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552A -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 방제 방법 - Google Patents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 방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552A
KR20200008552A KR1020197033250A KR20197033250A KR20200008552A KR 20200008552 A KR20200008552 A KR 20200008552A KR 1020197033250 A KR1020197033250 A KR 1020197033250A KR 20197033250 A KR20197033250 A KR 20197033250A KR 20200008552 A KR20200008552 A KR 20200008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disease
diseases
plant disease
multidrug resi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 기구치
사토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08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5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3/00Fungic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61,2-Diazoles; Hydrogenated 1,2-d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1/38Nitrogen at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에 대한 우수한 효력을 갖는,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피라졸 화합물의 유효량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 방제 방법
본 특허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2017-099581호 (2017년 5월 19일 출원) 에 기초하는 파리 조약상의 우선권 및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고, 여기에 인용함으로써, 상기 출원에 기재된 내용의 전체가 본 명세서 중에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출형 다제 (多劑) 내성 식물 병해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물 병해 방제제의 다용에 의해,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복수의 식물 병해 방제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균이 출현하고 있다. 이들 내성 획득균은, 식물 병해 방제제의 작용점 (표적 단백질) 의 변이나, 식물 병해 방제제의 분해능의 획득 등에 의해, 복수의 식물 병해 방제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고 있다고 되어 있다.
한편, 최근, 식물 병해 방제제의 세포 외로의 배출능의 획득에 의해,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식물 병해 방제제뿐만 아니라 그 밖의 식물 병해 방제제에 대해서도 내성을 획득한 균의 존재가 새롭게 보고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비특허문헌 1 및 2 참조).
Pest Management Science. 2006 ; 62, 195-207 Europ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2013 ; 135, 683-693
본 발명은, 식물 병해 방제제의 세포 외로의 배출능의 획득에 의해 식물 병해 방제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균 (이하, 배출형 다제 내성균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병해 (이하,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에 대한 우수한 방제 효력을 갖는 방법을 알아내기 위해 검토한 결과,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피라졸 화합물이,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에 대해 우수한 방제 효력을 갖는 것을 알아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하기 식 (1) :
[화학식 1]
Figure pct00001
로 나타내는 피라졸 화합물의 유효량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배출형 다제 내성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2] 배출형 다제 내성균이, ABC 트랜스포터 및 MFS 트랜스포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막 수송체의 과잉 발현에 의해 식물 병해 방제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균인, [1] 에 기재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3] 식물 병해가, 밀의 병해 및 포도의 병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병해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4] 배출형 다제 내성균이, 밀 잎마름병균 및 포도 회색곰팡이병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형 다제 내성균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5] 배출형 다제 내성균이, 호흡 저해제 및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병해 방제제에 대하여, 당해 식물 병해 방제제의 표적 단백질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변이에서 유래하는 내성 및/또는 당해 표적 단백질의 과잉 발현에서 유래하는 내성을 갖는 배출형 다제 내성균인,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6]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하는 공정이, 종자에 처리하는 공정인,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7] 배출형 다제 내성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를 위한, 하기 식 (1) :
[화학식 2]
Figure pct00002
로 나타내는 피라졸 화합물의 사용.
본 발명에 의해,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 방제 방법 (이하, 본 발명 방법이라고 칭한다) 은, 상기 식 (1) 로 나타내는 피라졸 화합물 (이하, 본 화합물 (1) 로 칭한다) 의 유효량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먼저, 본 화합물 (1) 에 대해 설명한다.
본 화합물 (1) 은, 하기 식 (1) :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피라졸 화합물이고, 또,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12/031061호에 기재되어 있고, 이것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본 화합물 (1) 이 사용되는 형태로는, 본 화합물 (1) 단독이어도 되지만, 통상은 본 화합물 (1) 을, 불활성 담체와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계면 활성제나 그 밖의 제제용 보조제를 첨가하여, 수화제, 과립 수화제, 플로어블제, 입제, 분제, 드라이 플로어블제, 유제, 수성 액제, 오일제, 훈연제, 에어졸제, 마이크로캡슐제 등의 제제 (이하, 본 제제로 칭한다) 로 제제화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이들 본 제제 중에는 본 화합물 (1) 이,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해, 통상 0.1 ∼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50 중량% 함유된다. 이러한 제제는, 그대로 또는 그 밖의 불활성 성분을 첨가하여,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 방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제화시에 사용되는 불활성 담체로는, 고체 담체 및 액체 담체를 들 수 있다.
