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689A -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 Google Patents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689A
KR20200012689A KR1020180174318A KR20180174318A KR20200012689A KR 20200012689 A KR20200012689 A KR 20200012689A KR 1020180174318 A KR1020180174318 A KR 1020180174318A KR 20180174318 A KR20180174318 A KR 20180174318A KR 20200012689 A KR20200012689 A KR 20200012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yc
information
account
blockchain
depos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644B1 (ko
Inventor
임지순
이일영
김승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174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6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6Transaction verification involving fraud or risk level assessment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KYC 노드가 서비스 서버에서 계정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요청 단계; KYC 노드가 KYC 노드의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KYC 블록체인에서 계정 정보 또는 식별 정보를 인덱싱하는 제1차 인덱싱 단계;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KYC 노드가 계정 정보의 계정을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계정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고 관계 계정 정보를 생성하는 제2차 인덱싱 단계; KYC 노드가 관계 계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관계 계정 정보 송신 단계; KYC 노드가 서비스 서버에서 계정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 및 KYC 노드가 KYC 블록체인에 계정 정보, 식별 정보 및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대한 트랜잭션인 KYC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블록체인 기록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Apparatus for KYC using KYC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지만, ICO(Initial Coin Offering)에 의해 Fundraising이 용이해지면서 암호화 화폐(혹은, 가상 화폐)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써 발전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일반 통화와는 달리 중앙은행과 같은 제3자가 가치를 담보하지 않아도 통화와 같은 가치를 갖는 것을 달성해가고 있다. 블록체인 발명 이전에는 화폐를 대체할 전자 화폐를 만들기 위해서 그 가치를 보장하거나 화폐의 거래 기록을 관리하는 '미들맨'이 반드시 필요했다. 하지만,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구조로 제3자 기관이 없이도 특정 암호화 화폐가 실제 화폐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1) 블록이 시간별로 정렬되어 있고, 블록에 거래기록과 앞의 블록에 대한 연결 정보가 포함되어 위조 및 변조가 어려움.
(2) 분산형 원장 구조를 취함으로써 거래의 투명성이 높고 이중 지급이 어려움.
위와 같은 이유로 암호화 화폐는 화폐로서의 기능을 담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속성을 가진 암호화 화폐는 Bitcoin, Litecoin, Ripple, Etherium, Dash, Monero 등 여러가지가 퍼블릭하게 발행되어 있다. 특히, ICO(Initial Coin Offering)을 통해 특정 토큰에 대해 큰 규모의 Fundraising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다양한 암호화 화폐가 발행되어 있지만, 네트워크 효과로 인해 주로 사용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Dapp)들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Sentbe, Align Commerce, Moin 등의 국제 송금 서비스, Bank of America와 HSBC 홀딩스 등에서 검증한 신용장 거래 서비스, 각종 자금 조달, 전력 판매 서비스, Steemit, Streamium과 같은 콘텐츠 서비스, Nem과 같은 공증 서비스, Blockai 등과 같은 저작권 관리 서비스, Everledger와 같은 물품 거래 추적 서비스, Visa와 Docusign의 계약 관리 및 실행 서비스 등이 널리 시도되고 있다.
Bitrex, Bithumb, Bitfinex 등의 거래소에서의 암호화 화폐 거래가 일반 대중들에게까지 확장되고, ICO를 이용하여 Fundraising 하는 사례가 늘어나게 되면서 기존의 금융 거래와 마찬가지로 거래자, 투자자, 구매자, 사용자의 신원을 알기 위하여 KYC(Know Your Customer) 절차가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사용자들(거래자, 투자자, 구매자 등 포함)이 각종 ICO, 거래소, Dapp 등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항상 KYC(Know Your Customer) 절차의 수행이 선행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ICO의 KYC 절차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1) 토큰 구매자가 구매자 정보(사용언어, 성명, 이메일 등 연락처, 암호화 화폐 지갑 주소, 토큰 구매를 원하는 수량, 신분증을 들고 얼굴 인식이 가능하도록 찍은 본인 사진)를 입력하고, 약관에 동의
(2) 토큰 판매자가 구매자 정보를 기초로 White List에 등록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White List에 등록된 토큰 구매자의 구매자 정보 중 암호화 화폐 지갑 주소(예를 들면, ETH 지갑 주소)와 토큰 구매를 원하는 수량(예를 들면, 100ETH 만큼의 토큰 구매)을 ICO의 스마트 계약에 기록
위의 2번 단계에서 토큰 판매자는 다음과 같은 토큰 구매자를 ICO 스마트 계약의 White List에 등록하지 않게 된다.
