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953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953A
KR20200005953A KR1020180079597A KR20180079597A KR20200005953A KR 20200005953 A KR20200005953 A KR 20200005953A KR 1020180079597 A KR1020180079597 A KR 1020180079597A KR 20180079597 A KR20180079597 A KR 20180079597A KR 20200005953 A KR20200005953 A KR 20200005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support structure
camera module
wir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4980B1 (ko
Inventor
이정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980B1/ko
Priority to US16/448,447 priority patent/US11454863B2/en
Priority to CN201910609179.3A priority patent/CN110708442B/zh
Publication of KR20200005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76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shape memory allo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지지구조체와, 상기 지지구조체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및 일단이 지지구조체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며,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구동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와 상기 구동와이어가 이루는 각도가 15.5°이하로 유지되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모바일 단말용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 기능, 손떨림 보정 기능 및 줌 기능 등을 부가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크기가 증가하게 되어 결국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크기도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스마트폰 카메라 시장의 성장에 따라 OIS 구동 방식과 더불어 오토포커싱 (AF), 광학 줌 (Optical zoom) 등 기존 일반 수동 카메라의 기능을 소형화하여 집적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에 따른 구조 다변화에 따라 기존 OIS 방식 외 다른 OIS 구동 방식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3555호
소형의 카메라 모듈에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를 통해 렌즈배럴(이동체)의 구동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지지구조체와, 상기 지지구조체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및 일단이 지지구조체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며,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구동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와 상기 구동와이어가 이루는 각도가 15.5°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소형의 카메라 모듈에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를 통해 렌즈배럴(이동체)의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카메라 모듈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구동 와이어의 배치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구동 와이어의 배치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3은 구동와이어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동와이어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는 카메라 모듈(10)이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0)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고, 렌즈의 광축(Z축)이 휴대용 전자기기(1)의 두께 방향(Y축 방향,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Front Surface)에서 후면(Rear Surface)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은 구동 와이어(160, 도 2 및 도 3 참조)에 의해 OIS 또는 AF의 구동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일예로서, 지지구조체(120), 이동체(140), 구동와이어(160) 및 볼(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구조체(120)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일예로서, 지지구조체(120)는 상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지지구조체(120)는 하면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의 하부에 이미지센서(미도시)가 배치되도록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구조체(120)의 바닥면에는 구동와이어(160)의 설치를 위한 설치구(122)가 구비된다. 설치구(122)는 구동와이어(160)에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설치구(122)는 지지구조체(120)의 바닥면 모서리 측에 배치된다.
이동체(140)는 지지구조체(12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예로서, 이동체(140)는 내부에 복수개의 렌즈(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체(1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체(140)의 상단부 모서리에는 구동와이어(160)의 설치를 위한 장착구(142)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와이어(160)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한편, 구동와이어(160)은 일단이 지지구조체(1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이동체(140)에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160)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서, 복수개의 구동와이어(160)는 한쌍이 하나의 그룹(group)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4개의 그룹(group)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구동와이어(160)는 일단이 지지구조체(120)의 바닥면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설치구(122)에 연결되며, 타단이 이동체(140)의 상단부 모서리에 배치되는 장착구(142)에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160)는 이동체(140)의 한 측면 당 2개의 구동와이어(160)가 배치된다. 또한, 구동와이어(160) 각각은 이동체(140)가 하나의 축으로 이동되도록 기능한다. 즉, 구동와이어(160) 각각은 2개 이상의 축으로 이동체(140)가 이동되도록 관여하지 않고 단지 하나의 축으로 이동체(140)가 이동되도록 관여한다.
한편, 이동체(140)와 구동와이어(160)가 이루는 각도(α)가 15.5°이하로 유지된다. 즉, 구동와이어(160)를 삼각형의 빗변으로 하고, 이동체(140)의 측면을 하나의 변으로 하며 이동체(140)와 지지구조체(120) 사이 간격을 나머지 하나의 변으로 할 때, 구동와이어(160)와 이동체(140)의 측면과 이루는 각도(α)가 15.5°이하로 유지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에서 높이 h=3.5mm로 고정하고, 밑 변의 길이를 x로 둘 경우 구동와이어(160)의 길이가 2.2% 감소하였을 때 △x가 이동거리(stroke)이다. 이를 수식으로 정리하면 △x는 하기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그리고, 상기 수식을 구동와이어(160)와 이동체(140)가 이루는 각도에 대한 수식으로 다시 정리하기로 한다. 지지구조체(120)와 이동체(140)를 연결할 때의 구동와이어(160)를 빗변으로 하는 가상의 삼각형을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 h, x를 정의하여 h에 대해 정리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한 h에 대한 식을 △x에 관한 식에 대입하면, 하기의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2
한편, x=0.5로 가정할 경우 상기의 수식은 도 6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표현된다. 0.2708는 라디안(radian) 값으로 각도(degree)로 변환할 경우 15.5°이다. 즉, θ=15.5°의 각도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체를 400㎛ 이상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40)가 X 축으로 이동하는 경우 구동와이어(160) 중 제1 그룹과 제2 그룹만이 관여하고, 이동체(140)가 Y 축으로 이동하는 경우 구동 와이어(160) 중 제3 그룹과 제4 그룹만이 관여한다.
