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718A -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718A
KR20200010718A KR1020180085110A KR20180085110A KR20200010718A KR 20200010718 A KR20200010718 A KR 20200010718A KR 1020180085110 A KR1020180085110 A KR 1020180085110A KR 20180085110 A KR20180085110 A KR 20180085110A KR 20200010718 A KR20200010718 A KR 20200010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sealing pad
fastening
fix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수
김성룡
김영국
박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8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0718A/ko
Publication of KR20200010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6Devices for removing snow or ice from lines or cabl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는: 전력선의 외측면을 감싸는 실링패드부; 실링패드부를 감싸고, 전력선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부; 및 발열부를 감싸고, 실링패드부와 발열부를 전력선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ICE AND SNOW COATING PREVENTING APPARATUS FOR POWER LINE}
본 발명은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선에 얼음이나 눈이 착빙(着氷) 또는 착설(着雪)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 등의 기후 변화로 인해, 북극지역의 얼음이 녹으면서 다량의 구름이 발생하여 시베리아 등 북반구 지역의 적설량이 증가하고, 증가된 눈과 구름의 영향에 따른 지표온도변화로 찬 공기가 남하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고위도 북반구 지역에 폭설이 빈번하게 발생되게 있다.
그로 인해, 송배전선로에 착빙 또는 착설 현상이 동절기동안 상존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어 있다.
송배전선로에 흡착된 얼음과 눈은 철탑이나 전신주 지지물의 손상과 애자 및 전선 등의 금속물질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특히, 송·배전선에 착설 또는 착빙의 경우에는 절연내력이 저하되는 등의 전기적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기후변화에 따른 폭설 취약성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강원권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지만 미래에는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을 연결하는 축으로 취약 지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산악지의 송배전선로에 눈이 얼어붙은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각각 여러가지 크기의 진동 현상 또는 갤로핑 현상(Galloping)을 일으켜 상간 섬락사고의 개연성 큼 전선에 착빙·설이 발생하면 전선의 인장력이 증대되고, 하중 증가에 의한 느슨해짐이 증가되어 상간 섬락이나 지락사고를 일으키기도 하며, 전선 외경이 가는 경우에는 단선이나 철탑붕괴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착빙·설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서는 전선 도약(Sleet Jump)에 의한 지락사고의 개연성이 아주 높아 초대형 정전사고가 우려된다.
기상악화나 적설량이 많은 경우에 고장 복구작업이 수월하지 않아서, 빙설해 관련 재해가 발생하면 초대형사고로 이어질 개연성이 아주 높다. 또한 빙설해에 의한 전력설비의 고장 및 선하지 낙빙 또는 낙수에 의한 민가 피해가 지속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49976호(2015.05.08 공개, 발명의 명칭: 착빙설 방지 코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선에 얼음이나 눈이 착빙 또는 착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는: 전력선의 외측면을 감싸는 실링패드부; 상기 실링패드부를 감싸고, 상기 전력선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를 감싸고, 상기 실링패드부와 상기 발열부를 상기 전력선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실링패드부의 외측면을 감싸고, 반고리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발열몸체부; 및 상기 발열몸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장착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열몸체부와 상기 안착홈부는 자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링패드부는, 상기 전력선의 외측면을 감싸고, 반고리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실링패드몸체부; 및 상기 실링패드몸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발열몸체부를 수용하는 고정안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안착부는 상기 실링패드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링패드몸체부와 상기 고정안착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열부를 감싸고, 일측이 개구되는 환형의 고정몸체부; 및 상기 고정몸체부에 장착되고, 개구된 상기 고정몸체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몸체부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고정몸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체결몸체부; 상기 체결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갈고리부; 및 상기 체결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삽입부에는 삽입된 상기 갈고리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몸체부의 내측면에는 설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텐션작용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안착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에 의하면, 전력선에 착빙 또는 착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선의 빙설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선에 착빙 또는 착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선에 갤로핑 또는 전선 도약 등의 사고로 인한 설비 고장 및 정전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선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복구 비용 및 발전 제약 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가 전력선에 장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서 체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1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서 체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2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서 체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3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가 전력선에 장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서 체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1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서 체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2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에서 체결부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3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10)는 실링패드부(100), 발열부(200),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실링패드부(100)는 전력선(20)의 외측면을 감싸는 것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링패드부(100)는 실링패드몸체부(110)와, 고정안착부(130)를 포함한다.
