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161A -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161A
KR20200009161A KR1020180082796A KR20180082796A KR20200009161A KR 20200009161 A KR20200009161 A KR 20200009161A KR 1020180082796 A KR1020180082796 A KR 1020180082796A KR 20180082796 A KR20180082796 A KR 20180082796A KR 20200009161 A KR20200009161 A KR 2020000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ortion
sub
sub display
displayed
ic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5332B1 (ko
Inventor
이세련
우승균
명정호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332B1/ko
Priority to US16/460,075 priority patent/US11093107B2/en
Priority to CN201910598386.3A priority patent/CN110730269B/zh
Publication of KR2020000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04M1/725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image or video messaging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는, 메인 표시 부분 및 상기 메인 표시 부분에 인접한 서브 표시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메인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 및 상기 서브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들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제1 아이콘 그룹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는 활성 상태일 경우,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제2 아이콘 그룹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 및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비표시되는 비활성 상태로 제어되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에 외부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은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는 활성 상태로 제어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PORTABLE TERMINAL AND ICON ARRAN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을 수행한다. 더욱이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바탕화면에는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들(Application, 이하: 아이콘으로 설명)이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배경화면에 표시된 사진의 일부가 아이콘들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메인 표시 부분 및 상기 메인 표시 부분에 인접한 서브 표시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메인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 및 상기 서브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들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제1 아이콘 그룹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는 활성 상태일 경우,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제2 아이콘 그룹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 및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비표시되는 비활성 상태로 제어되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에 외부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은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는 활성 상태로 제어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이콘 그룹은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제1 서브 아이콘 그룹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제2 서브 아이콘 그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외부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은 제3 서브 아이콘 그룹 및 제4 서브 아이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외부 입력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3 서브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며,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4 서브 아이콘 그룹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3 서브 아이콘 그룹 및 제4 서브 아이콘 그룹이 각각 표시될 경우, 상기 제1 서브 아이콘 그룹 및 상기 제2 서브 아이콘 그룹 각각은 상기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에 상기 외부 입력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2 서브 아이콘 그룹이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이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은 반투명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 아이콘 그룹은 상기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표시 부분의 면적은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첫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고,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두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제3 아이콘 그룹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3 아이콘 그룹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 아이콘 그룹 및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은 상기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첫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고,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두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고, 상기 두 번째 감지된 상기 외부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아이콘 그룹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2 아이콘 그룹 및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나머지 아이콘 그룹들은 상기 비활성 상태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 각각은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서브 표시 부분 각각의 외곽선은 곡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과 이격되고 상기 서브 표시 부분에 인접한 베젤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젤 부분은 곡선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베젤 부분의 중앙 부분은 상기 베젤 부분의 에지 부분 보다 두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메인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 부분 및 상기 메인 표시 부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며 제1 서브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제2 서브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상기 메인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서브 영상 신호 및 제2 서브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모듈에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메인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서브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과 이격되고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에 인접한 제1 베젤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에 인접한 제2 베젤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젤 부분 및 상기 제2 베젤 부분 각각은 곡선 형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베젤 부분 및 상기 제2 베젤 부분 각각의 중앙 부분은 에지 부분 보다 두께가 크며, 상기 중앙 부분에 카메라 모듈 및 음향출력 모듈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은, 표시 모듈의 메인 표시 부분에 인접한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복수 개의 아이콘 그룹들 중 제1 아이콘 그룹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감지된 상기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제2 아이콘 그룹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는 활성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은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비표시되는 비활성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첫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고,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두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그룹 및 상기 아이콘 그룹의 제3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아이콘 그룹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표시 부분을 통해 메인 영상이 표시되고,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아이콘 또는 팝업 등의 서브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영상의 시인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콘 그룹을 표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그룹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콘 그룹을 표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그룹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그룹들을 보여주는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그룹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EA)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는 장치일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EA)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EA)는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텔레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EA)는 스마트 폰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휴대용 단말기(EA)는 전면에 이미지(영상)를 표시하는 표시 부분(표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부분은 각각이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메인 표시 부분(DSm),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포함한다. 메인 표시 부분(DSm)은 메인 이미지(IMm)를 표시하고,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은 제1 서브 이미지(IMa)를 표시하고,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은 제2 서브 이미지(IMb)를 표시한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미지(IMm)로써 자전거가 도시되었고, 제1 서브 이미지(IMa)로써 날씨 정보가 도시되고, 제2 서브 이미지(IMb)로써 아이콘들이 도시되었다.
