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461A -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461A
KR20200008461A KR1020180082590A KR20180082590A KR20200008461A KR 20200008461 A KR20200008461 A KR 20200008461A KR 1020180082590 A KR1020180082590 A KR 1020180082590A KR 20180082590 A KR20180082590 A KR 20180082590A KR 20200008461 A KR20200008461 A KR 20200008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ound output
unit
output devic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철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80082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8461A/ko
Publication of KR20200008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며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상기 음향 출력부 및 온도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온도감지부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감지부는 사용자의 이도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제1 온도신호를 생성하는 제1 온도감지부; 상기 수용공간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2 온도신호를 생성하는 제2 온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신호 및 상기 제2 온도신호로부터 산출된 제1 온도 변화 패턴 및 제2 온도 변화 패턴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원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것인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WEARABLE SOUND OUTPUT DEVICE CAPABLE OF POWER CONTROL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들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통상적으로 이어폰 또는 헤드폰과 같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를 통해 음향을 재생한다. 이러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는 사용자가 주변 사람들에게 방해를 주지 않으면서도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그 사용빈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는 유선 타입 또는 무선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유선 타입의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에 체결되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무선 타입의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는 자체적으로 전원부를 구비하여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을 마치면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이를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실수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는 경우,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또는 휴대용 단말기가 계속 동작하게 되어 불필요하게 전원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정확히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며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상기 음향 출력부 및 온도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온도감지부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감지부는 사용자의 이도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제1 온도신호를 생성하는 제1 온도감지부; 상기 수용공간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2 온도신호를 생성하는 제2 온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신호 및 상기 제2 온도신호로부터 산출된 제1 온도 변화 패턴 및 제2 온도 변화 패턴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원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것인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온도 변화 패턴 및 제2 온도 변화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의 판단은 외부 온도의 높낮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는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음향을 재생하거나, 또는 음향의 재생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방지되며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가 미착용된 상태에서의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가 착용된 상태에서의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는 음향 출력부(110), 온도감지부(120), 하우징(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10)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향 신호를 기초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하우징(13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가 무선 타입일 경우,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는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에 별도로 구비된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는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의 구성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가 유선 타입일 경우,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와 체결되는 정보전달부(미도시)를 통해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30) 일 면의 외측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음향 출력부(110)는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할 시, 사용자의 이도가 위치한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10)가 한 쌍으로 이루어질 경우, 음향 출력부(110)는 각각의 음향 출력부(11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음향 출력부(110)를 서로 연결하는 밴드부(150)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밴드부(150)는 'U'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음향 출력부(110)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쿠션부(1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쿠션부(160)는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할 시,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쿠션부(160)의 위치는 음향 출력부(110)로부터 출력된 음향이 사용자의 귀에 도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라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온도감지부(120)는 음향 출력부(1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온도감지부(121) 및 제2 온도감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온도감지부(121)는 제1 온도감지부(121)로 유입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한 적외선으로부터 제1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온도 정보의 획득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일 경우, 제1 온도감지부(121)는 사용자의 귀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1 온도감지부(121)는 사용자의 이도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이도가 사용자의 체온정보를 가장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 신체부위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제1 온도감지부(121)는 음향 출력부(110)의 중심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이도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온도감지부(121)는 비접촉형 적외선 온도센서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온도감지부(121)는 사용자의 내이도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보다 정확히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온도감지부(121)는 음향 출력부(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제1 온도감지부(121)의 적외선 수신율은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제2 온도감지부(122)는 하우징(13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1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온도감지부(121)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온도감지부(122)는 수용공간부(131)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제2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2 온도 정보의 획득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부(131)의 온도는 외부의 온도를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 시, 제2 온도감지부(122)가 획득한 제2 온도 정보와 제1 온도감지부(121)가 획득한 제1 온도 정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0)의 타면에는 수용공간부(131)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홀(132)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수용공간부(131)의 온도는 외부의 온도를 보다 정확히 반영할 수 있다. 즉, 제2 온도감지부(122)는 수용공간부(131)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외부의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2 온도감지부(122)는 하우징(130) 타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는 하우징(130)의 타면이 외부의 온도를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하는 경우, 제1 온도감지부(121)는 사용자의 체온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2 온도감지부(122)는 하우징(130) 타면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외부의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온도감지부(122)는 하우징(130) 타면의 내측에 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온도감지부(12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의 온도 정보를 정확히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2 온도감지부(122)는 복수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복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온도감지부(122)는 복수의 위치에서 외부의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복수의 외부 온도 정보를 기초로 최종적인 외부 온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온도 감지부(122)는 보다 정확한 외부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2 온도감지부(122)는 하우징(130)의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밴드부(150)가 구비될 경우, 밴드부(150)의 외측 또는 내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2 온도감지부(122)는 외부의 온도 정보를 획득하기 용이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1 온도감지부(121)와 제2 온도감지부(122)가 각각 획득한 제1 온도 정보 및 제2 온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제1 온도 정보 및 제2 온도 정보를 기초로 제1 온도 변화 패턴(610) 및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온도 변화 패턴(610) 및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 장치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위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음향 출력부(110)에 대한 전원 공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40)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어부(140)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의 (a)는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가 미착용된 상태에서의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의 (b)는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하였음을 제어부(140)가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제1 온도 정보 또는 제2 온도 정보의 변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1)
이때,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 중 어떤 온도 정보도 변화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하거나 또는 탈착하지 않은 것이므로, 제어부(140)는 현재의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에 대한 전원 공급 차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 설정된 값 이상 변화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1 온도 변화 패턴(610) 및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을 상호 비교할 수 있다.(S512)
도 6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하였을때와 미착용하였을때의 제1 온도 변화 패턴(610) 및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제1 온도 변화 패턴(610)과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이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b) 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한 경우에는 제1 온도 변화 패턴(610)과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제1 온도 변화 패턴(610)과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을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온도 패턴의 변화는 외부 온도가 높거나 낮더라도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의 체온과 외부의 온도가 유사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 시, 제1 온도 변화 패턴(610)과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가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부(140)의 판단은 외부 온도의 높낮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단계에서 제어부(140)는 제1 온도 변화 패턴(610) 및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1 온도 변화 패턴(610)과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의 유사도가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현재의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에 대한 전원 공급 차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온도 변화 패턴(610)과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의 유사도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온도 정보의 값이 체온의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3)
이때, 제1 온도 정보의 값이 체온의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40)는 현재의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에 대한 전원 공급 차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온도 정보의 값이 체온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음향 출력부(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S514)
이하에서는, 도 5의 (b)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탈착하였음을 제어부(140)가 판단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40)는 제1 온도 정보 또는 제2 온도 정보가 변화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1)
이때,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 중 어떤 정보도 변화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40)는 현재의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에 대한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미착용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를 상호 비교할 수 있다.(S522)
이때, 제어부(140)는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현재의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에 대한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온도 정보와 제2 온도 정보의 차이가 기준 범위 이내에 속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온도 변화 패턴(610) 및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을 상호 비교할 수 있다.(S523)
이때, 제어부(140)는 제1 온도 변화 패턴(610) 및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1 온도 변화 패턴(610)과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의 유사도가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 현재의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음향 출력부(110)에 대한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온도 변화 패턴(610)과 제2 온도 변화 패턴(620)의 유사도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를 미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음향 출력부(110)에 대한 전원을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S524)
이에 따르면,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의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음향을 재생하거나, 또는 음향의 재생을 중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에 대한 별도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사용자가 실수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100)의 전원을 오프시키지 않는 경우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110 : 음향 출력부
120 : 온도감지부
121 : 제1 온도감지부
121 : 제2 온도감지부
130 : 하우징
131 : 수용공간부
132 : 연통홀
140 : 제어부
150 : 밴드부
160 : 쿠션부
610 : 제1 온도 변화 패턴
620 : 제2 온도 변화 패턴

