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867A -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867A
KR20200004867A KR1020197036141A KR20197036141A KR20200004867A KR 20200004867 A KR20200004867 A KR 20200004867A KR 1020197036141 A KR1020197036141 A KR 1020197036141A KR 20197036141 A KR20197036141 A KR 20197036141A KR 20200004867 A KR20200004867 A KR 20200004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ode
terminal device
information
source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933B1 (ko
Inventor
동잉 장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00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동 전송 채널을 설립하는 단계; 제1 네트워크 노드에서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해당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임; 제1 네트워크 노드가 공동 전송 채널을 통해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파싱 결과를 공동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을 개시하였다. 정보 전송 장치를 더 개시하였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표준에서는 단말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정보 전송 방식에 대해 정의하였다. 예를 들어, 현재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표준에서,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light connection) 상태에서, 업링크 데이터/다운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지지한다.
비활성 상태에서, 단말 장치가 이동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즉 단말 장치가 소속되는 기지국이 변화될 수 있기에, 단말 장치의 업링크 데이터가 새로운 기지국에 도달할 경우, 새로운 기지국(이하, 타겟 기지국으로 칭함)에는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등 관련 정보가 없으므로,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를 타겟 기지국에서 디코딩할 수 없게 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기술에서는 하나의 해결 방안을 제기하였고, 구체적으로: 타겟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등 관련 정보를 요구하고, 소스 기지국은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등 관련 정보를 타겟 기지국에 포워딩하며, 예를 들어, 소스 기지국은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중의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컨텍스트 등 관련 정보를 타겟 기지국에 포워딩한다. 상기 기술 방안은 타겟 기지국 측에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등 관련 정보가 없음으로 인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를 디코딩하지 못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으나, 타겟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등 관련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이 시간을 많이 랑비하므로, 비교적 큰 네트워크 지연을 초래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관련 기술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 타겟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등 관련 정보를 요구함으로 인해 정보를 전송하는데 비교적 큰 네트워크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고, 상기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임-;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업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파싱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파싱 결과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파싱하여 획득된 것임-;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고, 상기 방법은: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제1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업링크 정보는 비활성 상태인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파싱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파싱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고, 상기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였고, 상기 방법은: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제1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와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된 제1 설립모듈-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치된 제1 수신모듈-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임-;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업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제2 네크워크 노드에 송신하도록 설치된 제1 송신모듈-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파싱 결과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파싱 결과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파싱하여 획득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와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된 제2 설립모듈-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된 제2 수신모듈- 여기서 상기 업링크 정보는 비활성 상태인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상기 수신모듈이 수신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파싱 결과를 획득하도록 설치된 파싱모듈;
상기 파싱모듈이 획득한 상기 파싱 결과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하도록 설치된 제2 송신모듈; 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와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된 제3 설립모듈-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된 제3 수신모듈-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상기 수신모듈이 수신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치된 제3 송신모듈; 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전송 장치를 제공하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와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된 제4 설립모듈-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도록 설치된 제4 송신모듈-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는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 타겟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구함으로 인해 정보를 전송하는데 비교적 큰 네트워크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첨부도면은 본 출원의 기술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와 함께 본 출원의 기술방안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의 기술방안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architecture) 개략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4 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흐름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2 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GTP-U 프로토콜의 데이터 구조 개략도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C-RAN 아키텍처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7은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이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응용되는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의 시그널링 인터렉션(signaling interaction)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정보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하나의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정보 전송 방법의 시그널링 인터렉션 흐름도이며;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하나의 정보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정보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첨부도면의 흐름도에 도시된 단계들은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들의 세트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될수 있다. 또한, 흐름도에 논리적 순서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시되거나 기술된 단계를 여기서 설명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우선 LTE 시스템하에서의 기본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대해 간단하게 소개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 개략도이다. LTE 시스템은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접속망(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UTRAN) 및 핵심망(Core Network, CN)을 포함하고, E-UTRAN는 진화된 기지국(evolved Node B, eNB)을 포함하며, CN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e Management Entity, MME) 및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eNB와 CN 사이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eNB 사이는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며, 하나의 eNB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셀(Cell)을 관리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또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로도 불리우며, 사용자 기기와 셀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또는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로 칭함)로 불리운다(도 1에서는 eNB이 관리하는 셀 및 Uu 인터페이스가 도시되지 않음).
LTE 시스템에서 단말 장치가 프로토콜에 따라 기지국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 장치는 우선 해당 기지국에 액세스되어야 하며, 즉 랜덤 액세스 과정(random access process)을 통해 비연결 상태의 단말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연결이 설립된 후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인 랜덤 액세스 과정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으며 아래에서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4 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흐름도이다. 경합 기반의 랜덤 액세스 과정에는 일반적으로 이하 4 개의 단계가 포함된다:
단계(1), 단말 장치가 랜덤 액세스 요청 메세지를 송신하고,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을 통해 랜덤 액세스 방식의 사용 가능한 프리앰블 시퀀스(preamble sequence) 및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하는 시간 주파수 위치를 획득한 후, 사용 가능한 자원 내에서, 프리앰블 시퀀스 및 프리앰블 시퀀스를 송신하는 시간 주파수 위치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계(2), 기지국이 랜덤 액세스 응답 메세지를 송신하고,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방식의 프리앰블 시퀀스에서 사용한 시간 주파수 위치를 통해 단말이 사용 가능한 랜덤 액세스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ndom Access Radio Network Tempory Identity, RA-RNTI)를 판단하며, 기지국이 프리앰블 시퀀스를 성공적으로 디코딩한 후, 랜덤 액세스 응답을 단말에 회답하고, 응답을 통해 업링크 인증 등 정보가 운반된다.
단계(3), 전송을 스케쥴링하고, 단말은 업링크 인증 자원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면서 단말의 식별자 등 정보를 운반한다.
단계(4), 기지국이 업링크 인증 자원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파싱하고, 단말을 확인하고, 충돌을 해결하며, 경합 해결 식별자를 단말에 송신한다.
도 2에서 도시한 랜덤 액세스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다시피,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에 액세스하는데 많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소비하며,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검증을 수행하는 지연이 길어져, 업무상 저지연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업무상 저지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랜덤 액세스 과정의 간소화 또한 점점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으며, 특히 비 직교 다중 액세스(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기술이 인식되면서, 랜덤 액세스 과정은 2 단계의 랜덤 액세스 과정으로 간소화될 수 있다. 그랜트 프리(grant free) 상황에서, 단말 장치는 업링크 정보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LTE 시스템에서 2 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흐름도이며, 주로 다음의 2 개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 단말은 그랜트 프리 자원 풀에서 자원을 선택하여 업링크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2): 기지국은 업링크 데이터를 파싱한 후, 응답 또는 데이터로 회답한다.
도 3에 도시된 2 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은 단말 장치의 액세스 네트워크 지연, 및 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인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4 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은 충돌을 해결하는데 더 유리하므로, 실제 응용에서는, 실제 상황에 따라 랜덤 액세스 과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출원의 기술방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고, 각 실시예의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이며, 예를 들어, UE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소스 서비스 기지국이고, 제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 장치가 비활성 상태에서 이동한 새로운 서비스 기지국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이하 여러 실시예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개념 또는 과정에 대해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이며, 비활성 상태와 라이트 커넥션 상태 기술의 관련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이 있고, 그중에는 LTE R14 표준화 과정중인 라이트 커넥션 기술(Lighted Connected UE)과 5세대 무선 통신(the 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5G) 시스템의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 등이 포함된다. 단말 장치가 데이터 전송을 하지 않는 상황에서,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사이는 "비교적 가벼운" 연결 상태 또는 비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활성 상태 기술에 있어서,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사이의 RRC 연결이 끊어져도, 기지국은 항상 해당 단말 장치의 S1 인터페이스 연결을 유지하며, 비활성 상태인 단말 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될 경우, 해당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의 연결을 다시 설립하여야 한다. 이하 설명되는 단말 장치의 비활성 상태는 또한 해당 단말 장치의 라이트 커넥션 상태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서비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밖으로 이동한 후, 해당 소스 서비스 기지국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해당 방법은 정보 전송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해당 정보 전송 장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즉 타겟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10),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며, 여기서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 장치와 소스 서비스 기지국 사이에서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도달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단말 장치에 도달하면, 이때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서비스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므로,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기 위한 유선 연결을 설립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터널링 프로토콜(GPRS Tunnelling Protocol, GTP)에 기반한 GTP 터널일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X2 인터페이스와 S1 인터페이스는 모두 GTP 프로토콜에 기반하므로, 하나의 GTP 터널은 GTP 터널의 말단점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주소를 통해 식별되고, 이는 소스 터널 말단점 식별자(TEID), 타겟 TEID, 소스 IP 주소 및 타겟 IP 주소를 포함한다. GTP 터널의 수신단은 송신단에서 사용되는TEID 값을 할당하고, TEID 값은 GTP 제어 메세지(예를들어 GTP-C)를 통해 인터렉션되며, 제어 평면과 사용자 평면 사이의 연관은 인터렉션하는 시각에 수행되며; 제어 평면의 TEID(C)와 사용자 평면에 탑재된 TEID(U)는 연관 관계를 갖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는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은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데이터 정보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고, 데이터 정보의 전송은 GTP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다.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채널이 공통이므로, GTP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증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GTP 사용자 평면(GTP-U) 프로토콜에 예약 문자를 증가할 수 있고, 해당 예약 문자는 후속 정보 전송에서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는데 사용된다.
