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640A -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640A
KR20200004640A KR1020180077770A KR20180077770A KR20200004640A KR 20200004640 A KR20200004640 A KR 20200004640A KR 1020180077770 A KR1020180077770 A KR 1020180077770A KR 20180077770 A KR20180077770 A KR 20180077770A KR 20200004640 A KR20200004640 A KR 20200004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ptom
standard
matching
user terminal
standard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트너스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트너스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트너스앤코
Priority to KR1020180077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640A/ko
Priority to US16/056,539 priority patent/US20200013508A1/en
Publication of KR2020000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6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8Special types of queries, e.g. statistical queries, fuzzy queries or distributed queri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증상을 입력받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증상에 대해 증상 테이블로부터 증상 표현을 추출하는 추출 모듈; 및 증상 표준화 모델을 통해 상기 추출 모듈에 의해 추출된 증상 표현에 상응하는 표준 증상을 매칭시키고, 증상 서비스 매칭 모델을 통해 매칭된 표준 증상에 상응하는 후보 서비스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칭시키는 매칭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Symptom Standardization Matching System}
본 발명은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과 더불어 이를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가 개발되어 온라인을 통한 진단과 치료, 자문 등의 의료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의료 서비스의 일종으로서, 주어진 설문을 통해 질병의 위험도를 환자 스스로가 진단하고 이를 원격 진료시스템에 보내 전문의가 이 데이터를 근거로 환자의 질환을 진단하는 원격 진료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이런 단순 시스템은 증상의 정확성 진단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자의 증상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알고리즘을 통해 환자에게 보다 정확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증상을 입력받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증상에 대해 증상 테이블로부터 증상 표현을 추출하는 추출 모듈; 및 증상 표준화 모델을 통해 상기 추출 모듈에 의해 추출된 증상 표현에 상응하는 표준 증상을 매칭시키고, 증상 서비스 매칭 모델을 통해 매칭된 표준 증상에 상응하는 후보 서비스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칭시키는 매칭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서비스에 대한 리뷰가 등록될 때 등록된 리뷰 상의 증상 표현을 선별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 모듈을 통해 상기 증상 테이블을 이용하여 리뷰 상의 증상 표현을 추출하도록 하는 리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뷰 모듈 및 상기 추출 모듈을 통해 추출된 증상 표현을 통해 증상 표준화 모델 및 증상 서비스 매칭 모델을 검증 및 개선하기 위한 검증 개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상 테이블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상 테이블은 표준 증상, 표준 증상에 상응하는 코드, 유사 증상, 증상 표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상 테이블은 상기 표준 증상을 2 이상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각 표준 증상마다 상응하는 코드를 부여하고 있으며, 상기 코드에는 상기 표준 증상과 유사한 증상으로 판단가능한 유사 증상이 기설정되어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매칭 모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증상에 대한 증상 표현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표준 증상을 매칭시키고, 이에 상응하는 코드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사 증상은 상기 표준 증상에 매칭되는 상기 증상 표현으로 설정되는 정보를, 미리 결정된 개수 이상을 상기 표준 증상과 공통으로 가지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증 개선 모듈은 사용자 단말에게 필요에 따라 추가 질문을 하고 이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답을 고려하여 상기 증상 표현을 추가 갱신할 수 있으며, 갱신된 정보를 가지고 표준 증상이나 유사 증상을 재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증상에 대한 서비스 매칭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증상에 상응하는 맞춤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공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공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맞춤서비스를 제어하는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의 증상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알고리즘을 통해 환자에게 보다 정확한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상 표준화 매칭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상 표준화 매칭 방법에 대한 구체적 개선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의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의 수행 서비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상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10)을 나타낸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전체 시스템(10)은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 사용자 단말(200) 및 제공자 단말(300)을 포함한다.