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154A -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154A
KR20200010154A KR1020190171588A KR20190171588A KR20200010154A KR 20200010154 A KR20200010154 A KR 20200010154A KR 1020190171588 A KR1020190171588 A KR 1020190171588A KR 20190171588 A KR20190171588 A KR 20190171588A KR 20200010154 A KR20200010154 A KR 20200010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vestment
investment portfolio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0451B1 (ko
Inventor
이홍주
Original Assignee
프로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로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1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의해 연동된 플랫폼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및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며,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사용자 편의성 및 접근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VESTMENT USING SOCIAL KNOWLEDGE SHARE}
본 발명은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의해 연동된 플랫폼을 통해 투자자들이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투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융 투자에 있어서 정보의 획득은 중요하다. 주식, 채권, 예금, 외환, 보험 등 어떤 금융상품에 투자할 것인가, 어떤 상품이 가장 큰 수익률을 창출할 것이며 어떤 잠재적인 위험이 있을 것인가 등에 대한 예측은 투자자들에게 가장 큰 관심거리이다. 그러나, 금융업에 종사하지 않는 일반 투자자들이 금융 투자를 하기 위해 접근할 수 있는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들은 관련 뉴스 또는 신문기사를 보며 동향을 파악하거나, 지인을 통하여 투자 정보를 듣기도 한다. 또한 온라인 상에서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커뮤니티나 게시판을 통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그러나, 지인을 통한 정보는 그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런 정보를 기초로 투자를 진행하는 경우 투자 손실을 보는 경우가 빈번하다. 또한 뉴스, 신문기사, 인터넷 등에서 얻는 정보는 그 양이 방대하고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촌각을 다투는 투자환경 속에서 일반 투자자들이 제한된 시간 내에 정보의 질을 판별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려내기에는 시간적 여유와 경험이 부족하다.
반면, 기관투자자들의 경우 애널리스트, 이코노미스트와 같은 전문가의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받아 투자 의사를 결정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일반 투자자들의 경우 시간적 또는 금전적인 문제로 인하여 전문적인 서비스에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고급 정보는 소수의 개인 투자자들과 금융업에 종사하는 일부 사람들에게 편중되어 있다.
또한 일반 투자자들이 고군분투 끝에 자신만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후에도, 기대 수익률에 대한 향후 전망, 추가 매수 및 매도 시기 등에 대한 예측 등 투자와 관련된 예측 및 의사 결정사항들은 계속해서 발생하나, 이를 지속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투자 환경이 현재로서는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또한, 다른 투자자의 투자 포트폴리오와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비교하고 객관적인 분석 및 정확한 피드백을 통하여 개인 투자 패턴의 발전 및 성장을 꾀할 수 있는 환경이 부재하다.
이렇게 일반적인 투자자에게 불리하고 열악한 투자 환경 속에서, 값비싼 대가를 치르고 전문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금융업에 종사하지 않더라도 고급 투자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고, 다른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바람직한 투자 의사 결정을 하며, 나아가 타인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벤치마킹 하여 자신의 포트폴리오로 소유할 수 있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관련기술문헌]
기대수익률과 예상리스크 금융 정보 서비스 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2568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SNS와 연동되는 플랫폼을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공유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양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에 기초하여 새로운 투자 포트폴리오를 제시하고, 나아가 사용자가 매수, 매도, 복제를 진행하거나 시스템상에서 대신 진행할 수 있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의해 연동된 플랫폼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및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은 복수의 각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구성 종목 정보, 구성 종목에 투자한 비율에 대한 정보, 수익률에 대한 정보, 위험도에 대한 정보,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를 최초 생성한 사용자를 팔로우 한 사용자의 수 및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한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투자포트폴리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의 수익률,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업로드 한 복수의 사용자를 팔로우 한 사용자 수, 또는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선택한 수를 기초하여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각각의 정보는 구성 종목의 투자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각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 중에서 구성 종목에 대한 투자금에 대한 정보를 제외한 다른 정보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성 종목에 대한 정보 및 구성 종목에 투자한 비율에 대한 정보는 생성된 뒤 수정되거나 삭제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계좌의 현금 중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현금 비율을 수신하는 단계와, 현금 비율 및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종목의 비율에 대한 조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상의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에 기초하여 구성 종목에 대한 매수를 제1 사용자 단말 대신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성별, 나이, 출신학교, 전공, 직업, 관심분야 및 투자성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은 사용자 정보 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기초하여 추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또는 이미 생성된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의 비율의 추천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수집부,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공부,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부 및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및 복수의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구성 종목에 대한 정보, 구성 종목에 투자한 비율에 대한 정보, 수익률에 대한 정보, 위험도에 대한 정보,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를 최초 생성한 사용자를 팔로우한 사용자의 수 및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한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구성 종목의 투자금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공부는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구성하는 종목의 투자금에 대한 정보를 제외한 다른 정보만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생성부에서는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선택하고 사용자 계좌의 현금 중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가 적용될 현금 비율을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현금 비율 및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SNS와 연동된 플랫폼을 사용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투자 포트폴리오의 백과사전과 같은 역할을 하며, 사용자 편의성 및 접근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임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와 동일 또는 유사한 투자 포트폴리오에 맞게 사용자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투자자들의 건전한 투자활동을 지원하며 개인 투자자의 성장을 통하여 전반적인 투자 환경의 수준을 고양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기본화면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신에 대한 정보 표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투자 정보, 연구 결과, 투자 시장 및 투자 포트폴리오를 검색 및 저장할 수 있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투자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검색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하여 이를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하는 절차를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표시내용을 통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
구성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로부터 사용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다른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집 및 전달하기 위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과 통신하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수신, 저장 및 전송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과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거나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은 사용자들이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에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업데이트, 검색, 복사,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단말기이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은 다양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은 데스크탑, 랩탑,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에 의해 제공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의 구체적인 서비스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 내지 도 6b를 함께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기본화면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중 하나의 단말인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기본화면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기본화면구성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기본화면구성은 메뉴 선택 화면 (310) 및 정보 표시 화면 (320) 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뉴 선택 화면 (310) 은 사용자가 여러 가지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예를 들면, 현상태, 내정보, 네트워크, 검색, 설정 등의 메뉴들이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 표시 화면 (320) 은 메뉴 선택 화면 (310) 의 아이콘을 선택했을 경우의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다.
