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175A -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및 ai 자동문 - Google Patents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및 ai 자동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175A
KR20200013175A KR1020180084914A KR20180084914A KR20200013175A KR 20200013175 A KR20200013175 A KR 20200013175A KR 1020180084914 A KR1020180084914 A KR 1020180084914A KR 20180084914 A KR20180084914 A KR 20180084914A KR 20200013175 A KR20200013175 A KR 20200013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rver
information
automatic door
b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총-위엔 차이
Original Assignee
총-위엔 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총-위엔 차이 filed Critical 총-위엔 차이
Priority to KR1020180084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3175A/ko
Publication of KR20200013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2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events or environment, e.g. weather or festiv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은 데이터 베이스, 서버, AI 자동문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통신하며, 프로세서 및 저장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AI 자동문은 입구 측에 위치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 외측에 상대된 제2영역 및 출구 측을 구비하며, 컨트롤러, 양방향 센서, 양방향 디스플레이 및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으로부터 수신된 특징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제1영역의 사람이 회원특징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상기 제2영역의 인파데이터를 분석한다. 본 창작은 매점 들어온 인원에 대하여 회원식별관리를 하고, 동시에 매점을 진입하지 않는 지나가는 행인에 대하여 인파분석을 진행하며, 종래기술에서 매점에 들어온 고객만 분석하고 행인에 대하여 누락하는 것을 개선하여, 분석이 더욱 완벽하도록 한다.

Description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및 AI 자동문{TWO-WAY INTERNET USING AI AUTOMATIC DOOR AND AIAUTOMATIC DOOR}
본 창작은 인터넷 응용에 관한 것이며, 특히 양방향 디스플레이 및 양방향 AI 사람얼굴 식별기술을 구비한 AI 자동문 및 이를 포함한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술 서비스는 과학기술과 인간성이 결합에 의해, 다양한 생활 응용에 있어서, 전통과 다른 생활 체험을 제공한다. 최근에 개발된 스마트 매점은 이러한 스마트 기술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이다.
스마트 매점은 새로운 형태의 채널과 서비스 모델이며, 미국 전자상거래 선두인 아마존 회사에서 출시한 스마트매점(Amazon Go)을 예를 들면, 이는 작동하기 위하여 특정된 이동 응용프로그램(App)을 이용하여야 하며, 센서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행위를 추적하여, 재고 위치에 관련된 재고물품을 식별하고, 계산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소비자 선택한 물품과 상기 재고물품을 대응된 연관성을 발생시켜, 상기 소비자의 상기 이동 응용프로그램에서 상기 소비자에 관련된 물품리스트에 추가 또는 삭제시켜, 상기 소비자가 특정한 영역을 진입 또는 통과할 경우, 상기 소비자와 관련된 물품리스트로 자동 이동되어 소비자의 계좌에서 계산된다. 이러한 기술은 소비자의 관점에서는, 매점에 진입하고, 상품을 선택하고, 바로 떠나는 것이며, 계산대에 줄을 서서 계산을 대기할 필요가 없어, 전통적 소비행위 패턴에 아주 큰 충격을 가져다 준다.
종래의 스마트 매점은 많은 수량의 감시시스템을 통해 고객의 소비행위에 대하여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여기서, 적어도 기계시각, 심도 있는 학습 알고리즘 및 센서융합이 필요하며, 이는 하드웨어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아주 높다. 따라서 단일 점포의 구축과 유지보수비용도 상당히 높으므로 일반소비 시장에 보급화 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현재 주요 요구는 무인 매점의 점포를 고객의 출입관리의 편의를 위해, 일반적으로 입구와 출구를 따로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점포의 위치선정과 하드웨어 설치의 난이도를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매점에 들어온 소비고객에만 인파분석을 진행하였으나, 매점에 들어오지 않고 지나가는 행인에 대해 분석을 누락하였거나, 또는 지나가는 행인에 대하여 인파 분석을 진행하였으나, 분석 내용은 단지 인파동향, 시간 및 지점의 인파계수인 뿐, 지나가는 행인의 특정에 대하여 추가로 분석하지 않았으며, 사업자에게 있어서, 이는 잠재고객의 행위패턴을 장악하는 기회를 놓치는 것이 틀림없으며, 인파분석의 효과도 약화되었다.
