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821A -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821A
KR20200008821A KR1020180082958A KR20180082958A KR20200008821A KR 20200008821 A KR20200008821 A KR 20200008821A KR 1020180082958 A KR1020180082958 A KR 1020180082958A KR 20180082958 A KR20180082958 A KR 20180082958A KR 20200008821 A KR20200008821 A KR 20200008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ring
listening
user
unit
sc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3693B1 (ko
Inventor
김준호
윤창호
박종원
최경일
Original Assignee
(주)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스 filed Critical (주)주스
Priority to KR1020180082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6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음 문제를 출제하는 청음 문제 출제부; 상기 청음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제된 청음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청음 답안을 입력받는 통신부; 상기 청음 답안을 분석하여 음높이, 음정, 리듬 및 화음 요소를 포함하는 청음 요소별 채점을 수행하는 청음 채점부; 및 상기 청음 채점부의 채점 결과에 따라 상기 청음 요소별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하는 청음 분석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USER CUSTOMIZED MUSIC DICTATION LEARN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상에서 사용자의 청음 학습을 보조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청음(music dictation)은 리듬이나 멜로디, 하모니 등을 듣고 그것을 악보에 받아쓰는 것을 말하는데, 보통 단선율 또는 2~4성의 짧은 악곡을 부르거나 연주하는 것을 듣고 5선보에 받아쓰게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청음은 음악의 기초훈련으로서 중요한 교육방법 중 하나이며, 음악대학 입학시험에서 청음을 시험과목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청음을 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피아노 등의 악기를 이용하여 연주를 해주고 학생이 그것을 받아적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대부분 개인레슨으로 이루어져 학생은 비용부담이 만만치 않다.
이러한 이유로 온라인상에서 청음학습을 할 수 있는 시스템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출원번호 제10-2001-0051952호에 의하면 인터넷을 이용한 청음 교육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학습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청음 문제를 청취하고 이에 대한 악보를 오선지 등에 기보하게 되며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답악보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청음에서 중요한 것은 학습자가 어느 부분이 약한지를 집어주는 과정인데 위 특허에 의하면 단지 정답악보만 보여주어 정답확인만 하게 할 뿐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학습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온라인 상에서 청음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 맞춤형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청음 요소별로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청음 능력과 학습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음 문제를 출제하는 청음 문제 출제부; 상기 청음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제된 청음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청음 답안을 입력받는 통신부; 상기 청음 답안을 분석하여 음높이, 음정, 리듬 및 화음 요소를 포함하는 청음 요소별 채점을 수행하는 청음 채점부; 및 상기 청음 채점부의 채점 결과에 따라 상기 청음 요소별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하는 청음 분석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청음 분석부는 상기 채점 결과에 따라 상기 청음 요소에 순차적인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청음 문제 출제부는 상기 청음 분석부에서 분석한 상기 청음 능력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상기 청음 문제 출제부는 상기 채점 결과에 따라 순위가 가장 낮은 청음 요소에 대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상기 청음 문제 출제부는 상기 채점 결과에 따라 순위가 가장 낮은 2개 또는 3개의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상기 청음 분석부는 상기 채점 결과에 따라 상기 청음 요소별 상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청음 문제 출제부는 상기 청음 요소별 상관 관계에 따라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채점 결과 및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채점 결과 및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결과 시각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은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청음 요소별로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청음 능력과 학습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3 및 도4는 실시예에 따른 결과 시각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청음 학습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2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는 온라인상에서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으로부터 청음 문제, 채점 결과, 분석 결과 등을 수신하여 시각적 수단 및 청각적 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는 그 구현 형태에 따라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1)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10)으로부터 청음 문제, 채점 결과, 분석 결과 등을 수신하여 표시하고, 청음 답안을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1)로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1)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1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는 예를 들면,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의 원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는 블루투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청음 문제, 채점 결과, 분석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시각적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2)으로부터 수신한 청음 문제, 채점 결과, 분석 결과를 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는 예를 들면, 스피커 등의 청각적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는 사용자로부터 