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159A -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159A
KR20200013159A KR1020180084243A KR20180084243A KR20200013159A KR 20200013159 A KR20200013159 A KR 20200013159A KR 1020180084243 A KR1020180084243 A KR 1020180084243A KR 20180084243 A KR20180084243 A KR 20180084243A KR 20200013159 A KR20200013159 A KR 20200013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rine
toilet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218B1 (ko
Inventor
지용주
Original Assignee
(주) 유에이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에이썬 filed Critical (주) 유에이썬
Priority to KR102018008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21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 소변을 묻힌 배뇨 검사지를 센싱하여 사용자의 소변를 분석하는 요 분석 장치, 상기 요 분석 장치에서 산출된 요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계정별로 분류하는 요 분석 앱을 관리하는 서버, 상기 요 분석 앱을 구동하여, 상기 앱 상에서 상기 요 분석 장치에 의해 센싱된 요 검사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Toilet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IoT(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에 기반하여 건강정보를 제공하는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화장실에 비치된 장치를 통해 소변 검사를 수행하며 소변 검사의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헬스케어 산업에 IT, 전자, 화학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진입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IT 기술 기반의 기업들의 헬스케어 산업 참여가 두드러지고 있으며, 헬스 케어 각 과정에서 IT 기술을 활용하여 비용과 효과성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헬스케어 산업은 사람들의 인식이 치료보다 예방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변화한 것과 관련하여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질병에 걸렸을 때 수술이나 약물로 치료하는 것을 기대하던 과거와는 다르게, 이제는 질병을 얻기 이전 철저한 예방과 관리로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올바른 헬스케어로 여기고 있다. 이에 따라 IT 산업에서도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의 건강을 진단하고 예방할 수 있는 서비스가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상용화된 헬스케어 서비스는 착용형 스마트 기기에 의해 운동량을 체크하거나, 수면 중 뒤척이는 정도를 체크하여 수면 상태를 평가하는 등 질병과 연관성이 높은 정보를 수집하기보다는 생활 패턴 또는 운동 패턴을 체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여전히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야 하며, 이로 인한 시간과 비용의 소요가 불가피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헬스케어 관련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10-2018-0059714호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개인의 소변 검사를 화장실과 같은 일상생활 속 장소에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화장실의 위생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비품 보충 및 청소의 필요가 발생되는 즉시 관리자에게 연락이 취해지고 이를 확인한 관리자가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화장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화장실에서 비상 상황이 감지됨에 따라 즉각적인 연계 동작을 수행함을 통해 범죄 발생 및 위험 상황을 예방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 소변을 묻힌 배뇨 검사지를 센싱하여 사용자의 소변를 분석하는 요 분석 장치, 상기 요 분석 장치에서 산출된 요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계정별로 분류, 저장, 검색, 표출하는 요 분석을 총괄 관리하고 요 분석 앱을 관리하는 서버, 상기 요 분석 앱을 구동하여, 상기 앱 상에서 상기 요 분석 장치에 의해 센싱된 요 검사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손쉽게 소변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 사용자 기기를 통해 검사 결과 및 관련 질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관리자에게 화장실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가 제공되므로 관리자가 관리가 시급한 화장실부터 청소 및 비품 보충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화장실에서 발생가능한 비상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통계 정보를 토대로 자신의 건강 상태의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건강관리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 분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P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소변 검사 과정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화장실 비품 관리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 분석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화장실'은 공원 등의 국가 시설물에 존재하는 공공화장실을 비롯하여, 병원, 양로원 등의 민수시설 내 화장실 및 개인 주택 내 화장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의 구성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요 분석 장치 100, 사용자 기기 200, App 서버 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이하,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화장실용 IoT 기기 400, 관리자 기기 5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 분석 장치 100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상기 요 분석 장치 100는 화장실 내 일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요 분석 장치 10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방범용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화장실 변기 칸 내부보다는 입구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尿) 분석 장치 100는 사용자의 소변을 적신 검사지(스트립지)의 내용을 스캔 등의 동작을 통해 입력받고 이를 기반으로 소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이에 대한 검사 정보를 APP 서버 300측에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기기 200측에서는 상기 서버 300에서 지원하는 APP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 