고체 담체로는, 예를 들어, 점토류 (예를 들어, 카올린, 규조토, 합성 함수산화규소, 후바사미 클레이, 벤토나이트, 산성 백토), 탤크류, 그 밖의 무기 광물 (예를 들어, 세리사이트, 석영 분말, 황 분말, 활성탄, 탄산칼슘, 수화 실리카) 등의 미분말 혹은 입상물을 들 수 있다.
액체 담체로는, 예를 들어, 물, 알코올류, 케톤류 (예를 들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방향족 탄화수소류 (예를 들어,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메틸나프탈렌), 지방족 탄화수소류 (예를 들어, n-헥산, 등유), 에스테르류, 니트릴류, 에테르류, 산아미드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를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예를 들어 알킬황산에스테르류, 알킬술폰산염, 알킬아릴술폰산염, 알킬아릴에테르류 및 그 폴리옥시에틸렌화물,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에테르류, 다가 알코올에스테르류, 당 알코올 유도체를 들 수 있다.
그 밖의 제제용 보조제로는, 예를 들어 고착제, 분산제, 안정제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카세인, 젤라틴, 다당류 (예를 들어, 전분, 아라비아검, 셀룰로오스 유도체, 알긴산), 리그닌 유도체, 벤토나이트, 당류, 합성 수용성 고분자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류), PAP (산성 인산이소프로필), BHT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BHA (2-tert-부틸-4-메톡시페놀과 3-tert-부틸-4-메톡시페놀의 혼합물), 지방산 또는 그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제제는, 추가로 광물유, 식물유 등의 각종 오일, 및/또는 그 밖의 계면 활성제 등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오일, 계면 활성제의 예로는, Nimbus (등록 상표), Assist (등록 상표), Aureo (등록 상표), Iharol (등록 상표), Silwet L-77 (등록 상표), BreakThru (등록 상표), SundanceII (등록 상표), Induce (등록 상표), Penetrator (등록 상표), AgriDex (등록 상표), Lutensol A8 (등록 상표), NP-7 (등록 상표), Triton (등록 상표), Nufilm (등록 상표), Emulgator NP7 (등록 상표), Emulad (등록 상표), TRITON X 45 (등록 상표), AGRAL 90 (등록 상표), AGROTIN (등록 상표), ARPON (등록 상표), EnSpray N (등록 상표), BANOLE (등록 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본 화합물 (1) 은, 다른 식물 병해 방제 활성 화합물 및 살충 활성 화합물 등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과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 방법은, 본 화합물 (1) 의 유효량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함으로써 실시된다. 이러한 식물로는, 예를 들어, 식물의 경엽, 식물의 종자 및 식물의 구근을 들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구근이란, 인경 (鱗莖), 구경 (球莖), 근경, 괴경, 괴근 및 담근체를 의미한다.
본 화합물 (1) 은, 실질적으로 본 화합물 (1) 이 시용 (施用) 될 수 있는 형태이면 그 시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경엽 산포 등의 식물체에 대한 처리, 토양 처리 등의 식물의 재배지에 대한 처리, 종자 소독 등의 종자에 대한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엽 처리로는, 예를 들어, 경엽 산포 및 수간 (樹幹) 산포에 의해, 재배되고 있는 식물의 표면에 처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근부 처리로는, 예를 들어, 본 화합물 (1) 을 함유하는 약액에 식물의 전체 또는 근부를 침지하는 방법, 및, 본 화합물 (1) 과 고체 담체를 함유하는 고체 제제를 식물의 근부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토양 처리로는, 예를 들어, 토양 산포, 토양 혼화 및 토양에 대한 약액 관주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종자 처리로는, 예를 들어, 식물 병해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자 또는 구근에 대한 본 화합물 (1) 의 처리를 들 수 있고,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본 화합물 (1) 을 함유하는 제제와 물의 혼합액을 미스트상으로 하여 종자 표면 혹은 구근 표면에 분무하는 분무 처리, 본 화합물 (1) 을 함유하는 수화제, 유제 혹은 플로어블제에 소량의 물을 첨가하거나 혹은 그대로, 종자 또는 구근에 도포하는 도말 처리, 본 화합물 (1) 의 용액에 일정 시간 종자를 침지하는 침지 처리, 필름 코트 처리 및 펠릿 코트 처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의, 본 화합물 (1) 의 처리량은, 처리하는 식물의 종류, 방제 대상인 식물 병해의 종류나 발생 빈도, 제제 형태, 처리 시기, 처리 방법, 처리 장소, 기상 조건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식물의 경엽에 처리하는 경우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하는 경우에는, 본 화합물 (1) 은, 1000 ㎡ 당, 통상 1 ∼ 500 g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50 g 이다.
