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5830A -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5830A
KR20200005830A KR1020180079297A KR20180079297A KR20200005830A KR 20200005830 A KR20200005830 A KR 20200005830A KR 1020180079297 A KR1020180079297 A KR 1020180079297A KR 20180079297 A KR20180079297 A KR 20180079297A KR 20200005830 A KR20200005830 A KR 20200005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sitioning element
seeding
bracket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한
남영조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9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5830A/ko
Publication of KR2020000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브라켓 부재; 및 상기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어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브라켓 부재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파종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브라켓 부재의 일부는 경사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종자가 파종되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파종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BRACKET UNIT AND SEE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종 부재를 지면 상태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절하게 할 수 있는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이나 밭에 작물을 경작하기 위해 종자를 파종하는 수간이 종래의 수작업 또는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에서 최근에는 자동화된 장비를 이용하는 추세로 변경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등간격으로 종자를 파종하는 점파식 파종기도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점파식 파종기는 승용이앙기의 이앙기구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파종 부재를 장착하여 작업자가 승차한 상태에서 주행하면서, 후방에 부착된 복수의 파종 부재를 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종자를 파종하게 된다.
그러나, 점파식 파종기를 사용할 때, 지면 상태에서 따라서 파종 부재가 들려서 제 위치에 파종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파종구에 흙이 점착되어 결주가 발생할 수 있고 멀칭 비닐 상에 파종할 때 멀칭 비닐의 구멍이 크게 찢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점파식 파종기의 개선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국내등록특허 KR10-1228242에는 '점파식 파종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경사지게 또는 굴곡지게 형성된 위치 조정 부재에 의해서 파종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 제어할 수 있는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점파식 파종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운송수단에 연결하기 위해서 구비된 프레임에 대하여 장착 또는 분리가 용이한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지면이 평탄하지 않을지라도 파종 부재에 의해서 정확한 위치에 일정한 깊이에 종자가 파종되게 될 수 있는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파종 부재(특히, 파종구)에 장착되는 청소 부재를 포함하여 파종 부재에 묻은 흙을 간단히 털어낼 수 있고, 결주를 방지할 수 있으며, 멀칭 비닐의 구멍이 크게 찢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파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브라켓 부재; 및 상기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어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브라켓 부재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파종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브라켓 부재의 일부는 경사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종자가 파종되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파종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브라켓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위치 조정 요소;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위치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 조정 요소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대한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의 경사각 또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의 접선의 사잇각 및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대한 상기 제2 위치 조정 요소의 경사각 또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제2 위치 조정 요소의 접선의 사잇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브라켓 부재 및 상기 파종 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이 상기 브라켓 부재에서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 및 상기 제2 위치 조정 요소 사이에 비고정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 및 상기 제2 위치 조정 요소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은, 운송 수단의 프레임의 외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파종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시키는 위치 조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요소와 제2 플레이트 요소;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 요소; 및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요소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요소는 체결 수단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조정 요소; 및 상기 제3 플레이트 요소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2 위치 조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가 고정되고, 상기 제4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상기 제2 플레이트 요소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에 의하면, 경사지게 또는 굴곡지게 형성된 위치 조정 부재에 의해서 파종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에 의하면,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점파식 파종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운송수단에 연결하기 위해서 구비된 프레임에 대하여 장착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에 의하면, 지면이 평탄하지 않을지라도 파종 부재에 의해서 정확한 위치에 일정한 깊이에 종자가 파종되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에 의하면, 파종 부재(특히, 파종구)에 장착되는 청소 부재를 포함하여 파종 부재에 묻은 흙을 간단히 털어낼 수 있고, 결주를 방지할 수 있으며, 멀칭 비닐의 구멍이 크게 찢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브라켓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프레임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체결 수단수단에 연결 부재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서 브라켓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프레임이 제거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체결 수단에 연결 부재가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10)는 브라켓 부재(100), 파종 부재(200), 연결 부재(300) 및 청소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부재(100)는 프레임(F)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F)은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 또는 운송수단의 일부로 구성되거나, 파종기(10)와 연결을 위해서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 또는 운송수단의 전방 또는 후방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프레임(F)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프레임(F)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브라켓 부재(100)는 고정 부재(110) 및 위치 조정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10)는 브라켓 부재(100)를 프레임(F)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 요소(112), 제2 플레이트 요소(114), 제3 플레이트 요소(116) 및 제4 플레이트 요소(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 요소(112) 및 제2 플레이트 요소(114)는 프레임(F)의 양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 요소(112)는 프레임(F)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2 플레이트 요소(114)는 프레임(F)의 양측면 중 다른 한 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플레이트 요소(116)는 프레임(F)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4 플레이트 요소(118)는 프레임(F)의 후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F)의 후면은 프레임(F)에서 파종 부재(200)와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면 또는 프레임(F)에서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 또는 운송수단을 향하는 면이 될 수 있다.