3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App에서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자신이 수행한 검사에 대한 정보를 서버 30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사용자는 뇨 분석 장치 100에 소변을 적신 검사지를 투입할 시 해당 소변 검사의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이 때 상기 뇨 분석 장치 100에서 검사지를 투입할 시 사용자를 인증하는 방식은 지문, 홍채 등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식 또는 사용자 기기 200와 뇨 분석 장치 100의 통신(예, 사용자 기기200에서 1차 인증 후 뇨 분석 장치 100에 태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 관리 시스템은 화장실용 IoT 기기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화장실용 IoT기기 400에는 화장실의 공기 오염도 측정 센서, 주변 기상 정보 측정 센서, 온습도 정보 측정 센서, 화장실의 비품 보충 상황을 감지하는 비품 보충 센싱 장치, 방범용 촬영 장치, 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예, 심박수, 혈압 등)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용 IoT 기기 400에는 비상상황 송출 장치, 공기 상태 센싱장치, 바닥 청결상태 센싱장치, 불법 촬영기기 점검 및 점검결과 송출 장치, 종합된 결과값(화장실 청결도, 온습도 등의 센싱 결과값) 표출용 전광판, 관리자 전달용 종합정보 송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용 IoT 기기400는 상기 요 분석장치 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예, BLE)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상기 요 분석장치 100에 측정한 센싱 값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요 분석 장치 100는 기 등록된 관리자 기기 500측에 관리 요청 신호를 전송하거나,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방범 사이렌을 울리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 분석장치 100가 생체 신호 측정 센서인 화장실용 IoT기기 4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신호의 값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밖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정상범위 밖인 경우 서버 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서버 300상에서 정밀 분석을 통해 관련 질병, 관련 의료기관 등에 대한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서버 300상에서 산출된 정보는 사용자 기기200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확인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 분석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 분석 장치 100는 (로컬)통신부 110, (로컬)저장부 120, (로컬)입력부 130, (로컬)출력부 140, 카메라부 150, 제어부 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 130는 배뇨 검사지 센싱 모듈 1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 160는 요 분석부 161, 건강정보 제공부 162, 화장실 상태 분석부 1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 160는 배뇨 검사지의 값을 관리하고 저장하고 분석하는 중앙 센터 관리부, 배뇨 검사지의 값의 이상 징후 및 신호를 분석하여 개인에게 전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 110는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예: GPS 모듈, Glonass 모듈, Beidou 모듈, 또는 Galileo 모듈), NFC 모듈 및 RF(radio frequency)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프로세서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블루투스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신부 110는 서버 300 및 화장실용 IoT 기기4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하거나 신체 일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화장실용 IoT 기기 400로부터 전달된 수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 110는 이상 유무가 확인된 경우 해당 정보(사용자 계정별 측정값) 서버 300측에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기기 200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 기기 200의 접근이 감지되면 해당 사용자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기기 200의 고유 코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통신부 110는 사용자가 소변 검사를 수행하기 전 자신의 계정 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기를 요 분석장치에 근접시키는 행위에 기반한 통신(예, NFC태그, BLE 통신)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2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와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저장부 120는 기초적인 요 분석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요 분석 장치 100는 검사를 위해 투입되는 배뇨 검사지를 대상으로 해당 검사지의 결과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보는 배뇨 검사지의 색상 변화에 대응하는 항목(예, 잠혈, 단백질, PH, 백혈구 등 )과 색상 변화 수준에 대응하는 정상/이상 수치 정보(예, 잠혈의 경우 음성(-)이 정상치, +1이상인 경우 이상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 13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은 택 타일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력부 130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130는 서버에 기 등록된 계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직접 사용자로부터 이름, 연락처, 성별, 나이 등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 130에 포함되는 배뇨 검사지 센싱 모듈 131는 사용자의 소변을 묻힌 검사지를 센싱하여 변화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뇨 검사지는 사용자의 소변에 포함된 성분에 따라 스트립지의 색상이 변할 수 있는데, 상기 배뇨 검사지 센싱 모듈 131은 색상 변화 여부 및 변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배뇨 검사지 센싱 모듈 131은 예컨대, 배뇨 검사지를 카메라로 촬영하는 방식의 스캔 동작을 통해 변화 여부 및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배뇨 검사지 센싱 모듈 131은 그 외 다양한 방식을 통해 배뇨 검사지의 결과값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뇨 검사지 센싱 모듈 131은 배뇨 검사지의 투입, 고정 등을 위한 장치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검사지 변화값 측정 이후 투입구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살균 처리장치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 