(1) ICO 금지 국가의 국민(예를 들어, 미국, 중국, 싱가포르 등)
(2) KYC 절차에 요구되는 정보와 서류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3) 부적절한 계정(예를 들어, 불법 자금 세탁, 테러 관련 자금 등)
ICO 스마트 계약의 White List에 등록되지 않은 지갑 주소에서 송금되는 토큰은 곧바로 반환되거나 ICO 토큰의 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은 복잡한 KYC 절차는 매번 모든 ICO, 거래소 가입, Dapp 이용 시에 매번 중복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이는 사용자(토큰 구매자, 투자자, Dapp 사용자 등)에게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진입장벽이 되고 있고, 서비스 제공자(토큰 판매자, 거래소 운영자, Dapp 운영자 등)에게도 블록체인 제품이나 서비스 자체에 리소스를 집중하기 어렵게 만드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1025,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증권업무 처리 시스템(Smart system for trading stock based blockchain), 주식회사 온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8870, 마이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이닝 관리 방법(Mining Rig Monitoring System And Mining Rig Monitoring Method In Using Same), 주식회사 온더 미국 공개특허, US 2016/0342989 A1,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blockchain-based transactions on existing payment networks,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미국 공개특허, US 2016/0292672 A1, Systems and methods of blockchain transaction recordation, Nasdaq, Inc. 미국 공개특허, US 20170132615 A1, Block chain alias for person-to-person payments, Bank Of America Corpor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57223,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사용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주식회사 온더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서비스 주체에 의해 KYC 절차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KYC 노드가 서비스 서버에서 계정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요청 단계; 상기 KYC 노드가 상기 KYC 노드의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KYC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인덱싱하는 제1차 인덱싱 단계;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KYC 노드가 상기 계정 정보의 계정을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고 관계 계정 정보를 생성하는 제2차 인덱싱 단계; 상기 KYC 노드가 상기 관계 계정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관계 계정 정보 송신 단계; 상기 KYC 노드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KYC 노드가 상기 KYC 블록체인에 상기 계정 정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인 KYC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블록체인 기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KYC 노드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 기저장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계 계정 정보는, 상기 관계 계정의 주소, 상기 관계 계정과 상기 계정 사이의 거래관계 거리 정보 및 상기 관계 계정의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KYC 노드가 서비스 서버에서 계정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요청 단계; 상기 KYC 노드가 상기 KYC 노드의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KYC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인덱싱하는 제1차 인덱싱 단계;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KYC 노드가 상기 KYC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KYC 블록체인의 전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계정 정보를 배포하는 계정 정보 배포 단계; 상기 KYC 노드가 상기 계정 정보의 계정을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고 관계 계정 정보를 생성하는 제2차 인덱싱 단계; 상기 KYC 노드가 인덱싱한 상기 관계 계정에 대한 특정 조건을 만족하여 상기 블록을 증명하는 증명 단계; 상기 KYC 노드가 상기 관계 계정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관계 계정 정보 송신 단계; 상기 KYC 노드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KYC 노드가 상기 KYC 블록체인에 상기 계정 정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인 KYC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블록체인 기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KYC 노드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 기저장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계 계정 정보는, 상기 관계 계정의 주소, 상기 관계 계정과 상기 계정 사이의 거래관계 거리 정보 및 상기 관계 계정의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KYC 프로그램 코드 및 KYC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및 상기 KYC 프로그램 코드를 처리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KYC 프로그램 코드는, 서비스 서버에서 계정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요청 단계;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상기 KYC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인덱싱하는 제1차 인덱싱 단계;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계정 정보의 계정을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고 관계 계정 정보를 생성하는 제2차 인덱싱 단계; 상기 관계 계정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관계 계정 정보 송신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KYC 블록체인에 상기 계정 정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인 KYC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블록체인 기록 단계;를 컴퓨터 상에서 수행시키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 기저장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계 계정 정보는, 상기 관계 계정의 주소, 상기 관계 계정과 상기 계정 사이의 거래관계 거리 정보 및 상기 관계 계정의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KYC 프로그램 코드 및 KYC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및 상기 KYC 프로그램 코드를 처리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KYC 프로그램 코드는, 서비스 서버에서 계정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요청 단계;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상기 KYC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인덱싱하는 제1차 인덱싱 단계;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KYC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KYC 블록체인의 전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계정 정보를 배포하는 계정 정보 배포 단계; 상기 계정 정보의 계정을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고 관계 계정 정보를 생성하는 제2차 인덱싱 단계; 인덱싱한 상기 관계 계정에 대한 특정 조건을 만족하여 상기 블록을 증명하는 증명 단계; 상기 관계 계정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관계 계정 정보 송신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KYC 블록체인에 상기 계정 정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인 KYC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블록체인 기록 단계;를 컴퓨터 상에서 수행시키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 기저장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관계 계정 정보는, 상기 관계 계정의 주소, 상기 관계 계정과 상기 계정 사이의 거래관계 거리 정보 및 상기 관계 계정의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계정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기록하는 KYC(Know Your Customer) 블록체인을 저장하고 상기 KYC 블록체인의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에 있어서, KYC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KYC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및 상기 KYC 프로그램 코드를 처리하는 처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KYC 프로그램 코드는, 서비스 서버에서 계정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요청 단계;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상기 KYC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를 인덱싱하는 제1차 인덱싱 단계;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계정 정보의 계정을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고 관계 계정 정보를 생성하는 제2차 인덱싱 단계; 상기 관계 계정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관계 계정 정보 송신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KYC 블록체인에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인 KYC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블록체인 기록 단계;를 컴퓨터 상에서 수행시키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차 인덱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관계 계정 정보가 특정 인덱싱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KYC 수행 장치의 계정에 상기 KYC 블록체인의 토큰인 KYC 토큰의 보상을 수행하고,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기저장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KYC 절차에 이용되던 리소스의 중복이 저감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개인정보 보호법 상 위법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복수의 주체에 의해 KYC 절차가 수행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White List의 등록에 실패한 사용자의 차명계좌 검증 등, AML(Anti-Money Laundering)의 검증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KYC 블록체인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계 계정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POW 합의 방식을 포함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특정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200), KYC 노드(KYC 수행 장치, 400), 퍼블릭 블록체인(500), KYC 블록체인(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재의 편의를 위하여 KYC 노드와 KYC 수행 장치를 혼용하였다.