메뉴 선택 화면 (310) 은 “현상태(Current Feed)” 아이콘 (310a), “내정보(MY)” 아이콘 (310b), “네트워크(Network)” 아이콘 (310c), “검색(Explore)” 아이콘 (310d), 및 “설정(Setting)” 아이콘 (310e) 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메뉴 선택 화면 (310) 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메뉴 선택 화면 (310) 의 “현상태(Current Feed)” 아이콘 (310a) 이 선택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현상태(Current Feed)” 아이콘 (310a) 을 제외한 다른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의 화면 구성은 도 3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현상태(Current Feed)” 아이콘 (310a) 은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들이 업데이트한 투자 정보 (320a) 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상태(Current Feed)” 아이콘 (310a) 이 선택된 경우, 정보 표시 화면 (320) 에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로부터 업데이트된 실시간 투자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업데이트된 투자 정보 (320a) 에는 사용자의 이름 및 사진, 업데이트한 날짜 및 시간, 간단한 투자 정보 내용 소개, 투자 관련 차트나 그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업데이트된 투자 정보 (320a) 에 대해 공감 (Like)/ 추천 (Recommend) 을 표현하거나 해당 정보를 공유 (Share)한 사용자의 수 또한 업데이트된 투자 정보 (320a) 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사용자는 업데이트된 투자 정보 (320a) 에서 투자 정보를 추가 업데이트 한 사용자를 팔로우 (Follow), 추천, 좋아요 (Like)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자신에 대한 정보 표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는 메뉴 선택 화면 (310) 의 “내정보(MY)” 아이콘 (310b) 이 선택된 경우가 도시되었다.
“내정보(MY)” 아이콘 (310b) 은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정보(MY)” 아이콘 (310b) 이 선택된 경우, 정보 표시 화면 (320) 에 사용자의 프로필 (400) , 팔로우 관련 내용 (410) , 사용자의 투자 정보 메뉴 (420) 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프로필 (400) 에는 사용자의 이름, 사진, 시스템에 가입한 날짜가 표시될 수 있다. 팔로우 관련 내용 (410) 에는 사용자를 팔로우한 다른 사용자의 수, 사용자가 팔로우하고 있는 사용자의 수, 다른 사용자가 조언한 수 등과 같은 팔로우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의 투자 정보 메뉴 (420) 에는 자산 아이콘 (420a), 주식 아이콘 (420b), 수익률 아이콘 (420c) 이 표시될 수 있으며, 각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대응되는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산 아이콘 (420a) 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는 자산 총 금액, 투자하고 있는 종목 및 각 종목에 투자한 자산의 액수에 관한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자산 정보 및 투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주식 아이콘 (420b) 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투자한 주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주가의 변동 및 수익률 등과 같은 주식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익률 아이콘 (420c) 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는 각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익률과 투자 포트폴리오 전체 수익률 등과 같은 수익률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앞서 설명한 정보 표시 화면 (320) 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이고, “내정보(MY)” 아이콘 (310b) 이 선택된 경우의 화면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화면의 아이콘을 선택했을 경우의 제공되는 정보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투자 정보, 연구 결과, 투자 시장 및 투자 포트폴리오를 검색 및 저장할 수 있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뉴 선택 화면 (310) 에서 “검색(Explore)” 아이콘 (310d) 을 선택했을 경우의 정보 표시 화면 (320) 의 표시 내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검색(Explore)” 아이콘 (310d) 은 사용자가 “검색(Explore)” 아이콘 (310d) 을 선택한 경우 투자 정보, 투자 연구 결과에 대한 정보, 투자 시장에 대한 정보,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검색하고 저장하며 저장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는 아이콘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검색(Explore)” 아이콘 (310d) 를 선택한 경우, 정보 표시 화면 (320) 에는 투자 정보 검색 화면 (500), 연구 결과 검색 화면 (510), 마켓 검색 화면 (520) 및 포트폴리오 검색 화면 (530) 이 표시될 수 있다. 투자 정보 검색 화면 (500) 은 시스템 상의 투자 정보를 일정 기준에 따라 사용자가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이며, 연구 결과 검색 화면 (510) 은 시스템 상의 연구 결과를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는 화면이다. 마켓 검색 화면 (520) 은 사용자가 투자 시장에 대해 검색하고 검색한 투자 시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화면이며, 포트폴리오 검색 화면 (530) 은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투자 정보 검색 화면 (500) 에서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사람을 기준으로 투자 정보를 검색하거나 주식을 기준으로 투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사람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의 이름이나 아이디를 기준으로 투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특정 이름/아이디를 검색하여 특정 업데이트한 투자 정보를 확인하거나 특정 이름/아이디를 관련된 투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주식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주식의 이름을 기준으로 투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특정 주식의 이름을 검색하여 특정 주식이 포함된 투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람 또는 주식이 아닌 다른 기준을 사용하여 투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콘이 투자 정보 검색 화면 (500) 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투자 정보 검색 화면 (500) 에서 사람을 기준으로 투자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투자 정보를 확인하는 실시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연구 결과 검색 화면 (510) 에서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투자 연구 결과에 대한 검색과 정보 저장을 할 수 있다. 