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957A - Available airspace information station type tombstone and Drone updated the flight path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vailable airspace information station type tombstone and Drone updated the flight path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957A
KR20200010957A KR1020180085654A KR20180085654A KR20200010957A KR 20200010957 A KR20200010957 A KR 20200010957A KR 1020180085654 A KR1020180085654 A KR 1020180085654A KR 20180085654 A KR20180085654 A KR 20180085654A KR 20200010957 A KR20200010957 A KR 20200010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airspace
flight
information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37409B1 (en
Inventor
허제용
Original Assignee
허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제용 filed Critical 허제용
Priority to KR102018008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409B1/en
Publication of KR2020001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9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4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47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 G08G5/0069Navigation or guidance aids for a single aircraft specially adapted for an unmanned aircraft
    • B64C2201/128
    • B64C2201/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type tombstone and a drone for updating a flight path using the same.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type tombstone installed in the outdoors provides an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circuit unit comprising: a location-based sensor for receiving a GPS signal;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drone flight airspace information from the location-based sensor; an airspac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 drone flight airspace signal calculated based on the tombstone location-bas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device composed of a solar panel or a built-in battery to output the drone flight airspace information of mountainous backcount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wing machine can be transported to widely scattered tombstones in the mountainous backcountry by using a drone. A flight path is set by determining available airspace.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drone network infrastructure during a disaster.

Description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와 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Available airspace information station type tombstone and Drone updated the flight path using the same}Drone airspace information tombstones and drones that update flight routes by using them {Available airspace information station type tombstone and Drone updated the flight pat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와 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산간 격오지에 분산되어 설치된 묘비를 드론 비행 공역 정보 출처로 사용하여, 드론이 비행 공역으로 최적 비행 경로를 설정할 수 있게 하며, 이러한 비행 공역 정보를 이용하여 산간 격오지에 설치된 묘지로 제초장비 등을 최적 비행경로로 가장 인근 위치에 운반시키는 드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airspace information tombstone and a drone for updating the flight path using the same, using the tombstones distributed in mountainous remote areas as a source of drone flight airspace information, drones to determine the optimal flight path to flight airspace It is possible to set up, and to use the flight airspace information to the graveyard installed in the mountainous remote areas, the field of drone technology to transport the weeding equipment, etc. to the nearest location in the optimal flight path.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묘지는 산간 격오지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Korean cemeteries are scattered in remote mountains.

이는 과거에는 촌락이 특정 성씨 집단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으므로, 촌락 주변 산간이 묘지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n the past, villages used to be clustered by certain surname groups, and the mountains around the villages were used as graveyards.

따라서, 촌락의 주변 산간 일부가 일정 규모의 공동묘지를 이루는 경우나, 문중 선산을 두고 묘지를 정하는 경우도 있으나, 촌락 주변의 풍수 좋은 곳을 임의로 정하여 묘지를 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였다.As a result, some of the mountainous areas surrounding the villages form a common cemetery of a certain size, or a cemetery may be set for the Zen Mountain, but most of the villages randomly select a good feng shui area around the village.

과거에는 보통 3대 이상이 함께 사는 대가족이 촌락에 함께 모여 사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이와 같은 묘지의 벌초가 크게 문제될 것이 아니었지만, 현재는 가까운 친척이라 해도 멀리 떨어져 살고 있고, 핵가족화가 진행된 상태라 벌초 자체가 부담스러운 상황이 됐다. In the past, large families living with more than three generations often lived together in villages, so the weeds of such cemeteries were not a big problem, but now, even close relatives live far away, and nuclear familyization is in progress. It was a burdensome situation.

묘지의 벌초를 하는 시기는 봄, 가을 2번하는 것이 보통으로 봄은 한식, 가을에는 추석 때 벌초를 하는데, 벌초의 대상이 되는 묘는 가깝게는 부모와 조부모, 더 올라가면 선산에 모셔진 모든 조상님들을 포함하게 된다. In the cemetery, weeding is usually done in spring and autumn twice, and in the spring, it is Korean food, and in autumn, weeds are used to bees. Tombs that target bee weeds include parents, grandparents, and all ancestors enshrined in Sunsan. Done.

