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365A - 경골정렬장치 및 그 유닛 - Google Patents

경골정렬장치 및 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365A
KR20200006365A KR1020180080025A KR20180080025A KR20200006365A KR 20200006365 A KR20200006365 A KR 20200006365A KR 1020180080025 A KR1020180080025 A KR 1020180080025A KR 20180080025 A KR20180080025 A KR 20180080025A KR 20200006365 A KR20200006365 A KR 20200006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utting guide
alignment device
tibial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480B1 (ko
Inventor
오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렌텍
Priority to KR102018008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480B1/ko
Priority to JP2020572454A priority patent/JP7191131B2/ja
Priority to US17/259,394 priority patent/US11576688B2/en
Priority to CN201980045633.5A priority patent/CN112384158A/zh
Priority to EP19834180.2A priority patent/EP3821829A4/en
Priority to PCT/KR2019/008445 priority patent/WO2020013584A1/ko
Publication of KR20200006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39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764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4Surgical saws ; Accessories therefor
    • A61B17/15Guides therefor
    • A61B17/154Guides therefor for preparing bone for knee prosthesis
    • A61B17/157Cutting tib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5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kn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7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 A61B17/171Guides or aligning means for drills, mills, pins or wires for external fix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407Ratche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82General structural features
    • A61B2017/00991Telescop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13Accessories designed for easy sterilising, i.e. re-us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대상의 경골과 대퇴골을 포함하는 무릎관절에 사용되는 슬관절치환술(Total Knee Anrthroplasty)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슬관절 수술시, 경골절삭가이드에 결합 가능한 상부와, 상기 상부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를 상기 상부에 거치시키는 커팅가이드결합부와, 상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는, 치료대상의 발목에 고정되어 경골정렬장치를 고정하는 발목겸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커팅가이드에 다양한 각도로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수용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 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에 관해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경골절삭가이드에 다양한 각도로 탈착 가능한 경골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골정렬장치 및 그 유닛{Tibia Extramedullary(EM) Alignment Telescopic Assembly}
본 발명은 치료대상의 경골과 대퇴골을 포함하는 무릎관절에 사용되는 슬관절치환술(Total Knee Anrthroplasty)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슬관절 수술시, 경골절삭가이드에 결합 가능한 상부와, 상기 상부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를 상기 상부에 거치시키는 커팅가이드결합부와, 상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는, 치료대상의 발목에 고정되어 경골정렬장치를 고정하는 발목겸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커팅가이드에 다양한 각도로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수용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 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에 관해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경골절삭가이드에 다양한 각도로 탈착 가능한 경골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관절이란, 무릎을 둘러싼 3개의 뼈인 대퇴골(Femur), 경골(Tibia), 슬개골(Patella)이 이루는 관절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람의 무게를 지탱하고 관절운동을 통해 걷거나 뛰는 등의 다리를 쓰는 운동에 관련된 핵심적인 관절에 해당한다.
대퇴골 끝에는 관절연골(Articular Cartilage)이 존재하고, 경골 끝에는 반월상연골(Meniscus)이 존재하게 되는데 노화나 극심한 운동 등으로 연골이 손상되면 뼈와 뼈가 직접 맞닿게 되어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슬관절치환술(Total Knee Arthroplasty)은 이와 같이 슬관절이 손상되었을 때 대퇴골과 경골의 일부를 절개하고 인공슬관절을 삽입하는 수술로서, 대퇴골 끝단에 대퇴골결합 부재를 연결하고, 경골 끝단에 경골요소를 삽입고정하며, 그 위에 베어링부재를 설치하여 인공슬관절을 시술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공슬관절 치환수술에서 수술 후 부작용을 방지하고 치환된 인공슬관절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손상된 슬관절의 정확한 절골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슬관절치환술 시술시 치료대상의 경골근위부를 절삭하기 전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막대형상의 경골정렬장치(Tibial Alignment Assembly)를 사용하여 한쪽은 치료대상의 발목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은 경골절삭가이드를 결합하여 치료대상의 경골근위부에 대어보아 정확한 절삭면을 도출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경골정렬장치는 치료대상에 따라 정확한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고 이는 시술의 정확성 및 효과와 직결된다. 또한, 경골절삭가이드와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시술의 용이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수술기구 간의 충돌을 방지하여 정렬된 위치를 유지하여 정확하고 안전한 시술이 행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커팅가이드로부터 상기 경골정렬장치를 결합하거나 분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얼라인먼트의 길이의 미세조절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기존 기구들의 경우에는 경골절삭가이드와 경골정렬장치 간의 결합 및 분해의 반경 내지는 경로가 일직선으로 한정이 되어, 수술 중 상기 장치들의 용이한 탈착이 어려워 시술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어려웠고, 특히, 경골정렬장치의 좁은 분해반경으로 인해 분해시 다른 수술기구 사이에 충돌이 생겨 절삭면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렬된 수술기구들의 위치가 흐트러지거나 결합이 빠지는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로인해 부정확한 수술이 이루어지게 되고 치료효과의 저하 및 환자의 고통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 재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여 치료대상에게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안겨주었다.
또한, 종래의 경골정렬장치는 정렬막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부분에 볼트나 라켓을 사용하였는데, 상기 나사의 피치 또는 라켓의 홈의 단위간격으로 인해, 정밀한 높이 조절이 어려웠고, 이로 인해 정확한 슬관절치환술의 시술 및 수술의 용이성, 수술경과, 환자의 고통 및 경제적 부담과 관련된 문제를 초래하였다.
또한, 수술 기구는 감염 등의 안전성을 이유로 세척이 중요하며, 그러기 위해선 기구의 세척성을 높여주는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골정렬장치는 치료대상의 발목부위에 직접 결합되는 발목겸자부(ankle clamp)에 별도의 세척홈을 구비하지 않아, 여러 부품이 결합함에 따라 세척수가 잘 닿지 않는 틈새에는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불완전한 세척으로 인한 세균감염 등의 위험이 존재하였다.
