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830A -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830A
KR20200009830A KR1020180084754A KR20180084754A KR20200009830A KR 20200009830 A KR20200009830 A KR 20200009830A KR 1020180084754 A KR1020180084754 A KR 1020180084754A KR 20180084754 A KR20180084754 A KR 20180084754A KR 20200009830 A KR20200009830 A KR 20200009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ignal
port
image signal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110B1 (ko
Inventor
김현석
김정혁
김대건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110B1/ko
Priority to US17/256,801 priority patent/US11276366B2/en
Priority to PCT/KR2019/008819 priority patent/WO2020017882A1/ko
Publication of KR20200009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2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for monitor identif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6Consumer Electronics Control, i.e. control of another device by a display or vice vers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20Details of the management of multiple sources of imag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포트 규격에 기반하여 상호 직렬 연결된 각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소스장치의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 중에,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2소스장치의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신호에 기반한 영상을 함께 표시하도록 상호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시스템 내에서 컨텐츠소스로부터 컨텐츠신호의 전송 및 수신에 관한 에러에 대처하여 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구조의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연산을 위한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는, 처리 대상이 되는 정보 또는 사용 용도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에는 범용의 정보를 처리하는 PC나 서버 등의 정보처리장치,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오디오를 처리하는 오디오장치, 가정 내 잡무를 수행하는 생활가전 등이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는데, 단일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예시로는 TV,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태블릿(tablet), 모바일 폰(mobile phone) 등이 있고, 복수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는 예시로는 비디오 월(video wall)이 있다. 비디오 월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가 대화면 환경을 형성하는 시스템이다.
컨텐츠소스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에 컨텐츠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이 중에서 한 가지 방식으로는 루프아웃(Loop-Out)이 있다. 루프아웃 방식은 일종의 직렬연결 방식으로서, 컨텐츠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고, 이 컨텐츠신호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 내에서 분기하며, 분기된 컨텐츠신호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두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입출력 형태가 시스템 내 모든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된다.
루프아웃 방식으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못하는 다양한 이유가 존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컨텐츠소스로부터 각 디스플레이장치들을 연결하는 소정의 지점에서 단절 또는 접속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해당 지점으로부터 상류 또는 이전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컨텐츠신호가 문제없이 수신되므로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반면, 해당 지점으로부터 하류 또는 이후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기 곤란하므로 영상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못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해당 지점에 대한 점검을 하고, 케이블을 교체하거나, 단자 간의 접속이 정상적으로 되게 하거나, 디스플레이장치를 교체하는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이는 사용자가 직접 조치를 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루프아웃 방식으로 접속된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일 컨텐츠소스로부터 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고 식별되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컨텐츠신호 기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면 편리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규격에 기반하여 상호 직렬 연결되며 제1소스장치 또는 제2소스장치의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단 디스플레이장치 및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와 각각 연결되는 신호입출력부와;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소스장치의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 중에,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2소스장치의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신호입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루프아웃 방식으로 접속된 각 디스플레이장치는, 일 컨텐츠소스로부터 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고 식별되는 경우에, 정상적으로 컨텐츠신호 기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상기 제2영상신호는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1채널과,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채널과 상이한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채널 및 상기 제2채널과 상이한 제3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채널을 통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채널을 통한 상기 제1영상신호의 수신 동작에서 기 설정된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채널을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상기 제1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서 패킷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기 설정된 에러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포트 규격에 기반하여 상호 직렬 연결되며 제1소스장치 또는 제2소스장치의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소스장치의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 중에,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2소스장치의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상기 제2영상신호는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1채널과,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채널과 상이한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채널 및 상기 제2채널과 상이한 제3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채널을 통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채널을 통한 상기 제1영상신호의 수신 동작에서 기 설정된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채널을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상기 제1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서 패킷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기 설정된 에러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포트 규격에 기반하여 상호 직렬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전단 디스플레이장치 및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와 각각 연결되는 신호입출력부와;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소스장치의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 중에,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2소스장치의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신호입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상기 제2영상신호는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1채널과,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채널과 상이한 제2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채널 및 상기 제2채널과 상이한 제3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채널을 통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채널을 통한 상기 제1영상신호의 수신 동작에서 기 설정된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신호 전송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신호입출력부의 스위칭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에서 스위치가 제1상태에 있을 때의 신호 전달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컨텐츠소스로부터의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DP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에,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에서 스위치가 제2상태에 있을 때의 신호 전달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제2컨텐츠소스로부터의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에 적용되는 스위치의 회로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스위치가 제1상태에 있을 때의 신호 전달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스위치가 제2상태에 있을 때의 신호 전달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컨텐츠신호 및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컨텐츠소스가 컨텐츠신호를 제공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를 포함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는 평행하게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대화면을 형성하는 비디오 월 시스템을 구성한다. 예를 들면, 옥외 등의 개방된 장소에서 설치되는 디지털 사이니지(signage)는 먼 거리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쉽게 화면의 표시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디지털 사이니지는 대화면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통상적인 디스플레이장치(130)의 단일 화면 크기는 제조 상 한계가 있으므로,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장치(130)가 조합되어 비디오 월을 구성함으로써 대화면의 디지털 사이니지를 구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100)의 각 디스플레이장치(130)는 컨텐츠소스(110, 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신호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한 컨텐츠신호를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면, 각 디스플레이장치(130)는 컨텐츠신호의 영상프레임의 전체 영역 중에서, 시스템(100) 내 배치된 위치 또는 시스템(100) 내 자신의 ID에 대응하는 영역만을 선택하여 표시한다. 즉,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는 각기 대응하는 영상프레임의 일부 영역을 분담하여 표시함으로써, 시스템(100) 전체적으로는 영상프레임의 전체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월로 구현되는 시스템(100)을 예시로 들고 있지만,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가 반드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필요는 없으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매트릭스 이외의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컨텐츠소스(110, 120)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에 컨텐츠신호를 제공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식이 가능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루프아웃 방식이 적용된다. 예를 들면, 제1컨텐츠소스(11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 중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31)에 컨텐츠신호가 전송되면,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31) 내에서 컨텐츠신호가 분기하고, 분기된 컨텐츠신호 중 하나는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로 전달되며 다른 하나는 두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32)로 전송된다. 장치들 사이의 컨텐츠신호의 전송 구조는 케이블 및 무선통신 모두 가능하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가 이와 같이 직렬로 연결되고, 컨텐츠신호가 컨텐츠소스(110, 120)로부터 각 디스플레이장치(130)에 대해 순차적으로 전송되는 신호전송 형태를 루프아웃 형태라고 편의상 지칭한다.
