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3496A -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3496A
KR20200003496A KR1020180076338A KR20180076338A KR20200003496A KR 20200003496 A KR20200003496 A KR 20200003496A KR 1020180076338 A KR1020180076338 A KR 1020180076338A KR 20180076338 A KR20180076338 A KR 20180076338A KR 20200003496 A KR20200003496 A KR 20200003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recording device
user
informa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124B1 (ko
Inventor
장승훈
Original Assignee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 삼성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 삼성의료재단
Priority to KR1020180076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12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3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3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이 발생(통증이 발생/완화/심화)될 때마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통증 부위와 통증 강도를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로부터 통증 지속 시간과 통증 발생 빈도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이 발생될 때마다 통증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의 보다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고, 획득한 통합 통증 정보를 외부에 있는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의사)가 근골격계 질환의 평가/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pain of muscular skeletal disease}
본 발명은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을 자가 기록 및 이를 관리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을 호소하고 있다. 현재 변원에서는 직원의 근골격계 질환을 평가/관리하기 위해 수기로 작성되는 문진표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문진표를 통한 평가는 직원의 기억에 의존하기 때문에 회상 바이어스(recall bias)가 발생하게 된다. 회상 바이어스(recall bias)에는 통증의 발생 시간과 지속 시간이 정확하지 않다라는 점, 통증의 강도 평가가 정확하지 않다라는 점, 통증의 빈도 평가가 정확하지 않다라는 점 등이 있다. 문진표의 문진 항목 중 중요한 문진 항목에 대한 회상 바이어스(recall bias)는 근골격계 질환의 평가/관리를 어렵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12554호 (주식회사 내안플러스) 2011. 2. 9. 특허문헌 1은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컴퓨터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근골격계 질환 예방 서버에 접속하여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를 선택하고, 선택된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에 따라 정해진 스트레칭 운동 정보가 사용자의 컴퓨터 모니터에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디스플레이되는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이 발생(통증이 발생/완화/심화)될 때마다 사용자가 편리하게 통증 부위와 통증 강도를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로부터 통증 지속 시간과 통증 발생 빈도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는, 시간 정보,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를 포함하는 통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부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통증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통증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 통증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통증 정보는 통증 발생 시간, 통증 발생 부위, 통증 강도, 통증 지속 시간, 및 통증 발생 빈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통증 부위를 선택받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통증 부위에 대한 통증 강도를 선택받으며, 선택된 통증 부위,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증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 통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원형 형상의 휠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휠 인터페이스 모듈이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조작일 수 있다.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상기 출력부 상에서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일 수 있다.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방법은,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의 통증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부위,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통증 정보를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통증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 통증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통증 정보는 통증 발생 시간, 통증 발생 부위, 통증 강도, 통증 지속 시간, 및 통증 발생 빈도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통증 부위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통증 부위에 대한 통증 강도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통증 부위,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통증 정보를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통증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는 원형 형상의 휠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휠 인터페이스 모듈이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조작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서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일 수 있다.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상기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에 의하면,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이 발생(통증이 발생/완화/심화)될 때마다 사용자는 편리하게 통증 부위와 통증 강도를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로부터 통증 지속 시간과 통증 발생 빈도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획득한 통합 통증 정보를 외부에 있는 관리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의사)가 근골격계 질환의 평가/관리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이 발생될 때마다 통증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근골격계 질환의 보다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통증 기록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통증 기록 디바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증 기록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통증 정보 저장 단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이하 '통증 기록 디바이스'라 한다)는 사용자 단말(200)과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신망(400)을 통해 관리 서버(300)에 연결 될 수 있다.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디바이스로서,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이 발생되거나, 통증이 완화되거나, 통증이 심화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증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통증 정보는 시간 정보, 통증 부위, 통증 강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저장된 복수의 통증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 통증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통증 정보는 통증 발생 시간, 통증 발생 부위, 통증 강도, 통증 지속 시간, 통증 발생 빈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획득한 통합 통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로부터 전송받은 각종 데이터를 통신망(400)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데스크톱 컴퓨터뿐만 아니라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UMPC(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스마트폰, 휴대전화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병원 등과 같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운용하는 장치로서,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관리 서버(300)는 의사 등의 의료진의 요청에 따라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받은 각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뿐만 아니라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한편,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관리 서버(30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가 직접 통신망(400)을 통해 관리 서버(3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거치지 않고 통신망(400)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직접 통합 통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통증 기록 디바이스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저장부(110), 입력부(120), 전원 공급부(130), 출력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통증 정보의 입력 및 저장, 통합 통증 정보의 생성 및 저장, 통합 통증 정보의 전송 등과 같은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통증 정보, 통합 통증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외부로부터 물리적 입력을 특정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 등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원형 형상의 휠 인터페이스 모듈(121), 사용자 푸쉬 동작 등을 통해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 모듈(도시하지 않음), 사용자의 음성이나 주변에서 발생된 음향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 모듈(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30)는 배터리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며, 배터리 모듈에 충전된 전력을 통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물론,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가 사용자 단말(200)과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 전원 공급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통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면서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출력부(140)는 각종 신호, 데이터 등을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도시하지 않음), 오디오 출력 모듈(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은 데이터의 출력부(140)인 동시에 입력부(1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모듈은 청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 모듈은 스피커(speaker) 등을 통해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 모듈은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이어폰/헤드셋 등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이어폰/헤드셋은 수신한 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유선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이나 무선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와의 유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통신부(150)는 통합 통증 정보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 또는 관리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증 정보를 저장부(110)에 저장하고,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수의 통증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 통증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증 기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통증 부위를 선택하고,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통증 강도를 선택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사용자에 의해 휠 인터페이스 모듈(121)이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조작일 수 있다. 물론, 출력부(140)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출력부(140) 상에서 회전 방향으로의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일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부위,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통증 정보를 저장부(110)에 저장한다. 즉,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통증 부위를 선택받고,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통증 부위에 대한 통증 강도를 선택받으며, 선택된 통증 부위,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증 정보를 저장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이 발생/완화/심화되는 경우, 그때 그때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를 통해 통증 부위와 통증 강도를 입력한다. 그러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통증 부위와 통증 강도를 통해 통증 정보를 획득하여 그때 그때 저장한다.
아울러, 제어부(160)는 저장부(11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통증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 통증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한다. 즉, 사용자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이 발생되거나, 통증이 완화되거나, 통증이 심화되는 경우, 그때 그때 통증 정보를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를 통해 기록하기 때문에,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누적된 복수의 통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간 정보,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로 이루어진 통증 정보를 통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통증 지속 시간과 통증 발생 빈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음의 [표 1]과 같은 통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다음의 [표 2]와 같은 통합 통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간