일예로서, 이동체(140)의 높이를 3.5mm이고, 이동체(140)의 중심과 지지구조체(12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때 이동체(140)와 지지구조체(120)의 사이 간격이 0.5mm이며, 구동와이어(150)의 길이는 3.536mm이어야 한다. 그리고, 이동체(140)가 X축 또는 Y축 중 어느 하나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체(140)와 지지구조체(120)의 사이 간격이 0.7mm인 경우 구동와이어(150)는 신장되어 3.569mm의 길이를 가져야 한다. 또한, 이동체(140)가 X축 또는 Y축 중 어느 하나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체(140)와 지지구조체(120)의 사이 간격이 0.3mm 인 경우 구동와이어(150)는 압축되어 3.513mm의 길이를 가진다.
한편, 이동체(140)가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체(140)의 중심과 지지구조체(120)의 중심이 가장 멀리 배치되는 경우 구동와이어(150)의 길이는 3.603mm이다.
따라서, 구동와이어(160)가 가장 많이 수축되었을 때의 길이와 비교해보면 2.4% 이완된 상태이다, 즉, 소형의 카메라 구조에서 구동와이어(160)의 수축률 3.5% 이내의 값으로 이동체(140)는 양쪽으로 0.2mm씩 총 0.4mm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동체(140)가 일예로서, Y축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된 경우 이동체(140)를 X축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해 배치되는 구동와이어(160)가 이동체(140)의 측면과 이루는 각도(α)는 11.7°이다. 즉, 구동와이어(160)가 이동체(140)의 측면과 이루는 각도(α)가 15.5°이내를 유지함을 알 수 있다.
볼(180)은 지지구조체(120)의 바닥면과 이동체(140)의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볼(180)은 이동체(140)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일예로서, 이동체(140)의 바닥면 모서리 측에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구동와이어(160)를 통해 이동체(140)의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 모듈(100)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변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구동 와이어의 배치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일예로서, 지지구조체(220), 이동체(240) 및 구동와이어(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구조체(220)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일예로서, 지지구조체(220)는 상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지지구조체(220)는 하우징일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구조체(220)의 내부 각 측면에는 구동와이어(260)가 설치되는 설치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체(240)는 지지구조체(22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예로서, 이동체(240)는 내부에 복수개의 렌즈(미도시)가 설치되는 렌즈배럴일 수 있다. 또한, 이동체(2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체(240)의 각 측면에는 한쌍의 클립(242)과, 클립(24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244)가 구비된다. 한편, 지지부재(244)에는 이동체(240)의 각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홀(246)에 삽입되는 돌기부(244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홀(246)은 이동체(240)의 각 측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와이어(260)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한편, 구동와이어(260)은 일단이 지지구조체(2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이동체(240)에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260)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서, 복수개의 구동와이어(260)는 한쌍이 하나의 그룹(group)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4개의 그룹(group)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구동와이어(260)는 일단이 지지구조체(220)의 측면에 배치되는 설치구(미도시)에 연결되며, 타단이 클립(242)에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260)는 이동체(240)의 한 측면 당 2개의 구동와이어(260)가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구동와이어(260) 각각은 이동체(240)가 하나의 축으로 이동되도록 기능한다. 즉, 구동와이어(260) 각각은 2개 이상의 축으로 이동체(240)가 이동되도록 관여하지 않고 단지 하나의 축으로 이동체(240)가 이동되도록 관여한다.