유제, 수화제, 플로어블제 등은 통상 물로 희석하여 산포함으로써 처리한다. 이 경우, 본 화합물 (1) 의 농도는, 통상 0.0005 ∼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 1 중량% 이다. 분제, 입제 등은 통상 희석하지 않고 그대로 처리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배출형 다제 내성균이란, 세포막 상에 존재하는 각종 막 수송체가 과잉 발현되어, 세포 내에 유입된 식물 병해 방제제를 세포 외로 배출하는 배출 펌프 기능이 앙진 (昻進) 됨으로써, 다수의 식물 병해 방제제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는 균을 말한다. 당해 막 수송체로는 예를 들어, ABC 트랜스포터 및 MFS 트랜스포터를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ABC 트랜스포터란, ATP 결합 카세트 트랜스포터 (ATP-binding cassette transporters) 를 가리키고, MFS 트랜스포터란, 주요 촉진제 슈퍼패밀리 (Major Facilitator Superfamiliy) 트랜스포터를 가리킨다. 당해 막 수송체의 과잉 발현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당해 막 수송체의 양 또는 당해 막 수송체를 코드하는 유전자에 대응하는 mRNA 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된다. 당해 mRNA 의 양은, 예를 들어 정량적 역전사 폴리메라아제 연쇄 반응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 qRT-PCR) 에 의해 측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공지 문헌에 있어서, 그 측정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Enviromental Microbiology. 2015 ; 17 (8), 2805-2823.
Pest Management Science. 2001 ; 57 (5) : 393-402.
PLoS Pathogen. 2009 ; Dec ; 5 (12) : e1000696.
배출형 다제 내성균은, 측정된 mRNA 의 양에 상관없이, 당해 막 수송체의 과잉 발현에 의해 결과적으로 식물 병해 방제제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고 있으면 된다. 측정된 mRNA 의 양은, 예를 들어 야생형 균의 mRNA 량의 20 배, 50 배, 나아가서는 100 배 이상이면 된다. 혹은, 본 명세서 중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에 대한 EC50 값, 야생형 균주에 대한 EC50 값으로 나누어 EC50 값비를 구하고, 배출형 다제 내성균의 지표제로서 알려져 있는 톨나프테이트를 사용하여, 톨나프테이트의 EC50 값비가 3 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배 이상 높은 것을 나타내면 된다.
배출형 다제 내성균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법은, 본 화합물 (1) 의 유효량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함으로써 실시된다. 당해 식물은, 배출형 다제 내성균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병해가 발생하고 있는 식물, 배출형 다제 내성균에 의해 야기되는 식물 병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식물이다.
배출형 다제 내성균은, 각종 식물 병해 방제제의 표적 단백질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변이에서 유래하는 내성 및/또는 당해 표적 단백질의 과잉 발현에서 유래하는 내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유전자에 변이를 갖거나 또는 과잉 발현하는 당해 표적 단백질은 복수 종이어도 된다. 단, 본 화합물 (1) 의 표적 단백질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변이에서 유래하여 본 화합물 (1) 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상기 각종 식물 병해 방제제로는, 예를 들어, 핵산 합성 저해제 (예를 들어, 페닐아미드계 살균제, 아실아미노산계 살균제), 유사 (有絲) 분열 및 세포 분열 저해제 (예를 들어, MBC 살균제, N-페닐카르바메이트 살균제), 호흡 저해제 (예를 들어, QoI 살균제, QiI 살균제, SDHI 살균제), 아미노산 합성 및 단백질 합성의 저해제 (예를 들어, 아닐리노피리미딘계 살균제), 시그널 전달 저해제 (예를 들어, 페닐피롤 살균제, 디카르복시이미드 살균제), 지질 합성 및 세포막 합성의 저해제 (예를 들어, 포스포로티올레이트계 살균제, 디티올란 살균제, 방향족 탄화수소계 살균제, 복소 방향족계 살균제, 카르바메이트계 살균제),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예를 들어, 트리아졸계 등의 DMI 살균제, 하이드록시아닐리드계 살균제, 아미노피라졸리논계 살균제), 세포벽 합성 저해제 (예를 들어, 폴리옥신계 살균제, 카르복실산아미드계 살균제), 멜라닌 합성 저해제 (예를 들어, MBI-R 살균제, MBI-D 살균제, MBI-P 살균제), 그리고 그 밖의 살균제 (예를 들어, 시아노아세트아미드옥심계 살균제, 페닐아세트아미드계 살균제) 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호흡 저해제 및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병해 방제제이다. 각 식물 병원균에 있어서의 상기 각 표적 단백질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변이점으로는, 예를 들어, 아래 표 1 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4
[표 1 의 계속]
Figure pct00005
[표 1 의 계속]
Figure pct00006
[표 1 의 계속]
Figure pct00007
배출형 다제 내성균은, 배출형 다제 내성을 나타내고, 또한 하기 (A), (B), (C-1), (C-2) 및 (C-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 변이점을 갖는 밀 잎마름병균이어도 된다.