단계(S120),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단말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비활성 상태인 단말이다.
단계(S130), 제1 네트워크 노드는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므로, 단말 장치에서 업링크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제1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업링크 데이터/업링크 제어 정보가 포함됨)를 수신하고, 제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업링크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포워딩할 수 있으며, 단계(S110)에서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를 설정하였기 때문에,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예약 문자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여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GTP-U 프로토콜 헤더(protocol header)에 기입되어 있고, 즉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때 설정한 예약 문자에 기입되어 있고, 예를 들어, resume ID 또는 절단된 resume ID일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GTP-U 프로토콜의 데이터 구조 개략도이다. 도5의 단말 장치 식별자 UE-ID는 GTP-U 프로토콜에 추가된 예약 문자이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단말 장치의 소스 서비스 기지국(즉 제2 네트워크 노드)을 알 수 있지만,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공통 전송 채널(즉 GTP 터널)이 공통이기 때문에, 만일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업링크 정보만 수신하면 해당 업링크 정보가 어느 단말 장치에서 송신된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운반하고,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해당 업링크 정보를 정확하게 디코딩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resume ID의 바이트 수가 많기 때문에(일반적으로 5바이트(byte), 즉 40비트(bit)), GTP-U 프로토콜에서 여러 행을 차지하므로, UE-ID는 절단된 resume ID 또는 다른 형태의 UE-ID일 수도 있다.
단계(S140),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파싱 결과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며, 여기서 해당 파싱 결과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파싱하여 획득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노드(단말 장치의 소스 서비스 기지국)에는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운반하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에 대한 데이터 파싱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파싱 결과를 획득한 후, 제1 네트워크 노드와의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단말 장치가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에 해당 파싱 결과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 전송 임무가 완료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과 관련 기술의 주요한 구별은: 관련 기술의 LTE 시스템 중의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기지국의 밖으로 이동한 후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서는, 타겟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등 관련 정보를 요구하게 되며, 이 과정은 비교적 시간을 랑비하며, 비교적 큰 네트워크 지연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LTE R14 표준화 과정 중인 라이트 커넥션 상태 및 5G 시스템의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가 도달한 후, 제1 네트워크 노드(즉 타겟 기지국)는 해당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네트워크 노드(즉 소스 기지국)에 송신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업링크 정보를 수신할 때,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예약 문자에 기입할 수 있으며, 즉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동시에 송신하므로, 이로써,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업링크 정보를 송신한 단말 장치를 알 수 있고, 따라서 정확한 방식으로 해당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고, 이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에 파싱 결과를 피드백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을 절약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며, 데이터의 파싱으로 인한 네트워크 지연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 및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설정된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를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한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해당 업링크 정보와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함께 단말 장치의 소스 서비스 기지국(즉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도록 하며, 이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얻은 파싱 결과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방법은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밖으로 이동한 후,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 타겟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구함으로 인해 정보를 전송하는데 비교적 큰 네트워크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종래의 일체형 기지국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중앙 유닛(Central Unit, CU)및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즉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체형 기지국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며, 해당 응용 시나리오의 구현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현재 중앙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entral Radio Access Network,C-RAN) 아키텍처의 네트워크 배치가 점차 핫(hot)한 네트워크 배치 솔루션으로 사용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C-RAN 아키텍처의 예를 들어, C-RAN 아키텍처에서의 정보 전송 방법의 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C-RAN아키텍처의 구조 개략도이며, CU와 DU로 나뉘어지고, 하나의 CU는 복수 개의 DU에 연결될 수 있고, 여기서 CU는 코어 전산실에 배치되고, DU은 무선 커버리지(Raido coverage) 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DU은 서로 다른 영역을 커버하고, CU와 DU은 프론트홀(fronthaul)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해당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타겟 DU과 CU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소스 DU과 CU이다.
차세대 무선 액세스(New Radio, NR) 기술에 대한 논의에서, 프로토콜 엔티티(protocol entity)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은 CU에 배치하고,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Radio Link Control,RLC) 계층,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및 물리 계층(Physical, PHY)은 DU에 배치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는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구조 개략도이다. 비활성 상태의 기술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대해, MAC 계층 및 PHY 계층은 일반적으로 디폴트 설정을 사용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 PDCP 계층 등을 처리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방법은 RLC 계층이 여전히 소스 DU에 유지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방법은 단말 장치를 위해 새로운 노드에서 새로운 관련 베어러를 설립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RLC 계층이 소스 DU에 유지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이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응용되는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며, 여기서 RLC는 소스 측, 즉 소스 DU에 유지된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의 시그널링 인터렉션 흐름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응용되고, 여기서 PDCP 계층은 CU에 위치하고, RLC 계층, MAC 계층 및 PHY 계층은 DU에 위치한다.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는 새로운 DU(즉 타겟 DU)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다. 소스 DU과 타겟 DU 사이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고, 소스 DU과 타겟 DU 사이에는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공통 전송 채널(제어 시그널링 채널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 채널을 포함)이 설립되어 있다.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소스 DU과 타겟 DU은 모두 MAC 계층과 PHY 계층에 대한 디폴트 설정을 구비하므로 단말 장치가 비활성 상태에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지원하고, 소스 DU에는 단말 장치의 RLC 관련 파라미터 및 설정을 유지한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LTE 시스템에서 4 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예를 들어,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DU 밖으로 이동하고, 업링크 데이터가 도달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업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10), 타겟 DU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액세스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랜뎀 액세스 요청 메세지는 주로 지정된 자원을 통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하며, 지정된 자원은 전용 자원 또는 공통 자원 풀 중의 자원일 수 있다.
단계(S220), 타겟 DU은 단말 장치에 랜뎀 액세스 응답 메세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랜뎀 액세스 응답 메세지는: 타이밍 어드밴스(Timing Advance, TA) 메세지, 업링크 스케쥴링 그랜트(UL Grant) 메세지, 단말 식별자 정보(T-C-RNTI) 및 기타 보조적 정보(BI)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단계(S231), 타겟 DU은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여기서 업링크 정보에는 업링크 데이터와 단말 검증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해당 업링크 정보는 서로 다른 응용 시나리오에서 서로 다른 정보 유형일 수 있고, 해당 업링크 정보의 구성에는 data+short MAC-I + resume ID가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 short MAC-I는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식별자이다.
단계(S232), 타겟 DU은 GTP 터널을 통해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한다.
단계(S233),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CU의 PDCP 계층에 송신한다.
여기서, 소스 DU과 타겟 DU 사이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고, 소스 DU과 타겟 DU 사이에서 데이터/제어 시그널링이 전송되도록 설치된 공통 전송 채널이 존재하므로, 타겟 DU은 업링크 메세지를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할 수 있고,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CU의 PDCP 계층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외, 타겟 DU과 소스 DU 사이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의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은 공통이므로, GTP-U 관련 프로토콜을 강화하고, 즉 타겟 DU은 GTP-U 프로토콜 헤더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추가하며, 포멧(format)은 도 5에서 도시한 데이터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계(S231) 내지 단계(S233)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단계(S310)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RLC 계층은 소스 DU에 유지되므로, 다시 말하면 타겟 DU가 소스 DU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멧은 MAC 계층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DU)(즉MAC SDU) 또는 RLC 계층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즉 RLC PDU)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GPRS 터널 프로토콜 사용자 평면 서비스 유닛(GTP-U SDU) 및 RLC 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단계(S234), CU의 PDCP 계층은 단말 검증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를 검증하고, 업링크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파싱 결과를 획득한다.
여기서, 해당 단말 장치에 업링크 정보가 도달하는 응용 시나리오에서, 상기 업링크 정보는 단말 검증 정보를 포함하고(예를 들어, short MAC-I), 네트워크 측에서 CU의 PDCP 계층은 단말 장치를 검증할 수 있으며, 업링크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에 대한 검증을 완료할 수 있다.
단계(S235), CU의 PDCP 계층이 소스 DU에 송신하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은 CCCH을 통해 UE에 송신된다. 여기서, CCCH는 공통 제어 채널이다.
단계(S240), 타겟 DU은 소스 DU의 RLC 계층이 송신하는 네트워크 검증 정보와 파싱 결과를 GTP 터널을 통해 수신하며; 여기서 해당 네트워크 검증 정보는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더 운반할 수 있고, 네트워크 검증 정보는: short/full MAC-I, 보안 알고리즘 구성 정보 및 넥스트 홉 체이닝 카운트(Next Hop Chaining Count, NC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네트워크 검증 정보는 데이터 패킷의 형식으로 송신되고,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이고, short/full MAC-I는 짧은 매체 액세스 제어 식별자/긴 매체 액세스 제어 식별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계(S240)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단계(S140)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한다.