여기서, 루프아웃 형태로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는, 편의상 제1컨텐츠소스(110)를 기준으로 순서가 부여되어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31)는 제1컨텐츠소스(110)에 다이렉트로 접속되며, 두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32)는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31)에 다이렉트로 접속된다. 여기서, 다이렉트로 접속되었다는 것은, 예를 들면 두 장치가 케이블을 통해 상호 접속됨으로써 신호의 교환이 가능한 경우를 의미한다.
제1컨텐츠소스(110)를 기준으로 볼 때,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31)는 두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32)보다 루프아웃 접속 순서가 앞선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가 모두 9대라면, 루프아웃 접속 순서가 가장 마지막인 장치가 아홉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39)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 루프아웃 접속 순서는 제1컨텐츠소스(11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가 전달되는 순서이기도 하다. 이외에도,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를 구분하기 위한 방법은, 각 디스플레이장치(130)에 개별 ID가 부여되는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츠소스(110, 120)는 제1컨텐츠소스(110) 및 제2컨텐츠소스(120)를 포함한다. 소정의 컨텐츠신호를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에 제공하는 점에서는 제1컨텐츠소스(110) 및 제2컨텐츠소스(120)가 동일하다. 다만, 제1컨텐츠소스(110) 및 제2컨텐츠소스(120)는 루프아웃 순서 중 양 끝의 디스플레이장치(131, 139)에 각기 접속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제1컨텐츠소스(110)는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131)에 다이렉트로 접속되는 것에 비해, 제2컨텐츠소스(120)는 마지막 디스플레이장치(139)에 다이렉트로 접속된다.
제1컨텐츠소스(110)가 출력하는 컨텐츠신호는 제2컨텐츠소스(120)가 출력하는 컨텐츠신호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제1컨텐츠소스(110) 및 제2컨텐츠소스(120)가 동일한 컨텐츠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시스템(100)은 제1컨텐츠소스(11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에 표시되도록 한다. 만일 제1컨텐츠소스(11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가 각 디스플레이장치(130)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시스템(100)은 제2컨텐츠소스(12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는, 제1컨텐츠소스(110) 및 제2컨텐츠소스(120)가 서로 상이한 컨텐츠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시스템(100)은 먼저 제1컨텐츠소스(11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1컨텐츠소스(11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의 재생이 종료되면, 시스템(100)은 제2컨텐츠소스(12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에 기초한 영상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에 표시되도록 한다.
시스템(100)이 제1컨텐츠소스(11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신호의 전달 상태에 따라서 제1컨텐츠소스(110)로부터 제2컨텐츠소스(120)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한 판단 동작 및 스위칭 동작은 각 디스플레이장치(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루프아웃으로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30) 사이의 신호 전송 구조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신호 전송 관계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가 루프아웃으로 접속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컨텐츠소스(200)부터 루프아웃 순서에 따라서 처음 4대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가 루프아웃으로 접속된 경우에 관해 나타내지만, 보다 많은 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방식에 따라서 상호간에 연이어 접속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순차적으로 접속된 제1디스플레이장치(210), 제2디스플레이장치(220), 제3디스플레이장치(230) 및 제4디스플레이장치(240)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장치들 간의 접속이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DP) 규격에 따른 케이블에 의해 접속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접속 방식 및 규격은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각각 신호가 입출력되는 신호입출력부(211, 221, 231, 241)와,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212, 222, 232, 242)를 포함한다. 또한, 각 신호입출력부(211, 221, 231, 241)는 신호가 입력되는 수신포트(Rx1, Rx2, Rx3, Rx4)와, 신호가 출력되는 송신포트(Tx1, Tx2, Tx3, Tx4)를 각각 포함한다. 각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는 모델이나 세부적인 하드웨어 사항이 동일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상이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을 가진다.
컨텐츠신호가 전달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1컨텐츠소스(20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신호입출력부(211)의 Rx1에 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신호입출력부(211)는 컨텐츠신호를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의 프로세서(212)에 전달하는 한편, Tx1을 통해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로 출력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220)는 Rx2에 수신되는 컨텐츠신호를, 제1디스플레이장치(210)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서 전달 및 처리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따라서, 제1컨텐츠소스(200)로부터의 컨텐츠신호는 모든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포트(Rx1, Rx2, Rx3, Rx4) 및 송신포트(Tx1, Tx2, Tx3, Tx4)라는 용어는 제1컨텐츠소스(200)로부터 컨텐츠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의 역할에 따라서 편의상 분류한 것이며, "수신" 및 "송신"이라는 용어가 해당 포트들의 기능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만일 제1컨텐츠소스(200)로부터 정상적으로 컨텐츠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 수신포트(Rx1, Rx2, Rx3, Rx4) 및 송신포트(Tx1, Tx2, Tx3, Tx4)는 컨텐츠신호의 수신동작 및 송신동작이 본 실시예와 상이하게 반대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각 신호입출력부(211, 221, 231, 241)는 DP 규격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호간에 메인링크(main link), AUX 채널(auxiliary channel), 핫플러그 감지(hot plug detect, HPD) 신호 라인을 통해 접속된다. 메인링크는 비압축된 영상 및 오디오와 같은 컨텐츠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방향(uni-directional), 고대역 및 낮은 레이턴시(latency)의 채널이다. AUX 채널은 링크 관리 및 기기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하프 듀플렉스(half-duplex) 양방향 채널이다. HPD 신호 라인을 통한 HPD 신호는 상호 접속된 소스기기 및 싱크기기 중에서 싱크기기에 의한 인터럽트 리퀘스트(interrupt request)로서 동작한다.
이하,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210, 220, 230, 240)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310)와, 컨텐츠신호 등의 소정 데이터가 입출력되도록 마련된 신호입출력부(320)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30)와,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사용자입력부(34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350)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36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이다. 예를 들면, 통신부(310)는 와이파이 방식에 따라서 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이나,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320)는 소정의 외부장치와 일대일 또는 일대다 방식으로 유선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장치에 대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신호입출력부(320)는 DP 규격에 따른 복수의 커넥터 또는 복수의 포트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입출력부(320)는 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컨텐츠소스에 접속될 수 있다. 신호입출력부(320)는 예를 들면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제1포트(321) 및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 제2포트(32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330)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이라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이 추가된다.