실링패드몸체부(110)는 전력선(20)의 외측면을 감싸고, 반고리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반고리형의 실링패드몸체부(110)가 한 쌍으로 이루어, 전력선(20)을 원 형상으로 감싼다. 원형을 이루는 실링패드몸체부(110)의 내경은 전력선(20)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
고정안착부(130)는 실링패드몸체부(110)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발열부(200)의 발열몸체부(210)를 수용한다. 고정안착부(130)는 실링패드몸체부(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된다. 고정안착부(130)는 실링패드몸체부(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배치되어, 바람 등에 의해 실링패드부(100)가 편측으로 흔들리지 않는다. 고정안착부(130)는 발명몸체부(21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고정안착부(130)에 발열부(200)의 발열몸체부(210)가 수용되어, 발열부(200)가 고정부(3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안착부(130)에는 고정부수용홈부(135)가 형성된다. 고정부수용홈부(135)는 고정부(300)가 장착되게 하여, 고정부(300)가 실링패드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실링패드몸체부(110)와 고정안착부(1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실링패드몸체부(110)와 고정안착부(1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전력선(20)에서 착빙 또는 착설의 발달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링패드몸체부(110)와 고정안착부(130)를 포함하는 실링패드부(100)는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고, 유연하며 넓은 온도 범위에서 탄성적이어서, 기계적, 화학적 반응에 우수한 성질을 가지는 도전성 실리콘 고무화합물(Heated Cure Rubber, HC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링패드부(100)는 도전성 실리콘 고무화합물을 포함하는 물질을 사출 성형하여 생산될 수 있다.
발열부(200)는 실링패드부(100)를 감싸고, 전력선(20)에 열을 제공한다. 발열부(200)에서 전력선(20)에 열을 제공하여 전력선(20)에 착빙 또는 착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열부(200)는 발열몸체부(210)와, 안착홈부(230)를 포함한다. 발열몸체부(210)는 실링패드부(100)의 외측면을 감싸고, 반고리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반고리형의 발열몸체부(210)가 한 쌍으로 이루어, 실링패드부(100)의 실링패드몸체부(110)를 원 형상으로 감싼다. 원형을 이루는 발열몸체부(210)의 내경은 실링패드몸체부(110)의 외경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된다.
발열몸체부(210)는 고정안착부(130)에 삽입되어, 발열부(200)가 실링패드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안착홈부(230)는 발열몸체부(21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고정부(3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안착홈부(230)는 발열몸체부(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부(30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발열몸체부(210)와 안착홈부(230)는 자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발열몸체부(210)와 안착홈부(230)는 자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열몸체부(210)와 안착홈부(230)를 포함하는 발열부(200)는 자성을 가지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자기장을 이용한 큐리(Curie) 온도 변화에 따른 열이 발생되어 전력선(20)에 열을 제공한다. 발열부(200)는 열 및 전기 전도성을 구비한 실링패드부(100)를 통해 전력선(20)에 열이 제공된다.
발열부(200)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져, 전력선(20)을 감싸게 배치되어, 자장으로 인한 철 손실이 발생되고, 내부의 전도력으로 인하여 열발생(Conductive Heat)으로 전력선(20)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발열부(200)는 낮는 큐리 온도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져, 영하(0℃ 이하) 온도 시, 자성의 변화는 없으며, 상온(57℃ 기준)이상 일 때에는 발열부(200)에 변화가 생기고 자계의 급속한 저하로 인해 자화력이 발생되지 않아 이로 인한 발열 현상도 저하되므로, 전력선(20)의 과열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열부(200)는 낮은 자기장에서도 상온 10℃의 발열을 낼 수 있는 합금계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이 알루미늄 합금에 Si, Fe, Cu, Mn 등의 함유하여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전력선(20)의 착빙 또는 착설을 융해시켜 착빙 또는 착설의 발생을 사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발열부(200)는 저온 시 발열 효과를 우수하게 하기 위해, 결정 방위를 무방향으로 정의하고, 고온 시 발열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합금 금속체로 이루어진다.
