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077A -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077A
KR20200006077A KR1020197035724A KR20197035724A KR20200006077A KR 20200006077 A KR20200006077 A KR 20200006077A KR 1020197035724 A KR1020197035724 A KR 1020197035724A KR 20197035724 A KR20197035724 A KR 20197035724A KR 20200006077 A KR20200006077 A KR 20200006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less network
wireless
informatio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095B1 (ko
Inventor
이옥선
서신석
선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0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terminal)의 무선 통신 방법은,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의 타입과,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세기와 상기 단말의 소비 전력 간의 매핑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 및 상기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 장치는 다양한 RAT(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의 RAT을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한적으로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RAT 선택 시에 소비 전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한편, 단말이 접속 중인 네트워크의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 사용자의 체감 품질(quality of experience : QoE)이 저하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력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 체감 품질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terminal)의 무선 통신 방법은,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의 타입과,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세기와 상기 단말의 소비 전력 간의 매핑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 및 상기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은,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체감 품질 (quality of experience: QoE) 저하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체감 품질 저하가 감지된 경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상기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선택된 다른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은, 단말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상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의 활성화 유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 중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접속 방식이 확인된 경우,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 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하면, 소비 전력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장치의 전력 소비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의하면, 사용자 체감 품질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체감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여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핑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핑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초기 매핑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프레임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GUI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다른 GUI의 디스플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감 품질 저하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이는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기재된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양한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기지국(200) 또는 펨토 기지국(300), 또는 둘 모두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0)은 terminal, mobile station(MS), user equipment(U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무선 통신 수단을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단말(100)은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앱세서리(Appcessary) 장치, 웨어러블 (Wearable) 장치 등일 수 있다.
기지국(200)은 eNB, base station (BS), access point (AP)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매크로 셀(200-1)을 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매크로 기지국은 eNB (enhanced node B)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펨토 기지국(micro-BS 또는 피코 기지국)은 브로드밴드 라우터에 연결되는 소형 셀룰러 기지국으로 기존의 2G는 물론 3G의 음성 및 데이터를 DSL(digital subscriber line) 링크 등을 통해 이동통신사의 백본망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지국(200)과 펨토 기지국(300)은 편의상 각각 하나를 도시하였으나, 다수의 기지국들 및 다수의 펨토 기지국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1의 예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다양한 예시들 중의 하나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단말(100)은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엑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기술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 x.x(Bluetooth x.x), 지그비(Zigbee),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 개인공간통신(Personal Space Communication, PSC),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단말(100)은 송신기(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한다. 송수신기(11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 세기의 측정은 또한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신호의 세기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에서 발생되는 전계(electric field)의 세기일 수 있다.
메모리(120)에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20)에는 단말(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단말이 통신을 수행할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제1 실시 예>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는 단말의 소비 전력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함으로써, 전력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0)에는 후술할 프로세서(130)가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는 특정 정보들 간의 매핑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매핑 정보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의 타입들,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의 각각의 세기 및 단말(100)의 소비 전력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매핑 정보의 다양한 예를 이하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핑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매핑 정보(301)는 테이블(301) 형태일 수 있다. 