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300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2300A KR20200012300A KR1020180087429A KR20180087429A KR20200012300A KR 20200012300 A KR20200012300 A KR 20200012300A KR 1020180087429 A KR1020180087429 A KR 1020180087429A KR 20180087429 A KR20180087429 A KR 20180087429A KR 20200012300 A KR20200012300 A KR 202000123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housing
- air
- space
- f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9—Cooking devices induction ove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조리기기의 냉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조리기기는 제2조리기기보다 발열량이 많은 가열 방식이 적용된다. 하부의 제1조리기기와 상부의 제2조리기기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공간에는 냉각이 필요한 제1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제1부품은, 제1조리기기의 냉각을 위한 공기 유동 경로에 배치된다. 상기 제1부품과 마주하는 제2조리기기의 저면에는, 제2조리기기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 유동이 상기 제1부품으로 공급되는 통로가 되는 공기공급홀이 마련된다. 공기공급홀의 상부에는 제2조리기기 내부의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팬이 토출한 공기가 유동하고, 공기공급홀의 하부에는 제1조리기기 내부의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팬에 흡인되는 공기가 유동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2단 적층 조리기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Microwave Oven)나 오븐과 같이 조리실 공간을 갖춘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의 조리실이 전방으로 개방된 형태이고, 조리실 전방에 도어가 구비된다.
오븐 도어의 개방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주로 힌지 연결된 도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회동 개방 방식의 도어는 힌지가 수직축을 이루는 스윙도어와, 힌지가 수평축을 이루는 풀다운 도어로 구분된다.
최근,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실내를 꾸미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서로 다른 조리 방식의 오븐을 2단으로 적층한 조리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2단 적층 조리기기는 빌트인 방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2단으로 적층한 빌트인 방식의 오븐은, 기존의 개별 오븐 방식에서 발생하지 않았던 문제가 발생한다. 가령 오븐의 전장 부품이나 오븐 내부에 공급할 스팀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탱크는 오븐의 캐비티 상부 공간에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오븐 위에 다른 조리 방식의 오븐을 설치하여 2단 적층 조리기기를 구성할 경우, 두 오븐 조리실의 공간은 더 넓게 확보해야 하는 반면, 두 오븐의 전체 높이 치수는 제한된다.
이에 따라 상하 두 오븐 사이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이나 물탱크가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의 높이는 더욱 줄어들 수밖에 없다. 그런데 하부에 설치된 오븐의 조리실은 상당히 고온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고 열에 취약한 전장 부품이나 물탱크(합성수지 재질)의 냉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2단 적층 조리기기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법이 전혀 없다.
특히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되어 오븐의 전방 외에는 외부의 공기를 도입하기가 어렵고, 상부 오븐과 하부 오븐의 전방에 배치되는 도어가 오븐의 앞면 전부를 덮는 구조인 경우, 상부 오븐과 하부 오븐 사이에 주어지는 약간의 틈을 통해 외부 공기를 오븐의 하우징 내부로 도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고, 상부 오븐과 하부 오븐 사이의 간격을 크게 설정하면, 그만큼 2단 적층 조리기기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면서도, 조리실의 체적을 줄여야 한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해법은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통상 조리기기의 생산자는, 서로 다른 조리 방식의 개별 오븐을 각각 생산하여 제품화하고, 이와 달리,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2단 적층 조리기기를 생산할 때에는 상기 개별 오븐들과 다른 오븐을 설계하여 생산하여 제품화한다. 만약 생산자가 동일한 오븐으로 개별 오븐 제품을 구성하거나 2단 적층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것을 모두 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생산 라인을 별도로 구축할 필요 없고 부품을 공용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산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2단 적층 조리기기의 상하 두 오븐 사이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이나 물탱크를 냉각하기 위해, 개별 오븐 제품을 사용할 때와는 다른 냉각 구조를 2단 적층 조리기기에 적용한다면, 결과적으로 이는 생산라인을 별도로 구축하고, 부품을 공용화하지 못한다는 번거로움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2단 적층 조리기기가 빌트인 방식 등으로 사용할 것이 예정되어 외부의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공간이 오븐의 전방 공간 외에는 없는 상황에서도, 두 조리기기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된 부품들을 원활하게 냉각할 수 있는 냉각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의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조리기기의 높이를 줄이면서도 조리실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는 조리기기의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체적이 큰 부품에 대해서도 냉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조리기기와 하부 조리기기를 각각 개별 조리기기 제품으로 사용하거나, 2단 적층 조리기기로 사용하더라도, 냉각 구조의 변경이 필요 없는 조리기기의 냉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제1조리기기(1) 및 상기 제1조리기기(1)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제2조리기기(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는 서로 다른 가열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 제1조리기기(1)의 작동 방식은 가스 가열 방식 또는 전열 가열 방식 등의 직접 가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제2조리기기(2)는 전자레인지(마이크로웨이브) 또는 인덕션 가열(IH) 등의 간접 가열 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조리기기(1)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11) 내부의 온도 환경은, 제2조리기기(2)를 구성하는 제2하우징(21) 내부의 온도 환경보다 더 높은 온도 환경일 수 있다.
상기 제1조리기기(1)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제1조리실(12)을 구비하는 제1하우징(11)과, 상기 제1하우징(11)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조리실(12)을 개폐하는 제1도어(13)와, 상기 제1하우징(11)의 전방에서 상기 제1조리실(12)의 개방부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13)의 뒷면과 마주하는 마감패널(17)을 포함한다. 마감패널(17)의 외측 가장자리는 후향 절곡되어 후향절곡부(171)를 이룰 수 있다.
제1조리실(12)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마감패널(17) 부분의 후방에 위치하는 공간이면서,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에는, 제1조리기기(1)를 제어하는 회로 등의 기판과, 제1조리기기(1)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물탱크 등을 포함하는 제1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제1조리기기의 제1조리실(12) 내부의 공간은 상당히 높게 승온하므로, 상기 기판 또는 물탱크 등은 냉각이 요구된다.
상기 제1조리기기(1)의 상부 후방에는 제1팬(14)이 배치된다. 상기 제1팬은 크로스팬일 수 있다. 상기 제1팬(14)은 제1하우징(11) 상부의 공간에서 전방의 공기를 후방으로 흡입한다. 이에 따라 냉각이 요구되는 상기 부품들은 공기의 유동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팬(14)에 흡입된 공기는 가압되어 제1조리실(12) 후방의 공간으로 하향 토출된다.