단계(S241), 타겟 DU은 네트워크 검증 정보를 포함한 페이징 정보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며; 여기서 해당 네트워크 검증 정보는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를 검증하는데 사용되어 경합을 해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다른 하나의 구현 가능한 방식에서, 타겟 DU은 또한 다른 방식으로 네트워크 검증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타겟 DU은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 제어유닛 MAC CE 방식을 통해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 검증 정보를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시나리오에 응용되는 경우, MAC 계층 이상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여전히 소스 측에 유지되고, 타겟 DU과 소스 DU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정렬을 유지하며, 이는 스케쥴링이 타겟 DU의 MAC 계층에서 실행되지만 MAC계층 이상의 부분 파라미터는 스케쥴링과 관련되기 때문이며, 타겟 DU의 스케쥴링과 파라미터의 매칭을 보장하기 위해 하기 3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방식 1, 타겟 DU은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송신되는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방식 2, 타겟 DU은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고,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해당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고, 해당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CU에 송신하며, 해당 타겟 DU가 소스 DU의 RLC 계층이 송신하는 결정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후,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며; 여기서 해당 결정 지시 메세지는 CU가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후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는 메세지이다.
방식 3, 타겟 DU은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고, 매체 액세스 제어계층 제어 유닛(Media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을 통해 해당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서비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밖으로 이동한 후, 해당 소스 서비스 기지국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해당 방법은 정보 전송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해당 정보 전송 장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즉 소스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10),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제1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며, 여기서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 장치와 소스 서비스 기지국 사이에서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며,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도달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단말 장치에 도달하면, 이때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서비스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므로,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사이에는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기 위한 유선 연결을 설립할 수 있고,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예를 들어,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GTP 터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는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은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데이터 정보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고, 데이터 정보의 전송은 GTP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다.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채널이 공통이므로, GTP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증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GTP 사용자 평면(즉 GTP-U) 프로토콜에 예약 문자를 증가할 수 있고, 해당 예약 문자는 후속 정보 전송에서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는데 사용된다.
단계(S320),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며, 여기서 해당 업링크 정보는 비활성 상태인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므로, 단말 장치에서 업링크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제1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정보(업링크 데이터/업링크 제어 정보가 포함됨)를 수신하고, 이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업링크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포워딩할 수 있으며, 단계(S310)에서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를 설정하였기 때문에,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예약 문자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여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GTP-U 프로토콜 헤더에 기입되어 있고, 즉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때 설정한 예약 문자에 기입되어 있고, 예를 들어, resume ID 또는 절단된 resume ID 또는 기타 형태의 UE-ID 일수 있으며, 해당 GTP-U 프로토콜 헤더의 데이터 포멧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단말 장치의 소스 서비스 기지국(즉 제2 네트워크 노드)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공통 전송 채널(즉GTP 터널)은 공통이므로, 만일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오직 업링크 정보만 수신하면 해당 업링크 정보가 어느 단말 장치에서 송신된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운반하고,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해당 업링크 정보를 정확하게 디코딩하도록 지시한다.
단계(S330), 제2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파싱 결과를 획득한다.
단계(S340),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해당 파싱 결과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노드(단말 장치의 소스 서비스 기지국)에는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운반하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에 대한 데이터 파싱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파싱 결과를 획득한 후, 제1 네트워크 노드와의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단말 장치가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지국)에 해당 파싱 결과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며, 이때,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 전송 임무가 완료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과 관련 기술의 구별은 주요하게 다음과 같다: 관련 기술의 LTE 시스템 중의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기지국의 밖으로 이동한 후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에서는, 타겟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등 관련 정보를 요구하게 되며, 이 과정은 비교적 시간을 랑비하며, 비교적 큰 네트워크 지연을 초래한다. 이에 비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LTE R14 표준화 과정 중인 라이트 커넥션 상태 및 5G 시스템의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가 도달한 후, 제1 네트워크 노드(즉 타겟 기지국)는 해당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네트워크 노드(즉 소스 기지국)에 송신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업링크 정보를 수신할 때,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예약 문자에 기입할 수 있으며, 즉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이로써,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업링크 정보를 송신한 단말 장치를 알 수 있고, 따라서 정확한 방식으로 해당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고, 이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에 파싱 결과를 피드백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2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구하는 과정을 절약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며, 데이터의 파싱으로 인한 네트워크 지연을 줄이는데 유리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 및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설정된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를 통해, 제2 네트워크가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 및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해당 업링크 정보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한 후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것이며, 이어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업링크 정보를 파싱할 수 있으며, 획득한 파싱 결과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방법은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 타겟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구함으로 인해 정보를 전송하는데 비교적 큰 네트워크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종래의 일체형 기지국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체형 기지국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며, 해당 응용 시나리오의 구현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도 6에서 도시한 C-RAN 아키텍처를 참조할 수 있으며, C-RAN 아키텍처의 구조와 배치 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해당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타겟 DU과 CU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소스 DU과 CU이다.
도 7에서 도시한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참조하면, 비활성 상태의 기술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대해, MAC 계층 및 PHY 계층은 일반적으로 디폴트 설정을 사용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 PDCP 계층 등을 처리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이 소스 DU에 유지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응용되는 응용 시나리오이며, 도 8을 참조한다(여기서 RLC는 소스 측, 즉 소스 DU에 유지됨).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320)의 구현방식은:
소스 DU의 RLC 계층이 타겟 DU가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방식; 소스 DU의 RLC 계층이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CU의 PDCP 계층에 송신하는 방식; 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DU과 타겟 DU 사이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고, 소스 DU과 타겟 DU 사이에서 데이터/제어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공통 전송 채널이 존재하므로, 타겟 DU은 업링크 메세지를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할 수 있고,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CU의 PDCP 계층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외, 타겟 DU과 소스 DU 사이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의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은 공통이므로, GTP-U 관련 프로토콜을 강화하고, 즉 타겟 DU은 GTP-U 프로토콜 헤더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추가하며, 포멧(format)은 도 5에서 도시한 데이터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RLC 계층은 소스 DU에 유지되므로, 다시 말하면 타겟 DU가 소스 DU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멧은 MAC SDU 또는 RLC PDU 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GTP-U SDU 및 RLC 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상기 단계(S330)의 구현방식은: CU의 PDCP 계층이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통해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고, 파싱 결과를 소스 DU에 송신하며, 즉 상기 소스 DU은 상기 CU의 PDCP 계층이 송신하는 파싱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파싱 결과는 상기 CU의 PDCP 계층이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것이다.
상기 단계(S330)의 구현방식은: 소스 DU가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파싱 결과를 타겟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업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소스 DU, 타겟 DU, CU의 시그널링 인터렉션 방식은 도 9에서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할 수 있으며, 구현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시나리오에 응용되는 경우, MAC 계층 이상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여전히 소스 측에 유지되고, 타겟 DU과 소스 DU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정렬을 유지하며, 이는 스케쥴링이 타겟 DU의 MAC 계층에서 실행되지만 MAC계층 이상의 부분 파라미터는 스케쥴링과 관련되기 때문이며, 타겟 DU의 스케쥴링과 파라미터의 매칭을 보장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소스 DU의 RLC 계층이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타겟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서비스 기지국 밖으로 이동한 후, 해당 소스 서비스 기지국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해당 정보 전송 장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즉 타겟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보 전송 장치(10)는: 제1 설립모듈(11), 제1 수신모듈(12) 및 제1 송신모듈(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립모듈(11)은 제2 네트워크 노드와의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되고, 여기서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단말 장치와 소스 서비스 기지국 사이에서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을 실행하도록 설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며,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도달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단말 장치에 도달하면, 이때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서비스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므로,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사이에는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기 위한 유선 연결을 설립할 수 있고,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예를 들어,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GTP 터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설립모듈(11)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는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은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데이터 정보와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치되지만,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고, 데이터 정보의 전송은 GTP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다. 두 개의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채널이 공통이므로, GTP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증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GTP-U 프로토콜에 예약 문자를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예약문자는 후속 정보 전송에서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는데 사용된다.
제1 수신모듈(12)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치되고, 여기서 해당 단말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비활성 상태의 단말이다.