매핑 정보(301)는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예를 들어, Wi-Fi, 3G, 4G), 신호 세기,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는,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 및 신호 세기에 따라 기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이 Wi-Fi이고, 신호의 세기가 '강'인 경우의 단말(100)의 소비 전력은 'a'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이 3G이고, 신호의 세기가 '보통'인 경우의 단말(100)의 소비 전력은 'e'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이 4G이고, 신호의 세기가 '약'인 경우 단말(100)의 소비 전력은 'i'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에서 참조 부호 'b', 'c', 'd', 'f', 'g', 'h'도 무선 네트워크 타입 및 신호 세기에 따라 구분된 소비 전력을 각각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신호의 세기의 '강', '보통' 및 '약'은 일정한 범위(range)로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신호의 세기의 범위는 '강', '보통' 및 '약' 3개의 범위를 예시로 하여 설명될 것이나, 이는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그 범위의 수와 범위를 구분하는 기준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이 Wi-Fi인 경우, 신호의 세기 '강'의 기설정된 범위는 -30dBm보다 크거나 같은 범위로 설정되고, 신호 세기 '보통'의 기설정된 범위는 -30dBm보다 작고 -65dBm보다 크거나 같은 범위로 설정되고, 신호 세기 '약'의 기설정된 범위는 -65dBm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이 3G인 경우, 신호의 세기 '강'의 기설정된 범위는 -70dBm보다 크거나 같은 범위로 설정되고, 신호 세기 '보통'의 기설정된 범위는 -70dBm보다 작고 -85dBm보다 크거나 같은 범위로 설정되고, 신호 세기 '약'의 기설정된 범위는 -85dBm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이 4G인 경우, 신호의 세기 '강'의 기설정된 범위는 -90dBm보다 크거나 같은 범위로 설정되고, 신호 세기 '보통'의 기설정된 범위는 -70dBm보다 작고 -85dBm보다 크거나 같은 범위로 설정되고, 신호 세기 '약'의 기설정된 범위는 -85dBm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 예들에서, 신호의 세기가 '강', '보통' 및 '약' 중 어느 하나인 경우는, 상술한 범위 내에 신호의 세기가 포함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매핑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매핑 정보(401)는 도 3의 매핑 정보(301)에 단말 상태에 대한 정보가 추가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상태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활성화 상태(일 예로, 데이터 송수신 중인 상태)에 대한 정보, 휴지 (idle)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활성화 상태와 휴지 상태 간의 전이(transition) 상태(일 예로 radio tail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이 Wi-Fi이고, 신호의 세기가 '강'이고, 단말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의 단말(100)의 소비 전력은 'j'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이 3G이고, 신호의 세기가 '보통'이고, 단말 상태가 전이 상태인 경우의 단말(100)의 소비 전력은 'w'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이 4G이고, 신호의 세기가 '약'이고 단말 상태가 휴지인 경우의 단말(100)의 소비 전력은 'jj'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에서 참조 부호 'k', 'l', 'm', 'n', 'o', 'p', 'q', 'r', 's', 't', 'u', 'v', 'x', 'y', 'z', 'aa', 'bb', 'cc', 'dd', 'ee', 'ff', 'gg, 'hh', 'ii'도 무선 네트워크 타입, 단말 상태 및 신호 세기에 따라 구분된 소비 전력을 각각 간략히 나타낸 것이다.
한편, 매핑 정보(301, 401)는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경우, 초기 매핑 정보(또는 초기 값)는 단말(100)의 운영 체제 또는 프레임워크(framework)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초기 매핑 정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초기 매핑 정보(501)는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 단말 상태, 소비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예로,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이 Wi-Fi이고, 단말 상태가 전이 상태인 경우, 소비 전력은 'll'일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소비 전력과 관련된 정보는 와트 단위(watt)로 제공된 전력 정보이거나, 암페어 단위(ampere)로 제공된 전류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단말(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송수신기(110), 메모리(120)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각각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판단된 신호들 각각의 세기와 메모리(120)에 저장된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의 세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소비 전력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소비 전력들 중 최소 값에 대응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Wi-Fi로부터의 신호 세기를 '강'으로 판단하고, 3G로부터의 신호 세기를 '보통'으로 판단하고, 4G로부터의 신호 세기를 '약'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은 도 3의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Wi-Fi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강'인 경우의 소비 전력을 'a', 3G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보통'인 경우의 소비 전력을 'e', 4G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약'인 경우의 소비 전력을 'i'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a', 'e' 및 'i' 중 'a'가 가장 작은 값이라고 가정하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들 중에 Wi-Fi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Wi-Fi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 매핑 정보 및 단말(100)의 현재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Wi-Fi로부터의 신호 세기를 '강'으로 판단하고, 3G로부터의 신호 세기를 '보통'으로 판단하고, 4G로부터의 신호 세기를 '약'으로 판단하고, 단말(100)의 현재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도 4의 매핑 테이블을 참조하여, Wi-Fi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강'이고 단말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의 소비 전력을 'j'로 판단하고, 3G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보통'이고 단말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의 소비 전력을 'v'로 판단하고, 4G로부터의 신호 세기가 '약'이고 단말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의 소비 전력을 'hh'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j', 'v' 및 'hh' 중 'hh'가 가장 작은 값이라고 가정하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들 중에 4G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선택된 4G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큰 경우, 단말(100)의 소비 전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반면,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작은 경우, 단말(100)의 소비 전력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러한 점이 반영될 수 있도록, 상술한 예들에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세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소비 전력들을 결정하는 경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의 세기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소비 전력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Wi-Fi 무선 네트워크에서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강"인 경우, 해당 신호 세기에 대응되는 매핑 정보의 소비 전력에 낮은 가중치(예를 들어, 0.9)를 부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4G 무선 네트워크에서 수신되는 신호 세기가 "약)인 경우, 해당 신호 세기에 대응되는 매핑 정보의 소비 전력에 높은 가중치(예를 들어, 1.1)를 부가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가중치가 부가된 소비 전력 값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매핑 정보(예를 들어, 301, 401, 501)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상술한 예에서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소비 전력을 매핑 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의 초기 매핑 정보(501)가 제공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단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단말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초기 매핑 정보(501)를 이용하여, Wi-Fi이고 활성화 상태인 경우의 소비 전력 'kk', 3G이고 활성화 상태인 경우의 소비 전력 'nn', 4G이고 활성화 상태인 경우의 소비 전력 'gg' 중 가장 작은 값의 소비 전력을 판단한다. 