전술된 제1 플레이트 요소(112), 제2 플레이트 요소(114), 제3 플레이트 요소(116) 및 제4 플레이트 요소(118)의 배치 및 연결 구조에 의해서, 브라켓 부재(100)에 프레임(F)이 장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프레임(F)의 전면이 브라켓 부재(100)를 통해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 요소(112) 및 제2 플레이트 요소(114) 사이에는 체결 수단(A)이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수단(A)은 제1 플레이트 요소(112) 및 제2 플레이트 요소(114)를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고, 프레임(F)의 전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 플레이트 요소(112) 및 제2 플레이트 요소(114) 사이에 체결 수단(A)이 고정되는 경우, 프레임(F)에 브라켓 부재(100)가 장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 요소(112) 및 제2 플레이트 요소(114) 사이에서 체결 수단(A)이 분리되는 경우, 프레임(F)으로부터 브라켓 부재(100)가 분리되거나 프레임(F)에 브라켓 부재(1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부재(110)에 구비된 체결 수단(A)에 의해서 브라켓 부재(100)가 프레임(F)에 대하여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수단(A)에는 브라켓 부재(100)에 파종 부재(2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300)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부재(300)의 단부는 체결 수단(A)에 대하여 비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연결 부재(300)는 체결 수단(A)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연결 부재(300)의 회전 이동 범위에 의해서 파종 부재(200)의 상하 위치가 조절 범위가 결정될 수 있고, 연결 부재(300)의 회전 이동 범위는 위치 조정 부재(120)의 형상 또는 배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술된다.
전술된 고정 부재(110)에는 위치 조정 부재(1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정 부재(120)는 제1 위치 조정 요소(122) 및 제2 위치 조정 요소(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122)는 프레임(F)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조정 요소(122)는 프레임(F)의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일단은 제4 플레이트 요소(118)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 조정 요소(122)는 경사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에서 프레임(F)의 상면에 접하는 부분은 편평한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에서 프레임(F)의 상면에 접하지 않는 부분, 즉 프레임(F)의 상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경사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종 부재(200)에 인접하게 배치된 브라켓 부재(100)의 일부, 특히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일부가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위치 조정 요소(122)는 프레임(F)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0)의 단부가 체결 수단(A)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파종 부재(200)가 상방으로(또는 B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부재(300)의 제1 방향 회전 이동 범위 또는 파종 부재(200)의 상방 이동 범위는 프레임(F)의 상면에 대한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경사각 또는 프레임(F)의 상면과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접선의 사잇각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F)의 상면에 대한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경사각 또는 프레임(F)의 상면과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접선의 사잇각이 커질수록, 연결 부재(300)의 제1 방향 회전 이동 범위 또는 파종 부재(200)의 상방 이동 범위가 커질 수 있다. 반면, 프레임(F)의 상면에 대한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경사각 또는 프레임(F)의 상면과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접선의 사잇각이 작아질수록, 연결 부재(300)의 제1 방향 회전 이동 범위 또는 파종 부재(200)의 상방 이동 범위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치 조정 요소(124)는 프레임(F)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치 조정 요소(124)는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3 플레이트 요소(126)는 제4 플레이트(128)의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 조정 요소(124)는 경사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에서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에 접하는 부분은 편평한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에서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에 접하지 않는 부분, 즉 프레임(F)의 하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경사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종 부재(200)에 인접하게 배치된 브라켓 부재(100)의 일부, 특히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일부가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위치 조정 