상기 제1도어(13)의 하부에는 제1 공기 유동 구멍(131)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13)의 뒷면 상부에서 상기 제1조리실(12) 상부에 배치되는 마감패널(17)과 마주하는 부위에는 제2 공기 유동 구멍(132)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 유동 구멍(132)과 마주하는 마감패널(17) 부위에는 상부 통공(111)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팬(14)을 가동시키면, 제1조리기기의 전방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제1 공기 유동 구멍(131)을 통해 상기 제1도어(13)에 유입되어 제1도어(13)를 따라 상부로 유동하고, 제1도어(13)를 유동한 공기는 제2 공기 유동 구멍(132)과 상부 통공(111)을 통해 제1하우징(11)의 상부 공간을 유동하며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팬(14)에 흡입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전방에서 상기 제1조리실(12)의 하부에는 하부 통공(113)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팬(14)에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면, 토출된 공기는 제1하우징(11) 내에서 상기 제1조리실(12)의 후방과 하부에 마련된 공간을 유동한 후 상기 하부 통공(113)을 통해 제1조리기기(1)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한다.
상기 제1부품은 물탱크 어셈블리(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3)는 물탱크(31)와 물탱크 케이스(32)를 포함한다. 이들은 가령, 합성수지 사출물일 수 있다. 상기 물탱크 케이스(32)는 제1하우징(11)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마감패널(17)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개방부(17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32)는 상기 개방부(172)를 향해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 케이스(32)는 상기 물탱크(31)를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수용한다.
상기 마감패널(17)의 개방부(172)는 제1도어(13)를 닫은 상태에서 제1도어의 뒤쪽에 숨게 된다. 사용자는 제1도어(13)를 열고, 노출된 개방부(172)를 통해 물탱크 케이스(32)에 물탱크(31)를 넣거나 뺄 수 있다.
상기 물탱크(31)에는, 제1조리실(12)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된다. 상기 물탱크(31)의 물은 펌프 등을 통해 가열부로 이동된 후 스팀으로 변환되어 제1조리실(12)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케이스(32)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어 있다. 이렇게 개방된 부위를 통해 애프터 서비스 등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 케이스(32)의 상부로 개방된 부위는, 제2조리기기 쪽에서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냉각공기가 직접 물탱크(31)와 접하도록 해준다. 따라서, 물탱크(31)는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상기 제1조리기기(1)의 냉각 구조는, 제1조리기기를 단독 제품으로 제작하든, 2단 적층 조리기기 형태로 제작하든 상관 없이, 냉각 구조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가령 제1조리기기를 단독 제품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제1하우징 상부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제1부품인 물탱크 어셈블리(3)를 냉각하는 데에 문제가 없다. 또한 제1조리기기를 2단 적층 제품의 하부에 배치하여 제작할 경우에는, 제1하우징 상부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상부에 배치되는 제2조리기기의 냉각 공기가 제1부품인 물탱크 어셈블리에 공급되도록 하여, 냉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조리기기(1)는 단독 제품과 2단 적층 제품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냉각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제2조리기기(2)는 상기 제1조리기기(1)의 상부에서 상기 제1하우징(1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된다. 제2조리기기(2)는 서포터(5)에 의해 제1조리기기(1)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부품은 상기 제2조리기기(2)의 하부이면서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제2조리기기(2)는 상기 제2조리기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규정하는 제2하우징(21)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터(5)는 상기 제1하우징의 측면 상부 모서리 부분과 상기 제2하우징의 측면 하부 모서리 부분을 서로 이격 시키며 고정한다. 이러한 서포터(5)는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 사이에서 양측, 즉 좌측과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서포터(5)는 전방과 후방에는 설치하지 않아도 무방할 정도의 강도를 가진다. 상기 서포터(5)를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하지 않으면, 제1하우징의 상부 공간을 냉각하는 공기를 전후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21)은 전방으로 개방되는 제2조리실(22)을 구비한다. 상기 제2하우징(22)의 전방에는, 상기 제2하우징(22)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조리실(22)을 개폐하는 제2도어(2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22)의 전방에는, 상기 제2도어(23)의 뒷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21)으로부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제2전면부재(27)가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21)은 상면부재(214)와 저면부재(215)와 후면부재(216)를 포함한다. 상면부재(214)는 제2조리실(22)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제2하우징 내에서 제2조리실의 상부 공간을 규정하고, 저면부재(215)는 제2조리실(22)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제2하우징 내에서 제2조리실의 하부 공간을 규정하며, 후면부재(216)는 제2조리실(22) 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제2하우징 내에서 제2조리실의 후방 공간을 규정한다. 상기 제2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2조리실의 상부 공간과 후방 공간은 제2조리실의 후방 상부에서 서로 연통하고, 상기 제2조리실의 후방 공간과 하부 공간은 제2조리실의 후방 하부에서 서로 연통한다. 즉 제2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2조리실 주변에는 "ㄷ"자 형태로 연통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제2전면부재(27)에서 제2조리실(22)의 전방 개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은 상기 상부 공간의 전방을 커버한다. 그리고 여기에는 상부 통공(211)이 마련된다.
상기 제2하우징(21) 내의 상부 공간에는, 마그네트론, 제어회로기판, 전원 기판 등의 제2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제2전면부재(27)에서 제2조리실(22)의 전방 개구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은 상기 하부 공간의 전방을 커버한다. 그리고 여기에는 하부 통공(213)이 마련된다. 즉 하부 통공(213)은 상기 제2하우징(21)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21) 내의 하부 공간과 연통한다.
상기 저면부재(215)는 상기 제2하우징(2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조리기기(2) 내부 공간의 하부 경계를 규정한다. 제2조리기기(2)가 개별 제품 또는 단독 제품으로 사용될 때, 상기 저면부재(215)는 제2조리기기(2)의 바닥면을 규정한다.
상기 제2하우징(21)의 내부에는 상기 제2조리기기(2)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2하우징(21) 내로 도입되도록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제2하우징(21) 내의 하부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2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제2팬(24)은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이면서 상기 제2조리실(2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팬(24)이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제2조리기기 전방의 외부 공기는 상기 상부 통공(211)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21) 내에서 상기 제2조리실(22)의 상부 공간에 유입되고, 상기 제2팬(24)에 흡입된 후 후방으로 토출된다.