청음 문제에 대한 청음 답안을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는 예를 들면,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의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기(1)의 시각적 표시 수단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시각적 표시 수단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10)은 통신부(11), 저장부(12), 청음 문제 출제부(13), 청음 채점부(14), 청음 분석부(15), 및 결과 시각화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는 청음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1)로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기(1)로부터 출제된 청음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청음 답안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는 채점 결과와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1)는 예를 들면,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의 원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는 블루투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 인접 자장 통신(NF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는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2)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10)은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저장부(12)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저장부(12)는 청음 문제, 청음 답안, 채점 결과, 분석 결과를 저장할 수 있으며, 과거 일정 기간 동안의 청음 문제, 청음 답안, 채점 결과, 분석 결과를 사용자별로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청음 문제는 음높이, 음정, 리듬 및 화음 요소를 포함하는 청음 요소별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1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는 청음 문제, 채점 결과 및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기 위한 다양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저장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저장부(12)에 저장된 청음 문제를 이용하여 다양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청음 요소별로 청음 문제의 주제를 구분하여 다양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으며, 단일 청음 요소에 대한 문제 또는 2이상의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생성하여 출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음높이가 있는 청음 문제에서 리듬만 있는 청음 문제로 변환하여 청음 문제를 출제하거나 또는 음높이를 변경(이조)하여 청음 문제를 출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청음 문제를 조합하여 시각화 및 청각화하여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청음 문제를 조합하여 시각화한 문제 악보와 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악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문제 악보와 음악 파일을 포함하는 청음 문제를 생성하여 통신부(1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문제 악보와 음악 파일을 시간상으로 동기화하여 청음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청음 분석부(15)에서 분석한 청음 능력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사용자에 따라 강점이 있는 청음 능력과 약점이 있는 청음 능력을 구분하여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사용자 맞춤형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음높이, 음정, 리듬 및 화음을 포함하는 청음 요소 중 분석 결과에 따라 약점으로 분류되는 청음 요소에 대한 청음 문제를 반복하여 출제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족한 청음 능력을 보완하도록 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채점 결과 또는 분석 결과에 따라 약점으로 분류되는 청음 요소를 파악하고, 저장부(12)에 저장된 청음 요소별 청음 문제를 다양한 형식으로 조합하여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채점 결과에 따라 순위가 가장 낮은 청음 요소에 대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채점 결과에서 점수가 가장 낮게 책정된 청음 요소를 약점으로 파악하고, 해당 청음 요소에 대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채점 결과에서 음높이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게 책정될 경우 음높이에 대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또는,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A"음높이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게 책정될 경우 "A"음높이에 대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또한,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채점 결과에 따라 순위가 가장 낮은 2개 또는 3개의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채점 결과에서 점수가 가장 낮게 책정된 2개의 청음 요소를 약점으로 파악하고, 해당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또는,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채점 결과에서 점수가 가장 낮게 책정된 3개의 청음 요소를 약점으로 파악하고, 해당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채점 결과에서 음높이에 대한 점수와 음정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게 책정될 경우 음높이와 음정을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또는,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A"음높이와 "B"음정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게 책정될 경우 "A"음높이와 "B"음정을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또한,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사용자별 청음 능력에 대한 경향에 따라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특정 음높이, 음정, 리듬, 화음에서 반복하여 틀리는 경향이 있을 경우, 해당 청음 능력에 대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또한,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청음 요소별 상관 관계에 따라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분석 결과에 따라 서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 청음 요소를 파악하고, 해당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A"음높이와 "B"음정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을 경우, "A"음높이와 "B"음정을 조합한 청음 문제를 반복적으로 출제할 수 있다. 또는, 청음 문제 출제부(13)는 "C"리듬과 "D"화음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을 경우, "C"리듬과 "D"화음을 조합한 청음 문제를 반복적으로 출제할 수 있다.