140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은 터치 패널과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는 패널,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 140는 종이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출력부 140는 배뇨 검사지의 센싱 결과, 소변 검사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 140는 자세한 검사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으로 연결되는 QR코드 등을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 14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배뇨 검사지를 통해 측정된 변화값이 의미하는 정보를 프린트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 140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비품(예, 휴지, 일회용 변기 커버 등) 비치에 대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부 150는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 (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부 150는 사용자 인식을 위한 안면 인식, 홍채 인식 등을 수행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 150는 방범 CCTV의 역할을 겸용하기 위해 화장실 입구 등의 위치를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 16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어부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메모리는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서버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 160는 요 분석부 161, 건강정보 제공부 162, 화장시리 상태 분석부 1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요 분석부 161는 상기 매뇨 검사지 센싱 모듈 131에 의해 감지된 배뇨 검사지의 변화값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소변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성분 검사의 항목은 예컨대, 잠혈, 빌리루빈, 우로빌리노겐, 케톤체, 단백질, 아질산염, 포도당 , PH(산성도), 비중, 백혈구 등의 수치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소변 검사 항목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뇨 검사지는 다수의 색상지가 부착된 형태일 수 있는데, 상기 요 분석부 161는 상기 색상지의 위치에 따라 검사 항목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요 분석부 161는 투입구에 투입된 위치를 기준으로 좌측 첫 번째 색상지는 잠혈을 측정하기 위한 색상지이고, 두 번째 색상지는 단백뇨를 측정하기 위한 색상지라고 판단되면, 이에 따라 검사지의 변화값이 의미하는 성분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요 분석부 16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소변 검사 후 정상 또는 비정상 여부만을 판단하고 검출된 수치 정보는 서버 300측에 제공하여 서버 300를 통해 자세한 분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요 분석부 161는 측정된 검사 수치 정보를 기반으로 의심 질병 내역의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부 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건강정보 제공부 162는 검사 대상자의 나이, 성별 등의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 후 소변 검사가 수행된 경우에, 검사 대상자의 사용자 정보 및 검사 결과와 대응하는 건강정보를 출력 또는 서버 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검사지에 나타난 변화값이 동일한 수치라 하더라도 성별, 연령에 따라 그 위험도 및 심각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동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정보 제공부 16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보험, 정밀검사 종류 등에 관한 광고가 상기 건강정보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요 분석 장치는 광고 플랫폼으로써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건강정보 제공부 162는 검사지로부터 측정된 수치 정보 그 자체를 화면에 즉각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건강정보 제공부 162는 사용자의 요청 신호에 따라 검사 결과 및 관련 건강정보를 서버 300측으로만 제공하여 요 분석장치 100의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정보 제공부 16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소변검사를 수행하는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상태 분석부 163는 화장실용 IoT 기기 400로부터 수신된 신호값에 따라 화장실 상태를 분석하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화장실 상태 분석과 관련된 화장실용 IoT 기기는 예컨대, 변기 칸 사용 감지 장치(예, 화장실 변기 칸 잠금상태에 기반하여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의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화장실 상태 분석부 163는 다수개의 변기 칸들 중 빈 변기 칸을 상기 화장실용 IoT 기기4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도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 상태 분석부 163는 이 밖에도 화장실의 공기 오염도 측정 센서, 주변 기상 정보 측정 센서, 온습도 정보 측정 센서, 화장실의 비품 보충 상황을 감지하는 비품 보충 센서 등의 화장실용 IoT 기기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화장실 상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 상태 분석부 163는 비품 보충 센서로부터 비품(예, 휴지)의 보충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비품 보충이 요구되는 화장실 변기칸의 위치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후 기 저장된 관리자 계정 정보에 기반하여 관리자 기기 500측에 비품 보충 요청 정보(비품 보충 요구 위치 정보 포함)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실 상태 분석부 163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화장실 사용자의 위험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주변 장치를 제어(예, 방범 CCTV 녹화내역 전송, 관리인 호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위험에 처한 사용자는 화장실에 비치된 비상벨을 누르거나, 자신이 소지한 사용자 기기 200의 APP 상에서 비상 상황에 대한 내용을 직접 입력하여 신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장실 상태 분석부 163는 비상벨 동작, CCTV동작, 관리인 호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화장실 상태 분석부 163는 화장실 변기 칸 사용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고, 사용자의 신체 신호(예,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하여 심박수를 체크하는 센서에 