이에 의해,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창작의 주된 목적은 입구 측과 출구 측을 포함하는 AI 자동문에 있어서, 상기 문이 열린 상태와 닫친 상태로 스위칭 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문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며, 상기 문의 주변에 사람 및/또는 물품이 존재함을 센싱 될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문을 열리도록 제어하고 일정 시간 후 닫히도록 제어하는 양방향 센서; 상기 문에 박혀 있으며, 입구측 및/또는 출구 측에서 음성, 음악, 이미지, 영상, 문자 및 섀도우로 구성된 군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출력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및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에 박혀 있으며 상기 입구측 및/또는 상기 출구 측의 사람얼굴 특징을 수신하는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창작의 주된 목표는 사람 얼굴특징의 분석비교 데이터, 사람 얼굴특징 정보를 개별적으로 구비한 복수의 회원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통신하며, 프로그램 명령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서버; 및 청구항 1항에 따른 입구 측에 위치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대응된 제2영역을 구비한 상기 AI 자동문;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은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에 박혀 있고 또한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은 입구 측의 상기 제1영역, 상기 제2영역, 및 출구 측의 사람 얼굴특징을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를 구동하여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사람 얼굴특징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제1영역의 사람이 회원특징을 구비하는지 확정하고 또한 상기 제2영역의 인파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는 상기 문에 박혀 있고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영역의 사람이 회원특징에 부합됨이 확정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회원의 취향에 맞은 적절한 광고를 선택하여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에 재생시키며;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한 시간에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환경정보에 맞은 적절한 광고를 선택하여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에 재생시킨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은 사람 얼굴특징 수신 가능한 계산 탐지유닛, 제품 식별이 가능하고 거래 프로그램을 수행 가능한 계산장치를 포함하는 계산모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센싱 대상물이 상기 탐지기 작업장을 통과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래프로그램의 결과를 통해 상기 센싱 대상물의 합법성을 판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싱 대상물이 합법성을 구비하지 않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를 구동하여 상기 제품정보 및/또는 음성, 음악, 이미지, 영상, 문자 및 섀도우로 구성된 군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탐지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탐지기는 상기 문 출구 측의 상측 및/또는 상기 분 출구 측의 양측에 설치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산모듈은 수집된 사람얼굴 특징, 바코드, 개인자료로 구성된 군에서 어느 하난 또는 그 조합된 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고객의 회원신분을 확인한 후 상기 거래프로그램이 회원혜택을 제공하도록 하고, 대응된 거래 프로그램 정보를 통신을 통해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 포스트백(postback)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통신만을 통해 제품정보를 식별하고 거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상기 계산모듈과 연결되는 전자상 거래 플랫폼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고객의 이동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서버와 통시하며, 상기 고객이 상기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에 접근될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고객속성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에 대응된 거래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 받는 고객 속성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응용프로그램(mobile application)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정보를 입력과 출력하는 등록 터미널과 사람 얼굴특징을 수집 가능한 등록탐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등록유닛을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등록유닛은 상기 등록탐지유닛에서 수신된 고객의 사람 얼굴특징과 상기 터미널에서 수신된 상기 고객의 입력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설명된 정보를 회원데이터로 검증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전송하여 저장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양방향 사람 얼굴식별 유닛에는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 양측에 하나 또는 수평으로 박혀 있는 복수의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자동문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는 입력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적성에 맞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에 상기 입력장비에 대응되어 수신된 정보에 대한 실시간 양방향 상호작용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센싱유닛, 물품 배치공간 및 출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유닛이 상기 물품 배치공간의 상품이 가져감을 감지될 경우, 상기 출력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상품의 상품정보를 출력시키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센싱 가능한 진열대를 더 포함한다.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구비한다.
1.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은 입구측 근단과 원단의 사람 얼굴특징을 동시에 수신 가능하므로, 매점에 진입하려고 하는 인원에 대해 회원식별을 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매점에 진입하지 않는 지나가는 행인에 대하여 인파의 특징분석을 통해, 사업자는 분석결과에 의해 쇼핑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출력된 내용과 점포에서 진열된 상품을 조절할 수 있어, 지나가는 행인의 관심을 끌어 소비욕구를 자극시켜 고객분석이 더욱 완벽하도록 한다.
2. 본 창작의 AI 자동문은 내치형 양방향/양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자동문자체가 비디오 및 오디오 멀티미디어 플레이가 되도록 하는 초슬림형 양면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서버분석결과에 대하여 신속한 출력반응을 보임과 동시, 매점에 진입한 인원에게 실시간으로 양방향 상호작용적 피드백을 재생하고, 회원 또는 지나가는 주요 행인들에게 그들의 취향에 맞는 광고를 재행한다. 이런 설정을 통해 고객들이 쇼핑정보에 대한 흥미와 집중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전통적인 피동식으로 재생된 광고의 낮은 관심도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창작의 AI 자동문은 내치식 양방향 디스플레이 및 사람얼굴 식별유닛을 이용하여 외형상 패션감각적 미관과 기술적 느낌을 겸비하도록 한다.
3.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은 실제상품의 상품 진열대 및 전자상 거래 플랫폼(또는 클라우드 쇼핑몰이라 불린다)을 포함하고, 또한 실제상품 및 전자상거래 상품을 계산하는 계산모듈을 포함하며, 실제채널과 온라인 쇼핑의 장점을 통합하여 매점에 진입한 인원과 지나가는 인파에게 전방위적 소비체험을 제공한다.
4.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은 상기 AI 자동문 출구 측에 은닉식 탐지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센싱식 탐지기를 건축물 실내 천장 표면, 상기 문 출구 측의 양측 및/또는 지면에 설치하여, 미 계산 상품을 감지될 경우,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를 구동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미 계산된 상품정보를 출력하여 친절하게 안내하는 효과를 이루게 된다.
