 삽입부의 단면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이루고 외측으로 불록하게 적어도 한 번 이상 굽어져 형성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상기 압력부보다 탄성계수가 상대적으로 커, 외력에 대해 상기 압력부가 먼저 변형되는 구조의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재는, 내부에 관로가 형성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은 상기 숄더부의 배출홀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에 끼워져 펌핑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노즐몸체, 상기 노즐몸체 상부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펌핑부재 상단을 지지하는 상단플랜지, 상기 노즐몸체 측면에 형성되어 내부 관로와 상기 펌핑부재의 삽입부 내부를 연통하는 유입홀, 및 상기 노즐몸체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 관로 선단을 막고 상기 펌핑부재의 언더컷부에 밀착되어 상기 압력부와 상기 삽입부 사이를 차단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몸체는 상기 삽입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 내주면과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는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1020180089103A 2018-07-31 2018-07-31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202000138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03A KR20200013898A (ko) 2018-07-31 2018-07-31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103A KR20200013898A (ko) 2018-07-31 2018-07-31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898A true KR20200013898A (ko) 2020-02-10

Family

ID=69627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103A KR20200013898A (ko) 2018-07-31 2018-07-31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38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548A (ko) * 2019-12-06 2021-06-16 (주)성진코스메틱스 화장품 용기
KR102282327B1 (ko) * 2020-06-18 2021-07-27 (주)성진코스메틱스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WO2023080383A1 (ko) * 2021-11-05 2023-05-11 정상열 합성수지재 탄성밀착구가 구비된 호스식 스프레이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548A (ko) * 2019-12-06 2021-06-16 (주)성진코스메틱스 화장품 용기
KR102282327B1 (ko) * 2020-06-18 2021-07-27 (주)성진코스메틱스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WO2021256734A1 (ko) * 2020-06-18 2021-12-23 (주)성진코스메틱스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WO2023080383A1 (ko) * 2021-11-05 2023-05-11 정상열 합성수지재 탄성밀착구가 구비된 호스식 스프레이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3898A (ko)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KR102282327B1 (ko)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의 펌핑장치
CN107114900B (zh) 用于尤其为化妆品的瓶的容器的泵和包括该泵的分配装置
JPH03148484A (ja) 分与装置
KR20040010357A (ko) 유체저장부내에 저장된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배출펌프
US7614814B2 (en) Enhanced fluid dispenser container fitment
KR102164249B1 (ko) 분배기용 도포기 헤드 및 도포기 헤드를 구비한 분배기
KR20060087553A (ko) 케미컬 리퀴드 공급용 플렉시블 튜브
KR101642306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0403888B1 (ko) 아이스크림 분배장치
JP3886732B2 (ja) 空気取り込み部材及び該部材を備えたキャップ、該部材又は該キャップを備えた容器及び該容器を具備する装置
JP7092804B2 (ja) 改善されたトリガ機能を備えた製品を分注するための装置
US11259617B2 (en) Device for dispensing and applying a product
KR20220034382A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CN113766899A (zh) 用于排出药用液体的分送器
KR101309857B1 (ko) 출몰노즐형 화장품 용기
CN101534958B (zh) 流体产品分配装置
KR20160109277A (ko)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1271151B1 (ko) 노즐개폐형 화장품 용기
CN115697567A (zh) 用于流体产品的分配头和相关联的流体产品瓶
JP2003049764A (ja) 薄膜ポンプとそれに装着される容器
KR102572953B1 (ko) 화장품 용기 및 화장품 용기용 펌핑부재
JPS63110179A (ja) 液状の修正剤又は美爪剤を計量的に供与する装置
KR101584718B1 (ko) 단부 가압식 펌핑용기
KR20210071548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