(A) 시토크롬 b 를 코드하는 유전자 : F129L, G137R, G143A ;
(B) Cyp51 을 코드하는 유전자 : L50S, D107V, D134G, V136A/C/G, Y137F, M145L, N178S, S188N, S208T, N284H, H303Y, A311G, G312A, A379G, I381V/Δ, A410T, G412A, Y459C/D/N/S/P/Δ, G460D/Δ, Y461D/H/S, V490L, G510C, N513K, S524T ;
(C-1) SDHB 를 코드하는 유전자 : N225I/T, H273Y, T268I/A, I269V ;
(C-2) SDHC 를 코드하는 유전자 : I29V, N33T, N34T, T79I/N, W80S, A84V, N86K/S/A, G90R, R151T/S, H152R, I161S ;
(C-3) SDHD 를 코드하는 유전자 : I50F, M114V, D129E.
배출형 다제 내성균은, 배출형 다제 내성을 나타내고, 또한 하기 (D), (E-1), (E-2) 및 (E-3)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전자 변이점을 갖는 포도 회색곰팡이병균이어도 된다.
(D) 시토크롬 b 를 코드하는 유전자 : G143A ;
(E-1) SDHB 를 코드하는 유전자 : P225H/F/L/T, N230I, H272L/R/V/Y ;
(E-2) SDHC 를 코드하는 유전자 : P80H/L, A85V ;
(E-3) SDHD 를 코드하는 유전자 : H132R.
본 화합물 (1) 은, 밭, 수전, 잔디밭, 과수원 등의 농경지에 있어서의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의 방제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은, 이하에 예시되는 「식물」 등을 재배하는 농경지 등에 있어서 적용된다.
농작물 : 옥수수, 벼, 밀, 보리, 호밀, 귀리, 수수, 목화, 대두, 피넛, 메밀, 사탕무, 유채씨, 해바라기, 사탕수수, 담배 등,
야채 : 가짓과 야채 (가지, 토마토, 피망, 고추, 감자 등), 박과 야채 (오이, 호박, 주키니, 수박, 멜론 등), 십자화과 야채 (무, 순무, 고추냉이, 순무양배추, 배추, 양배추, 겨자,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등), 국화과 야채 (우엉, 쑥갓, 아티초크, 양상추 등), 백합과 야채 (파, 양파, 마늘, 아스파라거스), 미나리과 야채 (당근, 파슬리, 셀러리, 파스닙 등), 명아주과 야채 (시금치, 근대 등), 꿀풀과 야채 (차조기, 민트, 바질 등), 딸기, 고구마, 참마, 토란 등,
화훼,
관엽 식물,
잔디,
과수 : 인과류 (사과, 서양배, 돌배, 모과, 마르멜로 등), 핵과류 (복숭아, 자두, 승도복숭아, 매화, 앵두, 살구, 프룬 등), 감귤류 (귤, 오렌지, 레몬, 라임, 그레이프프루트 등), 견과류 (밤, 호두, 개암, 아몬드, 피스타치오, 캐슈 너트, 마카다미아 너트 등), 액과류 (블루베리, 크랜베리, 블랙베리, 라즈베리 등), 포도, 감, 올리브, 비파, 바나나, 커피, 대추야자, 야자 등,
과수 이외의 나무 : 차, 뽕나무, 화목, 가로수 (물푸레나무, 자작나무, 미국 산딸나무, 유칼리, 은행나무, 라일락, 단풍나무, 떡갈나무, 포플러, 박태기나무, 대만풍나무, 플라타너스, 느티나무, 지빵나무, 전나무, 솔송나무, 노간주나무, 소나무, 등피, 주목) 등.
상기 「식물」에는 유전자 재조합 작물도 포함된다.
