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417A -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 Google Patents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417A
KR20200006417A KR1020180080137A KR20180080137A KR20200006417A KR 20200006417 A KR20200006417 A KR 20200006417A KR 1020180080137 A KR1020180080137 A KR 1020180080137A KR 20180080137 A KR20180080137 A KR 20180080137A KR 20200006417 A KR20200006417 A KR 20200006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ielectric
capacitance
fixing means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738B1 (ko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0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7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7/00Arrangements of military equipment, e.g. armaments, armament accessories, or military shielding, in aircraft; Adaptations of armament mountings for aircraf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3/00Other 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G13/02Camouflage
    • B63G2013/027Camouflage using stealth design, i.e. superstructures, hulls, or other vessel's components shaped or constructed for minimizing reflection of radar or sonar beam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나 선박과 같은 이동 수단의 외피를 구성하는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의 유전체 구성물을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바이패스 기능을 활성화하여 전파흡수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자계통 기기의 안정적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Panel having Capacitance}
본 발명은 항공기나 선박과 같은 이동 수단의 외피를 구성하는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의 유전체 구성물을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바이패스 기능을 활성화하여 전파흡수성능을 향상시키고, 전자계통 기기의 안정적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항공기의 조건 중 하나는 스텔스(stealth) 기능이다. 스텔스 기능이란, 전파를 발생시켜 목표물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이용해 목표물을 감지하는 레이더의 입사전파를 흡수하여 반사파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대의 레이더망에 포착되는 확률을 낮추는 은폐 기술을 말한다. 즉 상대의 감시망을 피해 원하는 임무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차세대 항공기에 요구되고 있다.
항공기를 탐지하는 레이더의 반사면적(RCS, Radar Cross Section)을 줄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으로는 전파흡수물질(RAM, Radiation Absorbent Material) 도료를 항공기 외면에 도장하여 레이더의 전파를 흡수시키는 방법과, 전투기의 형상을 전파흡수구조체(RAS, Radiation Absorbent Structure)로 설계하는 방법을 통해 전파를 산란하거나 흡수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의 경우 극비사항으로써 그 실체가 알려지지 않아, 실제로 전파흡수물질 도료는 어떠한 성분으로 제조되어 있는지 상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고, 레이더 전파를 산란시키기 위한 전파흡수구조체(RAS)의 경우에는 가시적으로 두드러진 형상에 의해 구조 설계 방법 등을 적용하여 스텔스 항공기들을 제조하고 있으나, 형상 설계적인 부분이므로 레이더 전파 흡수에는 한계가 있어 보다 실용적이면서도 전파흡수성능이 우수한 레이더의 반사면적(RCS) 감소에 관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더 전파와 같이 외부 노이즈 성 신호 주파수 성분을 바이패스 시킬 수 있도록 전투기나 전함과 같은 이동 형 전투수단의 스킨을 구성하는 패널에 정전용량 값을 갖도록 구성하여 레이더 탐지 전파에 대한 레이더의 반사면적(RCS)을 감소시킨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주파수 대역 별로 바이패스 시킬 주파수 성분을 선별하도록 하여 레이저 전파는 바이패스 시키고, 전투기기의 운용을 위한 통신 주파수는 손실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구비된 도장을 포함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몸체와 상기 도장 사이에 구비되는 유전체; 를 포함하며, 상기 도장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도장 보다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전체는, 복수 개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유전체와 이웃하는 유전체 사이에는 제1 절연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패널은, 내면이 항공기의 프레임 외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 및 유전체를 관통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제2 절연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패널은, 상기 고정수단의 몸통과, 상기 프레임, 몸체 및 유전체의 관통면 사이에는 제3 절연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패널은, 상기 고정수단의 몸통과, 상기 프레임, 몸체 및 유전체의 관통면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몸체와 도장이 절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구비된 도장을 포함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몸체와 상기 도장 사이에 구비되는 유전체; 및 상기 도장과 유전체 사이에 구비되는, 전도성 복합소재;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전도성 복합소재 보다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는, 금속 물질, 탄소 간 결합 물질, 그래핀 격자 구조의 복합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장은, 전도성 도료, 탄소 분말, 금속 물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복합소재는, 금속성 분자들로 이루어진 전도성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전체는, 단품으로 적층 또는 도료형태로 액체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증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파스너 또는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의 몸통 단부와 상기 도장 내면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고정수단의 머리부와 상기 프레임 내면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도장과 프레임이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은, 이동 수단의 외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패널은, 항공기 용 패널, 선박 용 패널, 또는 자동차 용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은, 유전체를 포함하고 있는 패널을 이용하여 레이더의 반사면적(RCS)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투기나 전함 조립 시 적용이 가능하여 기존 설비 대비 추가적인 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스텔스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파수 대역 별로 바이패스 시킬 주파수 성분은 선별하기 때문에 레이더의 반사면적(RCS)을 감소는 물론 전투기기의 운용을 위한 통신 주파수 대역은 손실 없이 사용이 가능하여 전자계통 기기의 안정적 동작을 보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측면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측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측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측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 적용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 적용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분 확대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체적 적용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분 확대 단면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체적 적용 실시 예에 따른 패널 부분 확대 단면
