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484A -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5484A KR20150025484A KR20130103433A KR20130103433A KR20150025484A KR 20150025484 A KR20150025484 A KR 20150025484A KR 20130103433 A KR20130103433 A KR 20130103433A KR 20130103433 A KR20130103433 A KR 20130103433A KR 20150025484 A KR20150025484 A KR 201500254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segment
- sub
- network interface
- networ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고,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하고, 그리고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응답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정하게는 네트워크의 상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파워 소모 패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분할된 데이터 세그먼트에 상응하게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등 모바일 단말에 대한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모바일 네트워크의 활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모바일 단말은 모바일 네트워크의 상이한 커버리지 등의 특성에 의하여 주로 WiFi, 3G 무선 통신, LTE(Long Term Evolution), Bluetooth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통신 정책, 배터리 수명의 한계성 등에 의하여 모바일 단말은 한순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만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에 대한 네트워킹 성능은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 제한된다.
또한, 모바일 단말의 사용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 전송 및 고품질 비디오 컨텐츠 등의 시청이 일반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수신을 사용자로 하여금 대역폭 부족 현상을 경험하게 하고, 데이터 전송의 지연 및 비디오 컨텐츠 등의 재생 시 잦은 버퍼링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데이터 이용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LTE, WiFi, WiFi-Direct 등을 통한 네트워크 사용은 상이한 파워 소비 패턴을 보이고, 이는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있어서 모바일 단말의 에너지 소모의 차이를 초래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사용자의 선택을 통하여 수동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설정되었다. 따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파워 소비 패턴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선택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의 모바일 단말은 네트워크 상태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어, 비디오 컨텐츠 등의 스트리밍 재생의 경우,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재생에 필요한 충분한 대역폭을 제공하더라도,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제공되는 대역폭이 유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특히, LTE의 경우,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제공 가능한 대역폭이 급변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이 네트워크 상태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여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로 하여금 안정적으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단계,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응답에 따라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각각의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는 단계 및 추정된 전송률 및 소정의 분할 모드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분할 모드는,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모두 사용하기 위한 제 1 분할 모드 및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제외하고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제 2 분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분할 모드는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모두 사용되도록 데이터 세그먼트를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개수만큼 서브 세그먼트들로 분할하기 위한 모드이고, 제 2 분할 모드는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이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은 제한시키고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상응하게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는, 제 1 분할 모드에 따라 분할된 서브 세그먼트들에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분할 모드에서 사용이 제한된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각각의 파워 소모량 및 네트워크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는, 제 2 분할 모드에 따라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상기 사용이 제한된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은, 외부 입력 값으로서 획득되거나 수신될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서버에게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각각 할당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재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소정의 주기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가 결정되거나 데이터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의 분할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는,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세그먼트부,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서브 세그먼트부,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할당부,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응답에 따라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세그먼트부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각각의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는 추정부 및 추정된 전송률 및 소정의 분할 모드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분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재배열하는 데이터 재배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소정의 주기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3d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전송 파워 및 다양한 지점들에서의 통신 대역폭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동시 활성화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그먼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세그먼트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할당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세그먼트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할당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의 획득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파워 소모 패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생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서버측으로의 송신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데이터의 재배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주기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서브 세그먼트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배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3d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전송 파워 및 다양한 지점들에서의 통신 대역폭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동시 활성화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그먼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세그먼트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할당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세그먼트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할당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의 획득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파워 소모 패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생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서버측으로의 송신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데이터의 재배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주기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서브 세그먼트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배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WiFi, 3G 무선 통신, LTE 등의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동시에 활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데이터 송수신 성능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컨텐츠의 재생 요청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용 시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이용의 편의성,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으면서 복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용함으로써 수반되는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S100),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단계(S200),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S300),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400),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S500) 및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응답에 따라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그먼트는 데이터 패킷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S100)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S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어떤 가용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여부, 네트워크 상의 전체 트래픽 양, 모바일 단말이 현재 사용 중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트래픽 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파워 소비 패턴, 소정의 지점에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가용 대역폭 확보 정도, 레이턴시(latency) 및 스루풋(throughput) 측정 등에 의하여 판단된 네트워크의 데이터 처리량(예컨대, 워크 로드)으로서 네트워크의 상태가 결정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등이 포함된 이러한 네트워크의 상태는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상태 및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컨대, 현재 사용 중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의 데이터 전송률 등을 고려하여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 등에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이용 등 데이터 이용 개시 요청이 발생되면, 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이 수신할 데이터의 범위가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로서 결정될 수 있다. 서버로부터 모바일 단말 등으로의 데이터 전송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등의 시작 지점부터 순서대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이러한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 등의 앞 부분부터 차례로 가변적인 크기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상에서의 데이터 트래픽 양이 일시적으로 증가하여 네트워크의 워크 로드가 증가한 경우,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하기 직전의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도록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d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전송 파워 및 다양한 지점들에서의 통신 대역폭을 나타낸다.
