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794A -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 up method using shade according to eyes structure - Google Patents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 up method using shade according to eyes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794A
KR20200006794A KR1020180080592A KR20180080592A KR20200006794A KR 20200006794 A KR20200006794 A KR 20200006794A KR 1020180080592 A KR1020180080592 A KR 1020180080592A KR 20180080592 A KR20180080592 A KR 20180080592A KR 20200006794 A KR20200006794 A KR 20200006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divided
coloring
needle cartridge
divid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5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현
Original Assignee
김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현 filed Critical 김미현
Priority to KR102018008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6794A/en
Publication of KR20200006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7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76Tattooing apparatus
    • A61M37/0084Tattoo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liquid feed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5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72Eyeli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i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ermanent eyeshadow makeup method using shade in accordance with a structure of an eye, which is capable of presenting a long, large, and clear eye sha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forming eyeshadow along skin around an eye with a handpiece having a needle cartridge installed therein comprises the steps of: marking a shaded portion of upper and lower eyelids as a coloring region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an eye; combining or selecting dyes corresponding to skin color of the coloring region, and injecting the same into the needle cartridge; dividing the coloring region into first, second, and third divided regions excluding the divided region closest to a lower eye ridge among four divided regions sequentially divided from a lower eye tail to the lower eye ridge along an end line of a lower eyelid, and into a fourth divided region closest to an upper eye tail among four divided regions divided from the upper eye tail to the lower eye ridge along an end line of an upper eyelid; and coloring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regions with the needle cartridge corresponding to preset angle, insertion depth, and coloring direction.

Description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Semi-permanent eye shadow make up method using shade according to eyes structure}Semi-permanent eye shadow make up method using shade according to eyes structure}

본 발명은 눈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는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shadows according to the eye structure to make the eyes look beautiful.

일반적으로 눈과 관련된 메이크업은 눈을 좌우 또는 상하로 크게 보이도록 하고 선명하거나 깊고 뚜렷하게 보이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눈이 작거나 눈매가 흐릿한 여성들이 선호하고 있다. Generally, eye-related makeup is preferred by women who have small eyes or blurred eyes because they can expect effects such as making the eyes look larger from side to side or up and down, and make them look sharper, deeper and clearer.

이러한 눈과 관련된 메이크업 방법은 눈썹을 덧그리는 방법, 아이라인을 그리는 방법, 아이쉐도우를 그리는 방법, 속눈썹을 둥글게 마는 방법, 속눈썹을 길게덧붙이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눈과 관련된 메이업 방법으로는 아이라인을 반영구적으로 그리는 반영구 아이라인 메이크업 방법이 있다. These eye-related makeup methods include a variety of methods, such as adding eyebrows, drawing eye lines, drawing eyeshadow, rolling round eyelashes, and applying long eyelashes. Among the most commonly used eye makeup methods, there is a semi-permanent eye line makeup method that draws eye lines semi-permanently.

한편, 반영구 아이라인 메이크업 방법은 색소가 주입되는 니들이 구비된 니들카트리지와, 니들카트리지가 단부에 장착되고 작동에 따라 니들을 직선 운동시키는 핸드피스와, 핸드피스의 작동을 설정하고 핸드피스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러본체로 이루어진 전용 채색기기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mi-permanent eye line makeup method is a needle cartridge is provided with a needle that is injected with pigment, the handpiece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needle cartridge, and the linear movement of the needl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handpiece to set the operation of the handpiece This is done by using a dedicated coloring machine consisting of a controller body that displays.

즉, 종래의 반영구 아이라인 메이크업 방법은 니들카트리지에 검은색 색소를 주입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꺼풀 하부점막 부위를 채색영역(A)으로 하여 아이라인을 선 형태로 채색하여 아이라인을 형성하는 메이크업 방법이다. That is, the conventional semi-permanent eye line makeup method injects a black pigment into the needle cartridge to form an eye line by coloring the eye line in a line form using the lower mucosa portion of the eyelid as a colored region A as shown in FIG. 5. How to make makeup.

이러한 반영구 아이라인 메이크업 방법은 최소 30분에서 최대 1시간 소요됨에 따라 많은 통증을 유발하고 쌍꺼풀 하부점막 부위의 피부조직은 매우 얇고 약하여 눈꺼풀의 붓기를 유발하며 특히 민감성 피부인 경우 심한 붓기와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This semi-permanent eyeline makeup method causes a lot of pain as it takes at least 30 minutes to 1 hour, and the skin tissue of the lower mucosa area of the double eyelids is very thin and weak, causing swelling of the eyelids, especially in case of sensitive skin, causing severe swelling and pain. There is a problem.