서비스 서버(200)는 ICO, 암호화 화폐 거래소, 각종 Dapp(Decentralized Application)을 서비스하는 웹서버 등의 구성이다. 예를 들어, 특정 ICO 프로젝트에 특정 사용자가 토큰 구매를 하려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의 클라이언트에 출력되는 웹 페이지에 사용자가 식별 정보(사용언어, 성명, 이메일 등 연락처, 암호화 화폐 지갑 주소(계정 정보), 토큰 구매를 원하는 수량, 신분증을 들고 얼굴 인식이 가능하도록 찍은 본인 사진)를 입력하고 KYC 등록(White List 등록)을 요청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KYC 노드(400)와 연결되어 KYC 블록체인(30)에 특정 사용자 정보의 상태 변경에 대한 트랜잭션을 요청하거나 트랜잭션의 검색에 대한 쿼리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특정 사용자의 계정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해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KYC 블록체인(30)에 기록하도록 KYC 노드(400)에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KYC 노드(400)는 KYC 블록체인(30)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노드 중 서비스 서버(200)와 연결된 하나의 노드를 의미하고, 서비스 서버(200)에서 KYC 블록체인(30)에 특정 사용자 정보의 상태 변경을 요청하는 하는 경우, KYC 블록체인(30)에 메시지 트랜잭션을 송신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기록하여 배포하는 구성이다. 또한, KYC 노드(400)는 KYC 블록체인(30)의 노드 역할 뿐만 아니라 퍼블릭 블록체인(500)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퍼블릭 블록체인(500)에서 특정 계정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고 관계 계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KYC 노드(400)는 분산 원장 장치로서 KYC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노드 중 하나 및 퍼블릭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노드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고, 통신 모듈(10), 처리 모듈(11), 메모리 모듈(12)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KYC 노드(400)는 KYC 블록체인에 대해서는 트랜잭션의 기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지만,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해서는 트랜잭션의 인덱싱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는 블록체인의 분산 원장을 저장하고 있는 복수대의 노드로 구성된 P2P 분산 네트워크를 의미하고, 이는 KYC 블록체인(30)과 퍼블릭 블록체인(500)이 동일하다.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는 적어도 일부의 노드가 동일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일부의 노드가 Shut down 되거나 변조되더라도 시스템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노드는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는 디지털 지갑, 블록체인 복사본, 검증 엔진, 채굴 엔진, P2P 네트워크 배포 기능(브로드캐스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조금 더 Light한 기능들로만 구성된 클라이언트들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는 Pure P2P와 슈퍼 노드(Super Node)를 포함하는 Hybrid P2P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의 종류와 관련하여, 레퍼런스 클라이언트(Reference client)는 사용자들의 디지털 지갑 관리 모듈, 합의 알고리즘이 작업 증명(POW, Proof of Work)인 경우 블록 채굴(Block Mining)을 위한 마이닝 모듈(Mining Module), 전체 블록체인 중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의 블록을 저장하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Blockchain Database),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는 네트워크 라우팅 모듈(Network Routing Module)을 포함하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어 Bitcoin Core의 Client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풀노드(Full Node)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라우팅 모듈을 포함하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솔로 마이너 노드(Solo Miner Node)는, 마이닝 모듈,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라우팅 모듈을 포함하는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마이닝 노드(Mining Node)는, 마이닝 풀(Mining Pool)의 노드를 의미하는 풀 마이닝 노드(Pool Mining Node)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라우터(Gateway Router)와 마이닝 모듈을 포함하는 가벼운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라이트웨이트 월렛 노드(Lightweight Wallet Node)는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의 헤더정보만 저장하고, 디지털 지갑 관리 모듈을 보유하여 사용자의 디지털 지갑을 저장하며, 네트워크 라우팅 모듈을 포함하긴 하지만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지 않아 트랜잭션 생성이나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제3자가 소유한 서버에 의존하는 가벼운 노드를 의미할 수 있다. KYC 블록체인(30)에 대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KYC 노드(400)는 위의 노드들 중 적어도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크 라우팅 모듈을 포함하는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KYC 노드(400)는 적어도 게이트웨이 라우터 모듈을 포함하는 노드들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KYC 노드(400)에는 KYC 블록체인(30) 및 퍼블릭 블록체인(500)이 메모리 모듈이 저장되거나, 적어도 KYC 블록체인(30) 및 퍼블릭 블록체인(500)이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다른 노드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KYC 노드(400)의 통신 모듈은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는 네트워크 라우팅 모듈(Network Routing Module)이나 풀 마이닝 노드(Pool Mining Node)에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라우터(Gateway Router) 등을 의미할 수 있다.
KYC 노드(400)의 처리 모듈은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분산 원장인 블록체인의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트랜잭션의 내용을 처리하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리 모듈은 Ethereum Virtual Machine과 같은 가상 머신(VM)으로 구성되어 KYC 블록체인(30)이나 퍼블릭 블록체인(500)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상 머신은 예를 들어, Mutan, LLL, Serpent, Solidity 등과 같은 상위 레벨 언어로 만들어진 코드(스마트 계약, Smart Contract)가 컴파일되어 생성되는 Byte Code를 실행하기 위한 Runtime이고, OPCODE 및 Stack 외에 Memory 및 Storage를 사용하는 주체이기도 하다.
KYC 노드(400)의 메모리 모듈은 분산 원장인 KYC 블록체인(30)이나 퍼블릭 블록체인(500)을 저장하는 모듈로서, 전체 블록체인 중 전부 또는 일부의 블록을 저장하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Blockchain Database)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 모듈은 전부 또는 일부의 블록체인을 저장할 수 있고, 각 블록 헤더에는 앞 블록 헤더의 해시 값(hash), 해답 값(nonce), 트랜잭션 그룹의 해시 값과 그 밖에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인 Timestamp, 채굴 난이도를 의미하는 Difficulty, 블록의 넘버를 의미하는 Block Numb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각 블록 바디(Contents)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 정보(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KYC 트랜잭션)가 포함될 수 있다.
KYC 트랜잭션 정보에는, 서비스 계정 주소 정보, 계정 정보, 식별 정보 해시값, 관계 계정 정보,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KYC 트랜잭션 정보를 블록에 저장하고 실행하게 되면, 이러한 서비스 계정 주소 정보, 계정 정보, 식별 정보 해시값, 관계 계정 정보,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등을 서비스 계정의 스토리지(Storage)나 메모리(memory) 내에 포함하는 등의 방법으로 블록에 저장할 수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500)은 이더리움, 이오스, 스팀 등의 퍼블릭한 블록체인을 의미하고, 사용자의 암호화 화폐 지갑 주소인 계정 정보의 계정을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을 의미한다. KYC 노드(400)는 퍼블릭 블록체인(500)에의 쿼리(Query)를 통해 서비스 서버(200)에서 요청되는 특정 사용자의 계정 주소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계 계정에 대한 정보인 관계 계정 정보는, 관계 계정의 주소, 관계 계정과 특정 사용자의 계정 사이의 거래관계 거리 정보(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계정이 A, 직접 거래한 계정이 B, B와 직접 거래한 계정이 C라면, B의 거래관계 거리 정보는 1, C의 거래관계 거리 정보는 2가 될 수 있다), 관계 계정의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예를 들어, B라는 관계 계정이 서비스 서버 a에 의해 White List로 지정되어 거래가 허용되는 경우 a1, 서비스 서버 b에 의해 Black List로 지정되어 거래가 불허되는 경우 b2, 아직 확인되지 않은 경우 0으로 설정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KYC 블록체인(30)은 KYC 노드(400)에 의해 특정 계정 정보 및 특정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인 KYC 트랜잭션이 기록되는 블록체인을 의미한다. KYC 블록체인(30)에 저장되는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는 KYC 트랜잭션의 검증, 기록, 배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계약의 Code는 예를 들어, Ethereum 의 경우, Solidity, Serpent, LLL, Mutan의 언어로 쓰여질 수 있는데, 현재는 Solidity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문법은 JavaScript와 유사하다. Smart Contract 는 "변수", "구조체" 및 "함수"를 포함하여 처리 모듈(11)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램 코드이다. 이러한 Smart Contract Code 는 Compile 과정을 거쳐 Byte Code로 변환된다. Byte code는 Solidity Realtime Compiler를 통해 컴파일된다. Solidity의 Byte code는 모두 16진수로 된 코드이며, Solidity에서 이 Byte code를 수신 주소 없이 Payload (data: ) 로 할당하여 Blockchain에 Transaction을 배포하면, Miner에 의해 Block이 생성되고, 이러한 Transaction은 Contract Creation Transaction으로 간주되어, Transaction Receipt의 contractAddress: 필드에 생성(배포)된 Contract의 주소를 넣어서 리턴해주게 된다.