판단 결과, 가장 작은 값의 소비 전력이 'nn'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Wi-Fi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한다. Wi-Fi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 중 또는 통신이 완료된 후, 프로세서(130)는 단말(100)의 활성화 상태에서 Wi-Fi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의 실제 소비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측정된 실제 소비 전력을 초기 매핑 정보(501)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초기 매핑 정보(501)의 'kk'를 측정된 실제 소비 전력으로 치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30)는 도 4의 매핑 정보(401)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00)이 전이 상태로 3G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3G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소비 전력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소비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매핑 정보(401)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특정 이벤트에 따라, 상술한 무선 네트워크 선택 프로세스 또는 매핑 정보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기정의된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기정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술한 무선 네트워크 선택 프로세스 또는 매핑 정보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되는 경우와 통신 요청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기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하거나 혹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단말(100)의 가용 전력이 제한된 상태에서, 단말(100)의 소비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프레임워크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100)의 프레임워크(600)는 무선 네트워크 관리자(601), 전력 관리자(602), Wi-Fi 관리자(603), 3G 관리자(604), 4G 관리자(60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워크(6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동작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프레임워크(600)의 기능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의 프로세서(130) 또는 후술할 도 8의 프로세서(840)는 상기 프레임워크(600)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되도록 장치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관리자(601)는 무선 네트워크 선택 모듈(601-1), 데이터베이스 관리 모듈(601-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선택 모듈(601-1)은 데이터베이스 모듈(601-2)에서 제공되는 매핑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과 대응되는 소비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소비 전력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 선택 모듈(601-1)은 연결할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로 스위칭 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선택 모듈(601-1)은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에 의해 무선 네트워크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선택 모듈(601-1)은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로 스위칭 한 후, 전력 관리자(602)로부터 제공받은 전력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모듈(601-2)은 매핑 정보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모듈(601-2)은 전력 관리자(602)로부터 제공받은 소비 전력 정보를 매핑 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모듈(601-2)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모듈(601-2)은 Wi-Fi 관리자(602), 3G 관리자(604), 4G 관리자(605)에서 제공받은 신호 세기를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 단말 상태 및 소비 전력 중 적어도 하나와 매핑할 수 있다.
전력 관리자(142)는 단말(100)의 현재 상태에 따른 소비 전력을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Wi-Fi 관리자(142), 3G 관리자(144), 4G 관리자(145)는 해당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710).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신호들의 세기 및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720). 또한, 프로세서(130)는 통신 수행 중 단말(100)의 소비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730).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측정된 소비 전력을 매핑 정보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740).
도 8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말(800)은 송수신기(810), 메모리(820), 디스플레이(830) 및 프로세서(8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술한 단말(800)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840)는 도 2의 프로세서(130)와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디스플레이(830)가 요구되지 않는 단말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830)는 생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830)는 다양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830)는 프로세서(840)에 의해 제공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상술한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84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트리거링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적응적 네트워크 선택 모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에 기초하여 아래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840)는 적응적 네트워크 선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적응적 네트워크 선택 모드는 네트워크 선택 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단말 배터리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예로, 적응적 네트워크 선택 모드로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84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 및 상술한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40)는 단말(800)의 적응적 네트워크 선택 모드를 온(on)하기 위한 G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830)에 적응적 네트워크 선택 모드를 온하기 위한 GUI를 터치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프로세서(840)는 상술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 선택 동작 및/또는 매핑 정보 업데이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840)는 '적응적 네트워크 선택 모드 on'을 포함하는 GUI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91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40)는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840)는 'Wi-Fi에 연결됨, 현재 소비 전력 aaa (w)'를 포함하는 GUI(921)와 '단말 사용 가능 시간 2시간 증가'를 포함하는 GUI(922)를 디스플레이(9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은,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의 타입,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세기 및 단말의 소비 전력 간의 매핑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1110),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 및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1120), 및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1130).
