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614A -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614A
KR20200009614A KR1020180084207A KR20180084207A KR20200009614A KR 20200009614 A KR20200009614 A KR 20200009614A KR 1020180084207 A KR1020180084207 A KR 1020180084207A KR 20180084207 A KR20180084207 A KR 20180084207A KR 20200009614 A KR20200009614 A KR 20200009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grip pattern
user
event situation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591B1 (ko
Inventor
강기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4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5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서의 이벤트 상황 시 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CONTROL APPARATUS FOR CERTICIFIC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서의 이벤트 상황 시 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이하, '단말장치'라 칭함)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단말장치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와 같은 단말장치 내에는 적어도 수 개에서 수백 개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을 실행시키기 위한 객체들(또는 단축 아이콘)이 휴대 단말의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또한,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장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스크린을 활용하여 단말장치에 잠금을 설정하거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는 미리 결정된 잠금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잠금 상태로 진입하여 단말장치의 동작을 제한한다.
그리고, 특정한 조건이 발생할 경우 잠금 상태의 단말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잠금 화면(lock screen)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건의 예로는 특정 키의 입력, 콜,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와 같은 호출의 발생 및 단말장치의 상태 알람 등이 있다.
이러한,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는 단말장치에 잠금 화면이 표시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스처를 스크린 상에 입력하거나 미리 약속된 키 또는 암호, 내지는 사전 등록된 지문을 입력하는 방식 등의 일련의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헌데, 이러한 사용자 인증은 단말장치의 불법 사용 방지, 개인 정보 보호 등의 측면에서는 필수적이나,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사용자의 직접 조작이 필요한 관계로,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의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에서의 이벤트 상황 시 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단말장치에서의 이벤트 상황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확인하는 확인명령; 및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이벤트 상황과 매칭된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그립패턴은,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학습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그립패턴은, 상기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그립패턴은,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 중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사용자그립패턴으로 학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이 생략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한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으로 지문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기준그립패턴과 일치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해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한 서비스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이 생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에서의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이벤트 상황과 매칭된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준그립패턴은,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학습하여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그립패턴은, 상기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그립패턴은,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 중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사용자그립패턴으로 학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이 생략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한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으로 지문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기준그립패턴과 일치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해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한 서비스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단말장치에서의 이벤트 상황 시 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인증이 처리되는 단말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인증과정 처리 결과에 따라 유무선 접속된 단말장치(10)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장치(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이란 단말장치(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 상황 예컨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잠금 화면(lock screen)을 해제하거나, 또는 단말장치(10)가 지원하는 특정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인증 절차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증이 처리되는 단말장치(10)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단말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로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가입자단말이기(Portable Terminal), 이동 가입자단말이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가입자단말이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가입자단말이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가입자단말이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가입자단말이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가입자단말이기(Smartwatch), 글래스형 가입자단말이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가입자단말이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가입자단말이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가입자단말이기,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홈 시어터(Home Theater) 시스템, AVN(Audio Video Navigation) 가입자단말이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서블 가입자단말이기(Flexible Terminal) 등이 해당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터치스크린을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단말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장치(20)는 유무선 접속된 단말장치(10)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장치(20)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서의 구성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구성에 따라 단말장치(10)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 상황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배경 기술에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에서의 사용자 인증은, 단말장치(10)의 잠금 화면이 표시된 이후, 미리 설정된 제스처를 스크린 상에 입력하거나 미리 약속된 키 또는 암호, 내지는 사전 등록된 지문을 입력하는 방식 등을 통해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헌데, 이러한 사용자 인증은 단말장치(10)의 불법 사용 방지, 개인 정보 보호 등의 측면에서는 필수적인 반면,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사용자의 직접 조작이 필요한 관계로,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인증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 및 서비스장치(2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확인하는 확인부(11), 및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단말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확인부(11), 및 제어부(12)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서비스장치(20)의 통신을 위한 RF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부(1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통신부(13)의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통신부(1310)에 해당하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는 전술한 구성에 따라 단말장치(10)에서의 이벤트 상황 시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확인부(11)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11)는 단말장치(10)에서의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그립패턴은,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단말장치(10)에서의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사용자가 단말장치(10)를 파지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이벤트 상황으로는, 예컨대, 잠금을 해제하려는 상황, 걸려온 전화를 받으려고 하는 상황,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려는 상황, 및 서비스장치(20)로 유무선 접속되는 상황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단말장치(10)가 지원하는 기능과 관련된 상황은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 간의 비교 결과에 따라 단말장치(1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의 사용자그립패턴이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사용자그립패턴과 감지된 이벤트 상황과 매칭되는 기준그립패턴을 상호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기준그립패턴은,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준그립패턴이란,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한 결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처럼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생성되는 기준그립패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 중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기준그립패턴으로 학습하는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2)는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의 사용자그립패턴과 해당 이벤트 상황과 매칭된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한 결과,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이벤트 상황에서 요구되는 단말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단말장치(10)에서 