도 1은 본 창작의 AI 자동문 입구 측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창작의 AI 자동문 입구 측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3는 본 창작의 AI 자동문 출구 측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불록도이다.
도 5는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조합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창작의 상세한 설명과 기술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창작 중의 도면은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실제 비율로 제작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도면과 그 비율은 본 창작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음을 여기서 미리 밝힌다.
본문에 기재된 "함유 또는 포함"은 하나 또는 복수의 기타 구성, 단계, 조작 및/또는 원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거나 상기 구성, 단계, 조작 및/또는 원소에 추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는 상기 물체의 문법적 대상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즉, 적어도 하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는, 상세한 설명과 실시양태를 통해 본 창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그러나, 이러한 실시양태는 본 창작의 이해를 돕고자 사용되는 것이지, 본 창작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창작의 AI 자동문(10)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개략도인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창작의 AI 자동문(10)에 대하여 설명하며, 도시한 바와 같다.
본 창작의 AI 자동문(10)은 주로 컨트롤러(11), 양방향 센서(12), 양방향 디스플레이(13),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14)를 포함한다.
본문에서 사용된 "양방향/양방면"은 상기 문이 구비된 입구 측 및 출구 측을 의미한다. 일부 경우에서는, 본 창작과 사용자 사이의 반복된 상호작용적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 창작의 AI 자동문(10)은 그 어떠한 형태의 자동문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한쪽 문 /양쪽 문/다문단개(多門單開) 자동문(도 1과 같음), 양쪽 문/다문양개(多門兩開)자동문(도 2 및 도 3과 같음), 다쪽단방향 미다지문, 다쪽 양방향 미다지문, 원형/반원형 자동문, 접이식 자동문, 부채형 자동문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컨트롤러(11)은 상기 문을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 스위칭 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의 조합이다. 여기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보조부재와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11)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모터, 전원공급장치, 구동 어셈블러 등 및 기타 관련된 어셈블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창작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창작은 문의 열린 속도, 문의 닫친 속도, 문의 닫침 지연시간, 끼우기 방지 감지 등에 대하여, 사용자 수요에 의해 조절할 수 있으며, 본 창작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컨트롤러(11)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상기 문개폐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컨트롤러(11)은 상기 서버와 연결하여, 상기 서버가 상기 문 개폐작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되어, 고객이 원격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버가 상기 제1영역(T1)의 사람이 회원특징을 구비하는지 여부에 대한 식별결과, 상기 탐지기가 센싱 대상물의 합법성에 대한 판단결과(후속된 설명과 같음) 등에 의해, 상기 문의 개폐작업을 관리한다.
상기 양방향 센서(12)는 상기 문에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러(11)와 연결되며, 상기 센싱장치는 상기 문 주변(입구측 및 출구 측을 포함)에 사람 및/또는 물품이 존재함을 감지될 경우, 상기 컨트롤러(11)가 상기 문을 열리도록 하고 일정한 시간 후 닫히도록 한다. 상기 양방향 센서(12)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마이크로파 센서, 광전센서, 압력센서, 또는 기타 유사한 기능의 센서가 있으나, 본 창작에서는 상기 양방향 센서(12)의 설치위치, 센싱 각도, 센싱 범위 등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는 수요 또는 경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상기 문에 설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상기 문에 박혀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문에 예비된 수용시트 예를 들어 상기 문에 창문형 범위로 파내어, 자물쇠로 고정, 접착 고정, 전기용접, 또는 꼭 끼워 맞춤 등과 같은 수단으로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를 상기 문의 상기 수용시트에 박아 넣으며, 외관상으로 일체형에 근접되게 한다. 상기 문의 설치된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하나 또는 복수로 될 수 있다. 이외에는,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상기 AI 자동문(10)의 한쪽 문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AI 자동문(10)이 여러 쪽의 문으로 된 경우,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하나 또는 복수 쪽 문에 설치될 수 있으나, 본 창작은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상기 문의 입구측 및/또는 출구 측에 다양한 임의의 디스플레이 기술에 의해 음성, 음악, 이미지, 영상, 문자 및 섀도우로 구성된 군에서의 어느 하나 또는 그의 조합을 출력하며,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상기 문의 입구측 및 출구 측에서 같거나 다른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하나 또는 복수의 출력 구성의 조합으로 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보조부재와 결할 할 수도 있다.