그리고 메이크업 후 일정기간이 경과하여 탈각과정이 지나면 아이라인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의 피부색과 동떨어진 인위적인 검은색의 선으로 또렷히 나타나게 됨으로써 눈과 전혀 조화되지 않고 부자연스러운 형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makeup, the eye line is clearly shown as an artificial black line away from the skin color of the eye, as shown in FIG. 6, resulting in unnatural and unnatural shape. have.

또한, 아이라인의 검은색은 시간 경과에 따라 서서히 탈색되어 회색 또는 푸른색의 잔흔이 남게 되면서 화장하지 않은 맨얼굴이 매우 부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크고 선명한 눈매 연출을 위한 아이라인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고 미려함도 전혀 없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black color of the eyeline is gradually discolored over time, leaving gray or blue traces, which makes the bare face unnatural, and the eyeline's ability to produce large and clear eyes is completely lost and beautiful. There is no problem at all.

상기한 문제점들로 인해 종래의 반영구 아이라인 메이크업 방법을 기피하고 꺼려하는 부정적인 인식이 자리잡고 있으므로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유색의 화장품을 사용하여 눈 주변을 따라 아이라인을 일시적으로 그리는 색조 화장에 의존하고 있다. Due to the above problems, the negative perception of avoiding and avoiding the conventional semi-permanent eyeline makeup method is in place, so even if you are uncomfortable, you can rely on color make-up that temporarily draws the eyeline around the eyes using colored cosmetics. have.

따라서 반영구 아이라인 메이크업을 기피하고 꺼려하는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여 이를 대체하여 반영구 메이크업 방법에 대한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통증이 저감되고 소요시간이 단축되며 탈색으로 인한 피부색과 어울리지 않는 잔흔이 없어 선명하고 길고 큰 눈매 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반영구 아이쉐도우를 제공할 수 있는 메이크업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refore, to reduce the negative perception of semi-permanent eyeline makeup and improve the negative percept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opularization of semi-permanent makeup methods, pain is reduced, the time required is short, and there are no traces that do not match the skin color due to discoloration.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a makeup method that can provide a semi-permanent eye shadow that enables a large eye look.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5964호, 2011.06.27.자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45964, registered on June 27, 20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반영구 아이라인 메이크업을 기피하고 꺼려하는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이를 대체하여 반영구 메이크업 방법에 대한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통증이 저감되고 소요시간이 단축되며 탈색으로 인한 피부색과 어울리지 않는 잔흔이 없어 길고 크고 선명한 눈매 연출이 가능한 아이쉐도우을 제공할 수 있는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ain is reduced and the time required to improve the negative perception of avoiding and reluctant to semi-permanent eye line makeup to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the semi-permanent makeup metho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shades according to the eye structure that can provide eye shadows that can produce long, large and clear eyes without traces of skin color due to discolor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which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은 니들카트리지가 장착된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눈 주변의 피부를 따라 아이쉐도우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눈의 형상에 따라 상기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의 그늘진 부위를 채색영역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채색영역의 피부색상과 대응되는 색소를 조합 또는 선택하고 상기 니들카트리지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채색영역을 아랫눈꺼풀의 끝단라인을 따라 하부눈꼬리에서 하부눈앞머리까지 차례대로 4개로 분할한 분할영역 중에서 하부눈앞머리와 가장 가까운 분할영역을 제외한 제1분할영역, 제2분할영역, 제3분할영역, 윗눈꺼풀의 끝단라인을 따라 상부눈꼬리에서 하부눈앞머리까지 4개로 분할한 분할영역 중에서 상부눈꼬리와 가장 가까운 분할영역인 제4분할영역으로 각각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분할영역과 상기 제2분할영역과 상기 제3분할영역과 상기 제4분할영역을 기설정된 각도와 삽입깊이와 채색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니들카트리지로 채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the shade according to the ey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method for forming an eye shadow along the skin around the eye using a handpiece equipped with a needle cartridge, Marking shaded areas of the upper and lower eyelids as colored regions according to shapes; Combining or selecting a pigment corresponding to the skin color of the colored region and injecting the pigment into the needle cartridge; The first divided region, the second divided region, and the third divided region, except for the region closest to the lower front eye, among the divided regions in which the colored region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from the lower eye tail to the lower eye front along the end line of the lower eyelid. Dividing each of the divided regions into four divided regions that are closest to the upper eye tail, from the divided region divided into four areas from the upper eye tail to the lower eye front along the end line of the upper eyelid; And coloring the first divided region, the second divided region, the third divided region and the fourth divided region with the needle cartrid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ngle, an insertion depth, and a coloring direction. .