사용자 인증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별도의 사용자 인증 없이도 이벤트 상황을 처리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한 단말장치(10)에서의 별도의 지문인식이 요구되는 경우,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기준그립패턴과 일치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해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게 되며, 이때 지문인식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그립패턴 영역에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우 현재 파지 상태 그대로 지문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지문인식을 위해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상태를 변경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도 이벤트 상황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벤트 상황에는 단말장치(10)가 서비스장치(20)로 유무선 접속된 상황이 고려될 수 있으며, 특히 서비스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을 위해서 사용자 인증(예: 로그인)이 요구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이벤트 상황의 처리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가 접속한 서비스장치에서의 사용자인증과정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서비스장치(20)에서의 별도 사용자 인증 없이도 이벤트 상황이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 경우, 서비스장치(2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로부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처럼 단말장치(10)로부터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서비스 이용 시 필요한 사용자 인증 절차가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단말장치(1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실제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를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될 내용은 앞서 설명한 단말장치(10) 내 각 구성을 하드웨어 시스템(1000)으로 구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부(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부(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를 통해 메모리부(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부(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부(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장치(10) 내 구성인 확인부(11), 및 제어부(12)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OS)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부(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는 프로세서부(1100)와 주변장치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변장치의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부(1310), 및 입출력부(13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제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부(132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서 메모리부(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부(110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형태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1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1300)를 매개로 통신부(1310)와 입출력부(132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함으로써, 단말장치(10)에서의 이벤트 상황 시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서비스장치(2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정당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21), 및 사용자 인증을 제어하는 제어부(2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의 확인부(21), 및 제어부(22)를 포함하는 서비스장치(2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서비스장치(2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서비스장치(2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은 전술한 구성 이외에, 단말장치(10)과의 실질적인 통신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2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통신부(23)의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될 통신부(2310)과 대응하는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는 전술한 구성에 따라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의 정당 사용자 여부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생략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서비스장치(2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확인부(21)는 정당 사용자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21)는 유무선 접속된 단말장치(10)가 전송하는 확인정보로부터 단말장치(10)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는 자신을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판단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신을 파지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서비스장치(2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에서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을 다음과 같다.
단말장치(10)는 서비스장치(20)와 연계된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그립패턴은,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단말장치(10)에서의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사용자가 단말장치(10)를 파지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는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의 사용자그립패턴이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사용자그립패턴과 감지된 이벤트 상황과 매칭되는 기준그립패턴을 상호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기준그립패턴은,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준그립패턴이란,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한 결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처럼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생성되는 기준그립패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 중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기준그립패턴으로 학습하는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나아가, 단말장치(20)는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의 사용자그립패턴과 해당 이벤트 상황과 매칭된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한 결과,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이벤트 상황에서 요구되는 단말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정보를 서비스장치(2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단말장치(10)에서 감지되는 이벤트 상황이 서비스장치(20)와 연계된 것이 아닌 단말장치(10) 자체 기능과 관련된 경우라면, 단말장치(10)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인증을 생략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자신을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별도의 사용자 인증 없이도 이벤트 상황을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지문인식이 요구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기준그립패턴과 일치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해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자신을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게 되며, 이때 지문인식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그립패턴 영역에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우 현재 파지 상태 그대로 지문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22)는 사용자 인증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는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확인정보로부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말장치(10)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생략하게 된다.
이로써, 단말장치(10)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라면, 서비스 이용을 위해 요구되는 별도의 사용자 인증 절차 없이도, 서비스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서비스장치(20) 내 각 구성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실제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를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서술될 내용은 앞서 설명한 서비스장치(20) 내 각 구성을 하드웨어 시스템(2000)으로 구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2000)은, 프로세서부(2100),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2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부(2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를 통해 메모리부(2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부(2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부(2210)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비스장치(20) 내 각 구성인 확인부(21), 및 제어부(22)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OS)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부(2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는 프로세서부(2100)와 주변장치 간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변장치의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부(2310) 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제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2000)에서 메모리부(2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서비스장치(2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부(210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형태로 메모리 인터페이스부(22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부(2300)를 매개로 통신부(2310)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함으로써,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의 정당 사용자 여부에 따라 서비스 이용을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시스템 내 각 구성에 따르면, 단말장치(10)에서의 이벤트 상황 시 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될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은 단말장치(10)가 서비스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수신을 위해 서비스장치(20)로 유무선 접속된 이벤트 상황임을 전제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단말장치(10)는 서비스장치(20)와 연계된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확인한다(S11-S12).