미국등록특허 US 8,758,354 B2는 도 1에 도시된 경골정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도 1를 참고하면, 상기 경골정렬장치는 경골근위부 절삭시 정확한 절삭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지적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종래의 경골정렬장치는 경골절삭가이드와 일직선으로만 결합 또는 분해할 수 있음에 따라 용이한 탈착이 어려워 상기 경골절삭가이드를 부드럽게 제거하는 것이 어렵고, 수술과정 중 다른 기구들과 충돌하는 문제를 유발한다. 또한, 상부막대(Proximal Rod) 및 하부막대(Distal Rod)의 결합길이를 조절하는 부분이 라켓의 형식으로 되어 있어 정밀한 길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발목겸자부(Ankle Clamp) 역시 수술 전후 장치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세척홈 등의 구성이 보이지 않아, 세균 등의 감염이 없는 안전한 시술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경골절삭가이드와의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하고, 정밀한 높이 조정이 가능하며, 발목겸자부의 세척이 용이함에 따라, 정확하고 안전한 슬관절치환술을 시행할 수 있는 경골정렬장치의 도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관절치환술을 위한 경골절삭가이드에 결합 가능한 상부와, 상기 상부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를 상기 상부에 거치시키는 커팅가이드결합부와, 상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는, 치료대상의 발목에 고정되어 경골정렬장치를 고정하는 발목겸자부를 포함하여, 슬관절치환술 시술시 시술자에게 정확한 경골절삭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경골절삭가이드에 다양한 각도로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어, 경골절삭가이드와 경골정렬장치의 결합 및 분해 반경의 범위를 넓혀 시술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경골절삭가이드와 유동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수용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 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에 관해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경골절삭가이드와 다양한 각도로 탈착가능한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의 간격이 벌어져 경골절삭가이드와 단단히 결합하는 잠금상태에 놓이고,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의 간격이 좁아져 경골절삭가이드와 느슨하게 결합하는 해제상태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시술자의 상기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의 조작을 통해 상기 결합부의 용이한 삽입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하여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여, 작은 힘으로도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를 밀어올려 상기 결합부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시술자로 하여금 상기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 간의 확인 및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몸체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수용부재에 대하여 고정 및 회전시켜 상기 상태 간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부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상기 레버부재 회전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고정이 가능한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부를 포함하여, 시술자로 하여금 상기 잠금 및 해제상태 간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을 포함하여, 결합 후 상기 잠금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시술 중 상기 커팅가이트결합부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판스프링부가 하측으로 내려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해제상태일 때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밀착시키는 밀착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해제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와 수용부재의 이격을 방지하여 용이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는, 그 일단이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을 포함하는 결합면을 포함하여,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결합 이후 상기 체결부재 결합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면과, 상기 오목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면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면은 돌출면을 구성하여, 상기 잠금상태시 볼록한 면을 통해 상기 결합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해제상태시 결합부의 삽입 및 이탈을 매끄럽게 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시술자에게 용이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부는, 상기 커팅가이드의 결합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한 미세조정부를 포함하여, 정확한 커팅면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시술의 정확성을 높이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와 하부와의 결합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높이조절부는, 제1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하부의 연결부를 연결 및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높이조절부는, 제2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의 연결부의 상하이동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높이조절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2부재를 통해 시술자가 조정한 높이의 유지가 가능한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가 상기 제2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하부막대를 고정시키는 잠금상태에 놓이고,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부재가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의 연결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하는 것이 가능한 해제상태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잠금상태와 해제상태의 상호 전환을 통해 용이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2부재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접촉을 통한 마찰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부의 연결부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2부재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부재를 제1부재에 고정함과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의 연결부 및 상기 제2부재를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2부재는, 핸들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부재의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한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가 관통하는 수용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홀은 상기 제2부재의 잠금상태시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부재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의 접촉면적을 늘려 상기 잠금상태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목겸자부는, 발목겸자를 포함하여, 치료대상의 발목에 단단히 고정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목겸자부는, 상기 발목겸자와 상기 하부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발목겸자연결부와, 상기 발목겸자연결부를 치료대상의 전위 또는 후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조정부를 포함하여, 경골정렬장치와 치료대상의 경골이 형성하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목겸자부는, 라켓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발목겸자연결부의 위치를 고정 가능한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목겸자부는, 연결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라켓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목겸자부는, 세척홈을 구비하여, 세척수의 유입을 원활히 하여 세척효율을 높이는 경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경골정렬장치는, 슬관절치환술을 위한 경골절삭가이드에 결합 가능한 상부와, 상기 상부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를 상기 상부에 거치시키는 커팅가이드결합부와, 상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경골절삭가이드에 다양한 각도로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수용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 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에 관해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경골절삭가이드에 다양한 각도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의 간격이 벌어져 경골절삭가이드와 단단히 결합하는 잠금상태에 놓이고,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의 간격이 좁아져 경골절삭가이드와 느슨하게 결합하는 해제상태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몸체부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부와, 상기 레버부재의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조정 가능한 핸들부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과, 상기 레버부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판스프링부가 하측으로 내려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해제상태일 때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밀착시키는 밀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는, 그 일단이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을 포함하는 결합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면과, 상기 오목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면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면은 돌출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는, 상기 커팅가이드의 결합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한 미세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는, 상기 상부와 하부와의 결합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상기 발목겸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하부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1부재와, 상기 상부의 연결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가 상기 제2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하부막대를 고정시키는 잠금상태에 놓이고,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부재가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의 연결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하는 것이 가능한 해제상태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접촉을 형성하는 접촉부, 상기 제2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결합부, 상기 제2부재의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조정 가능한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가 관통하는 수용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홀은 상기 제2부재의 잠금상태시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부재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목겸자부는, 치료대상의 발목에 고정되는 갈고리 형상의 발목겸자와, 상기 발목겸자와 상기 하부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발목겸자연결부와, 상기 발목겸자연결부를 치료대상의 전위 또는 후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조정부와, 상기 발목겸자연결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라켓버튼과, 상기 라켓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목겸자부는, 세척수의 유입을 원활히 하여 세척효율을 높이는 세척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조정부는, 상기 