의해)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변기칸 사용자를 응급환자로 분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화장실 상태 분석부 163는 응급환자로 분류된 사용자를 구조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예, 구조대 지원 요청, 관리인 호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기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기기 200는 통신부 210, 저장부 220, 입력부 230, 표시부 240 및 제어부 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50는 사용자 위치 판단부 241, 연계 의료시설 안내부 242, 주변 방범시설 안내부 2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통신부 2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요 분석 장치 100 및 요 분석 장치와 연계된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 210는 사용자 기기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각종 통신 기능(예, GPS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220는 APP 구동 시 오프라인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부 220는 사용자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의료시설 정보, 방범시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력부 230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계정 로그인, 동작 선택 등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240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 분석 결과 및 관련 질병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250는 사용자 위치 판단부 241, 연계 의료 시설 안내부 242, 주변 방범 시설 안내부 24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위치 판단부 241는 통신부에서 전달된 위치 관련 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 기기의 현재 위치한 지역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위치 판단부 241는 사용자 위치를 기반으로 요 분석장치가 존재하는 주변 공공 화장실, 공원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250는 연계 의료시설 안내부 24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연계 의료시설 안내부 242는 확인된 사용자 기기 20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기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의료기관을 목록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연계 의료시설 안내부 242는 서버 3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의심 질환 정보를 기반으로, 연계된 의료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계된 의료시설이란 의심 질환에 대하여 치료 가능한 진료과가 존재하는 병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방범 시설 안내부 24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위험신호가 감지된 경우에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주변 방범시설의 위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화장실 내부의 비품 소모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장치를 통합하고, 화장실 외곽 방범 사각지대에 설치되는 방범용 촬영 장치를 통합하고, 비상상항 발생시 관제센터 및 인근 경찰서에 송출 시키는 장치를 통합하고, 화장실 내부의 공기의 질 상태를 확인하는 센싱장치를 통합하고, 바닥 청결상태를 확인하는 센싱장치를 통합하고, 화장실의 쾌적한 상태를 위한 온습도 확인을 위한 센싱장치를 통합하고, 관리인원이 화장실 내부의 몰래 카메라를 점검후 이상유무 결과를 송출하는 장치를 통합하고, 모든 결과값을 종합하여 화장실 입구에 정보 표출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힐 수 있는 전광판 장치를 통합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PP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300는 통신부 310, 저장부 320, 제어부 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320는 사용자 계정 정보 321, 검사 결과 관련 질병 정보 322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330는 통계 자료 생성부 331, 의심 질환 안내부 332, 식이 조절 안내부 3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통신부 310는 요 분석 장치 100 및 사용자 기기 200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통신부 310는 요 분석장치 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별 소변 검사 결과 정보(이상 유무 및 수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통신부 310는 요 분석 장치 100로부터 전송되는 화장실 상태 정보(예, 화장실 빈 변기 칸 정보, 특정 비품이 비치된 화장실 변기 칸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APP을 통해 주변의 화장실 중 자신이 원하는 비품이 존재하는 화장실 또는 빈 변기 칸이 많이 존재하는 화장실에 대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통신부 310는 인터넷 망을 통해 외부 웹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 300는 상기 통신부 310에서 수행하는 통신 기능을 통해 사용자의 소변 검사 결과와 관련된 빅데이터 수집, 질병 자료 수집, 식이요법 정보 수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320는 사용자 계정정보 321, 검사 결과 관련 질병 정보 322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계정정보 321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기 등록한 사용자 기기의 시리얼 번호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요 분석장치에 사용자 기기를 태깅하는 행위 등을 통해 자동으로 검사 대상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폰 등의 기기를 요 분석장치에 태깅하여 로그인한 직후 자신의 배뇨 검사지를 요 분석장치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검사 결과 관련 질병 정보 322는 배뇨 검사지에서 색상이 변화된 항목, 색상의 변화 정도에 대응하는 의심 질환에 대한 정보이다. 