청음 채점부(14)는 청음 답안을 분석하여 음높이, 음정, 리듬 및 화음 요소를 포함하는 청음 요소별 채점을 수행할 수 있다. 청음 채점부(14)는 통신부(11)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청음 답안을 청음 요소별로 각각 채점하여 채점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청음 채점부(14)는 청음 답안과 저장부에 저장된 청음 문제의 정답을 청음 요소별로 비교하고, 일치 여부에 따라 채점을 수행하여 채점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청음 분석부(15)는 채점 결과에 따라 청음 요소별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하할 수 있다. 청음 분석부(15)는 채점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별 강점이 있는 청음 요소와 약점이 있는 청음 요소를 분석할 수 있다.
청음 분석부(15)는 채점 결과에 따라 청음 요소에 순차적인 순위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할 수 있다. 청음 분석부(15)는 채점 결과에 따라 점수가 가장 높은 청음 요소부터 점수가 가장 낮은 청음 요소에 대하여 순차적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또는 청음 분석부(15)는 채점 결과에 따라 사용자별 청음 능력에 대한 경향(trend) 분석을 통하여 청음 능력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음 분석부(15)는 특정한 음높이에서 틀리는 경향을 분석하거나, 특정한 리듬을 잘 듣지 못하는 경향을 분석하거나, 특정한 음정을 잘 듣지 못하는 경향을 분석하거나 또는 특정한 화성진행이나 화성음에서 틀리는 경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할 수 있다. 이 때, 청음 분석부(15)는 저장부에 사용자별로 누적하여 저장된 채점 결과 및 분석 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청음 분석부(15)는 누적 저장되어 있는 채점 결과와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특정 음높이, 음정, 리듬, 화음에서 반복하여 틀리는 경향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청음 분석부(15)는 채점 결과에 따라 청음 요소별 상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청음 분석부(15)는 채점 결과에 따라 2이상의 특정 청음 요소가 동시에 틀리는 경우가 반복하여 발생되었을 경우 해당되는 청음 요소간에는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음 분석부(15)는 "A" 음높이와 "B" 음정을 포함하는 마디에서 반복하여 틀리는 경우 "A"음높이와 "B"음정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음 분석부(15)는 "C" 리듬을 가지며"D" 화음을 포함하는 마디에서 반복하여 틀리는 경우 "C"리듬과 "D"화음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는 청음 분석부(15)는 2이상의 특정 청음 요소가 연속하여 발생되는 경우에 틀리는 경우가 반복하여 발생되었을 경우 해당되는 청음 요소간에는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음 분석부(15)는 "E" 음높이를 포함하는 마디에 연속하여 "F" 음정을 포함하는 마디가 있을 경우, "F" 음정을 포함하는 마디에서 반복하여 음정이 틀리는 경우 "E"음높이와 "F"음정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청음 분석부(15)는 "G" 리듬을 가지는 마디에 연속하여 "H" 화음을 포함하는 마디가 있을 경우, "H"화음을 포함하는 마디에서 연속하여 화음이 틀리는 경우 "G"리듬과 "H"화음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결과 시각화부(16)는 채점 결과 및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사용자 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결과 시각화부(16)는 채점 결과 및 분석 결과를 청음 문제의 악보 상에 시각화하여 통신부(1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에 제공할 수 있다.