라켓버튼이 삽입되는 양 측면을 관통하는 세척홈을 포함하고, 상기, 라켓버튼은, 상기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하단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세척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슬관절치환술을 위한 경골절삭가이드에 결합 가능한 상부와, 상기 상부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를 상기 상부에 거치시키는 커팅가이드결합부와, 상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는, 치료대상의 발목에 고정되어 경골정렬장치를 고정하는 발목겸자부를 포함하여, 슬관절치환술 시술시 시술자에게 정확한 경골절삭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경골절삭가이드에 다양한 각도로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어, 경골절삭가이드와 경골정렬장치의 결합 및 분해 반경의 범위를 넓혀 시술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경골절삭가이드와 유동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수용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 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에 관해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경골절삭가이드와 다양한 각도로 탈착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의 간격이 벌어져 경골절삭가이드와 단단히 결합하는 잠금상태에 놓이고,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의 간격이 좁아져 경골절삭가이드와 느슨하게 결합하는 해제상태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시술자의 상기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의 조작을 통해 상기 결합부의 용이한 삽입 및 고정을 가능하게 하여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여, 작은 힘으로도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를 밀어올려 상기 결합부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시술자로 하여금 상기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 간의 확인 및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몸체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수용부재에 대하여 고정 및 회전시켜 상기 상태 간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부를 포함하여,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상기 레버부재 회전시 부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고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핸들부를 포함하여, 시술자로 하여금 상기 잠금 및 해제상태 간의 전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을 포함하여, 결합 후 상기 잠금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시술 중 상기 커팅가이트결합부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부재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판스프링부가 하측으로 내려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해제상태일 때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밀착시키는 밀착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해제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와 수용부재의 이격을 방지하여 용이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는, 그 일단이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을 포함하는 결합면을 포함하여,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결합 이후 상기 체결부재 결합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면과, 상기 오목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면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면은 돌출면을 구성하여, 상기 잠금상태시 볼록한 면을 통해 상기 결합부의 고정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해제상태시 결합부의 삽입 및 이탈을 매끄럽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시술자에게 용이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는, 상기 커팅가이드의 결합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한 미세조정부를 포함하여, 정확한 커팅면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여 시술의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와 하부와의 결합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높이조절부는, 제1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하부의 연결부를 연결 및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높이조절부는, 제2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의 연결부의 상하이동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높이조절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2부재를 통해 시술자가 조정한 높이의 유지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가 상기 제2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하부막대를 고정시키는 잠금상태에 놓이고,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부재가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의 연결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하는 것이 가능한 해제상태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잠금상태와 해제상태의 상호 전환을 통해 용이한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부재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접촉을 통한 마찰력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부의 연결부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부재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부재를 제1부재에 고정함과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상부의 연결부 및 상기 제2부재를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부재는, 핸들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부재의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가 관통하는 수용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홀은 상기 제2부재의 잠금상태시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부재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의 접촉면적을 늘려 상기 잠금상태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목겸자부는, 발목겸자를 포함하여, 치료대상의 발목에 단단히 고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목겸자부는, 상기 발목겸자와 상기 하부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발목겸자연결부와, 상기 발목겸자연결부를 치료대상의 전위 또는 후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조정부를 포함하여, 경골정렬장치와 치료대상의 경골이 형성하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목겸자부는, 라켓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발목겸자연결부의 위치를 고정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목겸자부는, 연결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라켓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발목겸자부는, 세척홈을 구비하여, 세척수의 유입을 원활히 하여 세척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경골정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체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수용부재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레버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상부의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상부의 결합 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상부의 결합과정 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 부분의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상부의 결합 후 단면도.
도 1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상부막대의 사시도.
도 1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하부막대의 사시도.
도 1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미세조정부의 단면도.
도 15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미세조정부의 사용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제1부재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제2부재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연결부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높이조절부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높이조절부의 잠금상태시 단면도.
도 21은 도 20의 B 부분의 상세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높이조절부의 해제상태시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발목겸자부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골정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경골정렬장치(1)는 슬관절치환술을 위한 경골절삭가이드(C)에 결합 가능한 상부(10)와, 상기 상부(10)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하부(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골정렬장치(1)는 슬관절치환술을 위한 경골절삭가이드(C)를 더 포함하여 하나의 유닛을 이룰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10)와 하부(30)는 가운데에 상호 간의 결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치료대상의 경골길이에 따라 장치의 높이를 맞춤으로써, 알맞은 경골절단면에 대한 정보를 개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부(10)는, 치료대상의 경골근위부에 가까이 위치하여 경골절삭가이드(C)와 결합하여, 정확한 경골 근위부 절단면의 기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10)는 다시 커팅가이드결합부(11), 연결부(13), 미세조정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는, 상기 상부(10)의 상단에 위치하여 경골절삭가이드(C)와 결합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골절삭가이드(C)와 다양한 각도로 결합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술의 안전성 및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다른 수술기구와의 충돌을 방지하여 정확한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는 다시 체결부재(111), 수용부재(113), 레버부재(115), 밀착수단(1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는, 가운데가 빈 원통형의 막대형상으로, 일단은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의 하부(30)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하부(30)의 연결부(33)에 수용되어, 경골정렬장치(1)를 지지함과 동시에 높이연장시 연장되는 길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13)는 상부막대(131)와 하부막대(133)를 포함함으로써, 후술하는 미세조정부(15)를 통해 양 막대간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하여 정밀한 시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미세조정부(15)는, 상기 연결부(13)에 결합 가능하며, 후술하는 상부막대(131) 및 하부막대(133) 사이의 결합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경골정렬장치(1)의 고정 전뿐만 아니라 고정 이후에도 미세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조정부(15)는, 후술하는 마이크로노브(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30)는, 치료대상의 경골원위부에 가까이 위치하고, 상기 상부(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여, 치료대상의 발목에 경골정렬장치(1)를 고정해 정확한 절단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30)는 다시 높이조절부(31), 연결부, 발목겸자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1)는, 상기 상부(10) 및 하부(30)의 사이에서 상기 상부(10) 및 하부(30)의 연결부(13,33)를 수용하는 금속의 하우징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31)는 일단에 장치의 신축여부를 조정할 수 있는 버튼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상부(10) 및 하부(30)를 연결하는 동시에 결합 길이를 조절하여 경골정렬장치(1)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31)는 다시 후술하는 제1부재(311), 제2부재(313), 탄성부재(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30)의 연결부(33)는, 긴 원통형의 금속막대로 구성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부(31)와 발목겸자부(35)를 연결하며 상기 상부(10)의 연결부(13)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장치 전체의 높이를 확보함과 동시에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30)의 연결부(33)는, 양단에 상기 높이조절부(31)와 발목겸자부(35)와의 결합깊이를 제한하는 걸림턱(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목겸자부(35)는, Y자 형상의 몸체에 낫모양의 부재를 Y자 형상 윗부분의 양단에 구비한 갈고리 내지는 집게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치료대상의 발목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경골절삭면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게 한다. 