매핑 정보는 프로세서(840)에 의하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것일 수 있으며, 초기 매핑 정보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매핑 정보를 확인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40)는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의 세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소비 전력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소비 전력들 중 최소 값에 대응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매핑 정보는 단말의 동작 상태 정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하는 과정은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 매핑 정보 및 단말의 현재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의 동작 상태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활성화 상태, 휴지 (idle) 상태 및 활성화 상태와 휴지 상태 간의 전이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은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소비 전력을 매핑 정보에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선택하는 과정은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기정의된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기정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트리거링 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하는 과정은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소비 전력들을 결정하고, 복수의 소비 전력들 중 최소 값에 대응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소비 전력들은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에 대응되는 가중치가 부가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은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소비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은 단말의 적응적 네트워크 선택 모드를 온(on)하기 위한 GUI를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는 사용자 체감 품질(quality of experience: QoE) 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체감 품질을 극대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구조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무선 네트워크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술된 단말(80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의 설명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은 그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800)의 무선 통신 방법은,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체감 품질 저하를 감지하는 과정(1201), 체감 품질 저하가 감지된 경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1203) 및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선택된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120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체감 품질은 서비스 이용자가 인지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허용도로 정의될 수 있다. 사용자 체감 품질은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접속 중인 무선 네트워크의 상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의 타입이 Wi-Fi 이고, Wi-Fi 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약' 인 경우, 사용자 체감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체감 품질은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동일한 경우에도,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체감 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기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인터넷 브라우져 어플리케이션) 의 경우, 단위 시간 당 데이터 전송률이 낮기 때문에,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정해진 임계값 보다 낮은 경우에도 일정 수준 이상의 사용자 체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멀티미디어 기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의 경우, 단위 시간 당 데이터 전송률이 높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사용자 체감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정해진 임계값 보다 높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임계횟수 이상 발생함이 감지됨으로써, 체감 품질 저하가 감지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에 따른 체감 품질 저하 감지 과정을 설명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감 품질 저하 감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계층(1301) 내에 프록시(proxy)(1303)를 설치함으로써, 체감 품질 저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프록시(1303)는 프로세서(840)에서 동작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록시(1303)는 단말(800)의 어플리케이션 계층(1301) 내에 설치되어,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요청(application request)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록시(1303)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서버(1305)에 대하여 데이터 요청(data request)을 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록시(1303)의 감지 결과는 단말(800) 내의 프로세서(840)로 송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프록시(1303)의 감지 결과로부터 체감 품질 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접속 중인 무선 네트워크의 신호의 세기가 낮은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서버(1305)에 대하여 데이터를 요청하여도, 서버(130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므로, 동일한 데이터 요청이 반복적으로 발생된다. 프로세서(840)는 이러한 동일한 데이터 요청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체감 품질이 저하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T1 동안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N1 회 이상 서버(1305)에 대한 동일한 데이터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서(840)는 체감 품질이 저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가정한다.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은 웹 브라우저 화면을 이루는 오브젝트 별로, 예를 들어 텍스트, 이미지, 썸네일 별로 데이터 요청을 생성하여 서버(1305)로 전송할 수 있다. 일정 시간 T1 동안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N1 회 이상 서버(1305)에 대하여 동일 오브젝트에 대한 데이터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서(840)는 체감 품질이 저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800)의 무선 통신 방법은,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과정이 포함된 경우, 프록시(1303)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즉,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프록시(1303) 없이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서버 간의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프록시(1303)가 설치되어 전술한 체감 품질 저하 감지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3(b)는 단말의 프레임워크(1307) 내에 래퍼(wrapper)(1309)를 설치함으로써, 체감 품질 저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커널(KERNEL) 은 단말의 운영체제의 일부로써, 운영 체제의 다른 모든 부분들에 대하여 기본적인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널(KERNEL)은 단말의 하드웨어 자원을 자원이 필요한 프로세스에 분배하고, 프로세스 제어, 메모리 제어 등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일 수 있다.
LIBC 계층(1311)은 표준 C 라이브러리 계층으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표준 함수들의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계층일 수 있다.
래퍼(1309)는 프로세서(840)에서 동작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래퍼(1309)는 단말(800)의 프레임워크(1307) 내에 설치되어,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요청(application request)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래퍼(1309)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LIBC 계층(1311)에 대하여 API 요청(API request)을 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래퍼(1309)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되는 DNS query 및 관련 TCP socket 정보(예를 들어, IP 주소, 포트 넘버)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래퍼(1309)의 감지 결과는 단말(800) 내의 프로세서(840)로 송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래퍼(1309)의 감지 결과로부터 체감 품질 저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 T2 동안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N2 회 이상 LIBC 계층(1311)에 대하여 동일한 데이터 요청을 하는 경우, 프로세서(840)는 체감 품질이 저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LIBC 계층 및 커널