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브라운관(CRT) 디스플레이, 터치컨트롤, 컬러 및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한 액정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초슬림형 양방향 액정 디스플레이(LCD), 초슬림형 양방향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또는 초슬림형 양방향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14)는 상기 문에 설치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14)는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에 박형 있게 되며, 상기 입구측 및/또는 상기 출구 측의 사람 얼굴특징을 수집하고,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14)는 촬영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14)는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 주변에 박혀 있는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14)는 수평적으로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 양측(예를 들어,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의 좌측 및 우측)에 박혀 있으며, 설치높이가 지면으로부터 150 내지 175cm되는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장치를 적어도 두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장점은, 많은 인원이 서로 붙어 있을 경우, 수평적으로 설치된 제1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장치(141) 및 제2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장치(142)의 탐지각도의 차이에 의해, 단일 탐지유닛의 탐지에 인한 맹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서로 붙어 있는 많은 인원의 사람 얼굴특징을 개별적으로 성공적으로 탐지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평적으로 설치된 하나 또는 복수의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장치는 사람의 동향 데이터 예를 들어, 이동방향, 이동속도 등 탐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창작의 AI 자동문(10)은 예를 들어 마이크, 카메라, 터치스크린, 키보드, 버튼 등과 같은 입력장비(15)를 더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입력장비(15)는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태블릿 PC 방식으로 실시하며, 태블릿 PC의 터치스크린은 동시에 본 창작의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와 상기 입력장비(15)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100)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블록도 및 개략도인 도 4 및 도5를 각각 참조하여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100)에 대하여 설명하며, 도시된 바와 같다.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100)은 적어도 데이터 베이스(20), 서버(30) 및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AI 자동문(10)을 포함한다. 또한 수요에 따라, 계산모듈(50), 탐지기(40), 전자상 거래 플랫폼(60), 이동 응용프로그램(70), 등록유닛(80) 및/또는 센싱 가능한 진열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창작은 네트워크를 통해 동시에 하나 또는 복수의 앤드포인트에 연결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100)의 서버(30)로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앤드포인트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100)에 대하여 동기화 제어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원격서버 더 포함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문에서 기재된 "데이터 베이스(20)"은 한 그룹의 관련된 데이터를 같이 집합시키고 정장하여, 시스템에서 제공된 명령 또는 문법기능을 통해 데이터 베이스(20)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20)에는 사람 얼굴특징의 분석비교 데이터, 사람 얼굴특징 정보를 개별적으로 구비한 복수의 회원 데이터, 및 광고데이터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상기 회원데이터는 예를 들어 상기 회원에 해당된 생물학적 특징정보, 회원계좌번호, 회원 패스워드, 회원연락처 정보, 회원속성 정보(예컨대, 성별, 나이, 취미, 거주지, 상습 활동 지역 등), 회원 거래프로그램 히스토리, 회원계좌데이터 등이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사람 얼굴특징의 분석비교 데이터는 생물학적 특징 식별데이터를 구비한 인원의 속성특징을 편리하게 판단 또는 분류하도록 생물학적 특징 판단기준 또는 생물학적 특징 분류 기준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서버(30)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20)와 통신하고, 프로세서(31) 및 저장유닛(32)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31)는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고, 상기 저장유닛(32)는 상기 프로세서(31)와 연결하고,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한다. 상기 프로세서(31)은 중앙 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기타 유사 장치 또는 상기 장치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AI 자동문(10)은, 입구 측의 제1영역(T1)과 상기 제1영역(T1)의 상대적 위측에 위치한 제2영역(T2)를 구비한다. 다르게 말하면, 상기 문의 입구 측에, 상기 제1영역(T1)은 상기 문의 상대적 근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영역(T2)는 상기 문의 상대적 원단에 위치한다. 상기 제1영역(T1) 및 상기 제2영역(T2)의 범위는 고객이 자체적으로 정의한 영역범위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1영역(T1)은 상기 문 입구 측에서 밖으로 0.5 내지 2m 로 밀린 반격범위이다. 