본 화합물 (1) 에 의해 방제할 수 있는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로는, 예를 들어 사상균 등의 식물 병원균에 의한 식물 병해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벼의 병해 : 도열병 (Magnaporthe grisea), 참깨 잎마름병 (Cochliobolus miyabeanus), 껍질마름병 (Rhizoctonia solani) ;
밀의 병해 : 흰가루병 (Erysiphe graminis), 녹병 (Puccinia striiformis, P. graminis, P. triticina), 홍색 설부병 (Micronectriella nivale, M. majus), 설부소립균핵병 (Typhula sp.), 안문병 (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잎마름병 (Zymoseptoria tritici), 밀껍질마름병 (Stagonospora nodorum), 황반병 (Pyrenophora tritici-repentis), 라이족토니아속균에 의한 요절병 (Rhizoctonia solani), 입고병 (Gaeumannomyces graminis) ;
보리의 병해 : 흰가루병 (Erysiphe graminis), 녹병 (Puccinia striiformis, P.graminis, P.hordei), 운형병 (Rhynchosporium secalis), 망반병 (Pyrenophora teres), 반점병 (Cochliobolus sativus), 반엽병 (Pyrenophora graminea), 라무라리아병 (Ramularia collo-cygni), 라이족토니아속균에 의한 요절병 (Rhizoctonia solani) ;
옥수수의 병해 : 녹병 (Puccinia sorghi), 남방 녹병 (Puccinia polysora), 노던 엽고병 (Setosphaeria turcica), 열대성 녹병 (Physopella zeae), 참깨 잎마름병 (Cochliobolus heterostrophus), 그레이 리프 스폿병 (Cercospora zeae-maydis) ;
목화의 병해 : 백색녹병 (Ramuraria areola) ;
커피의 병해 : 녹병 (Hemileia vastatrix), 리프 스폿병 (Cercospora coffeicola) ;
사탕수수의 병해 : 녹병 (Puccinia melanocephela, Puccinia kuehnii) ;
해바라기의 병해 : 녹병 (Puccinia helianthi) ;
감귤류의 병해 : 흑점병 (Diaporthe citri), 창가병 (Elsinoe fawcetti), 과실 부패병 (Penicillium digitatum, P. italicum) ;
사과의 병해 : 모닐리니아병 (Monilinia mali), 흰가루병 (Podosphaera leucotricha), 흑성병 (Venturia inaequalis), 갈반병 (Diplocarpon mali), 윤문병 (Botryosphaeria berengeriana) ;
배의 병해 : 흑성병 (Venturia nashicola, V. pirina), 적성병 (Gymnosporangium haraeanum) ;
복숭아의 병해 : 회성병 (Monilinia fructicola), 흑성병 (Cladosporium carpophilum), 포몹시스 부패병 (Phomopsis sp.) ;
포도의 병해 : 흑두병 (Elsinoe ampelina), 흰가루병 (Uncinula necator), 녹병 (Phakopsora ampelopsidis), 블랙 로트병 (Guignardia bidwellii) ;
감의 병해 : 낙엽병 (Cercospora kaki, Mycosphaerella nawae) ;
박류의 병해 : 흰가루병 (Sphaerotheca fuliginea), 덩굴마름병 (Didymella bryoniae), 갈반병 (Corynespora cassiicola) ;
토마토의 병해 : 잎곰팡이병 (Cladosporium fulvum), 그을음곰팡이병 (Pseudocercospora fuligena), 흰가루병 (Leveillula taurica) ;
가지의 병해 : 갈문병 (Phomopsis vexans), 흰가루병 (Erysiphe cichoracearum) ;
파의 병해 : 녹병 (Puccinia allii) ;
대두의 병해 : 자반병 (Cercospora kikuchii), 녹병 (Phakopsora pachyrhizi), 갈색윤문병 (Corynespora cassiicola), 엽부병 (Rhizoctonia solani), 갈문병 (Septoria glycines), 반점병 (Cercospora sojina), 흰가루병 (Microspaera diffusa) ;
노란강낭콩의 병해 : 녹병 (Uromyces appendiculatus) ;
땅콩의 병해 : 흑삽병 (Cercospora personata), 갈반병 (Cercospora arachidicola) ;
완두의 병해 : 흰가루병 (Erysiphe pisi) ;
딸기의 병해 : 흰가루병 (Sphaerotheca humuli) ;
사탕무의 병해 : 갈반병 (Cercospora beticola), 엽부병 (Thanatephorus cucumeris), 근부병 (Thanatephorus cucumeris) ;
장미의 병해 : 흰가루병 (Sphaerotheca pannosa) ;
국화의 병해 : 갈반병 (Septoria chrysanthemi-indici) ;
양파의 병해 : 백반잎마름병 (Botrytis cinerea, B. byssoidea, B. squamosa), 회색부패병 (Botrytis alli), 소균핵성부패병 (Botrytis squamosa) ;
다양한 작물의 병해 : 회색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
잔디의 병해 : 브라운 패치병 및 라지 패치병 (Rhizoctonia solani) ;
바나나의 병해 : 시가토카병 (Mycosphaerella fijiensis, Mycosphaerella musicola).