도 3a는 LTE 전송 파워 소비 패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 등의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유휴 상태(301)에서는 파워를 거의 소비하지 않지만, 활성 상태(302)에서는 파워를 많이 소비한다. 또한, 대기 상태(303)에서는 활성 상태(302)보다는 낮지만, 유휴 상태(301)보다는 높은 파워 소비량을 보이고 있다.
도 3b는 WiFi 전송 파워 소비 패턴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 등의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유휴 상태(310)에서는 파워를 거의 소비하지 않지만, 활성 상태(320)에서는 높은 파워 소비 양상을 보인다. 다만, 활성 상태에서의 WiFi 전송 파워 소비는 LTE 전송 파워 소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 등의 배터리 잔여량 등을 고려하여 파워 소비가 최소가 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도 3c는 다양한 지점들에서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간의 다운링크 대역폭의 변화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 등이 포함된 네트워크의 상태는 시간 또는 장소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지점에서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간에 다운링크 대역폭은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지점 P1 내지 P5(350 구간)에서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비하여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대역폭이 훨씬 넓게 나타나므로, 지점 P1 내지 P5(350 구간)에서는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점 P6 내지 P9(360 구간)에서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대역폭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나므로 지점 P6 내지 P9(360 구간)에서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지점 P7에서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점 P10에서는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대역폭에 비하여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다운링크 대역폭이 더 넓게 확보되므로, 지점 P10에서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d는 LTE 링크(예컨대, 업링크 및 다운링크를 포함함)의 시간에 따른 대역폭 변동 상태를 나타낸다. 모바일 단말 등의 LTE 링크는 시간에 따라 변동이 거의 없거나 변동 폭이 매우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다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컨대, WiFi 등)를 함께 사용한다면 모바일 단말 등에서 보다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단계(S200)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각각의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는 단계(S210) 및 추정된 전송률 및 소정의 분할 모드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분할 모드는,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모두 사용하기 위한 제 1 분할 모드 및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제외하고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제 2 분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의 상태 등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각각의 데이터 전송률이 추정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률은 소정의 스칼라 값으로서 추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각각의 데이터 전송률은 데이터 전송률 측정 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또는 소정의 주기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분할 모드는,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모두 사용되도록 데이터 세그먼트를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개수만큼 서브 세그먼트들로 분할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제 2 분할 모드는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이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은 제한시키고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상응하게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서브 세그먼트 분할과 관련하여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동시 활성화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501) 등은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10 및 520)를 통하여 인터넷(550)으로 연결된 서버(503)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 등의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고유의 식별자로서 식별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신호 등을 통하여 각각 활성화(Enable) 및 비활성화(Disable)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하나의 모바일 단말 등을 통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기기(예컨대, 서버 등)의 목적 IP 주소에 대하여 모바일 단말의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동일한 인터넷 라우팅 테이블(예컨대, 글로벌 라우팅 테이블 등)을 참조하게 되므로,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만을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다중 활성화 효과를 누릴 수 없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IP 주소(예컨대, 서버 측 IP 주소 등) 프리픽스에 따라 서로 다른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도록 함으로써,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별 특정 IP 소켓에 연결되도록 하고, 각기 상이한 인터넷 경로를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인터넷 상의 상이한 데이터 송수신 경로를 갖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활성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세그먼트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 등은 가변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 단위로 서버 측으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도 6의 시간 구간(a)에서와 같이,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예컨대, 610 또는 620 등)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는 네트워크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데이터 세그먼트(예컨대, 610 또는 620 등)의 크기가 결정되면, 데이터 세그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예컨대, 621 및 623)로 분할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세그먼트(620)는 2개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의 크기도 네트워크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상이하도록 데이터 세그먼트가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625)가 다른 서브 세그먼트(627)에 비하여 더 큰 크기를 갖도록 데이터 세그먼트가 분할될 수 있다. 예컨대, 크기가 상이하도록 데이터 세그먼트를 재차 분할하고,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서브 세그먼트에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대역폭을 갖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할 수 있다.