상기 제2영역(T2)는 상기 문 입구 측에서 밖으로 2 내지 10m 밀린 반경 범위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선택과 경험에 의해 상기 제1영역(T1) 및 상기 제2영역(T2)의 범위에 대하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창작은 상기 제1영역(T1) 및 상기 제2영역(T2)의 범위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AI 자동문(10)의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14)는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에 박혀 있으며 상기 서버(30)과 연결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14)는 입구 측의 상기 제1영역(T1), 상기 제2영역(T2), 및 출구 측의 사람 얼굴특징을 수신하여, 상기 사람 얼굴특징을 상기 프로세서(31)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31)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31)가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14)로부터 수신된 사람 얼굴특징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20)과 비교하도록 하여, 상기 제1영역(T1)의 사림이 회원특징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더욱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AI 자동문(10)의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상기 문에 박혀 있으며, 상기 서버(30)와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31)가 상기 제1영역(T1)의 사람이 회원특징을 구비여부를 확정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31)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20)에서 상기 회원의 취향에 맞는 광고를 선택하여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에 재생시킨다.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프로세서(31)은 특정한 시간에서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프로세서(31)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20)에서 상기 환경정보에 의해 맞은 광고를 선택하여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에 재생하도록 하며, 상기 환경정보는 예를 들어 환경온도, 습도, 강우 황률, 풍속, 풍향, 기상형태 등이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AI 자동문(10)에 입력장비(15)가 설치된 실시 양태인 경우, 상기 입력장비(15)는 상기 서버(30)와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31)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20)의 적성 데이터에 의해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에 상기 입력장비(15)가 수신된 정보에 대응된 실시간 양방향 상호작용적 피드백을 제공하여 스마트 기술이 더욱 인성화적 응용을 갖게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31)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31)가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14)로부터 수신된 사람 얼굴특징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20)과 비교하여, 상기 제2영역(T2)의 사람에 대하여 식별과 분류를 통해 사람의 이동 데이터를 분석한다. 더욱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세서(31)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20)와 통신하여 상기 제2영역(T2)의 생물학 특정정보를 식별과 분류한다. 또한 기타정보를(예를 들어, 환경정보, 시간정보, 지리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제2영역(T2)의 인파정보를 추가로 분석한다. 상기 인파정보는 예를 들어 인수, 성별, 나이, 보속, 동향, 매점진입 비율, 시간대, 계절, 날씨, 지리정보로 구성된 군에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정보를 조합 분석한 결과이며, 그러나 본 창작의 분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AI 자동문(10)의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상기 문에 박혀 있고, 상기 서버(30)와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31)가 상기 제2영역(T2)의 인파데이터를 얻을 경우, 상기 프로세서(31)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20)에서 상기 인파데이터 속성에 의해 맞은 광고를 선택하여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에 재생시킨다. 구체적인 응용은 예를 들어 상권에 위치한 점포에 대하여 인파가 많은 시간은 출근시간대, 점심 및 퇴근 시간대이며, 인파가 많은 시간의 인파는 하루 인파비율의 65%를 점유하고, 여기서 구성중 남성은 57%이고, 여성은 43%이며, 30 내지 50세 구간이 고봉시간 인파의 65%를 점유한다. 따라서 사업자는 상기 인파가 많은 시간의 인파분석에 의해 그 속성에 맞는 대응된 제품정보를 푸시 하여, 고객의 제품정보에 대한 흥미와 관심 시간을 높이게 된다.
상기 계산모듈(50)은 상기 서버(30)와 통신하며, 상기 계산모듈(50)은 사람 얼굴특징을 수신 가능한 계산 탐지유닛(51), 상품을 식별하여 거래프로그램을 수행 가능한 계산장치(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계산모듈(50)은 수신된 고객의 사람 얼굴특징, 식별번호, 바코드(예를 들어 1차원, 2차원 또는 3차원 바코드), 개인자료로 구성된 군에서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된 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3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고객의 회원 신분을 확인한 후, 상기 계산모듈(50)은 상기 거래 프로그램이 회원 혜택 (예를 들어 제품 할인코드, 한정상품, 혜택조합 등)을 제공하도록 하고, 또한 이에 대응된 거래프로그램 정보를 통신을 통해 상기 데이터 베이스(20)로 포스트백(postback)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계산장치(52)는 POS(Point of Sales, 매점)시스템 또는 이와 유사한 매점 관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계산장치(52)는 예를 들어 계산코드,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쿠폰 또는 RFID라벨 등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및 관련된 정보를 식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설치한 장점은 소비자에게 구매혜택을 제공하므로 회원가입을 유도하여 본 창작의 회원 데이터 베이스가 더욱 완벽하게 구축하도록 한다.
본문에서 기재된 "거래프로그램"은 일연의 불가분 데이터 베이스 조작 명령의 집합을 의미한다. 상기 거래프로그램은 하나 또는 복수의 상품에 대한 식별, 상기 하나 또는 복수 상품에 의한 소비금액의 계산, 상기 소비금액에 대한 현금 또는 전도금의 수납, 거래의 완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래프로그램 중의 모든 실행명령이 전부다 성공될 경우, 상기 거래가 성공으로 간주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실패로 간주되며, 거래 전의 데이터 상태로 회복되어야 한다.