제1 송신모듈(13)은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도록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므로, 단말 장치에서 업링크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제1 수신모듈(12)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업링크 데이터/업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를 수신하고, 제1 송신모듈(13)은 해당 업링크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포워딩할 수 있으며, 제1 설립모듈(11)은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때, 이미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도록 설정된 예약 문자를 설치하였으므로, 제1 송신모듈(13)은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예약 문자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여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GTP-U 프로토콜 헤더에 기입되어 있고, 즉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때 설정한 예약 문자에 기입되어 있고, 예를 들어, resume ID, 절단된 resume ID 또는 기타 형태의 단말 장치 식별자(UE-ID)일 수 있다. 해당 GTP-U 프로토콜 헤더의 데이터 포멧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제1 수신모듈(12)은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단말 장치의 소스 서비스 기지국(즉 제2 네트워크 노드)을 알 수 있지만,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공통 전송 채널(즉 GTP 터널)이 공통이기 때문에, 만일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업링크 정보만 수신하면 해당 업링크 정보가 어느 단말 장치에서 송신된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제1 송신모듈(13)은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운반하고,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해당 업링크 정보를 정확하게 디코딩하도록 지시한다.
제1 수신모듈(12), 또한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파싱 결과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해당 파싱 결과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파싱하여 획득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노드(단말 장치의 소스 서비스 기지국)에는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운반하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에 대한 데이터 파싱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파싱 결과를 획득한 후, 제1 네트워크 노드와의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단말 장치가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에 해당 파싱 결과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수신모듈(12)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며, 이때,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 전송 임무가 완료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 4에서 도시한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치되고, 상응한 기능모듈을 구비하며,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종래의 일체형 기지국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체형 기지국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며, 해당 응용 시나리오의 구현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응용 시나리오에서도 도 6에서 도시한 C-RAN 아키텍처를 참조할 수 있으며, C-RAN 아키텍처의 구조와 배치 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해당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타겟 DU과 CU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소스 DU과 CU이다.
도 7에서 도시한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참조하면, 비활성 상태의 기술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대해, MAC 계층 및 PHY 계층은 일반적으로 디폴트 설정을 사용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 PDCP 계층 등을 처리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RLC 계층이 소스 DU에 유지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검증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응용되는 응용 시나리오이며,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여기서 RLC는 소스 측, 즉 소스 DU에 유지됨).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송신모듈(13)이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구현방식은: 타겟 DU가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소스 DU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 RLC 계층에 송신하고,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CU의 PDCP 계층에 송신하도록 제1 송신모듈(13)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모듈(12)이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얻은 파싱 결과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구현방식은: 소스 DU가 송신한 파싱 결과를 타겟 DU가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제1 수신모듈(12)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파싱 결과는 CU의 PDCP 계층을 통해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것이며, 상기 CU의 PDCP 계층을 통해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DU과 소스 DU 사이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의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은 공통이므로, GTP-U 관련 프로토콜을 강화하고, 즉 타겟 DU은 GTP-U 프로토콜 헤더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추가하며, 포멧(format)은 도 5에서 도시한 데이터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이외, RLC 계층은 소스 DU에 유지되므로, 다시 말하면 타겟 DU가 소스 DU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멧은 MAC SDU 또는 RLC PDU가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GTP-U SDU 및 RLC 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시나리오에 응용되는 경우, MAC 계층 이상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여전히 소스 측에 유지되고, 타겟 DU과 소스 DU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정렬을 유지하며, 이는 스케쥴링이 타겟 DU의 MAC 계층에서 실행되지만 MAC 계층 이상의 부분 파라미터는 스케쥴링과 관련되기 때문이며, 타겟 DU의 스케쥴링과 파라미터의 매칭을 보장하기 위해 하기 3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방식 1, 제1 수신모듈(12)은 또한 소스 DU의 RLC 계층이 송신하는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제1 설립모듈(11)에 의해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타겟 DU가 수신하도록 설치된다.
방식 2,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는:
타겟 DU에서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도록 설치된 제1 설정모듈(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모듈(13)은 또한 타겟 DU가 제1 설정모듈(14)이 설정한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고, 해당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CU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며; 제1 송신모듈(13)은 또한 해당 타겟 DU가 소스 DU의 RLC 계층이 송신하는 결정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후,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해당 결정 지시 메세지는 CU가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후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는 메세지이다.
방식 3, 제1 설정모듈(14)은 타겟 DU에서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도록 설치된다.
제1 송신모듈(13)은 또한 타겟 DU가 제1 설정모듈(14)이 설정한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MAC CE을 통해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치된다.
실제 응용에서는 본 출원의 도 11에서 도시한 상기 실시예의 제1 수신모듈(12)과 제1 송신모듈(13)은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송수신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설립모듈(11)과 제1 설정모듈(14)은 제1 네트워크 노드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특정된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정보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서비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한 후, 해당 소스 서비스 기지국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해당 정보 전송 장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즉 소스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20)는: 제2 설립모듈(21), 제2 수신모듈(22), 파싱모듈(23) 및 제2 송신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설립모듈(21)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의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되고, 여기서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단말 장치와 소스 서비스 기지국사이에서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을 실행하도록 설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며,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도달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단말 장치에 도달하면, 이때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서비스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므로,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사이에는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기 위한 유선 연결을 설립할 수 있고,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예를 들어,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GTP 터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설립모듈(21)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은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데이터 정보와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치되고,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고, 데이터 정보의 전송은 GTP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다. 두 개의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채널이 공통이므로, GTP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증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GTP-U 프로토콜에 예약 문자를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예약문자는 후속 정보 전송에서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는데 사용된다.
제2 수신모듈(22)은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제2 설립모듈(21)이 설립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고, 해당 업링크 정보는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정보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므로, 단말 장치에서 업링크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된 업링크 정보(업링크 데이터/업링크 제어 정보가 포함됨)를 제1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수신하고, 이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업링크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포워딩할 수 있으며, 제2 설립모듈(21)은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때, 이미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를 설정하였으므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예약 문자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여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고, 따라서 제2 수신모듈(22)은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수신한다.
파싱모듈(23)은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제2 수신모듈(22)이 수신한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파싱 결과를 획득하도록 설치된다.
제2 송신모듈(24)은 파싱모듈(23)이 획득한 해당 파싱 결과를 제2 설립모듈(21)이 설립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도록 설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노드(단말 장치의 소스 서비스 기지국)에는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업링크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운반하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의 파싱모듈(23)은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에 대한 데이터 파싱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파싱 결과를 획득한 후, 제2 송신모듈(24)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의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단말 장치가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에 해당 파싱 결과를 송신할 수 있으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며, 이때,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 전송 임무가 완료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 10에서 도시한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치되고, 상응한 기능모듈을 구비하며,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종래의 일체형 기지국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체형 기지국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며, 해당 응용 시나리오의 구현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응용 시나리오 역시 도 6에서 도시한 C-RAN 아키텍처를 참조할 수 있으며, C-RAN 아키텍처의 구조와 배치 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해당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타겟 DU과 CU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소스 DU과 CU이다.
도 7에 도시한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참조하면, 비활성 상태의 기술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대해, MAC 계층 및 PHY 계층은 일반적으로 디폴트 설정을 사용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 PDCP 계층 등을 처리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이 소스 DU에 유지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검증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응용되는 응용 시나리오이며,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여기서 RLC는 소스 측, 즉 소스 DU에 유지됨).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제2 네트워크 노드가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구현방식은:
제2 수신모듈(22)은 타겟 DU가 송신하는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소스 DU의 RLC 계층이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는 방식;
제2 송신모듈(24)은 소스 DU의 RLC 계층이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CU의 PDCP 계층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방식;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DU과 소스 DU 사이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의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은 공통이므로, GTP-U 관련 프로토콜을 강화하고, 즉 타겟 DU은 GTP-U 프로토콜 헤더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추가하며, 포멧(format)은 도 5에서 도시한 데이터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이외, RLC 계층은 소스 DU에 유지되므로, 다시 말하면 타겟 DU가 소스 DU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멧은 MAC SDU 또는 RLC PDU가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GTP-U SDU 및 RLC 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파싱모듈(23)이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는 구현방식은: CU의 PDCP 계층이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고 파싱 결과를 소스 DU에 송신하도록 파싱모듈(23)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송신모듈(24)이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파싱 결과를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구현방식은: 소스 DU가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파싱 결과를 타겟 DU에 송신하도록 제2 송신모듈(24)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시나리오에 응용되는 경우, MAC 계층 이상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여전히 소스 측에 유지되고, 타겟 DU과 소스 DU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정렬을 유지하며, 이는 스케쥴링이 타겟 DU의 MAC 계층에서 실행되지만 MAC 계층 이상의 부분 파라미터는 스케쥴링과 관련되기 때문이며, 타겟 DU의 스케쥴링과 파라미터의 매칭을 보장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에서:
제2 송신모듈(24)은 또한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제2 설립모듈(21)에 의해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타겟 DU에 송신하도록 설치된다.
