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842A - 26키 영어 통일 자판 - Google Patents

26키 영어 통일 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842A
KR20200006842A KR1020180080711A KR20180080711A KR20200006842A KR 20200006842 A KR20200006842 A KR 20200006842A KR 1020180080711 A KR1020180080711 A KR 1020180080711A KR 20180080711 A KR20180080711 A KR 20180080711A KR 20200006842 A KR20200006842 A KR 20200006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keyboard
input
key
engl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용
Original Assignee
박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용 filed Critical 박찬용
Priority to KR102018008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6842A/ko
Publication of KR2020000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문자 배열 및 입력은 26키 영어 골라 긋기 통일 자판에 관한 것으로, 독창적인 영어 단짝 문자 기능과 다이텍스트(Ditext) 기능을 융합하여 영어 단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고안한 기술이 본원 제안의 백미요 최대 압권이다. 간단하고 균형있는 문자 배열, 사용빈도, 운지 거리, 연이은 자음고리(combining fragment letter, Digraph, Trigraph 및 Multigraph, 팝업, 연타 및
긋기입력(Drag, Stroke, Slide, Glide,Swype)을 원용하여, 자모의 위치를 쉽게 인지하고, 가장 자주 쓰이는 띠우기 키(Space Bar)를 중앙에 배정하여, 생명공학적 최적화(Ergonomic Optimization)를 통한 생체리듬에 맞게 배열했다. 단짝문자의 인접 자소를 동시치기나 긋기(Slide)기능을 원용해서 빠르고 간편하며 효율적으로 자음, 모음을 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26키 영어 통일 자판{26 Alpha UniSwyTap Pad}
본 제안은 모바일 기기의 터치 자판(Touch Pad)에서 골라 긋기 영어 입력(Navigational Alpha UniSwyTap Input)에 관한 것으로; 흰색(15개 자음)과 파란색(6개 모음), 총 21개 알파벳 입력키는 타건이나 긋기 모두 입력되고; 저빈도 J,Q,V,X,Z 와 기능키, 부호키 포함한, 나머지 몽땅 흑색 화면은 긋기 공간으로 쓰도록 구성되어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 키판(Smart Phone Keyboard)의 16개 키( 기능키와 저빈도 문자 포함)는 타건 할 때만 작업 기능이 인식/작동되고; 긋기(Swipe)로 지나갈 때는 활성화 되지 않는 자판을 구축하는 것이며(도 1); 골라 긋기 입력시 자유 왕래 화면을 지나면서, 원하는 글자만 긋기로 골라 연결하여, 글자를 쉽게 조합하는 자판을 구축 하는데 있다.
본 발명,
26키 영어 통일 자판은, 2018 알파긋기자판( 10-2017-0117152)을 개량(Upgrade)한 것으로, 영어 자/모 위치를 빠르게 연상시키고, 긋기(Drag,Swipe,Slide,Glide) 기법 및 팝업(Pop-up) 입력 기법을 융합하여 간편하게 직관 골라 긋기 및 타건으로 쉽게 영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영어 단짝문자(Digraph, Combining Fragment letters) 이론과 빈도 수를 감안하여, 자주 쓰이는 영어 알파벳 자음을 중앙에 배정된 6개 모음(A E I O U Y, Y는 반 모음) 주위에 배정하여 직관 직타나 직관 긋기로 영어 단어를 쉽게 입력하고, 문자입력 유아이(UI), (휴대폰,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iPad, Android Pad, MID 기기, 리모콘 및 IPTV 및 Smart TV 키보드, Tablet PC)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문자를 입력하여 표시하는 장치로는 대표적으로 컴퓨터 또는 타자기, 최근 들어 전자수첩, 리모콘, 컴퓨터 게임,PDA, 휴대폰, Smart Phone 및 타블렛 피씨(Tablet PC ) 등을 들 수 있는데, 한글, 영문자에 해당하는 문자키와 특정키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키가 요구 돼서 소형 휴대기기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의 26키 쿼티 영어 자판은 좁은 터치 공간에서 깨알 같은 키를 일일이 타건해야 하고, 3행에 26키를 사선으로 배열하자니 제 1행에 10개 키를 초과 밀집 배당하여 알파벳 타건 입력도 불편하고, 긋기 입력은 배우기 조차 힘들고 오랜 시간이 소모 된다.