요소(124)는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 또는 프레임(F)의 하면(이하,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300)의 단부가 체결 수단(A)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파종 부재(200)가 하방으로(또는 B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부재(300)의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 회전 이동 범위 또는 파종 부재(200)의 하방 이동 범위는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에 대한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경사각 또는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과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접선의 사잇각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에 대한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경사각 또는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과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접선의 사잇각이 커질수록, 연결 부재(300)의 제2 방향 회전 이동 범위 또는 파종 부재(200)의 하방 이동 범위가 커질 수 있다. 반면,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에 대한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경사각 또는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과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접선의 사잇각이 작아질수록, 연결 부재(300)의 제2 방향 회전 이동 범위 또는 파종 부재(200)의 하방 이동 범위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프레임(F)의 상면에 대한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경사각 또는 프레임(F)의 상면과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접선의 사잇각 및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에 대한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경사각 또는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과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접선의 사잇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F)의 상면에 대한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경사각 또는 프레임(F)의 상면과 제1 위치 조정 요소(122)의 접선의 사잇각보다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에 대한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경사각 또는 제3 플레이트 요소(126)의 하면과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접선의 사잇각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결 부재(300)의 제2 방향 회전 이동 범위가 연결 부재(300)의 제1 방향 회전 이동 범위보다 커서, 파종 부재(200)의 하방 이동 범위가 파종 부재(200)의 상방 이동 범위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된 제1 위치 조정 요소(122) 및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서 지면 상태에 따라서 파종 부재(200)가 프레임(F)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지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도 파종 부재(200)에 의해서 종자가 제 위치에 파종될 수 있다.
위에서는 파종 부재(200)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는 경우에 대하여만 설명되었으나, 연결 부재(300)의 단부가 체결 수단(A)에 비고정식으로 연결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파종 부재(200)가 체결 수단(A)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추가적으로, 제1 위치 조정 요소(122) 및 제2 위치 조정 요소(124)는 내식성이 강한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제1 위치 조정 요소(122) 및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의 재질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탄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1 위치 조정 요소(122) 및 제2 위치 조정 요소(124)가 탄성 재질로 마련된 경우, 제1 위치 조정 요소(122) 및 제2 위치 조정 요소(124)에 경사면 또는 곡면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도 파종 부재(200)의 상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브라켓 부재(100)에는 연결 부재(300)를 통해서 파종 부재(200)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부재(300)의 일단은 브라켓 부재(100), 특히 체결 수단(A)에 비고정식으로 연결되고, 파종 부재(200)의 일측의 일측을 향하여 연장되어서 연결 부재(300)의 타단이 파종 부재(200)의 일측에 고정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300)가 브라켓 부재(100) 및 파종 부재(200) 사이에서 제1 위치 조정 요소(122) 및 제2 위치 조정 요소(124)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연결되어서, 파종 부재(200)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연결 부재(300)의 단부가 회전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위치 조정 요소(122) 및 제2 위치 조정 요소(124) 사이의 공간에서 연결 부재(300)의 회전 이동에 의해서 파종 부재(200)의 상하 방향 위치 조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파종 부재(200)는 지면에 종자를 파종할 수 있다.