Smart Contract 개발환경은 개발도구와 Compiler 까지를 포함한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olidity의 경우, Code를 작성하고 컴파일하면 모든 컴파일러는 [Byte Code] 와 [Function Signature], [ABI]를 출력하게 된다.
Byte Code는 이미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Smart Contract Code를 컴파일 한 결과이며, Blockchain에 Contract Creation Transaction을 발생시켜 배포하는 경우, Contract로의 Message Tx(Transaction의 줄임말)이 발생되는 경우, Contract로의 Call/Query가 발생되는 경우를 통해 KYC 노드(400, 이더리움의 경우 EVM) 위에서 실행된다.
Function Signature는 Contract 내의 함수 이름의 SHA3 한 Hash 값의 4바이트 값으로, Contract의 함수를 실행시킬 때 Transaction의 to: 주소에는 Contract Address를, data: 부분에는 이 method signature 4바이트와 함께 파라미터 값이 payload 로 들어간다.
ABI(Application Binary Interface)는 특정 언어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은 방식으로 기술된 Application Interface를 의미한다. ABI 정의를 컴파일러 혹은 ABI Generator가 출력해내는데, ABI 에는 Smart Contract의 함수와 Parameter에 대한 Meta data가 정의되어있다. ABI 를 갖고 JavaScript 언어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객체를 만들게 할 수 있고, 쉽게 그 객체의 Method를 호출하는것 만으로 Contract의 함수가 호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Ethereum 은 web3.js와 함께 JavaScript 응용에서 쉽게 ABI 로 객체를 만들어 사용하도록 지원하며, 1.4.0 이후의 go-ethereum 에서는 Go Native 언어 기반의 응용에서 Smart Contract 를 쉽게 Binding 가능하도록, ABI 기반으로 Go Code를 생성해주는 ABIGen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Smart Contract 개발 환경은 Blockchain Engine과 연결되어 Contract Creation/Deployment, Message Tx, Call/Query를 전달할 수 있는데, 이러한 Blockchain Engine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KYC 노드(400)를 의미하고, 이더리움의 예에서는 geth나 parity, eth와 같은 Ethereum Node를 의미한다. 결국 모든 Smart Contract 와 관련한 Transaction 처리와 Contract 실행을 위한 EVM과 같은 가상 머신은 KYC 노드(400)와 같은 Node 위에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Smart Contract 개발 환경에서 ABI는 Applications와 연결될 수 있다. Smart Contract는 Logic만을 갖고 있고, 사용자나 외부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Application이 필요하다. HTML+CSS+JavaScript, Application Server, Wallet 등의 Application은 예를 들어, Ethereum과의 Interface를 통해 Smart Contract와 상호작용하는 구성이다. Smart Contract Code는 크게 [Creation/Deployment] [Invoke by Message] [Call]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KYC 블록체인(30)에서 특정 계정 주소가 인덱싱 되는 경우 Call이 이용될 수 있고, 특정 계정 주소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상태 변경되는 경우 Message Tx이 이용될 수 있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방법은, 입출금 허용여부 요청 단계(S10), 제1차 인덱싱 단계(S11), 제2차 인덱싱 단계(S12b), 관계 계정 정보 송신 단계(S13),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S14), 블록체인 기록 단계(S15)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금 허용여부 요청 단계(S10)는 KYC 노드(400)가 서비스 서버(200)에서 특정 사용자에 대한 계정 정보 및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제1차 인덱싱 단계(S11)는 KYC 노드(400)가 KYC 블록체인(30)에서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식별 정보를 인덱싱하는 단계이다. S11 단계에 의해 기존에 블록체인에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록된 계정 정보나 식별 정보는 적은 리소스로 효율적으로 검색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S11 단계에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KYC 노드(400)가 서비스 서버(200)로 기저장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송신하게 된다(S12a).
제2차 인덱싱 단계(S12b)는 S11 단계에서 상기 계정 정보 또는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KYC 노드(400)가 상기 계정 정보의 계정을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500)에서 상기 계정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고 관계 계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관계 계정 정보 송신 단계(S13)는 KYC 노드(400)가 상기 관계 계정 정보를 서비스 서버(200)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S14)는 KYC 노드(400)가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블록체인 기록 단계(S15)는 KYC 노드(400)가 KYC 블록체인(30)에 상기 계정 정보, 상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인 KYC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단계이다.
