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751A -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 - Google Patents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751A
KR20200007751A KR1020190084971A KR20190084971A KR20200007751A KR 20200007751 A KR20200007751 A KR 20200007751A KR 1020190084971 A KR1020190084971 A KR 1020190084971A KR 20190084971 A KR20190084971 A KR 20190084971A KR 20200007751 A KR20200007751 A KR 20200007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wire
positioning
pin terminal
position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희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07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7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11U-shaped sliding element

Abstract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은, 핀 형상을 갖는 핀부, 상기 핀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와이어와 접속되는 와이어 연결단, 및 상기 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핀부의 외주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ROUND PIN TERMINAL WITH POSITIONING STRUCTURE}
아래 실시예들은 가전제품 등에서 핀 터미널의 위치를 결정하고 접속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에서는 부품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핀 터미널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진공 청소기에서는 본체와 샤프트, 샤프트와 헤드 등을 연결하는 부분에서 핀 터미널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핀 터미널은 일 단에 와이어가 장착되고, 핀 터미널의 중간 또는 타단에는 연결 및 고정을 위해서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형성된 오버 몰드가 형성된다. 그런데 기존의 핀 터미널은 와이어를 꽂고 압착하여 변형시킴으로써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를 연결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와이어의 단선이 쉽게 발생한다. 또한, 오버 몰드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작업성이 나쁘고,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전술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내용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인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에 대해 설명한다.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은, 핀 형상을 갖는 핀부, 상기 핀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와이어와 접속되는 와이어 연결단, 및 상기 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핀부의 외주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결정부는,상기 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핀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연결단은,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내부에 와이어를 수용한 후 상기 와이어를 감싸도록 변형되어서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핀부는 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라운드 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핀부와 상기 와이어 연결단 및 상기 위치 결정부는 하나의 판재를 가공 및 절곡하여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핀 터미널과 일체로 위치 결정부가 형성되므로, 구조 및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핀 터미널이 일체의 재질로 형성되므로, 플라스틱 사용을 배제하고, 핀 터미널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의 피복 부분까지 고정시키므로 와이어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이 적용된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10)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1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핀부(11)와, 와이어(W)가 고정되는 와이어 연결단(13) 및 위치 결정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핀부(11)는 그 끝이 곡면인 라운드 핀 형상을 갖고, 소정 길이를 갖는다.
와이어 연결단(13)은 핀부(11)의 타단에서 상기 핀부(11)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와이어(W)에 연결 및 고정시킨다.
와이어 연결단(13)은 와이어(W)의 둘레를 감싸서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프(131, 132)와, 와이어 연결단(13)의 말단부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접속부(1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접속부(133)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접속부(133)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클램프(131, 132)는 내부에 와이어(W)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U'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클램프(131, 132) 내부에 와이어(W)가 수용된 상태에서, 클램프(131, 132)를 와이어(W)의 둘레를 감싸도록 변형 및 압착시킴으로써, 와이어(W)가 고정되고 핀 터미널(10)과 와이어(W)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킨다.
클램프(131, 132)는 와이어(W)의 전선 부분에 결합되는 컨덕팅 배럴(131)과 와이어(W)의 피복 부분에 결합되어서 해당 결합 부분을 절연시키는 절연 배럴(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클램프(131, 132)는 와이어(W)를 고정 및 결합되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클램프(131, 132)의 수 역시 2쌍으로 한정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프(131, 132)는 와이어(W)에 대해서 변형될 때 와이어(W)의 피복을 관통하여 내부의 전선과 접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램프(131, 132)는 와이어(W)를 고정시킴과 더불어 전기적으로도 연결된다.
다만, 클램프(131, 132)의 형상은 와이어(W)의 둘레를 감싸도록 변형 가능한 형상이라면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기존의 핀 터미널에서는, 와이어의 피복을 벗기고, 피복을 벗긴 와이어의 단부를 핀 내부에 삽입한 후, 핀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고정 방식에 의해서는, 와이어와 핀 터미널을 고정시키는 공정이 복잡하고 작업성이 낮았다. 더불어, 압착된 부분에서만 와이어가 고정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에서 단선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클램프(131, 132)가 'U'자 형태로 벌어진 상태에서 와이어(W)를 그 내부에 수용시키고, 와이어(W)에 대해서 클램프(131, 132)를 변형시키므로, 와이어(W)와 클램프(131, 132)의 연결 및 고정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클램프(131, 132)에 의해서 와이어(W)가 고정되므로 비교적 넓은 면적에서 와이어(W)와 접촉하고 있으며, 와이어(W)의 피복에 대해서도 고정되고 있으므로, 와이어(W)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단선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12)는 핀 터미널(10)를 장착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기기의 하우징(미도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즉, 위치 결정부(12)가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핀 터미널(10)의 고정을 위한 구조에 삽입되면, 핀 터미널(10)이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12)는 핀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도중에 형성되며, 핀부(11)와 일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위치 결정부(12)는 핀부(11)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위치 결정부(12)는 핀부(11)에 1개소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위치 결정부(12)는 핀부(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1개소 이상 복수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결정부(12)의 형상 역시 핀부(11)에서 외주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이라면, 연속적 또는 단속적 형상을 포함하여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위치 결정부(12)를 핀부(11)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핀 터미널(10)의 고정을 위한 오버 몰드를 생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버 몰드를 생략하고 위치 결정부(12)가 핀부(11)와 일체로서 형성됨에 따라, 핀 터미널(10)의 재료 및 공정을 단순화하고, 비용 및 공정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핀 터미널(10)은 하나의 판재를 핀부(11), 와이어 연결단(13) 및 위치 결정부(12)를 형성하기 위한 형상으로 펀칭, 절개 등의 가공을 한 후, 가공된 판재를 핀부(11)가 대략 원기둥 형상이 되도록 절곡함으로써,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핀 터미널(10)을 형성함으로써, 핀부(11)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소정 이상의 체적을 가지며, 무게가 가벼운 핀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핀 터미널(10)은 핀부(11)와, 와이어 연결단(13) 및 위치 결정부(12)가 모두 일체로 형성되므로, 구조를 단순화 시키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핀 터미널(10)을 단일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플라스틱 사용을 배제하고, 핀 터미널(10)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격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핀 터미널
11: 핀부
12: 위치 결정부
13: 와이어 연결단
131, 132: 클램프
133: 플레이트
W: 와이어