상기 발목겸자부(35)는 다시 후술하는 발목겸자(351), 발목겸자연결부(353), 라켓버튼(355), 슬라이딩조정부(357), 연결볼트(35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체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수용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레버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의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상부(10)는 커팅가이드결합부(11), 연결부(13), 미세조정부(1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는 다시 체결부재(111), 수용부재(113), 레버부재(115), 밀착수단(11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11)는, 금속재질의 가운데가 꺾인 짧은 사각 막대모양에 내부에 상기 레버부재(115)를 수용하기 위한 빈 공간이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일단은 경골절삭가이드(C)에 삽입되어 소정의 고정력을 확보하고, 타단은 하우징의 형태로 제공되는 수용부재(11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재(113)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후술하는 잠금상태 및 해제상태 간의 전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11)는 다시 후술하는 결합부(1111), 스토퍼(1113), 바디부(1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11)의 결합부(1111)는, 상기 체결부재(111)의 바디부(1115) 상단에 'ㄱ'자 형상으로 커팅가이드결합부(11)의 삽입방향을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상기 경골절삭가이드(C)에 삽입 및 결합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11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와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경골절삭가이드(C)에 다양한 각도로 결합 및 분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1111)는, 삽입 및 고정 이후 상기 결합부(1111)를 단단히 결합하고 삽입반대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그 일단이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1111b)을 포함하는 결합면(1111a)을 가질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면(1111a)은, 상기 결합부(1111)의 삽입과 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면(1111a)은, 상기 결합부(1111)의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면(1111c)과, 상기 오목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면(1111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목면(1111c)은, 상기 결합부(1111)의 상측 결합면(1111a)에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와 경골절삭가이드(C)의 결합 및 해체시, 상기 체결부재(111)의 결합부(1111)가 경골절삭가이드(C)의 결합슬롯(S)의 외측 모서리에 걸리지 않고 매끄럽게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볼록면(1111d)은, 상기 체결부재 결합부(1111)의 삽입방향 끝단에 곡면의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와 경골절삭가이드(C)의 결합 후,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경골절삭가이드(C) 결합슬롯(S)의 상면에 상기 볼록면(1111d)의 볼록한 부분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볼록면(1111d)은 상기 돌출면(1111b)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113)는, 상기 체결부재(111)의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111)가 적절한 깊이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1111)가 경골절삭가이드(C)의 결합슬롯(S)과 밀착하여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111)의 삽입깊이를 제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술자와 치료대상의 안전을 위해, 상기 스토퍼(1113)의 모서리부는 둥글게 다듬어질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경골절삭가이드(C)와의 밀착을 통한 고정력의 확보를 위해 전면은 수직면(1113a)으로 형성되고, 장치 조작의 안전 및 시술시 걸림을 방지하기 위해 후면은 경사면(1113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15)는, 상기 'ㄱ'자 형상의 체결부재(111)의 수직방향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다시 레버부재수용홀(1115a)과 회전결합홀(111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수용홀(1115a)은, 상기 체결부재(111)의 바디부(1115) 내부에 상기 커팅가이드삽입부(11)의 삽입 및 이탈방향(I)으로 관통되어 상기 레버부재(115)를 수용하는 사각의 빈 공간으로, 상기 레버부재(115)가 회전하여 상기 레버부재수용홀(1115a)의 상면을 밀어올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결합홀(1115b)은, 상기 체결부재(111)의 바디부(1115)에 상기 커팅가이드삽입부(11)의 삽입 및 이탈방향(I)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공간으로, 상기 레버부재(115)의 회전몸체부(1151)와 힌지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회전결합홀(1115b)은 상하로 이동하는 상기 체결부재(111)의 이동범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아래위로 긴 모양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재(113)는, 상하면이 열린 짧은 사각막대 모양의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 형상의 내부에 상기 체결부재(111), 상기 연결부(13) 및 상기 레버부재(115)를 수용하기 위한 홀과, 힌지결합을 위한 홀이 하우징 형상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113)는, 상기 체결부재(111)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11) 및 수용부재(113) 결합부(1131)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각도로 경골정렬장치(1)를 결합 및 해체할 수 있고, 결합시 단단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113)는, 다시 후술하는 결합부(1131), 바디부(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는, 상기 수용부재(113)의 일측면 상단에 'ㄱ'자 형상으로 상기 커팅가이드의 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경골절삭가이드(C)에 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는,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 상기 체결부재(111)를 상기 수용부재(113)에 고정시키기 위한 밀착수단(117)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재(111)의 결합부(1111) 하면과 접촉하는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 상면에 상기 밀착수단(117)을 수용하기 위한 자석수용홈(1131a)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경골절삭가이드(C)의 단단한 고정을 위해 상기 결합부(1131)는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져, 상기 결합부(1131) 하면의 모서리부분에 상기 결합부(1131) 내측으로 함입된 가이드홈(1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33)는, 상기 수용부재(113)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하우징의 형상을 가져, 상기 체결부재(111)를 수용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수용부재(113)의 바디부(1133)는 다시 체결부재수용홀(1133a), 레버부재수용홀(1133b), 힌지결합홀(1133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수용홀(1133a)은, 상기 수용부재(113)의 바디부(1133)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며 형성된 사각의 빈 공간으로, 상단에는 상기 체결부재(111)의 바디부(1115)가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하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13)의 상부막대(131)의 일단이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레버부재수용홀(1133b)은, 상기 수용부재(113)의 바디부(1133) 내부에 상기 커팅가이드삽입부(11)의 삽입 및 이탈방향(I)으로 관통되어 상기 레버부재(115)를 수용하는 사각의 빈 공간으로, 상기 레버부재(115)가 회전하여 상기 레버부재수용홀(1115a)의 상면을 밀어올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힌지결합홀(1133c)은, 상기 수용부재(113)의 바디부(1133)에 상기 커팅가이드삽입부(11)의 삽입 및 이탈방향(I)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홀로, 상기 레버부재(115)의 회전몸체부(1151)와 힌지결합하여 상기 레버부재(115)의 회전을 위한 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재(115)는, 상기 체결부재(111)의 결합부(1111)와 상기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후술하는 회전몸체부(1151), 판스프링부(1153), 핸들부(1155), 회전방지턱(1157), 홈부(115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몸체부(1151)는, 상기 레버부재(115)의 가운데를 관통하는 빈 홀에 상기 홀 내에 상기 레버부재(115)와 상기 수용부재(113)를 연결하는 원기둥 형상의 핀이 삽입 및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재(113)와 힌지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레버부재(115)가 상기 수용부재(11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부(1153)는, 상기 레버부재(115)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레버부재(115)의 상단을 감싸는 판상형의 탄성부재(315)로, 상기 레버부재(115)의 회전시 상기 레버부재(115) 내측로 후퇴하여 상기 레버부재(115)의 용이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후술하는 잠금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111)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와 경골절삭가이드(C) 사이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스프링부(1153)의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부재(115)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1155)는, 상기 레버부재(115)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시술자로 하여금 적은 힘으로도 상기 레버부재(11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술자로 하여금 상기 레버부재(115)의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1155) 단부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여 시술자의 조작시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핸들부(1155)의 안정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턱(1157)은, 상기 판스프링부(1153)의 어느 지점에서 레버부재(115)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시술자가 상기 레버부재(115)를 조작하지 않을 시, 상기 판스프링부(1153)의 복원력 내지는 탄성력에 의한 레버부재(115)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 턱의 역할을 함으로써, 후술하는 잠금상태에 놓인 레버부재(115)를 고정시켜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홈부(1159)는, 상기 판스프링부(1153)와 상기 회전몸체부(1151) 사이에 형성된 긴 홈으로, 상기 판스프링부(1153)와 상기 회전몸체부(1151)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상기 핸들부(1155)를 하측으로 조작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부(1153)가 상기 체결부재(111)를 상측으로 압박함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부(1153)의 상부가 상기 레버부재수용홀(1115a)의 상면에 걸리게 되어 회전이 제한되게 되는데, 상기 홈부(1159)는 판스프링부가 하측으로 내려올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레버부재(115)의 용이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홈부(1159)의 간격은 후술하는 커팅가이드결합부(11)의 해제상태일 때 넓어지고, 잠금상태일 때 좁아진다.