본 발명은 항공기의 스킨 패널(chassis)을 이용하여 레이더 전파를 바이패스 시켜 흡수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패널은 몸체를 구성하는 금속부와, 도장 사이에 유전체 성분을 포함시켜 패널 자체가 정전용량(capacitance) 값을 가지게 하여 레이더 전파를 바이패스 컨덴서와 같은 기능으로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항공기의 레이더의 반사면적(RCS)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 예 1 (기본 형)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10, 이하 "패널")의 측면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은 항공기 패널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계열의 몸체(11)와, 몸체(11)의 외면에 도포되는 도장(12)을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패널(10)은 정전용량 값을 갖도록 몸체(11)와 도장(12) 사이에 구비되는 유전체(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전체(15)는 필름 형태로 구비되거나, 액상으로 증착 등에 의해 몸체(11)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패널(10)은 전도성 재질의 몸체(11)가 콘덴서 역할을 하게 되며, 유전체(15)가 저항체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몸체(11)는 강전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예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물질 또는 탄소 간의 결합으로 구성되어지는 물질 또는 그래핀 격자 구조를 갖는 복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장(12)은 몸체(11) 보다 전도성이 낮은 약전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예로 전도성을 가지는 도료를 포함하거나, 도료의 구성성분으로 탄소 간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말을 포함하거나, 금속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패널(10)은 강전도 물질과 약전도 물질 사이에 유전체를 포함하는, 공진회로(RLC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10)에 입사되는 입사 전파는 위 공진회로를 통해 그라운드 영역인 몸체(11) 상에 바이패스 되어 흡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패널(10)은 약전도성 재질의 도장(12)과, 강전도 재질의 몸체(11)가 유전체(15)를 통해 이격되어 별도의 절연체가 필요 없어 구성이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 실시 예 2 (어레이 형)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20, 이하 "패널")의 측면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0)은 항공기 패널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계열의 몸체(21)와, 몸체(21)의 외면에 도포되는 도장(22)을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패널(20)은 정전용량 값을 갖도록 몸체(21)와 도장(22) 사이에 구비되는 유전체(2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유전체(25)는 복수 개가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어레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유전체(25)는 도장(22)과 접촉되어 병렬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위와 같이 다수의 유전체(25)가 서로 병렬 연결된 형태의 공진회로를 구성하게 되면, 유전체와 유전체 사이의 공간이 인덕터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단수의 유전체로 구성된 공진회로에 비해 주파수에 따른 바이패스 영역이 확장되고, 정전용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유전체(25)와 유전체 사이에는 절연체(23)가 구비될 수 있고, 절연체(23)는 몸체(21)와 도장(22)의 접촉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패널(20)은 제1 실시 예에 비해 유전체(25)를 복수 개로 구성하여야 하고, 절연체(23)가 추가되는 구성이지만, 정전용량 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 실시 예 3 (리벳 장착 형)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30, 이하 "패널")의 측면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30)은 항공기 패널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계열의 몸체(31)와, 몸체(31)의 외면에 도포되는 도장(32)을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패널(30)은 정전용량 값을 갖도록 몸체(31)와 도장(32) 사이에 구비되는 유전체(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패널(30)은 항공기의 프레임에 장착되기 위해 리벳이나 볼트 같은 고정수단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바 패널(30)을 몸체(31)와 유전체(35)를 관통하는 고정수단(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50)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몸체(31)와 도장(32)이 고정수단(50)으로 인해 쇼트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및 제2 절연체(34, 34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절연체(34)는 몸체(31)의 내면과 고정수단(50)의 머리부가 맞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31)의 내면에 구비되며, 제2 절연체(34a)는 몸체(31)의 고정수단 관통면과, 고정수단(50)의 몸통부가 맞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수단(50)의 몸통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체(34a)는 고정수단(5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몸체(31) 및 유전체(35)의 관통부에 도포되는 접착 부재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 실시 예 4 (일반 도장 형)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40, 이하 "패널")의 측면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40)은 항공기 패널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계열의 몸체(41)와, 몸체(41)의 외면에 도포되는 도장(42)을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패널(40)은 정전용량 값을 갖도록 몸체(41)와 도장(42) 사이에 구비되는 유전체(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전체(45)는 필름 형태로 구비되거나, 액상으로 증착 등에 의해 몸체(41)에 코팅될 수 있다.