도3 및 도4는 실시예에 따른 결과 시각화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결과 시각화부는 예를 들면, 음높이, 음정, 리듬, 화음 등 각 청음 요소별 색상을 상이하게 설정하고, 각 음표, 구간 또는 마디별로 시각화하여 악보 상에 오답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결과 시각화부는 투명도에 따라 정답에 가까운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이 투명할수록 정답과 유사한 오답을 의미하며, 색상이 불투명할수록 정답과 전혀 다른 오답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결과 시각화부는 단일 음표에 복수 개의 청음 요소에 대하여 오답이 발생한 경우 영역을 분할하여 오답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음표에서 음정과 음높이에 대한 오답이 동시에 발생한 경우 절반의 영역은 음정 오답 색상을 표시하고, 다른 절반의 영역은 음높이 오답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결과 시각화부는 오답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오답 정보는 정답과 사용자가 작성한 오답, 그리고 오답이 발생한 구간에서 전체 사용자의 정답율, 오답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답 정보는 해당 구간과 유사한 유형의 청음 요소에서의 사용자의 정답율, 오답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청음 학습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먼저 청음 문제 출제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청음 문제를 이용하여 시각화 및 청각화하여 청음 문제를 출제한다. 청음 문제는 문제 악보와 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악 파일을 포함한다. 청음 문제 출제부는 청음 요소별로 청음 문제의 주제를 구분하여 다양한 청음 문제를 출제하거나, 단일 청음 요소에 대한 문제 또는 2이상의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생성하여 출제한다(S501).
다음으로, 통신부는 출제된 청음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502).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기는 청음 문제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구동 입력에 따라 문제 악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음악 파일을 재생한다(S503).
다음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청음 답안을 작성하여 청음 문제 출제부로 전송한다(S504).
다음으로, 청음 채점부는 청음 답안을 분석하여 음높이, 음정, 리듬 및 화음 요소를 포함하는 청음 요소별 채점을 수행한다. 청음 채점부는 통신부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청음 답안을 청음 요소별로 각각 채점하여 채점 결과를 제공한다(S505).
다음으로, 청음 분석부는 청음 채점부의 채점 결과에 따라 청음 요소별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한다. 청음 분석부(15)는 채점 결과에 따라 청음 요소에 순차적인 순위를 부여하거나, 채점 결과에 따라 사용자별 청음 능력에 대한 경향(trend) 분석을 수행하거나, 채점 결과에 따라 청음 요소별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한다(S506).
다음으로, 결과 시각화부는 채점 결과 및 분석 결과를 시각화한다. 결과 시각화부는 채점 결과 및 분석 결과를 청음 문제의 악보 상에 시각화한다. 결과 시각화부는 예를 들면, 음높이, 음정, 리듬, 화음 등 각 청음 요소별 색상을 상이하게 설정하고, 각 음표, 구간 또는 마디별로 시각화하여 악보 상에 오답을 표시하거나, 단일 음표에 복수 개의 청음 요소에 대하여 오답이 발생한 경우 영역을 분할하여 오답 표시를 하거나, 오답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S507).
다음으로, 통신부는 채점 결과 및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S508).
다음으로, 청음 문제 출제부는 청음 분석부에서 분석한 청음 능력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청음 문제를 출제한다. 청음 문제 출제부는 채점 결과에 따라 순위가 가장 낮은 청음 요소에 대한 청음 문제를 출제하거나, 채점 결과에 따라 순위가 가장 낮은 2개 또는 3개의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하거나, 청음 요소별 상관 관계에 따라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한다(S509).
다음으로, 통신부는 출제된 청음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510).