상기 채색하는 단계는 상기 니들카트리지의 채색방향은 상기 제1분할영역과 상기 제2분할영역과 상기 제3분할영역과 상기 제4분할영역에 존재할 수 있는 주름이 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일 수 있다. In the coloring, the coloring direction of the needle cartridge may be opposite to the wrinkled direction which may exist in the first divided area, the second divided area, the third divided area and the fourth divided area.

상기 채색하는 단계는 상기 니들카트리지를 40~50°로 눕혀 0.1~0.2mm의 깊이로 세로선을 그리는 형태로 상기 제1분할영역을 채색하는 단계; 상기 니들카트리지를 40~50°로 눕혀 0.1~0.2mm의 깊이로 세로선을 그리다가 사선으로 변환하여 그리는 형태로 상기 제1분할영역과 상기 제2분할영역을 채색하는 단계; 상기 니들카트리지를 80~100°로 세워 0.02~0.08mm의 깊이로 가로선을 그리는 형태로 상기 제1분할영역과 상기 제2분할영역과 상기 제3분할영역을 채색하는 단계; 상기 니들카트리지를 80~100°로 세워 0.02~0.08mm의 깊이로 원을 그리는 형태로 상기 제1분할영역과 상기 제2분할영역과 상기 제3분할영역을 채색하는 단계; 및 상기 니들카트리지를 40~50°와 80~100°로 번갈아가며 눕히고 세워 0.02~0.08mm의 깊이로 사선을 그리는 형태로 상기 제4분할영역을 채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loring may include: coloring the first divided area by laying down the needle cartridge at 40 to 50 ° and drawing vertical lines at a depth of 0.1 to 0.2 mm; Laying down the needle cartridge by 40 to 50 ° to draw vertical lines with a depth of 0.1 to 0.2 mm, and converting them into diagonal lines to color the first divided area and the second divided area; Coloring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regions and the third and dividing regions by setting the needle cartridge at 80 to 100 ° to draw a horizontal line with a depth of 0.02 to 0.08 mm; Coloring the first cartridge, the second partition and the third partition in a shape of drawing a circle at a depth of 0.02 to 0.08 mm by setting the needle cartridge at 80 to 100 °; And coloring the fourth divided area in an oblique manner to a depth of 0.02 to 0.08 mm, laying down and standing alternately at 40 to 50 ° and 80 to 100 ° for the needle cartridge.

상기 색소는 상기 채색영역의 피부색상과 대응될 수 있도록 갈색 계열 색상의 색소일 수 있다. The pigment may be a pigment of a brown-based color to correspond to the skin color of the colored area.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눈 주변에 그늘진 피부색상과 대응되는 색상을 갖는 색소를 사용하고 선 형태가 아닌 면 형태로 아이쉐도우를 형성함에 따라 채색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여 통증이 저감되고 시간이 지나 변색되더라도 피부색상과 이질감이 전혀 없으므로 길고 크며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눈매 연출이 가능하고 화장하지 않은 맨 얼굴에도 또렷하고 선명한 눈매 연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using a pigment having a color corresponding to the shaded skin color around the eyes and forming the eye shadow in the form of a face rather than a linear form, the coloring intensity is relatively weak so that pain is reduced and time passes Even if it is discolored, there is no skin color and heterogeneity, so long, large, clear and natural eyes can be produced, and even a bare face can produce clear and clear ey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을 차례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에서 분할영역 채색단계를 차례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에서 채색영역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을 통해 아이쉐도우 형성 과정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5는 종래의 반영구 아이라인 메이크업 방법의 채색영역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반영구 아리라인 메이크업 방법에 의한 아이라인을 도시한 사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shadows according to an eye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IG. 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coloring of the divided areas in the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the shadow according to the ey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lored region in the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the shade according to the eye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n eye shadow forming process through a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shadows according to an eye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lored region of a conventional semi-permanent eye line makeup method.
Figure 6 is a photograph showing an eye line by a conventional semi-permanent Ari-line makeup method.

본 발명은 눈 주위 피부에 반영구적인 아이쉐도우를 형성하여 크고 선명한 눈매를 갖도록 하는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shading according to the eye structure to form a semi-permanent eye shadow on the skin around the eyes to have a large and clear ey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은 반영구 아이라인 메이크업을 기피하고 꺼려하는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이를 대체하여 반영구 메이크업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In particular, the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the shade according to the ey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negative perception of avoiding and reluctant to semi-permanent eye line makeup and contributing to the popularization of semi-permanent makeup.