도 13(c)는 입력 장치로부터 동일 입력들을 수신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체감 품질 저하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단말(800) 내의 프로세서(840)는 단말(800) 내의 입력 장치(미도시)로부터 일정 시간 T3 동안 N3 회 이상 동일한 입력을 입력 받은 경우, 체감 품질이 저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프로세서(840)는 일정 범위 이내의 입력 좌표들을 동일한 입력들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범위의 반경, 위치 등은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가정한다.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인터넷 속도가 저하되어 체감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내의 새로고침(refresh) 버튼을 반복적으로 클릭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일정 범위 이내의 좌표들이 지속적으로 입력되게 되며, 프로세서(840)는 이들을 동일한 입력들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범위는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내의 새로고침 버튼 주위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예시로,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가정한다.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인터넷 속도가 저하되어 체감 품질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내의 재생(play) 버튼을 반복적으로 클릭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일정 범위 내의 좌표들이 지속적으로 입력되게 되며, 프로세서(840)는 이들을 동일한 입력들로 간주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범위는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내의 새로고침 버튼 주위로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동일한 입력들이 일정 시간 T3 동안 N3 회 이상 입력되는 경우 체감 품질이 저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시는 입력 장치가 터치스크린인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장치는 물리적 버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3(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상술된 체감 품질 저하 감지 과정은 예시열거적인 것으로, 본 실시 예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시로,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별로 임계치가 설정되고, 프로세서(840)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선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로부터의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이면 체감 품질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체감 품질 저하가 감지된 경우, 프로세서(840)는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현재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1203). 그리고, 프로세서(840)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1205). 이 경우,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가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이며, 두 어플리케이션들 모두 Wi-Fi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동일한 경우에도,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 체감 품질이 달라질 수 있으며, 본 예시에서는 동일한 Wi-Fi 세기에서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은 높은 사용자 체감 품질을 나타내는 반면,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은 낮은 사용자 체감 품질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의 체감 품질 저하를 감지한 경우, 단말(800)이 접속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들 중 Wi-Fi 를 제외한 다른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40)는 4G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840)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4G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메신져 어플리케이션은 여전히 Wi-Fi 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제한된 데이터 소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높은 체감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1203)은,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시작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시에서 4G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일정 임계값 미만인 경우, 프로세서(840)는 4G 네트워크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가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무선 네트워크를 변경하더라도 체감 품질이 향상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과 통신을 수행할 무선 네트워크를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1205)에서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하도록 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GUI 를 생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생성된 GUI 는 디스플레이(83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생성된 GUI 에 의하여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변경하도록 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840)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프로세서(840)는 사용자 명령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이후, 동일 상황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변경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840)는 사용자가 어느 상황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전환하는 지를 메모리(820)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후 동일 상황에서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전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고, Wi-Fi 로 연결된 경우를 가정한다. 사용자가 Wi-Fi 의 전계 세기가 -50dBm 으로 5초 이상 지속된 경우 Wi-Fi 에서 4G 무선 네트워크로 전환하였다면, 프로세서(840)는 이를 메모리(820)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4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할 무선 네트워크를 4G 무선 네트워크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4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판단할 때,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고, Wi-Fi 의 전계 세기가 -50dBm 으로 5초 이상 지속된 경우, 사용자가 일정 빈도 수 이상(예를 들어, 90% 이상) Wi-Fi 에서 4G 무선 네트워크로 전환한 것으로 판단되면,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할 무선 네트워크를 4G 무선 네트워크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84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동일 상황에서 자동으로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변경하도록 허용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GUI 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83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GUI 는 동일 상황에서 일정 빈도 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전환 선택이 누적된 경우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무선 네트워크 변경을 허용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전술한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변경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예시로, 별도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지 않고, 곧바로 프로세서(840)가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말(800)의 무선 통신 방법은,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1201 과정 및 그 이하의 과정은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가 Wi-Fi 네트워크인 경우, 임계치는 Wi-Fi 전계 세기로 주어질 수 있다. 그리고,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통신하는 Wi-Fi 의 전계 세기가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1201 과정 및 그 이하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3 실시 예>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는 단말(800)의 무선 네트워크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불필요하게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전력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의 구조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된 무선 네트워크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는 도 8을 참조하여 상술된 단말(80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800)의 무선 통신 방법은, 단말(80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1501), 단말(800)의 상태에 대한 정보와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의 활성화 유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1503) 및 판단 결과,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이 활성화될 필요 없다고 판단된 경우,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 하는 과정(150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단말(800)의 설정 정보는, 단말(800)의 연결성(connectivity)에 대한 설정 정보로써, 단말(800)이 연결 가능하도록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는, 단말(80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는, 단말(800)이 Wi-Fi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Wi-Fi 가 On 되었는지 여부, 단말(800)이 블루투스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가 On 되었는지 여부, 단말(800)이 NFC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NFC 가 On 되었는지 여부, 단말(800)이 GPS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GPS가 On 되었는지 여부, 단말(800)이 cellular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cellular 가 On 되었는지 여부 등일 수 있으며, 이는 예시열거적인 것으로,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프로세서(840)는 단말(800)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단말(800)이 현재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1501).