상기 제2팬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2하우징(21) 내에서 상기 제2조리실(22)의 후방과 하부에 마련된 후방 공간과 하부 공간을 차례로 유동한 후, 상기 하부 통공(213)을 통해 제2조리기기(2)의 전방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제2조리실 내에서 발생한 열 중 외부로 전달되는 열과, 상기 제2부품은, 상기 제2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2조리기기(2)는 상기 제1조리기기(1)보다 발열량이 적은 가열 방식의 조리기기이므로, 상기 제2조리기기(2)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제2팬(24)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냉각하는 상기 제2하우징(21) 내부의 온도 환경은, 상기 제1조리기기(1)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제1팬(14)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냉각하는 상기 제1하우징(11) 내부의 온도 환경보다 더 낮은 온도이다.
상기 저면부재(215)에는, 상기 제2하우징(21) 내의 하부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저면부재(215) 하부로 공급하는 공기공급홀(217)이 마련된다.
제2조리기기(2)가 제1조리기기(1)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공급홀(217)은 제1하우징(11) 상부면에 설치된 제1부품, 즉 물탱크 어셈블리(3)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공기공급홀(217)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홀(217)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공 형상일 수 있다.
복수 개의 공기공급홀(217)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공기공급홀(217)이 배치되는 영역은, 상기 제1부품과 대략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부품의 대부분의 면적에 골고루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홀(217)의 전방에는 상기 저면부재(215)로부터 후향 상향 연장 되는 베인(218)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인(218)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저면부재(215)의 일부를 프레스 성형하여 공기공급홀(217)을 성형할 때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베인(218)은, 저면부재(215)보다 더 하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제2하우징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기능을 하고,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하는 냉각 공기의 일부를 상기 공기공급홀(217) 쪽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저면부재(215)의 상부에서 유동하는 공기는 제2팬에 의해 토출된 공기이다. 반면 상기 저면부재(215)의 하부, 즉 제1하우징(11)의 상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팬에 의해 흡입되고 있는 공기이다. 따라서 저면부재(215) 상부의 공기는 공기공급홀(217)을 통해 저면부재(215)의 하부로 원활하게 공급된다. 따라서 공기공급홀(217)의 하부에 배치된 제1부품은 원활하게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리기기(1)가 조리 작동할 때에는, 상기 제2조리기기(2)의 조리 작동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제1팬(14)과 상기 제2팬(24)이 모두 작동한다. 그러면, 협소한 공간에 있는 제1부품도, 제2조리기기의 제2팬으로부터 공급되는 보다 차가운 공기에 의해 원활하게 냉각된다.
반면, 상기 제2조리기기(2)가 조리 동작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1)가 조리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2팬(24)은 작동하고 상기 제1팬(14)은 작동하지 않는다.
앞서 살펴본 상기 제2조리기기(2)의 제2팬(24)에 의한 냉각구조는, 제2조리기기(2)를 단독 제품으로 사용하더라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고, 제2조리기기(2)를 2단 적층 제품으로 사용하더라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공급홀(217)을 구비한 상태에서 개별 단독 제품으로 사용하더라도 냉각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2단 적층 조리기기가 빌트인 방식 등으로 사용할 것이 예정되어 외부의 공기를 도입할 수 있는 공간이 오븐의 전방 공간 외에는 없는 상황에서도, 두 조리기기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배치된 부품들을 원활하게 냉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전체적인 조리기기의 높이를 줄이면서도 조리실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하우징의 상부 공간에, 하방으로 넓은 면적에 골고루 냉각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협소한 공간 내에 설치되는 체적이 큰 부품에 대해서도 냉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조리기기와 하부 조리기기를 각각 개별 조리기기 제품으로 사용하거나, 2단 적층 조리기기로 사용하더라도, 냉각 구조의 변경이 필요 없다. 따라서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를 개별 제품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들을 적층하여 2단 적층 조리기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의 양 측면에서 상호 적층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두 오븐 사이의 공간을 전후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오븐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원활한 공기 흐름을 유도하여 해당 공간에 배치된 피냉각 부품을 원활하게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오븐 사이의 공간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만큼 조리기기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그만큼 조리실의 체적을 더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조리기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조리기기의 상부에 제2조리기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가 적층되는 과정의 상태에서 측면을 단면으로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가 적층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조리기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2조리기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제1조리기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가 상호 체결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서 물탱크 어셈블리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조리기기의 상부에 제2조리기기가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가 적층되는 과정의 상태에서 측면을 단면으로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가 적층된 상태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조리기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2조리기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제1조리기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가 상호 체결되는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서 물탱크 어셈블리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조리기기 구조]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서로 다른 가열 방식을 가지는 제1조리기기(1)과 제2조리기기(2)을 상하 방향으로 2층으로 적층한 구조이다.
상기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는 서로 다른 가열 방식으로 작동된다. 상기 제1조리기기(1)의 작동 방식은 가스 가열 방식 또는 전열 가열 방식 등의 직접 가열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제2조리기기(2)는 전자레인지(마이크로웨이브) 또는 인덕션 가열(IH) 등의 간접 가열 방식일 수 있다. 직접 가열 방식은 간접 가열 방식에 비해 발열량이 많다. 따라서 제1조리기기(1)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11) 내부의 온도 환경은, 제2조리기기(2)를 구성하는 제2하우징(21) 내부의 온도 환경보다 더 높은 온도 환경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내부 환경의 온도가 낮은 제2조리기기의 냉각 공기의 일부를 제1조리기기에서 냉각이 요구되는 부품에 공급하여 냉각을 한다. 상기 냉각이 요구되는 부품은 제1조리기기와 제2조리기기가 마주하는 공간에서 제1조리기기 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의 제1조리기기는 가스 연소 및/또는 전열히터를 이용한 오븐임을 예시하고, 상부의 제2조리기기는 마이크로웨이브 전자레인지임을 예시한다. 그러나 제2조리기기가 제1조리기기보다 발열량이 적은 조리 방식이라면, 조리기기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조리기기>
제1조리기기(1)는 가령, 가스 버너, 브로일 버너, 전열 버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가열방식을 적용한 버너일 수 있다. 제1조리기기(1)의 내부에는 제1조리실(12)이 구비되고, 상기 제1조리실(12)은 전방으로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조리기기(1)의 전체적인 외관을 규정하는 제1하우징(11)은 전방으로 개방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1조리기기(1)의 전방에는 하단부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동 개폐되는 제1도어(13)가 설치된다. 제1도어(13)에는 외부에서 제1조리실(12)을 볼 수 있는 투명창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중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도어(13)의 상부에는 제1도어(13)를 잡아당겨 열 수 있는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방에서 마주하게 되는 조리 공간의 내벽은 조리실 내벽패널(16)에 의해 규정된다. 제1조리실(12)의 체적 중 사용자가 조리를 위해 사용 가능한 체적은, 상기 조리실 내벽패널(16)에 의해 규정된다. 조리실 내벽패널(16) 내부의 뜨거운 공기 환경을 제1조리실(12) 외부 공간과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1조리실(12)은 조리실 외벽패널을 더 구비한다. 상기 조리실 외벽패널은, 상기 조리실 내벽패널(16)보다 후방에 이격 배치되는 조리실 후방외벽패널(161)과, 상기 조리실 내벽패널(16)보다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조리실 하부외벽패널(162)을 포함한다. 상기 조리실 내벽패널(16)의 상부에는 제1하우징(11)의 상부패널(115)이 배치된다.