반고리형의 한 쌍의 발열몸체부(210)는 자성의 변화가 없도록 진원 형태를 유지하여 밀착 고정되게 이루어진다.
고정부(300)는 발열부(200)를 감싸고, 실링패드부(100)와 발열부(200)를 전력선(20)에 고정한다. 고정부(300)는 고정몸체부(310)와, 체결부(330)를 포함한다.
고정몸체부(310)는 발열부(200)의 발열몸체부(210)를 감싸고, 일측(도 5 기준 우측)이 개구되는 환형으로 이루어진다. 체결부(330)는 고정몸체부(310)에 장착되고, 개구된 고정몸체부(310)의 일측을 체결한다.
고정몸체부(310)의 일측(도 5 기준 우측)에는 체결부(330)의 삽입부(335)를 수용하는 잠금부(311)가 형성된다. 잠금부(311)는 일측(도 6 기준 하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갈고리부(333)와 삽입부(335)가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고정몸체부(310)의 내측면에는 설정 간격으로 복수 개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텐션작용홈부(313)가 형성된다. 텐션작용홈부(313)는 고정몸체부(3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텐션작용홈부(313)가 형성되어, 환형의 고정몸체부(310)에 장력을 제공한다.
고정몸체부(310)의 외측면에는 설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돌출되는 고정돌기부(315)가 형성된다. 고정돌기부(315) 사이에 고정안착부(130)가 배치되어, 실링패드부(100)의 고정안착부(130)의 위치가 고정된다. 고정돌기부(315)와 가까운 인접한 고정돌기부(315) 사이의 폭은 고정안착부(130)의 폭에 대응된다.
체결부(330)는 체결몸체부(331), 갈고리부(333), 삽입부(335)를 포함한다. 체결몸체부(331), 갈고리부(333), 삽입부(335)를 포함하는 체결부(330)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체결몸체부(331)는 고정몸체부(31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고, 고정몸체부(3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체결몸체부(331)는 고정몸체부(310)의 형상에 대응되게 일측(도 6 기준 우측)이 개구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갈고리부(333)는 체결몸체부(331)의 일단(도 5 기준 하단)에 형성된다. 갈고리부(333)는 "ㅅ"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부(335)는 체결몸체부(331)의 타단(도 5 기준 상단)에 형성되고, 갈고리부(333)가 삽입되는 삽입부(335)를 포함한다. 삽입부(335)는 체결몸체부(331)에 갈고리부(333)가 삽입될 수 있게 개구된 "ㅁ"자 또는 "ㅇ"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삽입부(335)에는 삽입부(335)에 삽입된 갈고리부(333)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부(336)가 형성된다. 스톱퍼부(336)는 삽입부(335)의 단부(도 6 기준 우측단부)에 기립 형성되어, 삽입부(335)가 스톱퍼부(336)에 의해 우측으로 팽창이 차단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 갈고리부(333)가 삽입부(335)에 삽입 체결되므로, 원터치 방식에 의해 고정부(300)의 체결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1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실링패드부(100)의 실링패드몸체부(110)가 전력선(20)의 외측면을 감싼다. 발열부(200)가 실링패드부(100)의 고정안착부(130)에 삽입되고, 실링패드몸체부(110)의 외측면을 감싼다.