이러한 특징은, 눈의 형상에 따라 눈 주변에 자연스럽게 그늘진 피부톤과 대응되는 색상을 갖는 색소를 사용하고, 아이쉐도우를 선 형태가 아닌 면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Such a feature may be achieved by using a pigment having a color corresponding to a naturally shaded skin tone around the ey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ye, and forming the eye shadow in a plane shape rather than a line shap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the shade according to the eye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은 니들카트리지가 장착된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눈 주변의 피부를 따라 아이쉐도우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색영역 표시 단계(S100), 채색 준비 단계(S200), 채색영역 분할 단계(S300) 및 분할영역 채색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the shade according to the ey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eye shadow along the skin around the eye using a handpiece equipped with a needle cartridge,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may include a color region display step S100, a color preparation step S200, a color region division step S300, and a segmentation area coloring step S400.

먼저, 상기 채색영역 표시 단계(S100)는 크고 선명한 눈매 연출을 위하여 눈 주변의 피부에 아이쉐도우를 형성하기 위한 채색영역(A)을 표시하는 단계이다. First, the colored area display step (S100) is a step of displaying the colored area A for forming an eye shadow on the skin around the eyes for a large and clear eye look.

이때 채색영역(A)은 눈의 형상에 의해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에서 자연스럽게 그늘이 생기는 부위이다. At this time, the colored area (A) is a part where the shade naturally occurs in the upper and lower eyelids by the shape of the eye.

즉, 윗눈꺼풀의 끝단라인을 따라 상부눈앞머리에서 상부눈꼬리까지의 상부부위와 아랫눈꺼풀의 끝단라인을 따라 하부눈앞머리에서 하부눈꼬리까의 하부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it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from the upper eye front to the upper eye tail and the lower part from the lower eye front to the lower eye tail along the end of the lower eyelid along the end of the upper eyelid.

한편, 채색영역(A)을 표시할 때는 피부에 그렸을 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수팬, 색연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채색영역(A)을 방수팬, 색연필 등으로 그릴 때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선을 긋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displaying the colored area (A) can be used a waterproof fan, colored pencils and the like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when painted on the skin. When the colored area A is drawn with a waterproof fan, colored pencil, or the like, it may be displayed in a form of drawing a line along the edge thereof.

다음으로, 상기 채색 준비 단계(S200)는 채색영역 표시 단계(S100)에서 표시한 채색영역(A)의 채색을 위해 니들카트리지에 주입하는 색소를 준비하여 니들카트리지에 주입하는 단계이다. Next, the coloring preparation step (S200) is a step of preparing a pigment to be injected into the needle cartridge for the coloring of the colored area (A) displayed in the colored area display step (S100) and injecting it into the needle cartridge.

이때 니들카트리지에 주입할 색소는 채색영역(A)의 그늘진 피부색상과 자연스럽게 조화될 수 있는 색상으로 선택 또는 배합할 수 있다. 즉, 그늘진 피부색상에 비교하여 1~2단계 정도로 명도가 높고 채도가 낮은 갈색 계통 색상의 색소를 선택 또는 배합하여 그늘진 피부색상과 전혀 이질감이 없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igment to be injected into the needle cartridge may be selected or blended into a color that can be naturally harmonized with the shaded skin color of the colored area (A). That is, compared to the shaded skin color, a pigment of a brown-based color having high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level may be selected or blended at a level of 1 to 2 so that there is no heterogeneity with the shaded skin color.

이를 위해 적어도 두 가지의 색소를 적정비율로 배합하여 채색영역(A)의 채색을 위한 색소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갈색 색상의 색조를 기본색으로 두고 살구색 색상의 색조를 소량 첨가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색소를 형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at least two pigments may be blended in an appropriate ratio to form a pigment for coloring the colored area A. For example, a tint of brown color may be used as a primary color, and a small amount of apricot tint may be added, and then uniformly mixed to form a pigment.

다음으로, 상기 채색영역 분할 단계(S300)는 채색영역 표시 단계(S100)에 표시한 채색영역을 복수 개의 분할영역(S400)으로 분할하는 단계이다. Next, the colored area dividing step S300 is a step of dividing the colored area displayed in the colored area display step S100 into a plurality of divided areas S400.

이때 채색영역(A)을 총 8개의 분할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색소를 채색하는 채색활성영역과 색소를 채색하지 않는 채색비활성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lored area A may be divided into eight divided areas, and the color area A may be divided into a color active area for coloring the dye and a color non-active area for not coloring the dye.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색영역(A)을 아랫눈꺼풀의 끝단라인을 따라 하부눈꼬리에서 하부눈앞머리까지 차례대로 균등 분할한 4개로 길이 균등하게 분할한 분할영역 중에서 하부눈앞머리와 가장 가까운 분할영역을 제외한 제1분할영역(a1), 제2분할영역(a2), 제3분할영역(a3), 윗눈꺼풀의 끝단라인을 따라 상부눈꼬리에서 상부눈앞머리까지 차례대로 4개로 길이 균등하게 분할한 분할영역 중에서 상부눈꼬리와 가장 가까운 제4분할영역(a4)으로 각각 분할할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colored area A is divided into four equally divided lengths from the lower eye tail to the lower eye front along the end line of the lower eyelid. The length is divided equally into four parts from the upper eye tail to the upper eye front along the end line of the first division area a1, the second division area a2, the third division area a3, and the upper eyelid except the division area. Each of the divided areas may be divided into a fourth divided area a4 closest to the upper eye tail.