상기 탐지기(40)는 상기 문 출구 측의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서버(30)와 연결되며, 센싱 대상물이 상기 탐지기(40)의 작업장을 통과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31)은 상기 계산모듈(50)의 상기 거래프로그램의 결과에 의해 상기 센싱 대상물의 합법성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31)은 상기 센싱 대상물에 대한 거래프로그램의 완성신호를 수신될 경우, 상기 센싱 대상물이 합법성을 구비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프로세서(31)은 상기 센싱 대상물에 대한 거래프로그램의 완성신호를 수신되지 않을 경우 또는 상기 센싱 대상물에 대한 거래프로그램 실패(또는 미 완료)신호를 수신될 경우, 상기 센싱 대상물이 합법성을 구비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세서(31)은 상기 센싱 대상물이 합법성을 구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를 구동하여 상기 제품정보를 출력한다.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프로세서(31)은 상기 센싱 대상물이 합법성을 구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를 구동하여 안내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안내정보는 음성, 음악, 이미지, 영상, 문자 및 섀도우로 구성된 군에서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창작은 상품정보 및/또는 안내정보를 출력하므로 고객에게 미 계산 또는 계산 실패된 상품이 존재함을 친절하게 안내하게 된다. 또한, 고객의 소비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상품정보가 노출되지 않은 안내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에게 미 계산 또는 계산 실패된 상품이 존재함을 안내하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상기 탐지기(40)는 예를 들어 적외선 탐지기, 마이크로파 탐지기, 전파식별 탐지기(RFID), 또는 기타 이와 유사한 무선 탐지기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탐지기(40)는 은닉식으로 설치되며, 예를 들어, 상기 탐지기(40)는 상기 문 출구 측의 건축물 실내 천장 표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문 출구 측의 양측 및/또는 지면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탐지기(40)는 RFID탐지기이고, 상품에는 RFID 라벨이 구비되고, 상기 탐지기(40)는 상기 문 출구 측의 건축물 실내 천장 표면(즉, 상측), 상기 문 출구 측의 양측(즉, 좌우 방향) 및/또는 지면(즉, 하측 )에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한 장점은, 수직 방향 또는 주변에 설치된 상기 탐지기(40)와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14) (예를 들어, 제1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장치(141) 및 제2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장치(142))을 통해, 상기 문 출구 측에서 사각지대 없이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60, 또는 클라우드 쇼핑몰이라 불린다)은 네트워크를 매개로 하여 서비스 또는 상품을 거래하는 가상 플랫폼을 의미하며, 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 터미널 및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100)이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60)에 연결되어 거래를 진행하도록 한다. 본 창작의 전자상거래 플랫폼(60)은 기업과 기업의 거래(Business to Business, B2B), 기업과 소비자의 거래(Business to Consumer, B2C), 소비자와 소비자의 거래(Consumer to Consumer, C2C) 및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거래(Online to Offline, O2O) 등의 형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전자상 거래 플랫폼(60)은 상기 계산모듈(50)과 연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상기 계산모듈(50)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60)의 상품정보를 식별하여 거래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60)에는 상기 계산모듈(50)이 식별 가능한 하난 또는 복수의 계산코드, 1차원, 2차원 또는 3차원 바코드 또는 쿠폰이 포함되어, 상기 계산모듈(50)이 실체 판매와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60)의 계산코드, 1차원, 2차 또는 3차원 바코드 또는 쿠폰을 통합하여 거래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한다.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양태에서,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100)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60)과 연결하여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60)의 정보를 입력 및/또는 출력하는 터미널은 예들 들어, 태블릿 컴퓨터 또는 입력 기능을 구비한 스크린, 프로젝트 장비 또는 기타 유사한 전자장치, 또는 POS 터미널 등을 포함하나, 본 창작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본문 상기 터미널에서 출력한 미디어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중의 하나 또는 모두 포함할 수 있으나, 본 창작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60)과 연결하여 상기 전자상거래 플랫폼(60)의 정보를 입력 및/또는 출력한다.
상기 이동 응용프로그램(70, APP: mobile application)은 운영체제(예컨대, iOS 또는 Android)로 실행되는 고객의 이동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서버(30)와 통신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응용프로그램(70)은 이동장치에서 임의의 프로그램 언어(예컨대 C++ 또는 Java)로 코딩된 프로그램 명령과 및 프로그램명령을 실행하도록 지정된 하드웨어(예컨대, 메모리 및 프로세서의 시간)로 결합된 것이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100)에 근접될 경우, 상기 이동 응용프로그램(70)은 상기 서버(30)에게 상기 고객의 속성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30)는 상기 고객에 대응되는 거래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이동 응용프로그램(70)로 전송한다.
상기 등록유닛(80)은 정보를 입력과 출력하는 등록 터미널(81)과 사람 얼굴특징을 수신 가능한 등록탐지유닛(82)을 포함한다. 상기 등록유닛(80)은 상기 등록탐지유닛(82)이 수신된 고객의 사람 얼굴특징과 상기 터미널에서 수신된 상기 고객이 입력한 정보를 상기 서버(30)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30)는 상기 설명된 정보를 저장 및 회원데이터로 검증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20)에 전송한다.