본실시 예의 패널(40)은 도장(42)이 금속재질을 포함하지 않는 일반적인 도장인 경우 공진회로(RLC) 구성을 위해 도장(42)과 유전체(45) 사이에 전도성 복합소재(4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도성 복합소재(46)는 금속성 분자들로 이루어진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거나, 상기 전도성 필름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패널(40)은 전도성 재질의 몸체(41)가 콘덴서 역할을 하게 되며, 유전체(45)가 저항체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전도성 복합소재(46)는 탄소 또는 그래핀과 같은 강전도 물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전도성을 갖게 되어 패널(40)은 강전도 물질과 약전도 물질 사이에 유전체를 포함하는, 공진회로(RLC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패널(10)은 금속재질의 도장을 적용하기 어려운 항공기에서 공진회로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패널의 구체적인 적용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에 따른 패널(100)의 전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은 항공기의 프레임(150)과 프레임(150) 사이에 리벳과 같은 고정 수단(500)을 이용해 결합될 수 있는 바 위 세 구성이 모두 포함되는 패널(1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에 따른 패널(100)의 부분 확대 단면사시도(도 5의 A)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에 따른 패널(100)의 부분 확대 단면 분해 사시도(도 6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도 8에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에 따른 패널(100)의 부분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100)은 항공기 패널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계열의 몸체(110)와, 몸체(110)의 외면에 도포되는 도장(120)을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패널(100)은 정전용량 값을 갖도록 몸체(110)와 도장(120) 사이에 구비되는 유전체(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전체(150)는 필름 형태로 구비되거나, 액상으로 증착 등에 의해 몸체(110)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패널(100)은 전도성 재질의 몸체(110)가 콘덴서 역할을 하게 되며, 유전체(150)가 저항체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몸체(110)는 강전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예로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물질 또는 탄소 간의 결합으로 구성되어지는 물질 또는 그래핀 격자 구조를 갖는 복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장(120)은 몸체(110) 보다 전도성이 낮은 약전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예로 전도성을 가지는 도료를 포함하거나, 도료의 구성성분으로 탄소 간 결합으로 이루어진 분말을 포함하거나, 금속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패널(100)은 강전도 물질과 약전도 물질 사이에 유전체를 포함하는, 공진회로(RLC 회로)가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유전체(150)는 복수 개가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어레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각각의 유전체(150)는 도장(120)과 접촉되어 병렬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위와 같이 다수의 유전체(150)가 서로 병렬 연결된 형태의 공진회로를 구성하게 되면, 유전체와 유전체 사이의 공간이 인덕터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단수의 유전체로 구성된 공진회로에 비해 주파수에 따른 바이패스 영역이 확장되고, 정전용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유전체(150)와 유전체 사이에는 제1 절연체(141)가 구비될 수 있고, 제1 절연체(141)는 몸체(110)와 도장(120)의 접촉도 방지하게 된다.