본 신청, 26키 영어 통일 자판은 격자식 배열( Grid Layout)로 자유 통로 화면을 지나면서 영어 자모를 긋기로 연결하여 글자를 조합하고;
긋기 입력을 활용하면 글자를 연결하는 필기식 동선(Gesture)이 뚜렷하게 기억에 남아서 연상 단어 조합하기가 쉽다.
불량 쿼티(QWERTY) 배열의 유래: 약 150 여년 전 크리스토퍼 숄(Schol)씨가 타이프 라이터를 발명할 때 상단 문자를 쿼티(QWERTY)로 배열하였다. 발명가 크리스토퍼 숄씨는 타자 입력 할 때 활자 뭉치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려고,
1. 빨리 타건(Tap)하지 못하도록 배열했다. 사용하기 불편해서 누구나 천천히 치도록 배열했다. 따라서 타이프라이터 쿼티(QWERTY) 자판은 계획된 불량 배열이기 때문에 입력하기가 힘들고 오타를 쉽게 유발시킨다.
2. 시작부터 불량 배열 쿼티는 상단에 10 개 키(Q W E R T Y U I O P)가 있어서 초 소형 휴대폰에 배열 할 때는 키가 깨알같이 작아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불량 배열과 깨알같이 작은 키로 알파벳을 치자면 고역이지만 신통한 대안 자판이 없어서 울며 겨자 먹기로 오타와 씨름하며 지금까지 150 여년간 사용하고 있다.
3. 영어 자모를 단짝 문자를 고려하지 않고 마구 섞어 놓았기 때문에, 쿼티자판에서, 타건 및 긋기 입력(Swipe, Drag, Slide) 할때 오타가 나기 쉽다. 따라서 문자입력 하기가 힘들고, 문자 입력속도가 늦어짐은 물론, 운지 거리가 길어 손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4. 초기화면의 편집기능이 불안정해서 사용하기가 힘들다.
본 발명에서 두 가지 분야를 개선했다.
우선 전세계가 사용하는 깨알박이 영어 쿼티자판은 좁은 공간에 흩어진 26 입력키(key cap)의 크기가 작아 긋기가 불편한 쿼티 자판 환경을, 본 제안 26키 영어 골라 긋기 통일 자판은 키 주위의 흑색 자유 통로(Wiggle Room)를 지나며 긋기가 편하다.
또 Qwerty 자판은 26개 알파벳이 중구난방으로 흩어져 있어서 혼란스러워 배우는데도 시간이 걸리고 키 위치를 기억하기가 어렵고, 사용하기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출원 26키 영어 통일 자판은 이를 보완하려고, 다음과 같이 배열 했다. 자주 쓰이는 6개의 모음을 가운데 모아놓고 모음 둘레에 자주 쓰이는 영어 자음을 단짝문자(Multi-Digraph) 기능을 고려하여 배열했기 때문에 운지거리(제스쳐 동선)가 짧고, 긋기 제스쳐(Swipe) 입력이 쉽다. 그리고 단짝문자가 연이어 배열되어 긋기입력을 할 때 원하는 알파벳만 연결할 수 있다. 자주 쓰이는 기본 단어(THE HER TION THING MY BY OF OFF PAY SAY MAY WAY MOUND NET FOND NOUN ONE INE ANE STATION 등등) 들이 한번 긋기로 입력된다.
가운데 모아 놓은 6개 모음의 상승 효율을(Synergy Effect) 활용하여 타건도 쉽게 하면서, 자연스런 긋기도 병용하여 수월하게 알파벳을 입력한다. 고(高)빈도(頻度) 14개 알파벳( S I O U H E N A M T R L D Y, 6개 모음과 8개 자음)을 배열하여 82.3% 입력 된다. 이때 쓰이는 단짝문자와 긋기입력을 융합한 슬라이드 입력 기법은 타건이 어려운 사용자들을 위해 고안된 첨단 입력 기술이다.