여기서, 사용자그립패턴은,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단말장치(10)에서의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사용자가 단말장치(10)를 파지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말장치(10)는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의 사용자그립패턴이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사용자그립패턴과 감지된 이벤트 상황과 매칭되는 기준그립패턴을 상호 비교한다(S13-S14).
여기서, 기준그립패턴은,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준그립패턴이란,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한 결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처럼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생성되는 기준그립패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 중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기준그립패턴으로 학습하는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나아가, 단말장치(20)는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의 사용자그립패턴과 해당 이벤트 상황과 매칭된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한 결과,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이벤트 상황에서 요구되는 단말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한다(S15-S16).
이때,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정보를 서비스장치(20)로 전달한다.
나아가, 서비스장치(20)는 유무선 접속된 단말장치(10)가 전송하는 확인정보로부터 단말장치(10)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7).
이후, 서비스장치(20)는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확인정보로부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말장치(10)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생략한다(S18).
이로써, 단말장치(10)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라면, 서비스 이용을 위해 요구되는 별도의 사용자 인증 절차 없이도, 서비스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단말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확인부(11)는 단말장치(10)에서의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확인한다(S21-S22).
여기서, 사용자그립패턴은,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단말장치(10)에서의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사용자가 단말장치(10)를 파지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의 이벤트 상황으로는, 예컨대, 잠금을 해제하려는 상황, 걸려온 전화를 받으려고 하는 상황,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려는 상황, 및 서비스장치(20)로 유무선 접속되는 상황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단말장치(10)가 지원하는 기능과 관련된 상황은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0)는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의 사용자그립패턴이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사용자그립패턴과 감지된 이벤트 상황과 매칭되는 기준그립패턴을 상호 비교한다(S23-S24).
여기서, 기준그립패턴은,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준그립패턴이란,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한 결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처럼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생성되는 기준그립패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 중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기준그립패턴으로 학습하는 방식을 따를 수 있다.
이후, 제어부(12)는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의 사용자그립패턴과 해당 이벤트 상황과 매칭된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한 결과,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이벤트 상황에서 요구되는 단말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한다(S25-S26).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단말장치(10)에서 사용자 인증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별도의 사용자 인증 없이도 이벤트 상황을 처리할 수 있도록 단말장치(10)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한 단말장치(10)에서의 별도의 지문인식이 요구되는 경우,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기준그립패턴과 일치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해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게 되며, 이때 지문인식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그립패턴 영역에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우 현재 파지 상태 그대로 지문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지문인식을 위해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상태를 변경하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도 이벤트 상황에 해당하는 단말장치(10)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벤트 상황에는 단말장치(10)가 서비스장치(20)로 유무선 접속된 상황이 고려될 수 있으며, 특히 서비스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을 위해서 사용자 인증(예: 로그인)이 요구되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이벤트 상황의 처리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가 접속한 서비스장치에서의 사용자인증과정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서비스장치(20)에서의 별도 사용자 인증 없이도 이벤트 상황이 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 경우, 서비스장치(2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로부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처럼 단말장치(10)로부터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서비스 이용 시 필요한 사용자 인증 절차가 생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마치고, 서비스장치(20)에서의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장치(20)에서의 동작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확인부(21)는 단말장치(10)와 관련된 이벤트 상황 발생에 따라 유무선 접속된 단말장치(10)가 전송하는 확인정보로부터 단말장치(10)를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정당 사용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1-S33).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는 자신을 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판단 결과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신을 파지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임을 확인하는 확인정보를 서비스장치(2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에서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을 다음과 같다.