상기 센싱 가능한 진열대(90, 또는 AI 스마트 상품 진열대로 불린다)은 센싱유닛(91), 물품 배치공간(92) 및 출력유닛(93)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유닛(91)은 상기 물품 배치공간(92) 중의 상품이 가져감을 감지한 경우 상기 출력유닛(93)을 구동하여 상기 제품의 제품정보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싱유닛(91)은 예를 들어 적외선 센싱, RFID센싱, 무게센싱, 압력센싱, 저항 용량 센싱, 카메라 식별 등 기술을 이용하여 상품의 가져감을 센싱하여 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센싱 가능한 진열대(90)은 섬(island)형 상품 진열대이며, 그의 외형은 판매된 상품의 종류에 따라 설계를 변경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출력유닛(93) 또는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는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스트림 미디어(예를 들어, 생방송된 영화)를 제공하며, 고객은 상기 출력유닛(93) 또는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13)를 통해 상기 실시간 스트림 미디어와 실시간 상호작용을 진행한다.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은 입구측 근단(近端)과 원단(遠端)의 사람 얼굴특징을 동시에 수신 가능하므로, 매점에 진입하려고 하는 인원에 대해 회원식별을 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매점에 진입하지 않는 지나가는 행인에 대하여 인파특징분석을 통해, 사업자는 분석결과에 의해 쇼핑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출력된 내용과 점포에서 진열된 상품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나가는 행인의 관심을 끌어 소비욕구를 자극시켜 고객분석이 더욱 완벽하도록 한다. 본 창작의 AI 자동문은 내치형 양방향 /양면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자동문자체가 비디오 및 오디오 멀티미디어 플레이가 되도록 하는 초슬림형 양면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서버분석결과에 대하여 신속한 출력반응을 보임과 동시, 매점에 진입한 인원에게 실시간으로 양방향 상호작용적 피드백을 재생한다. 회원 또는 지나가는 주요 행인들에게 그들의 취향에 맞는 광고를 재생하며, 이런 설정을 통해 고객들이 쇼핑정보에 대한 흥미와 집중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전통적인 피동식으로 재생된 광고의 저 관심도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창작의 AI 자동문은 내치식 양방향 디스플레이 및 사람얼굴 식별유닛을 이용하여 외형상 패션감각적 미관과 기술적 느낌을 겸비하도록 한다.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은 실제 상품의 상품 진열대 및 전자상거래 플랫폼(또는 클라우드 쇼핑몰이라 불린다)을 포함하고, 또한 실제 상품 및 전자상거래 상품을 계산하는 계산모듈을 포함하며, 실제채널과 온라인 쇼핑의 장점을 통합하여 매점에 진입한 인원과 지나가는 인파에게 전방위적 소비체험을 제공한다. 본 창작의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은 상기 AI 자동문 출구 측에 은닉식 탐지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센싱식 탐지기를 건축물 실내 천장 표면, 상기 문 출구 측의 양측 및/또는 지면에 설치하여, 미 계산 상품을 감지될 경우,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를 구동하여 음성 또는 화면으로 미 계산된 상품정보를 출력하여 친절하게 안내하는 효과를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창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상기 기재된 내용은 본 창작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창작의 실시범위를 한정할 수 없다. 즉, 본 창작의 청구항에 의해 진행된 균등한 변화 및 수식은, 모두 본 창작의 특허보호 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10 AI 자동문
11 컨트롤러 12 양방향 센서
13 양방향 디스플레이 14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
141 제1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장치
142 제2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장치
15 입력장비 20 데이터 베이스
30 서버 31 프로세서
32 저장유닛 40 탐지기
50 계산모듈 51 계산 탐지유닛
52 계산장치 60 전자상 거래 플랫폼
70 이동 응용프로그램 80 등록유닛
81 등록 터미널 82 등록탐지유닛
90 센싱 가능한 진열대 91 센싱유닛
92 물품 배치공간 93 출력유닛
T1 제1영역 T2 제2영역

Claims (13)

  1. 입구 측과 출구 측을 포함하는 AI 자동문에 있어서,
    상기 문이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스위칭 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문에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며, 상기 문의 주변에 사람 및/또는 물품이 존재함이 센싱 될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문을 열리도록 제어하고 일정 시간 후 닫히도록 제어하는 양방향 센서;
    상기 문에 박혀 있으며, 입구측 및/또는 출구 측에서 음성, 음악, 이미지, 영상, 문자 및 섀도우로 구성된 군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출력하는 양방향 디스플레이; 및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에 박혀 있으며, 상기 입구측 및/또는 상기 출구 측의 사람얼굴 특징을 수신하는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2. 사람 얼굴특징의 분석비교 데이터, 사람 얼굴특징 정보를 개별적으로 구비한 북수의 회원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통신하며, 프로그램명령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결되며 프로그램명령을 저장하는 저장유닛을 포함하는 서버; 및
    청구항 1항에 따른 입구 측에 위치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의 외측에 대응된 제2영역을 구비한 상기 AI 자동문; 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은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에 박혀 있고 또한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은 입구 측의 상기 제1영역, 상기 제2영역, 및 출구 측의 사람 얼굴특징을 수신하여 상기 프로세서로 전송하며,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경우, 상기 프로세서를 구도하여 상기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사람 얼굴특징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제1영역의 사람이 회원특징을 구비하는지 확정하고 또한 상기 제2영역의 인파 유동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는 상기 문에 박혀 있고 상기 서버와 연결되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영역의 사람이 회원특징에 부합됨을 확정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회원의 취향에 맞은 적절한 광고를 선택하여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에 재생시키며; 또는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한 시간에 환경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환경정보에 맞은 적절한 광고를 선택하여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에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사람 얼굴특징 수신 가능한 계산 탐지유닛, 제품 식별이 가능하고 거래 프로그램을 수행 가능한 계산장치를 포함하는 계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문 출구측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서버와 연결되며, 센싱 대상물이 상기 탐지기 작업장을 통과할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거래프로그램의 결과를 통해 상기 센싱 대상물의 합법성을 판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센싱 대상물이 합법성을 구비하지 않는다고 판정될 경우,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를 구동하여 상기 제품정보 및/또는 음성, 음악, 이미지, 영상, 문자 및 섀도우로 구성된 군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안내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탐지기는 상기 문 출구 측의 상측 및/또는 상기 문 출구 측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계산모듈은 수집된 사람얼굴 특징, 바코드, 개인자료로 구성된 군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된 정보에 의해, 상기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고객의 회원신분을 확인한 후 상기 거래프로그램이 회원혜택을 제공하도록 하고, 대응된 거래 프로그램 정보를 통신을 통해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 포스트백(postback)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8. 청구항 4에 있어서,