이후, S503 내지 S510단계가 반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C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사용자 단말기
10: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11: 통신부
12: 저장부
13: 청음 문제 출제부
14: 청음 채점부
15: 청음 분석부
16: 결과 시각화부

Claims (9)

  1. 청음 문제를 출제하는 청음 문제 출제부;
    상기 청음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제된 청음 문제에 대하여 사용자가 작성한 청음 답안을 입력받는 통신부;
    상기 청음 답안을 분석하여 음높이, 음정, 리듬 및 화음 요소를 포함하는 청음 요소별 채점을 수행하는 청음 채점부; 및
    상기 청음 채점부의 채점 결과에 따라 상기 청음 요소별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하는 청음 분석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분석부는 상기 채점 결과에 따라 상기 청음 요소에 순차적인 순위를 부여하여 상기 사용자의 청음 능력을 분석하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문제 출제부는 상기 청음 분석부에서 분석한 상기 청음 능력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청음 문제를 출제하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문제 출제부는 상기 채점 결과에 따라 순위가 가장 낮은 청음 요소에 대한 청음 문제를 출제하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문제 출제부는 상기 채점 결과에 따라 순위가 가장 낮은 2개 또는 3개의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하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분석부는 상기 채점 결과에 따라 상기 청음 요소별 상관 관계를 분석하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 문제 출제부는 상기 청음 요소별 상관 관계에 따라 청음 요소를 조합한 청음 문제를 출제하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채점 결과 및 분석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점 결과 및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결과 시각화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KR1020180082958A 2018-07-17 2018-07-17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KR102073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958A KR102073693B1 (ko) 2018-07-17 2018-07-17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958A KR102073693B1 (ko) 2018-07-17 2018-07-17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821A true KR20200008821A (ko) 2020-01-29
KR102073693B1 KR102073693B1 (ko) 2020-02-05

Family

ID=6932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958A KR102073693B1 (ko) 2018-07-17 2018-07-17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092A (ko) 2022-06-30 2024-01-08 벨테라퓨틱스 주식회사 청음 훈련을 제공 하는 전자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6231A (ja) * 2003-02-17 2004-09-02 Casio Comput Co Ltd 音楽教習装置および音楽教習プログラム
JP2005192622A (ja) * 2003-12-26 2005-07-21 Toshiaki Ito 聴覚能力検査装置
JP2012078594A (ja) * 2010-10-01 2012-04-19 Gen Miyagi ソルフェージュ学習システム、ソルフェージュ学習提供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18395A (ko) * 2015-03-30 2016-10-12 주식회사 태큐브 학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6231A (ja) * 2003-02-17 2004-09-02 Casio Comput Co Ltd 音楽教習装置および音楽教習プログラム
JP2005192622A (ja) * 2003-12-26 2005-07-21 Toshiaki Ito 聴覚能力検査装置
JP2012078594A (ja) * 2010-10-01 2012-04-19 Gen Miyagi ソルフェージュ学習システム、ソルフェージュ学習提供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KR20160118395A (ko) * 2015-03-30 2016-10-12 주식회사 태큐브 학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693B1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g et al. The effects of mobile-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Meta-analysis and critical synthesis
Lorah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ablet computers and portable media players as speech generating device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oth et al. Inscriptions: Toward a theory of representing as social practice
Akiba Editor’s introduction: Understanding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globalized teacher reforms
Klingenberg et al. Digital learning in mathematics for students with severe visual impairment: A systematic review
Stevenson et al. Mobilizing learning: a thematic review of apps in K-12 and higher education
Simones et al. Communicating musical knowledge through gesture: Piano teachers’ gestural behaviours across different levels of student proficiency
Valle et al. Applications of peer assessment and self-assessment in music
KR20200030181A (ko) 빅 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Derakhshan et al.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Iranian EFL high-and low-proficient learners and their learning styles
Silvey et al. An examination of university conducting faculty members’ score study attitudes and practices
Bazinet et al. Ethnomusicology, ethnomathematics, and integrating curriculum
Carroll Seeing the invisible: Theorising connections between informal and formal musical knowledge
Buonviri Effects of two listening strategies for melodic dictation
Zorzal et al. Teacher–student physical contact as an approach for teaching guitar in the master class context
St. Pierre et al. Standards-based grading practices among practicing music educators: Prevalence and rationale
Saxe et al. Mathematics learning in language inclusive classrooms: Supporting the achievement of English learners and their English proficient peers
Murphy Teacher training in the teaching of pronunciation 1
Buonviri Effects of silence, sound, and singing on melodic dictation accuracy
Jiang et al. Web-based intonation training helps improve ESL and EFL Chinese students' oral speech
KR102073693B1 (ko) 사용자 맞춤형 청음 학습 시스템
McFerran et al. Understanding sustainability in school arts provision: Stakeholder perspectives in Australian primary schools
Wohlauer et al. Review of influential articles in surgical education: 2002–2012
Hedden Lessons from Lithuania: Teacher beliefs and behaviors in teaching young children to sing
Yang The perspectives of teaching electroacoustic music in the digital environment in higher music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