연구 결과 검색 화면 (510) 은 연구 결과 검색 아이콘 (510a) 과 나의 연구 결과 아이콘 (510b) 을 포함할 수 있다. 연구 결과 검색 아이콘 (510a) 은 사용자가 투자에 대한 연구 결과를 검색하여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며, 나의 연구 결과 아이콘 (510b) 은 사용자가 저장한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연구 결과 검색 아이콘 (510a) 를 선택할 경우 연구 결과를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이 나타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연구 결과를 검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검색된 연구 결과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된 연구 결과 중 자신이 저장하고 싶은 연구 결과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나의 연구 결과 아이콘 (710b) 을 선택 한 경우, 사용자가 저장한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한 연구 결과는 수정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마켓 검색 화면 (520) 에서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투자 시장에 대해 검색할 수 있다. 마켓 검색 화면 (520) 은 마켓 검색 아이콘 (520a) 과 나의 마켓 아이콘 (520b) 을 포함할 수 있다. 마켓 검색 아이콘 (520a) 은 사용자가 투자 시장에 대해 검색할 수 있는 아이콘이며, 나의 마켓 아이콘 (520b) 은 사용자가 저장한 투자 시장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구체적으로, 마켓 검색 아이콘 (520a) 을 선택할 경우 투자 시장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는 투자 시장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계 각국에서의 주식 시장 정보, 부동산 시장 정보, 원자재, 광물 등의 시황 정보, 환율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투자 시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검색 및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검색된 정보 중 자신이 저장하고 싶은 투자 시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투자 시장에 대한 정보를 추후에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환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나의 마켓 아이콘 (520b) 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가 저장한 투자 시장에 대한 정보, 즉, 특정 환율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한 투자 시장에 대한 정보는 추가, 수정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포트폴리오 검색 화면 (530) 에서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여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검색하고 저장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검색 화면 (530) 은 포트폴리오 검색 아이콘 (530a) 과 나의 포트폴리오 아이콘 (530b) 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 검색 아이콘 (530a) 은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아이콘이며, 나의 포트폴리오 아이콘 (530b) 은 사용자가 저장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포트폴리오 검색 아이콘 (530a) 을 선택할 경우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의 세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사람 이름, 특정 종목 이름 등을 사용하여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의 세부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저장하고 싶은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나의 포트폴리오 아이콘 (530b) 을 선택할 경우 사용자가 저장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장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추가, 수정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포트폴리오 검색 화면 (530) 의 포트폴리오 검색 아이콘 (530a) 에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검색하고, 투자 포트폴리오의 세부내용을 확인하는 실시예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투자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정보 표시 화면 (320) 은 사용자 기본 정보 화면 (600), 사용자 투자 정보 메뉴 (610) 및 사용자 피드 화면 (620) 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투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표시 화면 (320) 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사용자가 “사무엘 톰슨”이라는 특정 사용자를 검색한 결과 표시되는 정보 표시 화면 (320) 을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기본 정보 화면 (600) 은 사용자의 기본적인 프로필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며, 사용자 투자 정보 메뉴 (610) 는 사용자의 피드, 수익률, 투자 포트폴리오, 차트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이며, 사용자 피드 화면 (620) 은 사용자가 업데이트한 모든 피드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기본 정보 화면 (600) 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사진,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익률과 수익률의 변화도, 사용자 중 수익률의 순위, 사용자를 팔로우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의 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투자 포트폴리오 수익률은 모든 투자 포트폴리오의 평균적인 수익률일 수도 있고, 상위 특정 비율에 해당하는 포트폴리오의 평균적인 수익률일 수도 있다.