예컨대, 상기 검사 결과 관련 질병 정보 322에는 잠혈에 대응하는 수치 정보가 +1 이상인 경우에 대응하여 '신장 요로계의 염증이나 종양, 외상'라는 질병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포도당 수치가 +1이상인 경우에 대응하여 '당뇨병, 신성당뇨, 내분비질환, 췌장질환, 강경변, 뇌종양 등'이라는 질병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 300는 통계 자료 생성부 331, 의심 질환 안내부 332, 식이조절 안내부 3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계 자료 생성부 331는 다수의 사용자 계정별 검사 결과를 토대로 통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통계 자료 생성부 331는 연령대별, 성별에 따라 통계 자료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대 여성에서 포도당 수치가 비정상일 확률, 50대 여성에서 포도당 수치가 비정상일 확률 등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60대 여성이고 소변 검사 결과 포도당 수치가 정상으로 나온 경우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60대 여성이므로 60대 여성에 해당하는 비정상일 확률이 높은 항목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자료 생성부 331는 사용자의 식사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화장실 관리 APP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체크하는 항목의 일환으로, 사용자의 식단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소변에서 특이적으로 일부 성분이 많이 검출된 경우, 건강 이상에 의한 것인지 또는 사용자가 섭취한 식품에 의한 영향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를 통해 자신이 섭취한 식단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해당 정보는 서버 300측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계 자료 생성부 331는 사용자 계정별 식단 정보를 확인하고, 평소 식단과 검사 결과의 상관관계를 통계로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계 자료 생성부 331는 1주일에 3회 이상 음주를 한 사용자와 소변에서 단백질 수치가 비정상인 경우의 상관관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자료 생성부 331는 사용자의 이전 검사 결과를 누적 기록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의심 질환 안내부 332는 사용자의 소변 검사 결과로 제공된 수치 정보에 대응하는 의심 질환을 상기 검사 결과 관련 질병 정보 322에 기반하여 추출하고 이를 사용자 기기 200측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의심 질환 안내부 332는 상기 통계 자료 생성부 331에서 생성한 통계 자료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연령, 성별에 따른 위험 질환을 산출하고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심질환 안내부 332는 상기 통계 자료 생성부 331에서 생성한 검사 결과를 누적 기록한 자료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특정 질환에 대한 위험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계 자료 생성부 331는 특정 항목의 검사 수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정상 수치라 하더라도 해당 항목에 대한 이상치 발견 확률 또는 해당 항목이 암시하는 질환에 걸릴 확률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심 질환 안내부 332는 의심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 정보를 함께 사용자측에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식이조절 안내부 333는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식단 정보에 기반하여 금지해야 하거나 보충해야 하는 메뉴 및 식재료에 대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이 조절 안내부 333는 사용자가 소변 검사를 수행한 경우, 이에 대한 결과 수치 및 의심질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업로드한 식단을 체크하는 의심질환 연계 식단 체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의심질환 연계 식단 체크부는 의심되는 질환 또는 검사 결과 추이 및 사용자 정보(연령, 성별)에 따라 위험하다고 판단되는 질환에 대비하기 위한 추천 식단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식이조절 안내부 333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식단 추천 시, 특정 메뉴를 요리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본 재료 정보 및 레시피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330는 보건소 등의 연계 의료기관과의 통신을 수행함을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전문가 소견을 수신한 후 이를 사용자측에 제공하도록 하는 의료기관 소견 안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의료기관 소견 안내부에 따른 의료정보 안내는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였거나, 또는 사용자의 검사 결과가 일반적인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며 중증의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에 한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추후 사용자가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소변검사를 추가로 수행하지 않고도 검사 자료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 소견 안내부는 사용자의 거주지 정보에 기반하여 거주지와 가까운 지역에 존재하는 의료기관에 소견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 330는 사용자가 의료기관 소견을 확인한 후 치료를 받고자 하는 의사가 생긴 경우에, 즉시 해당 의료기관에 진료 예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진료 예약 지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의 제어부 330는 건강정보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건강정보 안내부는 요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된 결과값이 비정상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개인정보가 자동 제공되는 사용자는 미리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한 사용자에 한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정보 안내부는 결과값이 비정상인 사용자에게로 연락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신호( 연락 수행 요청 신호)를 의료기관(예, 보건소 등)의 전문가 측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정보 안내부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이용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건강상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소변 검사 과정에 대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변 검사 동작은 요 분석장치 100와 App 서버 300와 사용자 기기 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요 분석장치 100는 사용자가 자신의 소변을 적신 검사지를 투입함에 따라 해당 검사지의 색상지 부분을 센싱하는 5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싱 동작은 카메라 등을 이용한 스캔 동작일 수 있으며, 센싱되는 사항은 색상의 변화 여부, 색상의 변화 정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센싱 동작은 검사지의 습도 또는 무게를 감지하여 전체색상지에 소변이 충분히 적셔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일 수 있다. 