사용자입력부(34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34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300)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 디스플레이장치(300)와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 터치패드, 디스플레이부(330)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저장부(350)는 프로세서(360)에 의해 억세스되며, 프로세서(360)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저장부(350)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는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6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마이크로컨트롤러,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360)는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하며, 이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6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의 하드웨어 주체가 된다. 즉, 프로세서(360)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300)의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소프트웨어의 관점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소정 동작은 운영체제 또는 커널이 수행하거나 또는 커널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수행되는데, 프로세서(360)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도록 데이터의 연산,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60)는 디스플레이장치(300)의 운영체제 또는 커널을 실행시키고, 또한 커널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1포트(321)를 통해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1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동안에는 제1컨텐츠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고, 또한 제2포트(322)를 통해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제1포트(321)에 정상적으로 제1컨텐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2포트(322)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2컨텐츠신호를 제1포트(321)로 출력함으로써, 제1포트(321) 및 제2포트(322)의 역할이 서로 스위칭되도록 동작한다. 이로써, 제1컨텐츠소스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전체에 정상적으로 제1컨텐츠신호를 제공하기 곤란한 경우에, 사용자의 수동 조치 없이 각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4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한다.
4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되는 제1컨텐츠신호를 처리하는 한편, 제2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4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포트를 통한 제1컨텐츠신호의 수신이 비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포트를 통한 제1컨텐츠신호의 수신이 정상적이지 않다고 판단되면, 4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2컨텐츠신호는 제1컨텐츠신호와 동일한 컨텐츠를 가질 수 있다.
4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되는 제2컨텐츠신호를 처리하는 한편, 제1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반면에, 제1포트를 통한 제1컨텐츠신호의 수신이 정상적이라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현 상태대로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 처리 및 출력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소스로부터의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고 제2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하는 동안, 제1컨텐츠신호의 수신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하면, 제1포트 및 제2포트의 역할을 스위칭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소스로부터의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고 제1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전체가 정상적으로 컨텐츠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에서 각 포트의 역할이 스위칭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신호입출력부의 스위칭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컨텐츠신호를 수신 및 출력하게 마련된 신호입출력부(510)와, 신호입출력부(510)에 수신되는 컨텐츠신호를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520)를 포함한다. 신호입출력부(510)는 신호가 입출력되도록 마련된 제1포트(511) 및 제2포트(512)와, 제1포트(511) 및 제2포트(512)에 접속되며 프로세서(520)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513)와, 스위치(513)에 접속되며 입력되는 컨텐츠신호를 분기시켜 프로세서(520) 및 스위치(513)에 출력하는 분배부(514)를 포함한다.
제1포트(511) 및 제2포트(512)는 DP 규격에 기반하여, 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컨텐츠소스와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다. 예를 들어 루프아웃 접속 순서가 첫 번째인 디스플레이장치(500)의 경우, 제1포트(511)는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하는 제1컨텐츠소스에 접속되며 제2포트(512)는 두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다. 루프아웃 접속 순서가 마지막인 디스플레이장치(500)의 경우, 제1포트(511)는 루프아웃 접속 순서가 하나 앞선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며 제2포트(512)는 제2컨텐츠신호를 출력하는 제2컨텐츠소스에 접속된다. 루프아웃 접속 순서가 첫 번째 또는 마지막인 아닌 n번째 디스플레이장치(500)의 경우, 제1포트(511)는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고 제2포트(512)는 (n+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다.
제1포트(511) 및 제2포트(512)는 DP 규격에 따라서 메인링크, AUX 채널, HPD 라인으로 분류되는 복수의 단자를 각각 포함한다. 제1포트(511) 및 제2포트(512)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황에 따라서 수행하는 역할이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제1포트(511)는 제1컨텐츠소스 또는 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거나, 스위치(513)로부터 전달되는 제2컨텐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포트(512)는 스위치(513)로부터 전달되는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하거나, 제2컨텐츠소스 또는 타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포트(511)가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 제2포트(512)는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하며, 제2포트(512)가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 제1포트(511)는 제2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제1포트(511)는 DP 규격에 따라서, 메인링크, AUX 채널, HPD 라인을 포함한다. 각 채널들의 기본적인 역할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타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포트(511)에 DP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면, 디스플레이장치(500)는 HPD 라인을 통해 타 디스플레이장치에 HPD 신호를 보냄으로써 타 디스플레이장치가 디스플레이장치(500)에 접속되었음을 알린다. 타 디스플레이장치는 AUX 채널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500)와의 통신을 위한 확인 데이터를 보내고 디스플레이장치(500)로부터 이 확인 데이터에 대응하는 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바, 본 동작은 링크 트레이닝(link training)이라고 지칭한다. 타 디스플레이장치는 링크 트레이닝이 성공하면, 메인링크를 통해 컨텐츠신호를 출력하며, 디스플레이장치(500)는 제1포트(511)에서 컨텐츠신호를 수신한다.
제2포트(512) 또한 DP 규격에 따라서, 메인링크, AUX 채널, HPD 라인을 포함한다.
스위치(513)는 제1포트(511) 및 분배부(514)의 사이, 그리고 제2포트(512) 및 분배부(514)의 사이에 개재된다. 스위치(513)는 프로세서(5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1상태 및 제2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스위치(513)는 제1상태 시 제1포트(511)를 분배부(514)의 입력단자에 접속시키고 제2포트(512)를 분배부(514)의 출력단자에 접속시킨다. 반면에, 스위치(513)는 제2상태 시 제1포트(511)를 분배부(514)의 출력단자에 접속시키고 제2포트(512)를 분배부(514)의 입력단자에 접속시킨다.
이를 위하여, 스위치(513)는 제1포트(511)에 접속된 T1, 제2포트(512)에 접속된 T2, 분배부(514)의 입력단자에 접속된 T3, 분배부(514)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T4의 네 단자를 포함한다. 스위치(513)는 프로세서(5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T1 및 T3를 연결하고 T2 및 T4를 연결하는 제1상태와, T1 및 T4를 연결하고 T2 및 T3를 연결하는 제2상태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스위치(513)에 인가되는 제어신호는, 기 설정된 전압의 신호, 하이(high)/로우(low)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논리신호 등 다양한 종류의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치(513)의 제어신호 입력 단자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에 스위치(513)는 제1상태에 있는 반면, 스위치(513)의 제어신호 입력 단자에 하이 레벨의 신호가 인가되는 동안에 스위치(513)는 제2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는, 스위치(513)에 어떠한 제어신호도 인가되지 않는 동안에 스위치(513)는 제1상태에 있는 반면, 스위치(513)에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동안에 스위치(513)는 제2상태로 전환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분배부(514)는 입력되는 컨텐츠신호를 2개의 동일한 신호로 분리 또는 복사하고, 이 2개의 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즉, 분배부(514)는 스위치(513)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신호를 2개로 복사하고, 복사된 각 컨텐츠신호를 프로세서(520) 및 스위치(513)로 출력한다.