여기서 아랫눈꺼풀의 제1분할영역(a1), 제2분할영역(a2), 제3분할영역(a3)과 윗눈꺼풀의 제4분할영역(a4)에만 색소를 채색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크고 길고 선명한 눈매 연출이 가능하도록 상부눈꼬리와 하부눈꼬리 부위에 집중적으로 아이쉐도우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Here, coloring the pigments only in the first divided area (a1), the second divided area (a2), the third divided area (a3) of the lower eyelid and the fourth divided area (a4) of the upper eyelid naturally produces a large, long and clear eye. This is to form the eye shadow intensively in the upper and lower tail regions to enable this.

마지막으로, 상기 분할영역 채색 단계(S400)는 채색영역 분할 단계(S300)를 통해 각각 분할된 분할영역 중에서 채색활성영역으로 구분된 제1분할영역(a1)과 제2분할영역(a2)과 제3분할영역(a3) 및 제4분할영역(a4)을 채색하는 단계이다. Lastly, the coloring of the divided region S400 may include a first divided region a1, a second divided region a2, and a first divided region, each of which is divided into a color active region, among the divided regions divided through the colored region dividing step S300. The third division area a3 and the fourth division area a4 are colored.

즉, 분할영역 채색 단계(S400)는 채색 준비 단계(S200)에서 색소를 선택하여 주입한 니들카트리지를 전용 채색기기의 핸드키트에 장착하여 채색활성영역으로 설정한 분할영역들을 채색한다. That is, in the segmentation coloring step (S400), the needle cartridges in which the pigment is selected and injected in the coloring preparation step (S200) are mounted on the hand kit of the dedicated coloring apparatus to color the partitioning areas set as the coloring active areas.

여기서 채색이라 함은 니들카트리지의 바늘로 채색활성영역으로 설정한 분할영역의 피부에 색소를 주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니들카트리지의 바늘이 핸드키트에 의해 기설정된 길이와 속도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채색활성영역으로 설정한 분할영역의 피부에 반복 삽입되면서 색소를 주입한다. Here, the coloring means the injection of a pigment into the skin of the divided area set as the coloring active area by the needle of the needle cartridge. That is, while the needle of the needle cartridge is linearly reciprocated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eed by the hand kit, the pigment is repeatedly injected into the skin of the divided region set as the colored active region.

이때 분할영역 채색 단계(S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색활성영역으로 설정한 분할영역에 따라 제1채색단계(S410), 제2채색단계(S420), 제3채색단계(S430) 및 제4채색단계(S440)로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gmentation coloring step (S400) is the first coloring step (S410), the second coloring step (S420), the third coloring step (S430) and according to the partitioning area set as the coloring active area as shown in FIG. It may be composed of a fourth coloring step (S440).

상기 제1채색단계(S410)는 제1분할영역(a1)을 채색하기 위한 단계로서 니들카트리지를 40~50°로 비스듬하게 눕힌 상태에서 니들카트리지의 바늘을 0.1~0.2mm의 깊이로 세로선을 그리는 형태로 채색할 수 있다. The first coloring step (S410) is a step for coloring the first divided area a1 and drawing a vertical line with a needle of the needle cartridge at a depth of 0.1 to 0.2 mm in a state in which the needle cartridge is laid obliquely at 40 to 50 °. It can be colored in the form.

상기 제2채색단계(S420)는 제1분할영역(a1)과 제2분할영역(a2)을 차례대로 채색하기 위한 단계로서 니들카트리지를 40~50°로 눕혀 니들카트리지의 바늘을 0.1~0.2mm의 깊이로 삽입하여 세로선을 그리다가 사선으로 변환하여 그리는 형태로 채색할 수 있다. The second coloring step (S420) is a step for coloring the first divided area a1 and the second divided area a2 in order. The needle cartridge is laid at 40 to 50 ° so that the needle of the needle cartridge is 0.1 to 0.2 mm. It can be inserted into the depth of to draw a vertical line, and then converted into a diagonal line to paint it.