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변화는 기간 값을 설정하여 조회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투자 정보 메뉴 (610) 는 사용자 피드 아이콘 (610a), 투자 포트폴리오 수익률 아이콘 (610b), 투자 포트폴리오 아이콘 (610c) 및 차트 아이콘 (610d) 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피드 아이콘 (610a) 은 사용자가 업데이트한 모든 피드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며, 투자 포트폴리오 수익률 아이콘 (610b) 은 사용자의 투자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투자 포트폴리오 아이콘 (610c) 은 사용자의 모든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며, 차트 아이콘 (610d) 은 사용자의 투자 포트폴리오 수익률 및 위험도에 대한 차트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다만, 사용자의 투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들이 포함될 수 있는 사용자 투자 정보 메뉴 (610) 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피드 아이콘 (610a) 을 선택할 경우 화면에는 사용자 피드 화면 (620) 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 투자 정보 메뉴 (610) 의 다른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피드 아이콘 (610a)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피드 화면 (620) 에서 사용자가 업데이트한 모든 피드를 확인할 수 있다. 피드는 사용자가 업데이트한 각각의 정보를 간단히 표시한 요약 정보를 의미하며, 피드는 시간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드의 내용은 업데이트한 날짜, 간략한 정보의 소개, 차트, 정보를 공감 (like) 한 다른 사용자의 수, 정보를 공유 (share) 한 다른 사용자의 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각 피드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각 피드를 선택할 경우 정보의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보를 공감 (like) 하거나 공유 (share)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 수익률 아이콘 (610b) 를 선택하면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자 포트폴리오의 각 수익률 및 수익 변동률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 아이콘 (610c) 을 선택하면, 해당 사용자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 각 구성 종목의 투자 비율, 각 종목에 대한 상세 정보,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및 투자 포트폴리오의 위험도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차트 아이콘 (610d) 을 선택하면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위험도 등에 대한 차트를 확인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검색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검색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특정 투자 포트폴리오를 검색한 경우의 정보 표시 화면 (320) 은 기본 검색 결과 화면 (710) 과 기본 포트폴리오 화면 (720) 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검색 결과 화면 (710) 은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의 수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이며 기본 포트폴리오 화면 (720) 은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의 기본적인 내용을 표시하는 화면이다. 다만,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검색한 화면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기본 검색 결과 화면 (710) 에는 총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가 표시될 수 있으며, 총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중 사용자 정보 및 추천하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가 표시될 수 있고,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중 사용자가 이미 투자하고 있는 포트폴리오의 수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각각의 수를 표시한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해당되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기본 정보가 기본 포트폴리오 화면 (720) 에 표시될 수 있다. 기본 포트폴리오 화면 (720) 은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를 나열하고 각각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자 포트폴리오의 이름, 투자 포트폴리오의 각 구성 종목이 속하는 국가, 구성 종목을 관리하는 매니저의 수, 구성 종목의 종류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표시되는 정보는 내용을 함축적으로 나타내는 간단한 그림의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다. 기본 포트폴리오 화면 (720) 에 표시된 투자 포트폴리오 중 하나를 선택할 경우, 투자 포트폴리오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의 세부적인 내용을 표시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국제투자 1”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한 경우 상세 포트폴리오 화면 (730) 이 출력될 수 있다. 상세 포트폴리오 화면 (730) 은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의 세부 정보를 표시한 화면이다. 구체적으로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 각각 투자한 비율, 구성 종목에 대한 투자금,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포트폴리오를 복사하여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한 다른 사용자의 수에 대한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 각각에 투자금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에게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정보 중 구성 종목에 대한 투자금이 제공되는 경우, 투자금 규모에 의해 사용자의 선택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투자금에 대한 정보를 제외한 다른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투자금에 대한 정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투자 포트폴리오를 검색하고 복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세부 내용을 확인한 후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를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메뉴 선택 화면 (310) 의 “네트워크(My Network)” 아이콘 (310c) 은 사용자의 다른 사용자와의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네트워크(My Network)” 아이콘 (310c) 을 선택하면 정보 표시 화면 (320) 에 다른 사용자와의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표시 화면 (320) 에는 사용자가 팔로우한 다른 사용자의 목록 및 세부 정보, 사용자를 팔로우한 다른 사용자의 목록 및 세부 정보,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된 다른 사용자의 목록 및 세부 정보, 사용자의 SNS친구, 각 투자 분야의 전문가 및 수익률 상위 랭킹 사용자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네트워크 정보에 표시된 다른 사용자를 선택하여 해당 사용자가 업데이트한 정보나 해당 사용자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사용자를 팔로우하거나 팔로우를 취소할 수 있다.