이로 인해 오래 전부터 특정 성씨의 집성촌을 이루고 가문의 선산이 오래된 경우에는 많은 수의 묘를 벌초해야 되며, 그렇지 않더라도 도시에 사는 사람이 산간 오지로 예초기와 같은 벌초 장비를 들고 이동해야 하므로 여간 수고스러운 일이 아니다.Because of this, if you have a long lasting village of a certain surname and the family is old, you will need to mow a large number of tombs, and even if it is not, the people living in the city will have to move to the mountainous areas with mowing equipment such as mowers. This is not it.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산간 오지에 널리 흩어져 설치된 묘지로 드론을 이용하여 벌초 장비를 운반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imary purpose of transporting the weeding equipment by using a drone to the cemetery is widely scattered in the mountainous countryside.

그러나 일반적으로 드론은 비행 가능한 공역지역이 엄격하게 정해져 있으므로, 아무나 마음대로 장비를 운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however, drones have a strict airspace that can be flow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no one can transport the equipment at will.

대한민국 선출원특허번호 10-2014-0183690 드론의 비행 경로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 및 장치와 같이 드론의 비행 경로를 갱신하는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비행공역을 판단하고, 이를 최적 비행경로에 반영시키는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아 그 개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183690 Techniques for updating a drone's flight path, such as a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a flight path of a drone, have been introduced.However, a technology for determining a flight airspace and reflecting it in an optimal flight path Has not yet been developed and the need for development is highlighted.

한편, 산간 격오지의 경우 재난 시에 이용할 수 있는 드론 네트워크 인프라가 없으므로 실종자 및 부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찾는데 드론의 이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ountainous remote areas there is no drone network infrastructure that can be used during disaste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 of drones is limited in finding missing persons and people in need of injury.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기술방식에 의하면, 기존의 네트워크망은 기지국을 건설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고 장애물로 인한 통신장애 이슈가 있거나 고가의 통신위성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method for solving this problem, the existing network has a problem in that it is expensive to construct and manage a base station, there is a problem of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obstacles, or use expensive communication satellites.

한편, 산간 격오지는 비행공역과 비행금지 구역이 혼재되어 드론의 자유비행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mountainous outland has a problem that the free flight of the drone is very limited due to mixed flight airspace and flight prohibited zone.

대한민국 선출원특허번호 10-2014-0183690 드론의 비행 경로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 및 장치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183690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the flight path of the dron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산간 오지에 널리 흩어져 설치된 묘지로 드론을 이용하여 벌초 장비를 운반하며, 비행 가능한 공역을 판단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고,재난 시에 드론 네트워크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와 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mountainous countryside, drones to carry the bee equipment using drones, judging the airspace capable of flight, set the flight path, and utilize as a drone network infrastructure in case of disast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drones capable of transmitting drone airspace information and drones that update flight routes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야외에 설치된 묘비에 있어서, GPS 신호를 수신받는 위치기반센서; 상기 위치기반센서로 부터 드론 비행 공역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묘지 위치기반 정보로 연산된 드론 비행 공역 여부 신호을 발신하는 공역신호 발신부; 태양광 패널 또는 내장전지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되는 공역정보 발신 회로부가 설치되어 산간 오지의 드론 비행 공역 정보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mbstone installed outdoors, a location-based sensor receiving a GPS signal;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drone flight airspace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based sensor; An airspace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drone flight airspace signal calculated based on cemetery location-bas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Power supply device consisting of a solar panel or a built-in battery;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grave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circuit unit is configured to output the drone flight airspace information of the mountainous regions.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인근으로 근접하는 드론에 대해 비행 경로 승인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공역신호 발신부를 통해 출력하여 상기 드론이 주변지의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 들에서 발신하는 상기 비행 경로 승인 여부를 취합하여 비행 경로를 정정하여 최적 비행 경로를 자동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roller output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o approve a flight path for a drone near to the airspace signal transmitter to collect whether the drone is approved by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gravestones of the surrounding area. It is desirable to be a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tombstone, characterized in that to correct the flight path to automatically set the optimal flight path.

또한, 상기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는 재난 시에는 산간지의 재난 정보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드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gravestone is used as a node of a disaster information network system in a mountainous area during a disaster.