만약, 검사지의 일부에 소변이 제대로 묻어있지 않고 건조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요 분석장치 100는 올바른 검사를 진행할 수 없으므로 분석 동작을 중단하고 사용자에게 재검사를 요구하는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소변이 충분히 적셔진 검사지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요 분석장치 100는 센싱된 검사지의 변화를 판독하는 51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변화를 판독하는 동작이란, 센싱된 색상지의 변화 여부, 변화된 색상의 농도 등에 기반하여 소변의 성분의 이상 여부 및 소변에 포함된 특정 성분의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후 상기 요 분석장치는 판독 결과를 APP 서버 300로 전송하는 5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요 분석장치는 배뇨 검사지를 센싱하는 동작 이전 단계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요 분석장치 100는 검사 결과를 APP 서버 300측에 전송할 시, 검사를 수행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APP 서버 300는 요 분석 장치 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의심되는 질환을 매칭하는 520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APP 서버 300는 매칭된 질환 정보를 사용자 기기 200측에 제공하는 5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 200는 배뇨 검사 결과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530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화장실 비품 관리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화장실 관리 시스템에서 화장실 비품 상태를 체크하고 관리자에게 화장실 비품 요청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화장실용 IoT 기기 400는 화장실의 공기 오염도 측정 센서, 주변 기상 정보 측정 센서, 온습도 정보 측정 센서, 화장실의 비품 보충 상황을 감지하는 비품 보충 센싱 장치, 방범용 촬영 장치, 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생체신호(예, 심박수, 혈압 등)를 측정하는 생체신호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서 도시되는 화장실용 IoT 기기는 화장실 비품 상태를 체크하도록 설정된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화장실용 IoT 기기 400는 비품의 부족을 감지하는 60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실용 IoT 기기 400는 휴지걸이에서 감지되는 무게 측정, 근접 위치 센싱 등의 방식을 통해 화장지가 충분히 확보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실용 IoT 기기 400에서 상태를 감지하는 비품의 종류는 화장지 뿐 아니라, 변기 소독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장실용 IoT 기기 400는 비품 부족이 감지되면 비품 부족 신호를 요 분석장치 100측에 전달할 수 있다. 비품 부족 신호를 전달받은 요 분석장치 100는 비품 요청된 화장실 변기 칸 위치를 확인하는 61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요 분석장치 100는 비품 배치 현황을 APP 서버 300에 전송하는 620동작과, 변기칸 위치별 요청된 비품 내용을 관리자 기기 500측에 전송하는 625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APP 서버 300에 전송되는 비품 배치 현황이란 어떤 변기칸에 비품이 충분하고, 어떤 변기칸에 비품이 보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요 분석장치 100는 직접 관리자 기기 500측에 비품 요청 내용을 전달할 수도 있고, APP 서버 300로 해당 내용을 전달한 후 APP 서버 300측에서 관리자가 관리하는 화장실별 비품 요청 내역을 정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APP 서버를 통해 관리자에게 비품 요청을 전달할 경우, 관리자 기기 500는 APP 서버 300로부터 비품 요청에 대한 신호를 푸시 알림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 분석 장치 100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 분석 장치 100는 표시부 705를 전면에 구비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 705는 소변 검사의 진행방법, 소변 검사의 결과 등을 간략하게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70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710은 키 입력부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표시부 705가 터치 스크린의 형태일 경우 키 입력부 710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715는 사용자의 소변을 묻힌 배뇨 검사지를 투입하는 투입구이다. 상기 검사지 투입구 715는 내부의 쓰레기통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검사가 끝난 검사지를 쓰레기통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사지 투입구 715는 투입된 검사지에 대한 센싱 동작이 완료되어 쓰레기통으로 이동시키고 난 후 투입구의 청결 유지를 위해 살균 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검사지 투입구 715 의 내부에 존재하는 살균 처리 장치는 검사지에 대한 센싱 동작 이후 살균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지 투입구 715는 투입된 검사지로부터 변화값을 측정하기 위해, 광원, 이미지 센서 등으로 구성된 배뇨 검사지 센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뇨 검사지 센싱 모듈은 투입된 검사지에 광원으로 빛을 비추고 이미지 센서를 통해 색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요 분석장치 100는 소변 검사를 수행할 사용자에게 미사용 검사지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자판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요 분석 장치 100는 미사용 검사지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돈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금전 투입부 72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 분석장치 100는 금전 투입부 720를 통해 돈이 투입되면 하단의 제공부 725로 사용자가 구매한 미사용 검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변 검사 전 미사용 검사지를 요 분석 장치 100에서 구매하여 획득한 후, 획득한 검사지에 자신의 소변을 채취한 후, 다시 요 분석 장치 100의 검사지 투입구 715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자신의 소변에 대한 성분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검사지의 대상자 정보가 요구되는데 상기 대상자 정보는 검사 이전 단계 혹은 검사지 투입구에 검사지를 투입한 이후 단계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요 분석장치 100측에 전달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 분석 장치100는 주로 공공시설, 특히 공원이나 유원지에 있는 공중화장실에 구비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공원의 시설과 연계된 기능 안내 또는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모임을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주로 소변 검사를 시행하는 화장실이 A 공원의 1구역에 위치한 화장실이고, 해당 사용자가 주로 소변 검사를 시행하는 시간대가 아침 9시~10시 시간대라고 가정하자. 요 분석장치 100는 해당 정보를 APP 서버 300에 제공할 수 있고, APP 서버 300는 해당 정보를 토대로 A공원의 1구역을 주로 검사를 수행하고 9시~10시 시간대에 검사를 수행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들 중에 연령대 및 성별이 유사한 사용자들을 그룹화하고 이들에게 공원 운동 모임의 참여 의사를 질문할 수 있다.