즉, 제1채색단계(S410)와 제2채색단계(S420)는 제1분할영역(a1)과 제2분할영역(a2)을 상대적으로 진하고 깊게 채색하기 위해 니들카트리지를 경사지게 눕혀 바늘의 삽입깊이를 상대적으로 길게 하여 채색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first coloring step S410 and the second coloring step S420, the needle cartridge is inclined to be inclined in order to relatively and deeply color the first divided area a1 and the second divided area a2. It can be colored by making it relatively long.

상기 제3채색단계(S430)는 제1분할영역(a1)과 제2분할영역(a2)과 제3분할영역(a3)을 차례대로 채색하기 위한 단계로서 니들카트리지를 80~100°로 세워 니들카트리지의 바늘을 0.02~0.08mm의 깊이로 삽입하여 원을 그리는 형태로 채색할 수 있다. The third coloring step (S430) is a step for coloring the first divided area a1, the second divided area a2, and the third divided area a3 in this order. The needle cartridge is set at 80 to 100 °. The needle of the cartridge can be inserted into a circle by inserting 0.02 ~ 0.08mm deep.

즉, 제3채색단계(S430)는 제1분할영역(a1)과 제2분할영역(a2) 및 제3분할영역(a3)의 경계부위를 자연스럽게 하면서 제3분할영역(a3)을 상대적으로 연하게 채색하기 위해 니들카트리지를 눕히지 않고 세워 바늘의 삽입깊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하여 채색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third coloring step S430,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vided area a1, the second divided area a2, and the third divided area a3 is naturally opened, and the third divided area a3 is relatively opened. The needle cartridge can be painted without laying the needle cartridge for coloring, so that the insertion depth of the needle can be colored relatively short.

이때 제1분할영역(a1)은 제1채색단계(S410)와 제2채색단계(S420)와 제3채색단계(S430)에서 모두 채색되고 제2분할영역(a2)을 제2채색단계(S420)과 제3채색단계(S430)에서만 채색되며 제3분할영역(a3)은 제3채색단계(S430)에서만 채색됨에 따라 제1분할영역(a1)의 채색 강도가 가장 진하고 제2분할영역(a2)의 채색 강도가 중간이며 제3분할영역(a3)의 채색 강도가 가장 연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first divided area a1 is colored in the first coloring step S410, the second coloring step S420, and the third coloring step S430, and the second divided area a2 is colored in the second coloring step S420. ) And the third coloring step (S430), and the third division area (a3) is colored only in the third coloring step (S430), so that the intensity of coloring in the first division area (a1) is the strongest and the second division area (a2). ), The coloring intensity is medium and the coloring intensity of the third divided area a3 is the lightest.

상기 제4채색단계(S440)는 제4분할영역(a4)을 채색하기 위한 단계로서 니들카트리지를 40~50°와 80~100°로 번갈아가며 눕히고 세워 0.02~0.08mm의 깊이로 사선을 그리는 형태로 채색할 수 있다. The fourth coloring step (S440) is a step for coloring the fourth divided area (a4) to form a diagonal line with a depth of 0.02 ~ 0.08mm by laying down the needle cartridge alternately at 40 ~ 50 ° and 80 ~ 100 ° I can color it.

한편, 제1채색단계(S410)와 제2채색단계(S420)와 제3채색단계(S430)와 제4채색단계(S440)에서는 제1분할영역(a1)과 제2분할영역(a2)과 제3분할영역(a3)과 제4분할영역(a4)의 피부를 손으로 당겨 텐선을 주면서 니들카트리지의 니들을 주름이 지는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채색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first coloring step S410, the second coloring step S420, the third coloring step S430, and the fourth coloring step S440, the first divided area a1 and the second divided area a2 and The needle of the needle cartridge may be colored by pulling the skin of the third divided area a3 and the fourth divided area a4 by ha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wrinkles while giving a ten line.

이는 주름으로 인해 색소가 불균일하게 채색되는 폐단과, 색소로 인해 주름이 부각되는 폐단을 막기 위한 것이다. This is to prevent the end of the pigment unevenly colored due to the wrinkles, and the end of the wrinkles due to the pigment.

여기서 제1채색단계(S410)와 제2채색단계(S420)와 제3채색단계(S430)는 3회 이하의 횟수로 차례대로 반복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4채색단계(S440)는 제1채색단계(S410)와 제2채색단계(S420)와 제3채색단계(S430)와 달리 반복해서 수행하지 않는다. Here, the first coloring step S410, the second coloring step S420, and the third coloring step S430 may be repeatedly performed in order of three times or less. However, unlike the first coloring step S410, the second coloring step S420, and the third coloring step S430, the fourth coloring step S440 is not performed repeatedly.

한편, 분할영역 채색 단계(S400)는 1회 수행한 후 피부의 탈각 과정이 완료되는 14~21일 후에 색소의 안착상태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1회 더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gmentation coloring step (S400) may be carried out once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seating state and shape of the pigment 14 to 21 days after the skin shelling process is completed after performing once.