메뉴 선택 화면 (310) 의 “설정(Setting)” 아이콘 (310e) 은 사용자가 다양한 설정을 수정할 수 있는 아이콘이다. 사용자가 “설정(Setting)” 아이콘 (310e) 을 선택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이름, 사진, 연동된 SNS 개정, 연동된 은행 계좌 및 사용자 정보 등을 업데이트(수정 및 삭제)할 수 있다. 변경된 설정 내용은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에 반영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에 의해 제공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7 내지 도 9e를 함께 참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절차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하여 이를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하는 절차를 제1 사용자 단말의 화면표시내용을 통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통신부 (110), 프로세서 (130) 및 저장부 (120) 를 포함하며, 프로세서 (130) 는 수집부 (131), 제공부 (132) 및 생성부 (133) 를 포함한다.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통신부 (110) 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에서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임의의 통신 방식으로 수신 및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 (110) 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과 데이터 및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 (110) 는 수신한 데이터 및 신호를 저장부 (120) 또는 프로세서 (130) 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저장부 (120) 또는 프로세서 (130) 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및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로 송신할 수 있다.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저장부 (120) 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내의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 (110) 에서 수신한 데이터나 프로세서 (130) 로부터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프로세서 (130) 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에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130) 는 통신부 (110) 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저장부 (140) 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프로세서 (130) 는 수집부 (131), 제공부 (132) 및 생성부 (133) 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 (131) 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로부터 전달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공부 (132) 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에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생성부 (133) 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의 사용자가 선택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사용자의 투자 포트폴리오로서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가 통신부 (110), 저장부 (120) 및 프로세서 (130) 를 포함하고, 프로세서 (130) 는 수집부 (131), 제공부 (132) 및 생성부 (133) 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및 프로세서 (130) 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에서의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8을 참조한다. 도 8에서는 복수의 단말 (200) 중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을 기준으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에서의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을 설명하나, 이하 설명은 복수의 단말 (200) 모두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제1 사용자 단말 (200A) 에서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이 구현되기 위한 프로그램 설치 및 회원 가입이 진행될 수 있다. 회원 가입은 SNS 연동을 통해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의 SNS 계정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이 구현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제1 사용자 단말 (200A) 에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쉽게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에 접근할 수 있다.
회원 가입이 진행되는 경우,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제1 사용자 단말 (200A) 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800).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통신부 (110) 는 제1 사용자 단말 (200A) 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출신학교, 전공, 직업, 관심분야 및 투자 성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 정보 수신은 회원 가입이 진행되는 때에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추가 입력 또는 변경하는 경우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의 관심분야 및 투자성향은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사용자의 검색 결과, 투자 포트폴리오 등을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에서 직접 고려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저장부 (120) 는 통신부 (110) 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이어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제1 사용자 단말 (200A) 로부터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810).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통신부 (110) 는 제1 사용자 단말 (200A) 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사용자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통신부 (110) 가 수신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1개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여기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해당 사용자가 실제로 구성한 투자 내용에 대한 정보로서, 구성 종목에 대한 정보, 구성 종목에 투자한 비율에 대한 정보, 수익률에 대한 정보 및 위험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종목에 대한 정보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종목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주식, 부동산, 펀드, 예금, 환율, 현물 등과 같은 종목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구성 종목에 투자한 비율에 대한 정보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각 종목에 투자한 자금의 비율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수익률에 대한 정보는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동안의 수익률, 전체 기간 동안의 수익률, 수익률의 시간에 따른 변화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도에 대한 정보는 투자 포트폴리오에 투자했을 경우 손실이 발생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다만,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투자 포트폴리오에 관련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사용자가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경우,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의 투자 내용을 포함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가 제1 사용자 단말 (200A) 에서 생성되고,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통신부 (110) 는 제1 사용자 단말 (200A) 로부터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사용자 단말 (200A) 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경우, 즉, 구성 종목, 구성 종목에 대한 투자 비율 등이 제1 사용자 단말 (200A) 에서 결정되는 경우,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해당 내용을 수신하여 직접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생성한 뒤 생성한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에 투자한 비율에 대한 정보를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구성 종목에 투자한 비율의 수정 및 삭제를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투자 포트폴리오 생성에 신중을 기하도록 하며, 다른 사용자가 생성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신뢰를 갖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S820).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저장부 (120) 는 통신부 (110) 에서 수신된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저장부 (120) 는 통신부 (110) 를 통해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 모두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데이터 베이스가 생성된 후,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최초 생성한 사용자를 팔로우한 다른 사용자의 수 및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한 수에 대한 정보를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더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최초 생성한 사용자를 팔로우한 다른 사용자의 수 및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한 수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계속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구성 종목에 대한 정보, 상기 구성 종목에 투자한 비율에 대한 정보, 수익률에 대한 정보, 위험도에 대한 정보,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를 최초 생성한 사용자를 팔로우한 사용자의 수 및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의 선택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가 업데이트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저장부 (120) 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제1 사용자 단말 (200A) 에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S830).