이하, 스위치(513)가 제1상태에 있는 동안에 신호가 전송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에서 스위치가 제1상태에 있을 때의 신호 전달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600)는 신호입출력부(610), 프로세서(620)를 포함하며, 신호입출력부(610)는 제1포트(611), 제2포트(612), 스위치(613), 분배부(614)를 포함한다. 본 구조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포트(611)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프로세서(620)는 스위치(613)가 기 설정된 제1상태가 되도록 스위칭한다. 제1상태의 스위치(613)는 복수의 단자 중 T1이 T3에 접속되고 T2가 T4에 접속된다. 즉, T1 및 T4는 단절되며, T2 및 T3는 단절된다.
스위치(613)가 제1상태에 있는 동안 제1포트(611)에 제1컨텐츠신호가 수신되면, 제1컨텐츠신호는 제1포트(611)로부터 스위치(613)로 전달된다. 제1컨텐츠신호는 스위치(613) 내에서 T1 및 T3를 거쳐서 분배부(614)의 입력단자로 입력된다. 분배부(614)는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1컨텐츠신호를 분기시키고, 분기된 제1컨텐츠신호를 분배부(614)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또한 프로세서(62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620)는 수신되는 제1컨텐츠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분배부(614)로부터 출력되는 제1컨텐츠신호는 스위치(613)로 전달된다. 제1컨텐츠신호는 스위치(613) 내에서 T4 및 T2를 거쳐 제2포트(612)로 전달된다. 이로써, 제1컨텐츠신호가 제2포트(612)를 통해 출력된다.
이하, 루프아웃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이러한 동작을 하는 경우의 컨텐츠신호의 전달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컨텐츠소스로부터의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70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9대의 디스플레이장치(710, 720, 730, 740, 750, 760, 770, 780, 790)를 포함한다. 이들 디스플레이장치(710, 720, 730, 740, 750, 760, 770, 780, 790)는 루프아웃 접속 순서에 따라서 구별될 수 있다.
루프아웃 순서에 있어서 첫 번째인 제1디스플레이장치(710)는 제1컨텐츠소스(701)에 다이렉트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제1컨텐츠소스(701)로부터 출력되는 제1컨텐츠신호는 제1디스플레이장치(710)에 수신된다. 제1컨텐츠신호는 제1디스플레이장치(710) 내에서 처리되어 영상으로 표시되는 한편, 제1디스플레이장치(710)로부터 출력되어 제2디스플레이장치(720)로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컨텐츠신호는 각 디스플레이장치(700)에 전달되며, 마지막으로 제9디스플레이장치(790)에 수신된다. 제9디스플레이장치(790)는 제8디스플레이장치(780)로부터 수신하는 제1컨텐츠신호를 처리한다. 여기서, 제9디스플레이장치(790)는 타 디스플레이장치(700)와 동일하게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컨텐츠신호가 제9디스플레이장치(790)로부터 출력되는 경우, 제1컨텐츠신호는 제2컨텐츠소스(702)에 입력된다. 제2컨텐츠소스(702)는 입력되는 제1컨텐츠신호를 처리하거나 또는 타 장치에 전달하는 등의 제1컨텐츠신호에 대한 특별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는, 제9디스플레이장치(790)는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제9디스플레이장치(790)는 제2컨텐츠소스(702)로부터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제9디스플레이장치(790)는 제1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 한편 제2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고, 제1컨텐츠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동안 제2컨텐츠신호는 처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700)는 제1컨텐츠소스(701)로부터 출력되는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루프아웃 접속 경로 중 어느 한 지점에서 단절 또는 전송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단절 또는 전송불량이 발생하는 원인은 케이블의 불량, 접속단자의 접촉불량, 회로 배선의 불량 등 다양한 요인이 있다. 예를 들어 제3디스플레이장치(730) 및 제4디스플레이장치(740) 사이에 단절이 발생하여 제1컨텐츠신호의 전달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에, 제1디스플레이장치(710), 제2디스플레이장치(720), 제3디스플레이장치(730)에는 정상적으로 제1컨텐츠신호가 수신되지만, 나머지 디스플레이장치(740, 750, 760, 770, 780, 790)는 제1컨텐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기 곤란하다.
이에, 나머지 디스플레이장치(740, 750, 760, 770, 780, 790)는 제2컨텐츠소스(702)로부터 출력되는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제1컨텐츠신호의 단절에 대처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나머지 디스플레이장치(740, 750, 760, 770, 780, 790)가 제1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방법은, 지원하는 전송 규격에 따라서 구체적인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 각 디스플레이장치(740, 750, 760, 770, 780, 790)가 DP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에 제1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디스플레이장치가 DP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에, 제1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장치(8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820)는 상호간에 DP 규격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접속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810)는 컨텐츠신호를 출력하는 소스기기(source device)로 동작하며, 제2디스플레이장치(820)는 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 싱크기기(sync device)로 동작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8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820)는 메인링크(830)와, AUX 채널(840)과, HDP 라인(850)을 통해 상호 접속된다.
최초 제1디스플레이장치(8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820) 사이가 접속되면, 제2디스플레이장치(820)는 HPD 라인(850)을 통해 HPD 신호를 제1디스플레이장치(810)에 전송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810)는 수신되는 HPD 신호에 응답하여, AUX 채널(840)을 통해 링크 접속을 위한 확인신호를 제2디스플레이장치(820)에 전송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820)는 수신되는 확인신호에 응답하는 응답신호를 AUX 채널(840)을 통해 제1디스플레이장치(810)에 전송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810)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제1디스플레이장치(8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820) 사이의 링크 접속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상의 과정을 링크 트레이닝이라고 지칭한다. 여기서, 확인신호 및 응답신호는 제1디스플레이장치(8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820)가 인식할 수 있도록 사전에 약속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정보의 내용은 한정되지 않는다.
제1디스플레이장치(810)는 링크 트레이닝이 완료되면, 메인링크(830)를 통해 컨텐츠신호를 전송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820)는 수신되는 컨텐츠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S800).