    통신만을 통해 제품정보를 식별하고 거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상기 계산모듈과 연결되는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9. 청구항 4에 있어서,
    고객의 이동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고객이 상기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에 접근될 경우, 상기 서버로 상기 고객속성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고객에 대응된 거래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 받는 고객 속성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응용프로그램(mobile application)을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정보를 입력과 출력하는 등록 터미널과 사람 얼굴특징을 수집 가능한 등록탐지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등록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등록유닛은 상기 등록탐지유닛에서 수신된 고객의 사람 얼굴특징과 상기 터미널에서 수신된 상기 고객의 입력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설명된 정보를 회원데이터로 검증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11. 청구항 2항 내지 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사람 얼굴식별 유닛에는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 양측에 하나 또는 수평으로 박혀 있는 복수의 양방향 사람얼굴 식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12. 청구항 2항 내지 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I 자동문은 상기 서버와 연결되는 입력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명령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의 적성에 맞는 데이터에 따라 상기 양방향 디스플레이에 상기 입력장비에 대응되어 수신된 정보에 대한 실시간 양방향 상호작용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13. 청구항 2항 내지 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싱유닛, 물품 배치공간 및 출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센싱유닛이 상기 물품 배치공간의 상품을 가져감을 감지할 경우, 상기 출력유닛을 구동하여 상기 상품의 상품정보를 출력시키는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센싱 가능한 진열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KR1020180084914A 2018-07-20 2018-07-20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및 ai 자동문 KR20200013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14A KR20200013175A (ko) 2018-07-20 2018-07-20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및 ai 자동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14A KR20200013175A (ko) 2018-07-20 2018-07-20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및 ai 자동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175A true KR20200013175A (ko) 2020-02-06

Family

ID=69569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14A KR20200013175A (ko) 2018-07-20 2018-07-20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및 ai 자동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31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427A (ko) *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라운지랩 무인 상점 운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인 상점 시스템
KR102649476B1 (ko) * 2023-07-07 2024-03-20 한국피디도어 주식회사 스마트 인공지능 센서 도어 개폐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4427A (ko) * 2020-02-17 2021-08-25 주식회사 라운지랩 무인 상점 운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인 상점 시스템
WO2021167326A1 (ko) * 2020-02-17 2021-08-26 주식회사 라운지랩 무인 상점 운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인 상점 시스템
US11935022B2 (en) 2020-02-17 2024-03-19 Lounge'lab Inc. Unmanned store operation method and unmanned store system using same
KR102649476B1 (ko) * 2023-07-07 2024-03-20 한국피디도어 주식회사 스마트 인공지능 센서 도어 개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wangbo et al. Use of the smart store for persuasive marketing and immersive customer experiences: A case study of Korean apparel enterprise
US20200293260A1 (en) Multi-Panel, Multi-Communication Video Wall and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Isolating One or More Panels for Individual User Interaction
US9472043B2 (en) Mobile device assisted retail system and process in a vending unit, retail display or automated retail store
JP6412299B2 (ja) 双方向小売システム
US78257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monitoring of remote sites
US8751318B2 (en) Method for managing and/or controlling store and system for the same
US20140363059A1 (en) Retail customer service interaction system and method
CN103824407B (zh) 用于远程场点的分布式监视的系统和方法
US76717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monitoring of remote sites
CN207148879U (zh) 一种自助购物门店和自助购物系统
US20140172557A1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US20130117153A1 (en) Fully interactive, wireless, retail video display tag, integrated with content distribution, data management, feedback data collection, inventory and product price search capabilities
US20070069014A1 (en) Retail environment
US200702826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ideo surveillance data
CN107330698A (zh) 一种无人值守的智能购物系统
JP2006113711A (ja) マーケティング情報提供システム
US9870025B1 (en) Display case
KR20110090158A (ko) 사용자의 위치 혹은 근접도에 연동되는 인터랙티브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컨텐츠 표시 방법
JP3218348U (ja) Ai自動ドア双方向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及びai自動ドア
KR20200013175A (ko) Ai 자동문 양방향 인터넷 및 ai 자동문
CN110735580B (zh) Ai自动门双向互联网及ai自动门
CN109872176A (zh) 交互式购物信息提供系统
US2021029534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User Authentication in a Retail Environment
TWM569466U (zh) AI automatic door two-way Internet and AI automatic door
WO2005086047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a retail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