자주 쓰이는 6개의 영어 기본 모음을 가운데 ' A '형으로 모아놓고 모음 둘레에 자주 쓰이는 8개 자음( S,L,R,D,N,W,T,H )을 배열했기 때문에, 자소 위치 인지/활용도를 높이면서 사용빈도는 높이고 운지거리는 절감 시켜서 운지거리(동선)가 짧고 골라 긋기 동선 제스쳐 입력이 쉽다. 자연스럽게 골라 긋기 동선으로 생체균형을 유지하도록 문자를 배열을 했다. 골라긋기입력으로 영어 단어를 조합하는 기술이 본원 제안의 백미요 최대 압권이다. 위 두 가지 실용적인 아이디어는 곧바로 적용 실시되어 문자 입력의 궁극 목적인 누구나 쉽게 배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폰의 26키 쿼티 영어 자판은 좁은 터치 공간에서 깨알 같은 키를 일일이 타건해야 하고, 3행에 26키를 사선으로 배열하자니 제 1행에 10개 키를 초과 밀집 배당하여 알파벳 타건 입력도 불편하고, 긋기 입력은 배우기 조차 힘들고 오랜 시간이 소모 된다.
본 신청, 26키 영어 통일 자판은 격자식 배열( Grid Layout)로 자유 통로 화면을 지나면서 영어 자모를 긋기로 연결하여 글자를 조합하고;
긋기 입력을 활용하면 글자를 연결하는 필기식 동선(Gesture)이 뚜렷하게 기억에 남아서 연상 단어 조합하기가 쉽다.
불량 쿼티(QWERTY) 배열의 유래: 약 150 여년 전 크리스토퍼 숄(Schol)씨가 타이프 라이터를 발명할 때 상단 문자를 쿼티(QWERTY)로 배열하였다. 발명가 크리스토퍼 숄씨는 타자 입력 할 때 활자 뭉치가 엉키는 것을 방지하려고,
1. 빨리 타건(Tap)하지 못하도록 배열했다. 사용하기 불편해서 누구나 천천히 치도록 배열했다. 따라서 타이프라이터 쿼티(QWERTY) 자판은 계획된 불량 배열이기 때문에 입력하기가 힘들고 오타를 쉽게 유발시킨다.
2. 시작부터 불량 배열 쿼티는 상단에 10 개 키(Q W E R T Y U I O P)가 있어서 초 소형 휴대폰에 배열 할 때는 키가 깨알같이 작아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불량 배열과 깨알같이 작은 키로 알파벳을 치자면 고역이지만 신통한 대안 자판이 없어서 울며 겨자 먹기로 오타와 씨름하며 지금까지 150 여년간 사용하고 있다.
3. 영어 자모를 단짝 문자를 고려하지 않고 마구 섞어 놓았기 때문에, 쿼티자판에서, 타건 및 긋기 입력(Swipe, Drag, Slide) 할때 오타가 나기 쉽다. 따라서 문자입력 하기가 힘들고, 문자 입력속도가 늦어짐은 물론, 운지 거리가 길어 손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4. 초기화면의 편집기능이 불안정해서 사용하기가 힘들다.
첫째로 소형 휴대폰 키패드에서 만연되는 연접 마찰을 없애야 한다. 고질적인 연접 오타를 방지해야 한다.
두째로 소형 키 패드의 자/모 위치를 쉽게 배우고 편하게 쓸수 있어야 한다. 자/모음의 위치가 빠르게 연상되어 글자를 간편하게 단타(Single Tap) 또는 긋기(Swipe) 또는 드래그(Drag)로 입력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어야 한다.
셋째로 깨알 같은 쿼티 자판의 고질적인 초 소형 키에서 대형 키로 탈 바꿈 시켜야 한다.
넷째로 연이은 단짝 자모 배열을 적용한다.
다섯째로 터치 자판의 긋기 기능을 극대화시킨다.
여섯째로 키 주위 공간을 넓혀서 긋기 인식이 안 되게 하여 원하는 자모 긋기가 수월하게 한다.
일곱째로 본 출원 골라 긋기입력 자판이 기존의 쿼티 자판 보다 중국 병음(Pinyin)이 쉽게 입력 되도록 배열한다.