실제 응용에서는 본 출원의 도 12에 도시한 상기 실시예의 제2 수신모듈(22)과 제2 송신모듈(24)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송수신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설립모듈(21)과 파싱모듈(23)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CPU일 수 있고, ASIC일 수도 있으며, 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이며, 소스 서버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타겟 서버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단말 장치가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구현방식이고, 이하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 밖으로 이동한 단말 장치가 소스 서버 기지국이 송신하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구현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하나의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서비스 기지국 밖으로 이동한 후, 해당 소스 서비스 기지국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해당 방법은 정보 전송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해당 정보 전송 장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즉 타겟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10),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며, 여기서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 장치와 소스 서비스 기지국 사이에서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며,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도달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단말 장치에 도달하면, 이때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서비스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므로,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사이에는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기 위한 유선 연결을 설립할 수 있고,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예를 들어, GPRS 프로토콜에 기반한 GTP 터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는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은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데이터 정보와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치되고,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고, 데이터 정보의 전송은 GTP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다.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채널이 공통이므로, GTP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증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GTP 사용자 평면(즉 GTP-U) 프로토콜에 예약 문자를 증가할 수 있고, 해당 예약 문자는 후속 정보 전송에서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는데 사용된다.
단계(S420),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송신한 단말 장치에 송신될 다운링크 정보 및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며, 여기서 해당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한다.
단계(S430),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와 매칭되는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였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다운링크 정보(다운링크 데이터/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를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지정된 단말 장치에 포워딩할 수 있고, 또한 단계(S410)에서 이미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를 설정하였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예약 문자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GTP-U 프로토콜 헤더에 기입되어 있고, 즉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때 설정한 예약 문자에 기입되어 있고, 예를 들어, resume ID, 절단된 resume ID 또는 기타 형태의 단말 장치 식별자(UE-ID)일수 있으며, 해당 GTP-U 프로토콜 헤더의 데이터 포멧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송신하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다운링크 정보의 타겟 단말 장치를 알 수 있지만,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공통 전송 채널(즉GTP 터널)은 공통이므로, 만일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오직 다운링크 정보만 수신하면 해당 다운링크 정보가 어느 단말 장치에서 송신된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운반하고,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노드가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정확한 단말 장치에 포워딩하도록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다운링크를 송신하는 경우에 응용되며, 또한 LTE R14 표준화 과정중인 라이트 커넥션 기술과 5G 시스템의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스 기지국(즉 제2 네트워크 노드)이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해당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제1 네트워크 노드(즉 타겟 기지국)에 송신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가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할 때,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해당 예약 문자에 기입할 수 있고, 즉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이로써,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어느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지 알 수 있고, 따라서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정확하게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 및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설정된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를 통해, 해당 제2 네트워크 노드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한 단말 장치가 다운링크 정보를 구비한 후, 제2 네트워크 노드가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해당 다운링크 정보 및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함께 단말 장치의 타겟 서비스 기지국(즉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정보를 지정된 단말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기지국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 및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의 관련 구성을 통해, 기지국이 다운링크를 송신하는 경우에 응용될 수 있으며,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응용 시나리오에서 높은 실용성을 가진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종래의 일체형 기지국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체형 기지국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며, 해당 응용 시나리오의 구현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도 6에 도시한 C-RAN 아키텍처를 참조할 수 있으며, C-RAN 아키텍처의 구조와 배치 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해당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타겟 DU과 CU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소스 DU과 CU이다.
도 7에서 도시한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참조하면, 비활성 상태의 기술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대해, MAC 계층 및 PHY 계층은 일반적으로 디폴트 설정을 사용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 PDCP 계층 등을 처리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이 소스 DU에 유지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응용되는 응용 시나리오이며, 도 8을 참조한다(여기서 RLC는 소스 측, 즉 소스 DU에 유지됨).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하나의 정보 전송 방법의 시그널링 인터렉션 흐름도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응용되고, 여기서 PDCP 계층은 CU에 위치하고, RLC 계층, MAC 계층 및 PHY 계층은 DU에 위치한다.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는 새로운 DU(즉 타겟 DU)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다. 소스 DU과 타겟 DU 사이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고, 소스 DU과 타겟 DU 사이에는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치된 공통 전송 채널(제어 시그널링 채널 및 사용자 평면 데이터 채널을 포함)이 설립되어 있다.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소스 DU과 타겟 DU은 모두 MAC 계층과 PHY 계층에 대한 디폴트 설정을 구비하므로 단말 장치가 비활성 상태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지원하고, 소스 DU에는 단말 장치의 RLC 관련 파라미터 및 설정을 유지한다.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LTE 시스템에서 4 단계 랜덤 액세스 과정의 예를 들어,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DU 밖으로 이동하고, 다운링크 데이터가 전송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501), CU의 PDCP 계층이 소스 DU에 네트워크 검증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네트워크 검증 정보는 예를 들어, short/full MAC-I, 보안 알고리즘 구성 정보 및 NCC 등을 포함하며; 해당 네트워크 검증 정보는 데이터 패킷의 형식으로 송신되며, 예를 들어, PD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일 수 있다.
단계(S502), 소스 DU은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타겟 DU에 네트워크 검증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해당 정보에는 단말 장치의 resume ID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S503), 타겟 DU은 단말 장치에 네트워크 검증 정보를 포함한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며; 여기서 해당 네트워크 검증 정보는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를 검증하는데 사용되어 경합을 해결한다.
단계(S504),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검증 정보에 따라 CU의 PDCP 계층에 대해 검증을 수행한다.
단계(S505), 타겟 DU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액세스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다.
여기서 랜뎀 액세스 요청 메세지는 주로 지정된 자원을 통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preamble)을 송신하며, 지정된 자원은 전용 자원 또는 공통 자원 풀 중의 자원일 수 있다.
단계(S506), 타겟 DU은 단말 장치에 랜뎀 액세스 응답 메세지를 송신한다.
단계(S507), 타겟 DU은 단말 장치가 송신하는 단말 검증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508), 타겟 DU은 GTP 터널을 통해 단말 검증 정보를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한다.
단계(S509), 소스 DU의 RLC 계층은 단말 검증 정보를 CU의 PDCP 계층에 송신한다.
여기서 소스 DU과 타겟 DU 사이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고, 소스 DU과 타겟 DU 사이에서 데이터/제어 시그널링이 전송되도록 설치된 공통 전송 채널이 존재하므로, 타겟 DU은 단말 검증 정보를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할 수 있고,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CU의 PDCP 계층에 송신할 수 있다. 이외, 타겟 DU과 소스 DU 사이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정보 전송을 수행하도록 설치된 채널은 공통이므로, GTP-U 관련 프로토콜을 강화하고, 즉 타겟 DU은 GTP-U 프로토콜 헤더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추가하며, 포멧(format)은 도 5에서 도시한 데이터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RLC 계층은 소스 DU에 유지되므로, 다시 말하면 타겟 DU가 소스 DU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멧은 MAC 계층의 서비스 데이터 유닛(Service Data Unit, SDU)(즉MAC SDU) 또는 RLC 계층의 PDU(즉 RLC PDU)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GTP-U SDU 및 RLC 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단계(S510), CU의 PDCP 계층은 단말 검증 정보에 따라 단말 장치를 검증한다.
단계(S511), CU의 PDCP 계층은 소스 DU의 RLC 계층에 다운링크 정보 및 초기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며, 해당 초기 식별자 정보는 다운링크 정보의 타겟 단말을 지시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데이터 패킷의 포맷은 예를 들어,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CP PDU)이다.
단계(S512), 타겟 DU은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송신하는 다운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GTP 터널을 통해 수신하며; 여기서,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소스 DU가 초기 식별자 정보를 처리하여 획득한 것이다.
단계(S513), 타겟 DU은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정보를 지정된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시나리오에 응용되는 경우, MAC 계층 이상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여전히 소스 측에 유지되고, 타겟 DU과 소스 DU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정렬을 유지하며, 이는 스케쥴링이 타겟 DU의 MAC 계층에서 실행되지만 MAC 계층 이상의 부분 파라미터는 스케쥴링과 관련되기 때문이며, 타겟 DU의 스케쥴링과 파라미터의 매칭을 보장하기 위해 하기 3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방식 1, 타겟 DU은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송신되는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방식 2, 타겟 DU은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고,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해당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며, 해당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CU에 송신하고, 해당 타겟 DU가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송신된 결정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후,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며; 여기서 해당 결정 지시 메세지는 CU 계층이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후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는 메세지이다.
방식 3, 타겟 DU에서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고, MAC CE을 통해 해당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서비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밖으로 이동한 후, 해당 소스 서비스 기지국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해당 방법은 정보 전송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해당 정보 전송 장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즉 소스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610),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제1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며, 여기서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 장치와 소스 서비스 기지국 사이에서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며,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도달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단말 장치에 도달하면, 이때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서비스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므로,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사이에는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기 위한 유선 연결을 설립할 수 있고,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예를 들어,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GTP 터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는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은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데이터 정보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며,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고, 데이터 정보의 전송은 GTP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다. 두 개의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채널은 공통이므로, GTP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추가하며, 예를 들어, GTP 사용자 평면(즉 GTP-U) 프로토콜에 예약 문자를 추가할 수 있고, 해당 예약 문자는 후속 정보 전송에서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는데 사용된다.