서브 세그먼트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할당은 서브 세그먼트에 할당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할당과 관련하여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세그먼트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할당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S300)는, 제 1 분할 모드에 따라 분할된 서브 세그먼트들에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모바일 단말 등에서의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라면, 가용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모두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각각의 서브 세그먼트들(예컨대, 621 및 623)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데이터 세그먼트의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 중 하나(621)에 대하여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할당될 수 있고, 다른 하나(623)에 대하여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할당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 세그먼트로의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할당은 네트워크의 상태 (예컨대, 트래픽 양, 레이턴시 등)에 따라 정책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시간 구간(b)에서와 같이, WiFi가 할당된 서브 세그먼트 부분의 데이터 수신이 완료되었고, LTE가 할당된 서브 세그먼트 부분의 데이터 수신이 진행 중이라면, 전송 스트림 상에서 다음에 수신될 데이터 세그먼트는 상이한 크기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할당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데이터 수신이 완료되어 여유로운 WiFi가 상대적으로 더 큰 서브 세그먼트(625)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시간 구간(c)에서와 같이, WiFi가 할당된 서브 세그먼트(625)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서브 세그먼트(627)에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할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네트워크의 성능을 극대화하여 빠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세그먼트에 가용의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할 수 있다. 가용의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므로 최대한의 데이터 전송률을 획득할 수 있으며,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에 대한 전송 완료 시점을 최대한 앞당겨 데이터 전송 시 데이터의 앞 부분 보다 뒷 부분이 먼저 도착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아웃-오브-오더(Out-of-order)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501) 등에서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HTTP 파이프라이닝(pipelining) 기법을 적용하여, 모바일 단말(501)에서는 이전 서브 세그먼트(예컨대, 현재 전송이 진행 중인 서브 세그먼트)의 전송이 종료되기 전에 미리 다음 서브 세그먼트에 대한 전송 요청을 서버 측으로 송신하여 데이터 수신의 지연을 완화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브 세그먼트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할당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분할 모드에서 사용이 제한된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각각의 파워 소모량 및 네트워크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S300)는, 제 2 분할 모드에 따라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사용이 제한된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분할 모드는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이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은 제한시키고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상응하게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앞선 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요청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등에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 이상이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일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모바일 단말 등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b를 다시 참조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동작 상태에 따른 파워 소비 패턴이 나타나고, 이러한 파워 소비 패턴과 네트워크의 상태에 기초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에너지 소모량을 추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컨대, LTE, 3G 무선 통신, WiFi 등)의 에너지 소모량은 각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 변화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 변화, 네트워크 상태에 따른 에너지 소모량 변화 등에 기초하여 추정될 수 있다. 예컨대, 파워 소비가 많거나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트래픽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에너지 소모량이 많은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에너지 소모량은 소정의 스칼라 값으로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에너지 소모량이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bluetooth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에너지 소모량에 비하여 월등히 높다고 추정된 경우,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bluetooth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서비스 품질(QoS)가 보장된다면,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경우,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이 제한되도록 제 2 분할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이 제한되었으므로,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컨대,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bluetooth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할당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의 획득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은, 외부 입력 값으로서 획득되거나 수신될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품질(QoS)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외부 입력 값으로서 획득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예컨대, 비디오 컨텐츠 등)를 재생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재생 품질(예컨대, 일반 화질, 고화질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재생 품질에 따라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QoS)의 최저 한도(예컨대, 최저 Kbps 등)가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네트워크 망에서 허용되는 한도 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은, 수신될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의 스트리밍 재생 시 파일 헤더를 통하여 서비스 품질(QoS)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스트리밍 서비스에 이용될 멀티미디어 파일의 헤더 정보로부터 스트리밍 레이트를 획득하여 서비스 품질(QoS)를 결정할 수 있다. 가변 비트레이트(VBR)로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파일은 피크 비트레이트(peak bitrate)를 획득함으로써 서비스 품질(QoS)를 결정할 수 있다.