상기 APP 서버 300는 1명이라도 특정 공원에서 특정 시간대에 소변 검사를 수행하게 되면, 해당 사용자에게 해당 시간대의 모임에 대한 참여 의사를 질의하는 내용의 푸시 알림 내지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질의 내용은 예컨대, '어린이 대공원에서 아침 9시에 운동하는 모임에 함께 하시겠습니까?'와 같다. 사용자는 응답 여부와 관계없이, 해당 모임에 참여하기로 한 인원의 현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모임에 기 참여중이거나 참여하고자 하는 의사가 있는 사용자들의 대략적인 신상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참여 의사가 있으면 참여 버튼을 선택하여 해당 모임에 참가 신청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APP 서버 300는 사용자들의 공원 이용 시간대를 고려하여 운동 모임을 추천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상기 APP 서버 300는 요 분석장치 100로부터 특정 사용자의 소변 검사 자료(화장실의 위치, 화장실이 속한 공원 정보, 소변검사 시간대 정보 등)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소변 검사 자료에 대응하는 운동 모임을 제안하고, 사용자가 제안된 운동 모임에 참여 의사 신호를 보내면 이에 대응하여 해당 모임의 참여자로 등록시킬 수 있다. 등록된 참여자는 추후 참가를 원하는 타 사용자에게 일부 신상 정보(연락처 등)가 공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APP 서버 300는 공원에서 실시되는 행사, 운동 강좌 등에 대한 정보를 해당 공원에서 소변검사를 한 이력이 있는 사용자에게 푸시 알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요 분석 장치 100를 주로 공공시설물에 존재하는 장치로 가정한 예시를 기술하였으나, 상기 요 분석 장치 100는 공공시설물 내 화장실에 비치되는 용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요 분석 장치 100는 가정 내에서 가정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소형화하여 개인 휴대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요 분석장치
161 : 요 분석부
162 : 건강정보 제공부
163 : 화장실 상태 분석부
200 : 사용자 기기
241 : 사용자 위치 판단부
242 : 연계 의료시설 안내부
243 : 주변 방법 시설 안내부
300 : APP 서버
331 : 통계 자료 생성부
332 : 의심질환 안내부
333 : 식이조절 안내부
400 : 화장실용 IoT 기기
500 : 관리자 기기

Claims (8)

  1. 사용자의 소변을 묻힌 배뇨 검사지를 센싱하여 사용자의 소변를 분석하는 요 분석 장치;
    상기 요 분석 장치에서 산출된 요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계정별로 분류, 저장, 검색, 표출하는 요 분석을 총괄 관리하는 서버;
    상기 서버에서 지원하는 요 분석 앱을 구동하여, 상기 앱 상에서 상기 요 분석 장치에 의해 센싱된 요 검사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화장실용 IoT 기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화장실용 IoT 기기는
    비품 보충 상황을 감지하는 비품 보충 센싱 장치, 방범용 촬영 장치 및 비상상황 송출 장치, 공기 상태 센싱장치, 바닥 청결상태 센싱장치, 온습도 센싱장치, 불법 촬영기기 점검 및 점검결과 송출 장치, 종합된 결과값 표출용 전광판, 관리자 전달용 종합정보 송출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 분석 장치는
    상기 서버에 분석된 결과값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배뇨 검사지의 변화값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 분석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로컬 저장부;
    배뇨 검사지를 센싱하고,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는 로컬 입력부;
    배뇨 검사지의 센싱 여부 및 배뇨 검사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표시하는 로컬출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센싱된 배뇨 검사지의 변화값을 기반으로 요 분석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배뇨 검사지의 값을 관리하고 저장하고 분석하는 중앙 센터 관리부;
    배뇨 검사지의 값의 이상 징후 및 신호를 분석하여 개인에게 전달,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뇨 검사지를 구성하는 항목별 색상 변화의 유무 및 색상 변화의 정도에 대응하는 수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요 분석 장치 및 상기 사용자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사용자별 계정 정보 및 검사 결과 관련 질병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요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된 결과값이 비정상에 해당하는 경우, 결과값에 매칭되는 의심 질환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사용자 계정별 수치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 자료를 생성하는 통계 자료 생성부;
    요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된 결과값이 비정상에 해당하고, 매칭되는 의심 질환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의심 질환을 완화시키기 위한 음식물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식이조절 안내부; 및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한 사용자에 한하여 원격지에서 관리하고 있는 의료기관측 기기로 요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된 결과값이 비정상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에게로의 연락 수행 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소셜 미디어를 통해 결과값에 따라 해당 이용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건강상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정보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서버에서 지원하는 요 분석 앱을 구동하고, 사용자가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함에 따라 기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를 서버측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화장실 내부의 비품 소모 정보를 수집하는 센싱장치를 통합하고,
    화장실 외곽 방범 사각지대에 설치되는 방범용 촬영 장치를 통합하고,
    비상상항 발생시 관제센터 및 인근 경찰서에 송출 시키는 장치를 통합하고,