한편, 이동체(240)와 구동와이어(260)가 이루는 각도(α)가 15.5°이하로 유지된다. 즉, 구동와이어(260)를 삼각형의 빗변으로 하고, 지지부재(244)의 측면을 하나의 변으로 하며 이동체(240)와 지지구조체(220) 사이 간격을 나머지 하나의 변으로 할 때, 구동와이어(260)와 지지부재(244)가 이루는 각도(α)가 15.5°이하로 유지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룹의 구동와이어(260)들이 수축하고 제2 그룹의 구동와이어(260)들이 이완하면 이동체(240)가 X축의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3,4 그룹의 구동와이어(260)들은 수축 또는 이완되지 않으며, 그룹 3,4가 배치되는 이동체(240)의 측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244)가 이동된다. 하지만, 그룹 1,2의 구동와이어(260)가 배치되는 이동체(240)의 측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244)는 이동체(240)의 움직임에 관여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즉, 지지부재(244)로 인해 그룹 1,2의 구동와이어(260)들은 X축의 움직임에만 사용되며 그룹 3,4의 구동와이어(260)들은 Y축의 움직임에만 사용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구동 와이어의 배치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은 일예로서, 지지구조체(320), 이동체(340) 및 구동와이어(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구조체(320)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일예로서, 지지구조체(320)는 상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지지구조체(320)는 하우징일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구조체(320)의 내부 각 측면에는 구동와이어(360)가 설치되는 설치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체(340)는 지지구조체(32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예로서, 이동체(340)는 내부에 복수개의 렌즈(미도시)가 설치되는 렌즈배럴일 수 있다. 또한, 이동체(3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체(340)는 구동와이어(260)가 연결되는 장착구(342)를 구비할 수 있다. 장착구(342)는 X축과 Y축과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체(340)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와이어(360)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한편, 구동와이어(360)은 일단이 지지구조체(3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이동체(340)에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360)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서, 복수개의 구동와이어(360) 각각은 하나씩 이동체(340)에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서, 구동와이어(360)는 일단이 지지구조체(220)의 측면에 배치되는 설치구(미도시)에 연결되며, 타단이 장착구(342)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와이어(360) 각각은 이동체(340)가 하나의 축으로 이동되도록 기능한다. 즉, 구동와이어(360) 각각은 2개 이상의 축으로 이동체(340)가 이동되도록 관여하지 않고 단지 하나의 축으로 이동체(340)가 이동되도록 관여한다.
한편, 이동체(340)와 구동와이어(360)가 이루는 각도(α)가 15.5°이하로 유지된다. 즉, 구동와이어(360)를 삼각형의 빗변으로 하고, 이동체(340)의 측면을 하나의 변으로 하며 이동체(340)와 지지구조체(320) 사이 간격을 나머지 하나의 변으로 할 때, 구동와이어(360)와 이동체(340)가 이루는 각도(α)가 15.5°이하로 유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B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3은 구동와이어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은 일예로서, 지지구조체(420), 이동체(440) 및 구동와이어(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구조체(420)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일예로서, 지지구조체(420)는 상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지지구조체(420)는 하우징일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구조체(420)의 내부 각 측면에는 구동와이어(460)가 설치되는 설치구(4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체(440)는 지지구조체(42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예로서, 이동체(440)는 내부에 복수개의 렌즈(미도시)가 설치되는 렌즈배럴일 수 있다. 또한, 이동체(4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체(440)의 각 측면에는 지지부재(444)가 구비된다. 한편, 지지부재(444)에는 이동체(440)의 각 측면에 형성되는 설치홀(446)에 삽입되는 설치용 돌기(444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홀(446)은 이동체(440)의 각 측면에 하나 또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와이어(460)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한편, 구동와이어(460)은 일단이 지지구조체(4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이동체(440)에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460)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서, 복수개의 구동와이어(460)는 한쌍이 하나의 그룹(group)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4개의 그룹(group)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서, 구동와이어(460)는 일단이 지지구조체(420)의 측면에 배치되는 설치구(422)에 연결되며, 타단이 지지부재(444)에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460)는 이동체(440)의 한 측면 당 2개의 구동와이어(460)가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구동와이어(460) 각각은 이동체(440)가 하나의 축으로 이동되도록 기능한다. 즉, 구동와이어(460) 각각은 2개 이상의 축으로 이동체(440)가 이동되도록 관여하지 않고 단지 하나의 축으로 이동체(440)가 이동되도록 관여한다.