단계(S620),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에 송신될 다운링크 정보 및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며; 여기서, 해당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였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다운링크 정보(다운링크 데이터/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를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지정된 단말 장치에 포워딩할 수 있고, 또한 단계(S610)에서는 이미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를 설정하였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예약 문자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GTP-U 프로토콜 헤더에 기입되어 있고, 즉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때 설정한 예약 문자에 기입되어 있고, 예를 들어, resume ID, 절단된 resume ID 또는 기타 형태의 UE-ID 일수 있으며, 해당 GTP-U 프로토콜 헤더의 데이터 포멧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송신하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다운링크 정보의 타겟 단말 장치를 알 수 있지만,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공통 전송 채널(즉GTP 터널)은 공통이므로, 만일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오직 다운링크 정보만 수신하면 해당 다운링크 정보가 어느 단말 장치에서 송신된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운반하고,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노드가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정확한 단말 장치에 포워딩하도록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다운링크를 송신하는 경우에 응용되며, 또한 LTE R14 표준화 과정인 라이트 커넥션 기술과 5G 시스템의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스 기지국(즉 제2 네트워크 노드)의 다운링크 정보가 도달하는 경우, 해당 다운링크 데이터를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제1 네트워크 노드(즉 타겟 기지국)에 송신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송신한다.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가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할 때,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예약 문자에 기입할 수 있고, 즉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이로써,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어느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지 알 수 있고, 따라서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정확하게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 및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설정된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를 통해, 해당 제2 네트워크 노드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한 단말 장치가 다운링크 정보를 구비한 후, 제2 네트워크 노드가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해당 다운링크 정보 및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함께 단말 장치의 타겟 서비스 기지국(즉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정보를 지정된 단말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기지국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 및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의 관련 구성을 통해, 기지국이 다운링크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응용될 수 있으며, 비활성 상태 또는 가볍게 연결된 상태의 단말 장치가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응용 시나리오에서 높은 실용성을 가진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종래의 일체형 기지국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체형 기지국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며, 해당 응용 시나리오의 구현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도 6에서 도시한 C-RAN 아키텍처를 참조할 수 있으며, C-RAN 아키텍처의 구조와 배치 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해당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타겟 DU과 CU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소스 DU과 CU이다.
도 7에서 도시한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참조하면, 비활성 상태의 기술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대해, MAC 계층 및 PHY 계층은 일반적으로 디폴트 설정을 사용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 PDCP 계층 등을 처리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이 소스 DU에 유지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방법은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응용되는 응용 시나리오이며, 도 8을 참조한다(여기서 RLC는 소스 측, 즉 소스 DU에 유지됨).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S620)의 구현방식은: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CU의 PDCP 계층이 송신하는 다운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초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초기 식별자 정보를 처리하여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다운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초기 식별자 정보를 타겟 DU에 송신하는 방식; 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DU과 소스 DU 사이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의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은 공통이므로, GTP-U 관련 프로토콜을 강화하고, 즉 타겟 DU은 GTP-U 프로토콜 헤더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추가하며, 포멧(format)은 도 5에서 도시한 데이터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LC 계층은 소스 DU에 유지되므로, 다시 말하면 타겟 DU가 소스 DU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멧은 MAC SDU 또는 RLC PDU가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GTP-U SDU 및 RLC 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다운링크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소스 DU, 타겟 DU, CU의 시그널링 인터렉션 방식은 도 9에서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할 수 있으며, 구현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시나리오에 응용되는 경우, MAC 계층 이상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여전히 소스 측에 유지되고, 타겟 DU과 소스 DU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정렬을 유지하며, 이는 스케쥴링이 타겟 DU의 MAC 계층에서 실행되지만 MAC 계층 이상의 부분 파라미터는 스케쥴링과 관련되기 때문이며, 타겟 DU의 스케쥴링과 파라미터의 매칭을 보장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방법은: 소스 DU의 RLC 계층이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타겟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하나의 정보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서비스 기지국 밖으로 이동한 후, 해당 소스 서비스 기지국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해당 정보 전송 장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즉 타겟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정보 전송 장치(30)는: 제3 설립모듈(31), 제3 수신모듈(32) 및 제3 송신모듈(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설립모듈(31)은 제2 네트워크 노드와의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되고, 여기서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단말 장치와 소스 서비스 기지국사이에서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을 실행하도록 설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며,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도달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단말 장치에 도달하면, 이때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서비스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므로,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사이에는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기 위한 유선 연결을 설립할 수 있고,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예를 들어,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GTP 터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설립모듈(11)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은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데이터 정보와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고, 데이터 정보의 전송은 GTP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다. 두 개의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채널이 공통이므로, GTP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증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GTP-U 프로토콜에 예약 문자를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예약문자는 후속 정보 전송에서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는데 사용된다.
제3 수신모듈은, 제2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다운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제3 설립모듈(31)에 의해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고, 여기서 해당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에 있으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한다.
제3 송신모듈은, 제3 수신모듈(32)이 수신한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와 매칭되는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였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다운링크 데이터가 도달하면, 다운링크 정보(다운링크 데이터/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를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제3 수신모듈(32)에서 수신한 후, 제3 송신모듈(33)은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지정된 단말 장치에 포워딩할 수 있으며, 제3 설립모듈(31)은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때 이미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를 설정하였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예약 문자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GTP-U 프로토콜 헤더에 기입되어 있고, 즉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때 설정한 예약 문자에 기입되어 있고, 예를 들어, resume ID, 절단된 resume ID 또는 기타 형태의 UE-ID 일수 있으며, 해당 GTP-U 프로토콜 헤더의 데이터 포멧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제3 수신모듈(32)은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송신하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다운링크 정보의 타겟 단말 장치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공통 전송 채널(즉GTP 터널)은 공통이므로, 만일 제3 수신모듈(32)이 오직 다운링크 정보만 수신하면 해당 다운링크 정보가 어느 단말 장치에서 송신된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는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운반하고,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노드가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정확한 단말 장치에 포워딩하도록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 13에 도시한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치되고, 상응한 기능모듈을 구비하며,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종래의 일체형 기지국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체형 기지국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며, 해당 응용 시나리오의 구현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응용 시나리오에서도 도 6에 도시한 C-RAN 아키텍처를 참조할 수 있으며, C-RAN 아키텍처의 구조와 배치 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해당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타겟 DU과 CU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소스 DU과 CU이다.
도 7에서 도시한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참조하면, 비활성 상태의 기술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대해, MAC 계층 및 PHY 계층은 일반적으로 디폴트 설정을 사용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 PDCP 계층 등을 처리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이 소스 DU에 유지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검증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응용되는 응용 시나리오이며,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여기서 RLC는 소스 측, 즉 소스 DU에 유지됨).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다운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제3 수신모듈(32)이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구현방식은: 제3 수신모듈(32)은, 소스 DU의 RLC 계층이 송신하는 다운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타겟 DU가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해당 다운링크 정보는 CU의 PDCP 계층이 소스 DU에 송신하는 것이고,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소스 DU가 CU의 PDCP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초기 식별자 정보에 따라 처리하여 획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DU과 소스 DU 사이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의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은 공통이므로, GTP-U 관련 프로토콜을 강화하고, 즉 타겟 DU은 GTP-U 프로토콜 헤더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추가하며, 포멧(format)은 도 5에서 도시한 데이터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이외, RLC 계층은 소스 DU에 유지되므로, 다시 말하면 타겟 DU가 소스 DU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멧은 MAC SDU 또는 RLC PDU이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GTP-U SDU 및 RLC 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시나리오에 응용되는 경우, MAC 계층 이상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여전히 소스 측에 유지되고, 타겟 DU과 소스 DU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정렬을 유지하며, 이는 스케쥴링이 타겟 DU의 MAC 계층에서 실행되지만, MAC계층 이상의 일부 파라미터는 스케쥴링과 관련되기 때문이며, 타겟 DU의 스케쥴링과 파라미터의 매칭을 보장하기 위해 하기 3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방식 1, 제3 수신모듈(32)은 또한 타겟 DU가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송신되는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제3 설립모듈(31)에 의해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된다.
방식 2,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는:
타겟 DU에서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도록 설치된 제 설정모듈(3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송신모듈(33)은 또한 타겟 DU가 제2 설정모듈(34)이 설정한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고, 해당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CU에 송신하도록 설치된다. 제3 송신모듈(33)은 또한 해당 타겟 DU가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송신되는 결정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후,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해당 결정 지시 메세지는 CU가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후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는 메세지이다.
방식 3, 제2 설정모듈(34)은 타겟 DU에서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도록 설치된다.
제3 송신모듈(33)은 또한 타겟 DU가 제2 설정모듈(34)이 설정한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MAC CE을 통해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치된다.