한편, 메인 표시 부분(DSm),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 각각이 서로 다른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 메인 표시 부분(DSm),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인 표시 부분(DSm),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하나의 이미지가 표시됨과 동시에,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제1 서브 이미지(IMa) 및 제2 서브 이미지(IMb)가 추가적으로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메인 표시 부분(DSm)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에 평행하게 정의될 수 있다. 메인 표시 부분(DSm)의 법선 방향은 휴대용 단말기(EA)의 두께 방향(DR3, 이하, 제3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IM)가 표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이 정의된다.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DR3)에서 서로 대향된다. 한편, 제1 내지 제3 방향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 표시 부분(DSm)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메인 표시 부분(DSm)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은 메인 표시 부분(DSm)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DR2)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은 메인 표시 부분(DSm)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은 메인 표시 부분(DSm)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평면상에서,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 각각은 반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서브 표시 부분(DSa)과 메인 표시 부분(DSm) 간의 가상 계면은 직선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의 외곽선은 곡선 형상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서브 표시 부분(DSb)과 메인 표시 부분(DSm) 간의 가상 계면은 직선 형상일 수 있으며,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의 외곽선은 곡선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은 메인 표시 부분(DSm)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된 형상일 수 있다.
베젤 부분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부분으로 표시 부분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베젤 부분은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에 인접한 제1 베젤 부분(BZA1)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인접한 제2 베젤 부분(BZA2)을 포함한다. 한편, 베젤 부분이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부분으로 설명되나, 베젤 부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쇄층으로 구성되어 특정 색을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평면상에서, 제1 베젤 부분(BZA1) 및 제2 베젤 부분(BZA2) 각각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베젤 부분(BZA1)은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의 외곽선에 대응한 곡선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2 베젤 부분(BZA2)은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의 외곽선에 대응한 곡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평면상에서 제1 베젤 부분(BZA1) 및 제2 베젤 부분(BZA2) 각각의 중앙 부분은 에지 부분 보다 두께가 클 수 있다. 특히, 제1 베젤 부분(BZA1) 및 제2 베젤 부분(BZA2) 중 어느 하나의 중앙 부분에 카메라 모듈(CMM) 및 음향출력 모듈(AOM)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베젤 부분(BZA2)의 중앙 부분에 카메라 모듈(CMA) 및 음향출력 모듈(AOM)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도 2a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EA)는 표시 모듈(DM) 및 윈도우 부재(WM)를 포함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EA)는 제1 전자 모듈(EM1), 제2 전자 모듈(EM2), 및 전원공급 모듈(P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는 도 2b에 도시된 구성들 중 일부 구성들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하,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EA)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DM)은 이미지(IM)를 표시하는 표시 유닛(DPU) 및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 유닛(ISU)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감지 유닛(ISU)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입력을 감지한다. 외부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외부 입력은 윈도우 부재(WM)에 인가되는 입력일 수 있다.
표시 유닛(DPU)과 입력 감지 유닛(ISU)은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접착 부재를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표시 유닛(DPU)과 입력 감지 유닛(ISU)은 단일의 베이스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에 있어서, 표시 유닛(DPU) 및 입력 감지 유닛(ISU)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DM)은 표시 유닛(DPU)을 포함하고 입력 감지 유닛(ISU)이 생략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자세하게, 표시 모듈(DM)은 평면상에서 구분되는 메인 표시 영역(DAm), 제1 서브 표시 영역(DAa), 및 제2 서브 표시 영역(Dab)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모듈(DM)은 제1 서브 표시 영역(DAa)에 인접한 제1 주변 영역(NDA1) 및 제2 서브 표시 영역(DAb)에 인접한 제2 주변 영역(NDA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표시 영역(DAm), 제1 서브 표시 영역(DAa), 및 제2 서브 표시 영역(Dab)은 도 1을 통해 설명된 메인 표시 부분(DSm),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메인 표시 부분(DSm),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은 메인 표시 영역(DAm), 제1 서브 표시 영역(DAa), 및 제2 서브 표시 영역(Dab)을 각각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변 영역(NDA1) 및 제2 주변 영역(NDA2)은 도 1을 통해 설명된 제1 베젤 부분(BZA1) 및 제2 베젤 부분(BZA2)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베젤 부분(BZA1) 및 제2 베젤 부분(BZA2)은 제1 주변 영역(NDA1) 및 제2 주변 영역(NDA2)을 각각 커버할 수 있다.