사용자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저장부 (120) 에 저장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사용자가 검색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가 제1 사용자 단말 (200A) 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데이터는 통신부 (110) 에 의해서 제1 사용자 단말 (200A) 에 송신된다.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S830) 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9a를 참조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검색한 화면의 내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투자 포트폴리오를 검색했을 때의 정보 표시 화면 (320) 은 포트폴리오 기본 검색 화면 (900) 및 포트폴리오 검색결과 목록 (910) 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검색한 경우 정보 표시 화면 (320) 에는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들과 투자 포트폴리오의 간단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포트폴리오 기본 검색 화면 (900) 은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 사용자가 이미 투자하고 있는 포트폴리오의 수 등이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가 포트폴리오 기본 검색 화면 (900) 의 숫자 또는 문자를 선택할 경우 포트폴리오 검색결과 목록 (910) 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투자 포트폴리오들이 출력될 수 있다. 포트폴리오 검색결과 목록 (910) 은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들과 각 포트폴리오의 기본적인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이다. 구체적으로, 포트폴리오의 이름, 구성 종목의 국가,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매니저 수, 구성종목의 종류에 대한 간단한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표시된 화면을 통해 원하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개략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관심 있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하여 이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포트폴리오 검색결과 목록 (910) 은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를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의 수익률,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업로드한 사용자를 팔로우한 사용자 수, 또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의 선택 수 등에 기초하여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가 분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이 높은 투자 포트폴리오를 상위에 배치하고 수익률이 낮은 투자 포트폴리오를 하위에 배치하는 방법으로 분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기초하여 추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 (200A) 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제공부 (132) 는 제1 사용자 단말 (200A) 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 (120) 에 저장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데이터 베이스의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사용자 단말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직업이 의사인 경우,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의료 장비나 의약 관련 주식이나 펀드를 구성 종목으로 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로 추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추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고려하여 본인이 생성하고자 하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보다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추천된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는 포트폴리오 기본 검색 화면 (900) 에 표시될 수 있고, 추천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를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포트폴리오 검색결과 목록 (910) 에 추천된 투자 포트폴리오들과 각 포트폴리오의 기본적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추전된 투자 포트폴리오 목록 중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하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의 세부적인 내용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포트폴리오 검색결과 목록 (910) 의 투자 포트폴리오들 중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사용자가 선택했을 경우,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의 세부적인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b를 참조한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선택한 투자 포트폴리오의 세부적인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9b는 도 9a의 “국제투자 1”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정보 표시 화면 (320) 에는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세부 정보 (920) 와 투자 아이콘 (930) 이 표시될 수 있다.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세부 정보 (920) 는 사용자가 선택한 투자 포트폴리오의 세부적인 내용이 표시되는 화면이다. 투자 아이콘 (930) 은 사용자가 선택한 투자 포트폴리오의 세부 내용을 확인하고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를 자신의 포트폴리오로 복제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하는 아이콘이다.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정보 표시 화면 (320) 은 도 6b에 도시된 정보 표시 화면 (320) 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투자 포트폴리오의 생성 과정과 세부 내용은 도 9c 내지 도 9e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세부 정보 (920) 에는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 각 구성 종목의 투자금, 해당 포트폴리오의 수익률, 포트폴리오를 최초로 생성한 사용자를 팔로우한 사용자의 수, 투자 포트폴리오를 선택한 수, 포트폴리오를 복사하여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한 다른 사용자의 수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 각각에 투자금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의 세부 정보를 확인한 뒤, 특정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기 원할 경우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S840).
예를 들어,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국제투자 1”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도 9b에 도시된 화면에서 투자 아이콘 (930) 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국제투자 1”에 대응하는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복제하고자 하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자신의 계좌 내의 현금 중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현금의 비율을 선택할 수 있다 (S850).
사용자의 계좌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와 연동될 수 있으며,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해당 사용자의 계좌 내의 현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현금의 비율을 선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9c를 참조한다.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자신의 계좌 내의 현금 중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현금의 비율을 선택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자 아이콘 (930) 을 선택하는 경우, 정보 표시 화면 (320) 에 현금 비율 선택 화면 (940) 이 표시될 수 있다. 현금 비율 선택 화면 (940) 은 사용자의 계좌 내 현금 중 투자할 비율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다. 이때, 현금 비율 선택 화면 (940) 은 도 9c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팝업창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현금 비율 선택 화면 (940) 에서 사용자는 계좌 내의 현금 중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현금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고, 비율 선택 완료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조정된 비율만큼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계좌 내 현금 중 비율을 입력하는 방식이 아닌 특정 금액을 입력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어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200A) 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 (S860).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생성부 (133) 는 사용자가 선택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 (200A) 의 사용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국제투자 1”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가 선택된 경우, “국제투자 1”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와 동일한 세부 정보가 생성되며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사용자 계좌의 현금을 총 투자액으로 하여 제1 사용자 단말 (200A) 사용자의 투자 포트폴리오가 생성된다. 