상기 밀착수단(117)은, 바람직하게는 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재(113) 결합부(1131)의 자석수용홈(1131a)에 삽입되고, 별도의 힘을 가할 필요없이 후술하는 커팅가이드결합부(11)의 해제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기 결합부(1111,1131) 간의 간격을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상부의 결합 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상부의 결합과정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상부의 결합 후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상기 부재들의 결합관계 및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의 결합과정및 해제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11)가 상기 수용부재(113)의 체결부재수용홀(1133a)의 상단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용부재(113)의 체결부재수용홀(1133a)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13)의 상부막대(131)가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재(111) 및 수용부재(113)의 내부에 형성된 레버부재수용홀(1115a,1133b)에 상기 회전 가능한 레버부재(115)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를 구성할 수 있다.
먼저, 도 8, 도 9, 도 11의 순으로 이루어지는 결합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경골정렬장치(1)와 경골절삭가이드(C)의 결합 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11)는 상기 수용부재(113)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 상면에 구비된 밀착수단(117) 내지는 자석에 의해 하측으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111)의 결합부(1111)와 상기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 간격이 밀착된다.
도 9 및 10을 참고하면, 시술자는 이렇게 밀착수단(117)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1111,1131) 간의 간격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1111,1131)를 경골절삭가이드(C)의 결합슬롯(S)에 삽입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과정상 시술자가 상기 결합부를 결합슬롯에 다양한 각도(α)로 용이하게 삽입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경골절삭가이드(C)가 상기 체결부재(111)의 결합부(1111)와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를 수용하는 내부공간(C1)의 높이(h)는 상기 체결부재(111)의 결합부(1111)의 높이(h1)와 상기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의 높이(h2)를 더한 높이(h1+h2)보다 높을 수 있고, 상기 레버부재(115)를 아래로 조작함에 따라 상기 체결부(111)의 결합부(1111)가 상측으로 최대한 올라간 높이(h3)보다는 낮을 수 있다. 이로써, 시술자는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와 경골절삭가이드(C)의 결합 및 분해시, 넓은 결합 및 분해 반경(α)6을 가질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고하면, 시술자가 상기 체결부재(111)의 결합부(1111) 및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를 경골절삭가이드(C)의 결합슬롯(S)에 삽입한 후, 상기 레버부재(115)를 아래로 회전시키면, 상기 판스프링부(1153)가 상기 체결부재(111)를 상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체결부재(111)가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111)의 결합부(1111)와 상기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 간의 간격(g)이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111) 결합부(1111)의 상측이 경골절삭가이드(C)의 결합슬롯(S) 상면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C)에 단단히 고정되는 잠금상태에 놓이게 된다.
반대로, 상기 결합과정의 역순인 도 11, 도 9, 도 8의 순으로 이루어지는 분해과정을 살펴보면, 시술자가 상기 레버부재(115)의 핸들부(1155)를 위로 회전시키면, 상기 판스프링부(1153)의 상기 체결부재(111) 하면에 대한 가압이 멈추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체결부재(111)가 다시 아래로 내려와 상기 체결부재(111) 및 수용부재(113) 간의 결합부(1111,1131)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는 시술자가 상기 결합부(1111,1131)들을 경골절삭가이드(C)의 결합슬롯(S)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해제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분해과정에 있어서도, 상술한 결합과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와 경골절삭가이드(C) 간에 넓은 분해 반경을 가질 수 있어, 상기 체결부재(111) 및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11,1131)의 용이한 이탈이 가능함과 동시에, 주변 수술기구들과의 충돌을 방지하고, 시술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11)는, 상기 레버부재(115)의 핸들부(1155)를 상하로 조작함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111)의 결합부(1111)와 상기 수용부재(113)의 결합부(1131) 간격이 벌어져 경골절삭가이드(C)와 단단히 결합하는 잠금상태에 놓이거나, 상기 결합부(1111,1131) 간의 간격이 좁아져 상기 결합부(1111,1131)를 경골절삭가이드(C)의 결합슬롯(S)에 다양한 각도로 탈착할 수 있는 해제상태에 놓일 수 있고, 이러한 간단한 조작으로 커팅가이드결합부(11)및 경골절삭가이드(C) 사이에 결합을 형성하거나 해제함으로써, 시술의 용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주변의 수술기구와의 충돌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정확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상부막대의 사시도이고, 도 1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하부막대의 사시도이고, 도 1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미세조정부의 단면도이고, 도 15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미세조정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 내지 15를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3)는 다시 상부막대(131), 하부막대(13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미세조정부(15)는 다시 마이크로노브(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막대(131)는, 짤막한 원기둥 모양의 금속막대로 형상으로, 일단은 상기 수용부재(113)의 체결부재수용홈(1133a) 하단의 사각모양에 알맞은 사각기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113)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막대(133)의 내부공간에 알맞은 원기둥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막대(133)와 연결된다. 상기 상부막대(131)는 다시 수용부재삽입부(1311), 핀홈(1313), 하부막대삽입부(1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삽입부(1311)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113)의 체결부재수용홈(1133a) 하단에 삽입 및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재삽입부(1311)는, 하측에 상기 사각기둥 형상을 둘러싸는 원형의 걸림턱(1311a)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재(111)와 상기 상부막대(131)의 결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핀홈(1313)은, 상기 상부막대(13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원기둥을 둘러싸는 빈 공간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기 마이크로노브(151)의 핀홀(1515)에 삽입되는 핀(1517)과 맞물려 상기 상부막대(131)에 대하여 상기 마이크로노브(151)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노브(151)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동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막대삽입부(1315)는, 상기 상부막대(131)의 하단에 연장형성된 원기둥 모양의 막대로 , 후술하는 마이크로노브(1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막대(133)의 상부막대수용부(1331)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막대삽입부(1315)의 외측면에 'ㄷ'자 형상으로 함입된 슬라이딩홈(1315a)을 형성하여, 일정 범위 이상의 슬라이딩시 상기 하부막대(133)의 핀홀(1331a)에 결합되는 핀(1517) 및 이에 따른 상기 상부막대(131)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상부막대(131)의 슬라이딩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하부막대(133)는, 원기둥 모양을 가지는 긴 막대로 형성되어, 일단에는 상기 상부막대(131)를 수용하는 상부막대수용부(1331)를 포함할 수 있고, 타단에는 상기 높이조절부(31) 및 상기 하부(30)의 연결부(33)에 삽입되는 하부삽입부(1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막대수용부(1331)는, 상기 하부막대(133) 상단에 빈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막대(131)의 하부막대삽입부(1315)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막대수용부(1331)는 다시 상기 하부막대(133)의 수용부(1331) 외주면을 관통하는 핀홀(1331a)을 포함하여, 상기 핀홀(1331a)에 핀(1331b)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상부막대(131)와 하부막대(133)를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막대의 슬라이딩홈(1315a)에서 제공되는 범위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331)의 외주면에 나사산(1331c)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마이크로노브(151)의 나사산(1511)과 맞물려 상기 상부(10)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정확한 시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삽입부(1333)는, 얇은 원기둥 형상의 막대로 상기 하부(30)의 높이조절부(31) 및 연결부(33)에 관통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1333)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부막대(133)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높이를 따라 후술하는 접촉부(3135)와의 접촉을 위한 슬라이딩면(1333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조정부(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10)의 연결부(13)의 핀홈(1313)에 핀 결합이 가능한 마이크로노브(15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노브(15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사산(1511) 및 걸림턱(15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노브(151)의 외부면 상측에 상기 상부막대(131)의 핀홈(1313)의 위치에 형성되는 핀홀(1515)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핀홀(1515)에 핀(1517)을 삽입 및 고정시켜 상기 상부막대(131)와 상기 마이크로노브(151)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노브(151)가 상기 상부막대(131)에 대해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노브(151)의 외주면 상에 요철을 형성하여 