메인 표시 영역(DAm), 제1 서브 표시 영역(DAa), 및 제2 서브 표시 영역(Dab) 각각은 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메인 표시 영역(DAm), 제1 서브 표시 영역(DAa), 및 제2 서브 표시 영역(Dab) 각각에 배치된 화소들(PXm, PXa, PXb)을 포함한다. 자세하게, 메인 화소들(PXm)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메인 표시 영역(DAm)에 배열되며, 제1 서브 화소들(PXa)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 서브 표시 영역(DAa)에 배열되며, 제2 서브 화소들(PXb)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2 서브 표시 영역(Dab)에 배열된다. 화소들(PXm, PXa, PXb)이 생성하는 광은 이미지(IM)를 구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베젤 부분(BZA1) 및 제2 베젤 부분(BZA2)이 제1 서브 표시 영역(DAa), 및 제2 서브 표시 영역(Dab)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베젤 부분(BZA1) 및 제2 베젤 부분(BZA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휴대용 단말기(EA)의 전면을 제공한다. 따라서, 윈도우 부재(WM)는 도 1을 통해 설명된 메인 표시 부분(DSm),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포함한다. 또한, 윈도우 부재(WM)는 도 1을 통해 설명된 제1 베젤 부분(BZA1) 및 제2 베젤 부분(BZA2)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표시 모듈(DM)의 전면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WM)는 유리 기판, 사파이어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다층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WM)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가지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EA)는 전원공급 모듈(PM),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휴대용 단말기(EA)의 전반적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 모듈(PM)은 통상적인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모듈(EM1) 및 제2 전자 모듈(EM2)은 휴대용 단말기(EA)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모듈을 포함한다. 제1 전자모듈(EM1)은 표시 모듈(DM)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모듈(EM1)은 제어 모듈(CM), 무선통신 모듈(TM), 영상입력 모듈(IIM), 음향입력 모듈(AIM), 메모리(MM), 및 외부 인터페이스(U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 중 일부는 마더보드에 실장되지 않고,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마더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 모듈(CM)은 휴대용 단말기(EA)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모듈(CM)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CM)은 표시 모듈(DD)을 활성화 시키거나, 비활성화 시킨다. 제어 모듈(CM)은 표시 모듈(DD)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에 근거하여 영상입력 모듈(IIM)이나 음향입력 모듈(AIM) 등의 다른 모듈들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회선을 이용하여 다른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일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TM)은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TM1)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TM2)를 포함한다.