생성된 투자 포트폴리오 데이터는 저장부 (120) 에 저장되고, 통신부 (110) 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200A) 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통신부 (110) 는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의 구성 종목 비율에 대한 조정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가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기에 앞서, 제1 사용자 단말 (200A) 로부터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종목의 비율을 조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의 비율을 조정하는 과정은 도 9d 내지 도 9e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9d 내지 9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의 비율을 변경하는 표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9d는 구성 종목의 비율을 변경할지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9e는 구성 종목의 비율을 변경한다고 선택한 경우의 비율 변경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9b에 도시된 투자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구성 종목 비율 조정 선택 화면 (950) 이 정보 표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가 본인의 투자 방향과 부합하여 해당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선택하였다 하더라도, 각 구성 종목의 비율에 대하여 일부 조정하고 싶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동산 투자를 선호하는 사용자의 경우, 선택한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부동산 투자 종목에 대한 비율을 증가시키고자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서 구성 종목에 대한 비율을 조정하고 싶은 사용자의 경우, 구성 종목 비율 조정 선택 화면 (950) 에서 이를 조정 반영하여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구성 종목 비율 조정을 하겠다는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화면이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수 있으며, 조정하지 않겠다는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비율 조정 없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 비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구성 종목 비율 조정 선택 화면 (950) 은 도 9d와 같이 팝업창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e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9d에서 구성 종목 비율을 조정하겠다는 선택을 하는 경우, 구성 종목 비율 조정 화면 (960) 에 정보 표시 화면 (320) 이 표시될 수 있다. 구성 종목 비율 조정 화면 (960) 은 사용자가 선택한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의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화면이다. 구체적으로, 구성 종목 비율 조정 화면 (960) 에는 구성 종목의 목록과 비율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구성 종목의 비율을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다. 조정 후 비율 변경 완료 아이콘을 선택하면 변경된 구성 종목 비율이 반영되며, 이 비율은 사용자에 의해 재조정될 수도 있다. 구성 종목 비율 조정 화면 (960) 은 팝업창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 또는 사용자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기초로, 생성된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종목의 비율을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의 사용자의 직업, 출신 학교, 관심 분야 등을 참고하여 사용자에게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종목의 투자 비율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의 관심 분야가 부동산으로 입력된 경우,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생성된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 중 부동산과 관련된 종목의 투자 비율을 높여서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어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는 생성된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종목에 대한 매수를 제1 사용자 단말 대신 진행할 수 있다 (S870).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생성부 (133) 는 사용자가 선택한 계좌 내의 현금 중 투자 포트폴리오에 투자할 금액만큼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 종목의 비율에 따라 배분하여, 각 종목을 사용자 대신 매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계좌를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와 연동하였다는 가정 하에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이미 투자한 포트폴리오에 대한 투자금을 회수하고자 한다면,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생성부 (133) 는 이를 대신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역시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와 사용자의 계좌가 연동되었다는 가정 하에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투자를 회수하는 경우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생성부 (133) 는 사용자 대신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을 매도한 후 회수한 현금을 사용자의 계좌에 입금할 수 있다. 사용자의 변동된 계좌에 대한 데이터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00) 의 저장부 (120) 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변경된 계좌 잔고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에 설정된 사항에 따라 사용자를 대신하여 자동으로 매수 및 매도가 진행되기 때문에, 매번 매매를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간편하게 투자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함이 아닌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프로세서
131: 수집부
132: 제공부
133: 생성부
200: 복수의 사용자 단말
200A: 제1 사용자 단말
310: 메뉴 선택 화면
310a: “현상태(Current Feed)” 아이콘
310b: “내정보(MY)” 아이콘
310c: “네트워크(My Network)” 아이콘
310d: “검색(Explore)” 아이콘
310e: “설정(Setting)” 아이콘
320: 정보 표시 화면
320a: 업데이트된 투자 정보
400: 사용자의 프로필
410: 팔로우 관련 내용
420: 사용자의 투자 정보 메뉴
420a: 자산 아이콘
420b: 주식 아이콘
420c: 수익률 아이콘
500: 투자 정보 검색 화면
510: 연구 결과 검색 화면
510a: 연구 결과 검색 아이콘
510b: 나의 연구 결과 아이콘
520: 마켓 검색 화면
520a: 마켓 검색 아이콘
520b: 나의 마켓 아이콘
530: 포트폴리오 검색 화면
530a: 포트폴리오 검색 아이콘
530b: 나의 포트폴리오 아이콘
600: 사용자 기본 정보 화면
610: 사용자 투자 정보 메뉴
610a: 사용자 피드 아이콘
610b: 투자 포트폴리오 수익률 아이콘
610c: 투자 포트폴리오 아이콘
610d: 차트 아이콘
620: 사용자 피드 화면
710: 기본 검색 결과 화면
720: 기본 포트폴리오 화면
730: 상세 포트폴리오 화면
900: 포트폴리오 기본 검색 화면
910: 포트폴리오 검색결과 목록
920: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세부 정보
930: 투자 아이콘
940: 현금 비율 선택 화면
950: 구성 종목 비율 조정 선택 화면
960: 구성 종목 비율 조정 화면

Claims (15)

  1.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의해 연동된 플랫폼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업로드된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성별, 나이, 출신학교, 전공, 직업, 관심분야 및 투자성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이름 또는 주식의 이름에 기초한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대한 선택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한 제2 사용자를 팔로우한 사용자의 수,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된 모든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된 모든 투자 정보 피드, 상기 모든 투자 정보 피드 각각을 공유 또는 공감한 사용자의 수, 및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를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한 사용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성별, 상기 나이, 상기 출신학교, 상기 전공, 상기 직업, 상기 관심분야 및 상기 투자성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각각은 구성 종목에 대한 정보, 상기 구성 종목에 투자한 비율에 대한 정보, 수익률에 대한 정보 및 위험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가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의 수익률,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업로드한 복수의 사용자를 팔로우한 사용자 수, 또는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의 선택 수에 기초하여 분류되어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각각은 상기 구성 종목에 대한 투자금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각각을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구성 종목에 대한 투자금에 대한 정보를 제외한 다른 정보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종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구성 종목에 투자한 비율에 대한 정보는 생성된 뒤 수정되거나 삭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계좌의 현금 중 상기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가 적용될 현금 비율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현금 비율 및 상기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의 구성 종목의 비율에 대한 조정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구성 종목에 대한 매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대신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기초하여 추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 또는 이미 생성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 종목의 비율의 추천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1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저장부;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의해 연동된 플랫폼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업로드된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성별, 나이, 출신학교, 전공, 직업, 관심분야 및 투자성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이름 또는 주식의 이름에 기초한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대한 선택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한 제2 사용자를 팔로우한 사용자의 수,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된 모든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된 모든 투자 정보 피드, 상기 모든 투자 정보 피드 각각을 공유 또는 공감한 사용자의 수, 및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를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한 사용자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성별, 상기 나이, 상기 출신학교, 상기 전공, 상기 직업, 상기 관심분야 및 상기 투자성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각각은 구성 종목에 대한 정보, 상기 구성 종목에 투자한 비율에 대한 정보, 수익률에 대한 정보 및 위험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각각은 상기 구성 종목에 대한 투자금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각각을 구성하는 정보 중 상기 구성 종목에 대한 투자금에 대한 정보를 제외한 다른 정보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계좌의 현금 중 상기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가 적용될 현금 비율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현금 비율 및 상기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장치.