본 발명은 또한,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자동비행하는 드론에 있어서, 산간지에 분산된 제1항 또는 제2항의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들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모듈과; 상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비행 경로 승인 여부에 대한 신호를 취합하여 미리 설정된 목적지에 대한 최적 비행 경로를 설정하는 네비네이팅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인 경우에는 설정된 목적지로 비행하며,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이 아닌 경우에는 최근접 위치로 목적지를 갱신하여 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의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rone for automatic flight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comprising: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headstones of claim 1 or 2 distributed in a mountainous region; A navigating circuit unit which collects a signal regarding whether to approve a flight path collect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sets an optimal flight path for a preset destina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if the destination is a drone flight airspace flight to the set destination, if the destination is not a drone flight airspac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ombstone, characterized in that to update the flight to the nearest location to fly Another technical point is to use a drone to update the flight path us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또한, 상기 드론은 묘지에 사용하는 장비 운반용 드론으로서, 산간지의 묘비 위치 또는 그 인근지로 장비를 운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의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rone is a drone for carrying equipment used in a cemetery, which is a drone updating the flight path by us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gravest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porting equipment to or near the gravestone location in the mountainous region It is preferable.

또한, 상기 드론은 상기 목적지가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인 경우,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인 경우에는 설정된 목적지로 비행 후, 상지 목적지를 중심으로 소정 비행반경으로 일주 비행하면서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이 아닌 경우에는 비행 공역에서 목적지의 최근접 위치 주변으로 비행하면서 동영상을 촬영하여 목적지 주변 상태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의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destination is a drone airspace tombstone type transmission, when the destination is a drone flight airspace, after the flight to the set destination, and shoot a video while flying around a predetermined flight radius around the upper destination, If the destination is not a drone flight airspace, the flight route us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gravestone, characterized in that recording the video around the destination by recording a video while flying around the nearest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 the airspace It is preferable to become a drone to update.

또한, 상기 드론은 촬영 동영상을 드론 기지국에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의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rone is preferably a drone to update the flight path us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tomb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photographed video to the drone base station.

또한, 상기 드론은 상기 목적지가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인 경우,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인 경우에는 설정된 목적지로 비행 후, 상지 목적지를 중심으로 소정 비행반경으로 일주 비행하면서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이 아닌 경우에는 비행 공역에서 목적지의 최근접 위치 주변으로 비행하면서 동영상을 촬영하여 목적지 주변 상태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의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destination is a drone airspace tombstone type transmission, when the destination is a drone flight airspace, after the flight to the set destination, and shoot a video while flying around a predetermined flight radius around the upper destination, If the destination is not a drone flight airspace, the flight route us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gravestone, characterized in that recording the video around the destination by recording a video while flying around the nearest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 the airspace It is preferable to become a drone to update.

또한, 상기 드론은 촬영 동영상을 드론 기지국에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의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rone is preferably a drone to update the flight path us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tombst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transmission of the photographed video to the drone base station.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산간 오지에 널리 흩어져 설치된 묘지로 드론을 이용하여 벌초 장비를 운반하며, 비행 가능한 공역을 판단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하고,재난 시에 드론 네트워크 인프라로 활용할 수 있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와 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one airborne equipment is transported to a cemetery widely installed in remote areas of the mountains by using drones, judging flightable airspace, setting flight paths, and transmitting drone airspace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a drone network infrastructure during a disast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tombstone and a drone for updating the flight path using the same ar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에 포함된 회로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구성도
1 is a circuit diagram included in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tombstone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is an embodiment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technologie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will be.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The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에 포함된 회로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included in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tombst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와 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는 크게 위치기반센서(30); 제어부(10); 공역신호 발신부(20); 전원공급장치(40);로 구성되는 공역정보 발신 회로부가 설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 airspace information sending gravestone and a drone updating the flight path using the same,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sending gravestone is largely based on the location-based sensor (30); Control unit 10; An airspace signal transmitter 20; Power supply device 40; is provided with an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circuit portion configured.

본 발명은 산간 격오지에 흩어져 설치된 묘지의 묘비에 관한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mbstone in a graveyard scattered across mountainous remote areas.

본 발명의 묘비(1)에는 공역정보 발신 회로부가 설치되어져 인근으로 접근하는 드론에 공역 정보를 출력시킨다.The tombst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airspace information transmitting circuit unit to output airspace information to a drone approaching nearby.

상기 위치기반센서(30)는 상기 공역정보 발신 회로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GPS 신호를 수신받아 묘비(1) 위치를 인지하는 장치이다.The location-based sensor 30 is installed in th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circuit unit, and receives a GPS signal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gravestone (1).