통증 부위

통증 강도 (0 ~ 10)

2018-02-19 09:47



6

2018-02-19 10:03



0

2018-02-19 13:34

어깨

4

2018-02-19 14:01

어깨

0



통증 발생 시간

통증 발생 부위

통증 강도

통증 지속 시간

통증 발생 빈도

2018-02-19 09:47



6

16 분

1회

2018-02-19 13:34

어깨

4

27 분

1회


그리고, 제어부(160)는 획득한 통합 통증 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사용자 단말(200)을 거쳐서 관리 서버(300)로 통합 통증 정보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200)을 거치지 않고 관리 서버(300)로 직접 통합 통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통증 기록 디바이스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바깥 테두리 부분에 원형 형상의 휠 인터페이스 모듈(121)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이 발생/완화/심화되는 경우, 휠 인터페이스 모듈(121)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을 통해, 통증 부위와 통증 강도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출력부(140)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 사용자는 출력부(140) 상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드래그 조작을 통해, 통증 부위와 통증 강도를 편리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증 기록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이 발생/완화/심화되는 경우,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에 설치되어 있는 통증 기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휠 인터페이스 모듈(121)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을 통해 통증 부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신체 모양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현재 선택된 통증 부위(예컨대, 목, 어깨, 손목, 팔, 다리 등)가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통증 부위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휠 인터페이스 모듈(121)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조작을 통해 통증 강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통증 강도 레벨에 따른 이미지를 서로 다르게 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현재 선택된 통증 강도(예컨대, 0, 2, 4, 6, 8, 10 등)가 식별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선택된 통증 강도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후,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증 강도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증 부위와 이에 대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통증 정보를 저장한다(S110). 즉, 사용자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이 발생/완화/심화되는 경우, 그때 그때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를 통해 통증 부위와 통증 강도를 입력한다. 그리고,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부위,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통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통증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 통증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한다(S130).
이후,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통합 통증 정보를 통신망(400)을 통해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50). 이때,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 단말(200)을 거쳐서 관리 서버(300)로 통합 통증 정보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200)을 거치지 않고 관리 서버(300)로 직접 통합 통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통증 정보 저장 단계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증 기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111).
그러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통증 부위를 선택받고(S113),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부위에 대한 통증 강도를 선택받을 수 있다(S115). 여기서,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사용자에 의해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휠 인터페이스 모듈(121)이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조작일 수 있다. 물론,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회전 방향으로의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일 수도 있다.
그런 다음,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통증 정보를 생성하고(S117), 생성된 통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119). 즉, 통증 기록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증 부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롬(ROM), 램(RAM), 씨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통증 기록 디바이스, 110 : 저장부,
120 : 입력부, 130 : 전원 공급부,
140 : 출력부, 150 : 통신부,
160 : 제어부, 200 : 사용자 단말,
300 : 관리 서버, 400 : 통신망

Claims (13)