실시예
이하, 본 발명 방법을 제제예 및 시험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제예를 나타낸다. 또한, 제제예에 있어서 부란 중량부를 나타낸다.
제제예 1
본 화합물 (1) 50 부, 리그닌술폰산칼슘 3 부, 라우릴황산마그네슘 2 부 및 합성 함수산화규소 45 부를 잘 분쇄 혼합함으로써, 수화제를 얻는다.
제제예 2
본 화합물 (1) 20 부와 소르비탄트리올레에이트 1.5 부를, 폴리비닐알코올 2 부를 포함하는 물 28.5 부와 혼합하고, 습식 분쇄법으로 미분쇄한 후, 이 안에, 잔탄 검 0.05 부 및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부를 포함하는 물 40 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프로필렌글리콜 10 부를 첨가하여 교반 혼합하고, 플로어블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3
본 화합물 (1) 2 부, 카올린 클레이 88 부 및 탤크 10 부를 잘 분쇄 혼합함으로써, 분제를 얻는다.
제제예 4
본 화합물 (1) 5 부, 폴리옥시에틸렌스티릴페닐에테르 14 부, 도데실벤젠술폰산칼슘 6 부 및 자일렌 75 부를 잘 혼합함으로써, 유제를 얻는다.
제제예 5
본 화합물 (1) 2 부, 합성 함수산화규소 1 부, 리그닌술폰산칼슘 2 부, 벤토나이트 30 부 및 카올린 클레이 65 부를 잘 분쇄 혼합한 후, 물을 첨가하여 잘 혼련하고, 조립 (造粒) 건조시킴으로써, 입제를 얻는다.
제제예 6
본 화합물 (1) 20 부 ; 화이트 카본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술페이트암모늄염의 혼합물 (중량 비율 1 : 1) 35 부 및 물을 혼합하여 전체량을 100 부로 하고, 분쇄기를 사용하여 처리함으로써, 플로어블 제제를 얻는다.
제제예 7
표 2 에 기재된 원료를, 표 2 에 기재된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균일한 용액이 될 때까지 교반하여, 각각 제제를 얻었다. 또한, 표 중의 숫자는 중량부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상기 표 2 에 기재된 상품명은, 이하와 같다.
Agnique AMD810 : N,N-디메틸옥탄아미드와 N,N-디메틸데칸아미드의 혼합물, BASF 사 제조 ;
Hallcomid M-8-10 : N,N-디메틸옥탄아미드와 N,N-디메틸데칸아미드의 혼합물, Stepan 사 제조 ;
Agnique AMD3L : N,N-디메틸락트아미드, BASF 사 제조 ;
솔베소 200ND : 방향족 탄화수소로서 주로 C11-14 의 알킬나프탈렌, 엑슨 모빌 케미컬 제조 ;
Calsogen 4814 : 도데실벤젠술폰산칼슘염, Clariant 사 제조 ;
ATPLUS245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Croda 사 제조 ;
Brij O3 :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HLB : 7, Croda 사 제조 ;
Atlas G5002L : 부틸 블록 코폴리머, Croda 사 제조 ;
Toximul 8323 :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Stepan 사 제조 ;
Rhodiasolv Polarclean : 5-(디메틸아미노)-2-메틸-5-옥소펜탄산메틸을 80 ∼ 90 중량% 함유한다 (단, 전체량을 100 중량% 로 한다), 솔베이 닛카 제조 ;
PURASOLV ML : L-락트산메틸, Corbion purac 사 제조 ;
PURASOLV EL : L-락트산에틸, Corbion purac 사 제조.
다음으로, 시험예를 나타낸다. 이하의 시험예에 있어서 사용한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는, 모두 사내에서 유지 관리하고 있는 균주이며, 또 독립 행정 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 (NITE) 내의 특허 미생물 기탁 센터 (NPMD) (치바켄 키사라즈시 카즈사카마타리 2-5-8 122 호실) 에 2018년 4월 10일부로 기탁되어 있다. 당해 각 균주명을, 각각 사내 관리 코드와 함께 NITE 기탁 번호를 기재한다.