이때, 파종 부재(200)의 구성 또는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종자를 파종할 수 있다면 어느 것이든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파종 부재(200)는 외주면에 파종구(202)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있는 바퀴 요소, 파종될 종자를 담고 있는 종자통 요소, 파종구(202)에 의해서 지면에 형성되는 구멍 내로 종자를 떨어뜨리기 위한 파종 요소 및 파종이 이루어진 구멍을 흙으로 덮어 다져주기 위한 복토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종 부재(200)에는 파종구(202)에 묻은 흙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 부재(40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 부재(400)의 일부는 파종 부재(20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고, 청소 부재(400)의 다른 일부는 파종구(202)의 외측을 둘러쌀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청소 부재(400)의 다른 일부는 파종구(20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파종구(202)가 삽입 또는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청소 부재(400)의 다른 일부에는 파종구(202)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가 구비되어서, 파종구(202)가 관통되면서 돌기에 의해서 파종구(202)에 묻은 흙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경사지게 또는 굴곡지게 형성된 위치 조정 부재에 의해서 파종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 제어할 수 있고,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점파식 파종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운송수단에 연결하기 위해서 구비된 프레임에 대하여 장착 또는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게다가,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파종 부재(특히, 파종구)에 장착되는 청소 부재를 포함하여 파종 부재에 묻은 흙을 간단히 털어낼 수 있고, 결주를 방지할 수 있으며, 멀칭 비닐의 구멍이 크게 찢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파종기
100: 브라켓 부재
110: 고정 부재
112: 제1 플레이트 요소
114: 제2 플레이트 요소
116: 제3 플레이트 요소
118: 제4 플레이트 요소
A: 체결 수단
120: 위치 조정 부재
122: 제1 위치 조정 요소
124: 제2 위치 조정 요소
200: 파종 부재
202: 파종구
300: 연결 부재
400: 청소 부재
F: 프레임

Claims (7)

  1. 프레임에 장착되는 브라켓 부재; 및
    상기 브라켓 부재에 연결되어 종자를 파종하는 파종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브라켓 부재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파종 부재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브라켓 부재의 일부는 경사면 또는 곡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종자가 파종되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파종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되는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위치 조정 요소;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위치 조정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 조정 요소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되는 파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대한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의 경사각 또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과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의 접선의 사잇각 및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대한 상기 제2 위치 조정 요소의 경사각 또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제2 위치 조정 요소의 접선의 사잇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파종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부재 및 상기 파종 부재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의 일단이 상기 브라켓 부재에서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 및 상기 제2 위치 조정 요소 사이에 비고정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 및 상기 제2 위치 조정 요소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파종기.
  5. 운송 수단의 프레임의 외측면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파종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시키는 위치 조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굴곡지게 형성되는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 요소와 제2 플레이트 요소;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3 플레이트 요소; 및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4 플레이트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레이트 요소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요소는 체결 수단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체결 수단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고정 부재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한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정 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조정 요소; 및
    상기 제3 플레이트 요소의 하면에 연결되는 제2 위치 조정 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상기 제1 위치 조정 요소가 고정되고,
    상기 제4 플레이트의 하측에는 상기 제2 플레이트 요소가 고정되는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KR1020180079297A 2018-07-09 2018-07-09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 KR20200005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297A KR20200005830A (ko) 2018-07-09 2018-07-09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297A KR20200005830A (ko) 2018-07-09 2018-07-09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830A true KR20200005830A (ko) 2020-01-17

Family

ID=69369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297A KR20200005830A (ko) 2018-07-09 2018-07-09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58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2200C (en) Depth adjusment for controlling planting depth
US9986673B2 (en) Zeroing adjustment for depth control system
AU2005225044B2 (en) Seeding implement with front rockshaft-mounted fertiliser openers
US4331205A (en) Depth control wheel for seed planter
US20150156963A1 (en) Apparatus for Laying Seed Film and Method for Laying Seed Film by Using the Apparatus for Laying the Seed Film
US7640875B2 (en) Cutting disk system for seeding machines
US7128007B1 (en) Liquid fertilizer application system
CA2282993A1 (en) Spring shank coulter wheel assembly
KR20200005830A (ko) 파종기용 브라켓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파종기
KR102117853B1 (ko)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JP4684562B2 (ja) 農用作業機
KR102118196B1 (ko) 수평 및 위치조정이 용이한 파종기
US11653586B2 (en) Agricultural ground opener depth adjustment mechanism
KR200473688Y1 (ko) 경운기용 바퀴 자국 제거장치
JP3376643B2 (ja) 田植機のフロート
AU2009100124A4 (en) Toolbar hinged clamp bracket
JP4568548B2 (ja) 種籾直播機
US20170208735A1 (en) Removable air screen for an agricultural meter housing
US20220240429A1 (en) Gauge Wheel Device, Row Unit, Agricultural Impl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Gauge Wheel Device
JPH0631851Y2 (ja) 乗用農機におけるサイドフロート懸架装置
JPS643307Y2 (ko)
KR0123111Y1 (ko) 이앙기
KR200194283Y1 (ko) 농기계 부착용 써레
KR20210099977A (ko) 고구마 종자 파종용 평탄 작업장치
CA3091876A1 (en) Seeder depth control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