    화장실 내부의 공기의 질 상태를 확인하는 센싱장치를 통합하고,
    바닥 청결상태를 확인하는 센싱장치를 통합하고,
    화장실의 쾌적한 상태를 위한 온습도 확인을 위한 센싱장치를 통합하고,
    관리인원이 화장실 내부의 몰래 카메라를 점검후 이상유무 결과를 송출하는 장치를 통합하고,
    모든 결과값을 종합하여 화장실 입구에 정보 표출하여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힐 수 있는 전광판 장치를 통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주변 방범 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변 방범시설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KR1020180084243A 2018-07-19 2018-07-19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KR102136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243A KR102136218B1 (ko) 2018-07-19 2018-07-19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243A KR102136218B1 (ko) 2018-07-19 2018-07-19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159A true KR20200013159A (ko) 2020-02-06
KR102136218B1 KR102136218B1 (ko) 2020-07-21

Family

ID=69569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243A KR102136218B1 (ko) 2018-07-19 2018-07-19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2786A1 (ja) * 2021-09-17 2023-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排出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排出データ管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086B1 (ko) 2020-09-04 2023-02-01 조승원 공간 살균 방법 및 장치
KR20230099030A (ko) 2021-12-27 2023-07-04 이용희 IoT 건강관리 양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267A (ko) * 2013-03-19 2013-04-08 강한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소변분석장치와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53353B1 (ko) * 2013-06-03 2015-09-17 (주)아이리녹스 스마트 에코 화장실 시스템
KR101606896B1 (ko) * 2015-10-13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20180014631A (ko) * 2016-08-01 2018-02-09 주식회사 위기관리씨스템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267A (ko) * 2013-03-19 2013-04-08 강한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소변분석장치와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53353B1 (ko) * 2013-06-03 2015-09-17 (주)아이리녹스 스마트 에코 화장실 시스템
KR101606896B1 (ko) * 2015-10-13 2016-03-28 주식회사 큐라코 사용자의 배뇨/배변 상태를 분석하는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모니터링 방법
KR20180014631A (ko) * 2016-08-01 2018-02-09 주식회사 위기관리씨스템 Sms 팝업 알림 서비스를 이용한 범죄 징후 차단 및 구조 신호 통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42786A1 (ja) * 2021-09-17 2023-03-2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排出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排出データ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218B1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8628B2 (en) Security enabled medical screening device
JP2019518263A (ja) 自動化された手順決定および判断生成
US10289806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product or service delivery
KR102136218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US200700053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ucting large scale clinical trials
JP2018109597A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CN102791190A (zh) 远程生理监测
US1015270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nalyzing a medical condition
JP6100447B1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US10837163B2 (en) Smart urina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7414279B2 (ja) 生体情報取得システム、健康管理サーバーおよびシステム
WO2015073375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edical product or service delivery
CN105768720A (zh) 一种镜面显示的智能健康监控系统及方法
US20190212322A1 (en) Health monitoring system, health monitoring method, and health monitoring program
CN109040314A (zh) 一种基于互联网的远程康复系统及方法
JP6948705B2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WO2018207711A1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CN107704937A (zh) 基层公共卫生服务预约医疗健康系统
KR20220075097A (ko) 내구성 강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IoT 화장실 관리 시스템
KR102216150B1 (ko) 벽 설치형 소변분석검사기기를 포함하는 소변분석검사시스템
CN110753970A (zh) 分布式用户监测系统
KR102404276B1 (ko) 헬스케어부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210076950A1 (en) Health and Wellness Monitoring System for Multiple Users
WO2018203565A1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KR102434133B1 (ko) 건강 체크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