프로세서(840)는 단말(800)의 상태에 대한 정보와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기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의 활성화 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1503). 그리고, 프로세서(840)는 판단 결과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이 활성화될 필요 없다고 판단된 경우, 즉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이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1505). 단말(8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단말(800)이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된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단말(800)이 Wi-Fi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800)의 주위에 Wi-Fi AP 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말(800)이 Wi-Fi 와 접속할 수 없으므로, 단말(800)의 Wi-Fi 는 불필요하게 활성화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이와 같은 단말(800)의 상태에 대한 정보, 즉, 단말(800) 주위에 접속 가능한 Wi-Fi AP 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로부터 단말(800)의 Wi-Fi 가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840)는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된 Wi-Fi 를 Off 시켜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예시로, 단말(800)이 블루투스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800)의 주위에 블루투스 비컨(BT Beacon)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말(800)이 블루투스와 접속할 수 없으므로, 단말(800)의 블루투스는 불필요하게 활성화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이와 같은 단말(800)의 상태에 대한 정보, 즉, 단말(800) 주위에 접속 가능한 블루투스 비컨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로부터 단말(800)의 블루투스가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840)는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된 블루투스를 Off 시켜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시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하여 단말(800)의 GPS 가 활성화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단말(800)의 GPS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말(800)의 GPS 는 불필요하게 활성화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이와 같은 단말(800)의 상태에 대한 정보, 즉,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었음으로부터 단말(800)의 GPS 가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840)는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된 GPS 를 Off 시켜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시로, 단말(800)의 GPS 가 활성화되었으나, 단말(800)이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인 경우를 가정한다. 프로세서(840)는 단말(800) 내 센서(미도시)의 센싱값으로부터 단말(800)이 정지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840)는 단말(800)의 사용자가 수면 중이어서 단말(800)이 정지된 상태임을 수면 알람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840)는 단말(800)이 정지된 상태인 경우 GPS 좌표값이 변동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단말(800)의 GPS 가 불필요하게 활성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40)는 이와 같은 단말(800)의 상태에 대한 정보, 즉 단말(800)이 현재 정지된 상태인 것으로부터 단말(800)의 GPS 가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840)는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된 GPS 를 Off 시켜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예시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시 사용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음악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도 자동으로 실행되고,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음악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도 자동으로 종료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은 GPS 무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음악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등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840)는 GPS 가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하고 이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동시에, 프로세서(840)는 음악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음악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었기 때문에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비활성화되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840)는 비활성화되어야 한다고 판단된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800)의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면,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어 있는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 시켜, 단말(800)의 전력 소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 하는 과정(1505)에서는,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 하도록 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GUI 를 생성하는 과정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생성된 GUI 는 디스플레이(83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생성된 GUI 에 의하여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 하도록 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840)는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프로세서(840)는 사용자 명령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이후, 동일 상황에서는 사용자 명령 없이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840)는 사용자가 어느 상황에서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 시키는 지를 메모리(820)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후 동일 상황에서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하여 단말(800)의 GPS 가 활성화된 경우를 가정한다.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프로세서(840)는 GPS 가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하여, GPS 를 비활성화 하도록 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GUI 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830)에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830)에 디스플레이 된 GUI 를 통하여 GPS 를 비활성화 하도록 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840)는 GPS 를 비활성화시키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4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사용자가 GPS 를 비활성화 시켰다는 데이터를 메모리(820)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후,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동일한 상황에서, 프로세서(84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사용자 명령을 받지 않고 직접 GPS 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반면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에도, 디스플레이(830)에 디스플레이 된 GUI 를 통하여 GPS 를 비활성화 시키는 명령이 입력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로세서(840)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에도 GPS 를 비활성화하는 명령이 입력되지 않았다는 데이터를 메모리(820)에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후,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동일한 상황에서, 프로세서(84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GPS 가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예시로, 별도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지 않고, 곧바로 프로세서(840)가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800)의 무선 통신 방법은,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비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다시 활성화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840)는 단말의 상태에 정보와 비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비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의 활성화 필요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 결과 비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이 다시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840)는 비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다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전술한 단말(800)의 GPS 가 활성화되었으나, 단말(800)이 이동하지 않고 정지된 상태인 경우에 대한 예시에서 이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840)는 단말(800)이 정지된 상태인 것으로부터 단말(800)의 GPS 가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하고, 불필요하게 활성화되었다고 판단된 GPS 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GPS가 비활성화 된 이후, 프로세서(840)는 단말(800) 내 센서의 센싱값으로부터 단말(800)이 이동하는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GPS 좌표값이 변동될 가능성이 생겼기 때문에, 프로세서(840)는 비활성화된 GPS 를 다시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40)는 단말(800)의 상태에 대한 정보, 즉, 단말(800)이 이동하는 상태인 것으로부터 단말(800)의 GPS 가 다시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840)는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GPS 를 On 시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840)는 비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활성화 하도록 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GUI 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83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비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다시 활성화 시키거나 활성화 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40)는 사용자 명령을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도 있다. 반면, 다른 예시로, 별도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지 않고, 곧바로 프로세서(840)가 다시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판단된 무선 접속 방식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840)는 프로세서(840)가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를 확인 하도록 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GUI 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83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사용자 명령이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인 경우, 프로세서(840)는 전술한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말(800)의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일 예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의 타입,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세기 및 단말의 소비 전력 간의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 및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 및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체감 품질 저하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체감 품질 저하가 감지된 경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상기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상태에 대한 정보와 상기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의 활성화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이 활성화될 필요 없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 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단말(terminal)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의 타입과,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세기와 상기 단말의 소비 전력 간의 매핑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 및 상기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는,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 상기 매핑 정보 및 상기 단말의 현재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 중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활성화 상태에 대한 정보, 휴지 (idle) 상태에 대한 정보와, 상기 활성화 상태와 휴지 상태 간의 전이 상태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소비 전력을 상기 매핑 정보에 업데이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기정의된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경우, 기정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통신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트리거링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과정은,
    상기 매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소비 전력들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복수의 소비 전력들 중 최소 값에 대응되는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비 전력들은,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현재 신호들 각각의 세기에 대응되는 가중치가 부가되어 결정되는 것인 방법.