여덟째로 연접하는 단짝 글자 입력을 최적화하려고 고빈도 연접 자음과 단짝 문자를 극대화 했다.
예: ST (고빈도 4000) SH (고빈도 4000) SC (고빈도 4000)
CH (고빈도 4000) CT (고빈도 4000) CL (고빈도 3618)
CK (고빈도 3858)
RD (고빈도 2553) DR (고빈도 2093) RT (고빈도 3781)
TI (고빈도 4000)
자료출처:Google
https://www.google.co.kr/?gws_rd=cr&ei=jxYpUpCINMKGkAXstIGYBg#newwind
상기에 열거한 쿼티긋기 (Swipe)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형 터치 자판의 자음이나 모음의 위치를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배열하고;
정보통신에 편리한 7열 6행( 7 x 6 )격자식 배열을 개발하고; 타건과긋기 병용 21개 알파 키를 배정하고; 골라 긋기 진행 중에 끊었다 다시 연속해서긋기 (쪼개긋기, Broken Slide)를 해도 입력되고;
* 격자식 배열( Diagonal Grid Pad ) 자판을 개발해서,
1. 연이은 글자를 한 줄로 단번에 긋고;
2. 쪼개긋기 사용한 후 다시 골라긋기 를 계속하게 하고;
3. 원하는 글자만 입력하는 동선(Gesture)을 쉽게 기억하여긋기 입력이 정확하고 빠르게 되고; 따라서 골라 긋기입력이 쉬워 오타가 적고;
4. 문자 입력 동선(Gesture)이 필기하듯 눈에 선해서 생체 리듬에 맞는 생명 공학적 최적화(Ergonomic Optimization) 배열의 최상치를 달성할 수 있다.
26키 영어 통일 자판은,
제 1행의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및 7번)키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K), (X),(G),(V),(Y), (J) 및 (B)를 배정하고;
제 2행의 (8번, 9번, 10번, 11번 및 12번)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Z), (M),(Space), (F) 및 (Q)를 배정하고;
제 3행의 (13번, 14번, 15번, 16번, 17번 및 18번)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C), (언어), (T), (T), (I), (Back Space) 및 (W)를 배정하고;
제 4행의 (19번, 20번, 21번, 22번, 23번, 및 24번)키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H), (숫자),(A),(Enter),(O) 및 (Upper Case)를 배정하고;
제 5행의 (25번, 26번, 27번, 28번, 29번, 30번 및 31번)키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S), (부호),(E),(부호),(N), (Mic) 및 (U)를 배정하고;
제 6행의 (32번, 33번, 34번, 35번 및 36번)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P), (L),(부호), (R) 및 (D)를 배정하고;
26 알파벳키는, 타건이나 쓰긋기로 각각 입력되고; 제 1열의 (K), (Z), (C), (S)및 (P) 5개 키들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차례로 배열 되었고;
자유 공간에 배열된 기능/부호키는 타건으로만 기능/부호가 활성화 되는 자판;
연타와 골라 긋기 (Sswipee, 스트로크(Stroke), 슬라이드(Slide) 또는 드래그(Drag)를 절묘하게 혼용 융합하여 입력 편의성을 극대화시켰다. 골라긋기입력 , 스트로크, 슬라이드 또는 드래그라는 단어는 해당키 중앙에서 출발하여 어느 방향이든지 밖으로 밀치고 끌고나가면 문자가 입력되는 기능을 말한다. 