즉, 제1조리실(12)은, 상기 조리실 내벽패널(16)에 의해 규정되는 고온의 조리 공간과, 상기 조리 공간을 둘러싸서 상기 조리 공간을 열적으로(thermally) 외부와 구획하고 격리시키는 공간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조리기기가 작동 중일 때에는, 제1조리실(12) 내에서도, 상기 조리실 내벽패널(16)의 안쪽에 마련된 조리공간의 온도가 가장 높다. 제1조리실(12)에서, 상기 후방외벽패널(161), 하부외벽패널(162) 및 상부패널(115)과, 상기 조리실 내벽패널(16)과 사이의 공간은, 조리실 내벽패널(16) 안쪽 공간의 고온 환경을 제1조리실(12) 외부 환경과 구획하는 공간이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상기 상부패널(115), 상기 제1조리실(12)의 조리실 후방외벽패널(161)보다 더 후방에 이격 배치되는 후방패널(116), 그리고 상기 후방패널(116)의 하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조리실(12)의 조리실 하부외벽패널(162)보다 더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하부패널(117)을 포함한다. 상기 후방패널(116)과 하부패널(117)은 제1조리기기의 후방 단부와 하단부를 규정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기 제1조리실(12)과 후방패널(116) 사이의 공간은, 위쪽으로는 상기 상부패널(115)의 상부 공간과 연통하고, 아래쪽으로는 상기 제1조리실(12)과 하부패널(117) 사이의 공간과 연통한다. 즉 제1하우징(11)의 후방과 하부에서 상기 제2조리실 주변에는 "ㄴ"자 형태로 연통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이는 제1하우징(11) 상부 공간과 연통한다.
상기 조리실의 전방에 마련된 제1도어(13)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제1도어(13)의 저면 부근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제1 공기 유동 구멍(131)이 마련된다. 상기 제1 공기 유동 구멍(131)은 제1도어(13)의 저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는다. 제1도어(13)의 뒷면 상부에도 마찬가지로 제2 공기 유동 구멍(132)이 마련된다. 제2 공기 유동 구멍도 제1도어의 뒷면에 있으므로, 제1도어(13)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공기 유동 구멍(132)은 사용자의 눈에 띄지 않는다.
제1하우징(11)의 전방에는 상기 제1도어(13)의 후면과 마주하는 마감패널(17)이 마련된다. 마감패널(17)의 앞면은 사용자가 제1도어(13)를 열었을 때 제1조리실(12)의 개방부 둘레로 사용자의 눈에 띄는 부분이다. 또한 조리실 내벽패널(16)의 안쪽 표면 역시 사용자가 제1도어를 열었을 때 눈에 띄는 표면이다. 이에 상기 조리실 내벽패널(16)과 마감패널(17)을 일체로 성형하고, 그 표면에 법랑 처리하여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하우징(11)의 상부, 즉 상부패널(115) 상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에는 제1조리실(12) 내부에 공급될 스팀용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어셈블리(3), 제1조리기기(1)를 제어하는 전장 부품이 실장된 회로기판(미도시) 등의 제1부품들이 설치된다. 제1부품들은 냉각이 요구되는 부품이다.
제2조리기기(2)는 서포터(5)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부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보다 더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부 공간의 상한을 규정한다. 그리고 마감패널(17)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전방에서 제1하우징(11)의 상부면보다 더 상부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제1하우징(11) 상부 공간의 전방을 커버한다.
마감패널(17)의 외측 단부는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절곡된 후향절곡부(171)를 구비하므로, 외부에서 패널의 가장자리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17)의 상부 우측에는 물탱크 케이스(32)에 물탱크(31)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개방부(172)가 구비된다. 마감패널(17)의 상부 좌측에는, 상기 마감패널(17)에 의해 구획되는 제1하우징(11)의 상부 공간과 오븐의 전방의 공간을 연통하는 상부 통공(111)이 마련된다.
물탱크 케이스(32)는 상기 마감패널(17)의 뒷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상부패널(115) 상에 설치된다. 상기 물탱크 케이스(32)는 전방이 개방된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케이스(32)의 전방의 개구는 상기 마감패널의 개방부(172)와 정렬된다.
상기 물탱크(31)는 상기 물탱크 케이스(32)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중공의 직육면체 용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오븐 앞에서, 상기 개방부(172)를 통해, 물탱크 케이스(32)에 물탱크(31)를 넣거나 뺄 수 있다.
상기 물탱크(31)에는, 제1조리실(12)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물이 저장된다. 상기 물탱크(31)의 물은 펌프 등을 통해 가열부로 이동된 후 스팀으로 변환되어 제1조리실(12)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 케이스(32)의 상부를 규정하는 면 중 일부에는 개방부(33)가 마련된다. 따라서 물탱크 케이스(32)에 수용된 물탱크(31)는 상기 개방부(33)를 통해 물탱크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33)는 애프터 서비스 과정에서 유지 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또한 상기 개방부(33)는, 물탱크 케이스(32) 내부에 수용된 물탱크(31)의 냉각 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상기 물탱크와 물탱크 케이스는 합성수지 사출물일 수 있고, 뜨거운 환경에서 냉각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17)의 개방부(172)는 제1도어(13)를 닫은 상태에서 제1도어의 뒤쪽에 숨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도어(13)를 열고, 노출된 개방부(172)를 통해 물탱크 케이스(32)에 물탱크(31)를 넣거나 뺄 수 있다.
상기 마감패널(17)의 상부 통공(111)은, 제1도어(13)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13)의 뒷면 위쪽에 마련된 제2 공기 유동 구멍(132)과 서로 마주하여 연통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부 공간의 후방에는 제1팬(14)이 설치된다. 제1팬은 좌우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터보팬일 수 있다. 터보팬(14)은 제1하우징(11)의 상부 공간의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하우징(11) 내의 제1조리실(12)의 후방 공간으로 토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1)의 전방 하부에는, 상기 제1조리실(12)의 후방 공간과 연통하며 전방으로 개방된 하부 통공(113)이 마련된다.