시술자가 노브를 회전할 때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조작의 정확성 및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미세조정부(151)의 조작을 통한 상기 경골정렬장치(1)의 미세한 높이 조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노브(151)의 일단은 상기 상부막대(131)의 핀홈(1313)에 핀 결합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가동적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마이크로노브(151)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1511)을 통해 상기 하부막대(133)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막대(131)와 하부막대(133)는 상호 간 핀(1331b)으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막대삽입부(1333)의 슬라이딩홈(1333a)의 표면에 상기 핀홀(1515)로 삽입된 핀(1517)이 밀착됨으로써, 상하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됨과 동시에 시술자의 상기 마이크로노브(151)의 조작시 상부막대(131)가 같이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상부막대(131)와 하부막대(133)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마이크로노브(151)를 천천히 회전시키며 상기 경골정렬장치(1)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정확한 절단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제1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제2부재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연결부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높이조절부 의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을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30)는 높이조절부(31), 연결부(33), 발목겸자부(3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부(31)는 다시 제1부재(311), 제2부재(313), 탄성부재(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311)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가 관통하는 수직방향의 빈 공간이 형성된 'ㄷ'자 형상의 부재로, 상측에는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느슨하게 연결되고, 하측에는 상기 하부(30)의 연결부(33)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가 아래로 슬라이딩 시 상기 하부(30)의 연결부(33)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311)는 다시 수직관통홀(3111), 수평관통홀(3113), 회전결합홀(3115), 탄성부재수용홈(31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관통홀(3111)은, 상기 'ㄷ'자 형상의 제1부재(311)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빈 공간으로, 상기 'ㄷ' 자 형상의 제1부재의 수평 방향의 몸체를 관통하는 제1홀(3111a)과 제2홀(3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홀(3111a)은, 상기 제1부재(311)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측으로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의 하부삽입부(1333)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를 수용 수 있다.
상기 제2홀(3111b)은, 상기 제1부재(311)의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측 일부에는 상기 하부막대(133)를 수용하여 슬라이딩 가능할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고, 하측 일부에는 상기 하부(30)의 연결부(33)의 상단과 결합하기 위한 빈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홀(3111b)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가 삽입 관통됨과 동시에 하단에 상기 하부(30)의 연결부(33)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관통홀(3113)은, 상기 'ㄷ'자 형상의 제1부재(311)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빈 공간으로 상기 제2부재(313)의 일단을 수용하여 상기 제2부재(313)의 회전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전결합홀(3115)은, 상기 수평관통홀(3113)의 관통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311)의 몸체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313)의 회전결합부(3137)의 회전축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수용홈(3117)은, 'ㄷ'자 형상의 하단에 내측으로 함입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15)의 일단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313)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의 부재로, 'ㄱ'자 형상의 수평방향의 몸체에는 상기 제2부재(313)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관통홀(3131)이 형성될 수 있고, 'ㄱ'자 형상의 수직방향의 몸체에는 상기 제2부재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수평관통홀(3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313)는 다시 접촉부(3135), 회전결합부(3137), 핸들부(31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관통홀(3131)은, 상기 'ㄱ'자 형상의 제2부재(313)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를 내부에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수평관통홀(3133)은, 상기 'ㄱ'자 형상의 제2부재(313)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ㄷ'자 형상의 제1부재(311)의 하부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2부재의 회전반경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135)는, 상기 제2부재(313)의 수직관통홀(3131)의 외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31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와 접촉함으로써 마찰력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잠금상태 시,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를 단단히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3131)는 상기 하부막대(133)의 접촉면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져 상기 하부막대(133)를 안정적으로 접촉 및 고정함과 동시에,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3137)는, 상기 제2부재(313)를 이루는 'ㄱ' 형상의 상부(10)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311)의 수평관통홀(3113)에 일부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2부재(313)를 회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접촉부(3131)와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핸들부(3139)는, 상기 제2부재(313)를 이루는 'ㄱ' 형상의 세로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시술자로 하여금 상기 제2부재(313)를 조작하여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핸들부(3135)는, 조작의 용이성을 위해 아래쪽 단부가 아래로 갈수록 바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15)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부재(313)의 수평관통홀(3133)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2부재(313)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후술하는 잠금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313)와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가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를 고정시켜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315)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30)의 연결부(33)는, 내부가 빈 긴 원기둥으로 일단은 상기 제1부재(311)의 하단에 연결 및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발목겸자부(35)에 연결 및 고정되어,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를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30)의 연결부(33)는, 양단에 삽입깊이를 제한하고 고정 이후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3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높이조절부의 잠금상태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20의 B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 높이조절부의 해제상태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상기 높이조절부(31)의 높이조절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나 라켓의 메커니즘을 채용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정확한 위치를 잡는 데에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인 경골정렬장치(1)는 상기 제2부재(313)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기 상부(10)의 연결부(13)와 접촉을 형성하거나 간격을 형성하여 정확한 길이조정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2을 참고하면, 시술자가 상기 제2부재(313) 하단의 상기 핸들부(3139)를 아래로 조작하면, 상기 접촉부(3135)가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의 슬라이딩면(1333a)과 간격을 형성하게 되고, 시술자가 상기 하부막대(133)를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경골정렬장치(1)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상기 핸들부(3139)를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315)에 의하여 상기 제2부재(313)가 상측으로 가압되어 회전 및 고정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접촉부(3131)가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의 슬라이딩면(1333a)과 접촉을 형성하여 다시 상기 하부막대(133)가 단단히 고정된다. 이러한 과정은, 상기 핸들부(3139)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며, 여타 나사나 라켓을 이용한 조작방식보다 훨씬 용이한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인 경골정렬장치(1)의 높이조절부(31)는, 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부(10)의 하부막대(133)가 상기 제2부재(313)의 접촉부(3131)와 접촉되어 상기 하부막대(133)를 고정시키는 잠금상태에 놓일 수 있고, 상기 상부(10)의 연결부(13)와 상기 제2부재(313)가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10)의 연결부(13)를 상하로 슬라이딩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해제상태에 놓일 수 있으며, 상기 핸들부(3139)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상기 잠금 및 해제 상태 상호 간 용이한 전환이 이루어짐으로써, 수술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골정렬장치(1) 발목겸자부(35)의 사시도이다.