팝업(Pop-up) 기능은 입력 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또 다른 키 배열로 확장돼서 입력을 다양하게 추가 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격자식 배열 자판에서 연이은 글자를 한 줄로 단번에 그어 입력하니 쉽고; 빠르고; 오타를 극소화 하고; 가장 자주 쓰이는 기능키( Space Bar )를 2배로 키워 중앙 상단에 원형키로 배정하여 골라 긋기를 원활하게 지원하고; 골라 긋기 필기식으로 쓸수 있어서 단어을 조합하는 동선을 쉽게 회상해서 입력하기도 쉽고, 입력 속도가 빨라졌고; 스마트 폰 자판에서 골라 긋기로 원하는 자모를 입력하므로, Qwerty의 긋기 입력의 고질병인 시작 긋기부터 마침긋기 까지 끊지 않고 단숨에 한 줄로 끝내야만 예측 영어 단어를 나열하는 단점이 해결 되면서;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문서를 편집할 수 있다. 26키 영어 통일 자판은, 자주 어울려서 쓰이는 알파벳 자소를 긋기 쉽게 구분 배열해 놓고, 하나의 키에서 하나의 자소만 입력함을 원칙으로 하니까 손가락의 손놀림이 자연스럽게 생체리듬에 부응하여 생명공학적 최적화(Ergonomic Optimization)를 이룬다. 문자입력시 운지 때문에 생기는 피로를 줄이고, 단타 입력으로 문자 입력속도 향상은 물론, 연속하여 자주 쓰이는 단짝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되므로 짧은 운지거리와 최소 시선 운동을 유지할 수 있어서 문자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연상시각을 유도하고 모음 위치를 기억/연상하기 쉬우며, 조형미가 탁월해 직관 직타성 및 직관긋기성이 좋다. 게다가 초기 학습 스트레스를 줄이는 효과가 있어 학습기간이 짧다. 참신(Enhanced)한 영어 단짝 문자 활용 덕분에 깨알 같이 복잡한 26 키 영어 쿼티(QWERTY)자판의 오타 신드롬에서 탈출할 수 있었다. 크고 널찍한 키로 영어를 단타로 간편하게 입력 하거나, 손 쉬운긋기 (Swipe, Slide, Stroke)로 입력 할 수 있는 것이 이번에 출원하는 문자 입력을 위한 에이긋기 자판의 압권이고 최대 특장점이다.
(도3) 긋기 입력 동선(Gesture) 예시도에서, 자유 긋기 공간 사이로 필요한 알파벳만 긋기로 연결하여 최소한의 동선으로 영어 단어를 조합 한다.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영어 입력 2가지 방법을 아래에 적어 본다.
첫째, 피쳐 폰(Feature Phone) 3x4 배열, 12키에서 1번 키를 제외하고, 2 번 키에서 9 번 키까지 총 8개 키 안에, 3개 또는 4개 알파벳을 순차로 배열해서, 알파벳 입력을 시도했지만 문자입력하기가 너무 불편해 영어권 사용자들로 부터 외면당해 휴대폰 문자 메시지(SMS) 실용화에 실패했다.
둘째, 차선책으로 채택된 대안 배열이 깨알박이 쿼티(QWERTY) 이다. 불량 쿼티 배열로 회귀하면서 영어 입력은 2중고에 시달린다.
1. 쿼티는 계획적으로 불량 배열 발명품이다.
2. 초 소형 터치 공간에 배열 돼서 오타가 자주 생긴다. 카나다 림(RIM) 회사가 블랙베리(Black Berry) 단말기에 버튼식 쿼티를 탑재하여 호평을 받았지만 애플사의 아이폰 터치 쿼티가 등장 하면서 버튼 쿼티(QWERTY)식은 사라져가고 있고 블랙베리(Black Berry) RIM 회사는 존폐 위기에 있다. 아이폰에 탑재된 터치 쿼티 자판은 계속 사용되고 있는데, 아이폰 터치 쿼티가 편해서 계속 쓰고 있는 것이 아니라, 뾰죽한 대안이 없고, 8키 순차 배열 보다는 깨알박이 쿼티 배열이 쉬워서 그냥 쓰고 있다.
3. 알파벳은 26 글자를 사선으로 배열(Diagonal Layout)되서 스마트 폰의 초 소형 공간에서는 문자 입력이 불편하다.
(도 1 ) 26키 영어 통일 자판의 자음과 모음 키 및 기능/부호 배열도

(도2, 1~8)에서,
(도2, 1)편집키 / Space Key
(도2, 2) 자유 통로 공간, 쓰긋기 할때 자유 왕래 화면
(도2, 3) 예측 단어키
(도2, 4) 단어 모음 키
(도2, 5) 자음
(도2, 6) 모음
(도2, 7) 타건 전용키
(도2, 8) 글자 모음 편집 키
(도3) 한 줄 쓰긋기 동선(Gesture)으로, 예측글자 조합을 예시한 설명도.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26키 영어 통일 자판을 배열할 때 다음 사항을 고려했다.