이때 패널(100)은 리벳이나 볼트 같은 고정수단(500)을 통해 항공기의 프레임(20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수단(500)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프레임(200), 몸체(110) 제1 절연체(141)를 차례로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500)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몸체(110)와 도장(120) 또는 몸체(110)와, 프레임(200)이 고정수단(50)으로 인해 쇼트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및 제3 절연체(142, 14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절연체(142)는 몸체(110)의 내면과 고정수단(500)의 머리부(510)가 맞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110)와 프레임(200) 사이에 구비되며, 제3 절연체(145)는 몸체(110)의 고정수단 관통면과, 고정수단(500)의 몸통부(520)가 맞닿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수단(500)의 몸통(520)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절연체(145)는 고정수단(50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몸체(110)의 관통부에 도포되는 접착 부재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고정 수단(500)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고정 수단(500)의 몸통 단부와 도장(120)의 내면이 맞닿아 제1 전도성 접촉부(CP1)가 형성되며, 고정 수단(500)의 머리부와 프레임(200)의 내면이 맞닿아 제2 전도성 접촉부(CP2)가 형성될 수 있다.
도장(120)과 프레임(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고정 수단(500)을 이용하여 패널(100)을 프레임(200)에 체결 시 제2 절연체(142)가 고정 수단(500) 체결 중 찍히거나 벗겨져 쇼트가 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특히 전도율이 떨어지는 도장(120)과, 복수의 유전체(150)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약한 전도성 신호라인을 갖는 상태에서 도장(120) 보다 강한 전도성을 갖는 프레임(200)과, 도장(1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복수의 유전체(150)의 병렬 연결구조가 강한 전도성 신호라인을 갖도록 한 효과가 있다.
한편, 레이더 전파가 아닌 일반적인 통신을 위한 주파수 신호와 패널(100)의 공진회로 주파수가 같은 경우 송수신 주파수가 바이패스 기능을 통해 흡수되면 안 되기 때문에, 레이더 전파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선별하여 바이패스 필터링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항공기의 통신을 위한 주파수 대역은 손실이 없이 사용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이더 전파와 같은 초고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비행체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더 검색 주파수 대역 별로 혹은 고 주파수 신호를 바이패스하고, 통신을 위한 VHF/UHF 주파수 대역은 손실이 없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패널(100)의 정전용량 값을 레이더 전파의 웨이브 주파수 값에 대응하여 최상의 효율로 바이패스 시킬 수 있는 주파수 대역 공진주파수(Resonant Frequency)에 가깝도록 유전체 값을 조정하여 정전 용량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패널(100)이 레이더 전파 별 주파수에 대응하기 위한 각 정전용량 값은 아래와 같은 식을 통해 도출할 수 있다.
수식 1은 단위 유전체의 정전용량 값을 구하는 식이며, 수식 2는 단위 유전체의 조합인 유전체 어레이의 정전용량 값을 구하는 식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그러나 레이더 전파는 운용하는 레이더 밴드에 따라 사용되어지는 주파수 성분이 다르므로, 필요한 추가기능은 공진 주파수(resonant frequency)를 변경 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예 X-Band C-Band S-Band) 주파수 검출 성분에 따라 최대의 바이패스 필터로 동작이 될 수 있도록, 가변 형 정전용량 값을 적용하여, 항공기 작전 시 대응하는 레이더의 주파수 밴드에 따라 공진될 수 있는 주파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레이더 밴드 주파수에 능동적으로 스텔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패널
110 : 몸체
120 : 도장
141, 142, 145 : 절연체
150 : 유전체
200 : 프레임
500 : 고정 수단

Claims (14)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구비된 도장을 포함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몸체와 상기 도장 사이에 구비되는 유전체; 를 포함하며,
    상기 도장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도장 보다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복수 개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유전체와 이웃하는 유전체 사이에는 제1 절연체가 구비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내면이 항공기의 프레임 외면에 결합되도록 상기 프레임, 몸체 및 유전체를 관통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제2 절연체가 구비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고정수단의 몸통과, 상기 프레임, 몸체 및 유전체의 관통면 사이에는 제3 절연체가 구비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고정수단의 몸통과, 상기 프레임, 몸체 및 유전체의 관통면 사이에 도포되는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몸체와 도장이 절연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6.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면에 구비된 도장을 포함하는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상기 몸체와 상기 도장 사이에 구비되는 유전체; 및
    상기 도장과 유전체 사이에 구비되는, 전도성 복합소재;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전도성 복합소재 보다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금속 물질, 탄소 간 결합 물질, 그래핀 격자 구조의 복합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장은,