상기와 같이 분할영역 채색 단계(S400)를 2회에 걸쳐서 반복 수행하여 피부의 탈각 과정을 완료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의 그늘진 피부색상과 대응되는 색상의 아이쉐도우가 선 형태가 아닌 면 형태로 형성되어 크고 길며 선명한 눈매를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gmentation coloring process (S400) is repeatedly performed twice, the skin shadow process is completed, and the eye shadow of the color corresponding to the shaded skin color of the eye is not in the form of a line as shown in FIG. 4.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tton and can produce big, long and clear eyes naturally.

그리고 피부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색소의 안착도가 높으며 눈의 그늘진 피부색상과 대응되는 색소를 사용하고 채색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면 형태로 채색함에 따라 통증이 크게 저감되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변색으로 인한 이질감이 전혀 없으며 자연스럽게 길고 커보이는 눈매 연출을 보장하고 화장하지 않은 맨 얼굴에도 자연스러운 아이쉐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And since the damage of the skin is minimized, the pigmentation degree is high, and the pigment that corresponds to the shaded skin color of the eye is used, the color intensity is relatively weak and the color is colored in the form of cotton, so the pain is greatly reduced and heterogeneity due to discoloration over time It can guarantee a natural look that looks long and big, and can provide natural eye shadow even on the bare face.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have other embodiments modified in various ways.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bove embodiment but also various other embodiments modifi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S100: 채색영역 표시 단계
S200: 채색 준비 단계
S300: 채색영역 분할 단계
S400: 분할영역 채색 단계
S410: 제1채색단계
S420: 제2채색단계
S430: 제3채색단계
S440: 제4채색단계
A: 채색영역
a1: 제1분할영역
a2: 제2분할영역
a3: 제3분할영역
a4: 제4분할영역
S100: colored area display step
S200: Color Preparation Step
S300: color area division step
S400: Partition Coloring Step
S410: first coloring step
S420: second coloring step
S430: third coloring step
S440: fourth coloring step
A: colored area
a1: first partition
a2: second partition
a3: third partition area
a4: fourth partition area

Claims (4)

니들카트리지가 장착된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눈 주변의 피부를 따라 아이쉐도우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눈의 형상에 따라 상기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의 그늘진 부위를 채색영역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채색영역의 피부색상과 대응되는 색소를 조합 또는 선택하고 상기 니들카트리지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채색영역을 아랫눈꺼풀의 끝단라인을 따라 하부눈꼬리에서 하부눈앞머리까지 차례대로 4개로 분할한 분할영역 중에서 하부눈앞머리와 가장 가까운 분할영역을 제외한 제1분할영역, 제2분할영역, 제3분할영역, 윗눈꺼풀의 끝단라인을 따라 상부눈꼬리에서 하부눈앞머리까지 4개로 분할한 분할영역 중에서 상부눈꼬리와 가장 가까운 분할영역인 제4분할영역으로 각각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분할영역과 상기 제2분할영역과 상기 제3분할영역과 상기 제4분할영역을 기설정된 각도와 삽입깊이와 채색방향에 대응되게 상기 니들카트리지로 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
A method of forming an eye shadow along the skin around the eyes using a handpiece equipped with a needle cartridge,
Marking shaded areas of the upper and lower eyelids as colored area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ye;
Combining or selecting a pigment corresponding to the skin color of the colored region and injecting the pigment into the needle cartridge;
The first divided region, the second divided region, and the third divided region except for the region closest to the lower front eye, among the divided regions in which the colored region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sequentially from the lower eye tail to the lower eye front along the end of the lower eyelid. Dividing each of the divided regions into four division regions, which are closest to the upper eye tail, from the divided region divided into four areas from the upper eye tail to the lower eye front along the end line of the upper eyelid; And
And coloring the first divided area, the second divided area, the third divided area and the fourth divided area with the needle cartrid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ngle, an insertion depth, and a coloring direction.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shades according to the ey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색하는 단계는
상기 니들카트리지의 채색방향은 상기 제1분할영역과 상기 제2분할영역과 상기 제3분할영역과 상기 제4분할영역에 존재할 수 있는 주름이 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oring step
The color direction of the needle cartridge is opposite to the wrinkled direction which may exist in the first divided area, the second divided area, the third divided area and the fourth divided area. A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sha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색하는 단계는
상기 니들카트리지를 40~50°로 눕혀 0.1~0.2mm의 깊이로 세로선을 그리는 형태로 상기 제1분할영역을 채색하는 단계;
상기 니들카트리지를 40~50°로 눕혀 0.1~0.2mm의 깊이로 세로선을 그리다가 사선으로 변환하여 그리는 형태로 상기 제1분할영역과 상기 제2분할영역을 채색하는 단계;
상기 니들카트리지를 80~100°로 세워 0.02~0.08mm의 깊이로 가로선을 그리는 형태로 상기 제1분할영역과 상기 제2분할영역과 상기 제3분할영역을 채색하는 단계;
상기 니들카트리지를 80~100°로 세워 0.02~0.08mm의 깊이로 원을 그리는 형태로 상기 제1분할영역과 상기 제2분할영역과 상기 제3분할영역을 채색하는 단계; 및
상기 니들카트리지를 40~50°와 80~100°로 번갈아가며 눕히고 세워 0.02~0.08mm의 깊이로 사선을 그리는 형태로 상기 제4분할영역을 채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oring step
Laying down the needle cartridge at 40 to 50 ° and coloring the first divided area in a vertical line at a depth of 0.1 to 0.2 mm;
Laying down the needle cartridge by 40 to 50 ° to draw vertical lines with a depth of 0.1 to 0.2 mm, and converting them into diagonal lines to color the first divided area and the second divided area;
Coloring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regions and the third and dividing regions by setting the needle cartridge at 80 to 100 ° to draw a horizontal line with a depth of 0.02 to 0.08 mm;
Coloring the first cartridge, the second partition and the third partition in a shape of drawing a circle at a depth of 0.02 to 0.08 mm by setting the needle cartridge at 80 to 100 °; And
Laying down the needle cartridge alternately at 40 to 50 ° and 80 to 100 °, and coloring the fourth divided area in a diagonal line at a depth of 0.02 to 0.08 mm. 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different sha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소는
상기 채색영역의 피부색상과 대응될 수 있도록 갈색 계열 색상의 색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구조에 따른 음영을 이용한 반영구 아이쉐도우 메이크업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igment is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up method using the shade according to the ey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gment of the brown-based color to correspond to the skin color of the colored area.
KR1020180080592A 2018-07-11 2018-07-11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 up method using shade according to eyes structure KR2020000679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92A KR20200006794A (en) 2018-07-11 2018-07-11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 up method using shade according to eyes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592A KR20200006794A (en) 2018-07-11 2018-07-11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 up method using shade according to eyes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794A true KR20200006794A (en) 2020-01-21