그런데, 제2디스플레이장치(820)는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S810), HPD 라인(850)을 토글링(toggling)한다(S820). 여기서, 기 설정된 이벤트는 여러 가지가 가능한데, 메인링크(830)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신호에서 패킷 에러가 감지되거나, 소정 시간 동안 컨텐츠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수신되는 컨텐츠신호의 처리 시 에러가 감지되는 등, 비정상적 상황의 개연성이 있는 다양한 이벤트가 가능하다. 또는, 본 이벤트는 상기한 에러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발생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HPD 라인(850)의 토글링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810)에서는 인터럽트 리퀘스트(interrupt request)가 발생한다(S830). 인터럽트 리퀘스트가 발생하면, 제1디스플레이장치(810)는 AUX 채널(840)을 통해 링크 트레이닝을 시도한다(S840). 제1디스플레이장치(810)는 링크 트레이닝을 시도함에 따라서 링크 접속을 위한 확인신호를 AUX 채널(840)을 통해 제2디스플레이장치(820)에 전송한다(S850).
제2디스플레이장치(820)는 AUX 채널(840)을 통해 확인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제1디스플레이장치(810)에 대한 링크 접속이 정상이며 제1디스플레이장치(810)로부터 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한다(S860).
반면에, 제2디스플레이장치(820)가 AUX 채널(840)을 통해 확인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는 몇 가지의 상황이 가능하다(S870).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810)가 정상적으로 링크 트레이닝을 위한 확인신호를 전송했음에도 불구하고 제2디스플레이장치(820)가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HPD 토글링 및 인터럽트 리퀘스트의 발생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었지만 링크 트레이닝의 시도 자체가 수행되지 않아서 제1디스플레이장치(810)가 확인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 HPD 토글링이 수행되었지만 제1디스플레이장치(810)에서 인터럽트 리퀘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등이 있다. 어떠한 경우이건, 제2디스플레이장치(82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810)에 대한 링크 접속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고, 또한 제1디스플레이장치(810)로부터 컨텐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S880).
이상의 실시예는, 제2디스플레이장치(820)가 DP 규격을 기반으로 제1디스플레이장치(810)에 링크 접속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만일 DP 규격이 아닌 HDMI 규격이라고 한다면, 링크 접속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달라진다.
비교를 위해 소스기기 및 싱크기기가 HDMI 규격을 기반으로 링크 접속되어 있는 예를 들기로 한다. HDMI는 컨텐츠신호의 전송을 위한 데이터레인과, 제어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양방향 통신의 DDC(Display Data Channel)을 포함한다. 소스기기는 싱크기기에 데이터레인(data lane)을 통해 컨텐츠신호를 전송할 때에 클럭신호를 함께 보낸다. 싱크기기는 수신되는 클럭신호가 나타내는 타이밍에 맞추어, 데이터레인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신호를 처리한다. 싱크기기는 복수의 데이터레인을 통해 수신되는 클럭신호를 모니터링하며, 만일 클럭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면 소스기기에 대한 링크 접속이 비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DP 규격을 기반으로 소스기기 및 싱크기기가 링크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HDMI의 경우와 상이하다. DP는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신호의 전송을 위한 메인링크와, 제어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AUX 채널을 포함한다. 소스기기는 싱크기기에 메인링크를 통해 클럭신호를 전송하지 않고, 대신 프레이밍 심볼(frasming symbols)을 사용한다. DP는 HDMI와 달리 컨텐츠신호를 데이터 패킷(data packet)으로 만들어서 전송한다. 프레이밍 심볼은 단위 데이터의 첫 번째 패킷에 배치되며 단위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내는 BS(Blank Start)와, 단위 데이터의 마지막 패킷에 배치되며 단위 데이터의 마지막을 나타내는 BE(Blank End)를 포함한다. 싱크기기는 이러한 프레이밍 심볼에 따라서, 메인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신호를 처리한다.
즉, DP 규격의 경우는 싱크기기가 클럭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HDMI 규격의 경우처럼 클럭신호를 사용하여 링크 접속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하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기기는 상기한 방법에 따라서 소스기기에 대한 링크 접속의 비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 내 스위치가 제1상태에 있는 동안에 신호가 전송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 바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가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링크 접속이 비정상이라고 판단함에 따라서 스위치가 제2상태에 전환되고, 제2상태의 스위치에서 신호가 전송되는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에서 스위치가 제2상태에 있을 때의 신호 전달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900)는 신호입출력부(910), 프로세서(920)를 포함하며, 신호입출력부(910)는 제1포트(911), 제2포트(912), 스위치(913), 분배부(914)를 포함한다. 본 구조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프로세서(920)는 제1포트(911)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프로세서(920)는 스위치(913)가 기 설정된 제2상태가 되도록 스위칭한다. 제2상태의 스위치(913)는 복수의 단자 중 T1이 T4에 접속되고 T2가 T3에 접속된다. 즉, T1 및 T3는 단절되며, T2 및 T4는 단절된다.
스위치(913)가 제2상태에 있는 동안 제2포트(912)에 제2컨텐츠신호가 수신되면, 제2컨텐츠신호는 제2포트(912)로부터 스위치(913)로 전달된다. 제2컨텐츠신호는 스위치(913) 내에서 T2 및 T3를 거쳐서 분배부(914)의 입력단자로 입력된다. 분배부(914)는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제2컨텐츠신호를 분기시키고, 분기된 제2컨텐츠신호를 분배부(914)의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또한 프로세서(92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920)는 수신되는 제2컨텐츠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분배부(914)로부터 출력되는 제2컨텐츠신호는 스위치(913)로 전달된다. 제2컨텐츠신호는 스위치(913) 내에서 T4 및 T1를 거쳐 제1포트(911)로 전달된다. 이로써, 제2컨텐츠신호가 제1포트(911)를 통해 출력된다.
이하, 루프아웃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이러한 동작을 하는 경우의 컨텐츠신호의 전달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제2컨텐츠소스로부터의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0)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9대의 디스플레이장치(1010, 1020, 1030, 1040, 1050, 1060, 1070, 1080, 1090)를 포함한다. 이들 디스플레이장치(1010, 1020, 1030, 1040, 1050, 1060, 1070, 1080, 1090)는 루프아웃 접속 순서에 따라서 구별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0)가 제1컨텐츠소스(1001)로부터 각각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 제4디스플레이장치(1040) 및 제5디스플레이장치(1050) 사이에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에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0)는 접속불량 지점(1003)을 기준으로, 루프아웃 순서에 따른 전단의 디스플레이장치(1010, 1020, 1030, 1040) 및 후단의 디스플레이장치(1050, 1060, 1070, 1080, 1090)로 편의상 구분될 수 있다.