상기 제어부(10)는 위치기반센서(30)로 묘비 위치를 인지하고, GPS 기반 비행 공역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제어신호로 출력시키는 회로부이다.The control unit 10 is a circuit unit for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gravestone by the position-based sensor 30,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it is a GPS-based flight airspace zone and outputs it as a control signal.

상기 제어부(10)의 드론 비행 공역 정보는 미리 입력한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연산하거나, 유에스비를 통한 정보입력, 휴대폰으로 중계되는 정보의 수신 등으로 지역의 비행 공역 정보를 갱신하여 연산할 수 있다.The drone flight airspace information of the control unit 10 may be calculated based on a previously input database, or may be calculated by updating the flight airspace information of the area by inputting information through a USB or receiving information relayed to a mobile phone.

상기 공역신호 발신부(20)는 일반적으로 안테나로서,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묘지 위치기반 정보로 연산된 드론 비행 공역 여부 신호을 발신하는 장치이다.The airspace signal transmitter 20 is an antenna, and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 drone flight airspace signal calculated by the cemetery location-bas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상기 공역신호 발신부(20)는 인근으로 접근하는 드론의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거나, 누구나 사용 가능한 정보가 되도록 항상 출력시킬 수 있다.The airspace signal transmitter 20 may be selectively outpu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drone approaching the neighborhood, or may be always output so that anyone can use the information.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40)는 태양광 패널 또는 내장전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는 공지 기술 영역에 속한다.The power supply device 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olar panel or a built-in battery, and as such belongs to a known art.

상기 공역신호 발신부(20)는 드론 제어 전용 주파수 현황에 따라 설정된다.The airspace signal transmitter 20 is set according to the drone control-only frequency status.

현재 국내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드론은 주로 공업, 과학,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비면허 ISM 대역인 2.4 GHz 또는 5.8 GHz 대역을 사용한다.Currently, most drones released in Korea use 2.4 GHz or 5.8 GHz band, which is an unlicensed ISM band mainly used for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purposes.

하지만 비 면허 ISM 대역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공역신호 발신부의 사용 주파수는 심각한 상호 전파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정부에서 정한 최대 허용 출력 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However, since the unlicensed ISM band can be used by anyone,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irspace signal transmitter must satisfy the maximum allowable power standard set by the government in order to prevent serious intercommunication interference.

현재 우리나라는 이 대역에서 출력이 10 mW로 제한되어 있어 드론을 활용하기에는 조종 거리가 짧은 문제가 있다. At present, the output of this band is limited to 10 mW, so there is a problem of short operating distance to use drones.

또한 해외에서 원격 데이터 측정용으로 사용하는 원격 측정 안테나의 경우 433 MHz 또는 900 MHz 대역을 사용하지만 국내에는 이동통신용 대역 등에 이미 할당되어있어 대역이 겹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telemetry antenna used for remote data measurement abroad uses the 433 MHz or 900 MHz ban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nd overlaps in Korea because it is already assign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nd.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미래창조과학부 국립전파연구원에서는 지난 2015년 12월 WRC-15에서 전 세계적으로 무인항공기 지상제어 전용으로 기 분배 되었던 5,030~5,091 MHz의 61MHz 대역을 국내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항공 업무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을 개정하였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e National Radio Research Institute of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decided to use the 61MHz band of 5,030 ~ 5,091 MHz, which was previously allocated worldwid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ground control at WRC-15 in December 2015. Amendment to the Technical Standards for Facilities.

따라서, 상기 공역신호 발신부(20)는 상기 드론 제어 전용 주파수 현황에 따라 5,030~5,091 MHz의 61MHz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space signal transmitter 20 uses a 61 MHz band of 5,030 to 5,091 MHz according to the drone control-only frequency status.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묘비(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간지에 드론과 통신이 가능한 노드(node)를 형성시킨다.The tombstone 1 including the circuit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ms a nod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drone in a mountainous region as shown in FIG. 2.

각 묘비(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파의 가시 거리(2)(LoS, Line of Sight)를 확보하고 있으므로, 여러 지역의 묘비(1)는 각종 센서 및 계측장비를 부착하여 센서네트워크를 구성하거나 무선통신망을 구축할 수 있다.As each tombstone 1 secures a line of sight (LoS) of radio waves as shown in FIG. 2, the tombstones 1 in various regions are attached to various sensors and measuring equipments to attach a sensor network. Can be configured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established.