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 사용자 단말(200) 및 제공자 단말(300)은 네트워크롤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은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사용자 및 제공자의 컨택포인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회원가입, 각종 정보 제공, 문진을 활용한 사용자 건강상태 점검, 사용자와 제공자의 서비스 매칭 및 추천, 사용자의 증상에 대한 전문가인 제공자 상담, 예약, 상품 구매 등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은 제공자가 제공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작성한 리뷰 등에 대한 기대치 및 효과 등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활동 내역을 저장 분석하여 개인화해주고, 관심분야에 대한 유사내용을 추천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은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제품 또는 도구(tool) 등에 대하여 경험을 기록하여 평판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도구, 프로그램 등에 관한 각종 데이터(ex. 글, 그림, 음성, 영상 또는 link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에 의하면, 사용자에게는,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전통 구매 프로세스 상에서의 시간 및 비용을 경감시키도록 하고,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상에서 모든 선택과 구매 과정을 쉽고 간단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에 의하면, 제공자에게는, 신규고객을 발굴할 수 있게하고, 마케팅 비용을 절감 유도할 수 있으며, 단순하고 간편히 각종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용 기기를 포함한 IoT 단말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입력한 증상 정보, 사용자 신상 정보, 과거 증상 이력 정보, 사용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입력을 통해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신상 정보는 사용자의 나이, 성별 및 직업군 등에 해당할 수 있고, 과거 증상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과거에 앓았던 병증에 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생활 패턴 정보는 사용자가 주기적 또는 반복적으로 행하는 운동 또는 식습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자 단말(300)은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을 통해 사용 단말(200)에게 맞춤형 서비스, 프로그램 또는 제품 등을 제공하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용 기기를 포함한 IoT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은 통신 모듈(110), 매칭 모듈(120), 추출 모듈(130), 리뷰 모듈(140), 검증 개선 모듈(150) 및 데이터베이스(DB, 160)을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200) 및 제공자 단말(300)과 각종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200)이 자연어를 이용하여 증상을 호소하여 증상에 관한 정보가 통신 모듈(11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추출 모듈(130)은 입력된 증상에 관한 정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DB, 160)에 저장된 증상 테이블을 이용해 증상 표현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증상 테이블 및 증상 표현의 설명은 도 6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매칭 모듈(120)은 증상 표준화 모델을 이용하여 추출된 증상 표현에 상응하는 표준 증상을 매칭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고하면, 추출된 증상 표현이 코드 001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상기 코드 001에 상응하는 표준 증상(A 또는 B)이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 모듈(120)은 매칭 모델을 통해 매칭된 표준 증상에 상응하는 후보 서비스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매칭할 수 있다.
상기 리뷰 모듈(140)은 사용자 단말(200)이 제공받은 서비스 리뷰를 등록할 때, 등록된 리뷰 상의 증상 표현을 선별하며, 상기 추출 모듈(130)을 통해 증상 테이블을 이용하여 리뷰 상의 증상 표현을 추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검증 개선 모듈(150)은 증상 표준화 모델과 증상 서비스 매칭 모델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증상 표준화 모델은 사용자의 기본 신상 정보 및 사용자의 과거 이력 등록 입력 정보에 따라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증상 표준화 모델 및 증상 서비스 매칭 모델은 리뷰에 따라 추출된 증상 표현 등을 통해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상 표준화 매칭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이 자연어를 이용하여 증상을 호소하여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에 증상에 관한 정보가 입력된다(S110).
입력된 증상에 관한 정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증상 테이블을 이용해 증상 표현을 추출한다(S120). 상기 증상 테이블 및 증상 표현의 설명은 도 6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증상 표준화 모델을 이용하여 추출된 증상 표현에 상응하는 표준 증상을 매칭한다(S130). 예컨대, 도 6을 참고하면, 추출된 증상 표현이 코드 001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상기 코드 001에 상응하는 표준 증상(A 또는 B)이 매칭될 수 있다.
매칭 모델을 통해 매칭된 표준 증상에 상응하는 후보 서비스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200)과 매칭한다(S140). 이를 통해 증상을 입력한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최적화된 서비스가 매칭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매칭한 서비스에 대한 제공자 단말(300)이 사용자 단말(200)에 추천되어 상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S15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상 표준화 매칭 방법에 대한 구체적 개선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개선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사용자 정보 및 과거이력 정보 등록에 따라 증상 표준화 모델을 개선하고(S210), 서비스 리뷰가 등록되면 증상 테이블을 고려하여 리뷰에 따른 증상을 추출하며, 입력 증상(또는 호소 증상)과 연계하여 증상 표현을 추출한다(S220).