전단의 디스플레이장치(1010, 1020, 1030, 1040)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제1컨텐츠소스(1001)로부터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후단의 디스플레이장치(1050, 1060, 1070, 1080, 1090)는 접속불량 지점(1003) 때문에 제1컨텐츠소스(1001)로부터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기 곤란하다. 이에, 후단의 각 디스플레이장치(1050, 1060, 1070, 1080, 1090)는 제1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제1포트 및 제2포트 각각의 수신 및 출력 역할을 스위칭하여, 제2컨텐츠소스(1002)로부터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판단 및 스위칭 동작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예를 들면, 루프아웃 순서가 마지막인 제9디스플레이장치(1090)는 제1컨텐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동안에는, 제1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고, 제2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또는, 제9디스플레이장치(1090)는 제1컨텐츠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동안에는, 제1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2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소스(1002)로부터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되 제2컨텐츠신호를 처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데, 제1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9디스플레이장치(1090)는 제2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소스(1002)로부터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제1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제9디스플레이장치(1090) 전단에 위치하는 제8디스플레이장치(1080)는 제1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제2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고, 제1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제7디스플레이장치(1070), 제6디스플레이장치(1060) 및 제5디스플레이장치(1050) 또한 동일한 원리에 따라서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한다.
결과적으로, 접속불량 지점(1003)을 기준으로 전단의 디스플레이장치(1010, 1020, 1030, 1040)는 제1컨텐츠소스(1001)로부터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며, 후단의 디스플레이장치(1050, 1060, 1070, 1080, 1090)는 제2컨텐츠소스(1002)로부터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한다. 제1컨텐츠신호 및 제2컨텐츠신호가 동일한 컨텐츠라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0) 전체에서 표시되는 영상은 접속불량이 발생하기 이전과 이후에 컨텐츠 측면에서의 차이가 없다.
루프아웃 접속 구조 하에서 어떠한 지점에 접속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기한 방식에 따라서 대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불량 지점이 제1컨텐츠소스(1001) 및 제1디스플레이장치(1010) 사이에 발생한다면, 모든 디스플레이장치(1000)는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0)는 루프아웃 접속 구조 하에서 발생하는 접속불량에 대해, 제1컨텐츠소스(1001) 및 제2컨텐츠소스(1002) 중 어느 하나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츠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각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의 스위치 구조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할 스위치 구조는 한 가지 구현 형태에 불과하며, 이하 실시예가 스위치의 구현 방식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에 적용되는 스위치의 회로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신호입출력부에 적용되는 스위치(1100)는 T1, T2, T3, T4의 네 단자와, 프로세서에 접속된 선택단자 SEL과, T1 및 T3에 접속된 제1스위칭회로(1110)와, T1 및 T4에 접속된 제2스위칭회로(1120)와, T2 및 T3에 접속된 제3스위칭회로(1130)와, T2 및 T4에 접속된 제4스위칭회로(1140)와, 제2스위칭회로(1120) 및 SEL에 접속된 제1인버터(1150)와, 제3스위칭회로(1130) 및 SEL에 접속된 제2인버터(1160)를 포함한다. T1, T2, T3, T4의 네 단자의 역할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프로세서는 SEL을 통해 제어신호를 인가함으로써, T1을 T3 및 T4 중 어느 하나와 접속시키고, T2를 T3 및 T4 중 어느 하나와 접속시킨다.
각 스위칭회로(1110, 1120, 1130, 1140)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신호경로를 형성하는 제1신호단자 SG1 및 제2신호단자 SG2와, SG1 및 SG2 사이의 신호경로를 선택적으로 허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어단자 CON을 포함한다.
제1스위칭회로(1110)는 SEL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T1 및 T3 사이의 신호 전송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제1스위칭회로(1110)의 SG1은 T1에 접속되며, SG2는 T3에 접속되며, CON은 SEL에 접속된다.
제2스위칭회로(1120)는 SEL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T1 및 T4 사이의 신호 전송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제2스위칭회로(1120)의 SG1은 T1에 접속되며, SG2는 T4에 접속되며, CON은 제1인버터(1150)를 통해 SEL에 접속된다.
제3스위칭회로(1130)는 SEL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T2 및 T3 사이의 신호 전송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제3스위칭회로(1130)의 SG1은 T2에 접속되며, SG2는 T3에 접속되며, CON은 제2인버터(1160)를 통해 SEL에 접속된다.
제4스위칭회로(1140)는 SEL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T2 및 T4 사이의 신호 전송을 허용 또는 차단한다. 제4스위칭회로(1140)의 SG1은 T2에 접속되며, SG2는 T4에 접속되며, CON은 SEL에 접속된다.
제1인버터(1150)는 SEL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반전시킨다. 즉, 제1인버터(1150)는 인가되는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로우 레벨로, 제어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하이 레벨로 변환하여 제2스위칭회로(1120)의 CON에 인가한다.
제2인버터(1160)는 SEL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반전시킨다. 즉, 제2인버터(1160)는 인가되는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로우 레벨로, 제어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하이 레벨로 변환하여 제3스위칭회로(1130)의 CON에 인가한다.
복수의 스위칭회로(1110, 1120, 1130, 1140)는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과 같은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스위치(1100)에 인버터(1150, 1160)을 사용하는 경우에, 복수의 스위칭회로(1110, 1120, 1130, 1140)는 N채널 MOSFET 또는 P채널 MOSFET 중 어느 하나로 통일된다.