본 발명의 제어부(10)는 상기 각 묘비(1)의 전파 가시거리 내로 근접하는 드론에 대해 비행 경로 승인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공역신호 발신부(2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utput a signal regarding whether to approve the flight path for the drones approaching the propagation line of sight of each tombstone 1 through the airspace signal transmitter 20.

이에 의하면, 드론(100)은 각 묘비(1)로 형성된 센서네트워크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최적 비행 경로를 연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drone 100 can calculate the optimal flight path by collecting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sensor network formed of each tombstone (1).

즉, 드론(100)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지의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1)들에서 발신하는 상기 비행 경로 승인 여부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를 취합하여 미리 설정된 비행 경로를 정정하여 최적 비행 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That is, the drone 100 may collect whether the flight path approval from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tombstones 1 of the surrounding area as shown in FIG. 3 and FIG. 4, and collects the predetermined flight paths. Can be updated to update the optimal flight path.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묘비(1)를 드론의 자율 비행 무선 노드(AFW, Autonomous Flight Wireless node)로 활용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mbstone 1 can be utilized as an autonomous flight wireless node (AFW) of a drone.

이에 의하면, 드론이 미리 설정된 비행경로로 자율 비행을 하며 자기의 비행경로를 피드백시키는 전송 가능한 무전국(wireless station)을 검색하는데, 본 발명의 묘비(1)가 상기 무선국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the drone performs autonomous flight on a preset flight path and searches for a transmittable wireless station that feeds back its flight path, and the tombst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radio sta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산간 오지에 드론과 정보 교환이 가능한 무선 노드가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간지에 정보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it becomes a wireless nod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drone in a mountainous area, an information network system can be constructed in a mountainous region as shown in FIG.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이용되는 드론은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자동비행하는 기본 장치가 구비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묘비(1)들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모듈(120)이 충분히 반영되어져야 한다.To this end, the dron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asic device for automatically flying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and as shown in FIG. 1,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dule 12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tombstone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fficient. Should be reflected.

상기 송수신 모듈(120)은 드론(100)에 기존 설치된 무선통신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상기 공역신호 발신부(20)와 동일하게 드론 제어 전용 주파수를 사용해야 하므로 5,030~5,091 MHz의 61MHz 대역의 주파수 모듈이 호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20 may us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stalled in the drone 100, but because the drone control dedicated frequency should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irspace signal transmitter 20, a frequency of 61 MHz band of 5,030 to 5,091 MHz is used. It is desirable for the modules to be compatible.

또한, 본 발명의 드론(100)은 상기 송수신 모듈(120)을 통해 수집되는 비행 경로 승인 여부에 대한 신호를 취합하여 미리 설정된 목적지에 대한 최적 비행 경로를 설정하는 네비네이팅 회로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r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navigating circuit unit 110 for setting the optimal flight path for a predetermined destination by collecting a signal for whether to accept the flight path collected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1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드론(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묘비(1)를 드론(100)의 자율 비행 무선 노드(AFW, Autonomous Flight Wireless node)로 활용하여 비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r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ly using the tombstone 1 as an autonomous flight wireless node (AFW) of the drone 100 as described above.

특히 본 발명의 묘비(1)는 비행 공역 정보를 발신하므로, 상기 드론(100)의 자율 비행 경로가 법에서 허용하는 공역으로만 형성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ombst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flight airspace information, so that the autonomous flight path of the drone 100 can be formed only by the airspace allowed by law.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간지에 비행금지구역이 있는 경우, 묘비(1)에서 발송하는 정보에 따라 비행금지구역을 회피하면서 원래의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if there is a no-fly zone in the mountainous land, the original destination can be found while avoiding the no-fly zon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nt from the gravestone 1.

예를 들어, 도 3과 함께 사용자가 산간지의 묘비 1e로 드론(100)을 비행시키는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For example, a case in which the user flies the drone 100 to the gravestone 1e of the mountainous region together with FIG. 3 will be described.

도 3에서 사용자는 산간지에서 차량으로 이동가는 한 영역까지 차량 이동한 후, 드론(100)을 묘비 1e 까지 비행시키면, 드론(100)은 각 묘비 1a, 1b, 1c, 1d의 네트워크 노드 정보를 수신하여 비행금지구역을 회피하면서 최적 비행경로를 연산하여 1e 위치로 비행하게 된다.In FIG. 3, when a user moves a vehicle to a region moving from a mountainous area to a vehicle, when the drone 100 flies to the tombstone 1e, the drone 100 receives network node information of each tombstone 1a, 1b, 1c, and 1d. By avoiding the flight prohibited area, the optimum flight path is calculated to fly to position 1e.