무선 단말기기 자판 배열은 최소의 물리적 공간에서 각 자음과 모음의 사용빈도를 참작하여 배치해서 자모 위치를 연상하기도 쉽고 운지 거리를 줄이는 한편, 특히긋기 (Drag, Swipe, Glide 또는 Slide)기능을 병합하여 영어 입력 효율을 높였다. 긋기 입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연상 시각을 유도하고 모음 위치를 기억/연상하기 쉬우며, 조형미가 탁월해 직관직타성 및 직관긋기성이 좋도록, 클러스터(Cluster) 배열로 5개 모음(A E I O U )을 중앙에, 그리고 10개 핵심 자음을 모음 주위에 배열해서 안정감을 이루었고, 운지 거리를 단축시켰고 두 손가락이나 양 엄지를 사용해도 입력이 효율적이다.
문자 입력 동선이 인체 공학에 부합돼서 진보 향상된 문서 편집을 할 수 있다.
자판 배열은 최소의 물리적 공간에서 각 자음과 모음의 사용빈도와 단짝기능(Digraphic Function)을 참작한 후 배치해서 자모 위치를 연상하기도 쉽고 운지 거리를 줄이는 한편, 특히긋기 (Drag, Swype 또는 Slide)기능을 병합하여 알파벳 입력 효율을 높였다. 초 소형 공간에서 사선 배열(Diagonal Layout)과 격자식 바둑판 배열을 융합하여 상호 유기적인 다중 연결문자 배열( Multi-graph )로긋기 효율을 증대 시켰다.
자주 쓰이는 기본 모음을 중앙 열에 배열했고, 그 주위에 자음을 배정해서 자판 배열이 안정감을 이루었고 또한 운지 거리를 단축시켰다.긋기 입력이 간단하고 두 손가락이나 양 엄지를 사용하여 알파벳 타건 입력이 효율적이다. 아래 자주 쓰이는 3짝 글자( ion, ine, one, hea )는 본 출원 자판위에서 한줄 긋기로 입력 된다.
예: Combining Fragment Letter List:
ion (tion, sion, dion, lion), ine (mine, sine, dine, mine, line, vine etc.) one (zone, done, cone, bone, gone, hone, lone, none, tone, etc.) hea (hear, heat, heal, head,)가 연접해 있어긋기 입력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출원 격자식 통일 자판은 불편한 26키 3행 10열 Qwerty 배열을 지양하고, 6행 7열, 바둑판 배열로 중앙에 5개 기본모음(AEIOU)를 배열하고, 모음 주변에 고빈도 8개 알파벳 자음과 융합 연계해서 학습 인지가 수월하고 자주 쓰이는 단짝 문자(Digraph, Combining Fragment Letter)가 중앙에 모여 있어서 한번긋기 로 자연스럽게 단어 조합을 할 수 있다. 문자 입력 동선이 인체 공학에 부합돼서 진보 향상된 문서 편집을 할 수 있다.
열린 바둑판 배열 : 가로와 세로 접점으로 만들어 지는 격자식 배열사이사이 중앙에 접범을 배정해서 문자키 사이사이를 긋기 통로로 지나면서 영어 단어 조합할 때 연결할 알파벳 키의 위치를 정확히 알수 있고, 쉽게 접근할수 있는 경로를 제공 한다. 열린 바둑판 배열은 본 발명, 긋기 자판의 압권이다.