시험예 1 배출형 다제 내성 밀 잎마름병균 (Zymoseptoria tritici) 에 대한 방제 시험
본 화합물 (1) 및 톨나프테이트 (Tolnaftate) 를 각각, 디메틸술폭시드에 소정의 농도로 희석하였다. 각 공시 화합물을 각각 함유하는 약액을 타이터 플레이트 (96 웰) 에 1 ㎕ 나누어 주입한 후, 미리 밀 잎마름병균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 (균주명 : St 106-6) 또는 야생형 균주의 분생 포자를 접종한 감자 전즙 액체 배지 (PDB 배지) 를 150 ㎕ 나누어 주입하였다. 이 플레이트를 4 일간, 18 ℃ 에서 배양하여 각 밀 잎마름병균을 증식시킨 후, 타이터 플레이트의 각 웰을 600 nm 의 흡광도로, 각 밀 잎마름병균의 생육도를 측정하였다 (처리구). 한편, 약액을 디메틸술폭시드로 바꾸어 처리구와 마찬가지로 야생형 균주 또는 배출형 다제 내성 밀 잎마름병 균주를 생육시킨 구를 각각의 무처리구로 하고, 그 생육도를 조사하였다 (무처리구). 그 생육도를 기초로, 하기 「식 1」에 의해 효력을 산출하고, 각 화합물의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 및 야생형 균주의 각각에 대한 EC50 값을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하기 「식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에 대한 EC50 값을, 야생형 균주에 대한 EC50 값으로 나누어 EC50 값비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톨나프테이트의 EC50 값비는 19 로 높았지만, 본 화합물 (1) 의 EC50 값비는 1.1 로 낮았다. 이 점으로부터, 본 화합물 (1) 은,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에 대해서도 야생형 균주에 대한 방제 활성과 동등한 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인정되었다.
「식 1」
효력 = 100 × (X - Y)/X
X : 무처리구의 균의 생육도
Y : 처리구의 균의 생육도
「식 2」
EC50 값비 =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에 대한 EC50 값/야생형 균주에 대한 EC50
Figure pct00009
시험예 2 배출형 다제 내성 포도 회색곰팡이병균 (Botrytis cinerea) 에 대한 방제 시험
본 화합물 (1), 플루디옥소닐 (Fludioxonil), 및 톨나프테이트 (Tolnaftate) 를 각각, 디메틸술폭시드에 소정의 농도로 희석하였다. 각 공시 화합물을 각각 함유하는 약액을 타이터 플레이트 (96 웰) 에 1 ㎕ 나누어 주입한 후, 미리 포도 회색곰팡이병균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 1 : ABC 트랜스포터 과잉 발현 균주 (균주명 : NITE 기탁 번호 (NITE BP-02676), 사내 관리 코드 (Bc-56)),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 2 : MFS 트랜스포터 과잉 발현 균주 (균주명 : NITE 기탁 번호 (NITE BP-02678), 사내 관리 코드 (Bc-107)),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 3 : ABC 트랜스포터 및 MFS 트랜스포터 과잉 발현 균주 (균주명 : NITE 기탁 번호 (NITE BP-02677), 사내 관리 코드 (Bc-103)))] 또는 야생형 균주의 분생 포자를 접종한 감자 전즙 액체 배지 (PDB 배지) 를 150 ㎕ 나누어 주입하였다. 이 플레이트를 2 일간, 18 ℃ 에서 배양하여 각 포도 회색곰팡이병균을 증식시킨 후, 타이터 플레이트의 각 웰을 600 nm 의 흡광도로, 각 포도 회색곰팡이병균의 생육도를 측정하였다 (처리구). 한편, 약액을 디메틸술폭시드로 바꾸어 처리구와 마찬가지로 야생형 균주 또는 배출형 다제 내성 포도 회색곰팡이병 균주를 생육시킨 구를 각각의 무처리구로 하고, 그 생육도를 조사하였다 (무처리구). 그 생육도를 기초로, 상기 「식 1」에 의해 효력을 산출하고, 각 화합물의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 및 야생형 균주의 각각에 대한 EC50 값을 산출하였다. 또, 상기 「식 2」에 의해, EC50 값비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플루디옥소닐의 EC50 값비는 23, 14, 43 으로 높고, 또, 톨나프테이트의 EC50 값비는 모두 4.5 보다 크게 높은 것이었지만, 본 화합물 (1) 의 EC50 값비는 1.7, 1.6, 1.1 로 낮았다. 이 점으로부터, 본 화합물 (1) 은, 배출형 다제 내성 균주에 대해서도 야생형 균주에 대한 방제 활성과 동등한 방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인정되었다.