  15.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각각으로부터 업로드된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성별, 나이, 출신학교, 전공, 직업, 관심분야 및 투자성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 중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이름 또는 주식의 이름에 기초한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하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에 대한 선택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는,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를 생성한 제2 사용자를 팔로우한 사용자의 수,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된 모든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상기 제2 사용자에 의하여 업로드된 모든 투자 정보 피드, 상기 모든 투자 정보 피드 각각을 공유 또는 공감한 사용자의 수, 및 상기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를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로 생성한 사용자의 수를 포함하고,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검색된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투자 포트폴리오 검색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성별, 상기 나이, 상기 출신학교, 상기 전공, 상기 직업, 상기 관심분야 및 상기 투자성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투자 포트폴리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추천하는,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을 제공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90171588A 2016-12-23 2019-12-20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 KR102250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8275 2016-12-23
KR20160178275 2016-12-2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312A Division KR20180074545A (ko) 2016-12-23 2017-03-02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154A true KR20200010154A (ko) 2020-01-30
KR102250451B1 KR102250451B1 (ko) 2021-05-12

Family

ID=629188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312A KR20180074545A (ko) 2016-12-23 2017-03-02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
KR1020190171588A KR102250451B1 (ko) 2016-12-23 2019-12-20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312A KR20180074545A (ko) 2016-12-23 2017-03-02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0745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998B1 (ko) 2020-06-30 2021-02-19 최종탁 투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708B1 (ko) * 2019-04-30 2019-10-14 나이스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전 투자 유치식 매출채권 중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29A (ko) * 2000-07-14 2002-01-29 김경중 금융 상품 투자 제안 및 역경매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2606A (ko) * 2010-09-29 2012-04-06 서석기 증권투자고객 참여 가능 증권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4526A (ko) * 2012-10-05 2014-04-15 현대증권 주식회사 스마트 자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0847B1 (ko) * 2013-06-14 2016-04-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ns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29A (ko) * 2000-07-14 2002-01-29 김경중 금융 상품 투자 제안 및 역경매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32606A (ko) * 2010-09-29 2012-04-06 서석기 증권투자고객 참여 가능 증권투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4526A (ko) * 2012-10-05 2014-04-15 현대증권 주식회사 스마트 자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0847B1 (ko) * 2013-06-14 2016-04-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ns를 이용한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998B1 (ko) 2020-06-30 2021-02-19 최종탁 투자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451B1 (ko) 2021-05-12
KR20180074545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4016B2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cknowledging, transferring and custody of assets or rights on a distributed ledger
US6772146B2 (en) Website for financial information
US20180260823A1 (en) Searching and processing a data set of objects
AU2023258377A1 (en) Electronic platform for managing investment products
US20030225662A1 (en) Managed asset platform system and method
US200501878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financial transactions via a communication medium
US20030225663A1 (en) Open platform system and method
US20060020530A1 (en) Systems for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US11651315B2 (en) Intelligent diversification tool
KR101165062B1 (ko) 개인자산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07085055A1 (en) A mass customisable interactive, multi-faceted system for data collection, processing, analysis, transmission, and trading in securities
KR102250451B1 (ko) 사회적 지식 공유를 이용한 투자 방법 및 장치
JP7163030B2 (ja) 事業性評価支援装置、事業性評価支援方法、プログラム、及び事業性評価支援システム
CN101770467B (zh) 经由计算机网络定位关联产品的方法和系统
US20020024531A1 (en) Method for evaluating employees and aggregating their respective skills and experience in a searchable database for sharing knowledge resources
Untari et al. Are collective trading organisations necessarily inclusive of smallholder farmers?: A comparative analysis of farmer-led auctions in the Javanese chilli market
US201801898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ond pricing
US202102566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validating customized investment portfolios
KR20210125320A (ko) 빅데이터 기반을 통한 고객 투자성향 맞춤 종목 매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921292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20220138858A1 (en) Activity-based collateral modeling
JP7181261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プログラム
JP2015125684A (ja) 定期預金投資信託システム
KR20220064091A (ko) 창업지원을 위한 노하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JP2022151581A (ja) 提案サーバ、通信システム、提案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