한편, 사용자가 비행금지구역 내에 있는 묘비 1g로 드론을 이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100)은 각 묘비 1a, 1b, 1c, 1d, 1f, 1g의 네트워크 노드 정보를 수신하여 비행금지구역을 회피하면서 묘비 1g에 가장 가까운 위치 A로 최적 비행경로를 연산하여 A 위치로 비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moves the drone to the gravestone 1g in the no-fly zone, as shown in Figure 4, the drone 100 receives the network node information of each gravestone 1a, 1b, 1c, 1d, 1f, 1g to fly While avoiding the forbidden area, the optimum flight path is calculated from the position A closest to the gravestone 1g, and the flight is made to position A.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론(100)은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인 경우에는 설정된 목적지로 비행하며,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이 아닌 경우에는 최근접 위치로 목적지를 갱신하여 비행하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100 flies to a set destination when the destination is a drone flight airspace, and updates and flies to the nearest location when the destination is not a drone flight airspace.

이와 같은 드론(100)의 비행 특징을 이용하면, 상기 드론(100)에 묘지에서 사용하는 예초기 등과 같은 장비를 실어 묘비(1) 위치 또는 그에 최근접하는 인근지로 장비를 운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Using the flying feature of such a drone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carried to the location near the gravestone (1) or the nearest to the equipment loaded on the drone 100, such as a lawn mower used in the cemetery.

또한, 재난 시에는 기존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하는 경우 산간지에서 정보를 즉시 전송하지 못하거나, 드론이 무전국을 찾을 수 없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묘비(1)를 재난 정보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드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실종자 및 부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in case of disaster, when using the existing network infrastructure, the mountainous land does not immediately transmit information, or drones cannot find the radio station,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mbstone 1 can be used as a node of the disaster information network system. And injuries can help find someone who needs help.

본 발명의 드론(100)은 이를 위하여 상기 목적지가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인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인 경우에는 설정된 목적지로 비행 후, 상지 목적지를 중심으로 소정 비행반경으로 일주 비행하면서 동영상을 촬영한다.The dr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destination is a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gravestone, as shown in Figure 2, when the destination is a drone flight airspace as shown in FIG. Shoot a video while flying round the flight radius.

이 경우,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에 속하더라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비행반경으로 일주 비행하면, 비행 금지 구역에 침입할 염려가 있는 묘비(1)도 있을 수 있으므로, 이런 염려가 있는 묘비(1)에는 비행 금지 구역을 침해하지 않는 비행반경에 대한 정보값도 저장하여 드론(100)이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한다.In this case, even if the destination belongs to the drone flight airspace, as shown in FIG. 2, when flying round at a predetermined flight radius, there may be a tombstone 1 that may invade the no-fly zone. (1) also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flight radius that does not infringe on the no-fly zone so that the drone 100 can utilize it.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이 아닌 경우에는 비행 공역에서 목적지의 최근접 위치 주변으로 비행하면서 동영상을 촬영하여 목적지 주변 상태를 기록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destination is not a drone flight airspace, a video is recorded while flying around the nearest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n the airspace to record a state around the destination.

상기 촬영 동영상을 드론이 출발지로 돌아오면 재생하여 확인할 수도 있으나,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출발지의 임시 기지국에 무선 전송하여 시청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lthough the photographed video may be reproduced and checked when the drone returns to the starting point, it is desirable to enable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temporary base station of the starting point for viewing.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드론(100)이 설정된 목적지로 비행금지 구역을 회피하면서 빠르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태풍이나 홍수 후 묘지의 안전 상태 또는 위해조수에 의한 묘지의 파손 산태의 확인이 쉬운 이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one 100 can be quickly approached to the set destination while avoiding the flight prohibited area, it is easy to check the safety status of the cemetery after the typhoon or flood or the damage of the cemetery by the tide.

또한, 험준한 산악에서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사고 위치로 QK르게 접근하고 구호 용품을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safety accident occurs in the rugged mountai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QK can quickly approach the accident location and deliver relief supplies.