Figure pct00010
독립 행정 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 (NITE) NITEBP-02676 20180410 독립 행정 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 (NITE) NITEBP-02677 20180410 독립 행정 법인 제품 평가 기술 기반 기구 (NITE) NITEBP-02678 20180410

Claims (7)

  1. 하기 식 (1) :
    Figure pct00011

    로 나타내는 피라졸 화합물의 유효량을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배출형 다제 내성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형 다제 내성균이, ABC 트랜스포터 및 MFS 트랜스포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막 수송체의 과잉 발현에 의해 식물 병해 방제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한 균인,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식물 병해가, 밀의 병해 및 포도의 병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병해인,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배출형 다제 내성균이, 밀 잎마름병균 및 포도 회색곰팡이병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형 다제 내성균인,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형 다제 내성균이, 호흡 저해제 및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물 병해 방제제에 대하여, 당해 식물 병해 방제제의 표적 단백질을 코드하는 유전자의 변이에서 유래하는 내성 및/또는 당해 표적 단백질의 과잉 발현에서 유래하는 내성을 갖는 배출형 다제 내성균인,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 또는 식물을 재배하는 토양에 처리하는 공정이, 종자에 처리하는 공정인, 식물 병해의 방제 방법.
  7. 배출형 다제 내성균에 의한 식물 병해의 방제를 위한, 하기 식 (1) :
    Figure pct00012

    로 나타내는 피라졸 화합물의 사용.
KR1020197033250A 2017-05-19 2018-05-18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 방제 방법 KR20200008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99581 2017-05-19
JPJP-P-2017-099581 2017-05-19
PCT/JP2018/019307 WO2018212328A1 (ja) 2017-05-19 2018-05-18 排出型多剤耐性植物病害防除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552A true KR20200008552A (ko) 2020-01-28

Family

ID=6427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250A KR20200008552A (ko) 2017-05-19 2018-05-18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 방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127675A1 (ko)
EP (1) EP3626078B1 (ko)
JP (1) JP7071972B2 (ko)
KR (1) KR20200008552A (ko)
AR (1) AR111804A1 (ko)
ES (1) ES2927255T3 (ko)
WO (1) WO2018212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111805A1 (es) * 2017-05-19 2019-08-21 Sumitomo Chemical Co Método para controlar una fitoenfermedad resistente a multifármacos de tipo efluj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13755A (en) * 2001-08-24 2001-09-28 Ann Rachel Holmes Protein expression system in yeast comprising a vector encoding a heterologous membrane protein and its application in screening for drugs
WO2006034219A2 (en) * 2004-09-17 2006-03-3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with multidrug resistance inhibitors and phenothiaziniums
TWI504350B (zh) * 2010-09-01 2015-10-21 Du Pont 殺真菌吡唑及其混合物
TWI568721B (zh) * 2012-02-01 2017-02-01 杜邦股份有限公司 殺真菌之吡唑混合物
WO2014130409A2 (en) * 2013-02-21 2014-08-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ungicidal pyrazole mixtures
JP2015199682A (ja) * 2014-04-08 2015-11-12 学校法人近畿大学 多剤耐性真菌に有効な抗真菌剤
JP6693104B2 (ja) 2015-11-30 2020-05-13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ropean Journal of Plant Pathology. 2013 ; 135, 683-693
Pest Management Science. 2006 ; 62, 195-2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71972B2 (ja) 2022-05-19
AR111804A1 (es) 2019-08-21
US20210127675A1 (en) 2021-05-06
JPWO2018212328A1 (ja) 2020-03-19
WO2018212328A1 (ja) 2018-11-22
ES2927255T3 (es) 2022-11-03
EP3626078B1 (en) 2022-06-29
EP3626078A1 (en) 2020-03-25
EP3626078A4 (en) 202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6595A (ko) 식물 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130038899A (ko) 유해 절족 동물 방제 조성물 및 유해 절족 동물의 방제 방법
JP2017165720A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KR20200008552A (ko)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 방제 방법
CN114223665A (zh) 一种杀菌组合物用于防治植物致病真菌的用途
JP6922272B2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WO2015083720A1 (ja) 植物病害防除用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KR102545866B1 (ko) 배출형 다제 내성 식물 병해 방제 방법
JP7071973B2 (ja) 排出型多剤耐性植物病害防除方法
JP6988106B2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CN106982842B (zh) 一种杀菌组合物
WO2015083719A1 (ja) 植物病害防除用組成物及び植物病害の防除方法
CN106982851B (zh) 一种杀菌组合物
JP2017165715A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JP2017165716A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WO2017026524A1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JPWO2017026525A1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JPWO2017026526A1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JP6862939B2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JP6922271B2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WO2017026523A1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JP2013256457A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KR20130132764A (ko) 유해 절족 동물 방제 조성물 및 유해 절족 동물의 방제 방법
JP2017165721A (ja) 植物病害防除組成物及び植物病害防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