한편, 이동체(440)와 구동와이어(460)가 이루는 각도(α)가 15.5°이하로 유지된다. 즉, 구동와이어(460)를 삼각형의 빗변으로 하고, 지지부재(444)의 측면을 하나의 변으로 하며 이동체(440)와 지지구조체(420) 사이 간격을 나머지 하나의 변으로 할 때, 구동와이어(460)와 지지부재(444)가 이루는 각도(α)가 15.5°이하로 유지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동와이어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은 일예로서, 지지구조체(520), 이동체(540) 및 구동와이어(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구조체(520)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일예로서, 지지구조체(520)는 상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지지구조체(520)는 하우징일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구조체(520)의 내부 각 측면에는 구동와이어(560)가 설치되는 설치구(5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체(540)는 지지구조체(52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예로서, 이동체(540)는 내부에 복수개의 렌즈(미도시)가 설치되는 렌즈배럴일 수 있다. 또한, 이동체(54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체(540)는 네 측면 중 대향 배치되는 두 측면에 고정되는 제1 스프링부재(542) 및 네 측면 중 제1 스프링부재(542)가 고정되는 두 측면을 제외한 측면에 고정되는 제2 스프링부재(544)를 구비하며, 구동와이어(560)의 일단은 지지구조체(520)에 연결되며, 타단은 제1,2 스프링부재(542,544)에 연결된다.
일예로서, 제1,2 스프링부재(542,544)는 사각형 고리 형상을 가진다.
구동와이어(560)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한편, 구동와이어(560)은 일단이 지지구조체(520)에 연결되며 타단이 이동체(540)에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560)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서, 복수개의 구동와이어(460)는 한쌍이 하나의 그룹(group)으로 구성되며, 적어도 4개의 그룹(group)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스프링부재(542)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560)는 제1 스프링부재(542)가 고정되는 이동체(540)의 두 측면을 제외한 측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부재(542)에 연결되며, 제2 스프링부재(544)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560)는 제2 스프링부재(544)가 고정되는 이동체(540)의 두 측면을 제외한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부재(544)에 연결된다.
일예로서, 구동와이어(560)는 일단이 지지구조체(520)의 측면에 배치되는 설치구(522)에 연결되며, 타단이 제1,2 스프링부재(542,544)에 연결된다. 그리고, 구동와이어(560)는 이동체(540)의 한 측면 당 2개의 구동와이어(560)가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구동와이어(560) 각각은 이동체(540)가 하나의 축으로 이동되도록 기능한다. 즉, 구동와이어(560) 각각은 2개 이상의 축으로 이동체(540)가 이동되도록 관여하지 않고 단지 하나의 축으로 이동체(540)가 이동되도록 관여한다.
한편, 이동체(540)와 구동와이어(560)가 이루는 각도(α)가 15.5°이하로 유지된다. 즉, 구동와이어(560)를 삼각형의 빗변으로 하고, 제1,2 스프링부재(542,544)의 하나의 변이 삼각형의 하나의 변으로 하며 이동체(440)와 지지구조체(420) 사이 간격을 삼각형의 나머지 하나의 변으로 할 때, 구동와이어(460)와 제1,2 스프링부재(542,544)가 이루는 각도(α)가 15.5°이하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카메라 모듈
120 : 지지구조체
140 : 이동체
160 : 구동와이어

Claims (16)

  1.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지지구조체;
    상기 지지구조체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일단이 지지구조체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며,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구동와이어;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체가 이동 가능한 모든 위치에서 상기 이동체와 상기 구동와이어가 이루는 각도가 15.5°이하로 유지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구동와이어는 한쌍이 하나의 그룹을 구성하며, 적어도 4개의 그룹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을 구성하는 한쌍의 구동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지지구조체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체의 모서리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체의 바닥면과 상기 이동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이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각 측면에는 한쌍의 클립과, 상기 클립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지지구조체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클립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시 상기 구동와이어와 상기 지지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15.5° 이하로 유지되는 카메라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이동체의 각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각각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와이어는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고정구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의 각각의 측면에는 상기 고정구가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네 측면 중 대향 배치되는 두 측면에 고정되는 제1 스프링부재 및 네 측면 중 제1 스프링부재가 고정되는 두 측면을 제외한 두 측면에 고정되는 제2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지지구조체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제1,2 스프링부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스프링부재는 사각형 고리 형상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부재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는 상기 제1 스프링부재가 고정되는 상기 이동체의 두 측면을 제외한 측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스프링부재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는 상기 제2 스프링부재가 고정되는 상기 이동체의 두 측면을 제외한 측면에 배치되는 제2 스프링부재에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각 측면에 하나의 구동와이어가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각 측면에는 상기 구동와이어가 연결되는 고정구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높이는 3.5mm이며, 상기 이동체의 측면과 상기 지지구조체의 측면과의 거리는 상기 구동와이어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0.3 mm ~ 0.7 mm 인 카메라 모듈.