따라서 터보팬(14)이 작동하면, 제1오븐 전방에 하부에 있던 외부의 공기는 제1도어(13)의 하부에 마련된 제1 공기 유동 구멍(131)을 통해 제1도어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제1조리실(12)로부터 제1도어(13)로 전달된 열이 냉각된다.
제1도어(13)의 내부에서 상승한 공기는 제2 공기 유동 구멍(132)과 상부 통공(111)을 통해 제1하우징(11)의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터보팬(14)으로 흡입된다. 이 과정에서 제1하우징(11) 상부 공간에 있는 제1부품들은 냉각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조리기기(2)을 설치함에 따라 제1하우징(11) 상부 공간이 협소해지면, 제1도어(13)를 거쳐 이미 승온된 공기만으로는 제1하우징(11) 상부에 배치된 전장 부품이나 물탱크 및 물탱크 케이스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대한 해결 원리는 후술한다.
터보팬(14)에서 하향 토출되는 공기는 제1하우징(11) 내에서 제1조리실(12)의 후방과 하부에 마련된 공간을 따라 유동하여 다시 하부 통공(113)을 통해 제1조리기기의 전방 하부로 배출된다. 공기가 유동하는 제1조리실(12)의 후방 공간은 조리실 후방외벽패널(161)과 후방패널(116)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고, 공기가 유동하는 제1조리실(12)의 하부 공간은 조리실 하부외벽패널(162)과 하부패널(117)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통공(113)은 상기 조리실 하부외벽패널(162)의 전방 단부와 하부패널(117)의 전방 단부 사이의 틈새로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리기기의 냉각 구조는, 제1조리기기 단독으로 개별 제품을 제작할 때에도 그대로 활용될 수 있다. 제1조리기기를 개별 제품으로 제작할 때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커버(미도시)를 설치하여 제1하우징(11)의 상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제1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마감패널(17)의 개방부(172)는 가려진다. 따라서 개방부 주변으로는 외부 공기가 제1하우징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하기 어렵다. 그러나 제1하우징 상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제1하우징의 상부에 커버(미도시)를 설치하면, 다른 부위를 통해 얼마든지 공기 유입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조리기기를 단독 제품으로 사용할 경우, 제1하우징(11) 상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상기 제1팬(14)에 의한 냉각만으로도 제1부품들을 충분히 냉각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제1조리기기를 제2조리기기와 함께 2단 적층 구조로 사용하더라도, 제2조리기기의 냉각 구조가 제1조리기기의 제1부품의 냉각에도 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적용하면, 상술한 제1팬을 활용한 제1조리기기의 냉각구조를 변경할 필요 없다.
즉 상기 제1조리기기의 냉각 구조는, 제1조리기기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단 적층하여 사용하여도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조리기기>
제2조리기기(2)는 가령,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전자레인지)일 수 있다. 상기 제2조리기기(2)의 내부에는 제2조리실(22)이 구비되고, 상기 제2조리실(22) 역시 전방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제1조리실과 제2조리실에 모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제2조리기기(2)의 전체적인 외관을 규정하는 제2하우징(21)은 전방으로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2조리실(22)은 상기 제2하우징(21) 내에 수용되는 조리실 패널(221)에 의해 규정된다. 조리실 패널(221)은 전방으로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2하우징(21)은, 상기 제2조리실(22)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면부재(214), 상기 제2조리실(22)의 후방에 이격 배치되는 후면부재(216) 및 상기 제2조리실(22)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저면부재(215)를 포함한다.
상기 저면부재(215)는 상기 제2조리기기(2) 내부 공간의 하부 경계를 규정한다. 즉 제2조리기기(2)가 개별 제품 또는 단독 제품으로 사용될 때, 상기 저면부재(215)는 제2조리기기(2)의 바닥면을 규정한다.
상기 제2하우징(21) 내에서 상기 조리실 패널(221)과 상면부재(214)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2조리실(22)의 상부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하우징(21) 내에서 제2조리실(22) 후방 공간과 하부 공간 역시 마찬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조리기기(2)의 전방에는 하단부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개폐되는 제2도어(23)가 설치된다. 제2도어(23)에는 외부에서 제2조리실(22)을 볼 수 있는 투명창이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의 오븐은 제1조리실(12)에 비해 제2조리실(22) 내부의 온도가 그리 높게 오르지 않는다. 따라서 제1도어(13)와 달리 제2도어 내부에는 냉각 공기를 유동시켜야 할 필요성이 낮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모두 풀-다운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조가 예시되어 있으나, 도어의 개방 방식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제2도어 및/또는 제1도어는 스윙 타입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2하우징(21)의 전방에는 상기 제2도어(23)의 후면과 마주하는 제2전면부재(27)가 설치된다. 상기 제2조리실(22)의 전방 개구 상부에 위치하는 제2전면부재(27) 부분은, 상기 제2조리실(22)의 상부 공간을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제2조리실(22)의 전방 개구 하부에 위치하는 제2전면부재(27) 부분은, 상기 제2조리실(22)의 하부 공간을 커버한다. 즉 상기 제2전면부재(27)는 상기 제2하우징(21)과 조리실 패널(221) 사이의 공간을 커버한다.
제2전면부재(27)에서 제2조리실(22)의 전방 개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상부 통공(211)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2 전면부재(27)에서 제2조리실(22)의 전방 개구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하부 통공(213)이 마련된다. 상부 통공(211)은 제2하우징(21) 내에 있는 제2조리실(22)의 상부 공간과 제2조리기기(2)의 전방 외부의 공간이 통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 통공(213)은 제2하우징(21) 내에 있는 제2조리실(22)의 하부 공간과 제2조리기기(2)의 전방 외부의 공간이 통하도록 한다.
제2도어(23)를 닫은 상태에서도, 상기 상부 통공(211)과 하부 통공(213)은 제2도어(23)에 의해 막히지 않고 외부의 공간과 통한다. 즉 제2도어(23)의 뒷면은 상기 상부 통공(211)과 하부 통공(213)을 덮지 않되, 제2도어(23)의 앞면은 제2조리기기(2)의 전방에 있는 사람의 시야로부터 상기 상부 통공(211)과 하부 통공(213)을 가려서 숨긴다.