  9. 단말(terminal)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체감 품질 (quality of experience: QoE) 저하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체감 품질 저하가 감지된 경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중 상기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와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선택된 다른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통신을 수행 중인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미리 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감 품질 저하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신호의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감지되는 것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감 품질 저하를 감지하는 과정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임계횟수 이상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체감 품질 저하를 감지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상기 임계횟수 이상 발생하는 것은,
    상기 포어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임계횟수 이상의 동일 어플리케이션 요청(application request)들을 수신하는 것, 또는,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임계횟수 이상의 동일 입력들을 수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복수의 무선 네트워크들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인 경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3. 단말(terminal)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단말의 상태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의 활성화 유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 중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접속 방식이 확인된 경우,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접속 방식을 비활성화 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태에 대한 정보와 상기 비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접속 방식의 활성화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비활성화된 무선 접속 방식 중 다시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접속 방식을 활성화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단말(terminal)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하나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97035724A 2017-06-08 2018-06-07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492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71553 2017-06-08
KR1020170071553 2017-06-08
PCT/KR2018/006482 WO2018226047A1 (en) 2017-06-08 2018-06-07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077A true KR20200006077A (ko) 2020-01-17
KR102492095B1 KR102492095B1 (ko) 2023-01-30

Family

ID=6456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5724A KR102492095B1 (ko) 2017-06-08 2018-06-07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757643B2 (ko)
EP (1) EP3613242B1 (ko)
KR (1) KR102492095B1 (ko)
CN (1) CN110710277B (ko)
WO (1) WO20182260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95A1 (ko) * 2021-10-06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발열 성능 개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2855B2 (en) 2016-10-18 2021-06-08 Dex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of analyte data
CN115580842A (zh) * 2016-10-18 2023-01-06 德克斯康公司 分析物数据的通信系统和方法
US11564167B2 (en) 2019-04-01 2023-01-24 Apple Inc. Configurable power saving signal with multiple functionalities in 5G NR
CN112752328B (zh) * 2019-10-29 2023-06-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网络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3817319B1 (en) 2019-11-04 2021-12-29 Deutsche Telekom AG Energy saving techniques for multi-connectivity devices
CN111163510B (zh) * 2019-12-27 2023-09-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654900B (zh) * 2020-05-29 2023-07-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射频指纹的上报控制方法及终端、存储介质
US11706634B2 (en) 2021-02-03 2023-07-18 T-Mobile Innovations Llc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ptimization for user applications in wireless user equipment (UE)
CN114928544A (zh) * 2022-05-19 2022-08-19 上海联虹技术有限公司 网络拓扑结构的确定方法、装置和处理器
US20240012766A1 (en) * 2022-07-08 2024-01-11 Dell Products, L.P. Managing peripheral device connectivity based on context
CN115696511B (zh) * 2022-12-29 2024-02-06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网络确定方法、装置、车辆及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2681A1 (en) * 2005-05-20 2008-08-14 Byung-Bog Lee Multi-Mode User Equipment and Routing Controlling Method Thereby
US20100184440A1 (en) * 2009-01-22 2010-07-22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network selection
US20130084855A1 (en) * 2011-09-30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selection
US20140362713A1 (en) * 2013-06-11 2014-12-11 Seven Networks, Inc. Quality of experience enhancement for wireless networks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at a mobile device
KR20150019443A (ko) * 2013-08-14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망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네트워크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8960A1 (en) * 2003-09-03 2005-03-03 Sharp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power managemen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60092890A1 (en) * 2004-11-01 2006-05-04 Gupta Vivek G Global network neighborhood: scheme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vailable networks in a geographical location
JP4744377B2 (ja) * 2006-06-30 2011-08-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EP1895713B1 (en) * 2006-08-31 2012-10-0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optimizing the power saving in a handset with WLAN and Bluetooth
KR101321398B1 (ko) * 2007-04-17 2013-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일의 와이파이 인터페이스로 다수의 메쉬 동작 모드를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31467A (ko) * 2008-09-12 2010-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력관리장치 및 방법