    전도성 도료, 탄소 분말, 금속 물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복합소재는,
    금속성 분자들로 이루어진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10.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는,
    단품으로 적층 또는 도료형태로 액체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증착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파스너 또는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몸통 단부와 상기 도장 내면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고정수단의 머리부와 상기 프레임 내면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도장과 프레임이 상기 고정수단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이동 수단의 외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항공기 용 패널, 선박 용 패널, 또는 자동차 용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KR1020180080137A 2018-07-10 2018-07-10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KR102100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37A KR102100738B1 (ko) 2018-07-10 2018-07-10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37A KR102100738B1 (ko) 2018-07-10 2018-07-10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17A true KR20200006417A (ko) 2020-01-20
KR102100738B1 KR102100738B1 (ko) 2020-04-14

Family

ID=6936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137A KR102100738B1 (ko) 2018-07-10 2018-07-10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7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018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흡수 장치
KR101502452B1 (ko) * 2014-08-26 2015-03-13 국방과학연구소 구조물 내부에 적용 가능한 전파흡수체
KR101698110B1 (ko) * 2016-10-21 2017-01-19 국방과학연구소 대상물에 부착되는 전파 흡수체
KR101820109B1 (ko) * 2017-08-10 2018-01-18 국방과학연구소 구조물을 위한 전파흡수체
KR101944959B1 (ko) * 2017-10-12 2019-02-01 국방과학연구소 전파흡수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스텔스 구조물
KR20190016228A (ko) * 2017-08-08 2019-02-1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용 하이브리드 전파흡수구조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2018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파 흡수 장치
KR101502452B1 (ko) * 2014-08-26 2015-03-13 국방과학연구소 구조물 내부에 적용 가능한 전파흡수체
KR101698110B1 (ko) * 2016-10-21 2017-01-19 국방과학연구소 대상물에 부착되는 전파 흡수체
KR20190016228A (ko) * 2017-08-08 2019-02-1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용 하이브리드 전파흡수구조체
KR101820109B1 (ko) * 2017-08-10 2018-01-18 국방과학연구소 구조물을 위한 전파흡수체
KR101944959B1 (ko) * 2017-10-12 2019-02-01 국방과학연구소 전파흡수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스텔스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738B1 (ko) 202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1152A (en) Large relative bandwidth radar
CN108270085B (zh) 吸透一体频率选择表面结构
US10048369B2 (en) Radar assembly
US9019143B2 (en) Spect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US10498042B2 (en) Reflection frequency conversion device using active metamaterial surface and ECM system
US8159407B2 (en) Radome with integrated plasma shutter
US8508413B2 (en) Antenna with dielectric having geometric patterns
US10903556B2 (en) Up-down zigzag additive spiral antenna
US10886622B1 (en) Tunable antenna isolators
KR20130126697A (ko) 번개 방호 시스템과 양립 가능한 레이더 흡수 물질
US7737898B2 (en) Very high frequency line of sight winglet antenna
US20060012508A1 (en) Method of agile reduction of radar cross section using electromagnetic channelization
US20180166791A1 (en) Isolation barrier
JP6938217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レーダ装置
US7420500B2 (en) Electromagnetic radiation absorber
KR102100738B1 (ko) 정전용량을 갖는 패널
KR20200059363A (ko) 복합재 레이어와 이를 포함하는 구조 일체형 연료 탱크 및 항공기
US7589683B2 (en) Broadband blade antenna assembly
US10020588B2 (en) Antenna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8493620B (zh) 一种uhf频段雷达吸收体
KR101556903B1 (ko) 안테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탑재체
KR102119575B1 (ko) 광대역 전자파 흡수를 위한 공진회로의 유전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용량 패널
US10770784B2 (en) Antenna radome with absorbers
CA2632220C (en) Method of agile reduction of radar cross section using electromagnetic channelization
Gomozov et al. Functional neutralization of small-size UAVs by focused electromagnetic 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