제2하우징(21) 내에서 제2조리실(22)의 상부 공간에는 마그네트론, 제2조리기기의 제어회로가 구현된 기판과 같은 제2부품들이 마련된다. 아울러 제2하우징(21)의 상부 공간에는 제2팬(24)이 마련된다. 제2팬은 좌우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는 터보팬(24)일 수 있다. 터보팬(24)은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으로 토출한다.
상기 제2하우징(21) 내에서 상기 제2조리실(22)의 상부공간과 후방공간은 서로 연통하고, 후방공간과 하부공간은 서로 연통한다. 즉 제2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2조리실 주변에는 "ㄷ"자 형태로 연통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터보팬(24)이 작동하면, 제2조리기기(2) 외부의 공기는 상기 상부 통공(211)을 통해 제2조리실(22)의 상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터보팬(24)에 흡입된 후 후방으로 토출된다. 터보팬(24)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2조리실(22)의 후방 공간과 하부 공간을 거쳐 하부 통공(213)을 통해 다시 제2조리기기(2) 전방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조리실(22) 상부 공간에 마련된 전장 부품과 제2조리실(22)이 냉각된다.
제2조리기기(2)가 제1조리기기(1)의 상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21)의 저면부재(215)는 제1하우징(11)의 상부패널(115)과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2조리기기(2)는 상기 제1조리기기(1)보다 발열량이 적은 전자레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조리기기(2)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제2팬(24)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냉각하는 상기 제2하우징(21) 내부의 온도는, 상기 제1조리기기(1)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제1팬(14)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냉각하는 상기 제1하우징(11) 내부의 온도 환경보다 더 낮다.
서포터(5)는 상기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조리기기(2)를 상기 제1조리기기(1)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한다. 서포터(5)는 제1조리기기(1)과 제2조리기기(2)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며 상호 고정한다. 서포터(5)는 가령 약 1.6mm 두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되고, 두 조리기기(1, 2) 양측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두 조리기기를 충분히 견고하게 고정한다. 따라서 두 조리기기의 전방과 후방에는 상기 서포터(5)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하우징(21)의 저면부재(215)와 제1하우징(11)의 상부패널(115) 사이의 공간은 전방과 후방으로 서포터(5)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i) 두 조리기기(1, 2)가 상하 상호 적층되는 점, ii) 제2하우징(21)의 저면부재(215)와 제1하우징(11)의 상부패널(115)과 이격 배치되고, 그 사이의 공간에 제1조리기기(1)의 제1부품이 설치된 점, iii) 제1조리기기를 냉각하기 위해 상기 제1하우징(11) 상부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보다 제2하우징(21)의 하부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가 더 낮은 점에 착안하여, 상기 저면부재(215)에, 상기 제2하우징(21) 내의 하부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저면부재(215) 하부로 공급하는 공기공급홀(217)을 더 제공한다.
상기 두 조리기기(1, 2)가 적층된 상태에서, 저면부재(215)를 경계로, 그 상부의 공기 유동은 제2팬에 의해 토출된 공기의 흐름이고, 그 하부의 공기 유동은 제1팬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이다. 따라서, 저면부재(215)에 공기공급홀(217)을 형성하면, 별도의 팬을 더 설치하지 않더라도, 압력 차에 의해 저면부재(215) 상부의 공기가 저면부재(215) 하부의 공간, 즉 제1하우징(11) 상부 공간으로 자연스럽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부품들 중 물탱크 어셈블리(3)는 회로기판 등과 대비하여 상하 방향으로 큰 치수를 가진다. 또한 물탱크 어셈블리(3)는 합성수지 사출물로서 열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하우징(11) 상부 공간의 높이를 낮게 설정하면, 제1하우징(11)의 상부 공간의 높이와 물탱크 어셈블리(3)의 높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게 된다. 그런데, 저면부재(215)와 물탱크 어셈블리(3) 사이의 틈이 좁으면, 제1팬(14)에 의해 발생하는 제1조리기기의 냉각 공기 유동만으로는, 물탱크 어셈블리(3)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홀(217)을 물탱크 어셈블리(3)의 상부에 배치하여 물탱크 어셈블리가 원활하게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홀(217)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홀(217)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트랙 형상의 장공일 수 있다.
복수 개의 공기공급홀(217)은 각각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공기공급홀(217)이 배치되는 영역은, 상기 제1부품(물탱크 어셈블리) 배치 영역과 대략적으로 대응하되, 공기 유동 방향을 감안하여 제1부품보다 약간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면 제1부품(물탱크 어셈블리)의 대부분의 영역에 골고루 제2팬에 의해 유동하는 제2조리기기의 냉각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홀(217)의 전방에는 상기 저면부재(215)로부터 비스듬히 후방 상향 연장되는 베인(218)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인(218)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저면부재(215)의 일부를 프레스 성형하여 공기공급홀(217)을 성형할 때 함께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베인(218)은 저면부재(215)에 대해 약 30도 내지 45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베인(218)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하는 냉각 공기의 일부를 상기 공기공급홀(217) 쪽으로 가이드한다. 아울러 상기 베인은 제2하우징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베인은 저면부재(215)로부터 상향 연장되므로 저면부재(215)보다 더 하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술한 제2팬(24)에 의한 제2조리기기(2)의 냉각구조, 그리고 상기 공기공급홀(217)과 베인(218)은, 제2조리기기(2)를 단독으로 제품화하거나 2단 적층 조리기기로 제품화하거나 관계 없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조리기기의 조립 과정과, 조리기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오븐 제품으로 제작할 수도 있는 제1조리기기(1)을 준비한다. 그리고, 제1조리기기(1)의 상부 양단부에 서포터(5)를 각각 설치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전자레인지 제품으로 제작할 수도 있는 제2조리기기(2)를 준비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조리기기(2)를 제1조리기기(1)의 상부에서 상기 서포터(5)에 거치하고 고정한다.
상기 조리기기는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오븐(1, 2)이 적층된 상태에서 측면이나 후면에 추가적인 하우징을 더 덮지 않고 현장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되므로, 제품의 전방을 제외하고는 외부 공기를 오븐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만한 공간이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2조리기기(2)의 제2조리실 상부에 설치된 터보팬(24)을 사용하여, 제2조리기기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제2조리기기의 전방 상부의 상부 통공(211)를 통해 유입시킨다. 제2하우징(2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조리기기를 냉각하고, 제2하우징(21) 전방 하부의 하부 통공(213)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제1조리기기(1)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의 유동은, 제1오븐의 상부 후방에 설치된 터보팬(14)에 의해 발생한다. 터보팬(14)을 작동시키면, 제1도어(13) 하부에 마련된 제1 공기 유동 구멍(131)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제1도어(13) 내부 공간과 제1하우징 상부 공간을 거쳐 터보팬(14)에 유입된다. 그리고 터보팬(14)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1하우징의 후방 공간과 하부 공간을 거친 후, 제1오븐의 전방 하부에 마련된 하부 통공(113)을 통해 배출된다.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상기 제1조리기기(1)의 냉각 구조와 제2조리기기(2)의 냉각 구조는, 모두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냉각에 사용된 공기를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토출한다.