단말장치(10)는 서비스장치(20)와 연계된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시점에 해당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그립패턴은,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단말장치(10)에서의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사용자가 단말장치(10)를 파지한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10)는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의 사용자그립패턴이 확인되는 경우, 확인된 사용자그립패턴과 감지된 이벤트 상황과 매칭되는 기준그립패턴을 상호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기준그립패턴은,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학습하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준그립패턴이란,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단말장치(10)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한 결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처럼 단말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생성되는 기준그립패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 중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기준그립패턴으로 학습하는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나아가, 단말장치(20)는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의 사용자그립패턴과 해당 이벤트 상황과 매칭된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한 결과,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일치하는 경우, 이벤트 상황에서 요구되는 단말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정보를 서비스장치(2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단말장치(10)에서 감지되는 이벤트 상황이 서비스장치(20)와 연계된 것이 아닌 단말장치(10) 자체 기능과 관련된 경우라면, 단말장치(10)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인증을 생략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자신을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여, 별도의 사용자 인증 없이도 이벤트 상황을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지문인식이 요구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기준그립패턴과 일치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해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자신을 파지한 사용자를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하게 되며, 이때 지문인식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그립패턴 영역에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우 현재 파지 상태 그대로 지문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제어부(22)는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확인정보로부터 단말장치(10)를 파지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단말장치(10)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요구되는 사용자 인증 절차를 생략한다(S33-S35).
이로써, 단말장치(10)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라면, 서비스 이용을 위해 요구되는 별도의 사용자 인증 절차 없이도, 서비스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시스템 내 각 구성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10)에서의 이벤트 상황 시 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부,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부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부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부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구매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에서의 이벤트 상황 시 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과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단말장치
11: 확인부 12: 제어부
20: 서비스장치
21: 확인부 22: 제어부

Claims (12)

  1. 단말장치에서의 이벤트 상황을 처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확인하는 확인명령; 및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이벤트 상황과 매칭된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그립패턴은,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학습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그립패턴은,
    상기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그립패턴은,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 중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사용자그립패턴으로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한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으로 지문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기준그립패턴과 일치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해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은,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한 서비스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단말장치에서의 이벤트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이벤트 상황과 매칭된 기준그립패턴을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단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그립패턴은,
    상기 단말장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상황 별로,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을 학습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그립패턴은,
    상기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 및 면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그립패턴은,
    각 이벤트 상황 감지 시점에 확인되는 사용자그립패턴 중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과의 접촉이 유지되는 사용자그립패턴으로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를 위한 상기 단말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으로 지문인식이 필요한 경우, 상기 단말장치의 터치스크린 영역에서 상기 기준그립패턴과 일치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해 지문인식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사용자그립패턴과 상기 기준그립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상황의 처리와 관련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한 서비스장치에서의 사용자 인증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084207A 2018-07-19 2018-07-19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33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207A KR102533591B1 (ko) 2018-07-19 2018-07-19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207A KR102533591B1 (ko) 2018-07-19 2018-07-19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14A true KR20200009614A (ko) 2020-01-30
KR102533591B1 KR102533591B1 (ko) 2023-05-17

Family

ID=6932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207A KR102533591B1 (ko) 2018-07-19 2018-07-19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5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063A (ko) * 2005-05-23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식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1063A (ko) * 2005-05-23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591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1857B2 (en) Electronic stamp system for security intensificat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US9578445B2 (en) Systems and methods to synchronize data to a mobile device based on a device usage context
US20110247013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Applications on an External Device and Vehicle Systems
JP6569006B2 (ja) キーをセキュアにアクティベートまたはリボーク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
US20130269026A1 (en) Restricted access memory device providing short range communication-based security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1083181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picture frame, electronic picture frame, electronic picture frame cloud platform and mobile terminal
CN113841143A (zh) 保护usb输入设备上的固件安装
US10382964B2 (en) Device activity control
US11625480B2 (en) Mobile device with secure private memory
US20170344737A1 (en) Unlocking control system, method and wearable device using the same
KR102533591B1 (ko)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410332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to an authentication device
US97745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by near field communication
KR20240024112A (ko) 비접촉식 카드 통신 및 다중 디바이스 키 쌍 암호화 인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6500176A (ja) ライセンスの以前および現在の状態から決定されるアプリケーション・モード
US10091191B2 (en) Distributed authorization
CN113507445B (zh) 一种物联网第三方规则安全性的检测方法和装置
US20170060612A1 (en) Terminal device, system for controlling virtual machine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KR102534032B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보안 강화를 위한 전자 도장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6107820A1 (en) A method for accessing a shared wireless device using a client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nd devices for the same
WO2023224616A1 (en) Command authentications
KR20240021850A (ko) 분산 저장소를 사용한 비접촉식 카드 통신 및 키 쌍 암호화 인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A2812383C (en) Restricted access memory device providing short range communication-based security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KR20160105724A (ko) Otp를 이용한 근거리 사용자 인식 시스템
KR20160105958A (ko) Otp를 이용한 근거리 사용자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