도 2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발목겸자부(35)는 발목겸자(351), 발목겸자연결부(353), 라켓버튼(355), 슬라이딩조정부(357), 연결볼트(359), 세척홈(3551,357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목겸자(351)는, 상기 발목겸자부(35)의 'Y'자 형상의 윗부분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끝단에 갈고리 형상의 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치료대상의 발목에 상기 경골정렬장치(1)를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발목겸자연결부(353)는, 상기 슬라이딩조정부(357)를 관통하는 긴 막대의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 상기 발목겸자(351)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연결볼트(359)가 결합되어 상기 발목겸자(351)를 경골정렬장치(1)에 연결한다. 상기 발목겸자연결부(353)는, 치료대상의 전위 또는 후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하면에는 톱니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라켓버튼(355) 내부의 나사산과 맞물려 상기 경골정렬장치(1)를 이동 및 고정시켜 상기 경골정렬장치(1)의 결합각도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라켓버튼(355)은, 내부의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기둥의 부재로, 상기 슬라이딩조정부(357)의 상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하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발목겸자연결부(353)의 슬라이딩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라켓버튼(355)을 아래로 누르는 경우, 상기 발목겸자연결부(353)와 라켓버튼(355) 사이 간격이 형성되어 상기 발목겸자연결부(353)를 치료대상의 전위 및 후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라켓버튼(355)을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목겸자연결부(353)가 라켓버튼(355)과 단단히 맞물리며 경골정렬장치(1)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켓버튼(355)은, 기구의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연결볼트(359)가 삽입되는 하단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세척홈(35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조정부(357)는, 상기 라켓버튼(355), 슬라이딩연결부 및 연결볼트(359)를 감싸는 하우징의 형태로 제공되어, 상단에 상기 하부(30)의 연결부(33) 및 상기 라켓버튼(355)을 수용하기 위한 수직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측면에는 상기 연결볼트(359)를 수용하기 위한 수평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조정부(357)는, 상기 라켓버튼(355)이 삽입되는 양측면에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한 세척홈(35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볼트(359)는, 긴 막대의 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발목겸자(351)와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조정부(357), 라켓버튼(355)을 수평으로 관통연결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볼트(359)의 일단은 상기 발목겸자(351)와 나사결합하고, 타단은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노브를 구비하여, 상기 발목겸자부(35)를 상기 경골정렬장치(1)로부터 용이하게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경골정렬장치
10: 상부
11: 커팅가이드결합부 13: 연결부
15: 미세조정부
30: 하부
31: 높이조절부 33: 연결부
35: 발목겸자부
C: 경골절삭가이드 S: 결합슬롯

Claims (20)

  1. 슬관절치환술을 위한 경골절삭가이드에 결합 가능한 상부와, 상기 상부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를 상기 상부에 거치시키는 커팅가이드결합부와, 상기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는, 치료대상의 발목에 고정되어 경골정렬장치를 고정하는 발목겸자부를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경골절삭가이드에 다양한 각도로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는 경골정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가능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수용부재 상단에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경골절삭 가이드에 삽입되어 결합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에 관해 간격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경골절삭가이드에 다양한 각도로 탈착 가능한 경골정렬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의 간격이 벌어져 경골절삭가이드와 단단히 결합하는 잠금상태에 놓이고,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의 간격이 좁아져 경골절삭가이드와 느슨하게 결합하는 해제상태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정렬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몸체부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부와, 상기 레버부재의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조정 가능한 핸들부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레버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과, 상기 판스프링부와 상기 회전몸체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홈부을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커팅가이드결합부는, 상기 해제상태일 때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수용부재의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밀착시키는 밀착수단을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부는, 그 일단이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면을 포함하는 결합면을 가지는 경골정렬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결합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의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면과, 상기 오목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면을 포함하고, 상기 볼록면은 돌출면을 구성하는 경골정렬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부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상부는, 상기 커팅가이드의 결합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한 미세조정부를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는, 상기 상부와 하부와의 결합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높이조절부와 상기 발목겸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하부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제1부재와, 상기 상부의 연결부의 상하 이동을 조절하는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가 상기 제2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하부막대를 고정시키는 잠금상태에 놓이고,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부재가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의 연결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하는 것이 가능한 해제상태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정렬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접촉을 형성하는 접촉부, 상기 제2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결합부, 상기 제2부재의 잠금상태와 해제상태를 조정 가능한 핸들부를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부의 연결부가 관통하는 수용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홀은 상기 제2부재의 잠금상태시 상기 상부의 연결부와 상기 제2부재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정렬장치.
  17. 제1항 내지 제12항에서,
    상기 발목겸자부는, 치료대상의 발목에 고정되는 갈고리 형상의 발목겸자와, 상기 발목겸자와 상기 하부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발목겸자연결부와, 상기 발목겸자연결부를 치료대상의 전위 또는 후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조정부와, 상기 발목겸자연결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라켓버튼과, 상기 라켓버튼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18. 상기 발목겸자부는, 세척수의 유입을 원활히 하여 세척효율을 높이는 세척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골정렬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슬라이딩조정부는, 상기 라켓버튼이 삽입되는 양 측면을 관통하는 세척홈을 포함하고,
    상기, 라켓버튼은, 상기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하단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세척홈을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20. 제1항 내지 제12항에 있어서,
    슬관절치환술을 위한 경골절삭가이드를 포함하는 경골정렬장치 유닛.
