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327A - 복수 카메라와 촬영 버튼을 구비한 핸드폰 - Google Patents

복수 카메라와 촬영 버튼을 구비한 핸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327A
KR20200009327A KR1020180083542A KR20180083542A KR20200009327A KR 20200009327 A KR20200009327 A KR 20200009327A KR 1020180083542 A KR1020180083542 A KR 1020180083542A KR 20180083542 A KR20180083542 A KR 20180083542A KR 20200009327 A KR20200009327 A KR 20200009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phone
button
camera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7175B1 (ko
Inventor
전대형
Original Assignee
전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형 filed Critical 전대형
Priority to KR1020180083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1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핸드폰은 측면 및 하부 카메라를 구비하여 사각지대를 포함한 전방향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측면 카메라용 버튼은 측면에 독립하여 별도로 설치되므로 조작이 편리하다. 본 발명의 핸드폰은 또한 핸드폰의 뒷면 하단에 하부 카메라를 더 설치하거나 화면 캡춰 버튼을 더 설치한 예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복수 카메라와 촬영 버튼을 구비한 핸드폰{Cellular phone having multiple camera and push buttons therefor}
본 발명은 핸드폰에 복수의 카메라와 촬영 버튼을 설치하여 촬영과 조작을 편리하게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핸드폰은 전면과 후면의 상부 중앙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있다. 카메라 렌즈를 광각렌즈로 채용하여 최대한 광각을 넓히고 있으나, 360도 전방향이나 90도에 가까운 양측면을 동시에 촬영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전방의 장면을 촬영한 후 핸드폰의 위치를 바꿔 다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한편, 카메라의 촬영 동작을 위한 버튼은 핸드폰에 구비되어 있지 않고 어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카메라 이미지를 터치하여 촬영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핸드폰 화면의 캡춰를 위해서는 예를 들어 전원오프 버튼과 홈 버튼을 동시에 누르는 방식이 있고 이를 위하여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핸드폰에 별도의 촬영 버튼을 설치함으로써 해소 가능할 것이다.
특허문헌으로 공개특허 제10-2013-138150호는 다중 카메라들을 이용한 다중 채널 통신 방법, 시스템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전자 장치들 사이의 비디오 통신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제1 전자 장치의 복수의 카메라들을 사용하는 복수의 비디오 피드들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핸드폰에 관한 것이 아니며, 실시간 비디오 채팅을 위한 것에 관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와 이를 위한 복수의 촬영 버튼을 구비하여 전방향으로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는 핸드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구비한 핸드폰은 우측면 및 좌측면에 우측면 카메라 및 좌측면 카메라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을 제공한다.
상기 핸드폰은 전면, 후면, 우측면 및 좌측면 카메라가 촬영한 각각의 화상을 합성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핸드폰은 우측면 및 좌측면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각의 촬영버튼을우측면 및 좌측면에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핸드폰은 상기 우측면 및 좌측면 카메라 촬영 버튼을 눌러 우측면 및 좌측면 각각의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핸드폰은 후면의 모서리의 상부 양 측면에 카메라 촬영 버튼 및 핸드폰 화면 캡춰 전용 버튼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핸드폰은 그 후면의 하단 중앙에 하부 카메라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 및 하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각 지대가 없는 360도 범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면 카메라 버튼을 추가하여 측면 화상 촬영을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사진 촬영이 편리하고 조작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핸드폰의 후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에 있어서 좌측면 카메라 버튼과 우측면 카메라 버튼을 각각의 측면에 설치한 것을 보인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에 있어서 촬영 버튼과 화면 캡춰전용 버튼을 설치한 것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핸드폰(1)의 후면도, 도 2는 우측면도, 그리고 도 3은 좌측면도이다.
도면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핸드폰(1)은 전면 카메라(2') 및 후면 카메라(2)에 더하여 하부 카메라(4), 우측면 카메라(6) 및 좌측면 카메라(8)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카메라(4)는 핸드폰(1) 뒷면 하단의 중앙에 후면 카메라(2)와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우측면 및 좌측면 카메라(6,8)는 각각의 측면의 중앙에 설치된다. 그러나, 카메라의 설치 위치는 측면의 중앙에서 약간 상부 또는 하부이어도 좋다.
하부 카메라(4)는 핸드폰이 전면을 향하는 경우 핸드폰을 중심으로 그 하부를 촬영한다. 우측면 카메라(6)는 핸드폰의 우측면이 향하는 방향, 즉 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90도 경사진 방향을 정중앙으로 그 좌우를 촬영한다. 좌측면 카메라(8)는 핸드폰의 좌측면이 향하는 방향, 즉 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90도 경사진 방향을 정중앙으로 그 좌우를 촬영한다. 따라서, 전면, 후면, 하부 및 양측면 카메라(2,2',4,6,8)를 이용하면 숨어 있는 사각 지대를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360도 범위의 이미지를 핸드폰의 자세나 위치 전환 없이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다. 또, 각각의 카메라와 인접해서는 플래시를 병행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핸드폰(1)을 이용하는 경우 사진 촬영은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첫째, 핸드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장착하고 복수의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합성하여 360도 범위를 보여주는 합성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다. 합성 사진의 관점은 위에서 내려다 보는 소위 버드뷰(bird view)일 수 있다.
둘째, 핸드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장착하고 각각의 카메라를 나타내는 카메라 이미지를 두어 해당 이미지를 클릭함으로써 전면 또는 후면 또는 하부 또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의 화상을 각각 획득하는 것이다. 이는 차량에 장착되는 어라운드 뷰 시스템과 유사하다.
셋째, 전면 및 후면 카메라의 촬영은 기존 방식을 이용하고, 하부 카메라(4), 우측면 카메라(6) 또는 좌측면 카메라(8)를 동작하는 버튼은 핸드폰에 별도로 설치하여 버튼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취득하는 것이다.
버튼의 동작, 사진 촬영 프로세서 및 화상의 합성과 편집은 기존에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은 정지 스틸의 사진 촬영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동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 기술이 적용됨은 물론이다.
세번째 방식과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핸드폰(1)에 있어서 좌측면 카메라 버튼(10)과 우측면 카메라 버튼(12)을 각각의 측면에 설치한 것을 보인 도면이다. 좌우측면 카메라 버튼(10,12)과 병행하여 하부 카메라 버튼 또는 전면 또는 후면 카메라용 버튼을 더 설치할 수 있다. 각각의 카메라에 대한 동작 버튼이 인접하여 설치되므로 카메라의 선택과 촬영이 용이하며 조작이 간편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핸드폰(1)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 양쪽 모서리에 두 개의 버튼(14,16)을 설치한 것이다. 이 경우 전면 또는 후면 카메라(2,2')의 촬영은 버튼(14)을 누름으로써 행하고, 핸드폰의 화면 캡춰가 필요한 경우는 버튼(16)을 눌러 행할 수 있다. 버튼(14)은 좌우측면 카메라의 동작 버튼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며, 그 위치와 개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활용하는 경우, 화면 캡춰 전용 버튼을 두고 있으므로, 화면 캡춰를 위하여 기존과 같이 양손을 동시에 조작하지 않아도 되어 동작이 매우 간편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예시를 든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핸드폰 (2): 후면 카메라 (2'): 전면 카메라 (4): 하부 카메라 (6): 우측면 카메라 (8): 좌측면 카메라 (10): 좌측면 카메라 버튼 (12): 우측면 카메라 버튼