실제 응용에서는 본 출원의 도 16에서 도시한 각 실시예의 제3 수신모듈(32)과 제3 송신모듈(33)은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송수신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제3 설립모듈(31)과 제2 설정모듈(34)은 제1 네트워크 노드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CPU 또는 ASIC 또는 본 출원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립모듈(11)과 제3 설립모듈(31)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하나의 정보 전송 장치의 구조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서비스 기지국 밖으로 이동한 후, 해당 소스 서비스 기지국과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해당 정보 전송 장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즉 소스 기지국)의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40)는: 제4 설립모듈(41)과 제4 송신모듈(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설립모듈(41)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의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되고, 여기서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단말 장치와 소스 서비스 기지국 사이에서 정보 전송을 수행하는 방식을 실행하도록 설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는 비활성 상태 또는 라이트 커넥션 상태의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며, 단말 장치의 업링크 정보가 제2 네트워크 노드에 도달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 노드의 다운링크 데이터가 단말 장치에 도달하면, 이때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서비스 노드는 제1 네트워크 노드이므로, 단말 장치는 해당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LTE 시스템에서, 기지국들 사이에는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기 위한 유선 연결을 설립할 수 있고,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예를 들어,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GTP 터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2 설립모듈(21)은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수 있고,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은 두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데이터 정보와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해당 공통 전송 채널은 GTP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고, 데이터 정보의 전송은 GTP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기반한 것이다. 두 개의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채널이 공통이므로, GTP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관련 정보를 증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GTP-U 프로토콜에 예약 문자를 증가할 수 있고, 해당 예약문자는 후속 정보 전송에서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는데 사용된다.
제4 송신모듈(42)은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제4 설립모듈(41)에 의해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도록 설치되고, 해당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였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에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제4 송신모듈(42)를 통해 다운링크 정보(다운링크 데이터/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를 단말 장치와 연결이 설립된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해당 제1 네트워크 노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송신하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지정된 단말 장치에 포워딩할 수 있으며, 제4 설립모듈(41)은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때 이미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를 설정하였으므로, 제4 송신모듈(42)은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예약 문자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하여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GTP-U 프로토콜 헤더에 기입되어 있고, 즉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할 때 설정한 예약 문자에 기입되어 있고, 예를 들어, resume ID, 절단된 resume ID 또는 기타 형태의 UE-ID 일수 있으며, 해당 GTP-U 프로토콜 헤더의 데이터 포멧은 도 5를 참조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송신하는 다운링크 정보를 수신한 후, 해당 다운링크 정보의 타겟 단말 장치를 알 수 있다. 하지만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공통 전송 채널(즉GTP 터널)은 공통이므로, 만일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오직 다운링크 정보만 수신하면 해당 다운링크 정보가 어느 단말 장치에서 송신된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제4 송신모듈(42)은 다운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운반하고,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제1 네트워크 노드가 해당 다운링크 정보를 정확한 단말 장치에 포워딩하도록 지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도 15에서 도시한 정보 전송 방법을 실행하도록 설치되고, 상응한 기능모듈을 구비하며, 구현 원리와 기술적 효과는 유사하기에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종래의 일체형 기지국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체형 기지국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며, 해당 응용 시나리오의 구현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응용 시나리오에서, 마찬가지로 도 6에서 도시한 C-RAN 아키텍처를 참조할 수 있으며, C-RAN 아키텍처의 구조와 배치 방식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해당 응용 시나리오에서, 제1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타겟 DU과 CU이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의 소스 DU과 CU이다.
도 7에서 도시한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참조하면, 비활성 상태의 기술에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대해, MAC 계층 및 PHY 계층은 일반적으로 디폴트 설정을 사용하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 PDCP 계층 등을 처리하는 방법을 고려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RLC 계층이 소스 DU에 유지되는 경우의 예를 들어,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검증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 전송 장치는 CU-DU 분리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응용되는 응용 시나리오이며, 도 8을 참조할 수 있다(여기서 RLC는 소스 측, 즉 소스 DU에 유지됨).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정보 전송 장치(40)는 제4 수신모듈(43)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구현방식은: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CU의 PDCP 계층이 송신하는 다운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초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초기 식별자 정보를 처리하여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4 수신모듈(43)을 설치하는 방식;
또한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다운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초기 식별자 정보를 타겟 DU에 송신하도록 제4 송신모듈(42)을 설치하는 방식;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DU과 소스 DU 사이에서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의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채널은 공통이므로, GTP-U 관련 프로토콜을 강화하고, 즉 타겟 DU은 GTP-U 프로토콜 헤더에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추가하며, 포멧(format)은 도 5에서 도시한 데이터 구조를 참조할 수 있다. 이외, RLC 계층은 소스 DU에 유지되므로, 다시 말하면 타겟 DU가 소스 DU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의 포멧은 MAC SDU 또는 RLC PDU이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GTP-U SDU 및 RLC 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설정되어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가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시나리오에 응용되는 경우, MAC 계층 이상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여전히 소스 측에 유지되고, 타겟 DU과 소스 DU의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정보는 정렬을 유지하며, 이는 스케쥴링이 타겟 DU의 MAC 계층에서 실행되지만 MAC계층 이상의 부분 파라미터는 스케쥴링과 관련되기 때문이며, 타겟 DU의 스케쥴링과 파라미터의 매칭을 보장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는:
제4 송신모듈(42)은 또한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해당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제4 설립모듈(41)에 의해 설립된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타겟 DU에 송신하도록 설치된다.
실제 응용에서는 본 출원의 상기 실시예의 도 17에 도시한 제4 송신모듈(42)과 제4 수신모듈(43)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송수신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제4 설립모듈(41)은 제2 네트워크 노드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CPU 또는 ASIC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설립모듈(21)과 제4 설립모듈(41)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본 분야 당업자는 상기 방법 중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는 판독 전용 메모리,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관련 하드웨어(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명령하여 완료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집적 회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각 모듈/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집적 회로를 통해 대응되는 기능을 구현), 소프트웨어 기능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명령을 실행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구현).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개시에서 제공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는 비활성 상태의 단말 장치가 소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타겟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에, 타겟 기지국이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장치의 컨텍스트 정보를 요구함으로 인해 정보를 전송하는데 비교적 큰 네트워크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Claims (48)

  1.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임-;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업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파싱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파싱 결과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파싱하여 획득된 것임-; 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상기 제2 네크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분산 유닛(DU)과 중앙 유닛(CU)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분산 유닛(DU)과 상기 중앙 유닛(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업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DU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업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소스 DU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RLC) 계층에 송신하고,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상기 CU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파싱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DU가 송신한 파싱 결과를 상기 타겟 DU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파싱 결과는 상기 CU의 PDCP 계층을 통해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된 것이며, 상기 CU의 PDCP 계층을 통해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RLC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DU가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송신되는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DU은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고,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상기 CU에 송신하며, 상기 타겟 DU가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이 송신하는 결정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후,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결정 지시 메세지는 상기 CU가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후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는 메세지임-; 및
    상기 타겟 DU은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고, 매체 액세스 제어계층 제어 유닛(MAC CE)을 통해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7.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제1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업링크 정보는 비활성 상태인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파싱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파싱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고, 상기 제1 네크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분산 유닛(DU)과 중앙 유닛(CU)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분산 유닛(DU)과 상기 중앙 유닛(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DU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RLC) 계층이 상기 타깃 DU가 송신하는 상기 업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동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이 상기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CU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파싱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DU가 상기 CU의 PDCP 계층이 송신하는 파싱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싱 결과는 상기 CU의 PDCP 계층이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것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파싱 결과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DU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파싱 결과를 상기 타겟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RLC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이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타겟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3. 제1 네트워크 노드와 제2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상기 제2 네크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분산 유닛(DU)과 중앙 유닛(CU)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분산 유닛(DU)과 상기 중앙 유닛(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타겟 DU은 상기 소스 DU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RLC) 계층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상기 CU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에서 상기 소스 DU에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소스 DU가 상기 CU의 PDCP 계층이 수신한 초기 식별자 정보에 따라 처리하여 획득한 것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RLC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DU가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송신되는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타겟 DU은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고,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상기 CU에 송신하며, 상기 타겟 DU가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이 송신하는 결정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후,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결정 지시 메세지는 상기 CU가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후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는 메세지임-; 및
    상기 타겟 DU에서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고, 매체 액세스 제어계층 제어 유닛(MAC CE)을 통해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19. 제2 네트워크 노드와 제1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고, 상기 제1 네크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분산 유닛(DU)과 중앙 유닛(CU)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분산 유닛(DU)과 상기 중앙 유닛(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DU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RLC) 계층이 상기 CU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에서 송신하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 및 초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 식별자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타겟 DU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RLC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4. 제 2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이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타겟 DU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방법.