이후, S220을 이용하여 증상 표준화 모델 및 매칭 모델을 업그레이드 또는 개선하여(S230), 증상 판단 정확성과 서비스 매칭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의 수행 서비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고객)가 자연어를 활용하여 증상을 호소하여 이를 입력부인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면 DB의 증상 테이블을 이용하여 증상 표현을 추출한다. 또한 사용자(고객)가 필요한 경우 증상을 상세화할 수 있으며, 이를 입력부인 통신 모듈을 통해 추가 수신 및 고려하여 상기 증상 테이블을 이용하여 증상 표현을 추출할 수 있다.
증상 표현 추출은 증상 표준화 모델을 통해 추출될 수 있고, 증상 서비스 매칭 모델을 통해 표준 증상이 매칭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상 표준화 모델은 사용자의 기본 신상 정보 및 사용자의 과거 이력 등록 입력 정보를 통해 갱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갱신을 통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고객)는 제공받은 서비스 리뷰를 등록할 수 있으며, 증상 테이블을 이용하여 리뷰 상의 증상 표현을 추출한다. 추출된 증상 표현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증상에 대한 증상 표준화 모델과 증상 서비스 매칭 모델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상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증상 테이블은 증상, 증상에 따른 코드, 유사 증상 및 증상에 대한 내역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증상에 대한 내역은 증상 표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증상 테이블은 증상을 복수 개로 구분하여 저장해 둘 수 있는데, 증상(또는 표준 증상) A의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는 코드(001)가 부여될 수 있고, 상기 증상과 유사한 증상으로 구분되는 유사 증상이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소되는 정보 또는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증상에 대한 내역 또는 증상 표현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증상(또는 표준 증상)을 매칭할 수 있으며, 그에 상응하는 코드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코드에는 상기 증상(또는 표준 증상) 뿐 아니라 별도로 상기 증상(또는 표준 증상)과 유사한 것으로 분류되는 유사 증상이 기설정되어 매칭된다. 여기서, 상기 유사한 것으로 분류되는 기준은 상기 증상에 대한 내역 또는 증상 표현으로 설정되는 정보를 미리 결정된 개수 이상을 공통으로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증상에 대한 내역 또는 증상 표현은 사용자 단말에게 필요에 따라 추가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해 회신되는 답을 고려하여 추가 갱신될 수 있으며, 갱신된 정보를 가지고 증상(또는 표준 증상)이나, 유사 증상을 재설정하여 보다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8)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증상을 입력받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입력받은 증상에 대해 증상 테이블로부터 증상 표현을 추출하는 추출 모듈; 및
    증상 표준화 모델을 통해 상기 추출 모듈에 의해 추출된 증상 표현에 상응하는 표준 증상을 매칭시키고, 증상 서비스 매칭 모델을 통해 매칭된 표준 증상에 상응하는 후보 서비스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련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칭시키는 매칭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서비스에 대한 리뷰가 등록될 때 등록된 리뷰 상의 증상 표현을 선별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 모듈을 통해 상기 증상 테이블을 이용하여 리뷰 상의 증상 표현을 추출하도록 하는 리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뷰 모듈 및 상기 추출 모듈을 통해 추출된 증상 표현을 통해 증상 표준화 모델 및 증상 서비스 매칭 모델을 검증 및 개선하기 위한 검증 개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 테이블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상 테이블은 표준 증상, 표준 증상에 상응하는 코드, 유사 증상, 증상 표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상 테이블은 상기 표준 증상을 2 이상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각 표준 증상마다 상응하는 코드를 부여하고 있으며, 상기 코드에는 상기 표준 증상과 유사한 증상으로 판단가능한 유사 증상이 기설정되어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매칭 모듈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증상에 대한 증상 표현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표준 증상을 매칭시키고, 이에 상응하는 코드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증상은
    상기 표준 증상에 매칭되는 상기 증상 표현으로 설정되는 정보를, 미리 결정된 개수 이상을 상기 표준 증상과 공통으로 가지는 것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 개선 모듈은
    사용자 단말에게 필요에 따라 추가 질문을 하고 이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신되는 답을 고려하여 상기 증상 표현을 추가 갱신할 수 있으며, 갱신된 정보를 가지고 표준 증상이나 유사 증상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8.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 증상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공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제공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련 서비스를 제어하는 제1항의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에 대한 서비스 매칭 시스템.