반면, 제1스위칭회로(1110) 및 제4스위칭회로(1140)의 한 쌍에 적용하는 MOSFET와, 제2스위칭회로(1120) 및 제3스위칭회로(1130)의 한 쌍에 적용하는 MOSFET를, 서로 대치되는 타입으로 구현한다면, 스위치(1100)에서 인버터(1150, 1160)는 생략된다. 즉, 제1스위칭회로(1110) 및 제4스위칭회로(1140)를 P채널 MOSFET로 구현하고, 제2스위칭회로(1120) 및 제3스위칭회로(1130)를 N채널 MOSFET로 구현하는 경우에, 인버터(1150, 1160)는 생략된다. 또는, 제1스위칭회로(1110) 및 제4스위칭회로(1140)를 N채널 MOSFET로 구현하고, 제2스위칭회로(1120) 및 제3스위칭회로(1130)를 P채널 MOSFET로 구현하는 경우에도, 인버터(1150, 1160)는 생략된다
이하, 상기한 스위치(1100)가 제1상태에 있을 때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의 스위치가 제1상태에 있을 때의 신호 전달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200)의 SEL에 제1상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어신호는 T1 및 T3 사이에 마련된 제1스위칭회로(1210)와, T2 및 T4 사이에 마련된 제4스위칭회로(1240)에 각각 입력된다.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1스위칭회로(1210) 및 제4스위칭회로(1240)가 턴온되며, T1 및 T3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T2 및 T4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어신호가 제1인버터(1250) 및 제2인버터(1260)로 입력되면, 제1인버터(1250) 및 제2인버터(1260)는 입력된 제어신호가 반전된 신호를 T1 및 T4 사이에 마련된 제2스위칭회로(1220)와, T2 및 T3 사이에 마련된 제3스위칭회로(1230)에 전달한다. 이 반전된 신호에 따라서 제2스위칭회로(1220) 및 제3스위칭회로(1230)가 턴오프되며, T1 및 T4 사이가 전기적으로 단절되고, T2 및 T3 사이가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이하, 스위치(1200)가 제2상태에 있을 때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도 11의 스위치가 제2상태에 있을 때의 신호 전달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300)의 SEL에 제2상태를 지시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어신호는 T1 및 T3 사이에 마련된 제1스위칭회로(1310)와, T2 및 T4 사이에 마련된 제4스위칭회로(1340)에 각각 입력된다.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1스위칭회로(1310) 및 제4스위칭회로(1340)가 턴오프되며, T1 및 T3 사이가 전기적으로 단절되고, T2 및 T4 사이가 전기적으로 단절된다.
또한, 제어신호가 제1인버터(1350) 및 제2인버터(1360)로 입력되면, 제1인버터(1350) 및 제2인버터(1360)는 입력된 제어신호가 반전된 신호를 T1 및 T4 사이에 마련된 제2스위칭회로(1320)와, T2 및 T3 사이에 마련된 제3스위칭회로(1330)에 전달한다. 이 반전된 신호에 따라서 제2스위칭회로(1320) 및 제3스위칭회로(1330)가 턴온되며, T1 및 T4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T2 및 T3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각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포트를 통한 제1컨텐츠신호의 수신이 비정상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제2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1포트 및 제2포트의 역할의 스위칭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수행될 수도 있는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스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14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한다.
14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되는 제1컨텐츠신호를 처리하는 한편, 제2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14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포트 및 제2포트의 역할을 스위칭하도록 지시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14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한다.
14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수신되는 제2컨텐츠신호를 처리하는 한편, 제1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반면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현 상태대로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 처리 및 출력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제1포트 및 제2포트의 역할을 스위칭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컨텐츠소스가 출력하는 제1컨텐츠신호 및 제2컨텐츠소스가 출력하는 제2컨텐츠신호가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컨텐츠신호 및 제2컨텐츠신호가 서로 상이한 경우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본적 동작은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일부 상이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제1컨텐츠신호 및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 동작은 디스플레이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15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고, 제2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15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제1컨텐츠신호에 기반한 제1컨텐츠영상을 표시한다.
15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컨텐츠신호가 비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컨텐츠신호가 비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15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포트를 통해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고, 제1포트를 통해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155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제2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제2컨텐츠신호에 기반한 제2컨텐츠영상을 표시한다.
반면, 제1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1560 단계에서 제1컨텐츠신호의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컨텐츠신호의 컨텐츠 재생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1540 단계로 이행한다.
반면, 제1컨텐츠신호의 컨텐츠 재생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장치는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컨텐츠신호가 재생 중에 비정상적으로 수신되는 경우거나 또는 제1컨텐츠신호가 정상적으로 재생이 종료된 경우에 응답하여,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 및 재생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두 대의 컨텐츠소스가 각각 마련되며, 제1컨텐츠소스가 루프아웃 접속 순서의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제1컨텐츠신호를 출력하고, 제2컨텐츠소스가 루프아웃 접속 순서의 마지막 디스플레이장치에 제2컨텐츠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하나의 컨텐츠소스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 및 마지막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 컨텐츠신호를 출력하는 구성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서 컨텐츠소스가 컨텐츠신호를 제공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컨텐츠소스(1601)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610, 1620, 1630, 1640, 1650, 1660, 1670, 1680, 1690)을 포함한다. 각 디스플레이장치(1610, 1620, 1630, 1640, 1650, 1660, 1670, 1680, 1690)의 구조 및 동작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컨텐츠소스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고 제2컨텐츠소스가 마지막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소스(1601)가 하나만이 마련되는 대신, 컨텐츠소스(1601)가 루프아웃 순서가 첫 번째인 제1디스플레이장치(1610) 및 루프아웃 순서가 마지막인 제9디스플레이장치(1690)에 각각 접속되며, 접속된 제1디스플레이장치(1610) 및 제9디스플레이장치(1690)에 각기 컨텐츠신호를 출력한다.