영상입력 모듈(IIM)은 영상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모듈(DD)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음향입력 모듈(AIM)은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외부 인터페이스(UM)는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제2 전자 모듈(EM2)은 음향출력 모듈(AOM), 발광 모듈(LM), 수광 모듈(LRM), 및 카메라 모듈(CM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은 마더보드에 직접 실장되거나, 별도의 기판에 실장되어 커넥터(미 도시) 등을 통해 표시 모듈(D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제1 전자 모듈(EM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AOM)은 무선통신 모듈(TM)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MM)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광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발광 모듈(LM)은 적외선을 출력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은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소정 레벨 이상의 적외선이 감지된 때 활성화될 수 있다. 수광 모듈(LRM)은 CMOS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모듈(LM)에서 생성된 적외광이 출력된 후, 외부 물체(예컨대 사용자 손가락 또는 얼굴)에 의해 반사되고, 반사된 적외광이 수광 모듈(LRM)에 입사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CMM)은 외부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아이콘 그룹을 표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그룹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아이콘 그룹을 표시한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그룹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도 2a를 통해 상술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EA)는 메인 표시 부분(DSm),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 각각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평면상에서, 메인 표시 부분(DSm)의 면적은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의 면적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의 면적을 합친 것 보다 클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메인 표시 부분(DSm)은 아이콘들(IKO)을 통해 실행된 이미지들을 표시하며, 서브 표시 부분들(DSa, DSb)은 날씨, 시간, 아이콘들(IKO) 등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설정된 편의 정보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표시 영역(DAa) 및 제2 서브 표시 영역(DAb)을 통해 아이콘들(IKO)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콘이란 외부 입력에 의해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상술된 바에 따르면, 메인 표시 영역(DAm)은 제어 모듈(CM, 도2a 참조)로부터 제공된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메인 영상만을 표시할 수 있다. 메인 표시 영역(DAm)으로부터 표시되는 메인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아이콘들(IKO)은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영상의 시인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EA)는 제1 서브 표시 영역(DAa) 및 제2 서브 표시 영역(DAb)을 통해 아이콘 그룹(IG) 중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이콘 그룹들(IG)은 제1 내지 제4 아이콘 그룹들(IG1~IG4)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아이콘 그룹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아이콘 그룹(IG1)은 제1 서브 아이콘 그룹(IG1a) 및 제2 서브 아이콘 그룹(IG1b)을 포함한다. 제2 아이콘 그룹(IG2)은 제3 서브 아이콘 그룹(IG2a) 및 제4 서브 아이콘 그룹(IG2b)을 포함한다. 제3 아이콘 그룹(IG3)은 제5 서브 아이콘 그룹(IG3a) 및 제6 서브 아이콘 그룹(IG3b)을 포함한다. 제4 아이콘 그룹(IG4)은 제7 서브 아이콘 그룹(IG4a) 및 제8 서브 아이콘 그룹(IG4b)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 아이콘 그룹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3, 제5, 제7 서브 아이콘 그룹들(IG1a, IG2a, IG3a, IG4a)은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을 통해 표시되며, 제2, 제4, 제6, 제8 서브 아이콘 그룹들(IG1b, IG2b, IG3b, IG4b)은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표시되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아이콘 그룹들(IG1~IG4)은 휴대용 단말기(EA)의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활성 상태(IG-M) 및 휴대용 단말기(EA)의 표시 부분에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상태(IG-S)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제1 내지 제4 아이콘 그룹들(IG1~IG4) 중 하나의 아이콘 그룹이 활성 상태(IG-M)로 제어될 수 있으며, 나머지 아이콘 그룹들은 비활성 상태(IG-S)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모듈(CM, 도2 참조)은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외부 입력이 감지될 경우, 아이콘 그룹들 간의 활성 상태(IG-M) 및 비활성 상태(IG-S)를 서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제1 서브 표시 영역(DAa) 및 제2 서브 표시 영역(DAb)을 통해 아이콘들(IKO)을 배열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계(S110)에서, 휴대용 단말기(EA)의 최초 표시 상태에서, 표시 모듈(DM)은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복수 개의 아이콘 그룹들(IG) 중 제1 아이콘 그룹(IG1)을 표시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EA)의 최초 표시 상태에서, 제1 아이콘 그룹(IG1)이 활성 상태(IG-M)이며, 제2 내지 제4 아이콘 그룹들(IG2~IG4)은 비활성 상태(IG-S)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에 배열된 제1 서브 아이콘 그룹(IG1a)이 표시되며,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배열된 제2 서브 아이콘 그룹(IG1b)이 표시된다. 제2 내지 제4 아이콘 그룹들(IG2~IG4)은 메인 표시 부분(DSm),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표시되지 않는다.
제2 단계(S120)에서,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외부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 모듈(CM)은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표시된 아이콘 그룹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 신호를 표시 모듈(DM)에 전달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을 드래그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모듈(DM)은 외부 입력을 감지하며, 감지된 감지 신호를 제어 모듈(CM)에 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어 모듈(CM)은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표시된 제1 아이콘 그룹(IG1)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 신호를 표시 모듈(DM)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통해 설명된 외부 입력 방식은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다양한 터치 방식에 의해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으로부터 외부 입력이 감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두 번의 연속적인 터치에 의해 외부 입력이 감지될 수 도 있다.