*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KYC 블록체인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KYC 노드(400)의 메모리 모듈(12)은 전부 또는 일부의 KYC 블록체인(30)을 저장할 수 있고, 각 블록 헤더에는 앞 블록 헤더의 해시 값(hash), 해답 값(nonce), 트랜잭션 그룹의 해시 값과 그 밖에 생성된 시간에 대한 정보인 Timestamp(미도시), 채굴 난이도를 의미하는 Difficulty(미도시), 블록의 넘버를 의미하는 Block Number(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각 블록 바디(Contents)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트랜잭션 정보(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KYC 트랜잭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KYC 트랜잭션은, 서비스 서버가 보유한 계정 주소인 서비스 계정 주소 정보(예를 들어, 특정 ICO 주체의 KYC 토큰 지갑 주소), 입출금 허용여부 기록의 대상이 되는 특정 사용자의 계정 정보(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이더리움 지갑 주소), 식별 정보의 해시 값(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의 주민번호의 해시 값), 계정 정보에 포함된 주소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에 대한 정보인 관계 계정 정보(예를 들어, 관계 계정의 주소, 트랜잭션 정보, 토큰 볼륨, 직접 관계인지 간접 관계인지 여부, 몇 차 간접 관계인지 여부 등), 특정 사용자의 입출금 허용여부에 대하여 서비스 서버에서 입력되는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계 계정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계 계정 정보는, 관계 계정 주소, 트랜잭션 정보, 관계 정보,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계 계정이란, KYC 대상이 되는 계정 정보의 계정 주소와 직간접적으로 거래 관계에 있는 계정을 의미할 수 있다. 관계 계정 주소는 예를 들어, 관계 계정의 이더리움 지갑 주소를 의미할 수 있다. 트랜잭션 정보는 예를 들어, 관계 계정의 트랜잭션 중 계정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거래 관계에 있는 트랜잭션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관계 정보는 계정 정보와 거래 관계의 거리를 의미하는 정보이고, 직접 거래 관계, 제1...n간접 거래 관계로 분류될 수 있다. 직접 거래 관계는, 해당 트랜잭션 정보가 계정 정보와 관계 계정 정보에 대해 직접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진 트랜잭션 정보인 경우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0'이라는 dummy value로 표현될 수 있다. 제1간접 거래 관계는, 해당 트랜잭션 정보가 계정 정보와 직접 거래 관계에 있는 관계 계정 정보와 다른 관계 계정 정보에 대해 직접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진 트랜잭션 정보인 경우, 다른 관계 계정 정보가 계정 정보와 제1간접 거래 관계에 있다고 정의하고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1'이라는 dummy value로 표현될 수 있다. 제n간접 거래 관계는, 해당 트랜잭션 정보가 계정 정보와 제n-1간접 거래 관계에 있는 관계 계정 정보와 다른 관계 계정 정보에 대해 직접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진 트랜잭션 정보인 경우, 다른 관계 계정 정보가 계정 정보와 제n간접 거래 관계에 있다고 정의하고 예를 들면 'n'이라는 dummy value로 표현될 수 있다.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는 기존에 해당 관계 계정 주소에 대해 기저장된 입출금 허용 여부를 의미하는 정보이고, 입출금 허용, 입출금 불허, 내역 없음으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입출금 허용의 경우 '0'이라는 dummy value로 표현될 수 있고, 입출금 불허의 경우 '1'이라는 dummy value, 입출금 허용 여부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2'라는 dummy value로 기저장 또는 기설정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는 이를 등록 요청한 서비스 계정 정보 및 해당 서비스 계정의 등록 당시 KYC 토큰 보유량(Balan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계정 정보 또는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해 복수의 서비스 계정이 서로 다른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입력하게 되는 경우,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각 서비스 계정의 KYC 토큰 보유량을 기준으로 확률적인 값 또는 불연속적인 값을 갖는 정보로 KYC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퍼블릭 블록체인과 별도로 KYC 블록체인이 구성되면 KYC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KYC를 진행하더라도 퍼블릭 블록체인의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게 되고, 퍼블릭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비용, 거래속도, 하드포크 이슈 등의 네트워크 안전성 등의 제한을 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예를 들어, KYC 블록체인을 별도로 이용하지 않고, 퍼블릭 블록체인 중 하나인 이더리움 블록체인 만으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상태 변경과 관련된 모든 트랜잭션에 대해 막대한 GAS가 소모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KYC 블록체인에서 먼저 계정 정보 또는 식별 정보를 인덱싱하기 때문에 특정 계정 또는 특정 식별 정보의 KYC를 위해 퍼블릭 블록체인의 전체 트랜잭션을 항상 인덱싱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KYC 노드가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해당 계정 주소와 직간접적 거래관계가 존재하는 계정인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기 때문에 입출금이 불허된 자가 다른 계정으로 입출금을 시도하는 등의 불법 자금 세탁의 가능성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특정 계정 주소에 대해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KYC 블록체인 내의 트랜잭션으로 무결성이 유지된 상태에서 탈중앙화되어 기록되기 때문에 어떤 서비스 서버의 요청으로 입출금이 불허되었는지, 어떤 이유로 입출금이 불허되었는지, 언제 입출금이 불허되었는지 등이 다양한 서비스 플레이어들에게 접근 가능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KYC 블록체인의 합의 방식]
KYC 블록체인의 합의 방식은 기존의 블록체인과 동일한 POW(Proof of work) 방식, POS(Proof of stake) 방식, BFT(Byzantine Fault Tolerance) 방식 등이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KYC 블록체인에서는 변형된 POW 및 변형된 POS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합의 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KYC의 탈중앙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효과가 발생된다.