Claims (6)

  1. 핀 형상을 갖는 핀부;
    상기 핀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와이어와 접속되는 와이어 연결단; 및
    상기 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핀부의 외주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위치 결정부;
    를 포함하는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핀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소에 형성되는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핀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단은,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내부에 와이어를 수용한 후 상기 와이어를 감싸도록 변형되어서 상기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단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라운드 핀인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와 상기 와이어 연결단 및 상기 위치 결정부는 하나의 판재를 가공 및 절곡하여 일체로서 형성되는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
KR1020190084971A 2018-07-13 2019-07-15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 KR202000077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81486 2018-07-13
KR1020180081486 2018-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751A true KR20200007751A (ko) 2020-01-22

Family

ID=69368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971A KR20200007751A (ko) 2018-07-13 2019-07-15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77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21939A (en) Electrical connector
US3553629A (en) Electric hose with end fittings for a vacuum cleaner
JP3673527B2 (ja) シールド電線接続用端子
JP6447596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6524299A (ja) プラグコネクタ
JP2017139227A (ja) 電気コネクタ
US9660353B2 (en) Small-sized elastic inner conductor right-angled elbow conductor connector
WO2019046517A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GROUND COUPLING NUT
US5085594A (en) Solder-free plug-cable connection system
KR10168027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JP2017523569A (ja) ケーブル接続部品
RU2002113293A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кабеля
JPH04319275A (ja) 差込みコネクタ
CN110932009A (zh) 具有引入的绝缘压接
KR20200007751A (ko) 위치 결정 구조를 갖는 핀 터미널
US2889394A (en) Shielded and coaxial cable connection
EP1580848A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and electrical connecting system comprising such a connector
JP2006024499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2651764A (en) Tinsel wir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JP3214098U (ja) 同軸マイクロケーブル用フリーハンダ付けコネクタ
KR200420046Y1 (ko) 조인트 커넥터
US1476028A (en) Electrical connecter for spark plugs
KR100799973B1 (ko) 통신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KR100504103B1 (ko) 커넥터
KR200354312Y1 (ko) 전선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