제3 단계(S130)에서, 표시 모듈(DM)은 제어 모듈(CM)로부터 출력된 변경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제2 내지 제4 아이콘 그룹들(IG2~IG4) 중 제2 아이콘 그룹(IG2)을 표시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아이콘 그룹(IG2)의 제3 서브 아이콘 그룹(IG2a) 및 제4 서브 아이콘 그룹(IG2b)이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즉, 제2 아이콘 그룹(IG2)은 활성 상태(IG-M)로서 전환되어 휴대용 단말기(EA)의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며, 제1 아이콘 그룹(IG1)은 비활성 상태(IG-S)로서 전환되어 휴대용 단말기(EA)로부터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 및 제4 아이콘 그룹들(IG3, IG4) 역시 비활성 상태(IG-S)로서 휴대용 단말기(EA)로부터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은 서브 표시 부분으로 대체 설명될 수 있다.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외부 입력이 감지된 것은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외부 입력이 감지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서브 표시 부분에 재차 외부 입력이 감지될 경우,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제3 아이콘 그룹(IG3)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표시 상태에서,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외부 입력이 첫 번째 감지된 경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제2 아이콘 그룹(IG2)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외부 입력이 두 번째 감지된 경우, 제3 아이콘 그룹(IG3)이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외부 입력이 세 번째 감지된 경우, 제4 아이콘 그룹(IG4)이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을 참조하면,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외부 입력들 각각이 동일 방향으로 드래그된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드래그가 진행된 경우, 위에서 상술된 순서대로 제2 내지 제4 아이콘 그룹들(IG2~IG4)이 순차적으로 활성 상태(IG-M)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두 번째 감지된 외부 입력이 시계 방향으로 드래그된 경우, 제1 아이콘 그룹(IG1)이 재차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내지 제4 아이콘 그룹들(IG2~IG4)은 비활성 상태(IG-S)로 유지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그룹들을 보여주는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 그룹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아이콘 그룹(IGz)은 제1 내지 제4 아이콘 그룹들(IG1z~IG4z)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도 8a에 도시된 실시 예는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표시된 두 개의 아이콘 그룹들이 동시에 비활성 상태(IG-S)로 전환되는 것이 아닌, 어느 하나의 아이콘 그룹만이 비활성 상태(IG-S)로 전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EA)의 최초 표시 상태에서,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제1 아이콘 그룹(IG1z) 및 제2 아이콘 그룹(IG2z)이 각각 표시된 것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입력은 제1 서브 표시 부분(DSa)만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즉,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서는 외부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다. 또한,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배열된 제2 아이콘 그룹(IG2z)에 포함된 아이콘들(IKOa)은 반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즉,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표시된 제2 아이콘 그룹(IG2z)은 외부 입력에 따라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으로 이동되거나 비활성 상태(IG-S)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에 외부 입력이 감지될 경우, 제2 아이콘 그룹(IG2z)이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을 통해 표시되고, 제1 아이콘 그룹(IG1z)은 비활성 상태(IG-S)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아이콘 그룹(IG3z)은 비활성 상태(IG-S)에서 활성 상태(IG-M)로 전환되어,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에 배열된 제3 아이콘 그룹(IG3z)은 반투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6을 통해 설명된 외부 입력이 반시계 방향으로 드래그된 경우, 상기 아이콘의 배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8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에 감지된 외부 입력이 시계 방향으로 드래그된 경우, 제2 아이콘 그룹(IG2z)은 비활성 상태(IG-S)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아이콘 그룹(IG1z)은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반투명하게 표시되고, 제4 아이콘 그룹(IG4z)은 비활성 상태(IG-S)에서 활성 상태(IG-M)로 전환되어,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모듈(DM)은 메인 표시 부분(DSm),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포함한다. 메인 표시 부분(DSm)은 메인 영상을 표시하고,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은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 모듈(CM)은 메인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IS)와,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서브 영상 신호(PS-ISa) 및 제2 서브 영상 신호(PS-ISb)를 표시 모듈(DM)에 각각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DM)은 메인 표시 부분(DSm)을 통해 메인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을 동시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EA)는 제1 구간(PT1) 및 제2 구간(PT2)으로 동작될 수 있다. 제1 구간(PT1)은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메인 표시 부분(DSm)의 영상과 다른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구간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제2 구간(PT2)은 메인 표시 부분(DSm)의 영상과 다른 영상이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표시되는 구간일 수 있다.