안전 사고나 재난 발생의 경우, 상기 드론에는 비행 금지 구역의 비행 제한 기능을 off 시켜 급박한 구호에 전담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event of a safety accident or disaster, the drone can be deemed to be dedicated to urgent relief by turning off the flight restriction function of the no-fly zone.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기존의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하는 경우 산간지에서 정보를 즉시 전송하지 못하거나, 드론이 무전국을 찾을 수 없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묘비(1)를 재난 정보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드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실종자 및 부상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When the existing network infrastructure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mmediately transmit information from the mountainous land or the drone cannot find the radio station,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mbstone 1 can be used as a node of the disaster information network system. And injuries can help find someone who needs help.

이에 의하면, 기존의 네트워크망은 기지국을 건설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었고 장애물로 인한 통신장애 이슈가 있거나 고가의 통신위성을 사용해야 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하여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the existing network was expensive to construct and manage the base station and there was a problem of communication failure due to obstacles or expensive communication satellites, b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various forms of combinations are possible to realiz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is invention is to the extent possible.

1 : 묘비
2 : 전파의 가시 거리
10 : 제어부
20 : 공역신호 발신부
30 : 위치기반센서
40 : 전원공급장치
100 : 드론
110 : 네비네이팅 회로부
120 : 송수신 모듈
1: tombstone
2: visible distance of radio waves
10: control unit
20: airspace signal transmitter
30: location based sensor
40: power supply
100: drone
110: navigating circuit
120: transceiver module

Claims (7)

야외에 설치된 묘비에 있어서
GPS 신호를 수신받는 위치기반센서;
상기 위치기반센서로 부터 드론 비행 공역 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묘지 위치기반 정보로 연산된 드론 비행 공역 여부 신호을 발신하는 공역신호 발신부;
태양광 패널 또는 내장전지로 구성되는 전원공급장치;로 구성되는
공역정보 발신 회로부가 설치되어 산간 오지의 드론 비행 공역 정보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
In a tombstone installed outdoors
A location-based sensor receiving a GPS signal;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drone flight airspace information from the position-based sensor;
An airspace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drone flight airspace signal calculated based on the cemetery location-based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controller;
Power supply device consisting of a solar panel or a built-in battery;
A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tombstone characterized by having an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circuit unit installed to output drone flight airspace information in a mountainous outba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근으로 근접하는 드론에 대해 비행 경로 승인 여부에 대한 신호를 상기 공역신호 발신부를 통해 출력하여
상기 드론이 주변지의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 들에서 발신하는 상기 비행 경로 승인 여부를 취합하여 비행 경로를 정정하여 최적 비행 경로를 자동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By outputting the signal whether the flight path is approved for the drone near to the airspace signal transmitter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sending gravestone, characterized in that to collect the flight path approval from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sending gravestones of the surrounding area to correct the flight path to automatically set the optimal flight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는
재난 시에는 산간지의 재난 정보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드로 활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sending gravestone
In the event of a disaster, drone airspace information tombstones are used as nodes of mountainous disaster information network systems.
미리 설정된 목적지로 자동비행하는 드론에 있어서,
산간지에 분산된 제1항 또는 제2항의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들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모듈과;
상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비행 경로 승인 여부에 대한 신호를 취합하여 미리 설정된 목적지에 대한 최적 비행 경로를 설정하는 네비네이팅 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인 경우에는 설정된 목적지로 비행하며,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이 아닌 경우에는 최근접 위치로 목적지를 갱신하여 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의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
In drones that automatically fly to preset destinations,
A transceiving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tting tombstones of claim 1 or 2 distributed in a mountainous region;
A navigating circuit unit which collects a signal regarding whether to approve a flight path collected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nd sets an optimal flight path for a preset destination;
Consists of including
If the destination is a drone flight airspace to fly to the set destination,
If the destination is not a drone flight airspace drone for updating the flight path us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ssion gravest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updating the destination to the nearest location fligh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묘지에 사용하는 장비 운반용 드론으로서,
산간지의 묘비 위치 또는 그 인근지로 장비를 운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의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rone is
As a drone for carrying equipment for graveyards,
A drone updating a flight path using output information of a drone airspace information transmitting gravestone, characterized by carrying equipment to or near a gravestone location in a mountainous reg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상기 목적지가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인 경우,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인 경우에는 설정된 목적지로 비행 후, 상지 목적지를 중심으로 소정 비행반경으로 일주 비행하면서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상기 목적지가 드론 비행 공역이 아닌 경우에는 비행 공역에서 목적지의 최근접 위치 주변으로 비행하면서 동영상을 촬영하여
목적지 주변 상태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의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rone is
If the destination is a drone airspace information tombstone,
If the destination is a drone flight airspace, after flying to the set destination, take a video while flying around a predetermined flight radius around the upper destination, or
If the destination is not a drone airspace, a video is taken while flying near the nearest location of the destination.
A drone updating a flight path using output information of a drone airspace information tombstone, characterized by recording a state around a destin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촬영 동영상을 드론 기지국에 무선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 공역정보 발신형 묘비의 출력 정보를 이용하여 비행경로를 갱신하는 드론.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rone is
A drone that updates flight routes using output information of a drone airspace information tombstone, which wirelessly transmits a photographing video to a drone base station.
KR1020180085654A 2018-07-23 2018-07-23 Available airspace information station type tombstone KR1021374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654A KR102137409B1 (en) 2018-07-23 2018-07-23 Available airspace information station type tombst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654A KR102137409B1 (en) 2018-07-23 2018-07-23 Available airspace information station type tombst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957A true KR20200010957A (en) 2020-01-31
KR102137409B1 KR102137409B1 (en) 2020-07-24