US8271025B2 (en) 2008-10-20 2012-09-18 At&T Mobility Ii Llc Device network technology selection and display in multi-technology wireless environments
KR101276607B1 (ko) 2009-04-15 2013-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시스템 선택 방법 및 장치
GB2480078A (en) * 2010-05-05 2011-11-09 Vodafone Ip Licensing Ltd Mobile device communicates with a cellular network base station or a non-cellular access point in response to a trigger
JP5414619B2 (ja) 2010-05-21 2014-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複数無線システムの体感品質向上制御を行う無線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ゲートウェイ
US8615236B2 (en) * 2010-06-04 2013-12-24 Palm, In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managing connections using feature prioritization
US8548475B2 (en) * 2011-08-17 2013-10-01 Apple Inc. Method for optimiz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devices using data rate efficiency factor
US9225482B2 (en) * 2011-10-17 2015-12-29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MIMO transmission in a distributed transceiver network
WO2013100887A2 (en) * 2011-11-30 2013-07-04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assisted network acquisition
US20130225161A1 (en) 2012-02-29 2013-08-29 Apple Inc. SEAMLESS TRANSITION FROM CELLULAR TO Wi-Fi COMMUNICATION
CN102724738B (zh) * 2012-04-16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模终端、多模终端驻留网络的选择方法及装置
US9380534B2 (en) 2012-06-07 2016-06-28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power efficient network interface
US9883437B2 (en) * 2012-06-19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network handoff to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JP5901445B2 (ja) 2012-06-25 2016-04-1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767695B2 (en) * 2012-06-27 2014-07-01 Google Inc. Measurement-based network selection
US9544841B2 (en) * 2012-12-06 2017-0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ybrid network-based and device-based intelligent radio access control
CN103929213B (zh) 2013-01-10 2016-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模式转换方法以及装置
KR20150025484A (ko) * 2013-08-29 201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736711B2 (en) * 2014-11-10 2017-08-15 Xiaomi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djusting signal strength of router
CN105406892B (zh) * 2015-11-28 2019-02-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制式的确定方法、装置及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2681A1 (en) * 2005-05-20 2008-08-14 Byung-Bog Lee Multi-Mode User Equipment and Routing Controlling Method Thereby
US20100184440A1 (en) * 2009-01-22 2010-07-22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network selection
US20130084855A1 (en) * 2011-09-30 2013-04-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network selection
US20140362713A1 (en) * 2013-06-11 2014-12-11 Seven Networks, Inc. Quality of experience enhancement for wireless networks based on received signal strength at a mobile device
KR20150019443A (ko) * 2013-08-14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망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네트워크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95A1 (ko) * 2021-10-06 2023-04-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발열 성능 개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59689A1 (en) 2018-12-13
US20200383044A1 (en) 2020-12-03
EP3613242A1 (en) 2020-02-26
CN110710277B (zh) 2023-06-02
EP3613242C0 (en) 2024-02-28
EP3613242A4 (en) 2020-07-22
CN110710277A (zh) 2020-01-17
EP3613242B1 (en) 2024-02-28
US10757643B2 (en) 2020-08-25
KR102492095B1 (ko) 2023-01-30
WO2018226047A1 (en) 2018-12-13
US11343761B2 (en)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37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11044681B2 (en) Configuring dual connectivity maximum transmit power
US11245481B2 (en) Cross-link interference avoidance methods and signaling in NR dynamic TDD
US109521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w-power mobile hotspot
KR20200062296A (ko) 사운딩 기준 전송
CN110741725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恢复连接
TWI645732B (zh) 用於節能管理之無線電接取技術間的涵蓋範圍判定技術(四)
KR20210007997A (ko)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사이즈 정렬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3918839B1 (en) Network nodes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for supporting handover of a wireless device
JP2021503852A (ja) Mcsおよびcqiテーブルを識別すること
WO2017116583A1 (en) Access point resource consumption management
US202402151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connected mode discontinuous reception
WO2021242253A1 (en) Wi-fi and radio access network selection based on link quality
EP3383129B1 (en) Master-slave type network-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management frame antenna
CN116998117A (zh) 增强型非周期性探测参考信号配置
WO2019035759A1 (en) NETWORK NODE CONNECTION CONTROL
US12022350B2 (en) Mobility management with base station using duty cycles
JP2022033051A (ja) 送信機器、受信機器、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WO2022064507A1 (en) Method of switching uplink leg for a user equipement (ue) operating in a dual carrier mode between a first base station and a second base station
KR2022001725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 전환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4014580A1 (en) Cell reselection in lte-m standalone cells
CN115883038A (zh) 天线切换的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