  16.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지지구조체;
    상기 지지구조체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체;
    일단이 지지구조체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며,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구동와이어;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구동와이어 각각은 상기 이동체를 3축 중 어느 하나의 축 방향으로만 이동시키도록 신축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80079597A 2018-07-09 2018-07-09 카메라 모듈 KR102584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97A KR102584980B1 (ko) 2018-07-09 2018-07-09 카메라 모듈
US16/448,447 US11454863B2 (en) 2018-07-09 2019-06-21 Camera module
CN201910609179.3A CN110708442B (zh) 2018-07-09 2019-07-08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597A KR102584980B1 (ko) 2018-07-09 2018-07-0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953A true KR20200005953A (ko) 2020-01-17
KR102584980B1 KR102584980B1 (ko) 2023-10-05

Family

ID=6910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597A KR102584980B1 (ko) 2018-07-09 2018-07-0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54863B2 (ko)
KR (1) KR102584980B1 (ko)
CN (1) CN11070844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730A (ko) * 2020-09-25 2022-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89852B2 (ja) * 2019-09-11 2022-12-14 新思考電機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483620B1 (ko) * 2020-11-24 2023-0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4234A (ko) * 2010-02-26 2013-05-24 캠브리지 메카트로닉스 리미티드 Sma 액추에이션 장치
KR20130073465A (ko) * 2011-12-23 2013-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20140055630A1 (en) * 2010-09-22 2014-02-27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Optical image stabilisation
KR20150013555A (ko) 2012-05-25 2015-02-05 캠브리지 메카트로닉스 리미티드 형상 기억 합금 작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8006763D1 (de) 2007-10-30 2011-06-16 Cambridge Mechatronics Ltd Gedächtnislegierungsbetätigungsvorrichtung
CN101893748A (zh) 2009-05-19 2010-11-24 三美电机株式会社 透镜驱动装置、装入方法以及sma组件
KR101044219B1 (ko) 2009-10-19 2011-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모듈
US20150322929A1 (en) 2012-02-07 2015-11-12 Konica Minolta Inc. Drive device and lens unit
CN108141541A (zh) 2015-10-28 2018-06-08 剑桥机电有限公司 提供光学图像稳定的相机组件
CN107272138B (zh) 2016-04-01 2020-09-15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驱动机构及其控制方法
KR20180009467A (ko) 2016-07-19 2018-01-29 (주)드림텍 카메라 이미지 안정화를 위한 수동형 카메라 흔들림 완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4234A (ko) * 2010-02-26 2013-05-24 캠브리지 메카트로닉스 리미티드 Sma 액추에이션 장치
US20140055630A1 (en) * 2010-09-22 2014-02-27 Cambridge Mechatronics Limited Optical image stabilisation
KR20130073465A (ko) * 2011-12-23 2013-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50013555A (ko) 2012-05-25 2015-02-05 캠브리지 메카트로닉스 리미티드 형상 기억 합금 작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1730A (ko) * 2020-09-25 2022-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08442B (zh) 2023-03-24
KR102584980B1 (ko) 2023-10-05
CN110708442A (zh) 2020-01-17
US11454863B2 (en) 2022-09-27
US20200012169A1 (en)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0538B2 (en) Lens driving module
US11815740B2 (en) Imaging lens set with plastic lens element,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9910291B2 (en) Camera lens module having auto-focus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ing functions
JP7478220B2 (ja) カメラレンズバレ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装置
CN107995386B (zh) 相机模块
TWI706215B (zh) 鏡片組驅動裝置、攝影模組與電子裝置
KR102174152B1 (ko) 카메라 모듈
KR102139770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US11092876B2 (en)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584983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005953A (ko) 카메라 모듈
KR20200072256A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3406779B (zh) 变焦镜头、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KR20180076165A (ko) 카메라 모듈
KR102516769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642902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041909A (ko) 촬상 렌즈
KR102404324B1 (ko) 카메라 모듈
WO2022141488A1 (zh) 驱动装置、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20240021099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128754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202328792A (zh) 相機模組與電子裝置
KR20200066994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