Family

ID=6936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654A KR102137409B1 (en) 2018-07-23 2018-07-23 Available airspace information station type tombst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40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143A (en) * 2011-07-05 2013-01-15 (주)삼영네트웍스 Environment and disaster monitoring apparatus using solar communication network
JP2014183690A (en) 2013-03-21 2014-09-29 Sumitomo Wiring Syst Ltd Wire harness protector and wire harness with protector
KR101668416B1 (en) * 2015-05-14 2016-10-2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controlling flight of aerial vehicl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node equipment
KR101753533B1 (en) * 2016-08-12 2017-07-05 주식회사 포드림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Flight and Camera Control device
KR20170137040A (en) * 2014-12-31 2017-12-12 에어맵, 인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flight paths
KR101819566B1 (en) * 2017-10-12 2018-01-18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mapping underground facilities based on GP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143A (en) * 2011-07-05 2013-01-15 (주)삼영네트웍스 Environment and disaster monitoring apparatus using solar communication network
JP2014183690A (en) 2013-03-21 2014-09-29 Sumitomo Wiring Syst Ltd Wire harness protector and wire harness with protector
KR20170137040A (en) * 2014-12-31 2017-12-12 에어맵, 인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nomous flight paths
KR101668416B1 (en) * 2015-05-14 2016-10-2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controlling flight of aerial vehicl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node equipment
KR101753533B1 (en) * 2016-08-12 2017-07-05 주식회사 포드림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Flight and Camera Control device
KR101819566B1 (en) * 2017-10-12 2018-01-18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Geodetic surveying system for mapping underground facilities based on G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409B1 (en)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5212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s
US11747829B2 (en) Rotorcraft landing device
US10623086B2 (en) Dynamic shielding system of cellular signals for an antenna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04972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rone access
US11132907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gathering information
Tanzi et al. Towards" drone-borne" disaster management: future application scenarios
US6904280B2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mobile coverage area
US201602252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ricting Drone Airspace Access
AU2015290107A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mmunication, monitoring, and traffic management
US20170127245A1 (en) 4G Drone Link
CN106054928A (en) All-region fire generation determination method based on unmanned plane network
KR102118347B1 (en) System for implementing autonomic fly and Monitoring Danger Area through Thermal Image Data Shooted by Drone
CA3032295A1 (en) Method for searching for optimal route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server and system for searching for optimal route
KR20220094242A (en) Disaster monitoring system of steep slope land by using DR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RU181691U1 (en) UNMANNED AIRCRAFT FOR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KR102137409B1 (en) Available airspace information station type tombstone
CN105871449A (en) Satellite communication robot
WO2017178687A1 (en) Device for the detection and intercep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s (drones)
Guenzi et al. Open source, low-cost and modular fixed-wing UAV with BVLOS flight capabilities for geohazards monitoring and surveying
KR102633571B1 (en) A drone system to search and locate missing persons using mobile signals
CN106155089A (en) A kind of unmanned aerial vehicle ground control system based o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RU2258618C1 (en) System for searching and intercepting high-jacked vehicles
EP3391676B1 (en) System for remotely locating animals
KR102636915B1 (en) Autonomous flight vehicle and its operating system
KR20180105511A (en) A system for managing position of moving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