먼저, 제1 구간(PT1) 동안, 휴대용 단말기(EA)는 메인 표시 부분(DSm)을 통해 메인 영상(IMm)을 표시한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EA)는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별다른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다른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경우, 메인 영상(IMm)이 확장되어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제2 구간(PT2) 동안, 휴대용 단말기(EA)는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메인 영상(IMm)과 다른 제1 서브 영상(IMa) 및 제2 서브 영상(IMb)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서브 영상(IMa) 및 제2 서브 영상(IMb)은 팝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팝업은 메인 영상(IMm)이 메인 표시 부분(DSm)으로부터 표시되는 동안 발생된 것으로, 일 예로 수신 전화, 메시지 내용 등과 같은 정보가 팝업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팝업 정보가 포함된 제1 서브 영상(IMa) 및 제2 서브 영상(IMb)이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을 통해 통화 아이콘이 표시되며,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전화 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팝업 정보가 메인 표시 부분(DSm)에 표시되는 것이 아닌, 제1 서브 표시 부분(DSa)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팝업 정보에 의해 메인 표시 부분(DSm)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IMm)이 가려지지 않음에 따라, 메인 영상(IMm)의 시인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다른 예로서, 제1 서브 표시 부분(DSa)을 통해 동영상의 음량 조절 버튼이 표시되며, 제2 서브 표시 부분(DSb)을 통해 동영상의 제어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메인 영상(IMm)이 표시되는 동안, 동영상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제어 버튼 또는 음량 조절 버튼이 메인 영상(IMm)에 표시되지 않음에 따라, 메인 영상(IMm)의 시인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EA: 휴대용 단말기
DM: 표시 모듈
WM: 윈도우 부재
CM: 제어 모듈
DSm: 메인 표시 부분
DSa: 제1 서브 표시 부분
DSb: 제2 서브 표시 부분

Claims (20)

  1. 메인 표시 부분 및 상기 메인 표시 부분에 인접한 서브 표시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메인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메인 영상 및 상기 서브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들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제1 아이콘 그룹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는 활성 상태일 경우,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제2 아이콘 그룹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 및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비표시되는 비활성 상태로 제어되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에 외부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은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는 활성 상태로 제어되는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이콘 그룹은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제1 서브 아이콘 그룹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제2 서브 아이콘 그룹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외부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은 제3 서브 아이콘 그룹 및 제4 서브 아이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외부 입력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3 서브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며,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4 서브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3 서브 아이콘 그룹 및 제4 서브 아이콘 그룹이 각각 표시될 경우,
    상기 제1 서브 아이콘 그룹 및 상기 제2 서브 아이콘 그룹 각각은 상기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에 상기 외부 입력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2 서브 아이콘 그룹이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이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에 표시되는 아이콘 그룹은 반투명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아이콘 그룹은 상기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 부분의 면적은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첫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고,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두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제3 아이콘 그룹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제3 아이콘 그룹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1 아이콘 그룹 및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은 상기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첫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고,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두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고,
    상기 두 번째 감지된 상기 외부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아이콘 그룹이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제2 아이콘 그룹 및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나머지 아이콘 그룹들은 상기 비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 각각은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상기 서브 표시 부분 각각의 외곽선은 곡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과 이격되고 상기 서브 표시 부분에 인접한 베젤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젤 부분은 곡선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베젤 부분의 중앙 부분은 상기 베젤 부분의 에지 부분 보다 두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메인 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 부분 및 상기 메인 표시 부분을 사이에 두고 이격되며 제1 서브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서브 표시 부분 및 제2 서브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메인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에 각각 대응하는 제1 서브 영상 신호 및 제2 서브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 모듈에 출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메인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서브 영상을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메인 표시 부분과 이격되고 상기 제1 서브 표시 부분에 인접한 제1 베젤 부분 및 상기 제2 서브 표시 부분에 인접한 제2 베젤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젤 부분 및 상기 제2 베젤 부분 각각은 곡선 형상으로 제공되는 휴대용 단말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젤 부분 및 상기 제2 베젤 부분 각각의 중앙 부분은 에지 부분 보다 두께가 크며, 상기 중앙 부분에 카메라 모듈 및 음향출력 모듈이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18. 