변형된 POW 방식과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POW 합의 방식을 포함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OW 합의 방식을 포함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방법은 S11 이후에 KYC 블록체인에 계정 정보 또는 식별 정보에 대해 입출금 허용여부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계정 정보 배포 단계(S20),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 단계(S21), 블록 증명 단계(S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정 정보 배포 단계(S20)는 KYC 노드가 KYC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고, 각각의 KYC 노드가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해당 계정 정보를 경쟁적으로 인덱싱할 수 있도록 전체 KYC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계정 정보를 배포하는 단계이다. S20에 따르면, 기존의 블록체인과 달리 하나의 계정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때 마다 KYC 블록체인에서 새로운 블록이 형성되게 되고, 하나의 블록당 하나의 계정 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이 기록되게 되므로 트랜잭션이 확정되는 속도(TPS)가 매우 빨라지고 블록체인 데이터 구조가 간명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 단계(S21)는 S20에서 배포된 계정 정보를 KYC 블록체인의 각 KYC 노드가 수신하고, 각 KYC 노드가 계정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을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인덱싱하여 관계 계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블록 증명 단계(S22)는 각 KYC 노드 중 특정 인덱싱 조건을 만족하는 관계 계정을 인덱싱 한 KYC 노드가 해당 블록을 증명한 것으로 설정되는 단계이다. 특정 인덱싱 조건은, 예를 들어, 인덱싱 된 관계 계정의 수, 인덱싱 된 관계 계정과 KYC 요청 대상인 특정 계정의 거래 관계의 거리(직접 거래인지, 간접 거래인지) 등으로 구성된 특정 인덱싱 조건의 이상 또는 초과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생성 이후 기설정된 특정 시간 이내에 인덱싱 된 관계 계정의 수, 인덱싱 된 관계 계정과 KYC 요청 대상인 특정 계정의 거래 관계의 거리(직접 거래인지, 간접 거래인지) 등으로 구성된 특정 인덱싱 조건을 가장 많이 달성하였는지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변형된 POW 방식에 따르면, KYC 노드의 관계 계정 인덱싱의 경쟁적 유도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기존의 POW 방식에서는 KYC 노드들이 굳이 컴퓨팅 리소스를 투입하여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관계 계정 인덱싱을 수행할 이유가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S20 내지 S22에 따르면 기존의 블록체인과 달리 블록체인 분기 문제가 확률적으로 개선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계정 정보 배포 단계(S20)에서 latency에 의해 서로 다른 KYC 노드(KYC 노드 a, KYC 노드 b)에 대해 블록 순서가 다른 블록체인이 생성된 경우의 예시를 상정해볼 수 있다. 블록체인에는 배포의 latency에 의해 일부 노드에 대해 블록체인의 블록 순서가 상이해지는 문제가 높은 확률로 발생한다. 이것은 블록체인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포크(fork)로 불리우며, 포크는 2개의 블록체인이 임의로 발생된다는 점에서 블록체인의 가장 큰 효과인 무결성을 악화시키는 심각한 문제로 남아있었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 같은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에서는 일정 시간 뒤에 어떤 블록체인이 더 길게 구성되었는지를 판정하여 길지 않은 한쪽을 일방적으로 삭제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기존의 해결방법은 항상 블록체인이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휩싸이게 되어 완전한 해결책은 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20 내지 S22에 따르면, 생성된 블록의 순서가 다른 각각의 노드들이 스스로 생성한 블록을 증명하게 될 확률이 낮게 유지되기 때문에 포크가 발생될 확률이 저감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변형된 POS 방식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14 단계에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는 이를 등록 요청한 서비스 계정 정보 및 해당 서비스 계정의 등록 당시 KYC 토큰 보유량(Balan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계정 정보 또는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해 복수의 서비스 계정이 각각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입력하게 되는 경우, 그 시간 차이(Gap)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각 서비스 계정의 KYC 토큰 보유량을 기준으로 확률적인 값 또는 불연속적인 값을 갖는 정보로 KYC 블록체인에 기록되고, 하나의 계정 정보 또는 하나의 식별 정보에 대해 복수의 서비스 계정이 블록 기록 당시의 KYC 토큰 보유량의 비율로 해당 블록을 증명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에 따르면, 각 서비스 계정의 정보 및 KYC 토큰 보유량의 비율의 hash 값이 블록 헤더에 저장되고, Linked list가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형된 POS 방식에 따르면, 기존의 POS 방식에 비해 KYC 탈중앙화에 더 적합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변형된 POS 방식에 따르면 더 많은 KYC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 서비스 계정이 특정 계정 또는 특정 식별 정보에 대해 입출력 허부 정보를 등록하여 KYC 블록체인의 생태계에 일조하였을 경우 더 많은 보상이 지급되도록 구성되어 KYC 토큰 자체에 대한 수요도 상승되는 추가 효과가 발생된다. 기존의 POS 방식은 각 validator인 노드들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stake)의 양에 비례해서 데이터의 업데이트 권한을 획득하는 방식으로 KYC 탈중앙화와 관련도가 낮았다. 또한, 변형된 POS 방식에 따르면, 복수개의 체인으로 포킹(Forking)이 일어나게 되더라도 더 많은 KYC 토큰을 증명(보유)하는 체인이 살아남게 되므로 체인의 포크를 빠르게 복구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변형된 POS 방식에 따라 특정 계정 정보 또는 특정 식별 정보에 대한 복수의 서비스 계정들의 다양한 의견(입출금 허용여부)이 크라우드 소싱되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변형된 POS 방식과 변형된 POW 방식이 통합된 블록 증명(합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토큰 보상 방식]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KYC의 완전한 탈중앙화를 위해 보상 토큰을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KYC 노드의 계정에 배부할 수 있다. 토큰 보상의 방식은 특정 KYC 노드에서 KYC 블록체인으로 특정 계정에 대한 KYC를 요청할 때 특정 수의 토큰(KYC 토큰)을 Deposit하고, 해당 계정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KYC 블록체인에 기저장한 KYC 노드에 Deposit된 토큰의 적어도 일부를 배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각 서비스 서버를 대표하는 각 KYC 노드에 대해 KYC 블록체인의 계정(서비스 계정)이 구성 또는 할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퍼블릭 블록체인의 코인 또는 토큰과의 구별을 위해 보상으로 지급될 토큰인 보상 토큰을 KYC 토큰으로 명명한다.