  1. 시간 정보, 통증 부위 및 통증 강도를 포함하는 통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부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통증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통증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 통증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통증 정보는, 통증 발생 시간, 통증 발생 부위, 통증 강도, 통증 지속 시간, 및 통증 발생 빈도를 포함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통증 부위를 선택받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통증 부위에 대한 통증 강도를 선택받으며, 선택된 통증 부위,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증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3. 제1항에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 통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4. 제1항에서,
    상기 입력부는, 원형 형상의 휠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휠 인터페이스 모듈이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조작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5. 제1항에서,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상기 출력부 상에서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6. 제1항에서,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7.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의 통증 기록 방법으로서,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부위,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획득한 통증 정보를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통증 정보를 기반으로 통합 통증 정보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통증 정보는, 통증 발생 시간, 통증 발생 부위, 통증 강도, 통증 지속 시간, 및 통증 발생 빈도를 포함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통증 부위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통증 부위에 대한 통증 강도를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통증 부위, 선택된 통증 강도, 및 현재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통증 정보를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통합 통증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는, 원형 형상의 휠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휠 인터페이스 모듈이 물리적으로 회전되는 조작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방법.
  11. 제7항에서,
    상기 사용자의 회전 조작은,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에서 회전 방향으로의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 조작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방법.
  12. 제7항에서,
    상기 통증 기록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80076338A 2018-07-02 2018-07-02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267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38A KR102267124B1 (ko) 2018-07-02 2018-07-02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338A KR102267124B1 (ko) 2018-07-02 2018-07-02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3496A true KR20200003496A (ko) 2020-01-10
KR102267124B1 KR102267124B1 (ko) 2021-06-18

Family

ID=6915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338A KR102267124B1 (ko) 2018-07-02 2018-07-02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498A (ko)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비플러스랩 통증 그래프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554A (ko) 2009-07-30 2011-02-09 (주)내안플러스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US20120190936A1 (en) * 1996-12-16 2012-07-26 Ip Holdings, Inc. Pain tracking and management device
KR20170041467A (ko) * 2015-10-07 201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7096291A1 (en) * 2015-12-02 2017-06-08 Wyllness Llc Pain behavior analysis system
KR20170089727A (ko) * 2016-01-27 2017-08-04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70323285A1 (en) * 2002-10-01 2017-11-09 World Award Academy Wearable personal digital device for facilitating mobile device payments and personal use
US20180008191A1 (en) * 2015-02-02 2018-01-11 Koninklijke Philips N.V. Pain management wearable devic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90936A1 (en) * 1996-12-16 2012-07-26 Ip Holdings, Inc. Pain tracking and management device
US20170323285A1 (en) * 2002-10-01 2017-11-09 World Award Academy Wearable personal digital device for facilitating mobile device payments and personal use
KR20110012554A (ko) 2009-07-30 2011-02-09 (주)내안플러스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방법 및 시스템
US20180008191A1 (en) * 2015-02-02 2018-01-11 Koninklijke Philips N.V. Pain management wearable device
KR20170041467A (ko) * 2015-10-07 2017-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17096291A1 (en) * 2015-12-02 2017-06-08 Wyllness Llc Pain behavior analysis system
KR20170089727A (ko) * 2016-01-27 2017-08-04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498A (ko)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비플러스랩 통증 그래프 생성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124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6425B2 (en) Pacing activity data of a user
Lee et al. Head flexion angle while using a smartphone
JP5888305B2 (ja) 計測情報表示装置、計測情報表示システム、計測情報表示方法及び計測情報表示プログラム
Luxton et al. mHealth for mental health: Integrating smartphone technology in behavioral healthcare.
US11636932B1 (en) Proximity-based mobile-device updates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Brown The Ontario telemedicine network: a case report
US20180053123A1 (en) Diagnosis-driven electronic charting
US11037664B1 (en) Decision support tool for managing autoimmune inflammatory disease
US10085675B2 (en) Measure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measurement apparatus, information device, measurem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measuremen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US9864612B2 (en) Techniques to customize a user interface for different displays
CN108282558A (zh) 电子设备和用于控制电子设备的方法
WO2017050071A1 (zh) 健康咨询服务获取方法、装置和系统
CN108388782A (zh) 用于认证生物计量数据的电子设备和系统
JP2015076033A (ja) 使用者情報入力装置及び入力画面表示方法
CN104685449A (zh) 基于用户的目光的用户界面元素焦点
CN107045444A (zh) 一种应用程序推荐方法及装置
CN103443796A (zh) 查看病人数据的系统和方法
JP2015519101A (ja) 患者データを収集し、見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9718112A (zh) 用药提醒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431582A (zh) 由计算设备输出再接涉提醒
Maglogiannis et al. Mobile reminder system for furthering patient adherence utilizing commodity smartwatch and Android devices
WO2023040731A1 (zh) 用户姿势监测系统、方法及智能穿戴设备
CN108460261A (zh) 用于管理内容的方法及其电子设备
KR20200003496A (ko)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 기록 디바이스 및 방법
US11416513B2 (en) Searching data structures maintained by distributed data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