스트리밍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헤더 정보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될 수 있다. 헤더 정보(910)에는 프레임 타입(911), 평균 비트레이트(912), 피크 비트레이트(913), 레이어 개수(914), 비트 레이트(915), 주파수(916), 파일 크기(917)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503)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로서 제공 가능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헤더 정보로부터 서비스 품질(QoS)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크 비트레이트(913)가 서비스 품질(QoS)로서 획득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버(503)로부터 심리스(seamless)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피크 비트 레이트(913) 이상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수신해야 한다. 따라서, 피크 비트레이트(913)는 서비스 품질(QoS)의 일 기준이 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서비스 품질(QoS)이 만족되게 서버(503)로부터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하여 데이터 세그먼트(또는 데이터 패킷)은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501)에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세그먼트 1, 2 및 6은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501) 측에서 수신될 수 있고, 데이터 세그먼트 3, 4, 5, 7, 8 및 9는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501) 측에서 수신될 수 있다.
인터넷, WiFi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 등은 통합 가상 네트워크 채널(560)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복수개의 독립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구축된 통합 가상 네트워크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는 높은 서비스 품질(QoS)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파워 소모 패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헤더 정보(910)에 포함된 피크 비트레이트(913)로부터 서비스 품질(QoS)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501)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속도는 적어도 4899Kbps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품질(QoS)를 만족시키며 모바일 단말(501)의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파일 등과 같은 컨텐츠의 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S10). 예를 들면, 소정의 서비스 품질(QoS)이 만족되도록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하여 스트리밍 정보를 체크할 수 있다.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대역폭을 체크할 수 있다(S20). 예를 들어, LTE 또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대역폭 상태 등을 체크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소정의 서비스 품질(QoS)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 판단 결과, 소정의 서비스 품질(QoS)이 만족된다면,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모바일 단말(501)에서의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 제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분할 모드에 따라 모바일 단말(501)에서의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과 동일한 목적이다.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 만으로 소정의 서비스 품질(QoS)이 만족되지 않는다면,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에 의하여 소정의 서비스 품질(QoS)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S40). 판단 결과, 소정의 서비스 품질(QoS)이 만족된다면,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모바일 단말(501)에서의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소정의 서비스 품질(QoS)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순서는 반드시 전술한 바와 같이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소정의 서비스 품질(QoS)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소정의 서비스 품질(QoS)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501)에서는 수신된 데이터 세그먼트(또는 데이터 패킷)을 순서에 따라 재배열할 수 있다(S50).
또한,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소정의 서비스 품질(QoS)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수신될 데이터 세그먼트 모두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예에서, 잔여 스트리밍 세그먼트가 존재한다면, 단계 S20 내지 S50이 재차 수행될 수 있다(S60). 단계 S20 내지 S50는 잔여 스트리밍 세그먼트가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생성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4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서버에게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41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는 각각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각각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메시지는 각각의 서브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가 통합된 하나의 통합 메시지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서버측으로의 송신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S5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각각 할당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S5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0에서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는 각각의 서브 세그먼트마다 할당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503) 측으로 송신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데이터의 재배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은, 단계 S100 내지 S6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재배열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독립된 경로로서 데이터가 수신되므로, 모바일 단말(501) 등과 같은 수신단에서는 수신된 데이터를 재배열할 필요가 있다.