보상 토큰인 KYC 토큰 생성 방식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S10 단계에서 특정 서비스 서버가 특정 KYC 노드에 KYC 요청의 대상인 특정 사용자의 특정 계정 정보 및 특정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요청할 때, 해당 KYC 노드의 계정인 서비스 계정을 토큰 송신자로 하는 특정 수의 KYC 토큰 상태변화에 대한 트랜잭션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KYC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KYC를 수행하려는 서비스 주체들이 KYC 토큰을 항상 구매하여야 하므로, KYC 토큰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는, 기존의 퍼블릭 블록체인과 같이, 매 블록의 생성 및 증명 시 마다 KYC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KYC 토큰의 보상 방식과 관련하여, 첫 번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S11 단계에서 KYC 블록체인에 서비스 서버가 요청한 특정 계정 정보 또는 특정 식별 정보에 대해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특정 계정 정보 또는 특정 식별 정보에 대해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등록한 서비스 계정에 KYC 토큰을 보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계정 정보 또는 특정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등록이 유도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KYC 토큰의 보상 방식의 두 번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2의 12b 또는 도 5의 S21에서, KYC 노드에 의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관계 계정이 인덱싱 될 때, 인덱싱 된 관계 계정의 수, 인덱싱 된 관계 계정과 KYC 요청 대상인 특정 계정의 거래 관계의 거리(직접 거래인지, 간접 거래인지) 등으로 구성된 특정 인덱싱 조건의 이상 또는 초과를 특정 KYC 노드에 의해 인덱싱된 관계 계정 정보가 만족하는 경우, 해당 특정 KYC 노드의 서비스 계정에 KYC 토큰을 보상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KYC 노드들이 퍼블릭 블록체인의 인덱싱을 상호 경쟁적으로 진행하게 되므로, 특정 인덱싱 조건 이상 또는 초과의 관계 계정 정보의 hash 값을 이용해서 POW(Proof of Work)의 블록 증명 및 합의 방식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즉, KYC 토큰의 보상 방식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팅 리소스가 이용되는 퍼블릭 블록체인의 인덱싱이 복수개의 KYC 노드에 의해 경쟁적으로 진행되면서 KYC 요청 대상인 특정 계정의 관계 계정이 충분히 인덱싱 되는 생태계가 형성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 경우, 특정 인덱싱 조건 이상 또는 초과의 관계 계정 정보의 hash 값이 블록 헤더에 저장되어 Linked list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KYC 토큰의 보상 방식의 두 번째 실시예의 변형예로는 블록 생성 이후 기설정된 특정 시간 이내에 인덱싱 된 관계 계정의 수, 인덱싱 된 관계 계정과 KYC 요청 대상인 특정 계정의 거래 관계의 거리(직접 거래인지, 간접 거래인지) 등으로 구성된 특정 인덱싱 조건을 가장 많이 달성한 KYC 노드의 서비스 계정에 KYC 토큰을 보상하는 방식도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KYC 토큰의 보상 방식의 세 번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2의 12b 또는 도 5의 S21에서 KYC 노드에 의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관계 계정이 인덱싱 될 때, 인덱싱 된 관계 계정에 대해 KYC 블록체인에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등록한 서비스 계정에 KYC 토큰을 보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특정 계정 정보 또는 특정 식별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등록이 유도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KYC 토큰의 보상 방식의 네 번째 실시예로 서비스 계정에서 KYC 블록체인에 기록하는 식별 정보의 정보량이 많을수록 더 많은 보상을 받도록 보상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각 서비스 계정들이 특정 사용자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축적하는 것이 유도되게 된다.
[식별 정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별 정보는, 서비스 서버로 사용자 또는 서비스 주체가 입력하는 주민번호, 성명, Facial data, UUID 등의 Hash 값을 의미할 수 있다. Hash 값 저장으로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KYC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UUID가 식별 정보로 KYC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경우, 동일한 디바이스에서 여러 계정을 운영하는 사용자에 대한 블랙리스트 관리도 가능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Facial data가 식별 정보로 KYC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경우에는, KYC 노드에서 전처리 후 규격이 표준화된 Facial image에 대해 특정 랜드마크를 추출하여 랜드마크 사이의 관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랜드마크 정보의 Hash 값을 KYC 블록체인에 식별 정보로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KYC 노드가 Facial data를 인덱싱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개인정보의 보호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발생된다. 랜드마크 사이의 관계 정보란 예를 들어, 눈동자와 눈동자 사이의 거리와 얼굴 너비의 비율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KYC의 탈중앙화가 가능해지고, 별도의 플레이어가 KYC 인증 사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계정 정보, 식별 정보 및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축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블록체인을 활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인정보의 문제, 서버 미러링의 문제, 신뢰의 문제, 정보 수집 어려움의 문제 등이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법적인 이슈 때문에 ICO를 참여할 수 없는 a라는 미국 국민이 A라는 ICO에 참여하려 해서 A 서비스 계정에 의해 a가 입출금 불허로 KYC 블록체인에 기록된 경우, a는 다른 계정을 만들어서 b라는 명의로 A라는 ICO에 참여하려 할 수 있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a의 이러한 차명계좌, 명의대여 행위를 막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A 서비스 서버에서 b의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요청을 KYC 노드를 통해 수행하게 된다(S10). KYC 노드는 b의 계정 정보에 대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게 되어 a 계정과의 관계를 발견하게 되고(S12b, S21), A 서비스 서버에서는 a 계정이 b 계정의 관계 계정이라는 정보를 KYC 노드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S13). 이후 A 서비스 서버에서는 b 계정의 입출금 불허를 처리하고, b 계정에 대한 입출금 불허를 KYC 노드를 통해 KYC 블록체인에 기록하게 된다(S14, S1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내에 기술된 특징들 및 장점들은 모두를 포함하지 않으며, 특히 많은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도면들, 명세서, 및 청구항들을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언어는 주로 읽기 쉽도록 그리고 교시의 목적으로 선택되었고, 본 발명의 주제를 묘사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상기한 설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빠뜨리는 것 없이 만들려고 의도한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상기한 개시에 비추어 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설명의 일부는 연산의 기호 표현 및 알고리즘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적 설명 및 표현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작업의 핵심을 효율적으로 다른 당업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동작은 기능적, 연산적, 또는 논리적으로 설명되지만, 컴퓨터나 이와 동등한 전기 회로, 마이크로코드 등에 의해 구현될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또한 이것은 모듈로서의 이러한 동작의 배열을 나타내기 위해, 때때로 일반성의 상실 없이 편리하게 입증된다. 상기 기술된 동작 및 그들의 연관된 모듈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임의의 단계, 동작, 또는 프로세스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단독으로 또는 다른 장치와 조합하여 수행되거나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로 구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함께 구현되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기술된 임의의 또는 모든 공정, 단계, 또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기서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될 수 있다. 이들 장치는 요구되는 목적을 위해 특별히 제작될 수 있고/있거나, 컴퓨터 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선택적으로 활성화되거나 재구성되는 일반적-목적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또는 전자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해 적합한 임의의 유형의 미디어 내에 저장될 수 있고, 컴퓨터 시스템 버스에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 참조되는 임의의 연산 시스템은 단일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거나, 증가한 연산 능력을 위한 다중 프로세서 디자인을 채택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언어는 주로 읽기 쉽도록 그리고 교시의 목적으로 선택되었고, 본 발명의 주제를 묘사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출원의 임의의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개시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하의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30: KYC 블록체인