표시 모듈의 메인 표시 부분에 인접한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복수 개의 아이콘 그룹들 중 제1 아이콘 그룹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외부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감지된 상기 외부 입력에 따라,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아이콘 그룹들 중 제2 아이콘 그룹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는 활성 상태일 경우,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은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비표시되는 비활성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첫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이 표시되고,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외부 입력이 두 번째 감지된 경우, 상기 서브 표시 부분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그룹 및 상기 아이콘 그룹의 제3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가 표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그룹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
KR1020180082796A 2018-07-17 2018-07-17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 KR102495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96A KR102495332B1 (ko) 2018-07-17 2018-07-17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
US16/460,075 US11093107B2 (en) 2018-07-17 2019-07-02 Portable terminal and icon arranging method thereof
CN201910598386.3A CN110730269B (zh) 2018-07-17 2019-07-04 便携式终端及其图标布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796A KR102495332B1 (ko) 2018-07-17 2018-07-17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161A true KR20200009161A (ko) 2020-01-30
KR102495332B1 KR102495332B1 (ko) 2023-02-03

Family

ID=6916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796A KR102495332B1 (ko) 2018-07-17 2018-07-17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93107B2 (ko)
KR (1) KR102495332B1 (ko)
CN (1) CN1107302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79916A (ja) * 2021-05-24 2022-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複合機、複合機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5930A1 (en) * 2010-01-19 2011-07-21 Hwang Inyong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279318A1 (en) * 2014-03-28 2015-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4368A1 (ja) 2007-12-28 2009-07-09 Clarion Co., Ltd. 携帯機器、アイコン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591524B1 (ko) * 2009-08-25 2016-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CN102609210B (zh) * 2012-02-16 2014-09-10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的功能图标的配置方法和移动终端
KR102027879B1 (ko) * 2012-04-04 2019-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984098B1 (ko) 2013-01-30 2019-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배열방법
KR20170021159A (ko) * 2015-08-17 201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6708930B2 (ja) 2016-08-18 2020-06-10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端末装置
EP3324582A1 (en) * 2016-11-18 2018-05-2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1708470A (zh) * 2017-09-05 2020-09-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知消息显示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75930A1 (en) * 2010-01-19 2011-07-21 Hwang Inyong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279318A1 (en) * 2014-03-28 2015-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26411A1 (en) 2020-01-23
KR102495332B1 (ko) 2023-02-03
CN110730269A (zh) 2020-01-24
US11093107B2 (en) 2021-08-17
CN110730269B (zh)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64021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screen based on folding ev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534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947823B (zh) 会话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118381B1 (ko) 이동 단말기
CN103577066B (zh) 电子装置和使用电子装置的电子笔记系统
CN113204298B (zh) 显示发布进度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201833637A (zh) 顯示螢幕、顯示螢幕組件及終端
WO2021004341A1 (zh) 文件夹的创建方法及终端设备
WO2019223492A1 (zh) 信息显示方法、移动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341765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ensor module for sensing pressure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ultrasound signal by using piezoelectric element
CN108391007A (zh) 一种应用程序的音量设置方法及移动终端
WO2020192297A1 (zh) 屏幕界面切换方法及终端设备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KR10192981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28164A (ko) 이동 단말기
KR20200101039A (ko) 디스플레이를 통해 배치되는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1899974B1 (ko) 이동 단말기
KR102600941B1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151143B (zh) 一种异物检测结构、方法及移动终端
KR2012002172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모듈
CN110447002B (zh) 一种终端
KR102495332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콘 배열 방법
CN110769099B (zh) 电子设备
JP2013073446A (ja) 携帯電子機器
US20230051784A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