도 9 및 도 14에서와 같이, 네트워크의 상태 등에 따라서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서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30Mbps 속도로 데이터가 전송되는데 비하여,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10Mbps 속도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 세그먼트(또는 데이터 패킷) 3, 4, 5, 7, 8 및 9가 데이터 세그먼트 1, 2 및 6에 비하여 모바일 단말(501)에서 먼저 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501)에서 수신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재배열함이 없이 그대로 이용한다면 순서가 맞지 않은 데이터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단말(501)에서는 수신되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에 따라 임시 데이터 저장소(1670)를 마련하여, 수신되는 데이터를 순서에 따라 재배열할 수 있다. 임시 데이터 저장소는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임시 데이터 저장소의 크기는 단계 S100에서 결정된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 중 최대 크기 보다 더 클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임시 데이터 저장소의 크기는 단계 S100에서 결정된 데이터 세그먼트를 모두 저장할 수 있도록 적어도 데이터 세그먼트의 최대 크기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501)의 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한 서버(503)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모바일 단말(501)에서 파일 바이트(file byte)가 수신되므로, 수신되는 데이터의 순서는 파일 바이트로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파일의 데이터 앞 부분부터 575byte 까지는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고, 576byte 부터 750byte까지는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다면,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가 WiFi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비하여 앞서 배열되어야 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501) 등으로부터 요청받은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만큼을 송신하기 위한 서버(503)측에서 소정의 표시자를 데이터 세그먼트에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표시자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순서(order)를 나타내는 플래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주기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소정의 주기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가 결정되거나 데이터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의 분할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소정의 주기는 예를 들어, 하나의 데이터 세그먼트가 전송이 완료되는 시점, 데이터 세그먼트 전송 개시로부터 0.5초, 1초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의 트래픽이 급증한 것으로 판단되면,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판단 이전의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에 비하여 작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의 분할 모드가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이 제한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LT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컨대, WiFi 또는 Bluetooth 등)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서브 세그먼트의 분할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hand-over)로 인하여 데이터 전송의 끊김 현상 발생 등 네트워크의 상태가 급격하게 변경된 것으로서 모니터링된 경우, 이러한 네트워크 상태의 변경에 따라 성능이 저하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을 잠시 멈추고, 다시 데이터에 대한 세그먼팅과 서브 세그먼팅 단계를 거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재할당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네트워크 상태가 급격하게 변하더라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팅, 서브 세그먼팅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재할당을 수행함으로써 모바일 단말(501) 등에서 네트워크 상태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1600)는,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세그먼트부(1610),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서브 세그먼트부(1620),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할당부(1630),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1640),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1650) 및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응답에 따라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1660)를 포함할 수 있다.
세그먼트부(1610)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서브 세그먼트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 세그먼트부(1620)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각각의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는 추정부(1621) 및 추정된 전송률 및 소정의 분할 모드에 따라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분할부(1623)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분할 모드는,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모두 사용하기 위한 제 1 분할 모드 및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제외하고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제 2 분할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할당부(1630)는, 제 1 분할 모드에 따라 분할된 서브 세그먼트들에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각각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할당부(1630)는, 제 2 분할 모드에 따라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사용이 제한된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할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164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서버에게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송신부(165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각각 할당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메시지 생성부(1640)에 의하여 생성된 메시지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수신부(166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각각 할당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재배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60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재배열하는 데이터 재배열부(1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600)는 소정의 주기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16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680)에 의한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가 결정되거나 데이터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의 분할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5)
-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응답에 따라 상기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각각의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전송률 및 소정의 분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분할 모드는,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모두 사용하기 위한 제 1 분할 모드 및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제외하고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제 2 분할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 모드는 상기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모두 사용되도록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상기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개수만큼 서브 세그먼트들로 분할하기 위한 모드이고,
상기 제 2 분할 모드는 상기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이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은 제한시키고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상응하게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기 위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분할 모드에 따라 분할된 서브 세그먼트들에 상기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각각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할 모드에서 사용이 제한된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각각의 파워 소모량 및 네트워크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분할 모드에 따라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상기 사용이 제한된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은, 외부 입력 값으로서 획득되거나 상기 수신될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상기 서버에게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각각 할당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재배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주기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가 결정되거나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의 분할 모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신될 데이터의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결정하는 세그먼트부;