상기 제2조리기기(2)가 작동할 때에는 제2조리기기(2)의 냉각을 위해 제2팬(24)이 작동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2)가 작동할 때에는 제1조리기기(1)의 냉각을 위해 제1팬(14)이 작동한다.
상기 제2조리기기(2)만 작동할 때에는 제2팬(24)만 작동하고, 제1팬(14)은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 제1조리기기(1)와 제2조리기기(2)가 모두 작동할 때에는 상기 제1팬(14)과 제2팬(24)이 모두 작동한다.
상기 제1조리기기(1)만 작동할 때에도, 상기 제1팬(14)과 제2팬(24)은 모두 작동한다. 제1팬(14)과 제2팬(24)이 모두 작동하면, 제2하우징의 저면부재(215)를 기준으로 그 상부에는 제2팬이 토출한 공기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하고, 제2하우징의 저면부재 하부에는 제1팬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저면부재 상부의 공기는 베인(218)에 의해 안내되어 공기공급홀(217)을 통해 저면부재 하부로 유동한다. 저면부재 상부의 공기는 저면부재 하부의 공기보다 더 차가우므로, 공기공급홀(217) 하부에 배치된 제1부품의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제1조리기기(하부오븐)
11: 제1하우징
111: 상부 통공
113: 하부 통공
115: 상부패널
116: 후방패널
117: 하부패널
12: 제1조리실
13: 제1도어
131: 제1 공기 유동 구멍
132: 제2 공기 유동 구멍
14: 제1팬(터보팬)
16: 조리실 내벽패널
161: 조리실 후방외벽패널
162: 조리실 하부외벽패널
17: 마감패널
171: 후향절곡부
172: 개방부
2: 제2조리기기(상부마이크로웨이브)
21: 제2하우징
211: 상부 통공
213: 하부 통공
214: 상면부재
215: 저면부재
216: 후면부재
217: 공기공급홀
218: 베인
22: 제2조리실
221: 조리실 패널
24: 제2팬(터보팬)
27: 제2전면부재
3: 물탱크 어셈블리
31: 물탱크
32: 물탱크 케이스
33: 개방부
5: 서포터
11: 제1하우징
111: 상부 통공
113: 하부 통공
115: 상부패널
116: 후방패널
117: 하부패널
12: 제1조리실
13: 제1도어
131: 제1 공기 유동 구멍
132: 제2 공기 유동 구멍
14: 제1팬(터보팬)
16: 조리실 내벽패널
161: 조리실 후방외벽패널
162: 조리실 하부외벽패널
17: 마감패널
171: 후향절곡부
172: 개방부
2: 제2조리기기(상부마이크로웨이브)
21: 제2하우징
211: 상부 통공
213: 하부 통공
214: 상면부재
215: 저면부재
216: 후면부재
217: 공기공급홀
218: 베인
22: 제2조리실
221: 조리실 패널
24: 제2팬(터보팬)
27: 제2전면부재
3: 물탱크 어셈블리
31: 물탱크
32: 물탱크 케이스
33: 개방부
5: 서포터
Claims (15)
- 전방으로 개방되는 제1조리실(12)을 구비하는 제1하우징(11)과, 상기 제1하우징(11)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조리실(12)을 개폐하는 제1도어(13)와, 상기 제1하우징(11)의 전방에서 상기 제1조리실(12)의 개방부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제1도어(13)의 뒷면과 마주하는 마감패널(17),
을 포함하는 제1조리기기(cooking device)(1); 및
상기 제1조리기기(1)의 상부에서 상기 제1하우징(1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제2하우징(21)을 포함하는 제2조리기기(2);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제1하우징(11)과 상기 제2조리기기(2)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부에는 냉각이 요구되는 제1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제1조리기기(1)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부 후방에 배치되어, 제1하우징(11) 상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제1조리실(12) 후방의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1팬(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리기기(2)는:
전체적으로 제2조리기기(2)의 외관을 규정하는 제2하우징(21);
상기 제2하우징(21)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조리기기(2)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2하우징(21) 내로 도입되도록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제2하우징(21) 내의 하부 공간으로 토출하는 제2팬(24);
상기 제2하우징(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조리기기(2) 내부 공간의 하부 경계를 규정하는 저면부재(215); 및
상기 저면부재(215)에 마련되어 상기 제2하우징(21) 내의 하부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저면부재(215) 하부로 공급하는 공기공급홀(217);을 포함하며,
상기 제2조리기기(2)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제2팬(24)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냉각하는 상기 제2하우징(21) 내부의 온도 환경은, 상기 제1조리기기(1)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제1팬(14)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냉각하는 상기 제1하우징(11) 내부의 온도 환경보다 더 낮은 온도인 조리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홀(217)은 제1하우징(11) 상부에 배치된 제1부품의 상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은 제1조리실(12)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어셈블리(3)이며,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3)는, 상기 마감패널(17)에 마련된 개방부(172)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되고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물탱크(31)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72)는 제1도어(13)를 닫은 상태에서 제1도어(13)에 의해 가려지는 조리기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어셈블리(3)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기 물탱크(31)를 수용하는 물탱크 케이스(32)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 케이스(32)의 적어도 상부 일부는 개방된 형태인 조리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팬(24)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2하우징(21) 내의 하부 공간에서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유동하고,
상기 제2하우징(21)의 전방 하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21) 내의 하부 공간에서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를 제2오븐의 전방으로 배출하는 하부 통공(213)이 더 마련된 조리기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홀(217)의 전방에는 상기 저면부재(215)로부터 후향 상향 연장되는 베인(218)이 마련된 조리기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홀(217)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이며, 복수 개의 공기공급홀(217)이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된 형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기기(2)는,
상기 제2하우징(21) 내부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개방되는 제2조리실(22); 및
상기 제2하우징(22)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조리실(22)을 개폐하는 제2도어(23);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팬(24)은 제2하우징(22)의 내부이면서 상기 제2조리실(2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21) 내의 하부 공간은 상기 제2조리실(22)의 하부에 마련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기기(2)는 전자레인지(microwave)이고,
상기 제1조리기기(1)는 오븐인 조리기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기기(2)는,
상기 제2하우징(21)의 전방에 마련되되 상기 제2도어(23)의 뒷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하우징(21)으로부터 전후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제2전면부재(27); 및