  25. 정보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와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된 제1 설립모듈-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치된 제1 수신모듈-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임-;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업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제2 네크워크 노드에 송신하도록 설치된 제1 송신모듈- 여기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파싱 결과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파싱 결과는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파싱하여 획득한 것임;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상기 제2 네크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분산 유닛(DU)과 중앙 유닛(CU)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분산 유닛(DU)과 상기 중앙 유닛(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모듈은, 상기 타겟 DU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업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소스 DU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RLC) 계층에 송신하고,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상기 CU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에 송신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신모듈은, 상기 소스 DU가 송신한 파싱 결과를 상기 타겟 DU가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파싱 결과는 상기 CU의 PDCP 계층을 통해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되며, 상기 CU의 PDCP 계층을 통해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29. 제 27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RLC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0. 제 27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DU가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송신되는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장치는,
    상기 타겟 DU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도록 설치된 제1 설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DU가 상기 설정모듈이 설정한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고,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상기 CU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송신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DU가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이 송신하는 결정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후,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결정 지시 메세지는 상기 CU가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후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는 메세지이며;
    제1 송신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DU가 상기 설정모듈이 설정한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매체 액세스 제어계층 제어 유닛(MAC CE)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1. 정보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와의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된 제2 설립모듈-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업링크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된 제2 수신모듈- 여기서, 상기 업링크 정보는 비활성 상태인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정보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업링크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상기 수신모듈이 수신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파싱 결과를 획득하도록 설치된 파싱모듈;
    상기 파싱모듈이 획득한 상기 파싱 결과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하도록 설치된 제2 송신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고, 상기 제1 네크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분산 유닛(DU)과 중앙 유닛(CU)이고,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분산 유닛(DU)과 상기 중앙 유닛(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모듈은, 상기 소스 DU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RLC) 계층이 상기 타깃 DU가 송신하는 상기 업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동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송신모듈은,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이 상기 업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CU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파싱모듈은, 상기 소스 DU가 상기 CU의 PDCP 계층이 송신하는 파싱 결과를 수신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파싱 결과는 상기 CU의 PDCP 계층이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정보를 파싱하여 획득한 것이며;
    상기 제2 송신모듈은, 또한 상기 소스 DU가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파싱 결과를 상기 타겟 DU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5. 제 33 항 또는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RLC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6. 제 33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모듈은, 또한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이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타겟 DU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7. 정보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 장치는:
    제2 네트워크 노드와의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된 제3 설립모듈-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된 제3 수신모듈-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상기 수신모듈이 수신한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와 매칭되는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치된 제3 송신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이고, 상기 제2 네크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분산 유닛(DU)과 중앙 유닛(CU)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분산 유닛(DU)과 상기 중앙 유닛(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신모듈은, 상기 타겟 DU가 상기 소스 DU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RLC) 계층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다운링크 정보는 상기 CU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에서 상기 소스 DU에 송신하는 것이고,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는 상기 소스 DU가 상기 CU의 PDCP 계층이 수신한 초기 식별자 정보에 따라 처리하여 획득된 것임; 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41.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RLC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42. 제 39 항 내지 제 4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신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DU가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송신되는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장치는:
    상기 타겟 DU은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설정하도록 설치된 제2 설정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송신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DU가 상기 설정모듈이 설정한 상기 타겟 DU의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고,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을 통해 상기 CU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3 송신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DU가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이 송신하는 결정 지시 메세지를 수신한 후,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결정 지시 메세지는 상기 CU가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사용하기로 결정한 후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 송신하는 메세지이며;
    상기 제3 송신모듈은, 또한 상기 타겟 DU가 상기 설정모듈이 설정한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매체 액세스 제어계층 제어 유닛(MAC CE)을 통해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43. 정보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정보 전송 장치는:
    제1 네트워크 노드와의 사이에 공통 전송 채널을 설립하도록 설치된 제4 설립모듈- 여기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의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에는 단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예약 문자가 설정되어 있음-;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할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도록 설치된 제4 송신모듈-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비활성 상태에 있으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단말이며,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를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예약 문자에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기입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기지국이고, 상기 제1 네크워크 노드는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기지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 유닛 및 분산 유닛(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소스 분산 유닛(DU)과 중앙 유닛(CU)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상기 단말 장치의 타겟 분산 유닛(DU)과 상기 중앙 유닛(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DU의 무선 링크 제어 프로토콜(RLC) 계층이 상기 CU의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에서 송신되는 상기 다운링크 정보 및 초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 식별자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하도록 설치된 제4 수신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송신모듈은, 또한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다운링크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초기 식별자 정보를 상기 타겟 DU에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47. 제 45 항 또는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CU-DU 네트워크 아키텍처에는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 및 RLC 계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DU)의 인터페이스와 규칙이 미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48. 제 45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송신모듈은, 또한 상기 소스 DU의 RLC 계층에서 상기 RLC 계층의 파라미터 구성 정보를 상기 설정모듈이 설정한 상기 공통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타겟 DU에 송신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전송 장치.
KR1020197036141A 2017-05-09 2018-05-09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239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322391.2A CN109246708B (zh) 2017-05-09 2017-05-09 一种信息传输方法和装置
CN201710322391.2 2017-05-09
PCT/CN2018/086135 WO2018205949A1 (zh) 2017-05-09 2018-05-09 信息传输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867A true KR20200004867A (ko) 2020-01-14
KR102239933B1 KR102239933B1 (ko) 2021-04-15

Family

ID=6410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141A KR102239933B1 (ko) 2017-05-09 2018-05-09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05830B2 (ko)
EP (1) EP3637819A4 (ko)
JP (1) JP6837163B2 (ko)
KR (1) KR102239933B1 (ko)
CN (1) CN109246708B (ko)
WO (1) WO20182059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8103A4 (en) * 2018-09-28 2022-07-13 Sharp Kabushiki Kaisha RADIO ACCESS NETWORK AND ACCELERATED NETWORK ACCESS METHODS
US20220078868A1 (en) * 2019-02-14 2022-03-10 Ntt Docomo, Inc. Network node
CN113519130B (zh) 2019-03-12 2024-03-08 谷歌有限责任公司 用户设备协调集合波束扫描
US10893572B2 (en) * 2019-05-22 2021-01-12 Google Llc User-equipment-coordination set for disengaged mode
CN111901817A (zh) 2020-03-09 2020-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包传输方法、装置、通信节点及存储介质
JP2022127348A (ja) * 2021-02-19 2022-08-31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33664A (zh) 2005-09-14 2007-03-2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Lte系统中支持用户设备移动性的方法
EP2924940B1 (en) 2012-12-27 2019-12-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User plane data transmission methods, mobility management network element and evolved node b
CN103227982B (zh) * 2013-05-02 2016-08-03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数据直通处理方法、设备和系统
KR101414231B1 (ko) 2013-08-28 2014-07-01 한국인터넷진흥원 비정상 호 탐지 장치 및 방법
CN106211809B (zh) * 2015-03-27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CN107295637B (zh) * 2016-03-31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寻呼方法、设备及系统
CN107645779B (zh) 2016-07-22 2019-12-1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发送、传输方法及装置
CN106604335B (zh) * 2016-12-21 2020-02-04 西南交通大学 一种小区切换的方法
CN108617000B (zh) 2017-01-13 2023-04-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传输方法及装置
CN108924894B (zh) * 2017-04-11 2023-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性管理方法、接入网设备和终端设备
JP7313281B2 (ja) * 2017-04-27 2023-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EP3606118A4 (en) * 2017-05-05 2020-02-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 RAN WG2, Meeting #97, R2-1701066, 2017.2.3.* *
3GPP TSG RAN WG2, Meeting #97, R2-1701732, 2017.2.3.* *
3GPP TSG RAN WG3, NR Ad Hoc #, R3-170158, 2017.1.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246708A (zh) 2019-01-18
JP2020520176A (ja) 2020-07-02
WO2018205949A1 (zh) 2018-11-15
JP6837163B2 (ja) 2021-03-03
US11405830B2 (en) 2022-08-02
US20200229048A1 (en) 2020-07-16
KR102239933B1 (ko) 2021-04-15
EP3637819A1 (en) 2020-04-15
EP3637819A4 (en) 2021-02-17
CN109246708B (zh)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933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EP3569031B1 (en) Management of identifiers of a user device in an inactive mode by a serving device
US9872312B2 (en) Conditional parallel execution of access stratum (AS) and non-access stratum (NAS) signaling
TWI336577B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227528B1 (ko) 반송파 조합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임의접속 방법
WO2018126801A1 (zh) 数据发送、数据接收方法及装置
CN111972029B (zh) 用于传送临时标识符的方法和系统
WO2017020750A1 (zh) 数据发送方法、装置及系统
WO2019196000A1 (en) Methods and system for carrying out small data fast path communication
US201800983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20160135145A1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relating to a random access procedure
KR20220047308A (ko)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WO2018223824A1 (zh) 一种业务数据传输方法及装置
EP33646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WO2018205831A1 (zh) 一种网络验证方法和装置、设备、存储介质
CN115136651A (zh) 切换方法和通信装置
US11546887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EP3536117B1 (en) Pdcp anchored change of relay based connection
JP2020503739A (ja) 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
KR2020009207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등록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098178B2 (en)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 nodes of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communication interface
KR20180050807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Quiet Time Period 동작 기법
KR2020008168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라우팅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