상기 결정된 크기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서브 세그먼트부;
상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할당부;
상기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
상기 생성된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데이터 요청 메시지의 응답에 따라 상기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부는, 네트워크의 상태 및 데이터 전송률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세그먼트부는, 상기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각각의 데이터 전송률을 추정하는 추정부; 및
상기 추정된 전송률 및 소정의 분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분할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분할 모드는,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모두 사용하기 위한 제 1 분할 모드 및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제외하고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제 2 분할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할 모드는 상기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이 모두 사용되도록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상기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의 개수만큼 서브 세그먼트들로 분할하기 위한 모드이고,
상기 제 2 분할 모드는 상기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이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사용은 제한시키고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상응하게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 분할하기 위한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할당부는, 상기 제 1 분할 모드에 따라 분할된 서브 세그먼트들에 상기 가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각각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할 모드에서 사용이 제한된 소정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각각의 파워 소모량 및 네트워크의 상태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할당부는, 상기 제 2 분할 모드에 따라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상기 사용이 제한된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될 데이터와 관련하여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QoS)은, 외부 입력 값으로서 획득되거나 상기 수신될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상기 서버에게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에 각각 할당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재배열하는 데이터 재배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소정의 주기로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한 네트워크 상태의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의 크기가 결정되거나 상기 데이터 세그먼트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세그먼트로의 분할 모드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3433A KR20150025484A (ko) | 2013-08-29 | 2013-08-29 |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03433A KR20150025484A (ko) | 2013-08-29 | 2013-08-29 |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5484A true KR20150025484A (ko) | 2015-03-10 |
Family
ID=53021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03433A KR20150025484A (ko) | 2013-08-29 | 2013-08-29 |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25484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39378A1 (en) * | 2015-09-04 | 2017-03-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upload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plurality of radio access interfaces |
KR20170114528A (ko) * | 2016-04-05 | 2017-10-16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스케줄링장치 및 스케줄링장치의 동작 방법 |
KR20210042051A (ko) * | 2019-10-08 | 2021-04-16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다중 경로 기반 블록 전송 시스템 및 스트리밍 방법 |
US11343761B2 (en) * | 2017-06-08 | 2022-05-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
2013
- 2013-08-29 KR KR20130103433A patent/KR20150025484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39378A1 (en) * | 2015-09-04 | 2017-03-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upload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plurality of radio access interfaces |
US10356000B2 (en) | 2015-09-04 | 2019-07-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upload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plurality of radio access interfaces |
KR20170114528A (ko) * | 2016-04-05 | 2017-10-16 |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스케줄링장치 및 스케줄링장치의 동작 방법 |
US11343761B2 (en) * | 2017-06-08 | 2022-05-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KR20210042051A (ko) * | 2019-10-08 | 2021-04-16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다중 경로 기반 블록 전송 시스템 및 스트리밍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405580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dge computing services | |
KR102544991B1 (ko) | 사용자 장비 및 미디어 스트리밍 네트워크 보조 노드 | |
JP5989228B2 (ja) | 適応ビットレート・ストリーム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US9609370B2 (en) | Video delivery modification based on network availability | |
EP3286966B1 (en) | Resource reallocation | |
US9967303B2 (en) | Throttling a media stream for transmission via a radio access network | |
KR20120053049A (ko) | 네트워크 내에서의 자원들의 할당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WO2015096680A1 (zh) | 一种节点分配方法和控制中心 | |
US10728152B2 (en) | Dynamic network rate control | |
US20160173408A1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multiple wireless networks | |
KR20150025484A (ko) | 복수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US20140344414A1 (en) |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ache server,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 |
CA2619051A1 (en) | Resource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 |
KR102182767B1 (ko) | 멀티-홉 능력들의 발견 및 링크 당 기준 라우팅 | |
WO2020152954A1 (ja) | ネットワーク配置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US10972778B2 (en) | Stream control system for use in a network | |
US9621629B2 (en) | Content distribution system, cache server,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 |
JPWO2012114728A1 (ja) | 送信データ処理方法、情報処理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 |
US11252788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nt selection and delivery based on radio access network (“RAN”) conditions | |
JP7516522B2 (ja) | データフローの伝送を適応的に構成するための方法 | |
EP3772202A1 (en) | Data flow manager for load-balancing data for a data stream of a user equip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 |
Dräxler et al. | SmarterPhones: Anticipatory download scheduling for wireless video streaming | |
KR102589694B1 (ko) | 스토리지 장치, 스토리지 장치의 동작 방법, 스토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시스템 | |
WO2022151381A1 (zh) | 一种通信方法与装置 | |
KR101051710B1 (ko) | 복수의 세션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노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