상기 제2전면부재(27)에서 제2조리실(22)의 전방 개구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영역에 마련되는 상부 통공(211);을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팬(24)이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제2조리기기 전방의 외부 공기는 상기 상부 통공(211)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21) 내에서 상기 제2조리실(22)의 상부에 유입되고,
상기 제2팬(24)에 흡입된 후 후방으로 토출되며,
상기 제2팬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2하우징(21) 내에서 상기 제2조리실(22)의 후방과 하부에 마련된 공간을 유동한 후 상기 하부 통공(213)을 통해 제2조리기기(2)의 전방 외부로 배출되는 조리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13)의 하부에는 제1 공기 유동 구멍(131)이 마련되고,
상기 제1도어(13)의 뒷면 상부에서 상기 제1조리실(12) 상부에 배치되는 마감패널(17)과 마주하는 부위에는 제2 공기 유동 구멍(132)이 마련되며,
상기 제2공기 유동 구멍(132)과 마주하는 마감패널(17) 부위에는 상부 통공(111)이 마련되고,
상기 제1하우징(11)의 전방에서 상기 제1조리실(12)의 하부에는 하부 통공(113)이 마련되어서,
상기 제1팬(14)이 회전함에 따라 제1조리기기의 전방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제1 공기 유동 구멍(131)을 통해 상기 제1도어(13)에 유입되어 제1도어(13)를 따라 상부로 유동하고, 제1도어(13)를 유동한 공기는 제2 공기 유동 구멍(132)과 상부 통공(111)을 통해 제1하우징(11)의 상부 공간을 유동하며 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팬(14)에 흡입된 후 토출되어 제1하우징(11) 내에서 상기 제1조리실(12)의 후방과 하부에 마련된 공간을 유동한 후 상기 하부 통공(113)을 통해 제1조리기기(1)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조리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조리기기(1)가 조리 동작할 때, 상기 제2조리기기(2)의 조리 동작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제1팬(14)과 상기 제2팬(24)이 모두 작동하는 조리기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리기기(2)가 조리 동작하고 상기 제1조리기기(1)가 조리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2팬(24)은 작동하고 상기 제1팬(14)은 작동하지 않는 조리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7429A KR102514291B1 (ko) | 2018-07-26 | 2018-07-26 | 조리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7429A KR102514291B1 (ko) | 2018-07-26 | 2018-07-26 | 조리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2300A true KR20200012300A (ko) | 2020-02-05 |
KR102514291B1 KR102514291B1 (ko) | 2023-03-24 |
Family
ID=69514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7429A KR102514291B1 (ko) | 2018-07-26 | 2018-07-26 | 조리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429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509212A (zh) * | 2023-05-12 | 2023-08-01 | 九阳股份有限公司 | 一种空气炸锅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520635A1 (en) * | 1991-06-22 | 1992-12-30 | Cannon (Holdings) Limited | Oven |
EP0833108A1 (de) * | 1996-09-27 | 1998-04-01 | Bosch-Siemens HausgerÀ¤te GmbH | Anordnung mit einem Backofen und einer Kochmulde |
US20080184985A1 (en) * | 2007-02-05 | 2008-08-07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 Ventilation panel and oven |
EP2037183A1 (en) * | 2007-09-14 | 2009-03-18 | Teka Portugal, S.A. | Steam oven device and water tank for use in the same |
KR20180028691A (ko) | 2016-09-09 | 2018-03-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리기기 |
KR101859320B1 (ko) | 2017-02-07 | 2018-05-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
KR20180080062A (ko) | 2017-01-03 | 2018-07-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리기기 |
-
2018
- 2018-07-26 KR KR1020180087429A patent/KR1025142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520635A1 (en) * | 1991-06-22 | 1992-12-30 | Cannon (Holdings) Limited | Oven |
EP0833108A1 (de) * | 1996-09-27 | 1998-04-01 | Bosch-Siemens HausgerÀ¤te GmbH | Anordnung mit einem Backofen und einer Kochmulde |
US20080184985A1 (en) * | 2007-02-05 | 2008-08-07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ete Gmbh | Ventilation panel and oven |
EP2037183A1 (en) * | 2007-09-14 | 2009-03-18 | Teka Portugal, S.A. | Steam oven device and water tank for use in the same |
KR20180028691A (ko) | 2016-09-09 | 2018-03-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리기기 |
KR20180080062A (ko) | 2017-01-03 | 2018-07-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조리기기 |
KR101859320B1 (ko) | 2017-02-07 | 2018-05-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509212A (zh) * | 2023-05-12 | 2023-08-01 | 九阳股份有限公司 | 一种空气炸锅 |
CN116509212B (zh) * | 2023-05-12 | 2023-12-08 | 九阳股份有限公司 | 一种空气炸锅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14291B1 (ko) | 2023-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56201B1 (ko) | 조리기기 | |
US10066839B2 (en) | Oven | |
US10935247B2 (en) | Cooking apparatus | |
KR100872222B1 (ko) | 조리기기 | |
KR20180028691A (ko) | 조리기기 | |
KR100786087B1 (ko) | 조리기기 | |
KR20200012300A (ko) | 조리기기 | |
JP2014152957A (ja) | 送風装置とそれを使用した加熱調理器 | |
EP2235445B1 (en) | A microwave oven | |
KR20090017299A (ko) |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 |
KR20060037003A (ko) |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 |
KR100633172B1 (ko) |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냉각시스템 | |
KR200353573Y1 (ko) |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 |
JP2010218783A (ja) | 誘導加熱調理器 | |
CN100541005C (zh) | 通风罩型微波炉 | |
KR100596247B1 (ko) | 전기오븐의 전장실 냉각시스템 | |
KR100789831B1 (ko) | 전기 오븐 | |
CN220859922U (zh) | 烹饪设备、集成灶 | |
KR20110089767A (ko) | 전기 오븐 | |
KR100286026B1 (ko) | 전자렌지 | |
KR100633171B1 (ko) |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냉각시스템 | |
JP5993637B2 (ja) | 加熱調理器 | |
KR20000014344A (ko) | 전자렌지 | |
KR100674724B1 (ko) | 빌트인 타입의 전기오븐 | |
JP2020197351A (ja) | 加熱調理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