200: 서비스 서버
400: KYC 노드
500: 퍼블릭 블록체인

Claims (1)

  1. 특정 계정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기록하는 KYC(Know Your Customer) 블록체인을 저장하고 상기 KYC 블록체인의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에 있어서,
    KYC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KYC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및
    상기 KYC 프로그램 코드를 처리하는 처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KYC 프로그램 코드는,
    서비스 서버에서 계정 정보에 대한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요청 단계;
    상기 메모리 모듈에 저장된 상기 KYC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를 인덱싱하는 제1차 인덱싱 단계;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계정 정보의 계정을 포함하는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상기 계정 정보와 직간접적으로 거래가 수행된 계정인 관계 계정을 인덱싱하고 관계 계정 정보를 생성하는 제2차 인덱싱 단계;
    상기 관계 계정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관계 계정 정보 송신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KYC 블록체인에 상기 계정 정보 및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인 KYC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배포하는 블록체인 기록 단계;
    를 컴퓨터 상에서 수행시키는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차 인덱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관계 계정 정보가 특정 인덱싱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KYC 수행 장치의 계정에 상기 KYC 블록체인의 토큰인 KYC 토큰의 보상을 수행하고,
    상기 제1차 인덱싱 단계에서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계정 정보에 대한 기저장된 상기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KR1020180174318A 2018-12-31 2018-12-31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KR102096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318A KR102096644B1 (ko) 2018-12-31 2018-12-31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318A KR102096644B1 (ko) 2018-12-31 2018-12-31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210A Division KR101936759B1 (ko) 2018-07-27 2018-07-27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689A true KR20200012689A (ko) 2020-02-05
KR102096644B1 KR102096644B1 (ko) 2020-04-02

Family

ID=6951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4318A KR102096644B1 (ko) 2018-12-31 2018-12-31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64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2633A (ja) * 2001-11-22 2003-06-06 Hachijuni Bank Ltd 個人認証データ管理方法及び勘定系システム
KR20120003512A (ko) * 2010-07-03 2012-01-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가상계좌 권한 제어를 이용한 무선단말 간 송금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
KR20150043150A (ko) * 2013-10-14 2015-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관계 정보를 이용한 접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852077B1 (ko) * 2018-01-16 2018-04-27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난이도 조절을 위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KR101857223B1 (ko) 2017-11-13 2018-05-11 주식회사 온더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사용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79847A (ko) * 2017-01-03 2018-07-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과 dht를 이용한 p2p 거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2633A (ja) * 2001-11-22 2003-06-06 Hachijuni Bank Ltd 個人認証データ管理方法及び勘定系システム
KR20120003512A (ko) * 2010-07-03 2012-01-1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가상계좌 권한 제어를 이용한 무선단말 간 송금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
KR20150043150A (ko) * 2013-10-14 2015-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관계 정보를 이용한 접근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79847A (ko) * 2017-01-03 2018-07-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과 dht를 이용한 p2p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1857223B1 (ko) 2017-11-13 2018-05-11 주식회사 온더 블록체인 토큰 기반의 사용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KR101852077B1 (ko) * 2018-01-16 2018-04-27 주식회사 미탭스플러스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난이도 조절을 위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1025,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증권업무 처리 시스템(Smart system for trading stock based blockchain), 주식회사 온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8870, 마이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이닝 관리 방법(Mining Rig Monitoring System And Mining Rig Monitoring Method In Using Same), 주식회사 온더
미국 공개특허, US 2016/0292672 A1, Systems and methods of blockchain transaction recordation, Nasdaq, Inc.
미국 공개특허, US 2016/0342989 A1,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blockchain-based transactions on existing payment networks,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미국 공개특허, US 20170132615 A1, Block chain alias for person-to-person payments,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644B1 (ko)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86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식별 관리를 위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KR101936759B1 (ko)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1936756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공유경제 관리 장치
JP7128111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介して資産関連活動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36757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경제를 위해 키를 생성하는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CN109313685A (zh) 区块链系统的加密应用
EP3702992A1 (en) Virtual currency system
KR10187887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식별 관리 및 토큰 발행 관리를 위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KR10196229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경제를 위해 공유재화의 unlock 및 lock을 제어하는 분산 원장 장치
KR101962289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공유경제를 위해 비대칭키 방식으로 이용자를 식별하는 분산 원장 장치
CN111738724B (zh) 跨境资源转移真实性审核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196228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해 공유재화의 가용성을 검증하는 공유경제 관리 장치
TWI646487B (zh) 具權限分級和避免重複執行的智能合約執行系統及其方法
KR101962285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식별 관리를 위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
EP3907644B1 (en) Blockchain
Cai et al. Introduction to blockchain basics
KR102096643B1 (ko) 입출금 허용여부 정보의 등록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Masseport et al. Proof of usage: User-centric consensus for data provision and exchange
KR102096646B1 (ko) 얼굴 이미지의 관계 정보를 기록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KR102096645B1 (ko) 식별 정보의 정보량을 기초로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KR102096644B1 (ko) 퍼블릭 블록체인 인덱싱에 보상을 수행하는 kyc 블록체인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KR102096642B1 (ko) Kyc 블록체인에서의 블록 증명 및 토큰 보유량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KR102096640B1 (ko) Kyc 블록체인에서의 토큰 보유량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KR102096641B1 (ko) Kyc 블록체인의 블록 증명을 이용한 kyc 수행 장치
KR101962287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공유재화를 등록하는 공유경제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