정상 상태에서는 컨텐츠소스(1601)가 제1디스플레이장치(1610)에 출력하는 제1컨텐츠신호가 모든 디스플레이장치(1610, 1620, 1630, 1640, 1650, 1660, 1670, 1680, 1690)에 전달된다. 이 경우에, 마지막 순서인 제9디스플레이장치(1690)는 제8디스플레이장치(1680)로부터 제1컨텐츠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컨텐츠소스(1601)로부터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데, 이 중에서 제1컨텐츠신호를 사용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루프아웃 접속에서 접속불량이 발생하면,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16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1620) 사이에 접속불량이 발생하면, 제1디스플레이장치(1610)를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장치(1620, 1630, 1640, 1650, 1660, 1670, 1680, 1690)는 제9디스플레이장치(1690)가 컨텐츠소스(1601)로부터 수신하는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한다. 제2컨텐츠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은 앞선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컨텐츠소스(1601)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장치(1610, 1620, 1630, 1640, 1650, 1660, 1670, 1680, 1690) 간의 루프아웃 접속 구조에서 접속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대처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컨텐츠소스가 디스플레이장치에 케이블을 통해 다이렉트로 접속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컨텐츠소스가 디스플레이장치와 광역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접속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루프아웃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사이는 케이블로 접속되는 반면, 컨텐츠소스와 디스플레이장치 사이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접속될 수도 있다.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망은 케이블망이나 전화망과 같은 인터넷을 포함하며, 무선 통신망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망은 CDMA, WCDMA, GSM, LET(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등의 이동 통신 서비스 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통신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구현될 통신 서비스의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망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제공되는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허브(hub), 라우터(router), 게이트웨이(gateway) 등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의 동작은, 해당 장치에 탑재된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제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인간 수준 내지는 인간 수준에 버금가는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계, 장치 또는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사용 경험의 누적에 기반하여 인식률 및 판단 정확도가 향상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하고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계학습(deep-running) 기술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의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요소 기술들은, 예를 들면 인간의 언어와 문자를 인식하는 언어적 이해 기술,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는 시각적 이해 기술,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추론 및 예측 기술,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처리하는 지식 표현 기술, 차량의 자율 주행이나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언어적인 이해는 인간의 언어 또는 문자를 인식하고 응용 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의 처리, 기계 번역, 대화 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 및 합성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 및 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데이터의 생성 및 분류와 같은 지식 구축, 데이터의 활용과 같은 지식 관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100 : 시스템
110 : 제1컨텐츠소스
120 : 제2컨텐츠소스
13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규격에 기반하여 상호 직렬 연결되며 제1소스장치 또는 제2소스장치의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단 디스플레이장치 및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와 각각 연결되는 신호입출력부와;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소스장치의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 중에,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2소스장치의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신호입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상기 제2영상신호는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1채널과,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채널과 상이한 제2채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채널 및 상기 제2채널과 상이한 제3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채널을 통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채널을 통한 상기 제1영상신호의 수신 동작에서 기 설정된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채널을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상기 제1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서 패킷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기 설정된 에러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디스플레이포트 규격에 기반하여 상호 직렬 연결되며 제1소스장치 또는 제2소스장치의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소스장치의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 중에,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2소스장치의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상기 제2영상신호는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1채널과,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채널과 상이한 제2채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채널 및 상기 제2채널과 상이한 제3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채널을 통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채널을 통한 상기 제1영상신호의 수신 동작에서 기 설정된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채널을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상기 제1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서 패킷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기 설정된 에러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포트 규격에 기반하여 상호 직렬 연결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전단 디스플레이장치 및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와 각각 연결되는 신호입출력부와;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1소스장치의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 중에,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제2소스장치의 제2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신호입출력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1영상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제2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제1포트를 통해 상기 제2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상기 제2영상신호는 동일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출력부는,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1포트와, 상기 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접속되는 제2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1채널과,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확인신호를 수신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채널과 상이한 제2채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제1채널 및 상기 제2채널과 상이한 제3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채널을 통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채널을 통한 상기 제1영상신호의 수신 동작에서 기 설정된 에러가 감지되면 상기 전단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제1영상신호의 정상적인 전달 여부의 확인을 요청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80084754A 2018-07-20 2018-07-20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564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754A KR102564110B1 (ko) 2018-07-20 2018-07-20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7/256,801 US11276366B2 (en) 2018-07-20 2019-07-17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9/008819 WO2020017882A1 (ko) 2018-07-20 2019-07-17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754A KR102564110B1 (ko) 2018-07-20 2018-07-20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830A true KR20200009830A (ko) 2020-01-30
KR102564110B1 KR102564110B1 (ko) 2023-08-08

Family

ID=6916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754A KR102564110B1 (ko) 2018-07-20 2018-07-20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76366B2 (ko)
KR (1) KR102564110B1 (ko)
WO (1) WO20200178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741A1 (en) * 2020-04-17 2021-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22065531A1 (ko) * 2020-09-22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0902A (zh) * 2021-03-31 2021-06-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屏及其控制方法、系统
WO2024106254A1 (ja) * 2022-11-14 2024-05-2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コントローラ及び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7580A (ja) * 2016-05-17 2017-1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80068470A (ko) * 2016-12-14 2018-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068434U (zh) 2010-12-28 2011-12-07 天津钢铁集团有限公司 Plc中星型连接的通讯结构
JP2013085052A (ja) * 2011-10-07 2013-05-09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及び再生装置
US9911176B2 (en) * 2014-01-11 2018-03-06 Userfu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s into sub-image portions for output to a plurality of displays such as a network video wall
KR102206171B1 (ko) 2014-10-27 2021-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지 체인 형태의 멀티비전 및 그의 id할당 방법
KR101548351B1 (ko) * 2014-12-08 2015-08-28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다중신호 전송라인으로 제어되는 자가진단 및 복구형 전광판 시스템
KR102496339B1 (ko) 2017-10-31 202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07580A (ja) * 2016-05-17 2017-11-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マルチ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80068470A (ko) * 2016-12-14 2018-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741A1 (en) * 2020-04-17 2021-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422766B2 (en) 2020-04-17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11861256B2 (en) 2020-04-17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22065531A1 (ko) * 2020-09-22 2022-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75231A1 (en) 2021-12-02
KR102564110B1 (ko) 2023-08-08
WO2020017882A1 (ko) 2020-01-23
US11276366B2 (en)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4110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262627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managing output of an HDMI source
KR102560850B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JP7110272B2 (ja) 電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003262B1 (ko) 미디어 센터 컴퓨팅 디바이스의 hdmi 네트워크 제어
US8886846B2 (en) Flexible implementation of serial bus support over display interface
TWI569612B (zh) 用於數據傳輸模式間轉換之傳訊
US20140092004A1 (en) Audio information and/or control via an intermediary device
US20210173609A1 (en) Intelligent interactive all-in-one machine
JP2013005265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CN110750966A (zh) 一种批注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959153B (zh) 一种一体机、数据续传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225242A (zh) 视频播放容灾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JP4970607B1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伝送方法
JP2018194913A (ja) 電子機器および方法
CN211378164U (zh) 一种主显示设备和显示系统
CN110892391A (zh) 数据处理系统
KR102026879B1 (ko) Hdmi 겸용 구동부를 통해 데이터 손실 없이 주변기기와의 hdmi 연결, usb 연결, 시리얼 연결 및 오디오 연결을 제공하는 전자교탁 시스템 및 그 연결방법
KR101841174B1 (ko) Kvm 스위치 및 kvm 스위칭 방법
CN211321431U (zh) 一种主显示设备和显示系统
TWI792746B (zh) 用於提高可程式設計器件引腳複用率的伺服器系統及方法
KR20090047798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470675B (zh) 一种数据输出方法和装置
CN115827527A (zh) 基于dp连接器的显示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20170023538A (ko) 영상처리시스템, 영상표시장치, 전자장치, 절전형 인터페이스장치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