본 발명 26키 영어 통일 자판은 개발 Proto Type 단계로, 스마트 폰(Android Plat Form)에 apk file로 장착이 되어 사용중이다. Non-Qwerty 격자식 배열 자판으로 최상의 긋기 입력이 구연 된다. 사업전망이 열려 있지만 시장에서 증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Claims (2)

  1. 제 1행의 (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및 7번)키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K), (X),(G),(V),(Y), (J) 및 (B)를 배정하고;
    제 2행의 (8번, 9번, 10번, 11번 및 12번)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Z), (M),(Space), (F) 및 (Q)를 배정하고;
    제 3행의 (13번, 14번, 15번, 16번, 17번 및 18번)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C), (언어), (T), (T), (I), (Back Space) 및 (W)를 배정하고;
    제 4행의 (19번, 20번, 21번, 22번, 23번, 및 24번)키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H), (숫자),(A),(Enter),(O) 및 (Case Arrow)를 배정하고;
    제 5행의 (25번, 26번, 27번, 28번, 29번, 30번 및 31번)키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S), (부호),(E),(부호),(N), (Mic) 및 (U)를 배정하고;
    제 6행의 (32번, 33번, 34번, 35번 및 36번)를 각각 무작위(Random)로 배열해서, (P), (L),(부호), (R) 및 (D)를 배정하고;
    26 알파벳키는, 타건이나 쓰긋기로 각각 입력되고; 제 1열의 (K), (Z), (C), (S)및 (P) 5개 키들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차례로 배열 되었고;
    자유 공간에 배열된 기능/부호키는 타건으로만 기능/부호가 활성화 되는 자판;
  2. 청구항 1 에서,
    제 1열의 (K), (Z), (C), (S)및 (P) 5개 키들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차례로 배열 되었고; 제 2열의 (X), (M), (언어), (H),(부호) 및 (L)등, 6개 키들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차례로 배열 되었고;
    제 3열의 (G), (T), (숫자), (E) 및 (부호) 5개 키들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차례로 배열 되었고;
    제 4열의 (V), (Space), (A), (부호) 및 (R) 4개 키들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차례로 배열 되었고;
    제 5열의 (Y), (I), (Enter) 및 (N) 4개 키들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차례로 배열 되었고;
    제 6열의 (J), (F), (Back Space), (O), (Mic) 및 (D) 6개 키들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차례로 배열 되었고;
    제 7열의 (B), (Q), (W), (Upper Case) 및 (U) 5개 키들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차례로 배정된 자판.
KR1020180080711A 2018-07-11 2018-07-11 26키 영어 통일 자판 KR20200006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711A KR20200006842A (ko) 2018-07-11 2018-07-11 26키 영어 통일 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711A KR20200006842A (ko) 2018-07-11 2018-07-11 26키 영어 통일 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842A true KR20200006842A (ko) 2020-01-21

Family

ID=6936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711A KR20200006842A (ko) 2018-07-11 2018-07-11 26키 영어 통일 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68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6258B1 (en) Keypad
CN101183296A (zh) 通过手机触摸屏上显示的虚拟双拼键盘输入汉字
CN101021763A (zh) 一种触摸屏幕上软键盘布局快速输入方法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CN101251781A (zh) 通过手机横屏状态显示的虚拟键盘进行输入和功能操作
Arif et al. A survey of text entry techniques for smartwatches
CN102713797A (zh) 用于触摸屏输入韩文字符的方法及介质
Tojo et al. BubbleFlick: Investigating effective interface for Japanese text entry on smartwatches
KR20140121806A (ko) 소프트웨어 한글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126734B1 (ko)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200006714A (ko) 16키 한글 통일 자판
KR20200006842A (ko) 26키 영어 통일 자판
KR20190066161A (ko)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20100133350A (ko) 문자 입력을 위한 12 키 만능 병음 자판
KR20140145908A (ko) 소형 전자 기기에서 오타 방지를 위한 글자판(키보드)
KR20170134950A (ko) 18키 영어 골라 쓰기 자판
Klima et al. Vector keyboard for touch screen devices
KR20140093151A (ko) 중앙 모음 긋기 자판 배열
US20200264768A1 (en) Method for providing a code input interface to a user in a screen interactive device
KR20150128541A (ko) 28 알파벳 골라 긋기 입력
US20200150779A1 (en) Keyboard
KR20120117711A (ko) 문자 입력을 위한 영어 단짝문자 힐 자판과 한글 가족자음 나이러 자판
KR101139955B1 (ko) 한글 자음 배열 및 입력 방법
KR101228079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