Family

ID=6936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592A KR20200006794A (en) 2018-07-11 2018-07-11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 up method using shade according to eyes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679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64B1 (en) 2009-09-22 2011-07-04 조소영 Semi-permanent eye line special makeup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964B1 (en) 2009-09-22 2011-07-04 조소영 Semi-permanent eye line special makeup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6238B1 (en) Operating Method of Semi-Permanent Make up for Gradation Eye Brow
US3192933A (en) Dual-shaded lipstick comprising concentrically arranged cosmetics
CN108257084A (en) A kind of automatic cosmetic method of lightweight face based on mobile terminal
US20130263885A1 (en) Template for Application of Permanent Eyebrow Make-Up
KR101565340B1 (en) Method of Operating Semi-permanent Tattoo for Eyebrows etc.
KR102037166B1 (en) Personal Color Analysis System with complex perception of the auditory and visual and fashion persona color match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071984B1 (en) Method for semi-permanent special make-up of eyebrows
KR20200006794A (en) Semi-permanent eye shadow make up method using shade according to eyes structure
KR20160045472A (en) Method of tattooing eyebrow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volume effect
CN105667198A (en) Heavy-color two-sided painting and drawing method thereof
KR20170107817A (en) Needle assembly and semi-permanent make up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20103432A (en) Method for Refining or Restoring Skin Area Pigmented by Microblading or Semi-Permanent Makeup
CN102793363A (en) Eyebrow embroidering method capable of imitating natural eyebrow
KR101045964B1 (en) Semi-permanent eye line special makeup method
CN207506123U (en) Multifunctional cosmetic brush
KR102112733B1 (en) Operating Method of Semi-Permanent Make up for Eye Brow
KR20160107622A (en) Operating method for semi-permanent make-up of eyebrows
KR200199209Y1 (en) Hair-planted model for hair beauty practice
Cousens Digital Art: A Complete Guide to Making Your Own Computer Artworks
US20180154127A1 (en) Combinational eyebrow kit
Agustin et al. UNNES Prigel Analysis Study: Application of Nail art Design Techniques in Liekuang & Co Mini Salon Project
Stoner Washington Allston: Poems, Veils, and “Titian's Dirt”
KR101744222B1 (en) A special make-up method of eyebrows using the needle cartridge
Jackson Photoshop cosmetic surgery
KR101487448B1 (en) A special makeup only nee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