Claims (6)

  1. 전면 카메라 및 후면 카메라를 구비한 핸드폰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은 우측면및 좌측면에 우측면 카메라 및 좌측면 카메라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은 전면, 후면, 우측면 및 좌측면 카메라가 촬영한 각각의 화상을 합성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은 우측면 및 좌측면 카메라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각의 촬영버튼을우측면 및 좌측면에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은 상기 우측면 및 좌측면 카메라 촬영 버튼을 눌러 우측면 및 좌측면 각각의 화상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은 후면의 모서리의 상부 양 측면에 카메라 촬영 버튼 및 핸드폰 화면 캡춰 전용 버튼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은 그 후면의 하단 중앙에 하부 카메라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KR1020180083542A 2018-07-18 2018-07-18 복수 카메라와 촬영 버튼을 구비한 핸드폰 KR102407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42A KR102407175B1 (ko) 2018-07-18 2018-07-18 복수 카메라와 촬영 버튼을 구비한 핸드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542A KR102407175B1 (ko) 2018-07-18 2018-07-18 복수 카메라와 촬영 버튼을 구비한 핸드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327A true KR20200009327A (ko) 2020-01-30
KR102407175B1 KR102407175B1 (ko) 2022-06-10

Family

ID=6932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542A KR102407175B1 (ko) 2018-07-18 2018-07-18 복수 카메라와 촬영 버튼을 구비한 핸드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1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037A (ko) * 1997-11-03 1999-06-05 유무성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
KR101406073B1 (ko) * 2013-03-12 2014-06-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89727A (ko) * 2014-01-28 2015-08-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초점 방식으로 영상을 생성하는 스마트폰 카메라 장치 및 방법
KR20180074093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영상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037A (ko) * 1997-11-03 1999-06-05 유무성 디지탈 스틸 카메라의 멀티 비젼 화상 표시 장치
KR101406073B1 (ko) * 2013-03-12 2014-06-11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89727A (ko) * 2014-01-28 2015-08-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초점 방식으로 영상을 생성하는 스마트폰 카메라 장치 및 방법
KR20180074093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어라운드 뷰 영상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175B1 (ko) 2022-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038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ide-area imaging and communications capability to a handheld device
US89080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aborative image capturing
US9426379B2 (en) Photographing unit, cooperative photograph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JP6328255B2 (ja) マルチ撮像装置、マルチ撮像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10219049A1 (en) Microphone pattern based on selected image of dual lens image capture device
JP6165680B2 (ja) 撮像装置
US20150070539A1 (en) Image capture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US948541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14106917A1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220070383A1 (en) Imaging apparatus with phase difference detecting element
JP7060634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2018032436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tical device thereof
JP2006033476A (ja) 撮影装置、表示装置及び撮影表示装置
US9877004B2 (en) Color-mixture-ratio calculation device and method, and imaging device
CN111246080A (zh) 控制设备、控制方法、摄像设备以及存储介质
JP2011523485A (ja) 写真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8061259A (ja) 撮影装置
KR20200009327A (ko) 복수 카메라와 촬영 버튼을 구비한 핸드폰
CN115695959A (zh) 用作运动型照相机的摄像设备
CN112104796B (zh) 图像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286072A (zh) 色彩还原装置及方法、图像处理器
US20220256080A1 (en) Panoramic photographing device and method applied to same
KR20120106019A (ko) 다기능 카메라
JP2019040004A (ja) 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方法
JP2008048436A (ja) 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