Claims (1)

  1.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전원 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며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상기 음향 출력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온도감지부;
    상기 음향 출력부 및 온도감지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온도감지부로부터 수신한 온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감지부는
    사용자의 이도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제1 온도신호를 생성하는 제1 온도감지부;
    상기 수용공간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2 온도신호를 생성하는 제2 온도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신호 및 상기 제2 온도신호로부터 산출된 제1 온도 변화 패턴 및 제2 온도 변화 패턴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전원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것인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KR1020180082590A 2018-07-16 2018-07-16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00008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590A KR20200008461A (ko) 2018-07-16 2018-07-16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590A KR20200008461A (ko) 2018-07-16 2018-07-16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461A true KR20200008461A (ko) 2020-01-28

Family

ID=6937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590A KR20200008461A (ko) 2018-07-16 2018-07-16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84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9842B2 (en) Identification of cushioning members in personal audio devices
US9924255B2 (en) On/off head detection using magnetic field sensing
US10157037B2 (en) Performing an operation at a headphone system
US10257602B2 (en) Earbud insertion sensing method with infrared technology
US9924270B2 (en) Techniques for channelization of stereo audio in headphones
JP4829974B2 (ja) 補聴器用交換可能音響システムおよび補聴器
US9538302B2 (en) Detecting headphone earpiece location and orientation based on differential user ear temperature
US20160262106A1 (en) Bluetooth headset system having automatic induction and control function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01695B1 (en) Active headphones with power consumption control
US9838774B2 (en) Headset apparatus
CN101166372A (zh) 无线耳机
US20230396914A1 (en) Headphones for detecting a wearing mode and headphones for detecting an earmuff material
US20170075422A1 (en) Wearable Devices and Associated Control of Media Devices
WO2017022240A1 (ja) イヤホン
KR20200008461A (ko) 전원제어가 가능한 착용형 음향 출력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37270B1 (ko) 능동 방향성 이득 조정 가능한 양이 보청기 시스템
TWI660714B (zh) 咀嚼檢測裝置
CN110611870A (zh) 识别听筒的方法、听力系统和耳机
CN110431853B (zh) 扬声器设备、音频数据提供设备以及音频数据再现系统
CN211063759U (zh) 一种可测量体温并将测量结果传至手机的蓝牙耳机
KR101562621B1 (ko) 스마트 이어폰 장치
US11496826B2 (en) Host detection and acoustic module detection
CN114945120A (zh) 耳机设备的控制
KR102175180B1 (ko) 자세 검출에 기반한 피드백 방지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
TW202239221A (zh) 耳機裝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