KR1020180080025A 2018-07-10 2018-07-10 경골정렬장치 및 그 유닛 KR10215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25A KR102157480B1 (ko) 2018-07-10 2018-07-10 경골정렬장치 및 그 유닛
JP2020572454A JP7191131B2 (ja) 2018-07-10 2019-07-09 脛骨整列装置及びそのユニット
US17/259,394 US11576688B2 (en) 2018-07-10 2019-07-09 Tibial alignment device and unit thereof
CN201980045633.5A CN112384158A (zh) 2018-07-10 2019-07-09 胫骨校准装置及其单元
EP19834180.2A EP3821829A4 (en) 2018-07-10 2019-07-09 TIBIAL ALIGNMENT DEVICE AND UNIT THEREOF
PCT/KR2019/008445 WO2020013584A1 (ko) 2018-07-10 2019-07-09 경골정렬장치 및 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025A KR102157480B1 (ko) 2018-07-10 2018-07-10 경골정렬장치 및 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365A true KR20200006365A (ko) 2020-01-20
KR102157480B1 KR102157480B1 (ko) 2020-09-21

Family

ID=6914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025A KR102157480B1 (ko) 2018-07-10 2018-07-10 경골정렬장치 및 그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76688B2 (ko)
EP (1) EP3821829A4 (ko)
JP (1) JP7191131B2 (ko)
KR (1) KR102157480B1 (ko)
CN (1) CN112384158A (ko)
WO (1) WO20200135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0119A1 (de) 2018-11-28 2020-05-28 Aesculap Ag Fixierungssystem und Ausrichtungsvorrichtung
DE102020110346A1 (de) * 2020-04-15 2021-10-21 Aesculap Ag Ausrichtungsvorrichtung für eine tibiale Resektionsführung
CN111616770B (zh) * 2020-05-21 2021-07-16 天衍医疗器材有限公司 一种胫骨截骨定位装置
CN113367765B (zh) * 2021-05-29 2022-07-12 北京力达康科技有限公司 一种胫骨近端的辅助截骨装置
DE102022206117A1 (de) 2022-06-20 2023-12-21 Aesculap Ag Chirurgische 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678B1 (ko) * 2012-11-30 2014-07-28 큐렉소 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관절 절삭시스템의 절삭장치
JP2016049462A (ja) * 2014-08-29 2016-04-11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人工関節用手術器具
KR20170090528A (ko) * 2009-05-29 2017-08-07 스미스 앤드 네퓨, 인크. 슬관절 치환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8086200A (ja) * 2016-11-29 2018-06-07 京セラ株式会社 人工膝関節置換手術用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408U (ja) * 1983-03-16 1984-09-26 吉田 静雄 肝臓の支持装置
DE8900331U1 (ko) * 1989-01-13 1989-02-23 Orthoplant Endoprothetik Gmbh, 2800 Bremen, De
US5458602A (en) * 1994-01-11 1995-10-17 Mitek Surgical Products, Inc. Surgical drill guide
US5688284A (en) * 1996-09-20 1997-11-18 Medicinelodge, Inc. Variable angle drill guide and ligament fixation method
US6221035B1 (en) * 1998-11-16 2001-04-24 Richard J. Kana Automatic ankle clamp
US7641661B2 (en) * 2003-12-26 2010-01-05 Zimmer Technology, Inc. Adjustable resection guide
US7033361B2 (en) * 2004-02-19 2006-04-25 Howmedica Osteonics Corp. Tibial cutting guide having variable adjustment
KR100566767B1 (ko) 2004-04-27 2006-03-31 서재곤 인공슬관절 치환수술에서 대퇴골절골기와 경골절골기의 정렬을 연계시키기 위한 정렬연계장치
US8758354B2 (en) * 2010-10-22 2014-06-24 Zimmer, Inc. Flexible attachment for an extramedullary surgical instrument
US9968372B2 (en) * 2013-10-02 2018-05-15 Medical Instrument Development Laboratories, Inc. Cannula insertion tool
AU2016226031B2 (en) * 2015-03-05 2019-10-31 Biomet Manufacturing Corp. Bi-cruciate knee system
US10285714B2 (en) * 2016-09-15 2019-05-14 Biomet Manufacturing, Llc Assembly and system including a tibial cut guide
CN206333970U (zh) * 2016-09-20 2017-07-18 深圳市艾科赛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膝关节胫骨截骨定位导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0528A (ko) * 2009-05-29 2017-08-07 스미스 앤드 네퓨, 인크. 슬관절 치환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22678B1 (ko) * 2012-11-30 2014-07-28 큐렉소 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관절 절삭시스템의 절삭장치
JP2016049462A (ja) * 2014-08-29 2016-04-11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人工関節用手術器具
JP2018086200A (ja) * 2016-11-29 2018-06-07 京セラ株式会社 人工膝関節置換手術用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21829A1 (en) 2021-05-19
KR102157480B1 (ko) 2020-09-21
JP2021530271A (ja) 2021-11-11
WO2020013584A1 (ko) 2020-01-16
US20210282791A1 (en) 2021-09-16
JP7191131B2 (ja) 2022-12-16
US11576688B2 (en) 2023-02-14
CN112384158A (zh) 2021-02-19
EP3821829A4 (en)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6365A (ko) 경골정렬장치 및 그 유닛
US8192441B2 (en) High tibial osteotomy instrumentation
US9655632B2 (en) Device for defining a cutting plane for a bone resection
US8303600B2 (en) Targeting apparatus for use in a medical procedure
US20070167953A1 (en) Targeting device for orthopedic implants
US11779355B2 (en) System for connecting a connecting device, in particular a distractor, to a bone
JP2014527428A (ja) 多位置肢ホルダー
JP4417303B2 (ja) 骨切りガイド
RU2676527C1 (ru) Шаблон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дходящего для пациента размера имплантата бедренной кости эндопротеза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WO2016003477A1 (en) Moveable bone plate implant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CN111278369B (zh) 切割引导件及方法
US20070270872A1 (en) Bone cutting fixture assembly with guide appendages
US10792049B2 (en) Orthopaedic surgical instrument for positioning a tibial cutting guide
EP3104788A1 (en) Femoral and tibial cutting blocks
CN210811350U (zh) 股骨截骨远端对齐定位装置
KR101524402B1 (ko) 경골 절골술용 경골 고정기구 및 이에 사용되는 경골 고정 쐐기
EP2083714B1 (en) Locating a bone axis
US20220183857A1 (en) Positioning device of a surgical instrument for hip arthroplasty surgery
CN210903221U (zh) 股骨截骨定位导向器
CN110477995B (zh) 股骨截骨远端对齐定位装置
EP4104776A2 (en) Minimally invasive surgery osteotomy fragment shifter, stabilizer, and targeter
EP1836975B1 (en) A surgical instrument for locating a cutting plane on a b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