KR1020180077770A 2018-07-04 2018-07-04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KR2020000464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770A KR20200004640A (ko) 2018-07-04 2018-07-04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US16/056,539 US20200013508A1 (en) 2018-07-04 2018-08-07 Symptom standardization ma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770A KR20200004640A (ko) 2018-07-04 2018-07-04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640A true KR20200004640A (ko) 2020-01-14

Family

ID=6910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770A KR20200004640A (ko) 2018-07-04 2018-07-04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013508A1 (ko)
KR (1) KR202000046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013A (ko) * 2021-06-07 2022-12-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 개인 질환 예측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6698A1 (en) * 1998-11-13 2011-08-11 Anuthep Benja-Athon Brains-Empowered Networking
US20030212576A1 (en) * 2002-05-08 2003-11-13 Back Kim Medical information system
DE10227542A1 (de) * 2002-06-20 2004-01-15 Merck Patent Gmbh Verfahren und System zum Erfassen und Analysieren von Krankheitsbildern und deren Ursachen sowie zum Ermitteln passender Therapievorschläge
US8271295B1 (en) * 2008-07-23 2012-09-1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Health clinic broker
US20100235242A1 (en) * 2009-03-10 2010-09-16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State Of Delaware Computational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services planning and matching
US20170046500A1 (en) * 2010-01-15 2017-02-16 Sleep Science Partners, Inc. System to give doctors and patients easier access to each other
US20140278450A1 (en) * 2013-03-12 2014-09-18 Roy Schoenberg Searching for Service Providers based on Consumer Symptoms
US20170061074A1 (en) * 2015-08-31 2017-03-02 Kinsa, Inc. Telemedicine system and method
US20170188806A1 (en) * 2016-01-02 2017-07-06 Ram Peddad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or alerting an appropriate eye care provider
US20180046773A1 (en) * 2016-08-11 2018-02-15 Htc Corporation Medica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cal predi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5013A (ko) * 2021-06-07 2022-12-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반 개인 질환 예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13508A1 (en)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rsan Milaković Purchase experie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social cognitive theory: The relevance of consumer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adaptability for purchas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US10970641B1 (en) Heuristic context prediction engine
US10430859B2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recommendation of a product or service based on inferring a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a customer
US98524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social media sales
US10740768B2 (en) Customer loyalty program with shared data and sub-programs
PH12016000332A1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20180379A1 (en) Transaction-base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article
KR102493374B1 (ko) 가족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CN109002465B (zh) 用于具有智能众包选项的对话输入设备的方法和系统
US20240144328A1 (en) Automatic rule generation for next-action recommendation engine
KR20190017105A (ko) 보험 가입 희망자와 추천 보험 상품을 매칭시키는 방법
US20150356573A1 (en) Dynamic survey system
KR101870980B1 (ko) 애플리케이션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그에 대한 기록매체
KR20210100282A (ko) 보험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US11481813B2 (en) Concierge service system
KR20200004640A (ko) 증상 표준화 매칭 시스템
US1089162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tching a customer with a service representative
KR20220055591A (ko) 의류 구매자와 의류 판매자의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80129664A1 (en) System and method to recommend a bundle of items based on item/user tagging and co-install graph
US202200678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7180146B2 (ja) サービス提供者選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提供者選定システム
GB2517964A (en) Quotation intermediary system and method
US20170242979A1 (en) Method of performing clinical trials
Sanghani et al. Improving consumer satisfaction with addiction treatment: An analysis of alumni preferences
JP735188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