환형의 고정부(300)의 고정몸체부(310)가 고정부수용홈부(135)에 수용되게 삽입된다. 이때, 고정돌기부(315) 사이에 고정안착부(130)가 위치되게 한다. 고정부(300)의 체결부(330)의 작동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고정부(300)의 체결부(33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6은 갈고기룹(333)와 삽입부(335)의 체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갈고리부(333)가 삽입부(335)에 삽입되기 전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갈고리부(333)가 삽입부(335)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갈고리부(333)가 스톱퍼부(336)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갈고리부(333)가 개구된 고정몸체부(310)의 잠금부(311)를 항하게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갈고리부(333)가 삽입부(335)에 삽입된다. 이때 "ㅅ"자 형상의 갈고리부(333) 접혀서 삽입부(335)에 삽입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접혀진 갈고리부(333)가 삽입부(335)에 삽입된 상태에서 팽창된다. 팽창된 갈고리부(333)는 스톱퍼부(336)에 의해 팽창이 제한되어, 삽입부(335)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10)에 의하면, 전력선(20)에 착빙 또는 착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선(20)의 빙설해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선(20)에 착빙 또는 착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력선(20)에 갤로핑 또는 전선 도약 등의 사고로 인한 설비 고장 및 정전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선(20)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복구 비용 및 발전 제약 비용이 절감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20: 전력선
100: 실링패드부 110: 실링패드몸체부
130: 고정안착부 135: 고정부수용홈부
200: 발열부 210: 발열몸체부
230: 안착홈부 300: 고정부
310: 고정몸체부 311: 잠금부
313: 텐션작용홈부 315: 고정돌기부
330: 체결부 331: 체결몸체부
333: 갈고리부 335: 삽입부
336: 스톱퍼부

Claims (11)

  1. 전력선의 외측면을 감싸는 실링패드부;
    상기 실링패드부를 감싸고, 상기 전력선에 열을 제공하는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를 감싸고, 상기 실링패드부와 상기 발열부를 상기 전력선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실링패드부의 외측면을 감싸고, 반고리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발열몸체부; 및
    상기 발열몸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가 장착되는 안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몸체부와 상기 안착홈부는 자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패드부는,
    상기 전력선의 외측면을 감싸고, 반고리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실링패드몸체부; 및
    상기 실링패드몸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발열몸체부를 수용하는 고정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안착부는 상기 실링패드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패드몸체부와 상기 고정안착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열부를 감싸고, 일측이 개구되는 환형의 고정몸체부; 및
    상기 고정몸체부에 장착되고, 개구된 상기 고정몸체부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몸체부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고정몸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체결몸체부;
    상기 체결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갈고리부; 및
    상기 체결몸체부의 타단에 형성되고, 상기 갈고리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삽입된 상기 갈고리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톱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몸체부의 내측면에는 설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텐션작용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고정안착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KR1020180085110A 2018-07-23 2018-07-23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KR20200010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110A KR20200010718A (ko) 2018-07-23 2018-07-23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110A KR20200010718A (ko) 2018-07-23 2018-07-23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718A true KR20200010718A (ko) 2020-01-31

Family

ID=6936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110A KR20200010718A (ko) 2018-07-23 2018-07-23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07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567A (ko) 2020-12-14 2023-08-17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흡인 장치,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567A (ko) 2020-12-14 2023-08-17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흡인 장치, 단말 장치,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6259C (en) Portable self powered line mountable device for measuring and transmitting the undisturbed conductor temperature of electric power line conductors
US2785319A (en) Direct burial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and components
JP4823416B2 (ja) 電力線用放電保護被覆体
KR20200010718A (ko) 전력선용 착빙설 방지 장치
KR101408050B1 (ko) 송배전용 해저전력케이블 계장플랜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32073A (ko) 난착빙설 방지장치
BR112021004388A2 (pt) sistema de conexão de condutor para-raios, sistema de proteção contra relâmpagos de turbina eólica e método para dispor um sistema de conexão de condutor para-raios
KR100823955B1 (ko) 내뢰혼 삽입내장형 폴리머 라인포스트 애자
EP2973617B1 (en) High voltage bushing for cryogenics applications
KR20180115104A (ko) 친환경 실리콘을 이용한 조류사고 및 지락방지용 컷 아웃 스위치
US20110253421A1 (en) Yoke and insulating assembly
CN205355272U (zh) 穿刺接地线夹
JP2007282428A (ja) 架空絶縁電線の引留構造
KR100954064B1 (ko) 지중 변압기 케이스
JP2010016237A (ja) 避雷装置
KR101003633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CN205487399U (zh) 一种交联聚乙烯绝缘电缆
CN111244649A (zh) 一种绝缘端子及其高压开关
CN216623862U (zh) 一种安全性能高的交联电线电缆
KR101478991B1 (ko) 방열 기능을 강화한 진공차단기 터미널 도체
JP2016208807A (ja) 計装フランジ組立体及び計装フランジ組立体の施工方法
US2320155A (en) Electrical connection
KR102629209B1 (ko) 극지 운항 선박의 윈도우 프레임 결빙 방지 장치
KR102365356B1 (ko) 절연 부싱
KR102195383B1 (ko) 송전선로의 빙설 제거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